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443A -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5443A KR20160025443A KR1020150095482A KR20150095482A KR20160025443A KR 20160025443 A KR20160025443 A KR 20160025443A KR 1020150095482 A KR1020150095482 A KR 1020150095482A KR 20150095482 A KR20150095482 A KR 20150095482A KR 20160025443 A KR20160025443 A KR 201600254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s
- signal
- electrode
- stylus pen
- respon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좌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panel an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capable of measuring an input position of a stylus pen.
최근에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장되는 접촉 위치 측정 장치에 대한 기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함으로써 스마트폰에 특정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smart phones or tablet PCs has been actively promoted, and a technique for a built-in contact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s mainly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and a user can designate specific 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by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The user can input specific signals to the smartphone by specifying specific 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은 전기적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등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R 타입 터치 스크린(resistive touch screen) 또는 C 타입 터치 스크린(capacitive touch screen)을 전기적 동작 방식의 예로서 들 수 있다. The touch screen can be operated based on an electrical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the like, and an R type resistive touch screen or a C type capacitive touch screen is an example of an electric operation method.
종래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R 타입 터치 스크린이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R 타입 터치 스크린의 경우, ITO 층 사이의 공기층에 의한 반사에 의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Conventionally, an R type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ognizing a user's finger and a stylus pen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R type touch screen, there was a problem due to the reflection by the air layer between the ITO layers.
이에 따라, 최근에는 C 타입 터치 스크린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C 타입 터치 스크린은 물체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투명 전극의 정전 용량의 차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터치 스크린이다. 그러나 C 타입 터치 스크린은 손과 펜의 물리적인 구분이 어려워서 펜 사용시에 의도하지 않은 손의 접촉에 의한 동작 오류를 갖는 단점이 있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C type touch screens have been widely applied. Here, the C type touch screen is a touch screen that operates in a manner that senses the difference in capaci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caused by the contact of an object. However, the C type touch scree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hysically distinguish between the hand and the pen, which causes an operation error due to an unintended hand touch when using the pen.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에는 접촉 면적에 따라서 손과 펜을 구분하는 소프트웨어만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C 타입 터치 스크린 이외에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과 같은 별도의 위치측정장치를 구비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손과 펜을 구분하였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a conventional method using only software for distinguishing a hand and a pen according to the contact area and a method using a separate position measuring device such as an electromagnetic magnetic resonance (EMR) And distinguished between hand and pen.
하지만, 소프트웨어 방식은 의도하지 않은 손의 접촉에 의한 오류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으며, EMR 방식의 경우에는 별도의 위치 측정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실장공간, 무게 및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oftware method can not completely solve an error due to unintended hand contact, and in the case of the EMR method, a separate position measuring device must be provided, which has a problem of mounting space, weight and cost increase.
이에 따라, 별도의 위치측정장치의 추가 없이, 손과 펜을 구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청되었다. Accordingly,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a hand and a pen without adding a separate position measuring device.
한편, 스타일러스 펜은 배터리 교환 등의 불편함, 비용 및 무게 등에서 패시브(passive)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내부 전원 없이 스타일러스 펜을 감지하기 에 충분한 신호를 확보 가능한 스타일러스 감도 개선도 요청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stylus pen is required to operate in a passive manner in terms of inconvenience such as battery replacement, cost, weight, and the like, so that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stylus capable of securing a sufficient signal to detect the stylus pen without an internal power source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파악을 위한 신호 감도를 개선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좌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touch panel an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capable of improving signal sensitivity for positioning a stylus pe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및, 상기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drive circuit for applying driving signals to the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to apply the drive signals to the touch panel through capacitive coupling,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aused by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stylus pe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ncluding the resonance circuit.
이 경우,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접촉 물체의 접근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가 가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paci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varied by the approach of the contact object,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electrodes at the electrode intersection can be calculated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ncluding the resonance circuit on the basis of the ratio between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at the second electrode.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모두에 대해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apply the same drive signal to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서브 그룹 내의 모든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arranged continuously, and the controller may simultaneously apply the same driving signal to all the first electrodes in one subgroup .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 및 상기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may simultaneously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having the largest respons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having the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most largely received electrod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simultaneously apply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한편, 본 터치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panel including a driver for applying a drive signal to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 driver for a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ncluding the resonance circuit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이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can sequentially receive the respons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의 인가와 각각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sam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response signal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lternately performed.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 ADC unit for converting the amplified respons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 preset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respons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respons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 parallel on a plurality of channel basis.
이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may simultaneously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한편,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각각을 증폭하는 병렬 증폭부, 상기 증폭된 복수의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로부터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parallel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each of the response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 ADC for conve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mplified signals into a digital signal, and a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differential amplifying unit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nd output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 상기 차동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differential amplifying unit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signals of the two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d outputting the differential amplified response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An ADC uni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respons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접지되도록 상기 채널 전극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hannel electrode unit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s grounded in a period of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접지되도록 상기 채널 전극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hannel electrode unit such that at least one electrode other than the electrode to which the drive signal is applied is grounded in a period in which the drive signal is applie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을 제외한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s except for the first electrode to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A second driving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the driving signal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제1 서브 그룹, 제2 서브 그룹 및 제3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서브 그룹 내의 전극은 접지 또는 플로팅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divides the first sub-group, the second sub-group, and the third sub-group into the first sub-group and the second sub-group, The electrodes in the second subgroup may be grounded or floated, and a second driving signal, which is opposite in phase to the first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in the third subgroup.
한편, 상기 제어부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및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apply the same first driving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nd a second driving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from the first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simultaneously apply driving signals having different phases to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간의 위상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he difference can be determined.
한편, 본 터치 패널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제1 구동부, 접촉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접촉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panel may include a first driver for simultaneousl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when the stylus pen is sensed, A fir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a section in which the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when the stylus pen is sensed, And a second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within a period in which the signal is appli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전극 단위로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including: a touch panel that collectively applies a driving signal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touch panel that forms a capacitance with at least one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Wherein the touch panel receives a response signal caused by a stylus pen approaching the touch pane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detect a position of the stylus pe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채널 전극부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개수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발생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공진 회로를 갖는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터치 패널과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스타일러스 펜이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경우의 등가 회로,
도 13은 도 12의 등가 회로에서 커패시턴스 값들이 충분히 큰 경우의 간략화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터치 패널, 손 및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복수의 구동 신호가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 경우에 인가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손으로 전달된 응답 신호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손이 접촉된 경우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7과 같은 인가 동작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3과 같은 형태를 갖는 채널 전극부에서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전극에서의 구동 신호 전달의 지연에 따른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20과 같은 인가 동작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차동 증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제8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제9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제10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제1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제1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제4 내지 제1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8은 제1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a 및 도 39b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연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ouch panel of FIG. 1;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ouch panel of FIG. 1,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pplying a driving signal of a channel electrode por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signal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des to which the drive signal is inputted,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contact object,
Figs.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having a resonance circuit, Fig.
FIGS.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ouch panel and the stylus pen,
12 is an equivalent circuit when the stylus pen is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des,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equivalent circuit when the capacitance values are sufficiently large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12;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ouch panel, the hand and the stylus pen,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re applied in an ideal case and in a practical case,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fluence of a hand-transmitted response signal,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pplying a drive signal when a hand is in contact,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17,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pplying a drive signal in a channel electrode portion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3,
FIG.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fluence of delay of drive signal transmission in an electrode,
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apply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20,
2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S. 24 and 2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of FIG. 23,
26 shows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2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2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0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3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3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3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er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3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3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3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er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3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fourth to thirteenth embodiments,
3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Figs. 39A and 3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ig.
Fig. 40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tylus pen of Fig. 1,
41 is a circuit diagram of the stylus pen of Fig. 1,
42 is a circuit diagram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43 is a circuit diagram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4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100) 및 스타일러스 펜(2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rdinate measuring
터치 패널(100)은 접촉된 물체가 공진 회로를 갖는 스타일러스 펜(200)인지 손(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과 같은 접촉 물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판단된 물체 종류에 대응되는 위치 판단 방식으로 구동 신호의 구동 방식 및 응답 신호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여, 각 물체에 대응되는 적절한 위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접촉 물체와 스타일러스 펜이 동시에 접촉된 경우, 터치 패널(100)은 접촉 물체의 접촉은 무시하고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위치만을 판단할 수 있다. The
터치 패널(100)은 판단된 물체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은 접촉된 물체가 스타일러스 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물체를 인지하는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터치 패널(100)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전극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100)은 동일한 위상의 구동 신호를 복수의 전극에 인가하거나,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전극 별로 다른 위상의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The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100)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이거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player 등일 수 있다. The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접촉된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물체의 접근에 의하여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물체의 위치 판단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When it is judged that the object to be contacted is a contact object such as a hand, the
그리고 터치 패널(100)은 스타일러스 펜(200)과 손이 동시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손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손이 위치하는 영역 내의 전극은 접지 또는 플로팅하거나, 해당 구동 신호와 상이한 위상을 갖는 구동 신호를 손이 위치하는 영역 내의 전극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스타일러스 펜(200)은 터치 패널(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200)은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터치 패널(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타일러스 펜(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And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100)이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2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measuring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 패널(100)이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만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손가락의 위치에 따른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 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기인한 신호 크기 변화 등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손가락 위치 판단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1, it is explained that the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 패널(100)에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200)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1대의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 각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1, one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ouch pane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은 채널 전극부(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전극부(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극부(11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과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전극부(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의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제어부(120)는 채널 전극부(100) 내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따라 접촉된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지, 펜과 같은 스타일러스 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의 인가가 완료된 직후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에서 특정한 주파수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접촉된 물체가 펜과 같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반대로,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의 인가가 완료된 직후에 특정한 주파수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손과 같은 접촉 물체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물체의 판단은 최초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f the respons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is not received immediately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drive signal is completed, the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 중에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손과 같은 접촉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손의 위치를 감지 중에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또는 호버)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손의 위치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결정된 물체 종류에 따른 물체의 위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위치 판단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The
먼저, 제어부(120)는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들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터치 패널(100)로 접근한 물체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들에 대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First, the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복수의 전극 모두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모두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중 인접한 전극 몇 개에만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가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하며, 2개 이상의 전극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는 형태라면 상술한 예시 이외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또한, 구현시에는 수신된 응답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구동 신호의 인가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응답 신호의 크기가 커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 패널(100)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되면 2개의 전극만이 구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고, 응답 신호의 크기가 작아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 패널(100) 상에 떠있는 호버 상태로 판단되면 6개의 전극이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Further, in implementation, the method of applying the driving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response signal is large and the
한편,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200) 이외의 손과 같은 접촉 물체를 감지한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위치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전극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손과 같은 접촉 물체가 위치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전극들에는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 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구동 신호로 위상이 반대(즉,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When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즉,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구간)에 스타일러스 펜(200)이 위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전극들은 접지되도록 하고, 접지되지 않은 전극으로부터만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39a 및 도 3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n,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어,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되고, 제1 방향에 수직된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과 제2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ormed in a matrix shap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이때,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수신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을 증폭하거나,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를 차동 증폭(또는 차분 증폭)하거나, 특정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부(120)의 신호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거나, 수신된 응답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한편, 물체가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a touch object such as a hand,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공진 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이진 값을 갖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또한, 제어부(120)는 공진 회로를 구비하지 않은 손과 같은 접촉 물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전극에 서로 다른 디지털 코드로 인코딩된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에서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인가된 디지털 코드에 적합한 디코딩을 실시하여, 복수의 제1 전극과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할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계산된 각 교차점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가장 커패시턴스 변화가 큰 교차점을 접촉 물체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2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전극에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보다 큰 에너지를 스타일러스 펜(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0)은 큰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바, 수신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는 터치 패널(10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터치 패널(1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00)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0)이 스마트폰, PMP 등의 장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저장부, 통신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lthough only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도 3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ouch panel of Fig. 1. Fig.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은 채널 전극부(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전극부(110)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그룹(111) 및 제2 전극 그룹(1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전극 그룹(111)은 제1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그룹(111) 내의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소정의 송신 신호(Tx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용 전극일 수 있다. The
제2 전극 그룹(112)은 제2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 그룹(111) 내의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제1 전극에서 입력된 Tx 신호에 의하여 야기되는 Rx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전극일 수 있다. The
한편,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할 때에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구동 구간에 따라서, Tx 구간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 구간에서는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전극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transmitting-receiving electrode that transmits a signal in the Tx section and a signal in the receiving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ection.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각각에 6개의 전극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7개 이상 또는 5개 이하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의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각 전극의 형상은 보다 복잡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six electrodes are included in each of the electrode groups, but it may be implemented as seven or more electrodes or five or fewer electrod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hape of the electrode in the electrode group is shown as a simple rectangular shape, but in the realization, the shape of each electrode can be realized in a more complicated form.
