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868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868A
KR20160025868A KR1020140113300A KR20140113300A KR20160025868A KR 20160025868 A KR20160025868 A KR 20160025868A KR 1020140113300 A KR1020140113300 A KR 1020140113300A KR 20140113300 A KR20140113300 A KR 20140113300A KR 20160025868 A KR20160025868 A KR 20160025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ditional expression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766B1 (ko
Inventor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766B1/ko
Priority to US14/645,879 priority patent/US9712731B2/en
Priority to CN201510174033.2A priority patent/CN105372787B/zh
Publication of KR2016002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4 렌즈;를 배치하여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 및 광각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또는 경량화되는 추세이므로, 고해상도 및 고성능의 카메라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유리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며, 고해상도의 구현을 위해 4매 이상의 렌즈로 렌즈 모듈을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광각을 구현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4 렌즈;를 배치하여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 및 광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화각을 넓혀 광각을 구현하고, 수차 개선을 통해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제1 렌즈는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4 렌즈는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앞쪽이라 함은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측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뒤쪽이라 함은 촬상 광학계에서 이미지 센서 또는 상측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 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 두께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4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4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경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비구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F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정/정 또는 부/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화각을 넓혀 광각을 구현하고, 수차 개선을 통해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1을 만족한다.
[조건식 1]
FOV > 80
조건식 1에서 FOV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2를 만족한다.
[조건식 2]
FOV/TTL > 25
조건식 2에서 FOV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3을 만족한다.
[조건식 3]
TTL/F ≤ 2.30
조건식 3에서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4를 만족한다.
[조건식 4]
-2.3 < F1/F < -2.0
조건식 4에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5를 만족한다.
[조건식 5]
F2/F ≥ 0.73
조건식 5에서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6을 만족한다.
[조건식 6]
-5.0 < F3/F < 20.0
조건식 6에서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7을 만족한다.
[조건식 7]
4.0 < F4/F < 8.0
조건식 7에서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8을 만족한다.
[조건식 8]
2.1 < TTL/ImgH < 2.7
조건식 8에서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설명한다.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2 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상기 제2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3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3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4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렌즈는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되며, 제2 면에도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다수의 렌즈가 수차 보정 기능을 수행하므로 수차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촬상 광학계는 화각(FOV)를 넓혀 광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광학계는 플라스틱 재질로 모든 렌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 모듈의 제조 단가를 낮추고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및 제4 렌즈(14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150) 및 이미지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FOV)은 90도이고,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160)의 제1 면(상면)까지의 거리(TTL)는 3.04 ㎜이며, 상기 이미지 센서(160)의 상기 제1 면(상면)의 대각 길이(ImgH)는 1.39 mm 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F1)는 -2.83 ㎜, 상기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F2)는 1.02 ㎜, 상기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F3)는 20.10 ㎜, 상기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F4)는 10.04 ㎜,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36 ㎜이다.
Figure pat00002
또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경(Radius),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Thi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은 도 3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2 렌즈(1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상기 제3 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4 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4 렌즈(140)의 제1 면 및 제2 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렌즈(110) 내지 상기 제4 렌즈(140)의 각 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렌즈(110) 내지 제4 렌즈(140)는 각각 비구면을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250) 및 이미지 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FOV)은 100도이고, 제1 렌즈(210)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260)의 제1 면(상면)까지의 거리(TTL)는 3.13 ㎜이며, 상기 이미지 센서(260)의 상기 제1 면(상면)의 대각 길이(ImgH)는 1.39 mn 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F1)는 -2.96 ㎜, 상기 제2 렌즈(220)의 초점거리(F2)는 1.01 ㎜, 상기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F3)는 -22.74 ㎜, 상기 제4 렌즈(240)의 초점거리(F4)는 6.46 ㎜,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36 ㎜이다.
Figure pat00003
또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경,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은 도 7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2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2 렌즈(2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상기 제3 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4 렌즈(2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4 렌즈(240)의 제1 면 및 제2 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렌즈(210) 내지 상기 제4 렌즈(240)의 각 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렌즈(210) 내지 제4 렌즈(240)는 각각 비구면을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6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34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350) 및 이미지 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FOV)은 80도이고, 제1 렌즈(310)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60)의 제1 면(상면)까지의 거리(TTL)는 3.11 ㎜이며, 상기 이미지 센서(360)의 상기 제1 면(상면)의 대각 길이(ImgH)는 1.17 mm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F1)는 -2.88 ㎜, 상기 제2 렌즈(320)의 초점거리(F2)는 0.99 ㎜, 상기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F3)는 -6.07 ㎜, 상기 제4 렌즈(340)의 초점거리(F4)는 5.63 ㎜,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36 ㎜이다.
Figure pat00004
또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경,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은 도 11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3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2 렌즈(3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상기 제3 렌즈(3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4 렌즈(3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4 렌즈(340)의 제1 면 및 제2 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렌즈(310) 내지 상기 제4 렌즈(340)의 각 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렌즈(310) 내지 제4 렌즈(340)는 각각 비구면을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0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5
한편,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앞서 설명한 조건식 1 내지 8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광각을 구현함과 동시에 렌즈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210, 310: 제1 렌즈
120, 220, 320: 제2 렌즈
130, 230, 330: 제3 렌즈
140, 240, 340: 제4 렌즈
150, 250, 350: 적외선 차단 필터
160, 260, 360: 이미지 센서

