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475A -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475A
KR20160022475A KR1020140107968A KR20140107968A KR20160022475A KR 20160022475 A KR20160022475 A KR 20160022475A KR 1020140107968 A KR1020140107968 A KR 1020140107968A KR 20140107968 A KR20140107968 A KR 20140107968A KR 20160022475 A KR20160022475 A KR 20160022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
sows
feed
feed composition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619B1 (ko
Inventor
조익환
이성훈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조성물을 포유모돈에 급여하였을 때 생산되는 돈유를 섭취한 자돈은 체내 혈중 면역글로불린농도가 증가되어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유시 자돈체중이 증가되어 자돈의 성장속도 및 이유후 육성율의 개선과 출하일령의 단축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포유모돈은 유생산량이 증가하였음에도 체중이 감량되지 않고 모돈의 혈중 공액리놀레산(CLA, conjugated linoleic acid)수준의 증가로 모돈혈청 및 돈유내 면역글로불린G의 농도가 증가되고 모돈의 내병성(耐病性)과 연산성(連産性)이 향상되어 영양학적, 기능적, 품질 측면에서 모돈과 자돈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유모돈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eed composition for lactating sows nursing pig comprising conjugated linoleic acid fortifying pig lets immunity and fee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면역이 강화된 자돈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유모돈은 어미돼지가 자돈를 분만한 후 포유중에 있는 암퇘지를 말하며(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모돈 1마리가 연간 생산한 자돈의 약 7두가 출하일령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폐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체 폐사돼지 중 74%정도는 자돈이고 자돈의 폐사율 증가는 포유기간 동안 모유를 통한 자돈의 면역성분 전달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자돈의 폐사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포유기간 동안 자돈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포유기동안 모체로부터 충분한 면역물질과 영양물질을 공급받고 자란 자돈은 폐사율이 적었으며 체중이 증가하고 성장속도가 빨라 돼지의 출하일령을 단축시킴으로 농가의 생산경영비 절감에도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전국 양돈농가 전산성적 분석보고서, 2011).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7월부터 법적으로 사료내 항생제 사용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자돈의 폐사율증가가 더욱 우려되고 있으므로 자돈의 면역력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CLA(conjugated linoleic acid)는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이성질체로서, 천연적으로는 소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미생물에 의해 다가불포화지방산이 수소첨가 과정을 거치면서 생산되는 기능성 불포화지방산이다. CLA는 반추동물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우유, 쇠고기, 치즈 등)에는 존재하나, 돼지와 닭을 비롯한 단위동물이 생산하는 축산물(닭고기, 계란, 돼지고기, 오리고기 등)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알려진 CLA 이성질체는 최소 28종 이상 존재하고, 이들 이성질체 중 cis-9, trans-11, trans-10 및 cis-12가 가장 강력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CLA이성체는 항암, 체지방 감소, 면역반응조절 등 다양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Y. et al., Cosupplementation of dietary calcium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mproves bone mass in mice. J. Food Sci., 73, 556-560, 20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18235호 에는 CLA를 난계 사료에 첨가하여 CLA가 함유된 기능성 달걀생산에 대하여 개시되어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367호는 항생제 대체를 목적으로 게르마늄 흑운모를 가축사료에 배합하는 사료조성물이 개시되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6456호는 가축의 면역력 증강을 특히 IgG 증가를 위하여 구성지방산의 탄소수가 12이하인 것을 