제어부(120)는 구동부(130), 수신부(140), MCU(150), 연결부(160)로 구성된다. The
구동부(130)는 기결정된 시점에 채널 전극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구동 신호는 기결정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일 수 있다. The driving
수신부(14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채널 전극부(110) 내의 각 전극에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40)는 하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40)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시에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수신부(140)는 복수의 응답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증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7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receiving
그리고 수신부(140)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40)는 각 응답 신호를 증폭기(amp)를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수신부(140)는 두 응답 신호 단위로 차동 증폭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수신부(140)는 수신된 응답 신호 중 기설정된 주파수 영역 내의 정보만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receiving
MCU(150)는 구동 신호의 인가 및 각각의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구동부(130), 수신부(140) 및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U(150)는 제1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예를 들어, 111-1)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MCU(150)는 제3 시간 구간에서 다시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구동 신호 이후의 제4 시간 구간에서 다른 전극(예를 들어, 111-2)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MCU(150)는 복수의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만큼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채널 전극부(110)는 1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바, MCU(150)는 12번의 인가/수신 동작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 도 8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The
그리고 복수의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MCU(150)는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a response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is received, the
예를 들어, 제1 전극(111-3)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1 전극(111-1, 111-2, 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의 크기보다 크고, 제2 전극(112-2)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2 전극(112-1, 112-3, 112-4, 112-5, 112-6)의 응답 신호의 크기보다 크다면, MCU(150)는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2)이 교차하는 위치를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111-3 is larger than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111-1, 111-2, 111-4, 111-5, and 111-6 And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of the second electrode 112-2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of the second electrodes 112-1, 112-3, 112-4, 112-5, and 112-6,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11-3 and the second electrode 112-2 intersect can be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한편, 구현시에는 가장 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전극과 해당 전극과 인접한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활용한 보간(interpo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간의 간격이 4mm인 경우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교차하는 위치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한다면 식별 해상도는 4mm인데 반해, 보간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0.1 mm의 식별 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the position of the
연결부(160)는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구동부(130)와 연결하거나,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수신부(140)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60)는 MCU(150)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인가할 전극과 구동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6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은 접지 또는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또한, 연결부(16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즉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3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Als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grounded within a period in which the drive signal is not applied, that is, within a time period in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이상에서는 연결부(160)를 MCU(150)가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는 구동부(130)가 연결부(160)를 제어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는 수신부(140)가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이상에서는 제1 전극 그룹 내의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복수의 제2 전극에도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일괄적으로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전극 그룹 및 제2 전극 그룹 내의 복수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일괄적으로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양한 구동 신호의 인가 예를 설명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ame driving signals are collective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e same driving signals are collective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And the same driving signal may be collective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groups. In addition, a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in a manner other than this method. Hereinafter, examples of application of various driving sign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한편, 도 3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매트릭스 형태 이외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3,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but they may be arranged in a form other than a matrix form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부 및 하나의 수신부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구동부 및 수신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3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3, only one driving unit and one receiving unit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and receiving units. Such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채널 전극부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pplying a driving signal of a channel electrode portion.
도 4를 참조하면,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111, 1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전극부(110')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그룹(111) 및 제2 전극 그룹(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 그룹(111)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111-a, 111-b)으로 구분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전극 그룹(111)은 제1 서브 그룹(111-a) 및 제2 서브 그룹(1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제어부(120)는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할 서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결정된 서브 그룹 내의 모든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가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2)이 교차하는 위치이면, 제어부(120)는 해당 위치에 제1 서브 그룹(111-a)을 구동 신호가 입력될 서브 그룹으로 결정하고, 제1 서브 그룹(111-a) 내의 전극들(111-1, 111-2, 111-3)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position of the
이때, 제어부(120)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111-4, 111-5, 111-6,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에 대해서는 접지되도록 하거나 플로팅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이상에서는 서브 그룹이 미리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서브 그룹은 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이전 감지 과정에서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예를 들어, 111-3)과 해당 전극(111-3)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예를 들어, 111-2, 111-4)을 구동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서브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그룹의 결정은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소요되는 하나의 시간 사이클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ubgroups are described in advance, but the subgroups can be dynamically varied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For example, the
또한, 이상에서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전극 그룹 내에서만 서브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1 전극 그룹(111)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111-3)과 제2 전극 그룹(112)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112-2)을 서브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 그룹(111)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그룹(112)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ubgroup is formed only in the electrode group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at least one electrode 111-3 and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바, 스타일러스 펜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am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energy transmitted to the stylus pen can be increas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개수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발생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signal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des to which the drive signal is input.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 개수가 증가할수록 스타일러스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가 커짐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electrodes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input increases, the intensity of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tylus pen increases.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전달되는 에너지는 구동 전압과 '전극과 스타일러스 펜의 펜 팁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되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의 개수가 증가하면 펜 팁과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되어 이에 비례하여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energy transferred from the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가 커지면, 터치 패널(100)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 역시 커지게 되어,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접촉 물체가 스타일러스 펜인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반대로, 접촉된 물체가 손과 같은 물체이면, 제어부(120)는 하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ly, when the touch object is a stylus pen, the
도 6은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contact object.
도 6을 참조하면, 접촉된 물체가 손(10)과 같은 접촉 물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하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극 중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 대해서만 기설정된 순서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to be contacted is a contact object such as the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구간에서 제1 전극(111-1)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1-4, 111-5,112-6) 각각에서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20)는 제2 시간 구간에서 제2 전극(111-2)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며, 해당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1-4, 111-5,112-6) 각각에서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When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다음 제1 전극에 대해서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6개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바, 제어부(120)는 6번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수행하고, 각 구동 신호의 인가 과정에서 6번의 응답 신호의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한편, 이상에서는 응답 신호의 수신을 하나의 채널 단위, 즉 하나의 전극 단위로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채널 단위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1-3)의 신호 인가 후에, 3개의 제2 전극(112-3, 112-4, 112-5)의 응답 신호의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ception of the response signal is described as one channel unit, that is, one electrode un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channel uni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fter th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111-3 is applied, the measurement of the response signals of the three second electrodes 112-3, 112-4, and 112-5 is performed simultaneously You may.
한편, 구현시에는 이전 과정에서 측정된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 주변의 제1 전극에 대해서만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여, 즉, 모든 제1 전극 중 일부 전극에 대한 측정만을 수행하여, 보다 빠른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performed only for the first electrode around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measured in the previous process, that is, only the measurement for some electrodes among all the first electrodes is performed, Can be performed.
그리고 제어부(120)는 앞서 과정에서의 복수의 제1 전극 각각에 대한 제2 전극에서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응답 신호의 세기 변화를 파악하고, 파악된 세기 변화를 기초로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3개의 제1 전극에 대한 3개의 제2 전극에서의 수신된 응답 신호의 세기 변화가 표 1과 같은 경우, 표의 값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교차점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3)에서의 신호 세기의 변화가 가장 큰바, 사용자의 터치는 해당 지점에서 이루어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hange in intensity of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t three second electrodes with respect to three first electrodes is as shown in Table 1, the value of the table corresponds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touch of the user is made at the corresponding point because the change of the signal intensity at the first electrode 111-3 and the second electrode 112-3 is the greatest.
도 7 내지 도 9는 공진 회로를 갖는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having a resonance circuit. Fig.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공진 물체(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할 서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과정에서 공진 물체(200)가 제1 전극(111-3) 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제어부(120)는 3개의 제1 전극(111-2, 111-3, 111-4)을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서브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결정된 서브 그룹 내의 전극(예를 들어, 111-2, 111-3, 111-4)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아닌 3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0)이 터치 패널(100)에 접촉하지 않은 다소 떨어진 상태(즉, 호버 상태)에서도 스타일러스 펜(200)의 응답 신호는 각 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사용자로부터 에어 커맨드(air command)를 입력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same driving signal is input to three first electrodes, not show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개수만큼 단위로 전극에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신호의 인가와 응답 신호의 수신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The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도면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라인이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이며, 해싱 처리된 라인이 응답 신호가 측정되는 라인이다. 이를 기초로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기결정된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111-2, 111-3, 11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line indicated by black in the drawing is an electrode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applied, and a line subjected to hashing is a line on which a response signal is measured. Referring to FIG. 8A, the
그리고 구동 신호의 인가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제어부(120)는 도 8b와 같이, 제1 전극(111-2)에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단위 이후에도 8c와 같이, 제어부(120)는 다시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111-2, 111-3, 11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8d와 같이, 다음 전극인 제1 전극(111-3)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driving signal, the
즉,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도 8a, 8c, 8e, 8g, 8i, 8k)와 같은 시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8b, 8d, 8f, 8h, 8j, 8l과 같은 각 구동 신호의 인가하는 구간 사이(즉,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에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각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12개의 전극 중에 6개의 전극에 대해서만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구현 형태일 뿐, 구현시에는 12개 전극 모두에 대해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5개 이하의 전극에 대해서만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전극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개수 및 위치는 이전 과정에서 측정된 물체의 좌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8,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only for six electrodes among the twelve electrodes.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n the implemen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 response signal for all twelve electrodes have. Also, in the implementation, it may be realized that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only for five or less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is not fixed, but the number and position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measured in the previous process.
