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583A -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583A
KR20160024583A KR1020140111550A KR20140111550A KR20160024583A KR 20160024583 A KR20160024583 A KR 20160024583A KR 1020140111550 A KR1020140111550 A KR 1020140111550A KR 20140111550 A KR20140111550 A KR 20140111550A KR 20160024583 A KR20160024583 A KR 20160024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ouch input
straight line
determin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브젠 야키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583A/ko
Priority to US14/816,384 priority patent/US20160062638A1/en
Priority to EP15179956.6A priority patent/EP2990921B1/en
Publication of KR2016002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고,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drawing function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드로잉(drawing)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통화 기능,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및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 왔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자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및 편집 기능, 게임 및 방송 수신 등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메모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텍스트의 입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을 통한 핸드 드로잉(hand-drawing)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전자 장치에 손으로 필기를 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도식 또는 그래프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종래에는 전자 장치가 핸드 드로잉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객체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느린 인식 속도, 및 복잡한 처리 과정 및 인터페이스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드로잉 기능 수행 시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기반하여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간편하게 인식 및 생성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고,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 및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궤도에 따라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의하면, 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복잡한 형태의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의하면,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오브젝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시간 및 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서 인식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 경우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서 인식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 위에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 위에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오브젝트를 생성 및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 및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터치 스크린(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입력부, 및 오디오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핸드 드로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이 전달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이동한 궤적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는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별 모양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도형 또는 차트(chart) 또는 그래프 등의 복합적인 모양을 가진 도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오브젝트는 상기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두 손가락의 드래그 입력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평행한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궤적에 따라 기 설정된 유사한 형태의 기본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 오브젝트는 간단한 경로(simple path)를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오브젝트는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별 모양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의 궤적이 정확하게 사각형을 그리지 못한 경우에도 터치 궤적의 전체적인 형태를 판단하여 사각형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기 생성되어 표시부(121)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새로운 오브젝트가 인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생성된 삼각형의 오브젝트가 표시부(121)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궤적이 상기 삼각형의 오브젝트 위에 겹치도록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형태(또는, 종류) 또는 터치 입력의 궤적에 따라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또는, 종류)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결정한 오브젝트를 그대로 생성할 수도 있고, 결정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얘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의 궤적에 따라 한 쪽 끝이 서로 직교하는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상기 직교하는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막대 차트(column chart) 형태의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복합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복합 오브젝트는 표(table), 파이 차트(pie chart), 막대 차트(column chart), 피라미드 다이어그램(pyramid diagram), 영역 차트(area chart), 셰브런 다이어그램(shevron diagram),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오브젝트는 상기 언급한 차트, 그래프, 다이어그램 외에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도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의 궤적에 따라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 표시부(121)가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오디오부(160)가 확인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 결정한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직선 오브젝트의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길이, 압력, 또는 터치 입력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인식된 직선 오브젝트가 오브젝트 분할을 위한 입력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인식된 직선 오브젝트를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기 위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기 생성된 오브젝트 위에 중첩되도록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원형의 기 생성된 오브젝트 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직선 오브젝트를 중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기본 오브젝트)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하위 오브젝트(기본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오브젝트는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원형, 다각형, 타원형, 별 모양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복합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본 오브젝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복합 오브젝트는 기본 오브젝트의 조합으로 형성된 표, 차트, 그래프, 다이어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직선 오브젝트가 오브젝트를 분할하기 위한 입력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창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직선 오브젝트가 분할을 위한 입력인 경우, 하위 오브젝트를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직선 오브젝트의 궤적에 따라 하위 오브젝트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기 생성된 하위 오브젝트가 사각형인 경우, 하위 오브젝트 상에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하위 오브젝트를 분할하여 두 개의 사각형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직선 오브젝트가 오브젝트를 분할하기 위한 입력이 아닌 경우,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하위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오브젝트가 사각형인 경우,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를 표(table)로 변환할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가 하나의 원인 경우,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를 파이 차트(pie chart)로 변환할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가 직교하는 직선인 경우,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를 막대 차트(column chart)로 변환할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가 삼각형인 경우,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를 피라미드 다이어그램(pyramid diagram)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가 중첩된 복수 개의 원인 경우,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를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대응되는 복합 오브젝트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궤적에 따라 직선 외의 다양한 오브젝트를 