가축사료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그러나 탄소수 18의 CLA를 포유모돈전용 사료에 배합 후 모돈에 급여하여 젖을 매개로 자돈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포유모돈전용 사료 및 그 자돈의 사육방법에 대하여는 개시되거나 암시 또는 교시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 동물의 면역력 증강에 우수한 소재인 공액리놀레산(CLA)을 포유중인 모돈의 사료에 급여하여 모유를 통한 자돈에 면역력과 성장속도를 향상시키는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포유모돈전용 사료의 투여에 의한 면역이 증강된 자돈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CLA를 농도별로 함유하는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을 분만 전후의 포유모돈에 급여하는 단계와; 상기 포유모돈의 돈유를 채취하여 돈유내 성분분석을 실시하는 단계와; 모유생산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자료를 근거로 포유모돈에 대한 적정 CLA급여 수준에서 급여 전후 포유모돈의 체중변화 및 포유모돈과 자돈의 혈액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모돈 혈청, 돈유 및 자돈 혈청내 면역글로불린 분석을 통하여 생산된 면역강화자돈의 체내수준을 확인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CLA가 적정수준으로 함유된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을 제조하여 분만전후의 포유모돈에 포유기간 동안 급여함으로써 포유모돈에서 생산된 돈유를 섭취한 자돈의 체내 면역글로불린을 증가시켜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고, 자돈의 성장속도 및 이유 후 육성율의 개선과 출하일령의 단축시켜 영양학적, 기능적, 품질 측면에서 자돈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CLA를 함유한 포유모돈전용 사료를 식이한 모돈에서 생산된 젖을 포유하고 자란 자돈의 혈청내 IgG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CLA를 함유한 포유모돈전용 사료를 식이한 모돈에서 생산된 젖을 포유하고 자란 자돈의 혈청내 CLA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CLA는 리놀레산(linoleic acid)함량이 높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옥수수유(corn oil) 및 홍화씨유(safflower seed oil)로부터 합성된 고순도의 CLA(순도 75%이상, HK Biotech Co., Ltd)를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영양적 수준은 한국사양표준 돼지(2007)에서 제시된 수준을 따랐다. 이 때, 돼지사료는 옥수수, 소맥, 소맥피, 미강, 대두박, 채종박, 팜박, 면실박, 제1인산칼슘, 선회석, 우지, 염화나트륨, 비타민 및 광물질 혼합물, 리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CLA함유 포유모돈 사료조성물에 CLA가 1중량% 이상에서는 면역활성이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1중량% 내외의 CLA를 함유하는 포유모돈 사료조성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실험예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만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제조
CLA함유 사료조성물의 CLA는 사료조성물 총중량대비 0중량%, 0.25중량%, 0.5중량%, 1중량% 및 2중량% 농도로 조절하여 옥수수, 소맥, 소맥피 등의 원료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료내 단백질과 에너지함량을 동일하게 하였고, CLA 배합에 따른 사료내 에너지 수준을 맞추기 위하여 대두유(soybean oil)를 활용하였다. 또한, 각 수준별 사료내 CLA(중량%) 표시량은 고순도 CLA첨가량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화학적 순도를 적용한 CLA(중량%)값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된 각종 원료는 돼지 사료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표 1]에 나타난 원료의 종류 및 배합비는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조성예로 항상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배합비
원료 배합비 (중량 %)
CLA제제1 0 0.25 0.5 1 2
옥수수 45.5 45.5 45.5 45.5 45.5
소맥 8 8 8 8 8
소맥피 5 5 5 5 5
미강 12.25 12.25 12.25 12.25 12.25
대두박 15 15 15 15 15
채종박 5 5 5 5 5
팜박 1.6 1.6 1.6 1.6 1.6
면실박 1 1 1 1 1
대두유 2 1.75 1.5 1 0
제1인산칼슘 0.1 0.1 0.1 0.1 0.1
석회석 1.67 1.67 1.67 1.67 1.67
우지 2 2 2 2 2
염화나트륨 0.6 0.6 0.6 0.6 0.6
비타민/광물질혼합물2 0.2 0.2 0.2 0.2 0.2
L-Lysine HCl 0.08 0.08 0.08 0.08 0.08
합계(중량%) 100 100 100 100 100
1CLA의 지방산조성 : 총지방산 100g당 C16:0 6.57g, C18:0 2.45g, C18:1cis-9 10.01g, C18:2n-6 1.76g, CLA cis-9,trans-11 33.91g, CLA trans-10,cis-12 41.47g을 함유하고 있다.