그리고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 그룹 단위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서브 그룹의 결정은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description of FIG. 8, a driving signal is applied in units of one sub group. However, the determination of the sub group may be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response signal.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이 도 9b와 같이 터치 패널(100)에 터치된 상태인 경우에는, 많은 채널이 구동 신호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이전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전극(111-3)만이 구동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the stylus pen is touched to the
한편, 도 9a, 9c, 9d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과 터치되지 않는 떠있는 상태(hover)인 경우에, 제어부(120)는 이전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전극과 그 주변의 제1 전극이 함께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hover)란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과 터치되지 않고 터치 패널과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거리 간격에 따라 일반적인 근접과 가까운 근접(low hover), 먼 근접(high hover)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분은 감지된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9A, 9C, and 9D, when the stylus pen is in a floating state in which the stylus pen is not touched with the touch panel, the
예를 들어, 이전 감지된 응답 신호의 크기가 미약한 경우, 즉,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과 상당히 이격된 경우(도 9d와 같이 high hover인 경우), 제어부(120)는 도 9c와 같은 low hover인 경우보다 더 많은 공진 신호가 해당 스타일러스 펜에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로 전극(제1 전극)뿐만 아니라, 복수의 세로 전극(제2 전극)에서도 구동 신호가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previously sensed response signal is small, that is, when the stylus pen is significantly spaced from the touch panel (in the case of a high hover as shown in FIG. 9D), the
즉, 제어부(120)는 가장 큰 응답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가 전달될 전극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큰 응답 신호가 기설정된 제1 크기 이상이면(즉,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제1 전극(111-3)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제1 크기 미만이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 이상이면(즉, low hover이면),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111-3)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111-2, 111-4)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큰 응답 신호가 제2 크기 미만이면(즉, high hover이면), 제어부(120)는 복수의 제1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1 전극(111-3)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1 전극(111-2, 111-4), 복수의 제2 전극 중 가장 큰 응답 신호의 제2 전극(112-5)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제2 전극(112-4, 112-7)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이상에서는 응답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전극의 개수를 가변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스타일러스 펜과 터치 패널 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이 구비된다면, 해당 방식을 이용하여 전극의 개수를 가변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number of the electrodes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is varied based on the size of the response signal. However, if another method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ylus pen and the touch panel is provided, So that the number of electrodes can be varied.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손과 같은 접촉 물체만이 접촉되거나, 스타일러스 펜만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경우에 사용자 손의 접촉 위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팁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스타일러스 펜의 팁과 사용자의 손은 동시에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손이 추가로 배치되는 경우에 따른 구동 신호의 변화 및 이를 고려한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10 내지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user's hand or the tip position of the stylus pen is determined when only a contact object such as a user's hand touches or only the stylus pen contacts the touch panel. However, even when the stylus pen is used, the tip of the stylus pen and the user's hand can be placed on the touch panel at the same time. The change of th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hands are further disposed and the driving method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driving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9 below.
도 10 및 도 11은 터치 패널과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ouch panel and the stylus pe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은 복수의 전극(112-2, 112-3) 각각과 개별적인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0)에는 2개의 구동 신호가 전달되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 쪽으로 더 많은 에너지가 전달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두 개의 전극하고만 커패시턴스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0)과 전극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 중 응답신호크기에 영향을 많이 주는 성분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0 and 11, when the
한편, 스타일러스 펜(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팁(210), 공진 회로부(220) 및 접지부(2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접지부(23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케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200)을 잡은 경우, 사용자의 몸을 통하여 접지된다. 이러한 연결 형태를 등가 회로로 그리면 도 12와 같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11, the
도 12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사이에 배치된 경우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when the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과 스타일러스 펜(200)은 복수의 커패시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의 전극들은 각각의 전극과 스타일러스 펜의 전도성 팁 간에 형성되는 제1 커패시터들(313-1, 313-2, 313-3)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여기서 제1 커패시터들(313-1, 313-2, 313-3)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전도성 팁(210)과 터치 패널(100)의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C_cp-1, C_cp-2, C_cp-3)로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은 전극(112-2)과 전극(112-3) 사이에 배치되는바, 스타일러스 펜 인근의 전극과 펜 팁 간에는 멀리 떨어져 있는 전극에 대비하여 큰 커패시턴스가 형성되게 된다. The first capacitors 313-1, 313-2 and 313-3 are connected to the
공진 회로부(220)는 일 단이 제1 커패시터들(313-1, 313-2, 313-3)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커패시터(314)와 제3 커패시터(316)와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200) 내의 공진 회로를 이루는 커패시터와 인덕터는, 기설정된 응답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 값을 갖는다. One end of the
제2 커패시터(314)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케이스(즉, 접지부)와 터치 패널(100)의 접지 간의 커패시턴스(C_pg)이다. The
제3 커패시터(316)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케이스(즉, 접지부)와 사용자 손 간의 커패시턴스(C_pb)이다. 그리고 제3 커패시터(316)는 제4 커패시터(315)를 통하여 터치 패널(100)의 접지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4 커패시터(315)는 사용자의 손과 터치 패널(100)의 접지 간의 커패시턴스(C_bg)이다. The
여기서, 제2 커패시터(314), 제3 커패시터(316), 제4 커패시터(315)의 커패시턴스 값들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펜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가 매우 작아지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등가 회로를 간략화할 수 있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의 전도성 팁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들(313)을 통해서만 구동 회로부에 전달된다. Here, when the capacitance values of the
그런데 사용자가 도 14와 같이 손으로 펜을 잡고 필기를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전극과 전도성 팁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t1, ct2) 이외에도 사용자 손과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b1, cb2, cb3)도 존재하게 된다. 14, the capacitances cb1, cb2 and cb3 formed between the user's hand and the electrodes in addition to the capacitances ct1 and ct2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conductive tip ).
이러한 연결 상태에서 앞선 구동 방식과 같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112-4)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의 전도성 팁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t1, ct2)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용자 손과의 커패시턴스(cb1, cb2, cb3)에도 전달된다. 사용자의 손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지부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동 신호가 공진 회로부의 그라운드에 전달되게 된다. When the same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2-2, 112-3, and 112-4 in this connection state as in the previous drive method, the drive signal is applied between the conductive tips of the stylus pen (Cb1, cb2, cb3) with the user's hand at the same time as the capacitances (ct1, ct2)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of the resonance circuit portion in that the user's h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한편, 공진 회로부는 전도성 팁(2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펜의 케이스 사이의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공진을 발생하나, 손을 통해서 동일한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로 인가되면, 전도성 팁과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 사이의 전압 차이가 감소하게 되어, 공진 신호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이하에서 설명한다. Meanwhile, the resonance circuit part generates resonance us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도 16은 손으로 전달된 응답 신호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fluence of a hand-transmitted response signal.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과 스타일러스 펜(200)은 복수의 커패시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00)의 전극은 제1 커패시터(313-1, 313-2)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220)의 일 단과 연결되며, 또한 제5 커패시터(317) 및 제3 커패시터(316)를 통하여 공진 회로(220)의 타 단과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6, the
여기서, 제5 커패시터(317)는 전극과 사용자 손 사이의 커패시턴스(C_cb)이다. Here, the
따라서, 채널 전극에서 발생되는 구동 신호는 전극과 사용자 손 사이의 커패시턴스(C_cb)와 사용자 손과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 사이의 커패시턴스(C_pb)를 통하여 펜의 케이스(A)로 전달된다. Therefore,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at the channel electrode is transmitted to the case A of the pen through the capacitance C_cb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user's hand and the capacitance C_pb between the ground of the user's hand and the stylus pen.
이와 같이 구동 신호가 접지부에 인가됨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지는 이상적으로 안정적인 그라운드 상태를 갖지 못하고, 구동 신호에 따라 전압 레벨이 변화게 된다. 한편, 구동 회로부는 A 지점과 B 지점의 전압 차이로 필요한 에너지를 축적하나, A 지점(즉, 접지부)의 전위가 구동 신호에 따라 움직이게 되면 A 지점과 B 지점의 전압 차이가 줄어들게 되어, 공진 신호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As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ground, the ground of the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과 같은 접촉 물체와 스타일러스 펜이 동시에 터치 패널(10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손이 위치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지 않거나, 180도 위상차를 갖는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야기되는 공진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ontact object such as a user's hand touches the
도 17은 손이 접촉된 경우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pplying a drive signal when a hand is touched. Fig.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10)은 스타일러스 펜(200)을 잡고, 터치 패널(100) 상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전도성 팁은 전극(806, 807) 상에 위치하고, 사용자 손(10)은 전극(806~811) 위에 배치되는 것을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17, the user's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위치된 전극(806, 807)에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803, 804, 809, 810)은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때, 제어부(120)는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801, 802, 805, 808, 811, 812)은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구동 신호와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들 사이에 접지되는 전극(805, 808)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과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해당 전극(801, 802, 805, 808, 811, 812)들을 접지시키는 대신에 플로팅 상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로팅 상태란 해당 특정 전극을 접지하거나 다른 회로 구성에 연결하지 않고, 오픈하는 것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이러한 구동 방식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The effects of this driving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18은 도 17과 같은 인가 동작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a는 손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지부에 전달되는 경우, 도 18b는 이상적인 그라운드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에 제공되는 경우, 도 18c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손이 배치되는 전극에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가 구동되어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에 전달되는 경우에서의 공진 회로 양단의 전압(구체적으로, 도 16의 B 지점 및 A 지점 간의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FIG. 18A shows a case where a driv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전극을 동일한 위상의 구동 신호로 구동하는 경우(즉, 도 18a의 경우),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부에도 전극과 손과의 커패시턴스, C_cb 및 손과 스타일러스 펜 간의 커패시턴스, C_pb 를 통해서 펜 팁과 동일한 위상의 구동 신호가 전달되며, 따라서, 공진 회로를 구동하는 전압차(VB-VA)는 손으로 유입되는 구동 신호가 없을 때에 비해 현저히 작아지게 된다. 즉, 손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지부에 전달되면, 공진회로(200) 양단의 전압 차이는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공진에 활용될 수 있는 에너지는 줄어들게 된다. 18, when all the electrodes are driven by a driving signal having the same phase (i.e., in the case of FIG. 18A) as shown in FIG. 16,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and the hand, C_cb, The driving signal having the same phase as that of the pen tip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pacitance C_pb between the stylus pen and the stylus pen. Therefore, the voltage difference VB-VA for driving the resonance circui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when there is no driving signal input to the hand . That is, when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ing portion of the
도 18b를 참조하면, 이상적인 그라운드를 갖기 때문에 펜 팁에 인가되는 전압 Vb가 전부 공진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 일 단에만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바, 구동 신호(VB)가 그대로 공진 회로의 응답 신호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B, the voltage Vb applied to the pen tip can be used for resonance because it has an ideal ground. Specifically, since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only one end of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stylus pen, the driving signal VB can be used as it is for generat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resonance circuit.
