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11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117A
KR20160023117A KR1020140108966A KR20140108966A KR20160023117A KR 20160023117 A KR20160023117 A KR 20160023117A KR 1020140108966 A KR1020140108966 A KR 1020140108966A KR 20140108966 A KR20140108966 A KR 20140108966A KR 20160023117 A KR20160023117 A KR 2016002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dicator
position indicator
user inpu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037B1 (ko
Inventor
서대일
유병현
고희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0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2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지도를 포함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각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간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인해,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갖는 시공간 컨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시각화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도 점차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시공간 컨텐츠를 제어할 뿐,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연관하여 시공간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10-2008-0029228
이에, 본 명세서는,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연관된 시공간 컨텐츠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영역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는 제 1 시공간 컨텐츠를 포함함,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되,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지도를 포함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각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이에 연관된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공간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이에 연관된 시간 인디케이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가 재구성되는 동안,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가 모이는 에니메이션 또는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하여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가 재구성되는 동안, 지도 및 타임라인을 줌인 또는 줌아웃 하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하여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도 1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 컨텐츠의 분류 방법을 나타내고, 도 4b 내지 도 4g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 컨텐츠의 분류 방법을 나타내고, 도 5b 내지 도 5e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주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피씨 또는 스마트 테이블, HMD(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공간 컨텐츠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공간 컨텐츠는 촬영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된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컨대, 정지 이미지, 동영상 등)일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a의 왼쪽에서처럼 가로 모드 또는 도 1a의 오른쪽에서처럼 세로 모드로 비주얼 정보를 표시부(1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비주얼 정보는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비주얼 정보는 지도, 정지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텍스트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로 모드로 비주얼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유사한 설명이 세로 모드로 비주얼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낸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의 왼쪽 위에서처럼, 표시부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영역(111)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 2 표시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b의 오른쪽 위에서처럼, 표시부는 시공간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표시 영역(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b의 왼쪽 아래에서처럼, 표시부는 미니 지도를 표시하는 제 4 표시 영역(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니 지도는 제 1 표시 영역(111)에 표시된 메인 지도의 표시 속성이 변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지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표시 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레이아웃될 수 있다. 또한, 각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모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레이아웃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표시 영역 중 일부는 다른 표시 영역을 포함하도록 레이아웃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의 오른쪽 아래에서처럼, 제 1 표시 영역(111)이 제 2 표시 영역(112), 제 3 표시 영역(113) 및 제 4 표시 영역(114)을 포함하도록 레이아웃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포함되는 표시 영역의 투명도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포함되는 표시 영역을 함께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표시 영역 중 일부만 표시되도록 레이아웃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의 왼쪽 위의 레이아웃에서, 실시예에 따라 제 1 표시 영역(111)의 표시가 유지되고 제 2 표시영역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레이아웃되거나, 또는 제 1 표시영역의 표시가 종료되고 제 2 표시영역의 표시가 유지되도록 레이아웃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에 대한 설명은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옵셔널한 구성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비주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인터페이스는 지도 및 지도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는 타임라인 및 타임라인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미니 지도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표시부(110)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지도 인터페이스 또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다양한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20)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비터치 입력(예컨대, 호버링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포인팅 장치(예컨대, 마우스)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20)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에 대한 클릭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로부터 미리 저장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각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위치 인디케이터 및 각 시간 인디케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레벨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 인터페이스 또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변경된 표시 레벨에 대응되는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 또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시공간 컨텐츠의 요약 정보 또는 시공간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 상의 관심 영역 또는 타임라인 상의 관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설명은 각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수신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130)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와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엘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포함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20)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제 1 표시 영역(111) 상에 표시하고,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제 2 표시 영역(11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10) 및 타임라인(20)은 다수의 스케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지도(10) 또는 타임라인(20)을 줌-인 또는 줌-아웃함으로써, 지도(10) 또는 타임라인(20)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터치 제스처를 통하여 지도(10) 또는 타임라인(20)을 줌-인 또는 줌-아웃함으로써, 지도(10) 또는 타임라인(20)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11)를 지도(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의 스케일 및 경계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11)를 지도(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11)는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인디케이터(11)는 세밀도(Level Of Detail: LOD)에 따라 다수의 레벨로 표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위치 인디케이터(11)는 POI(Point Of Interest) 레벨, POI 레벨보다 상위 레벨 및 POI 레벨보다 하위 레벨로 표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21)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의 스케일 및 인터벌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21)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21)는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디케이터(21)는 세밀도에 따라 다수의 레벨로 표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간 인디케이터(21)는 일(day) 레벨, 일 레벨보다 상위 레벨 및 일 레벨보다 하위 레벨로 표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시공간 컨텐츠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컨텐츠이므로,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즉,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레벨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레벨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레벨이 변경되면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레벨도 변경될 수 있고, 역도 성립한다.
