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164A -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164A
KR20160025164A KR1020140111855A KR20140111855A KR20160025164A KR 20160025164 A KR20160025164 A KR 20160025164A KR 1020140111855 A KR1020140111855 A KR 1020140111855A KR 20140111855 A KR20140111855 A KR 20140111855A KR 20160025164 A KR20160025164 A KR 2016002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degree
cancer
cancer patient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568B1 (ko
Inventor
박동균
정은영
정병희
황인철
은성종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비알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비알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4011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5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암환자로부터 통증에 대한 정도를 입력받고, 통증 정도에 대응되는 처방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입력처리단말기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로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실행되고, 통증에 대한 정도를 질의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상기 통증에 대한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암통증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BREAKTHROUGH PAIN CONTROL SYSTEM FOR CANCER PATIENT AND BREAKTHROUGH PAIN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암환자이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돌발성 통증에 대한 약물복용 가이드라인을 통증 정도에 따라 제공하여 통증에 대한 고통을 완화할 수 있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증은 암환자들이 겪는 가장 흔하며 고통스러운 증상 중의 하아이며, 암의 진단초기에 있거나 적극적인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30~50%, 진행성인 경우엔느약 60~70%, 말기의 경우에는 80~90% 정도가 통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극심한 통증은 일상생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손상하기 때문에 통증을 충분히 조절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WHO의 통증 관리 원칙과 프로그램에 따르면, 환자 90% 이상에서 적절한 통증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40~50%의 암환자들이 적절한 통증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암환자가 겪는 통증은 만성적인 통증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약70~80%의 환자에서는 만성적인 통증 외에 돌발성 통증(Breakthrough pain)이 함께 나타난다. 이러한 돌발성 통증은 갑자기 아프기 시작해서 짧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통증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돌발성 통증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일상 활동을 전혀 할 수 없다. 반복되는 돌발성 통증은 환자에게 고통 자체의 고통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자신을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좌절감, 우울감 등을 초래하여 치료에 대한 의지를 꺽어 놓기도 하기 때문에, 돌발성 통증은 암 통증 환자 관리에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033568호 "치매환자 통증 관리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14-0043731호 "HCG를 이용한 만성 통증 관리 및 치료방법" 등이 있을 뿐,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암환자들이 돌발성 통증을 경험할 때 통증 완화를 위한 신속한 가이드라인을 안내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MR과 연동하여 암환자의 병력과 약품 정보를 고려하여 암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통증완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암환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필요할 때 간편하게 실행시켜 사용할 수 있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증의 종류에 따라 암환자가 자가실행 가능한 통증 조절법을 제공하고, 병원을 내원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안내를 제공하여 다양한 통증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을 안내할 수 있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은,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암환자로부터 통증에 대한 정도를 입력받고, 통증 정도에 대응되는 처방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입력처리단말기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로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실행되고, 통증에 대한 정도를 질의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상기 통증에 대한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암통증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암환자가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1~10점의 범위로 분류하고,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를 하도록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경우 담당의사가 처방한 진통제의 하루 최대 복용량의 10%에 해당하는 용량을 처방하도록 1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상기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경우, 상기 1차 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진통제를 복용한 후 1시간 후에 다시 통증에 대한 정도를 2차로 평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상기 2차 평가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를 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4~6점의 범위인 경우, 속효성 제제 한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7점 