도 18c를 참조하면, 180도 위상 차이를 갖는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에 제공되기 때문에 공진회로 양단 사이의 전압 차이는 접지가 이상적인 경우보다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공진에 활용될 수 있는 에너지는 증가하고, 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은 더 큰 크기의 공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18c와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영역(또는 위치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영역)에는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하는 영역과 다른 위상의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8C, since the driving signal having the 180-degree phase difference is provided to the ground of the stylus p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resonance circuit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ground is ideal. Thus, the energy that can be utilized for resonance increases, and thus the stylus pen can generate a resonance signal of a larger siz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전극들에 대해서만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전극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second electrodes ar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a driving signal may be similarly applied to electrodes arranged in a matrix form as shown in FIG. 19 .
도 19는 도 3과 같은 형태를 갖는 채널 전극부에서의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pplying a driving signal in the channel electrode portion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도 19를 참조하면,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되는 전극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제1 서브 그룹(111-3, 111-4, 112-3, 112-4), 제2 서브 그룹(111-2, 111-5, 112-2, 112-5), 제3 서브 그룹(111-1, 111-6, 112-1, 112-6)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서브 그룹(111-3, 111-4, 112-3, 112-4)에는 일반적인 제1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제2 서브 그룹(111-2, 111-5, 112-2, 112-5)은 접지 또는 플로팅시킬 수 있으며, 제3 서브 그룹(111-1, 111-6, 112-1, 112-6)에는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first subgroup 111-3, 111-4, 112-3, and 112-4 and the second subgroup 111-2, 111-5, 112-2, and 112-5, and the third subgroups 111-1, 111-6, 112-1, and 112-6. The
이와 같이 구동 신호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는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제1 전극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와 제2 전극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는 위상 차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 및 2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The driv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de may have a phas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FIG.
도 20은 전극에서의 구동 신호 전달의 지연에 따른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fluence of the delay of the drive signal transmission at the electrode.
도 20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제1 전극(111-5, 111-6) 및 제2 전극(112-5, 112-6) 근처에 위치한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전극(111-5, 111-6) 및 제2 전극(112-5, 112-6)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it is assumed that the
이에 따라, 구동부(130)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는 A 지점 및 B 지점을 걸쳐 스타일러스 펜에 전달되고, 또한, C 지점과 D 지점을 걸쳐서도 전달된다. Accordingly,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driving
한편, 터치 스크린의 전극으로서 투명 전극이 이용될 수 있는데, 투명 전극은 채널의 시작부분에서 끝 부분까지의 저항은 수십 k옴에 이르게 된다. 또한, 채널 전극은 주변의 전도체 들과 형성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채널 전극의 높은 저항과 주변 전도체 간의 기생 커패시턴스로 인하여, 채널 전극을 지나는 신호는 지연을 갖게 된다. 즉, 채널 전극의 시작점에서 펜의 위치하는 지점이 멀수록 구동 신호의 지연은 커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transparent electrode can be used as an electrode of the touch screen, and the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channel reaches tens of k ohms. Also, since the channel electrode has a parasitic capacitance formed with the surrounding conductors,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channel electrode has a delay due to the high resistance of the channel electrode and th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peripheral conductors. That is, as the position of the pen is longer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hannel electrode, the delay of the driving signal becomes larger.
이에 따라, 도 20과 같이 제1 전극(111-6)과 제2 전극(112-6)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된다면, 제2 전극(112-6)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먼저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되고, 일정 지연 시간 이후에 제1 전극(111-6)을 통하여 구동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0)에 전달되는 두 구동 신호는 동일한 위상을 갖지 않고, 일정한 위상차이를 갖게 된다. Accordingly, if the sam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12-6 as shown in FIG. 20,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112-6 to the
구체적으로, 도 21의 (a)와 같이 동일한 위상을 가진 신호를 A 및 C 지점에 인가하면, A 지점을 거쳐서 B 지점에 도달된 구동 신호와 C 지점을 거쳐서 D 지점에 도달된 구동 신호는 지나온 경로의 길이가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저항 및 기생 커패시턴스를 겪게 되어, 서로 동일한 위상이 아니라 상이한 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전달되는 두 개의 구동 신호가 위상차이를 갖게 되면 동일한 위상으로 구동 신호를 전달할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신호가 펜 팁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쳐 온 신호 간의 위상차이에 의한 공진 신호 감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1의 (b)와 같이 A 지점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와 C 지점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위상차이를 인위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한 점에 가장 근접한 B 지점과 D 지점에서는 미리 만들어준 인위적인 위상차이를 서로 다른 길이의 전극을 지나오면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위상차이와 서로 상쇄하도록 조절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의 펜 팁으로 전달되는 신호간의 위상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 signal having the same phase as in FIG. 21 (a) is applied to points A and C, a drive signal reached at point B through point A and a drive signal reached at point D through point C Since the lengths of the paths are different, they experience different resistances and parasitic capacitances, so that they have different phases instead of the same phase. When the two driving signals transmitted to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와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가 서로 상이한 위상차이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지점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대해서 일정 시간만큼 지연하여 인가함으로써 B와 D 포인트에서 펜 팁으로 전달되는 구동 신호의 위상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구현시에는 펜 팁이 위치하게 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교차점의 위치 별로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룩업 테이블로 저장해 놓고, 이전 과정에서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120)는 특정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룩업 테이블 값의 시간 값만큼 지연하여 인가할 수 있다. In the implementation, information on the delay time is stored in a look-up table for each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ere the pen tip is to be positioned, and the
도 2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는 실시 예이다. 2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22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증폭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receiving
증폭부(141)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증폭부(141)는 두 개의 입력단 중 하나의 입력단이 접지되고, 다른 입력 단에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 증폭기(amp)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mplifying
이와 같이 수신부(140)는 증폭부(141)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하여 이용하는바, 응답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부(140)가 하나의 증폭부(141)만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극 개수만큼 반복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구현시에는 도 27과 같이 복수의 증폭부를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ceiving
도 2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는 실시 예이다.2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mplifies the response signal by differential amplifying the response signal to improve the sensitivity.
도 23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차동 증폭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the receiving unit 140 'may include a
차동 증폭부(142)(또는 차분 증폭부)는 복수의 전극에서 전달되는 복수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차동 증폭부(142)는 두 개의 입력단 중 하나의 입력단이 하나의 응답 신호로 입력되고, 다른 입력단에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 증폭기(amp)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증폭기는 앞선 도 22와 동일한 증폭기일 수 있으며, 차동 증폭에 특화된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일 수도 있다. 차동 증폭부(142)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The differential amplifier 142 (or the differential amplifier) differentially amplifies and outputs a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des. Specifically, the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차동 증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4 and 2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of FIG.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는 원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노이즈도 함께 수신된다. 이러한 노이즈는 신호의 품질을 저하해, 시스템의 감도를 떨어뜨리게 되는데,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노이즈와 같은 경우, 노이즈는 모든 채널에 비슷한 크기로 유입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24, a signal received from an electrode is generally received together with a desired signal as well as noise. This noise degrades the quality of the signal and degrades the sensitivity of the system. In the case of display noise, such as the display noise, noise is introduced into all channels at similar magnitudes.
따라서, 도 25과 같이 두 응답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게 되면, 노이즈 성분은 서로 상쇄하게 되고, 신호의 차이만이 증폭되어 좋은 품질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5,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sponse signals is amplified, the noise components are canceled each other, and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s is amplified to obtain a signal of good quality.
따라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두 전극에서 수신되는 두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두 응답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remove the noise included in the two response signals by amplifying the two response signals received from the two electrodes.
한편, 차동 증폭부(142)에 입력되는 두 응답 신호 중 하나는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으나, 다른 하나는 어느 하나로 고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식) 차동 증폭부(142)는 연속적으로 인접한 두 전극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거나(예를 들어, 111-1과 111-2의 차동 증폭 이후에, 111-2와 111-3을 차동 증폭 처리), (제2 방식) 중첩되지 않게 두 전극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거나(예를 들어, 111-1과 111-2의 차동 증폭 이후에 111-3, 111-4의 차동 증폭), (제3 방식) 하나의 전극의 응답 신호와 나머지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111-1(디폴트)과 111-2를 차동 증폭 이후에 111-1과 111-3의 차동 증폭). 제3 방식의 경우, 디폴트로 이용되는 전극은 위치 측정을 사용되는 전극(110)이 아니라 노이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전극일 수 있다. Meanwhile, one of the two response signals input to the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차동 증폭부(142)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바,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remove the noise using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부(140')가 하나의 차동 증폭부(142)만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극 개수만큼 반복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구현시에는 도 28과 같이 복수의 차동 증폭부를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ceiving unit 140 'includes only one
도 2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는 실시 예이다. 2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26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증폭부(141), ADC부(143), 신호 처리부(또는 DSP)(14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the receiver 140 'may include an
증폭부(141)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 각각을 순차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The amplifying
ADC부(143)는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ADC unit 143 converts the amplified respons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신호 처리부(144)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로부터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원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노이즈도 함께 수신된다. 이러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신호 처리부(144)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de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desired signal as well as noise.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such noise, in this embodiment, only the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domain of the response signal can be extracted using the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바, 응답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부(140")가 하나의 증폭부(141)만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극 개수만큼 반복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구현시에는 도 30과 같이 복수의 증폭부를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전극 그룹(112) 내의 제2 전극의 응답 신호만을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의 응답 신호도 증폭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the response signal of the second electrode in the
도 27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27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1-1, 141-2, 141-3)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receiving unit 140 '' may include a plurality of amplifiers 141-1, 141-2, and 141-3.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증폭부(141-1, 141-2, 141-3)는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동시에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동시에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1-1, 141-2, and 141-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the amplifying units 141-1, 141-2, and 141-3 may be implemented as amplifiers. In the first receiving period, the amplifying units 141-1, 141-2, (111-1, 111-2, 111-3) can be simultaneously amplified and output.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1-1, 141-2, and 141-3 can simultaneously amplify and output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이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보다 처리 속도가 3배 빨라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41-1, 141-2, 141-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만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1-1, 141-2, and 141-3 amplifies only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1, 141-2, and 141-3 may also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증폭부가 3개의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2개의 증폭기 또는 4개 이상의 증폭기(예를 들어, 6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mplification section is composed of three amplifiers, but in the implementation, it may be composed of two amplifiers or four or more amplifiers (for example, six).