또한, 지도 인터페이스에서 지도(10)의 스케일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에서 타임라인의 스케일도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지도(10)의 스케일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타임라인의 스케일이 변경될 수 있고, 역도 성립한다. 또한,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는 서로 맵핑되기 때문에, 지도 인터페이스의 위치 인디케이터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시간 인디케이터도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지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위치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타임라인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도 변경될 수 있고, 역도 성립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한 채, 시공간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 컨텐츠의 분류 방법을 나타낸다.
도 4a의 상단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컨텐츠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a) 및 복수의 컨텐츠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 2 시공간 컨텐츠(b)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미디어는 정지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준에 따라 획득된 제 1 및 제 2 시공간 컨텐츠를 다수의 레벨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준에 따라 획득된 제 1 및 제 2 시공간 컨텐츠를 2개의 레벨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위 레벨은 상위 레벨보다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의 하단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제 1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제 2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인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인 제 2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4b 내지 도 4g에서는 도 4a에서 분류된 시공간 컨텐츠를 이용하여 각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4b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위치 인디케이터에 따라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b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즉,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의 속성이 변하면 이에 따라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의 속성이 변하고, 역도 성립된다. 또한,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도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 상에 위치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은 더블 터치 입력(200) 또는 더블 클릭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은 핀치 인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b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지도(10) 상에 위치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인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아웃(zoom-out)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아웃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를 제 1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zoom-out)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은 더블 터치 입력(200) 또는 더블 클릭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은 핀치 아웃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b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인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인(zoom-in)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인(zoom-in)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4c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시간 인디케이터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c는 도 4b에 대응하는 과정으로, 도 4c에서는 도 4b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c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도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 상에 시간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c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타임라인(20) 상에 시간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인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를 제 1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아웃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c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인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인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위치 인디케이터가 현재 레벨보다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인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도 4d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공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d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은 싱글 터치 입력(300) 또는 싱글 클릭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d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a)에 대한 요약 정보(4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공간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미디어(예컨대, 정지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는 시공간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미디어에 대한 요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시공간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이미지 중 대표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는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속성은 표시 색상, 표시 위치, 표시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요약 정보가 표시된 위치 인디케이터와 요약 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 인디케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40)에 포함된 제 1 썸네일 이미지(P1)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d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를 제 3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썸네일(P1) 이미지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를 제 3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표시 영역은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시공간 컨텐츠가 제 1 시공간 컨텐츠처럼 하나의 이미지만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이미지를 제 3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가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f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도 4e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공간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e는 도 4d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방법으로 도 4d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e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e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40)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e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도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40)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요약 정보가 표시되었던 시간 인디케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1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색상을 원래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f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공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f는 도 4d에 대응하는 과정으로, 도 4f에서는 도 4d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f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f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제 2 시공간 컨텐츠(b)에 대한 요약 정보(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시공간 컨텐츠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므로,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 및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의 표시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요약 정보가 표시된 위치 인디케이터와 요약 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 인디케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50)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P1,P2,P3) 중 제 2 썸네일 이미지(P2)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f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를 제 3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P1,P2,P3) 중 제 2 썸네일 이미지(P2)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썸네일 이미지(P1)를 중심으로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 3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시공간 컨텐츠 중 하나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f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표시된 시공간 컨텐츠 중 하나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컨텐츠를 제 3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이미지(photo 2)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3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이미지(photo 2)를 제 3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표시 영역은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을 차지할 수도 있다.