2비타민/광물질혼합물 : 사료 당 비타민A 10,000IU, 비타민D3 2,000IU, 비타민E 44, 비타민 K3 2, 비타민 B1 1.3, 비타민 B2 4.0, 비타민 B6 1.3, 비타민 B12 0.015, 판토텐산 12, 니코틴산 20, 비오틴 0.2, 폴산 1.3, 철 80, 구리 5, 코발트 0.30, 아연 50, 망간 20, 요오드 0.14을 포함하고 있다.
<실험예 1>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성분
(1) 일반성분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일반성분은 AOAC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LA 배합농도에 따른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일반성분은 차이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CLA 배합 농도에 따른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일반성분
항목 CLA 농도별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CLA 0중량% CLA 0.25중량% CLA 0.5중량% CLA 1중량% CLA 2중량%
수분(%) 11.48 11.56 11.62 11.63 11.52
조단백질(%) 16.36 16.32 16.32 16.43 16.38
조지방(%) 10.08 10.03 9.82 9.94 10.04
조섬유(%) 3.62 3.37 3.20 3.37 3.40
조회분(%) 5.06 4.97 4.96 5.03 4.92
가용무질소물(%) 53.40 53.75 54.08 53.60 53.74
칼슘(%) 0.74 0.74 0.72 0.78 0.71
인(%) 0.51 0.47 0.46 0.52 0.46
라이신(%) 0.83 0.83 0.83 0.83 0.83
가소화에너지(㎉/㎏) 3449 3449 3449 3449 3449
(2) 지방산 성분
지방산 분석방법을 알려주세요.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LA 배합농도에 따른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지방산조성은 CLA수준의 증가로 사료내 CLA함량이 증가하였고, CLA 중량%의 사료조성물에서 총 지방산 중 14.97% 함유하였다. 또한 사료내 CLA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6:n-3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 배합 농도에 따른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지방산
지방산(총지방산 중 %) CLA 농도별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지방산
CLA 0중량% CLA 0.25중량% CLA 0.5중량% CLA 1중량% CLA 2중량%
총지방산(g/㎏ 사료) 75.35 74.23 73.97 75.86 74.73
C14:0 1.67 1.58 1.60 1.69 1.63
C16:0 18.66 22.54 18.01 18.37 17.55
C16:1n-7 1.33 1.23 1.26 1.35 1.29
C18:0 8.04 7.22 7.45 7.95 7.32
t11-C18:1 0.30 0.30 0.32 0.35 0.32
t9-C18:1 0.31 0.27 0.26 0.23 0.28
c9-C18:1 34.38 32.41 33.76 33.50 32.13
C18:2n-6 32.32 29.55 30.76 26.17 22.82
C18:3n-6 0.46 0.44 0.45 0.47 0.45
C18:3n-3 2.06 1.82 1.78 1.49 0.95
c9,t11-CLA 0.00 1.04 1.84 3.88 6.86
t10,c12-CLA 0.00 0.97 1.78 3.91 6.99
C20:4n-6 0.07 0.07 0.07 0.07 0.07
MUFA1 36.31 34.21 35.59 35.43 34.02
PUFA2 34.95 34.13 37.04 36.29 39.30
UFA3 71.26 68.34 72.63 71.72 73.32
SFA4 28.74 31.66 27.37 28.28 26.68
n-6:n-3 15.69 17.02 18.63 20.51 31.92
CLA5 0.86 2.22 3.94 8.04 14.97
1monounsaturated fatty acid(단가불포화지방산)의 합
2polyunsaturated fatty acid(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합
3unsaturated fatty acid(불포화지방산)의 합
4saturated fatty acid(포화지방산)의 합
5CLA이성질체의 합
<실험예 2>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급여시 체중변화
버크셔(Berkshire)종 분만 전후의 모돈 40두에게 CLA함유 사료조성물을 급여하였다. 모든 모돈은 분만 일주일 전부터 분만사의 개별 분만스톨(2.4×1.7 m)로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를 급여하였고, 분만 후부터 이유시까지 28일간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돈의 성장 및 유생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모돈 개체간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만 48시간 이내에 위탁포유를 실시하여 모돈당 9두의 자돈을 포유시켰다. 사료급여 및 사양관리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포유모돈전용 사료를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1일 2회 급여하고, 분만 당일에는 사료를 급여하지 않았고, 분만 완료 다음날부터 모돈 두당 일일 2.5 ~ 3.0 ㎏을 급여하여 점차적으로 일당 0.5 ~ 0.7 ㎏씩 사료를 증량하여 무제한 급여하였다. 물은 자동급수기에서 자유로이 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료섭취량은 1일 2회 급여량과 다음날 아침 사료급여 전 잔여사료를 수거하여 그 차이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포유기간 동안 모돈의 체지방 손실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등지방두께 변화량은 분만시와 이유시에 Digital backfat indicator(Renco lean-meter, USA)를 이용하여 1번째 및 10번째 늑골과 요추 세 부위의 정중선으로부터 5㎝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여 각각 평균값을 산출한 후, 이유시와 분만시 차이에 의하여 얻어졌다.