도 28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2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28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the receiving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는 두 전극에서 전달되는 두 개의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차동 증폭부(142-1, 141-2, 141-3)는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로 구현되어, 각각 전극(111-1, 111-3, 111-5)과 전극(111-2, 111-4, 111-6)의 두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2-1, 142-2, and 142-3 amplifies and outputs two response signals, which are transmitted from the two electrodes, in parallel. Specifically,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2-1, 141-2, and 141-3 is implemented as a differential amplifier,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11-1, 111-3, -2, 111-4, and 111-6, respectively, and output the amplified signals.
이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23의 경우보다 처리 속도가 3배 빨라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만 차동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차동 증폭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제1 전극 그룹 내의 전극과 제2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을 차동 증폭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2-1, 142-2, and 142-3 perform differential amplification only on the response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The units 142-1, 142-2, and 142-3 can also perform differential amplification on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In the implementation, the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and the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may be subjected to differential amplification.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차동 증폭부가 3개로 구성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2개의 차동 증폭부 또는 4개 이상의 차동 증폭부(예를 들어, 6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differential amplifier section is composed of three differential amplifiers. However, the differential amplifier section may include two differential amplifiers or four or more differential amplifiers (for example, six differential amplifiers).
도 29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2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29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1-1, 141-2, 141-3),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 및 신호 처리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the receiving unit 140 ''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ying units 141-1, 141-2, and 141-3, a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44 '.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1-1, 141-2, and 141-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in the first reception period, the amplification units 141-1, 141-2, and 141-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in parallel, can do.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cation units 141-1, 141-2, and 141-3 amplify and output the respectiv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in parallel have.
그리고 각 ADC부(143-1, 143-2, 143-3)는 각 증폭부(141-1, 141-2, 141-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Each of the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can convert each of the response signals amplified by the amplifiers 141-1, 141-2, and 141-3 into digital signals.
그리고 신호 처리부(144')는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changed to the digital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22의 경우보다 처리 속도가 3배 빨라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41-1, 141-2, 141-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만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1-1, 141-2, 141-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1-1, 141-2, and 141-3 amplifies only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1 -1, 141-2, and 141-3 can also amplify the response signal of the second electrode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한편, 도 26 및 도 29를 설명함에 있어서,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26 및 도 29의 증폭기 대신에 차동 증폭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26 and 29, a signal amplified by an amplifier is used. However, a differential amplifier may be used in place of the amplifiers of FIGS. 26 and 29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30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며,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0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receiving
도 30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 및 신호 처리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the receiving unit 140 ''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2-1, 142-2 and 142-3, a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44 '.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는 두 전극에서 전달되는 두 개의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는 각각 전극(111-1, 111-3, 111-5)과 전극(111-2, 111-4, 111-6)의 두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2-1, 142-2, and 142-3 amplifies and outputs two response signals, which are transmitted from the two electrodes, in parallel. Specifically,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2-1, 142-2, and 142-3 includes electrodes 111-1, 111-3, and 111-5 and electrodes 111-2, 111-4, and 111-6 ) Can be amplified in parallel and output in parallel.
그리고 각 ADC부(143-1, 143-2, 143-3)는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convert the response signals amplified by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2-1, 142-2, and 142-3 into a digital signal in parallel .
그리고 신호 처리부(144')는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changed to the digital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차동 증폭 및 특정 주파수 성분 추출의 두 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하는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차동 증폭부(142-1, 142-2, 142-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2-1, 142-2, 142-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2-1, 142-2, and 142-3 amplifi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142-1, 142-2, and 142-3 may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도 31은 제8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8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를 차동 증폭하며,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140 '' ''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differentially amplified to remove noise, and the detection speed is improved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도 31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차동 증폭부(145-1, 145-2, 145-3)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the receiving unit 140 '' ''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145-1, 145-2, and 145-3.
각 차동 증폭부(145-1, 145-2, 145-3)는 두 전극에서 전달되는 두 개의 수신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차동 증폭부(145-1, 145-2, 145-3)의 일 단은 제1 연결부(161)를 통하여 기결정된 두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타 단은 제2 연결부(162)를 통하여 복수의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수신 신호를 공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5-1, 145-2, and 145-3 amplifies and outputs two signals received from the two electrodes in parallel in a differential manner. Specifically, one end of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5-1, 145-2, and 145-3 can receive a response signal of any one of two predetermined electrode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예를 들어, 제1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연결부(161)는 제1 전극(111-1, 111-2, 111-3) 각각을 차동 증폭부(145-1, 145-2, 145-3)의 일 단에 연결하고, 차동 증폭부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4, 111-5, 111-6) 중 어느 하나를 차동 증폭부의 타 단에 연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the
이와 같이 제8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응답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전극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차동 증폭을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 내의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기준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는 경우에는, 수신 전극과 기준 전극에 공통으로 유입되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고 신호 성분만을 증폭하게 되어 시스템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차동 증폭부(145-1, 145-2, 145-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5-1, 145-2, 145-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차동 증폭부만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2개의 차동 증폭부를 이용하거나 4개 이상의 차동 증폭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5-1, 145-2, and 145-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145-1, 145-2, and 145-3 may also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three differential amplifiers are illustrated, but two differential amplifiers may be used or four or more differential amplifiers may be used.
한편, 도 31을 설명함에 있어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증폭기와 다른 감산기 회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2 내지 3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31, although a differential amplifier is used to remove noise, an amplifier and another subtracter circuit may be used in implement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2 to 36.
도 32는 제9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9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를 위한 전용의 증폭기 및 감산기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32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6-1, 146-2, 146-3, 146-4), 복수의 감산기(147-1, 147-2, 147-3)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the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in the first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in parallel, can do.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and output the respectiv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in parallel have.
한편, 증폭부(146-4)는 제2 연결부(162)를 통하여 복수의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5)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4, 111-5, 111-6)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제2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1, 111-2, 111-3)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unit 146-4 amplifies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1, 111-2, 111-3, 111-4, 111-5, and 111-5 through the
여기서 증폭부(146-1, 146-2, 146-3, 146-4)는 전류 입력을 전압 출력으로 변환하는 트랜스 임피던스 증폭기(trans-impedance amp)를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amplifiers 146-1, 146-2, 146-3, and 146-4 may use a trans-impedance amplifier that converts a current input to a voltage output.
그리고 각 감산기(147-1, 147-2, 147-3)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에 증폭부(146-4)에서 증폭한 수신 신호의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subtractors 147-1, 147-2, and 147-3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The difference of the signal can be outputted.
이와 같이 제9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응답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전극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차동 증폭을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 내의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증폭부만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3개의 증폭부를 이용하거나 4개 이상의 증폭부(예를 들어, 7개(각 전극의 응답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6개 + 감산 계산을 위한 증폭기 1개))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 -1, 146-2, and 146-3 may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four amplification units are used.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ree amplification units may be used or four or more amplification units (for example, seven (
도 33은 제10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0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를 위한 전용의 증폭기 및 감산기와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33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6-1, 146-2, 146-3, 146-4), 복수의 감산기(147-1, 147-2, 147-3),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 및 신호 처리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the receiver 140 '' ''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ers 146-1, 146-2, 146-3 and 146-4, a plurality of subtractors 147-1 and 147-2, 147-3, a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143-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44 '.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in the first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in parallel, can do.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and output the respectiv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in parallel have.
한편, 증폭부(146-4)는 제2 연결부(162)를 통하여 복수의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5)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4, 111-5, 111-6)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제2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1, 111-2, 111-3)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unit 146-4 amplifies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1, 111-2, 111-3, 111-4, 111-5, and 111-5 through the
그리고 각 감산기(147-1, 147-2, 147-3)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에 증폭부(146-4)에서 증폭한 수신 신호의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subtractors 147-1, 147-2, and 147-3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The difference of the signal can be outputted.
그리고 각 ADC부(143-1, 143-2, 143-3)는 각 감산기(147-1, 147-2, 147-3)에서 출력된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may convert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ubtractors 147-1, 147-2, and 147-3 into digital signals.
그리고 신호 처리부(144')는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changed to the digital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제10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응답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전극의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차동 증폭 수행과 특정 주파수 성분 추출의 두 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하는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증폭부만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3개의 증폭부를 이용하거나 4개 이상의 증폭부(예를 들어, 7개(각 전극의 응답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6개 + 감산 계산을 위한 증폭기 1개))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 -1, 146-2, and 146-3 may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four amplification units are used.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ree amplification units may be used or four or more amplification units (for example, seven (
도 34는 제1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를 위한 전용의 증폭기 및 감산기와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er 140 '' '' ''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enhances sensitivity of a response signal by extracting only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band of a response amplifier and a subtracter and a dedicated amplifier for removing noise, And the detection speed is improved by using a plurality of amplifiers.
도 34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6-1, 146-2, 146-3, 146-4), 복수의 감산기(147-1, 147-2, 147-3), 복수의 제2 증폭부(148-1, 148-2, 148-3),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 및 신호 처리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34, the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in the first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in parallel, can do.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and output the respectiv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in parallel have.
한편, 증폭부(146-4)는 제2 연결부(162)를 통하여 복수의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5)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4, 111-5, 111-6)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제2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1, 111-2, 111-3)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unit 146-4 amplifies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1, 111-2, 111-3, 111-4, 111-5, and 111-5 through the
그리고 각 감산기(147-1, 147-2, 147-3)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서 증폭한 응답 신호에 증폭부(146-4)에서 증폭한 수신 신호의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subtractors 147-1, 147-2, and 147-3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The difference of the signal can be outputted.
각 제2 증폭부(148-1, 148-2, 148-3)는 각 감산기(147-1, 147-2, 147-3)에서 출력된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Each of the second amplifying units 148-1, 148-2, and 148-3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subtractors 147-1, 147-2, and 147-3 in parallel.
그리고 각 ADC부(143-1, 143-2, 143-3)는 각 제2 증폭부(148-1, 148-2, 148-3)에서 출력된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may convert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s 148-1, 148-2, and 148-3 into digital signals.
그리고 신호 처리부(144')는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changed to the digital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제11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응답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전극의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차동 증폭을 수행과 특정 주파수 성분 추출의 두 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하는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단계로 신호를 증폭하는 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 -1, 146-2, and 146-3 may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도 35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노이즈를 제거를 위한 전용의 증폭기 및 감산기와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er 140 '' '' '' ''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extracts only th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s of the amplifiers and subtractors and the dedicated amplifiers for removing noise, thereb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response signals , And the detection speed is improved by using a plurality of amplifiers.