결정한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복합 오브젝트인 경우,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오브젝트가 표(table)인 경우에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평행한 두 직선의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대응되는 표의 특정 셀들을 병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표인 경우에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하면,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의 셀을 분할하여 복수의 셀을 만들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막대 차트(column chart)인 경우, 결정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도형(예를 들면, 차트의 값을 나타내는 막대 또는 삼각형 등)을 상기 막대 차트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오브젝트가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인 경우에 제어부(110)가 사각형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면, 제어부(110)는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에 새로운 블록(block)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 창 또는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할 것을 확인 받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 및 인식된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와 유사한 오브젝트를 결정하면 하위 오브젝트에 새로운 블록(block)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벤 다이어그램인 경우에 원형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면 새로운 블록(block)을 추가하여 벤 다이어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인 경우 사각형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면,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여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하위 오브젝트가 셰브론 다이어그램인 경우, 같은 방향으로 굽은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면,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여 셰브론 다이어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입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은 표시부(121)와 터치 감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예를 들어, 미디어 컨텐츠 재생 화면, 통화 발신을 위한 화면, 메신저 화면, 게임 화면, 갤러리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전화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핸드 드로잉 기능을 수행 중에 표시부(121)는 제어부(110)가 생성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표시부(121)에 안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터치스크린 표면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입력(예컨대, 터치 기반의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 터치 기반의 숏 프레스(short press) 입력, 싱글터치(single-touch) 기반의 입력, 멀티터치(multi-touch) 기반의 입력, 터치 기반의 제스처(예컨대, 드래그(drag) 등)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터치스크린 표면에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표시부(12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2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적용한 터치 방식에 따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터치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해당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감지부(122)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전자 장치(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며,전자 장치(100)가 이동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 통신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통신부(130)는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 및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전자 장치(100)가 와이파이 통신,블루투스 통신,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및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부(13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UWB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30)는 핸드 드로잉 기능을 통해 생성한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를 외부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또는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설정 데이터, 가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처리 결과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는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10)가 생성한 오브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핸드 드로잉 기능에서 사용되는 기본 오브젝트 및 복합 오브젝트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센서는 외부 전자 장치(100)(예를 들며, 디지털 펜,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접촉을 감지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수신한 입력을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부(160)는음성과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오디오부(16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부(160)는 핸드 드로잉 작업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2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핸드 드로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핸드 드로잉을 위한 메모장, 노트, 캔버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2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궤적에 따라 기 저장된 기본 오브젝트 중 하나를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로 결정할 수 있다. 기본 오브젝트는 간단한 경로(simple path)를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오브젝트는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별 모양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의 궤적이 정확한 도형을 그리지 못한 경우에도 터치 궤적의 전체적인 형태를 판단하여 유사한 모양의 기본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2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 2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25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기본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생성한 오브젝트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2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직선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 경우 26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27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분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형태를 수정 또는 편집할 수 있다.
27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새로운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복합 오브젝트는표(table), 파이 차트(pie chart), 막대 차트(column chart), 피라미드 다이어그램(pyramid diagram), 영역 차트(area chart), 셰브런 다이어그램(shevron diagram),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핸드-드로잉을 인식하여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생성 및 수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서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 경우(260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오디오부(160)가 확인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직선 오브젝트의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길이, 압력, 또는 터치 입력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예를 들면,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 것인지 또는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분할할 것인지 등)를 판단할 수도 있다.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려는 것으로 확인되면, 32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려는 것이 아닌 경우 33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따라 기 생성된 오브젝트에 중첩되도록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기존에 그려진 도형 위에 직선을 추가로 그릴 수 있다.
3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오브젝트의 아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는 인식된 오브젝트 이전에 생성된 오브젝트로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3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37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직선 오브젝트가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분할하기 위한 입력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직선 오브젝트의 의도를 확인하는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직선 오브젝트가 분할을 위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길이, 압력, 또는 터치 입력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분할 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가 분할을 위한 입력인 경우 35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가 분할을 위한 입력이 아닌 경우 36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하위 오브젝트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되었던 도형을 직선 오브젝트의 궤적에 따라 분할하여 복수 개의 도형을 생성할 수 있다.
