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247A -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247A
KR20160025247A KR1020140112216A KR20140112216A KR20160025247A KR 20160025247 A KR20160025247 A KR 20160025247A KR 1020140112216 A KR1020140112216 A KR 1020140112216A KR 20140112216 A KR20140112216 A KR 20140112216A KR 20160025247 A KR20160025247 A KR 2016002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xternal memory
music
displayed
al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계진
한도진
박한솔
박세라
Original Assignee
전계진
한도진
박세라
박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계진, 한도진, 박세라, 박한솔 filed Critical 전계진
Priority to KR102014011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247A/ko
Publication of KR2016002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을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외부 메모리를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하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앨범 목록이 상기 스마트폰 화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앨범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선택된 앨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앨범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앨범에 수록된 하나 이상의 음악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된 곡을 선택하면, 해당 음악이 스마트폰의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재생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A method of selecting music data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in the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및 이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음악 재생 방법은 CD의 음악 추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CD의 음악 추출은 데이터를 컴퓨터로 추출한 후 스마트폰으로 옮기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트리밍 서비스, MP3 다운로드 서비스가 나왔지만 이러한 서비스나 인터넷에서의 음악 데이터 다운로드는 음악을 담는 물질적인 가치가 없으며 복잡한 유통구조로 음악제작자에게는 대가가 돌아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악을 스마트폰에서 들을 때 음반 CD의 음원 추출 단계를 생략하여, 사용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지고 있지 못하는 음악의 물질적 가치를 부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 마이크로 USB 단자, 라이트닝 케이블 단자를 이용한 음악 데이터 전송 방법, 음악을 청취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선곡 방법은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을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메모리를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앨범 목록을 상기 스마트폰 화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앨범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선택된 앨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앨범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앨범에 수록된 하나 이상의 음악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음악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 마이크로 USB 단자, 라이트닝 케이블 단자를 이용하여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으로 들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3.5파이 단자, 마이크로 usb단자, 라이트닝 케이블 단자를 이용한 음악 데이터 전송 방법, 음악을 청취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이어폰 3.5파이 단자와, 마이크로 usb단자, 라이트닝 케이블 단자에 구비된 음악 데이터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그 음악데이터를 스마트폰에 동기화시킴으로써 음악을 스마트폰으로 들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 단자(또는 메모리 단자)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 잭 접속 단자와 삽입되어 접속된다.
접속된 이어폰 단자를 통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가 이어폰 단자 L-채널 입력단, R-채널 입력단을 통해 A/D 변환부로 전송되고, A/D 변환부에서 핸드폰의 CPU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CPU에 전달된 외부 음악 데이터는 스마프폰(핸드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음원 데이터는 역순으로 스마프폰의 메모리에서 CPU로 이동 D/A변환부에서 L-채널 출력단 R-채널 출력단(이어폰 단자)로 이동하여 음원을 플레이 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음원 데이터가 핸드폰 메모리로 전달되었을 때, 음원을 플레이할 수 있는 앱(APP)으로 음원을 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선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메모리를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앨범 목록이 상기 스마트폰 화면의 제1 방향(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게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앨범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횡방향)으로 선택된 앨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앨범 정보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앨범에 수록된 하나 이상의 음악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된 곡을 선택하면, 해당 음악이 스마트폰의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재생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

  1.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을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를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앨범 목록을 상기 스마트폰 화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앨범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선택된 앨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앨범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앨범에 수록된 하나 이상의 음악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음악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통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KR1020140112216A 2014-08-27 2014-08-27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KR20160025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216A KR20160025247A (ko) 2014-08-27 2014-08-27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216A KR20160025247A (ko) 2014-08-27 2014-08-27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247A true KR20160025247A (ko) 2016-03-08

Family

ID=5553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216A KR20160025247A (ko) 2014-08-27 2014-08-27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73315A1 (zh) 视频文件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679345B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63058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231102B2 (ja) 主観的忠実度のための音声コンテンツの変換
CN205004033U (zh) 云智能语音识别音响装置
AU2014295217B2 (en) Audio processor for orientation-dependent processing
US10019222B2 (en) Method for obtaining music data, earphone and music player
US20110188668A1 (en) Media delivery system
US1018771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operating an audio processing integrated circuit to record an audio signal via a headphone port
CN105702271A (zh) 一种多媒体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20140270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patial Audio Rendering For A Parallel Playback Of Call Audio And Multimedia Content
US9439082B2 (en) Mobile device audio indications
CN104581515A (zh) 一种音频播放装置、方法和移动终端
CN106537933B (zh) 便携式扬声器
US20200167123A1 (en) Audio system for flexibly choreographing audio output
JP7147742B2 (ja) 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CN102576300A (zh) 具有多个内置音频控制器的便携式计算机
CN10392969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160025247A (ko) 스마트폰에서 외부 메모리에 수록된 음악을 선곡하는 방법
CN103686526A (zh) 多同类型音频数据接口音响设备
US10051367B2 (en) Portable speaker
CN207530255U (zh) 多功能转换接头
KR101264351B1 (ko) 멀티미디어 기기와 관리용 모바일 기기간 데이터 통신방법
JP2016181858A5 (ko)
Griffin Mind the G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