모든 결과자료들은 SAS program(2009)의 GLM(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처리구간 평균비교는 Duncan 다중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유의성은 5%수준(p<0.05)에서 검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만직후 모돈체중은 236.14±15.89 ㎏이었고, 산차는 4.4± 0.43산이었다. 등지방두께의 변화는 포유모돈사료내 CLA수준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CLA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가 적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당 이유자돈수는 이유시까지 살아남은 한배 새끼수를 말하는 것으로, 포유모돈 사료내 CLA첨가가 이유자돈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복당 폐사자돈수도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시체중은 자돈 한 마리의 태어난 직후의 체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유시 체중과 일당증체량은 포유모돈 사료내 CLA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포유모돈 사료내 CLA함유량이 1중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 배합 농도에 따른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포유모돈 급여시 무게변화
항목 CLA 농도별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급여 표준
오차
P<
CLA 0중량% CLA 0.25중량% CLA 0.5중량% CLA 1중량% CLA 2중량%
모돈성적
모돈수(n) 8 8 8 8 8 - -
복당
포유개시 자돈수
9 9 9 9 9 - -
복당 이유자돈수 8.75 8.62 8.87 8.87 8.75 0.50 0.8387
복당 폐사자돈수 0.25 0.38 0.13 0.13 0.25 0.50 0.8387
일일
사료섭취량(㎏/두)
5.75 5.71 5.67 5.69 5.75 0.09 0.6981
등지방두께변화(mm) -2.36 -1.96 -2.03 -1.61 -1.70 1.51 0.9760
자돈성적
생시체중(㎏) 1.47 1.47 1.49 1.51 1.50 0.21 0.9989
이유시체중(㎏) 7.43b 7.36b 7.51b 8.00a 7.98a 0.27 0.0063
일당증체량(g) 212.61b 213.17b 215.14b 230.13a 231.55a 7.15 0.0008
<실험예 3> CLA함유 사료조성물 식이 모돈의 산유량, 유성분 및 돈유내 CLA함량 조사
결과자료들은 SAS program(2009)의 GLM(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처리구간 평균비교는 Duncan 다중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유의성은 5%수준(p<0.05)에서 검정하였다
(1) 모돈의 산유량 및 유성분 함량
CLA함유 사료조성물을 식이한 모돈의 포유기간동안 산유량은 weigh-suckle-weigh(WSW)법에 따라 포유 전 1시간 동안 모돈으로부터 자돈을 격리하고 포유 전 복당 자돈체중을 측정한 후 자돈을 1시간 동안 포유시킨 다음 자돈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여 복당 자돈증체중을 계산하였다. 시간당 증체중에 24를 곱하여 일일 복당증체중을 산출하였다. 유성분함량은 포유 21일째에 포유자돈을 모돈과 분리하여 모돈에 oxytocin 20IU를 근육주사한 후 돈유를 50 mL 채취하여 -8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유모돈 사료내 CLA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유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1), CLA함유량이 1중량% 이상에서는 유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특히 CLA 1중량%와 2중량% 함유 사료군은 대조구 대비 약 12 중량% 증가하였다. 유지방함량은 포유모돈사료내 CLA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유단백질, 유당 및 무지고형물함량에 있어서, 포유모돈 사료내 CLA 함량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고형물 함량은 유지방함량 감소의 영향으로 사료내 CLA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함유 사료조성물 식이 모돈의 산유량, 유성분
항목
CLA 농도별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표준
오차
P<
CLA 0중량% CLA 0.25중량% CLA 0.5중량% CLA 1중량% CLA 2중량%
유생산량, ㎏/일 8.32b 8.31b 8.49b 9.28a 9.32a 0.18 <0.0001
유지방(중량%) 8.32a 7.84b 7.43b 6.67c 6.39c 0.27 <0.0001
유단백질(중량%) 5.16 4.96 5.18 4.96 5.03 0.37 0.8847
유당(중량%) 5.37 5.48 5.22 5.62 5.68 0.29 0.2927
무지고형물(중량%) 11.00 11.00 11.50 11.28 11.33 0.35 0.3016