도 35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6-1, 146-2, 146-3, 146-4), 인버터(147-4) 복수의 가산기(147-5, 147-6, 147-7), 복수의 제2 증폭부(148-1, 148-2, 148-3),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 및 신호 처리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35, the receiving section 140 '' '' ''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ers 146-1, 146-2, 146-3 and 146-4, an inverter 147-4, a plurality of adders 147 A plurality of second amplification units 148-1, 148-2, and 148-3, a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44 '.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in the first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in parallel, can do.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and output the respectiv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in parallel have.
한편, 증폭부(146-4)는 제2 연결부(162)를 통하여 복수의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5)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4, 111-5, 111-6)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제2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1, 111-2, 111-3)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unit 146-4 amplifies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1, 111-2, 111-3, 111-4, 111-5, and 111-5 through the
인버터(147-4)는 증폭부(146-4)의 출력을 반전할 수 있다. The inverter 147-4 can inver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146-4.
그리고 가산기(147-5, 147-6, 147-7)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서 증폭한 수신 신호에 인버터(147-4)의 출력을 더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adders 147-5, 147-6, and 147-7 add the outputs of the inverters 147-4 to the reception signals amplified by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
각 제2 증폭부(148-1, 148-2, 148-3)는 각 가산기(147-5, 147-6, 147-7)에서 출력된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Each of the second amplifying units 148-1, 148-2, and 148-3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dders 147-5, 147-6, and 147-7 in parallel.
그리고 각 ADC부(143-1, 143-2, 143-3)는 각 제2 증폭부(148-1, 148-2, 148-3)에서 출력된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may convert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s 148-1, 148-2, and 148-3 into digital signals.
그리고 신호 처리부(144')는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changed to the digital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제1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응답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전극의 수신 신호를 이용한 차동 증폭 수행과 특정 주파수 성분 추출의 두 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하는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단계로 신호를 증폭하는 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가 제1 전극 그룹 내의 제1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제2 전극 그룹 내의 제2 전극들의 응답 신호에 대해서도 증폭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 -1, 146-2, and 146-3 may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도 36은 제1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응답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 제거를 위하여 차동 증폭하고, 응답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신호만 추출함으로써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하며, 복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감지 속도를 개선한 실시 예이다. 3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receiving
도 36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복수의 증폭부(146-1, 146-2, 146-3, 146-4), 복수의 차동 증폭부(149-1, 149-2, 149-3),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 및 신호 처리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6, the receiver 140 '' '' ''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ers 146-1, 146-2, 146-3, and 146-4,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149-1 and 149-4 -2, and 149-3, a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44 '.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1, 111-2, 111-3)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구간에서 각 증폭부(146-1, 146-2, 146-3)는 전극(111-4, 111-5, 111-6)의 응답 신호 각각을 병렬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mplifies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parallel. Specifically, in the first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th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1, 111-2, and 111-3 in parallel, can do. In the second reception period,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mplify and output the respective response signals of the electrodes 111-4, 111-5, and 111-6 in parallel have.
한편, 증폭부(146-4)는 제2 연결부(162)를 통하여 복수의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5)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4, 111-5, 111-6)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제2 수신 구간에서는 각 증폭부(146-1, 146-2, 146-3)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111-1, 111-2, 111-3)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unit 146-4 amplifies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1, 111-2, 111-3, 111-4, 111-5, and 111-5 through the
각 차동 증폭부(149-1, 149-2, 149-3)는 각 증폭기(146-1, 146-2, 146-3)에서 출력되는 신호 각각과 증폭부(146-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병렬적으로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차동 증폭부(149-1, 149-2, 149-3)의 일 단은 각 증폭부(146-1, 146-2, 146-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 단은 증폭부(146-4)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9-1, 149-2, and 149-3 receiv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mplifiers 146-1, 146-2, and 146-3 and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mplifying unit 146-4 In parallel, and outputs the amplified signals.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each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s 149-1, 149-2, and 149-3 is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each of the amplifying units 146-1, 146-2, and 146-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art 146-4.
그리고 각 ADC부(143-1, 143-2, 143-3)는 각 차동 증폭부(149-1, 149-2, 149-3)에서 출력된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can convert the signals output from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49-1, 149-2, and 149-3 into digital signals.
그리고 신호 처리부(144')는 복수의 ADC부(143-1, 143-2, 143-3)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응답 신호 각각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changed to the digital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ADC units 143-1, 143-2, and 143-3,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제1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3개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병렬 처리하는바,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응답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전극의 수신 신호를 이용한 차동 증폭 수행과 특정 주파수 성분 추출의 두 단계로 노이즈를 제거하는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단계로 신호를 증폭하는 바 응답 신호의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도 37은 제6 내지 제13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sixth to thirteenth embodiments.
도 37a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37a와 같이 제1 전극의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3개의 채널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세 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세 개의 제1 전극(예를 들어, 111-2, 111-3, 111-4)의 응답 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채널 단위의 수신 이후에 다시 한번 동일한 구동 신호의 인가가 수행되고, 세 개의 다른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A, the receiving
도 37b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의 전극들의 응답 신호를 3개의 채널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세 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세 개의 제2 전극(예를 들어, 112-2, 112-3, 112-4)의 응답 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B, the receiving
도 37c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6개의 전극에서 전달되는 6개의 응답 신호를 병렬적으로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세 개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구동 신호 인가 이후의 세 개의 제1 전극(예를 들어, 111-2, 111-3, 111-4)과 세 개의 제2 전극(예를 들어, 112-2, 112-3, 112-4)의 응답 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C, the receiving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40)는, 복수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처리하는바, 응답 처리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한 번에 수신되는 채널의 개수는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패널 상의 표면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표면상에 접촉된 경우, 동시에 수신하는 채널의 개수를 줄이고, 측정할 전극의 개수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스타일러스 펜이 표면과 이격된 경우, 동시에 수신하는 채널의 개수를 늘리고, 측정할 전극의 개수도 늘릴 수 있다. 구현시에는 동시 측정 개수와 전체 측정 전극의 개수는 상호 반비례 형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수신부가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응답 신호 및 손과 같은 접촉 물체의 응답 신호 모두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접촉 물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3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e receiving unit receives both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도 38은 제14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er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도 38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100’)은 채널 전극부(110’), 제1 구동부(130-1), 제2 구동부(130-2), 제1 수신부(140-1), 제2 수신부(140-2), MCU(150) 및 연결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the touch panel 100 'includes a channel electrode unit 110', a first driving unit 130-1, a second driving unit 130-2, a first receiving unit 140-1, A receiving unit 140-2, an
채널 전극부(110’)는 터치 패널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 12.1인치의 크기를 갖는 경우, 채널 전극부(110’)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47개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 111-45, 111-46, 111-47)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63개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 112-61, 112-62, 112-6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의 크기가 5.7인치인 경우에는 채널 전극부는 18개의 제1 전극과 32개의 제2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크기가 10.1인치인 경우에 채널 전극부는 39개의 제1 전극과 52개의 제2 전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3개의 패널 크기만을 언급하였지만, 다른 크기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전극 개수와 다른 개수로 채널 전극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may have a plurality of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panel. For example, when the touch panel has a size of 12.1 inches,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includes 47 first electrodes 111-1, 111-2, 111-3, ..., 111- And 63 second electrodes 112-1, 112-2, 112-3, ..., 112-61, 112-62, and 112-63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s 5.7 inches, the channel electrode portion may include 18 first electrodes and 32 second electrodes.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s 10.1 inches, the channel electrode portion may include 39 first electrodes and 52 second electrodes. Although only three panel sizes are mentioned above, they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sizes, and the number of channel electrode units may be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electrodes described above.
제1 구동부(130-1)는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되면 동작하는 구동부로,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이와 같은 제1 구동부(130-1)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rst driving unit 130-1 is a driving unit that operates when a stylus pen is sensed, and simultaneously applies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30-1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구동부(130-2)는 손과 같은 접촉 물체가 감지되면 동작하는 구동부로, 복수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부(130-2)는 하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구동부(130-2)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접촉물체는 예를 들어, 손(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130-2 is a driving unit that operates when a touch object such as a hand is sensed, and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Specifically, the second driving unit 130-2 may apply a driving signal in units of one electrode or a driving signal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30-2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the touch object may include, for example, a hand (more specifically, a finger).
제1 수신부(140-1)는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되면,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수신부(140-1)는 도 22 내지 도 36에 도시된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140-1)는 6개의 응답 신호를 동시에 증폭할 수 있는 6개의 증폭기와 해당 6개의 증폭기의 출력과 차동 출력 대상이 될 추가 증폭기, 즉 7개의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stylus pen is sensed, the first receiving unit 140-1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a section in which no driving signal is applied. The first receiving unit 140-1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receiving uni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hown in FIG. 22 to FIG. For example, the first receiving unit 140-1 may include six amplifiers capable of simultaneously amplifying six response signals, and an additional amplifier to be an output of the six amplifiers and a differential output, that is, seven amplifiers. have.
제2 수신부(140-2)는 접촉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부(130-2)에서 어느 하나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중에, 제2 수신부(140-2)는 복수의 제2 전극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수신부(140-2)는 복수의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 전극 측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전극 측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1 전극 측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second receiving unit 140-2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within a period in which a driving signal is applied, when a touch object is sensed. Specificall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being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s in the second driving unit 130-2, the second receiving unit 140-2 can sequentially receive the respons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have. At this time, the second receiving unit 140-2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in unit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on the second electrode side.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e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side, .
MCU(150)는 접촉된 물체를 인지하고, 인지된 물체에 대응되는 구동 방식에 따른 구동 신호 및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구동부(130-1), 제2 구동부(130-2), 제1 수신부(140-1), 제2 수신부(140-2) 및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된 물체가 스타일러스 펜인 경우, MCU(150)는 제1 구동부(130-1)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전극에 제공하도록 제1 구동부(130-1) 및 연결부(160)를 제어하고, 구동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구간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제1 수신부(140-2) 및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된 물체가 손인 경우, MCU(150)는 제2 구동부(130-2)가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2 구동부(130-2) 및 연결부(160)를 제어하고, 동시에 구동 신호의 전달된 구간 내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제2 수신부(140-2) 및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그리고 MCU(150)는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또는 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연결부(160)는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제1 구동부(130-1) 또는 제2 구동부(130-2)와 연결하거나,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제1 수신부(140-1) 또는 제2 수신부(140-2)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0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The
한편, 이상에서는 2개의 구동부와 2개의 수신부로 구성되는 형태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1개의 구동부와 2개의 수신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2개의 구동부와 1개의 수신부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구동부(130-1) 및 제2 구동부(13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수신부(140-1) 및 제2 수신부(140-2)도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Although only two driving units and two receiving uni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one driving unit and two receiving units, or two driving units and one receiving unit. That is, the first driving unit 130-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30-2 may be implemented as on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and the first receiving unit 140-1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130-2 2 receiving unit 140-2 may also be implemented in one configuration.