이상인 경우, 속효성 제제 두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상기 2차 평가 결과 통증의 정도가 4~10점의 범위로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받은 암환자에게 1시간 후 통증의 정도를 3차로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 평가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를 하도록 3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여전히 4점 이상인 경우 병원으로 내원하기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루동안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에 의해 입력된 암환자의 총통증의 평균을 평가하는 통증일기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증일기모듈은 하루 중 취침에 들기 전 일정시간에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실행되도록 설정되고, 암환자가 입력한 총통증의 평균이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총통증의 평균이 4~6점의 범위인 경우, 이틀동안 복용한 속효성제제용량의 절반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증일기모듈은, 총통증의 평균이 7점 이상인 경우,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이 실행된 돌발성 통증의 횟수를 조회하고, 조회한 통증의 횟수가 2번 이하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조회한 통증의 횟수가 3번 이상인 경우, 금일 복용한 Oxycodone(패치+Ocodone)의 총합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시간 후에 통증에 대한 정도를 재평가해야 하는 암환자가 통증 정도를 기준횟수에 걸쳐 입력하지 않는 경우, 경고메시지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고, 통증 정도를 입력해야 하는 횟수가 최대 허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병원 담당자에게 연락이 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통증의 정도를 3점 미만과 3점 이상으로 분류하고,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3점 이상인 경우 의사가 처방한 하루 허용 최대 진통제량의 1/10을 복용하도록 1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단계와;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암환자에게 상기 1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1시간 후에 통증의 정도를 2차로 입력받는 단계와;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4~6점의 범위인 경우 속효성 제제 한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7점 이상인 경우 속효성 제제 두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단계와;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받는 통증의 정도가 4~10점 범위의 암환자에게 1시간 후에 통증의 정도를 3차로 입력받는 단계와;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4점 이상인 경우 병원으로 내원하기를 표시하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환자의 취침 전 일정 시간에 하루동안 암환자가 느낀 통증의 평균정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통증의 평균정도가 3점 이하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통증의 평균정도가 4~6점 범위인 경우 이틀동안 복용한 속효성 제제용량의 절반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통증의 평균정도가 7점 이상인 경우, 하루동안 상기 통증관리모듈이 실행된 횟수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횟수가 2번 이하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조회횟수가 3번 이상인 경우 금일 복용한 Oxycodone(패치+Ocodone)의 총합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발성 통증 관리시스템은 돌발성 통증 강도에 따라 적절한 약물복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그리고, 의료진과 상담해야 하는 상황을 정의하고, 해당 상황이 되었을 때 환자에게 인지시킨다.
또한, 돌발성 통증에 대해 환자가 자가실행 가능한 비약물적 통증 조절법을 제공하여, 통증에 대해 진통제를 과다 복용하는 것과 같은 오관리 방지를 위한 지침도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암통증관리모듈이 EMR과 연통을 통해 각 암환자에게 적합한 정확한 정보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에서 비롯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통증일기모듈을 매일 동일한 시간에 작성하게 됨에 따라 암환자가 하루 동안 느꼈던 통증을 평가해 의료진과의 상담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하루 동안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복용한 약물의 양을 평가해 다음날 복용할 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의 암통증관리모듈의 암통증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의 암통증 일기모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암환자에게 제공된 암통증 평가지 샘플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의사용 암통증 관리 지침 권고안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이 스마트폰을 통해 실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1)은 암환자가 휴대하며 통증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고, 통증에 대한 처방을 표시하는 입력처리단말기(100)와, 입력처리단말기(100)에 설치되며, 암환자가 느끼는 통증정도에 대응되는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암통증관리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암통증관리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암환자가 휴대하는 입력처리단말기(100)에 설치된다. 암통증관리모듈(20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UI를 통해 통증에 대한 정도와, 해당 통증에 대한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암통증관리모듈(200)이 입력처리단말기(100), 일례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표시되는 UI의 일례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암통증관리모듈(200)을 통해 암환자는 통증 강도에 따른 약물복용 가이드라인을 안내받을 수 있고, 환자가 자가실행 가능한 비약물적인 통증 조절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암환자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을 수 있다.