Claims (29)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4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1]
    FOV ≥ 80
    (FOV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2]
    FOV/TTL > 25
    (FOV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건식 3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3]
    TTL/F ≤ 2.30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9.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4]
    -2.3 < F1/F < -2.0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10.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5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5]
    F2/F ≥ 0.73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11.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6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6]
    -5.0 < F3/F < 20.0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12.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7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7]
    4.0 < F4/F < 8.0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건식 8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8]
    2.1 < TTL/ImgH < 2.7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인 촬상 광학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의 상측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17.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양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1]
    FOV ≥ 80
    (FOV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2]
    FOV/TTL > 25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건식 3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3]
    TTL/F ≤ 2.30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20. 제17항에 있어서,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4]
    -2.3 < F1/F < -2.0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21. 제17항에 있어서,
    조건식 5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5]
    F2/F ≥ 0.73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22. 제17항에 있어서,
    조건식 6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6]
    -5.0 < F3/F < 20.0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23. 제17항에 있어서,
    조건식 7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7]
    4.0 < F4/F < 8.0
    (F4는 상기 제4 렌즈의 초점거리, F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건식 8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8]
    2.1 < TTL/ImgH < 2.7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광학계.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광학계.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KR1020140113300A 2014-08-28 2014-08-28 촬상 광학계 KR10174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00A KR101740766B1 (ko) 2014-08-28 2014-08-28 촬상 광학계
US14/645,879 US9712731B2 (en) 2014-08-28 2015-03-12 Optical system
CN201510174033.2A CN105372787B (zh) 2014-08-28 2015-04-13 光学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00A KR101740766B1 (ko) 2014-08-28 2014-08-28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68A true KR20160025868A (ko) 2016-03-09
KR101740766B1 KR101740766B1 (ko) 2017-05-26

Family

ID=5537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300A KR101740766B1 (ko) 2014-08-28 2014-08-28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12731B2 (ko)
KR (1) KR101740766B1 (ko)
CN (1) CN1053727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251A1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2895B (zh) * 2016-04-06 2017-03-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US10852511B2 (en) * 2017-05-04 2020-12-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TWI641887B (zh) * 2017-12-29 2018-11-2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
TWI725283B (zh) * 2018-01-22 2021-04-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8572432B (zh) 2018-05-03 2023-06-06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CN112526716B (zh) 2018-05-29 2023-04-14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
CN109298511A (zh) * 2018-11-26 2019-02-01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TWI687733B (zh) 2018-12-20 2020-03-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片系統、辨識模組及電子裝置
KR102326952B1 (ko) * 2019-01-04 2021-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6299963A (zh) * 2021-02-05 2023-06-2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13759529B (zh) * 2021-09-22 2023-04-04 江西晶浩光学有限公司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CN114488489A (zh) * 2022-02-25 2022-05-1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2656A (ja) * 2006-05-31 2007-12-13 Fujinon Corp 広角撮像レンズ
TWI424189B (zh) * 2009-09-15 2014-01-2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光學鏡頭
US20120250165A1 (en) * 2009-12-14 2012-10-04 Satoshi Do Wide-angle lens and system enclosing wide-angle lens
JP5474668B2 (ja) 2010-06-10 2014-04-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8369031B2 (en) * 2010-12-21 2013-02-05 Newmax Technology Co., Ltd. Single focus wide-angle lens module
TWI414841B (zh) * 2011-02-18 2013-11-11 Largan Precision Co Ltd 廣視角光學系統
EP2738586B1 (en) * 2011-07-28 2020-02-12 Nanchang O-FILM Optical-Electronic Tech Co., LTD.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using same
JP5804474B2 (ja) * 2011-10-28 2015-11-04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JP5877523B2 (ja) 2012-04-19 2016-03-08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TWI467222B (zh) * 2012-09-19 2015-01-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系統鏡組
TWI443371B (zh) 2012-09-26 2014-07-0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系統鏡頭組
US8817387B2 (en) * 2012-10-10 2014-08-26 Optical Logic Inc. Imaging lens
US9953321B2 (en) * 2012-10-30 2018-04-24 Fair Isaac Corporation Card fraud detection utilizing real-time identification of merchant test sites
TWI467225B (zh) * 2013-10-29 2015-01-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拾取系統透鏡組、取像裝置及可攜裝置
JP6145888B2 (ja) * 2014-03-12 2017-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6341712B2 (ja) * 2014-03-25 2018-06-13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251A1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1586015B2 (en) 2017-09-27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2787A (zh) 2016-03-02
US20160065813A1 (en) 2016-03-03
CN105372787B (zh) 2018-01-12
US9712731B2 (en) 2017-07-18
KR101740766B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830B1 (ko) 촬상 광학계
KR101659167B1 (ko) 촬상 광학계
KR101709836B1 (ko) 촬상 광학계
KR101901701B1 (ko) 촬상 광학계
KR101630048B1 (ko) 촬상 광학계
KR101740766B1 (ko) 촬상 광학계
KR102126419B1 (ko) 촬상 광학계
KR101946261B1 (ko) 촬상 광학계
KR101659165B1 (ko) 촬상 광학계
KR101762006B1 (ko) 촬상 광학계 및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진 복수의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
KR102009431B1 (ko) 촬상 광학계
KR101719876B1 (ko) 촬상 광학계
KR101681387B1 (ko) 렌즈 모듈
KR20180076742A (ko) 촬상 광학계
KR101701003B1 (ko) 촬상 광학계
KR102016724B1 (ko) 촬상 광학계
KR101719877B1 (ko) 렌즈 모듈
KR102118491B1 (ko) 촬상 광학계
KR20150025607A (ko) 촬상 광학계
KR20150135860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6164A (ko) 촬상 광학계
KR101539883B1 (ko) 촬상 광학계
KR20160069270A (ko) 렌즈 모듈
KR102004800B1 (ko) 렌즈 모듈
KR101701008B1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