KR20160026378A -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378A
KR20160026378A KR1020140115134A KR20140115134A KR20160026378A KR 20160026378 A KR20160026378 A KR 20160026378A KR 1020140115134 A KR1020140115134 A KR 1020140115134A KR 20140115134 A KR20140115134 A KR 20140115134A KR 20160026378 A KR20160026378 A KR 2016002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dule
connector
shap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81804B1 (en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14011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804B1/en
Publication of KR2016002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More specifically, th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whose connection parts have both flexibility and durability, enables various housings for forming space therein, such as a house for camping, a smoking booth, and a pergola, to be assembled and installed, can simply be assembled, constructed, and disassembled by using minimum module elements, and can be transformed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comprises: base modules (100) which include three extended parts (120)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from tip parts (110) in three directions, wherein the three extended parts (120) are at an angle of ninety degrees to each other, and connection parts (130) are formed on free end parts of each extended part (120); and connectors (140) which are elements for connecting the base modules (100) and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130) of each base module (100) to connect and coupl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s.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징 모듈{Prefabricated housing modules}[0001]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징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핑용 하우스, 흡연부스, 파고라(pergola) 등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하우징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that enables various housings such as a camping house, a smoking booth, a pergola,

종래에 캠핑용 하우스, 흡연부스, 파고라 등 야외에 소정의 가건물을 설치할 때에는 주로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컨테이너는 조립식이 완제품 상태로 이동하여 설치하므로 차량이 운행할 수 없는 산지 등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서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으로 하역해야 하므로 취급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container is often used when a predetermined movable object such as a house for a camping, a smoking booth, or a pagoda is installed in the outdoors. However, the container can not be installed in a mountain where the vehicle can not be operated 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is heavy, it must be unloaded with a crane or a forklift truck, which makes handling difficult and costly.

또한 특허문헌들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규격화된 모듈을 볼팅(bolting)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가설하는 형태의 조립식 하우징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대부분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므로 제작비용이 높고 시공 및 해체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많은 요소들을 관리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등,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a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in which various standardized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olting method has been proposed as in the patent documents, sin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many elements are required in many cases, And it takes much time to disassemble it, and it is also difficult to manage many factors, which leads to a problem of low efficiency.

더욱이, 획일화 된 연결 방식으로 인해 건물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없고, 건물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에 따른 다른 형태의 요소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형태의 다변화를 꾀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t is not possible to vary the shape of a building in various ways due to the standardized connection method, and when it is desired to transform a building into various forms, there is a restriction to the shape diversification There are following problems.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50281호(2004.5.13 공고)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0281 (published on 13 May 2004)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9644(2011.6.8 공고)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9644 (published on June 8, 2011) 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7676호(2010.2.11 공고)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No. 20-0447676 (Notice of 2010.2.11) 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112300호(2012.10.11 공개)4.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12300 (published Oct. 11, 2012)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모듈 요소를 통해 조립 및 시공과 해체가 간편하고 연결 부분이 유연성과 내구적 견고성을 동시에 가지면서도 하우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ssembling,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 housing through a minimal module element, And a housing module for housing the hous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꼭지부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를 갖추되 3개의 연장부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각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접속부가 형성된 베이스 모듈; 상기 베이스 모듈을 연설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 베이스 모듈의 상기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module including: a base module having three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in three directions from a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being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each other and connected to free ends of the extending portions; And a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base modules to connect and connect the connection portions, respectively, as elements for addressing the base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모듈을 2개 또는 그 이상 연설할 때 각 베이스 모듈에서 맞대어진 각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고 일정 길이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모듈의 양쪽 단부에 각각 상기 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nnection module,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respective connection portions of the respective base modules when two or more of the base modules are provide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nnecting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or is formed.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커넥터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의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양쪽 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양쪽 돌출부 및 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볼트가 통과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접속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접속 플레이트와, 상기 접속 플레이트에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가 내입되도록 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서 관통되어 상기 볼트가 통과하도록 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or comprises a plate-shaped connect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te, at least one bolt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late, Holes;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plate which forms a closing surface at the connecting end, a depression which is recessed in the connecting plate and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and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depression to allow the bolt to pass therethrough .