한편, 터치 패널(100)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와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로 구성된다.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응답 신호가 기타의 원인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와 대비해서 큰 신호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를 가져야 한다. Meanwhile, the signal received by the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갖기 위하여, 응답 신호의 크기를 키우는 방법과 노이즈 유입을 막는 방법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2가지 관점에서 SNR을 키우는 방법을 기술한다.In order to have a high signal-to-noise ratio,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response signal and a method of preventing noise from entering. Hereinafter, a method of increasing the SNR in the above two aspects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구동 시퀀스는 스타일러스 펜(200)을 공진 시키는 Tx 구간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측정하는 Rx 구간을 포함하게 된다. Tx 구간에서는 노이즈의 유입을 막는 방법보다는 스타일러스 펜의 응답 신호를 키우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구동 신호의 인가 시점에 하나의 전극이 아닌 복수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 예에서는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극들에는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이외의 전극들은 접지하거나 플로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First, the driving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x section for resonating the
또한, 사용자의 손의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접지에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전극들에는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 차이를 갖는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signal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ground of the stylus pen through the user's hand, a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electrode, which is expected to be positioned on the stylus pen, and a driving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
다만, 복수의 펜 팁 구동 전극 이외의 전극에 180도 위상차이를 가지는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의 응답신호의 크기를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나, 펜 팁 구동 전극 이외에 여러 개의 전극을 구동해야 하므로, 전력소모의 증가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력소모의 절감을 위해서 180도 위상 차이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의 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는 한가지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손이 접촉한 부분에만 펜 팁이 접촉하는 부분에 인가되는 신호와 반대의 위상을 가진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However, a method of applying a driving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to electrodes other than the plurality of pen tip driving electrodes may be a good way of improv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stylus pen. However, The electrode needs to be driven,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number of electrodes applying a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ne way to implement this i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s hand when the user's hand touches the touch panel and to determine the phase opposite to the signal applied to the portion where the pen tip touches only the portion of the user's hand A method of applying an excitation signal, or the like can be used. Using this method, the number of electrodes for applying a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can be minimized.
한편, 스타일러스 펜(200)의 응답신호의 크기는 Tx 구간에서 대부분 정해지므로, Rx 구간에서는 Tx 구간과는 달리 노이즈의 유입을 막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사람의 손이 터치 패널의 전극에 가까이 가게 되는 경우, 손으로부터 상당한 양의 노이즈가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수신부(140)는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뿐만이 아니라, 손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동시에 수신하게 된다. 그 결과, 손을 터치 패널에 접촉하고 필기를 하는 경우에는 손을 떼고 필기하는 경우에 비해서 SNR이 상당히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스타일러스 펜(200)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전극 이외의 전극은 수신 단의 접지와 연결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of the
도 39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연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section whe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ig.
도 39a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해당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2 전극(112-2,112-3, 112-4)의 응답 신호의 측정을 필수적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이전에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기초로 응답 신호를 수신할 복수의 전극과 수신부(140)가 연결되도록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나머지 전극(112-1, 112-5, 112-6)들이 접지되도록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39A, when the
이와 같이 나머지 전극(112-1, 112-5, 112-6)들이 접지되는바, 손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의 상단 부분은 수신단의 그라운드로 빠져나가게 되어, 스타일러스 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전극(112-2, 112-3, 112-4)으로는 소량의 노이즈만이 유입되어 수신부(140)로 들어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신부(140)로 들어오는 입력신호에서 노이즈 성분이 감소하게 되어 SNR을 개선할 수 있다. As the remaining electrodes 112-1, 112-5, and 112-6 are grounded, the upper portion of the noise introduced from the hand is discharged to the ground of the receiving end,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Only a small amount of noise flows into the reception units (112-2, 112-3, and 112-4) and enters the reception unit (140). As a result, the noise component is reduced in the input signal to the receiving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전극들에 대해서만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전극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전극들에 대한 접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second electrodes ar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as shown in FIG. 39B, for the electrodes arranged in the matrix form, Can be performed.
도 39b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이 복수의 전극(112-2, 112-3)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해당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2 전극(112-2, 112-3, 112-4, 111-2, 111-3, 111-4)의 응답 신호의 측정을 필수적이다. 한편, 수신부(140)가 3개 채널 단위로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면, 제어부(120)는 이전에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기초로 응답 신호를 수신할 복수의 전극(112-2, 112-3, 112-4)과 수신부(140)가 연결되도록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나머지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2-1, 112-5, 112-6)들이 접지되도록 연결부(160)을 제어할 수 있다. 39B, when the
이후에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극(111-2, 111-3, 111-4)과 수신부(140)가 연결되도록 연결부(160)를 제어하고, 나머지 전극(111-1, 111-5, 111-6, 112-1, 112-2, 112-3, 111-4, 112-5, 112-6)들이 접지되도록 연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전극의 응답 신호와 제1 전극의 응답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의 응답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부에 연결되지 않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들을 접지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sponse signal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are separately received.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can be grounded.
도 40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40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tylus pen of Fig. 1;
도 40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0)은 전도성 팁(210), 공진 회로부(220), 접지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예를 들어 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0, the
전도성 팁(210)은 터치 패널(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도성 팁(210)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팁(2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전도성 팁(2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전도성 팁(210)이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공진 회로부(220)는 전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병렬 연결 회로를 포함한다. The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터치 패널(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전도성 팁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 회로부(220)는 터치 패널(10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공진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구동 신호의 입력이 중단된 이후에도 공진에 의한 공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부(220)는 공진 회로부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42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또한, 공진 회로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4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도 41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41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the stylus pen of Fig.
도 41을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221) 및 커패시터(222)로 구성되며, 일 단이 전도성 팁(210)과 연결되고, 타 단이 스타일러스 펜의 케이스(230)로 접지될 수 있다. 41, the
인덕터(211) 및 커패시터(222)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이러한 공진 회로는 특정 공진 주파수에서 고-임피던스(high-imped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inductor 211 and the
도 4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42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2를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221), 커패시터(222), 가변 커패시터(22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2,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may include an
인덕터(211) 및 커패시터(222)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The inductor 211 and the
가변 커패시터(224)는 공진회로와 병렬 연결되며,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이 변화하게 되면,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가변하게 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0')은 터치 패널(100)과의 접촉 압력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 되는바, 터치 패널(100)은 응답 신호를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뿐만 아니라, 공진 주파수의 가변량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촉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tylus p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한편, 이상에서는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인덕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진 회로부(2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ariable capacitor is used to vary the resonance frequency.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e variable inductor, which can vary in inductance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ductive tip, is used and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 ).
도 4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43 is a circuit diagram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3을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221), 커패시터(222), 제2 커패시터(225) 및 스위치(226)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3, the resonant circuit portion 220 '' may be formed of an
인덕터(211) 및 커패시터(222)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The inductor 211 and the
제2 커패시터(225)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The
스위치(226)는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커패시터(225)를 커패시터(222)에 병렬 연결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하면, 제2 커패시터(225)가 공진 회로에 병렬 연결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0")은 사용자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 되는바,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커패시터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인덕터 및 스위치 또는 다른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진 회로부(2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sonance frequency is varied by using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switch. However, the resonance circuit 220 '' implementing the same function using the second inductor and the switch or other circuit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have.
한편, 도 43에 따라 가변되는 공진 주파수는 도 42에 따라 가변 되는 공진 주파수 범위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구현시에 도 42의 가변 커패시터와 도 43의 스위치 및 제2 커패시터가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패널(100)에서 공진 주파수의 변경이 접촉 압력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 스위치의 동작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225)의 동작에 의하여 가변 되는 공진 회로(220")의 공진 주파수는 도 42의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라 가변 되는 공진 주파수의 범위와 다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varying according to FIG. 43 is not a resonance frequency range varying according to FIG. Specifically, in the implementation, the variable capacitor of FIG. 42 and the switch and the second capacitor of FIG. 43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this case, whether the ch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를 참조하면, 채널 전극부 내의 복수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S4410). 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터치 패널(100)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극들에 대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4, the sam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a channel electrode unit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S4410). Accordingly, the driv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한다(S4420). 구체적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구간 내에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신 동작은 상술한 인가 동작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n, a response signal caused by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stylus pen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S4420). Specifically, a response signal can be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within a period in which no drive signal is appli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reception sensitivity by performing various signal processing o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he receiv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lternately with the above-described applying operation.
그리고 수신된 복수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한다(S4430).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과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전극들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s determined based on the plurality of received response signals (S4430).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2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전극에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바, 보다 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신 감도 및 측정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44와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the driving signal to the stylus pen through the capacitive coupling, and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의 제어부(120)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executable in the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치 패널
110: 채널 전극부
120: 제어부
200: 스타일러스 펜
210: 전도성 팁
220: 공진 회로부
230: 접지부
300: 좌표 측정 시스템100: touch panel 110: channel electrode part
120: control unit 200: stylus pen
210: conductive tip 220: resonant circuit
230: Ground unit 300: Coordinate measuring system
Claims (25)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및
상기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In the touch panel,
A channel electrod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to transmit the drive signal to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stylus pen which approaches the touch panel through capacitive coupling, And a controller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generated from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pe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ncluding the resonance circuit.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접촉 물체의 접근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가 가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s variable by approaching the contact object,
Wherein,
Wherein a capacitance change amount between the electrodes at a plurality of electrode intersection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alculated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capacitance change amount.
상기 제어부는,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ncluding the resonant circuit is determined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ratio of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ratio of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at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모두에 대해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sam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서브 그룹 내의 모든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comprise:
A plurality of sub-group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Wherein,
Wherein the sam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all the first electrodes in one subgroup.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 및 상기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where the response signal is most largely received and the electrode of the most largely received electrode and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unit for applying driving signals to at least two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within a section in which the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Wherein,
Wherei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ncluding the resonance circuit is determined based on a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r.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nd sequentially receives respons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의 인가와 각각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so that application of the same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reception of a response signal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lternately performed.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 ADC for converting the amplified respons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respons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의 응답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Wherein the response sig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s received in parallel on a plurality of channel basis.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Wherein the touch panel simultaneously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 각각을 증폭하는 병렬 증폭부;
상기 증폭된 복수의 신호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응답 신호 간의 차이로부터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 parallel amplification unit amplifying each of the response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 ADC for conve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mplified signals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nd a differential amplification unit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두 개 전극의 응답 신호의 차이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
상기 차동 증폭된 응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응답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 differential amplification unit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nd outputting a difference between response signal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ADC unit for converting the differential amplified respons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respons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접지되도록 상기 채널 전극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hannel electrode unit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s grounded within a period of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접지되도록 상기 채널 전극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nnel electrode unit so that at least one electrode other than the electrode to which the drive signal is applied is grounded in a period in which the drive signal is applied.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에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을 제외한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e signal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ranged continuously and the first drive signal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s except for the first electrode to which the first drive signal is applied, And applies a second drive signal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e signal and the second drive signal.