3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기본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본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본 오브젝트에 따라 대응되는 복합 오브젝트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은 표(table), 원형은 파이 차트(pie chart), 삼각형은 피라미드 다이어그램에 각각 대응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복합 오브젝트의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37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하위 오브젝트 편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 편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편집 여부에 대한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경우 38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3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 또는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오브젝트가 표(table)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표의 셀을 나눌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가 영역 차트(area chart)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영역 차트의 영역을 나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서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270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4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사용자로부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 입력의 정보(예를 들면, 터치 입력의 길이(크기), 압력, 또는 터치 입력 시간 등)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에 42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에 43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4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4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46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복합 오브젝트 생성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420 동작으로 분기하여,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하려는 경우 45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즉, 기본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본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기본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4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하위 오브젝트의 편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편집 여부에 대한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경우 47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47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 및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오브젝트가 표인 경우, 결정한 사각형의 오브젝트에 따라 셀을 추가할 수 있다. 하위 오브젝트가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인 경우, 동일한 사각형의 오브젝트에 따라 새로운 블록(block)을 추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동일한 오브젝트를 인식하더라도, 하위 오브젝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501은,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510) 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을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에 따라 가로 방향의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에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에 직선 오브젝트(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인식한 직선 오브젝트의 생성 확인 입력을 수신하면, 503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 입력(t)을 수신한 위치에 직선 오브젝트(520)를 추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직선 오브젝트가 분할 목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이 분할 목적인 것을 확인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505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 오브젝트(510)를 분할하여 두 개의 오브젝트(530, 540)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이 직선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오브젝트를 분할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507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 오브젝트(55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510)의 형태에 기반하여 복합 오브젝트(55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오브젝트(510)가 사각형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기 기본 오브젝트(510)를 표(table)(550)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601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610)가 있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을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세로 방향의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의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이 오브젝트의 생성을 위한 것임을 확인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603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 오브젝트(610) 상에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대응되는 직선 오브젝트(62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이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605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 오브젝트(610)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직선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복합 오브젝트(예를 들어, 표)(610)의 셀을 나누어 복수 개의 셀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701은,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710)의 일부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을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세로 방향의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의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의 의도를 확인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t)이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면, 703에 도시된 것처럼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710) 위에 결정한 직선 오브젝트 또는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대응되는 직선 오브젝트(72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t)이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705에 도시된 것처럼 기 생성된 표(즉, 복합 오브젝트)(710)의 셀들 중 터치 입력(t)의 위치에 대응되는 셀을 분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 위에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801은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810) 상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을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세로 방향의 두 개의 평행한 선으로 구성된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합 오브젝트(810) 위에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직선 오브젝트 외의 새로운 오브젝트를 결정한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810)를 수정할 수 있다. 803은, 전자 장치(100)가 두 개의 평행한 선으로 구성된 오브젝트에 따라 표(복합 오브젝트)(810)의 좌측 셀을 병합하여 하나의 셀(815)로 수정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오브젝트(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의 위치에 따라 인식된 오브젝트가 중첩되는 영역의 셀들을 병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 위에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901은 전자 장치(100)가 원형의 기본 오브젝트(910) 위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을 수신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굽은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의 의도(예를 들어,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려는 입력인지, 또는 오브젝트를 분할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로 변환하기 위한 입력인지 등)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이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것으로 판단하면, 903에 도시된 것처럼 원(기본 오브젝트)(910) 위에 결정한 오브젝트(92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 오브젝트 분할을 위한 것으로 판단하면, 905에 도시된 것처럼 기 생성된 원(910)을 분할하여 두 개의 오브젝트(930, 94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이 오브젝트 생성 및 오브젝트 