입력처리단말기(100)는 암환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암통증관리모듈(200)은 입력처리단말기(100)에 설치되며, 인터넷과 같은 통신부(A)를 통해 EMR(전자의무기록) 서버(3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암통증관리모듈(200)을 통해 입력되는 암환자의 정보와, 암통증관리모듈(200)을 통해 암환자에게 안내된 처방 가이드라인이 모두 EMR(전자의무기록,300)에 기록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내용은 암환자의 담당병원의 병원 저장부(400)에도 저장된다. 따라서, 병원과 암환자 모두에게 EMR(300)에 기록된 정확한 정보와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낄 경우 암통증관리모듈(200)의 암통증관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암환자는 일상 생활중에 돌발성 통증을 느끼면, 입력처리단말기(100)의 암통증관리모듈(200)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입력처리단말기(100)를 통해 UI가 표시되며 통증에 관해 질의하고, 해당 통증 정도에 따른 처방 가이드라인을 표시한다. 이 때, UI는 담당 병원이나, 입력처리단말기(10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암통증관리모듈(200)은 현재 느끼는 돌발성 통증의 정도에 대해 물어본다(S110). 암환자는 현재 본인이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1~10의 범위 내에서 답변한다. 답변은 입력처리단말기(100)를 통해 암환자가 직접 입력한다.
여기서, 통증의 정도는 도 5에 도시된 표준형 성인 암성 통증 평가지를 기초로 답변된다. 평가지의 3번 항목에 표시된 것과 같이 통증이 없는 경우를 0,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가장 심한 통증을 10으로 두고, 현재 본인이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암환자가 판단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암환자가 입력한 돌발성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통증이 잘 조절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한다(S120).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실제로 입력처리단말기(100)를 통해 제공하는 UI의 일례가 도 7의 (b)에 표시되어 있다. 암환자는 비약물 처방에 표시된 상상요법, 기분전환, 마사지/지압, 찜질, 심호흡/이완요법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각각의 항목을 클릭할 경우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세부적인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암환자가 입력한 돌발성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경우, EMR(300)을 통해 담당 의사가 처방한 일일 Durogesic Patch 용량과 Ocodone 용량을 조회한다(S125). 그리고, 조회된 Durogesic Patch 용량과 Ocodone 용량의 하루 허용 최대 용량의 10%에 해당하는 용량을 올림하여 가장 근접한 용량을 Ircdodone 5mg으로 복용하도록 1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S130).
여기서, 암통증관리모듈(200)을 통해 처방되는 약품인 Durogesic Patch는 만선통증용 패치로 3일에 한 장씩 부착되도록 한다. Ocodone은 만선통증용 서방형 제제이다. Ircodon은 속효성 제제이다.
암통증관리모듈(200)에서 처방되는 처방가이드라인은 도 6에 도시된 의사용 암통증 관리 지침 권고안에 따라 제공된다. 또한, 처방가이드라인은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Practice 가이드라인[10]을 활용하였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성인 암 통증에 대한 임상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당 가이드라인에서 약품 사용지침을 반영하여 암통증관리모듈(200)에서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세 가지 약물에 대한 처방 가이드라인만 제공하나, 경우에 따라 이 외의 다른 진통제도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1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 후, 1시간이 경과하면 돌발성 통증에 대한 2차 평가를 수행한다(S140). 1시간 후 입력처리단말기(100)를 통해 지금 느끼는 통증의 정도가 몇점인지 다시 질의한다(S150).
질의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돌발성 통증 점수가 3점 미만인 경우, 앞서와 마찬가지로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안내한다(S120). 반면, 질의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돌발성 통증 점수가 4~6점 범위인 경우, 속효성 제제(Ircodon) 한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S160). 또한, 질의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돌발성 통증 점수가 7점~10점 범위인 경우 속효성 제제(Ircodone) 두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S170).
한편, 2차 평가에 의해 돌발성 통증 점수가 4~10점의 범위로 속효성 제제를 복용하도록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받은 암환자에게 1시간 후에 3차 평가가 진행된다(S170). 1시간 후의 3차 평가에서 돌발성 통증의 점수가 3점 미만인 경우 통증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비약물적 치료정보를 안내한다(S120).