상기 제어부는,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제1 서브 그룹, 제2 서브 그룹 및 제3 서브 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서브 그룹 내의 전극은 접지 또는 플로팅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서브 그룹 내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groups are divided into a first subgroup, a second subgroup, and a third subgroup continuously with the center of the received signal having the largest response signal applied thereto, and the same first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in the first subgroup, And a second driving signal which is opposite in phase to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in the third subgroup.
상기 제어부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및 접촉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동일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극에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A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nd a second driving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object To the touch pan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simultaneously apply a driving signal having a different phase to each oth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신호 간의 위상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Wherein a phase difference between a first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uch panel.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제1 구동부;
접촉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접촉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driving unit for simultaneousl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when the stylus pen is sensed;
A second driver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when a touch object is sensed;
A first receiving uni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within a period in which the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when the stylus pen is sensed; And
And a second receiver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within a period in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when the touch object is sensed.
복수의 전극 단위로 일괄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로 접근한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야기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In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 touch panel that collectively applies driving signals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nd a stylus pen which forms a capacitance with at least one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receives energy for resonance through the formed capacitance,
The touch panel includes: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caused by a stylus pen approaching the touch pane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6109668A TWI670636B (en) | 2014-08-27 | 2015-08-13 | Coordinate measurement system and touch panel |
TW104126311A TWI584183B (en) | 2014-08-27 | 2015-08-13 | Touch panel |
US14/833,629 US10379694B2 (en) | 2014-08-27 | 2015-08-24 |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
EP15182178.2A EP2998834B1 (en) | 2014-08-27 | 2015-08-24 | Touch panel |
AU2015307393A AU2015307393B2 (en) | 2014-08-27 | 2015-08-27 |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
PCT/KR2015/008962 WO2016032245A1 (en) | 2014-08-27 | 2015-08-27 | Touch panel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
CN201510536439.0A CN105389064B (en) | 2014-08-27 | 2015-08-27 | Touch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2467 | 2014-08-27 | ||
KR20140112467 | 2014-08-27 | ||
US201562113697P | 2015-02-09 | 2015-02-09 | |
US62/113,697 | 2015-02-09 | ||
KR1020150080201A KR20160025440A (en) | 2014-08-27 | 2015-06-05 |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KR1020150080201 | 2015-06-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5443A true KR20160025443A (en) | 2016-03-08 |
KR102428274B1 KR102428274B1 (en) | 2022-08-03 |
Family
ID=55534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0201A KR20160025440A (en) | 2014-08-27 | 2015-06-05 |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KR1020150095482A KR102428274B1 (en) | 2014-08-27 | 2015-07-03 |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0201A KR20160025440A (en) | 2014-08-27 | 2015-06-05 |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20160025440A (en) |
AU (1) | AU2015307393B2 (en) |
TW (2) | TWI670636B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7720A (en) * | 2016-09-06 | 2018-03-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tylus pen,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of touch sensor |
KR20200063681A (en) * | 2018-11-28 | 2020-06-05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WO2020153657A1 (en) * | 2019-01-22 | 2020-07-30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for |
WO2020159106A1 (en) * | 2019-02-01 | 2020-08-06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
KR20200129085A (en) * | 2018-11-28 | 2020-11-17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WO2020251288A1 (en) * | 2019-06-12 | 2020-12-17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for |
KR20210029743A (en) * | 2019-02-01 | 2021-03-16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
WO2021054604A1 (en) * | 2019-09-20 | 2021-03-25 | 주식회사 하이딥 | Stylus pen, touch device, and touch system |
WO2021206264A1 (en) * | 2020-04-07 | 2021-10-14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KR20220145806A (en) * | 2021-03-02 | 2022-10-31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
WO2023101280A1 (en) * | 2021-12-02 | 2023-06-08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input device |
US11770961B2 (en) | 2020-08-14 | 2023-09-26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uplink signal to first area in a first mode |
US11816297B2 (en) | 2021-10-29 | 2023-11-14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increased input sensing sensitivity |
US12105900B2 (en) | 2021-03-26 | 2024-10-01 | Hideep Inc. | Touch input device |
US12120937B2 (en) | 2021-10-28 | 2024-10-15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9283B1 (en) | 2016-07-14 | 2023-1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
KR102706268B1 (en) * | 2017-01-19 | 2024-09-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US11609653B2 (en) | 2018-07-09 | 2023-03-21 | Hideep Inc.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KR102170298B1 (en) * | 2018-10-04 | 2020-10-26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KR102488630B1 (en) | 2018-07-13 | 2023-01-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 display panel, touch display device |
KR102262510B1 (en) | 2018-07-18 | 2021-06-08 | 주식회사 하이딥 | Stylus pen |
WO2020110627A1 (en) * | 2018-11-27 | 2020-06-04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Proximity detector having oblique detection electrode group |
KR102360971B1 (en) * | 2019-02-14 | 2022-02-09 | 주식회사 하이딥 | A stylus pen |
KR20200119620A (en) | 2019-04-10 | 2020-10-20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KR102606768B1 (en) | 2019-06-05 | 2023-1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Touch panel controller and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20143217A (en) | 2021-04-15 | 2022-10-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TW202349184A (en) * | 2022-06-07 | 2023-12-16 | 南韓商希迪普公司 | Pen and touch input system or controll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82259A1 (en) * | 2011-01-13 | 2012-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touch area |
US20140104224A1 (en) * | 2012-10-17 | 2014-04-17 | Ronald Ih | Stylus with Resonant Circuit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M366123U (en) * | 2009-04-10 | 2009-10-01 | Prime View Int Co Ltd |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and position indicator thereof |
TWI503730B (en) * | 2009-07-20 | 2015-10-11 | Asustek Comp Inc | Resis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type of touch point on resistive touch panel |
KR100971220B1 (en) * | 2009-08-17 | 2010-07-20 | 주식회사 에프티랩 | The inspection method of the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using lc resonance frequency shift |
KR101219273B1 (en) * | 2011-01-14 | 2013-0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 screen system |
US8928635B2 (en) * | 2011-06-22 | 2015-01-06 | Apple Inc. | Active stylus |
TWI537774B (en) * | 2012-03-15 | 2016-06-11 | Passive stylus with constant power supply | |
TWM433596U (en) * | 2012-03-15 | 2012-07-11 | Uc-Logic Tech Corp | Passive touch stylus with constant power source |
KR101995403B1 (en) * | 2012-09-14 | 2019-07-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Stylus pen, electroi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using it |
-
2015
- 2015-06-05 KR KR1020150080201A patent/KR20160025440A/en unknown
- 2015-07-03 KR KR1020150095482A patent/KR10242827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08-13 TW TW106109668A patent/TWI670636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8-13 TW TW104126311A patent/TWI584183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8-27 AU AU2015307393A patent/AU2015307393B2/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82259A1 (en) * | 2011-01-13 | 2012-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touch area |
KR20120082207A (en) * | 2011-01-13 | 2012-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determining touch position and method for the same |
US20140104224A1 (en) * | 2012-10-17 | 2014-04-17 | Ronald Ih | Stylus with Resonant Circuit |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7720A (en) * | 2016-09-06 | 2018-03-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tylus pen,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of touch sensor |
KR20200063681A (en) * | 2018-11-28 | 2020-06-05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KR20200129085A (en) * | 2018-11-28 | 2020-11-17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US11150764B2 (en) | 2019-01-22 | 2021-10-19 | Hideep Inc.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WO2020153657A1 (en) * | 2019-01-22 | 2020-07-30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for |
KR20200091281A (en) * | 2019-01-22 | 2020-07-30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WO2020159106A1 (en) * | 2019-02-01 | 2020-08-06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
KR20200095978A (en) * | 2019-02-01 | 2020-08-11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
KR20210029743A (en) * | 2019-02-01 | 2021-03-16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
CN113950660A (en) * | 2019-06-12 | 2022-01-18 | 希迪普公司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WO2020251288A1 (en) * | 2019-06-12 | 2020-12-17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for |
US11269441B2 (en) | 2019-06-12 | 2022-03-08 | Hideep Inc.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CN113950660B (en) * | 2019-06-12 | 2024-05-28 | 希迪普公司 |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WO2021054604A1 (en) * | 2019-09-20 | 2021-03-25 | 주식회사 하이딥 | Stylus pen, touch device, and touch system |
US11327582B2 (en) | 2019-09-20 | 2022-05-10 | Hideep Inc. | Stylus pen, touch apparatus, and touch system |
WO2021206264A1 (en) * | 2020-04-07 | 2021-10-14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US11314361B2 (en) | 2020-04-07 | 2022-04-26 | Hideep Inc.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US11770961B2 (en) | 2020-08-14 | 2023-09-26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uplink signal to first area in a first mode |
KR20220145806A (en) * | 2021-03-02 | 2022-10-31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apparatus |
US12105900B2 (en) | 2021-03-26 | 2024-10-01 | Hideep Inc. | Touch input device |
US12120937B2 (en) | 2021-10-28 | 2024-10-15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11816297B2 (en) | 2021-10-29 | 2023-11-14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increased input sensing sensitivity |
KR20230082923A (en) * | 2021-12-02 | 2023-06-09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input device |
WO2023101280A1 (en) * | 2021-12-02 | 2023-06-08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input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5307393B2 (en) | 2020-07-16 |
TWI670636B (en) | 2019-09-01 |
AU2015307393A1 (en) | 2017-02-02 |
TWI584183B (en) | 2017-05-21 |
KR20160025440A (en) | 2016-03-08 |
TW201608448A (en) | 2016-03-01 |
TW201721393A (en) | 2017-06-16 |
KR102428274B1 (en) | 2022-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8274B1 (en) |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EP2998834B1 (en) | Touch panel | |
US10754468B2 (en) |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ement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 |
US11481066B2 (en) | Providing a baseline capacitance for a capacitance sensing channel | |
JP5796255B2 (en) | Negative pixel compensation | |
US9325299B2 (en) | Detecting method and device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of low-frequency noise | |
JP5122560B2 (en) | Fingertip touch recognition for digitizers | |
US20150070297A1 (en) | Control method for touch panel | |
KR20140010859A (en) | Gain correction for fast panel scanning | |
TWI517014B (en) |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ouch signal | |
KR20140094232A (en) | Touch inpu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 |
KR20170037490A (en) |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2131310B1 (en) |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which measures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 |
KR20200085965A (en) | Capacitance touch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capacitance touch panel | |
CN104345911A (en) | Touch pen | |
CN117762274A (en) | Proximity detection device, touch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