이때 상기 커넥터는 유연성을 가진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is preferably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having flexi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모듈과 상기 베이스 모듈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만으로 하우징의 기본 뼈대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 연결 모듈을 더하는 경우 하우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등 적은 구성요소로 하우징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와 해체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he base module and the base module can form a basic skeleton of the housing, and when the connection module is added thereto, the housing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form various shapes of the apparatus, and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또한, 커넥터를 유연성을 가진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는 동시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두어 상호 연결하므로 유연성과 접합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depressed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or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bonding property and can be firmly assemb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그의 연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접속부(130)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접속부(130)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베이스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베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일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연결 모듈의 접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베이스 모듈 및 도 7의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활용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before connection thereof.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part 130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unit 130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ase module of FIG. 1;
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housing formed using the base module of Figure 1;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ase module and the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use state view of the housing formed using the base module of FIG. 1 and the connection module of FIG. 7;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assembl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housing formed using the assembl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use state view of a housing formed using the assembl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도면에서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form just described,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the ordinary vari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of the illustrated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그의 연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접속부(130)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접속부(130)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베이스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베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before connection thereof,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ase module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formed using the base module of FIG. Day usage stat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징 모듈은 베이스 모듈(100)과 커넥터(140)로 구성된다.1 to 5, th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module 100 and a connector 140.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꼭지부(110)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120)를 갖추고 있으며, 이때 3개의 각 연장부(120)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장부(120)는 예컨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base module 100 has three extending portions 120 extending in three directions from the stem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120 are at an angle of 9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Each extending portion 1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for example.

또한, 각각의 연장부(120)에서 꼭지부(110)의 반대편 끝단, 즉 자유단부에는 각각 접속부(130)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130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stem 110, that is, at the free end of each extension portion 120.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130)는, 접속 플레이트(131), 함몰부(132) 및 홀(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130 includes a connection plate 131, a depression 132, and a hole 133.

상기 접속 플레이트(131)는 각 연장부(120)의 자유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함몰부(132)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131)의 가운데에서 꼭지부(110) 방향으로 함몰되어 후술하는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142)가 내입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홀(133)은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이다.The connecting plate 131 is for forming a closed surface at the free end of each extending portion 120 and the depressed portion 132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tem 110 from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late 131 And the protrusion 142 of the connector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hole 133. The hole 133 is a hole through which the bolt B can pass.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베이스 모듈(100) 2개를 상호 연설하기 위한 매개 요소이며, 2개의 베이스 모듈(100) 중 서로 맞대어진 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130)를 각각 볼팅(bolting) 방식으로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요소이다.The connector 140 is an intermediate element for mutually communicating two base modules 100. The connector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130 of the two base modules 100, It is an element that fastens and connects by bolting method.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40)는, 연결 플레이트(141), 돌출부(142) 및 홀(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140 includes a connection plate 141, a protrusion 142, and a hole 143.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이고, 상기 돌출부(142)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의 양쪽 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상기 접속부(130)의 함몰부(132)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홀(143)은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이다.The protrusion 142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late 141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protrusion 142 protrudes from the depressed portion 132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hole 143 is a hole provided so that the bolt B can pass therethrough.

이러한 구성에 따라, 2개의 베이스 모듈(100)을 상호 고정할 때에는, 각각의 베이스 모듈(100)의 접속부(130), 즉 각각의 접속 플레이트(131)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각 접속부(130) 사이에 커넥터(140)를 끼워 넣은 후, 양쪽 돌출부(142)를 각 함몰부(132)에 삽입한다. 그리고 볼트(B)를 함몰부(132)의 홀(133)과 커넥터(140)의 홀(143)을 각각 관통시킨 후 너트(N)를 체결하여 고정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wo base modules 100 are mutually fixed, the connection portions 130 of the respective base modules 100, that is, the respective connection plates 131 ar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130 The protrusions 142 are inserted into the depressions 132, respectively. The bolts B are passed through the holes 133 of the depression 132 and the holes 143 of the connector 140 and then the nuts N are fastened and fixed.