총고형물(중량%) 19.32a 18.84a 18.93a 17.95b 17.72b 0.52 0.0052
(2) 돈유내 CLA함량
CLA함유 사료조성물을 식이한 돈유내 CLA분석은 internal standard로 methyl nonadecanoate(C19:0, Sigma, St Louis, MO)를 사용하여 gas chromatography (HP6890 GC-FID system, Hewlett-Packard Co.)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LA 농도 1중량% 이상에서는 산유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특히 CLA 1중량%와 2중량% 사료군은 대조구대비 약 12% 증가하여, 포유모돈사료에 CLA가 모돈의 유선을 자극하여 유량을 증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함유 사료조성물 식이 모돈의 CLA 함량
항목 CLA 농도별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표준
오차
P<
CLA 0중량% CLA 0.25중량% CLA 0.5중량% CLA 1중량% CLA 2중량%
총지방산(/돈유) 56.92 53.00 48.13 50.85 48.73 4.44 0.1526
CLA(총지방산 중 %)
c9,t11-CLA 0.20d 0.60cd 0.92bc 1.28b 3.23a 0.33 <0.0001
t10,c12-CLA 0.03c 0.28bc 0.49bc 0.77b 2.40a 0.31 <0.0001
CLA 0.29d 1.02cd 1.58bc 2.31b 6.22a 0.68 <0.0001
<실험예 4>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급여시 혈액중 IgG농도 및 CLA함량 조사
CLA를 포함하는 포유모돈 전용사료를 포유모돈에 급여한 후 모돈에서 생산된 돈유를 포유자돈이 포유함으로써 자돈의 체내 혈중 면역력 증강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유 전날(포유 27일) 아침에 자돈의 혈액을 채취하여 IgG농도를 분석하였다. 복당 무작위로 포유자돈 3두씩 선발하여 경정맥을 통하여 혈청분리용 진공시험관(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USA)을 이용하여 혈액을 5 mL 채취한 후, 4℃에서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고, 분리된 혈청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 시까지 -8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혈청내 IgG농도는 돼지 IgG ELISA Quantification Kit(references E100-104, Bethyl Laboratori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채취된 자돈혈청내 CLA분석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돈혈중 IgG농도는 증가하는 수준의 CLA를 함유하는 젖을 포유한 자돈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자돈 혈중 IgG농도는 70 ~ 83%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모돈사료내 CLA 함유량 1중량% 이상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적정 CLA 함유량은 1중량% 내외가 바람직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젖을 통하여 자돈에 CLA가 수준별로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CLA가 자돈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사료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사료의 조성물은 상기 실험예를 확인하여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대조구 사료는 CLA대신 대두유(soybean oil : CJ, 한국) 1중량%를 혼합하여 배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배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정수준의 CLA함유 포유모돈 사료조성물은 CLA가 1중량% 함유하고 있으며 그 이상의 첨가하여도 효율이 더 이상 증진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배합비
원료 배합비 (중량 %)
대조구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옥수수 45.5 45.5
소맥 8.0 8.0
소맥피 5.0 5.0
미강 12.25 12.25
대두박 16.0 16.0
채종박 5.0 5.0
팜박 1.5 1.5
면실박 1.0 1.0
대두유 1.0 0.0
CLA제제1 0.00 1.00
제1인산칼슘 0.10 0.10
석회석 1.67 1.67
우지 2 2
염화나트륨 0.6 0.6
비타민/광물질혼합물2 0.2 0.2
L-Lysine HCl 0.08 0.08
합계(중량%) 100 100
1CLA의 지방산조성 : 총지방산 100g당 C16:0 6.57g, C18:0 2.45g, C18:1cis-9 10.01g, C18:2n-6 1.76g, CLA cis-9,trans-11 33.91g, CLA trans-10,cis-12 41.47g을 함유하고 있다.