반면, 3차에 걸친 약물 제제를 투입했음에도 여전히 돌발성 통증이 4점 이상인 것으로 입력한 암환자에게는 병원으로 내원하도록 권유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80). 이러한 내원 권유 메시지는 도 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고, 암통증관리모듈(200)을 실행시키면 총 3번에 걸친 돌발성 통증을 평가가 진행되고, 3번에 걸친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3번에 걸친 처방 가이드라인을 통해 대부분의 암환자가 통증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에 복귀될 수 있다. 반면, 3번에 걸친 처방 가이드라인으로 진통제를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 점수가 4점 이상인면 내원을 권유하여 의료진과 상담해야 하는 상황을 환자에게 인지시킨다.
한편, 상술한 암통증관리모듈(200)이 실행되는 도중에 1차 평가 후 2차 평가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암환자가 통증 점수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알람메세지를 표시한다. 2차 평가 점수를 입력하기를 바라는 알람메세지를 기준횟수에 걸쳐 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답변이 없는 경우, 암통증관리모듈(200)을 종료하거나, 다시 처음 1차 평가상황(S110)으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2차 평가 또는 3차 평가에 응답하지 않는 횟수가 기설정한 최대 허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 암통증관리모듈(200)이 실행되지 않도록 프로그램 락킹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락킹이 수행된 환자는 별도로 입원 등을 통해 병원에서 직접 관리되도록 안내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 표시된 암통증관리모듈(200)의 실행과정은 돌발성 통증이 1회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한 사이클을 표시한 예이다. 상술한 전체 과정이 수행된 후, 암환자가 다시 돌발성 통증을 느끼고 암통증관리모듈(200)을 실행시키면 상술한 과정이 다시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통증관리모듈은 돌발성 통증 강도에 따라 적절한 약물복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그리고, 의료진과 상담해야 하는 상황을 정의하고, 해당 상황이 되었을 때 환자에게 인지시킨다.
또한, 돌발성 통증에 대해 환자가 자가실행 가능한 비약물적 통증 조절법을 제공하여, 통증에 대해 진통제를 과다 복용하는 것과 같은 오관리 방지를 위한 지침도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암통증관리모듈이 EMR과 연통을 통해 각 암환자에게 적합한 정확한 정보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에서 비롯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통증일기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하루동안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횟수는 매일매일 다를 수 있다. 이에 암통증일기모듈(250)은 암환자에게 하루동안 느낀 통증의 평균을 평가하여, 복용한 약물의 적절한 양을 계산하고, 필요시 의료진 방문을 권유한다. 즉, 암통증 일기 모듈(250)은 암통증관리모듈(200)을 통해 하루 동안 복용한 약물의 양을 평가해 다음날 복용할 복용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또한, 환자가 하루동안 느꼈던 통증을 평가해 의료진과의 상담 필요 여부를 판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암통증일기모듈(250)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암통증 일기 모듈(250)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입력처리단말기(100)에 실행된다. 암통증 일기 모듈(250)은 암환자가 취침하기전 일정 시간에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일례로, 매일 저녁 9시에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암통증일기모듈(250)이 실행되면, 하루동안 느낀 돌발성 통증의 평균이 어느정도인지 입력한다(S210). 통증의 평균이 3점 이하인 경우, 통증이 잘 조절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한다(S221). 통증의 평균이 4~6점 사이인 경우, 이틀동안(측정시간으로부터 48시간 전) 복용한 속효성 제제용량의 절반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S223).
하루동안 느낀 돌발성 통증의 평균이 7점 이상인 것으로 입력되면, 암환자가 하룻동안 돌발성 통증을 느꼈던 횟수를 조회한다(S230). 연동되도록 프로그램된 암통증관리모듈(200)과 통신하여 하룻동안 암통증관리모듈(200)이 실행된 횟수를 통해 돌발성 통증을 느낀 횟수로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돌발성 통증을 느낀 횟수가 2번 이하인 경우, 돌발성 통증이 잘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S221) 안내한다.
반면, 하룻동안 느낀 돌발성 통증의 횟수가 3번 이상인 경우, 금일 복용한 Oxycodone(패치+Ocodone)의 총합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S240).