이때 상기 커넥터(14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신축성을 가진 재료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커넥터(140)가 연질의 신축성을 가지면 2개의 베이스 모듈(100)을 볼팅 체결할 때 각 베이스 모듈(100)의 접속부(1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압착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고정력을 공고히 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이 증대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140 is preferably formed by molding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such as rubber,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When the connector 140 has flexibility and flexibility, The base module 100 can be fixed by a pressing method while being flexible enough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130 of the base modules 100,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도 2와 같이 상기 연장부(120)의 횡단면(도 1의 A-A 단면) 상 형태는, 'ㄷ'자 형태에서 양쪽 모서리부를 각이 지게 깍은 챔퍼(champer) 형태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extension 120 in cross section (A-A cross section in FIG. 1) may be a chamfer shape in which both corner portions are angled in a 'C' shape.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태가 예시된 챔퍼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도 11 및 도 13에서와 같이 라운드 형태나 직각 형태 또는 기타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hamfered shape of the extending portion 120 in the cross-sectional shape, but it is possible to deform it in a round shape, a right-angled shape, or another shape as shown in Figs. 11 and 13 I have to understand.

또한,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장부(120)가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부(120) 내측 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지지리브(121)를 형성할 수 있다.The base module 1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to reduce weight. In order to prevent the extension portion 120 from being bent or deformed, the base module 100 may have one or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rib 121 can be formed.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는 X, Y, Z 축의 3방향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커넥터(140) 및 각 연장부(130)의 연결 구조를 통해 복수 개의 베이스 모듈(10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정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Since the base module 100 is formed with the X, Y, and Z axes extending in three directions, the plurality of base modul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or 140 and the extending portions 130 In this case, a cube-shaped housing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연결 모듈의 접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베이스 모듈 및 도 7의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활용 예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ase module and the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the assembl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징 모듈은, 연장 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module 200.

상기 연장 모듈(200)은, 상기 베이스 모듈(100)의 연설할 때, 상호 연결되는 베이스 모듈(100)의 각 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2개의 베이스 모듈(100)의 거리를 더 멀리 이격시키기 위한 요소이다.The extension module 20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130 of the base module 10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base module 100 is spanned, .

이를 위해 연장 모듈(200)은 일정 길이의 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21)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접속부(220)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extension module 200 is formed of a frame 2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ion portions 2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ame 21, respectively.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220)는, 접속 플레이트(221), 함몰부(222) 및 홀(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220 includes a connection plate 221, a depressed portion 222, and a hole 223.

상기 접속 플레이트(221)는 프레임(210)의 양쪽 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함몰부(222)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221)의 가운데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142)가 내입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홀(223)은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이다.The connection plate 221 is for forming a closed surface at both ends of the frame 210 and the recessed portion 222 is recessed inwar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late 221 to form a And the protrusion 142 is inserted into the hole 223. The hole 223 is a hole through which the bolt B can pass.

상기 프레임(210)의 횡단면 형태는 전술한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연장부(120)의 단면이 챔퍼 형태인 경우, 그것과 동일하게 상기 프레임(210)의 단면도 챔퍼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ame 21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120 described above.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 when the extension 120 has a chamfered cross s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210 is also formed as a chamfer.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모듈(200)의 접속부(220)가 상기 베이스 모듈(100)의 접속부(130)와 커넥터(140)를 매개로 상호 체결, 고정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220 of the connection module 200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ion unit 130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connector 140.

이와 같이 베이스 모듈(100)과 연결 모듈(200)을 상호 적절하게 조합하여 연결하면, 도 9의 (a)와 같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도 9의 (b)와 같이 연결 모듈(200)이 지지 포스트 기능을 가짐으로써 하부가 개방된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예컨대 파고라를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base module 100 and the connection module 200 are appropriately combin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 closed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housing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9 (a) The connection module 200 may have a support post function to form a housing having a structure with an open bottom, which can manufacture, for example, a parcel.