2비타민/광물질혼합물 : 사료 당 비타민A 10,000IU, 비타민D3 2,000IU, 비타민E 44, 비타민 K3 2, 비타민 B1 1.3, 비타민 B2 4.0, 비타민 B6 1.3, 비타민 B12 0.015, 판토텐산 12, 니코틴산 20, 비오틴 0.2, 폴산 1.3, 철 80, 구리 5, 코발트 0.30, 아연 50, 망간 20, 요오드 0.14을 포함하고 있다.
<실험예 5>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의 포유모돈 급여 시험
본 발명에 사용한 모돈은 실시예 1과는 달리 듀록(Duroc)종을 활용하였고, 건강상태 및 산차를 고려하여 분만전후의 모돈 18두를 공시하여 대조구 사료와 본 발명 CLA함유 사료에 대하여 각 사료당 9두의 분만전후 모돈을 배치하였다. 실험개시시 분만 직후 모돈체중은 232.0±6.38㎏이었고, 산차는 평균 3.09 ± 0.28산이었다. 모든 모돈은 분만 일주일 전부터 분만사의 개별 분만스톨(2.4×1.7m)로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를 급여하였고, 분만 후부터 이유시까지 28일간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돈성장 및 유생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만 48시간 이내에 위탁포유를 실시하여 모돈당 9두의 자돈을 포유시켰으며 사료급여 및 사양관리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포유모돈 전용 사료를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1일 2회 급여하고 분만 당일에는 사료를 급여하지 않았고 분만 완료 다음날부터 모돈 두당 일일 2.5 ~ 3.0 ㎏을 급여하여 점차적으로 일당 0.5 ~ 0.7 ㎏씩 사료를 증량하여 무제한 급여하였다. 물은 자동급수기에서 자유로이 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포유기간 동안 모돈의 체지방 손실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등지방두께 변화량은 분만시와 이유시에 Digital backfat indicator(Renco lean-meter, USA)를 이용하여 1번째 및 10번째 늑골과 요추 세 부위의 정중선으로부터 5 ㎝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여 각각 평균값을 산출한 후 이유시와 분만시 차이에 의하여 얻어졌다.