도 4g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공간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g는 도 4f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방법으로 도 4f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g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체 표시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체 표시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g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전체 표시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체 표시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이미지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이미지에 대한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g의 오른쪽 아래를 참조하면,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50)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g의 왼쪽 아래를 참조하면,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 중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50)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50)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요약 정보가 표시되었던 시간 인디케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위치 인디케이터 및 제 1-2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색상을 원래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간 컨텐츠의 분류 방법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5a의 상단 왼쪽에서처럼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공간 기준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분류할 수 있고, 도 5a의 상단 오른쪽에서처럼 복수의 컨텐츠를 시간 기준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시공간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미디어는 정지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분류된 각 정보 단위는 LOD(Level Of Detail)이라고 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공간 컨텐츠를 3개의 레벨로 분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에 따라 다양한 수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도 5a의 상단 왼쪽을 참조하면, 공간 기준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 각각을 제 1 레벨의 공간 LOD(a,b,c,d)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레벨은 이벤트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각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레벨의 공간 LOD(L1,L2)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레벨은 POI 레벨(Point Of Interest), 도시 레벨, 또는 국가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제 3 레벨의 공간 LOD(L)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레벨은 주제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하위 레벨은 상위 레벨보다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의 상단 오른쪽을 참조하면, 시간 기준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 각각을 제 1 레벨의 시간 LOD(a,b,c,d)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레벨은 이벤트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각 시간에 기초하여 제 2 레벨의 시간 LOD(T1,T2)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레벨은 시간 레벨, 일(day) 레벨, 주(week) 레벨, 월(month) 레벨, 연(year)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제 3 레벨의 시간 LOD(T)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레벨은 주제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 이 경우, 하위 레벨은 상위 레벨보다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의 하단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각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제 1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제 1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토글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글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글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또는 시간 기준에서 공간 기준으로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4개의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a의 공간 기준 및 시간 기준은 예시적인 기준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이하, 도 5b 내지 도 5e에서는 도 5a에서 분류된 시공간 컨텐츠를 이용하여 각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5b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간 기준에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고,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됨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b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복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위치 인디케이터 중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예컨대, a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b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a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위치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예컨대, L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L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위치 인디케이터 및 b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L1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아웃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레벨의 L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L1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상위 레벨의 L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L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시간 인디케이터 및 b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L1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토글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사용자 입력(400)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400)은 토글 인터페이스(30) 내의 토글 바의 비활성화된 부분에 대한 싱글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400)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L1 위치 인디케이터 및 L1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의 스케일 및 경계를 기준으로 L1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고, 타임라인(20)의 스케일 및 인터벌을 기준으로 L1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L1 위치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T1 위치 인디케이터 및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고, L1 시간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T1 시간 인디케이터 및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L1 위치 인디케이터는 a 위치 인디케이터 및 b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므로, a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1 위치 인디케이터 및 b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다. 또한, L1 시간 인디케이터는 a 시간 인디케이터 및 b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므로, a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1 시간 인디케이터 및 b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구성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공간 기준의 인디케이터들을 시간 기준의 인디케이터들로 재구성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5c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간 기준에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고,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됨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c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10) 상에 표시하고, 복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간 인디케이터 중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예컨대, d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c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d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d 시간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예컨대,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d 시간 인디케이터 및 c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레벨의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L2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상위 레벨의 L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L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d 위치 인디케이터 및 c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L2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아웃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토글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사용자 입력(400)을 수신할 수 있다.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400)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L2 위치 인디케이터 및 L2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L2 위치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T1 위치 인디케이터 및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고, L2 시간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T1 시간 인디케이터 및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b의 설명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5d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간 기준에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고, 시간 기준에서 공간 기준으로 변경됨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d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위치 인디케이터 중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예컨대, a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d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a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위치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예컨대, T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T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위치 인디케이터 및 c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T1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를 줌-아웃하여, 지도(1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레벨의 T1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T1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상위 레벨의 T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T1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시간 인디케이터 및 c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L1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기준에서 공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토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500)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500)은 토글 인터페이스(30) 내의 토글 바의 비활성화된 부분에 대한 싱글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500)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T1 위치 인디케이터 및 T1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10)의 스케일 및 경계를 기준으로 T1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고, 타임라인(20)의 스케일 및 인터벌을 기준으로 T1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T1 위치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L1 위치 인디케이터 및 L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고, T1 시간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L1 시간 인디케이터 및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T1 위치 인디케이터는 a 위치 인디케이터 및 c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므로, a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1 위치 인디케이터 및 c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다. 또한, T1 시간 인디케이터는 a 시간 인디케이터 및 c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므로, a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1 시간 인디케이터 및 c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구성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공간 기준의 인디케이터들을 시간 기준의 인디케이터들로 재구성할 수 있다.