분할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905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 오브젝트(910)의 형태(또는, 종류)에 기반하여 기본 오브젝트(910)를 복합 오브젝트(950)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가 원(910)인 경우, 원을 파이 차트(pie chart)(950)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오브젝트를 생성 및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001은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1)을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1)의 궤적에 따라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교하는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직교하는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경우, 1003에 도시된 것처럼 막대 차트(column chart)(101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막대 차트(1010) 위에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터치 입력(t2)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터치 입력(t2)의 궤적에 따라 좌우로 교차하여 입력된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형태 및 새롭게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막대 차트 위에 교차하는 두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가 인식된 경우, 1005에 도시된 것처럼 막대 차트(1010)에 데이터 값(1020)을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막대 차트(1010)에 인식된 오브젝트에 따라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2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 위에 직선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101은 전자 장치(100)가 삼각형의 기본 오브젝트(1110) 위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1)을 수신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t1)의 궤적에 대응되는 직선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직선 오브젝트 아래에 기본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직선 오브젝트(즉, 터치 입력(t1))의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1)이 오브젝트 생성을 위한 것으로 판단(확인)하면, 1103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형의 기본 오브젝트(1110) 위에 결정한 직선 오브젝트(1120)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1)이 오브젝트 분할을 위한 것으로 판단하면, 1105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형의 기본 오브젝트(1110)을 분할하여 두 개의 오브젝트(1130, 1140)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분할된 오브젝트 위에 새로운 사용자의 터치 입력(t2)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2)의 목적을 사용자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분할 목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기존의 터치 입력(t1)이 오브젝트 분할을 위한 것이었다면, 이후의 동일한 형태의 터치 입력(t2) 또한 오브젝트의 분할을 위한 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1507에 도시된 것처럼 1105에 도시된 오브젝트(1140)을 사용자의 터치 입력(t2)의 궤적(즉, 결정한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두 개의 오브젝트(1150, 1160)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201은 전자 장치(100)가 영역 차트(area chart) 형태의 복합 오브젝트 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을 수신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굽은 선 모양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의 형태 및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복합 오브젝트의 형태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영역 차트(1210)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영역 위에 굽은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면, 120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굽은 직선 오브젝트의 위치 및 모양에 기반하여 영역 차트(1210)을 수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영역 차트(1210) 데이터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영역 차트(1210)에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반한 데이터 값을 입력하여 영역 차트(1210)의 데이터 영역을 둘로 나누어 (1211, 1212)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301은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셰브론 다이어그램(chevron diagram) 형태의 복합 오브젝트(1310) 위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을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굽은 직선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형태 및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셰브론 다이어그램(1310) 상에 유사한 형태의 굽은 직선 오브젝트가 인식되면, 1303에 도시된 것처럼 인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블록(1311)을 분할하여 두 개의 블록(1313, 1315)이 되도록 셰브론 다이어그램(1310)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 및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401은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원(기본 오브젝트)(1410) 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t1)을 수신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1)의 궤적에 따라 원형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기본 오브젝트의 형태 및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오브젝트(1410) 위에 원형의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1403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의 기본 오브젝트(1410)을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 형태의 복합 오브젝트(142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변환하여 생성한 벤 다이어그램(1420) 위에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터치 입력(t2)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2)의 궤적에 따라 원형의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합 오브젝트의 형태 및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복합 오브젝트가 벤 다이어그램(1420)이고, 새롭게 인식된 오브젝트가 원형(t2)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1405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의 벤 다이어그램(1420)에 하나의 카테고리(블록 3)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수정된 벤 다이어그램(143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501은 전자 장치(100)가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1510, 1520) 위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을 수신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의 블록들(1510, 1520) 위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의 궤적에 따라 사각형의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합 오브젝트 상에 수신된 터치 입력(t)에 따라 직선 오브젝트 이외의 새로운 오브젝트를 결정하면 기 생성된 복합 오브젝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1503에 도시된 것처럼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의 두 블록들(1510, 1520) 사이에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새로운 블록(1530)을 추가로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10: 제어부
120: 터치 스크린 121: 표시부
122: 터치 감지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입력부
160: 오디오부

Claims (20)

  1. 터치 입력에 따른 드로잉(drawing)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여,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고,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으면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고,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표, 차트, 또는 다이어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오브젝트는
    표(table), 파이 차트(pie chart), 막대 차트(column chart), 피라미드 다이어그램(pyramid diagram), 영역 차트(area chart), 셰브런 다이어그램(shevron diagram),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인식한 직선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하여,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다른 형태로 변경하고,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상기 판단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직선 오브젝트가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분할하기 위한 입력인지 확인하고, 분할을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 아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를 상기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분할하고, 분할을 위한 입력이 아닌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상기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오브젝트는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별 모양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본 오브젝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확인하고,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하고,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하고,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에 따른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 및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가 직선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오브젝트는