실험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당 이유자돈수, 폐사자돈수는 CLA급여에 관계가 없이 두 사료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분만 직후와 이유시 등지방두께와 모돈의 체중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체중변화는 대조구사료에서 CLA사료에 비하여 포유기동안 체내 저장된 지방의 분해가 가속화되어 체중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CLA의 급여로 유생산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1% 향상되었고, 이유시 체중과 일당증체량은 포유모돈 사료내 CLA급여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의 포유모돈 급여시 무게변화
항목 시험처리구 표준오차 p<
대조구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모돈성적
모돈수(n) 9 9 - -
모돈산차 3.08 3.09 0.57 0.9896
복당 포유개시 자돈수 9 9 - -
복당 이유자돈수 8.70 8.60 0.26 0.7377
복당 폐사자돈수 0.30 0.40 0.26 0.7377
분만직후 등지방두께(mm) 15.56 15.33 1.37 0.8727
이유시 등지방두께(mm) 14.30 14.97 1.35 0.6295
등지방두께 변화(mm) -1.26 -0.36 0.85 0.3095
분만 직후 모돈체중(㎏) 232.19 231.82 13.16 0.9781
이유시 모돈체중(㎏) 222.16 231.52 11.83 0.4401
체중변화(㎏) -10.03 -0.31 4.26 0.0364
유생산량(㎏/일) 8.54 9.49 0.39 0.0288
자돈성적
생시체중(㎏) 1.61 1.65 0.12 0.6965
이유시체중(㎏) 7.21 8.03 0.33 0.0278
일당증체량(g) 199.94 227.75 11.21 0.0276
<실험예 6>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사료급여 후 모돈혈액성상 및 면역글로불린 변화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을 포유모돈에 급여한 후, 모돈의 체내 대사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유 전날(포유 27일) 아침에 모돈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돈의 채혈은 경정맥을 통하여 혈청분리용 진공시험관(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USA)을 이용하여 혈액을 5 mL 채취한 후, 4℃에서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고 분리된 혈청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시까지 -8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돈유와 자돈혈액내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돈유와 자돈혈액은 상기에 실험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사료를 급여한 모돈에서 총지질과 유리지방산농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대조구보다 15% ~ 44%의 감소를 보여 포유기간 동안 모돈의 체중손실을 줄였다. 또, 요소태질소는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사료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는데, 이는 혈중 요소태질소는 체내 저장된 질소화합물, 즉 단백질의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NH3, ammonia)가 간에서 요소(urea)로 합성되어 혈중에 나타나는 것으로, CLA가 포유기간 동안 모돈체내 단백질의 분해를 감소시켜 모돈의 체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돈혈청내 면역글로불린농도(IgG)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자돈의 혈청에서도 면역글로불린이 CLA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약 1.6배정도 증가하여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는 면역강화자돈의 생산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포유모돈 급여시 모돈혈액성상 및 면역글로불린 변화
항목 시험처리구 표준오차 p<
대조구 본 발명 CLA함유 포유모돈 전용 사료조성물
모돈혈액성상
총지질 225.50 191.50 24.13 0.2085
T4(㎍/dL) 2.88 3.01 0.18 0.4661
유리지방산(μEq/L) 306.50 170.44 64.77 0.0484
포도당(mg/dL) 72.42 76.73 5.46 0.4586
총콜레스테롤(mg/dL) 97.50 99.91 6.58 0.7180
중성지방(mg/dL) 19.33 21.36 3.07 0.5151
LDL-콜레스테롤(mg/dL) 50.33 49.40 4.08 0.8213
HDL-콜레스테롤(mg/dL) 49.75 47.46 4.47 0.6130
요소태질소(mg/dL) 13.49 11.60 0.66 0.0134
총단백질(g/dL) 7.19 7.11 0.17 0.6358
Immunoglobulin G
모돈혈청(mg/dL) 596.42 889.33 41.54 <0.0001
돈유(mg/dL) 42.16 52.06 4.11 0.0468
자돈혈청(mg/dL) 187.78 253.88 26.48 0.0189
본 발명은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유모돈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 CLA 함유 사료조성물을 분만전후의 포유모돈에 급여함으로써 젖을 통한 모체이행을 유도하여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는 면역강화 자돈을 생산하여 자돈 폐사율감소 및 출하일령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가축사료 및 축산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돼지사료에 75% 이상 순도의 공액리놀레산(CLA)이 돼지사료 총 중량대비 0.25중량% ~ 2중량% 농도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2. 돼지 사료 총 충량대비 0.19 ~ 1.5중량%의 CL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것이 특징인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4. 제 3항의 사료조성물을 모돈의 분만 1주일 전부터, 분만 후 이유시까지는 4주간 1일 2회 식이하여 사료조성물의 총지방산 중 CLA가 2.22중량% ~ 14.97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특징인 포유모돈의 사육방법.
  5. 제 4항의 포유모돈의 사육방법에 따라 총지방산 중 CLA가 1.02중량% ~ 6.22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포유모돈의 돈유.
  6. 제 5항의 포유모돈의 돈유를 식이하여 자돈혈청 중 IgG가 218.33㎎/dL ~ 376.67 ㎎/dL 함유시키는 것이 특징인 자돈.