여기서, 정해진 시간에 암통증일기모듈(250)이 실행되고, 암환자로부터 통증의 평균정도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지 않으면, 입력 메시지가 표시되고, 2차례(이틀간) 미입력시 병원의 담당 코디네이터로부터 암환자에게 연락을 하도록 조치를 취한다. 특히. 암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진통제가 떨어지기 전에 병원으로 내원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술한 진통제의 복용량을 안내할 때, Ircodon 1회 복용에 20mg(4알)을 넘지 않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암통증일기모듈(250)을 매일 동일한 시간에 작성하게 됨에 따라 암환자가 하루 동안 느꼈던 통증을 평가해 의료진과의 상담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하루 동안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복용한 약물의 양을 평가해 다음날 복용할 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암통증일기모듈(250)에 작성된 내용은 EMR과 연동을 통해 정확한 정보 및 콘텐츠를 암환자와 담당병원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통증 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100 : 입력처리 단말기
200 : 암통증 관리모듈
250 : 암통증 일기모듈
300 : EMR
400 : 병원저장부

Claims (12)

  1.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암환자로부터 통증에 대한 정도를 입력받고, 통증 정도에 대응되는 처방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입력처리단말기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로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실행되고, 통증에 대한 정도를 질의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상기 통증에 대한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암통증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암환자가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1~10점의 범위로 분류하고,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를 하도록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경우 담당의사가 처방한 진통제의 하루 최대 복용량의 10%에 해당하는 용량을 처방하도록 1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상기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경우, 상기 1차 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진통제를 복용한 후 1시간 후에 다시 통증에 대한 정도를 2차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상기 2차 평가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를 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4~6점의 범위인 경우, 속효성 제제 한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7점 이상인 경우, 속효성 제제 두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은,
    상기 2차 평가 결과 통증의 정도가 4~10점의 범위로 2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받은 암환자에게 1시간 후 통증의 정도를 3차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평가 결과,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를 하도록 3차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암환자가 입력한 통증의 정도가 여전히 4점 이상인 경우 병원으로 내원하기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루동안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에 의해 입력된 암환자의 총통증의 평균을 평가하는 통증일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일기모듈은 하루 중 취침에 들기 전 일정시간에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실행되도록 설정되고,
    암환자가 입력한 총통증의 평균이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총통증의 평균이 4~6점의 범위인 경우, 이틀동안 복용한 속효성제제용량의 절반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일기모듈은,
    총통증의 평균이 7점 이상인 경우, 상기 암통증관리모듈이 실행된 돌발성 통증의 횟수를 조회하고,
    조회한 통증의 횟수가 2번 이하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조회한 통증의 횟수가 3번 이상인 경우, 금일 복용한 Oxycodone(패치+Ocodone)의 총합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1시간 후에 통증에 대한 정도를 재평가해야 하는 암환자가 통증 정도를 기준횟수에 걸쳐 입력하지 않는 경우, 경고메시지가 상기 입력처리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고,
    통증 정도를 입력해야 하는 횟수가 최대 허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병원 담당자에게 연락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11.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암환자가 돌발성 통증을 느끼는 경우,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통증의 정도를 3점 미만과 3점 이상으로 분류하고,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3점 이상인 경우 의사가 처방한 하루 허용 최대 진통제량의 1/10을 복용하도록 1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단계와;
    통증의 정도가 3점 이상인 암환자에게 상기 1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1시간 후에 통증의 정도를 2차로 입력받는 단계와;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4~6점의 범위인 경우 속효성 제제 한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7점 이상인 경우 속효성 제제 두 알을 복용하도록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단계와;
    2차 처방가이드라인을 제공받는 통증의 정도가 4~10점 범위의 암환자에게 1시간 후에 통증의 정도를 3차로 입력받는 단계와;
    통증의 정도가 3점 미만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통증의 정도가 4점 이상인 경우 병원으로 내원하기를 표시하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암환자의 취침 전 일정 시간에 하루동안 암환자가 느낀 통증의 평균정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통증의 평균정도가 3점 이하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통증의 평균정도가 4~6점 범위인 경우 이틀동안 복용한 속효성 제제용량의 절반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통증의 평균정도가 7점 이상인 경우, 하루동안 상기 통증관리모듈이 실행된 횟수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횟수가 2번 이하인 경우 비약물적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조회횟수가 3번 이상인 경우 금일 복용한 Oxycodone(패치+Ocodone)의 총합을 다음날 추가해서 복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KR1020140111855A 2014-08-26 2014-08-26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KR10168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855A KR101682568B1 (ko) 2014-08-26 2014-08-26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855A KR101682568B1 (ko) 2014-08-26 2014-08-26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164A true KR20160025164A (ko) 2016-03-08