더욱이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개방면을 목재 또는 실내 채광을 위한 유리 등으로 마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기후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므로 보온이나 냉방 시설을 갖출 수 있고, 따라서 캠핑용 하우스나 별장과 같이 임시 주거 공간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연결 방향을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10,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can be finished with wood or glass for indoor lighting. In this case, since the internal space isolated from the external climat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al insulation or a cooling facility,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temporary housing space such as a house or a villa.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various types of housings by changing the connection direction using fewer components.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housing formed using th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베이스 모듈(100')의 연장부(120')와 제2실시예의 연결 모듈(200')의 횡단면은 원호 상의 라운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연결 구조를 통해 도 12의 (a)와 같이 폐쇄된 정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이나 (b)와 같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 또는 (c)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 등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11 and 12, the cross section of the extension 120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connection module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arc In this case, a housing having a closed cube shape as shown in FIG. 12 (a) or a housing having a closed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2 (b) or a housing having a closed lower shape Various types of housings can be form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housing formed using th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베이스 모듈(100")의 연장부(120")와 제3실시예의 연결 모듈(200")의 횡단면은 각이 진 직각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연결 구조를 통해 도 14의 (a)와 같이 폐쇄된 정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이나 (b)와 같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 또는 (c)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 등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13 and 14, the cross section of the extension 120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connection modul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gled In this case, a housing having a closed cube shape as shown in FIG. 14 (a) or a housing having a closed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4 (b) or a housing having a closed bottom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formed.

이와 같이 하우징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단면 형태를 가진 베이스 모듈(100)(100')(100") 및/또는 연결 모듈(200)(200')(200")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manner, the base module 100 (100 ') 100' 'and / or the connection modules 200 (200') and 200 '' having various sectional shap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housing can be suitably applied will be.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모듈(100)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모듈(100) 및/또는 연결 모듈(200)이 도 10과 같이 임시 주거 공간으로 활용되는 경우 실내의 벽이 형성되는 부분, 즉 베이스 모듈(100) 및/또는 연결모듈(200)의 내면에 히노끼 목재나 무늬목과 같은 각종 목재로 제조된 판재 또는 기타 재질의 인테리어용 판재(300) 등을 부착하여 실내 벽면을 미려하게 마감 처리할 수도 있다.15, the base module 1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When the base module 100 and / or the connection module 200 are utilized as a temporary residential space as shown in FIG. 10 A board material made of various wood such as hinoki wood or veneer or other interior board material 300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base module 100 and / So that the interior wall surface can be finely finished.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not.

100... 베이스 모듈 110... 꼭지부
120... 연장부 121... 지지리브
130... 접속부 131... 접속 플레이트
132... 함몰부 133... 홀
140... 커넥터 141... 연결 플레이트
142... 돌출부 143... 홀
200... 연결 모듈 210... 프레임
220... 접속부 221... 접속 플레이트
222... 함몰부 223... 홀
100 ... base module 110 ... staple part
120 ... extension portion 121 ... support rib
130 ... connection part 131 ... connection plate
132 ... depression 133 ... hole
140 ... connector 141 ... connection plate
142 ... protrusion 143 ... hole
200 ... connection module 210 ... frame
220 ... connection part 221 ... connection plate
222 ... depression 223 ... hole

Claims (6)