  7. 제 6항의 방법에 따라 사육되어 자돈혈청내 CLA가 총 지방산 중 0.38 ~ 3.57 중량% 수준에 이른 것이 특징인 포유모돈의 돈유.
KR1020140107968A 2014-08-19 2014-08-19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68A KR101788619B1 (ko) 2014-08-19 2014-08-19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68A KR101788619B1 (ko) 2014-08-19 2014-08-19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75A true KR20160022475A (ko) 2016-03-02
KR101788619B1 KR101788619B1 (ko) 2017-10-23

Family

ID=5558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68A KR101788619B1 (ko) 2014-08-19 2014-08-19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3171A (zh) * 2018-07-27 2018-12-21 普定县景凤种养殖专业合作社 一种增加母猪泌乳的饲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023A (ko) 2021-06-30 2023-01-09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강정사양에 적합한 모돈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강정사양에 의한 모돈 사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869A (en) 1998-02-20 2000-03-28 Natural Nutrition Ltd. Bulk animal fee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AU2001265273B2 (en) 2000-06-01 2006-11-23 Jbs United, Inc. Animal food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3171A (zh) * 2018-07-27 2018-12-21 普定县景凤种养殖专业合作社 一种增加母猪泌乳的饲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619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Effects of feeding oilseeds rich in linoleic and linolenic fatty acids to lactating ewes on cheese yield and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milk and cheese
Lanza et al. Lamb meat quality as affected by a natural or artificial milk feeding regime
Rooke et al. Feeding tuna oil to the sow at different times during pregnancy has different effects on piglet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at birth and subsequent growth
Zhang et al. Effects of flaxseed supplementation to lactating ewes on milk composition, cheese yiel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ilk and cheese
Pegolo et al.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in the detailed fatty acid profile of Mediterranean buffalo milk determined by 2-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
Bai et al. Effects of fat sources in sow on the fatty acid profiles and fat globule size of milk and immunoglobulins of sows and piglets
Bondo et al. Administration of RRR‐α‐tocopherol to pregnant mares stimulates maternal IgG and IgM production in colostrum and enhances vitamin E and IgM status in foals
Moallem et al. The effects of omega-3 α-linolenic acid from flaxseed oil supplemented to high-yielding dairy cows on production, health, and fertility
Wang et al. Influence of restricted grazing time systems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in growing lambs
KR101788619B1 (ko)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돈의 면역강화 기능성 포유모돈전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hen et al. Effect of δ-aminolevulin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arameters and the immune response of weanling pigs challenged with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Nagamine et al. Use of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as feed ingredients for growing male goats
Ebdi et al.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anola oil and diet mixing time length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lipids of broilers
Baumgard et al. Effect of CLA isomers on fat synthesis during growth and lactation
Habeeb et al. Effect of Biotin supplementation to the diet of pregnant goats o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Traits and performance of their kids during suckling period
Kowalska Effect of essential unsaturated fatty acids in fish oil on litters and composition of milk of rabbit does
El-Diahy et al. Effect of flaxseed oil supplemention during pre and postpartum on some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productive performance of Friesian cows
Hadipour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mel hump fat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tibody responses and blood metabolites in fattening lambs
Brzozowska et al. The use of energy-protein supplement increases performance of high-yielding dairy cows and improves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milk
US8445041B1 (en) Dehydrated castor oil as an animal feed supplement
Lin et al. Effects of supplemental energy sources and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s (CLA)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lactating Holstein cows
Abdelsalam et al. Effect of parity on fatty acids of Saudi camels milk and colostrum
Selmi et al. Effect of the nature of the energy source (barley or triticale) on the production, milk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 of Sicilo-Sarde dairy ewe’s in the milking period
Brzozowska et al. Corrigendum to: The use of energy-protein supplement increases performance of high-yielding dairy cows and improves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milk
Soják et al. Time-dependent changes in milk fatty acid composition of ewes fed a winter ration supplemented with linseed or sunflower 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