KR101682568B1 KR101682568B1 (ko) 2016-12-06

Family

ID=5553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855A KR101682568B1 (ko) 2014-08-26 2014-08-26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5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86B1 (ko) 2016-06-24 2016-11-07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CN108511062A (zh) * 2018-06-27 2018-09-0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野战外科研究所) 一种癌痛自我评估信息管理系统及方法
KR20210153498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통증 그래프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93949A (ko) * 2021-12-20 2023-06-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환자의 상태 개선훈련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06B1 (ko) * 2018-12-27 2021-06-24 서울대학교병원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125A (ja) * 1997-09-29 2003-09-02 エドガー エル ロス 痛み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540871B1 (ko) * 2005-04-13 2006-01-10 박정식 근골격계 질환 진단 및 예방관리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125A (ja) * 1997-09-29 2003-09-02 エドガー エル ロス 痛み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540871B1 (ko) * 2005-04-13 2006-01-10 박정식 근골격계 질환 진단 및 예방관리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86B1 (ko) 2016-06-24 2016-11-07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CN108511062A (zh) * 2018-06-27 2018-09-0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野战外科研究所) 一种癌痛自我评估信息管理系统及方法
KR20210153498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통증 그래프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93949A (ko) * 2021-12-20 2023-06-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환자의 상태 개선훈련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568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e et al. Prevalence, risk factor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physical restraint use in mechanically ventilated adults
KR101682568B1 (ko)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Ballard et al. Atypical antipsychotics for aggression and psychosis in Alzheimer's disease
Wilson et al. Sickle cell disease pain management in adolescents: a literature review
Drew et al. ‘‘As-Needed’’Range Orders for Opioid Analgesics in the Management of Pain: A Consensus Statement of the American Society for Pain Management Nursing and the American Pain Society
Stein Pain in the nursing home
Sundus et al. Exploration of healthcare practitioner’s perception regarding pharmacist’s role in cancer palliative care, malaysia
Bijur et a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treating acute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Glare et al. Deprescribing long‐term opioid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shemi et al. Evaluating resident physician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the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Hong et al. Effects of a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me on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for gynaecological patients in South Korea
JP5242323B2 (ja) 携帯端末機器による服薬管理システム
Hughes et al. “Until the trial is complete you can’t really say whether it helped you or not, can you?”: exploring cancer patients’ perceptions of taking part in a trial of acupressure wristbands
Cho et al. Pain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Quillin et al. Management of interstitial cystitis/bladder pain syndrome: a urology perspective
Skinner et al. Opioid use patterns and association with pain severity and mental health functioning in chronic pain patients
Rawlins Patient management of cerebral origin spasticity with intrathecal baclofen
Cheing et al. Placebo analgesia: clinical considerations
Rolfe Paediatric chronic pain
Duckworth Chronic pain management: what community nurses should know.
Hicks et al. Perioperative pharmacology: patient-controlled analgesia
Cunningham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Robinson A crisis hidden in plain sight? Prescription opioid misuse in the UK
Hutton et al. A guide to cancer pain management
Beck Doctor’s challenge: How real is that p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