꼭지부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를 갖추되 3개의 연장부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각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접속부가 형성된 베이스 모듈;
상기 베이스 모듈을 연설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 베이스 모듈의 상기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A base module having three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ree directions from the stem portion,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forming an angle of 90 ° with each other and having a connecting portion at a free end of each extending portion;
And a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base modules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base modules, respectively, as an element for addressing the base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의 연설시 각 베이스 모듈의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고 일정 길이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양쪽 단부에 각각 상기 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base modules when the base module is provided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connection portions being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ame, the connection portions being connectable with the connecto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의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양쪽 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양쪽 돌출부에 형성되어 볼트가 통과되도록 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접속 플레이트와, 상기 접속 플레이트에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가 내입되도록 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통과하도록 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nector includes: a flat plate-shaped connection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rotrus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late; and a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s to allow the bolt to pass therethrough;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plate which forms a closing surface at an end thereof, a recessed portion which is recessed in the connecting plate and into which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and a hol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Features a prefabricated housing modu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연질의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o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횡단면 형태는 모서리를 각이 지게 깍은 챔퍼(champer) 형태, 직각 형태,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portion is any one of a chamfered shape, a right-angled shape, and a rounded shape in which the corner is angl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횡단면 형태는 모서리를 각이 지게 깍은 챔퍼(champer) 형태, 직각 형태,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ame is one of a chamfered shape, a right-angled shape, and a rounded shape in which corners are angled.
KR1020140115134A 2014-09-01 2014-09-01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KR101781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134A KR101781804B1 (en) 2014-09-01 2014-09-01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134A KR101781804B1 (en) 2014-09-01 2014-09-01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78A true KR20160026378A (en) 2016-03-09
KR101781804B1 KR101781804B1 (en) 2017-09-27

Family

ID=5553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134A KR101781804B1 (en) 2014-09-01 2014-09-01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8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58B1 (en) 2018-05-17 2019-04-16 곽희광 Assembling apparatus for temporary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072B1 (en) 2018-04-10 2019-11-11 정두진 Window module for building wall
KR102436514B1 (en) 2019-10-08 2022-08-26 정두진 Window module for building w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281Y1 (en) 2004-02-05 2004-05-13 우영배 Simplified assemble house structure
KR200447676Y1 (en) 2009-02-06 2010-02-11 박호종 Assembled outdoor house
KR101039644B1 (en) 2008-09-24 2011-06-08 서자경 Prefabricated dome house
KR20120112300A (en) 2012-08-25 2012-10-11 김창래 Instant ho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281Y1 (en) 2004-02-05 2004-05-13 우영배 Simplified assemble house structure
KR101039644B1 (en) 2008-09-24 2011-06-08 서자경 Prefabricated dome house
KR200447676Y1 (en) 2009-02-06 2010-02-11 박호종 Assembled outdoor house
KR20120112300A (en) 2012-08-25 2012-10-11 김창래 Instant 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58B1 (en) 2018-05-17 2019-04-16 곽희광 Assembling apparatus for temporar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804B1 (en)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337B2 (en) Quick connect structural system
US8499954B2 (en) Packing mechanism
US10267035B2 (en) Modular system
KR101781804B1 (en)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US9340967B2 (en) Kit including self-supporting panels for assembling a modular structure
US20120043869A1 (en) Server rack
US8434798B2 (en) Attach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550015B2 (en) Modular table system
CN203889219U (en) Storage box assembling component
KR101970404B1 (en) Module assembly type prefabricated house
CN203878782U (en) Board connecting structure and board
CN201883605U (en) Partition wall board
JP5480654B2 (en) Solar cell mounting system
KR102174049B1 (en) Joint Device For Supporter Of Outdoor Fan Of Air Conditioner
JP3214429U (en) Container unit and container using the container unit
CN203968547U (en) A kind of rack and frame thereof
CN212715634U (en) Wallboard for mobile home
KR200494494Y1 (en) Assembly structurure of table leg
CN207944563U (en) A kind of connecting angle pieces of packaging board house
JP2009231534A (en) Unit for radiowave absorber fixation
KR20200134506A (en) Assembled Furniture Structure
CA3146397A1 (en) Coupling device for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EP2486823A1 (en) Shelf system based on flat shelf elements that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 without the use of any tool - to form a modular system of L-shaped shelves that can be added to each other to form a larger shelf
CN110965779A (en) Reserved hole die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455321B1 (en) Assembling housing that can be combined in a varie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4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27

Effective date: 201708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