도 5e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5e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간 기준에서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고, 시간 기준에서 공간 기준으로 변경됨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e의 왼쪽 위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시간 인디케이터 중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예컨대, d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e의 오른쪽 위를 참조하면, d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 또는 제 4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d 시간 인디케이터를 현재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예컨대,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d 시간 인디케이터 및 b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임라인(20)을 줌-아웃하여, 타임라인(20)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레벨의 T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재구성된 T2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상위 레벨의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의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d 위치 인디케이터 및 b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인 T2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를 줌-아웃하여, 지도의 스케일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기준에서 공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토글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사용자 입력(500)을 수신할 수 있다.
공간 기준에서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500)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T2 위치 인디케이터 및 T2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T2 위치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L1 위치 인디케이터 및 L2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고, T2 시간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레벨인 L1 시간 인디케이터 및 L2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e의 설명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S10).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인터페이스는 지도 및 지도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는 타임라인 및 타임라인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0).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 저장부로부터 미리 저장된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지도 인터페이스의 지도 상에 표시하고, 각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 인터페이스의 타임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S30). 여기서,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위치 인디케이터를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상에서 위치 인디케이터의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b에서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시간 인디케이터를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타임라인 상에서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c에서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치 인디케이터 또는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시공간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공간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시공간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위치 인디케이터 또는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d 내지 도 4g에서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글 인터페이스 상의 기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 상의 관심 영역 또는 타임라인 상의 관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길이는 정확한 값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길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길이는 실질적인 길이를 나타낼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표시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Claims (22)

  1. 지도를 포함하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는 제 1 시공간 컨텐츠를 포함함,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기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되,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복수의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기 재구성된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지도의 스케일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복수의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흩어지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기 재구성된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하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타임라인의 스케일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은 더블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클릭 입력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 상에서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의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기 재구성된 위치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가 하나의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의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제 1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시간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기 재구성된 시간 인디케이터에 연관된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재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가 하나의 상위 레벨의 위치 인디케이터로 모이는 에니메이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공간 컨텐츠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시공간 컨텐츠를 더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사용자 입력은 싱글 터치 입력 또는 싱글 클릭 입력인,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공간 컨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토글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글 인터페이스 상의 기준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기준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 1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지도를 포함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및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타임라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공간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디케이터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고, 각 시공간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인디케이터를 상기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위치 인디케이터 및 상기 시간 인디케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시공간 컨텐츠의 위치 인디케이터 및 시간 인디케이터는 서로 연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08966A 2014-08-21 2014-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966A KR101608037B1 (ko) 2014-08-21 2014-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966A KR101608037B1 (ko) 2014-08-21 2014-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117A true KR20160023117A (ko) 2016-03-03
KR101608037B1 KR101608037B1 (ko) 2016-04-01

Family

ID=5553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966A KR101608037B1 (ko) 2014-08-21 2014-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22A (ko) * 2016-12-05 2018-06-14 김창수 Gis연동 감정평가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228A (ko) 2006-09-28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228A (ko) 2006-09-28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22A (ko) * 2016-12-05 2018-06-14 김창수 Gis연동 감정평가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037B1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745B1 (ko) 지능적으로 선택된 대표 미디어 항목들을 갖는 미디어 브라우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769826B2 (en) Visual task board visualization
US8839091B2 (en) Presenting faceted data on a user interface
CN104067211A (zh) 使用直接操纵进行自信的项目选择
US2017013955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40028000A (ko) 문서 훑어보기 및 탐색 기법
TWI417782B (zh) 具有觸控顯示介面之電子裝置及依時間區間顯示影像圖示之方法
WO2022028310A1 (zh) 添加批注的方法、电子设备及相关装置
KR20120026836A (ko)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16080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29279A1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US8949288B1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accessing media
US11604835B2 (en)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media items
KR20140022217A (ko) 캘린더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액자 및 그 동작 방법
AU2022261717B2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US20150088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content
CN106775222B (zh) 维度信息显示方法和装置
WO2020227273A1 (en) 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CA2792127C (en) Desktop for a computer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Vetter Cross-Display Pointing and Content Transfer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