    표(table), 파이 차트(pie chart), 막대 차트(column chart), 피라미드 다이어그램(pyramid diagram), 영역 차트(area chart), 셰브런 다이어그램(shevron diagram),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 불렛 리스트 다이어그램(bullet list diag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결정한 직선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직선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의 형태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다른 형태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직선 오브젝트가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분할하기 위한 입력인지 확인하는 동작;
    분할을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직선 오브젝트 아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를 상기 직선 오브젝트에 따라 분할하는 동작; 및
    분할을 위한 입력이 아닌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상기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오브젝트는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별 모양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본 오브젝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할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인식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 및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기반하여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은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하위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복합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하위 오브젝트가 기본 오브젝트가 아닌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상기 하위 오브젝트를 편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20. 전자 장치가 드로잉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상기 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정하는 동작; 및
    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111550A 2014-08-26 2014-08-26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KR20160024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50A KR20160024583A (ko) 2014-08-26 2014-08-26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US14/816,384 US20160062638A1 (en) 2014-08-26 2015-08-0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function thereof
EP15179956.6A EP2990921B1 (en) 2014-08-26 2015-08-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func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50A KR20160024583A (ko) 2014-08-26 2014-08-26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83A true KR20160024583A (ko) 2016-03-07

Family

ID=5387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50A KR20160024583A (ko) 2014-08-26 2014-08-26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62638A1 (ko)
EP (1) EP2990921B1 (ko)
KR (1) KR201600245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09B1 (ko) 2019-11-12 2020-06-01 한국인터넷진흥원 바이너리 취약점 패치 방법 및 장치
KR102209151B1 (ko) 2020-05-26 2021-01-29 한국인터넷진흥원 바이너리 취약점 패치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4493S1 (en) * 2014-11-14 2016-08-2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3676S1 (en) * 2015-06-18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5923S1 (en) * 2015-06-18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7130735A (ja) * 2016-01-19 2017-07-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96991B1 (ko) * 2016-03-04 2017-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44148B1 (ko) * 2017-04-17 202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3323A (en) * 1996-06-26 1999-07-1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long lists of data items on a work space of a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US5861886A (en) * 1996-06-26 1999-01-1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graphic objects on a computer based system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8566721B2 (en) * 2009-04-30 2013-10-22 Apple Inc. Editing key-indexed graphs in media editing applications
AU2009251135B2 (en) * 2009-12-23 2013-03-2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interfacing with multi-point display device
US9747270B2 (en) * 2011-01-07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tural input for spreadsheet actions
JP5413688B2 (ja) * 2011-02-16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区画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US9563674B2 (en) * 2012-08-20 2017-0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exploration user interface
US8935638B2 (en) * 2012-10-11 2015-01-13 Google Inc. Non-textual user input
US20140298223A1 (en) * 2013-02-06 2014-10-02 Peter Duong Systems and methods for drawing shapes and issuing gesture-based control commands on the same draw gr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09B1 (ko) 2019-11-12 2020-06-01 한국인터넷진흥원 바이너리 취약점 패치 방법 및 장치
KR102209151B1 (ko) 2020-05-26 2021-01-29 한국인터넷진흥원 바이너리 취약점 패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0921A1 (en) 2016-03-02
EP2990921B1 (en) 2020-03-25
US20160062638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4244B2 (en)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KR20160024583A (ko)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US105345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speed of multimedia content
KR102098058B1 (ko) 뷰 모드에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42011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data on electronic device display
CN108052265B (zh) 用于使用图形对象控制内容的方法和设备
US8656296B1 (en)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TWI637312B (zh) 用於在透明顯示裝置顯示資訊的方法、顯示裝置及電腦可讀記錄媒體
US20150012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applications in user device
US9335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executing command through gesture input
EP2613286A1 (en) Mobile terminal and message-based conversation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2014023736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675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objects in electronic device
US20150052465A1 (en) Feedback for Lasso Selection
KR102091000B1 (ko)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KR102337157B1 (ko)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3247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KR10215707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US20140003610A1 (en) Method of reproducing sound source of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KR201200410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12181226B (zh) 用于提供内容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