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165A - 저수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수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165A
KR20160022165A KR1020140107969A KR20140107969A KR20160022165A KR 20160022165 A KR20160022165 A KR 20160022165A KR 1020140107969 A KR1020140107969 A KR 1020140107969A KR 20140107969 A KR20140107969 A KR 20140107969A KR 20160022165 A KR20160022165 A KR 2016002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ter tank
unit
water
secur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홍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0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165A/ko
Publication of KR2016002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03B1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without air regulators, i.e. without air inlet or outlet valves; water tanks provided with flexible wa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저수조 관리 시스템은 상수도 집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도를 저장하고 상수도 배수관을 통해 저장한 상수도를 마을로 제공하는 저수조와, 저수조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정보를 저수조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경보 발생부로 전달하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를 포함하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저수조에 대한 센싱 정보뿐만 아니라 저수조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부, 저수조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며 저수조의 외부 환경 정보와 주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 모듈부, 카메라 모듈부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센싱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모듈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저수조 정보에 포함하여 경보 발생부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 그리고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저수조 보안 관제부 및 저수조 관리 시스템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수조 관리 시스템{System for water tank management}
본 발명은 저수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상수도 시설은 농어촌 지역이나 산간 벽지에서 마을의 급수를 위한 간이 상수도로 시설되는 것으로, 마을의 여기저기에 산재하여 저수로를 두어 물을 취수한 후 각 가정에 급수하도록 시설된다. 이러한 마을 상수도는 마을의 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무원이 외부 침입자를 일일이 감시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또한, 일반적인 마을 상수도는 영상 감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을 주민이나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관제 센터에서 모니터링을 할 수 없다. 또한 오지에 설치된 저수조에 저수조를 관리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저수조에 대한 전원이 없어, 저수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원격지로 실시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 모듈이 일체화한 카메라와 태양광 발전을 구비하여 저수조를 관리할 수 있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저수조 관리 시스템은,
상수도 집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도를 저장하고, 상수도 배수관을 통해 저장한 상수도를 마을로 제공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정보를 상기 저수조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경보 발생부로 전달하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상기 저수조에 대한 센싱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부; 상기 저수조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며, 저수조의 외부 환경 정보와 주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 모듈부;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상기 센싱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센싱 정보와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저수조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경보 발생부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 및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 및 상기 저수조 관리 시스템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12V, 10W의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발전 패널, 전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 또는 상기 저수조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집수부로 각각 제공될 전원을 변환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통신 모듈부는 하나의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 카메라 모듈부 및 통신 모듈부와 연동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부를 통해 상기 경보 발생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경보 발생부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 카메라 모듈부 및 통신 모듈부가 리셋되도록 제어하는 보안 관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 카메라 모듈부, 통신 모듈부, 태양광 발전부 및 보안 관제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오염 요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조의 수위를 센싱하여 저수조 수위 정보를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로 전달하는 저수조 수위 센서; 상기 저수조로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 투입기; 상기 약품 투입기의 수위를 센싱하고, 센싱한 수위 정보를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로 전달하는 약품 투입기 수위 센서; 및 상기 저수조의 뚜껑에 설치되어, 뚜껑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로 뚜껑 개폐 정보를 전달하는 뚜껑 개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통신 모듈부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저수조 정보를 정보 종류에 따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처리한 정보를 확인하여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면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저수조 정보 중 영상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의 모니터링 영상을 관제 센터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저수조의 센싱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의 설치 운용이 용이하다.
또한, 관제 센터를 통해 마을의 저수조 관리 담당자에게 저수조 운용 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상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보안 관제부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저수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은 상수도 집수부(300) 및 경보 발생부(200)와 유무선으로 연동한다. 상수도 집수부(300)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의 집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집수부의 상태를 센싱하며, 경보 발생부(200)는 상수도 집수부(300)가 센싱한 데이터 또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 자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관제부가 센싱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수조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200)가 발생한 경보는 저수조를 관리하는 관리 담당자 또는 마을 주민의 단말(400)로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은 저수조(110), 저수조 수위 센서(120), 상수도 집수관(130), 상수도 배수관(140), 약품 투입기(150), 약품 투입기 수위 센서(160), 뚜껑 개폐 센서(170) 및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를 포함한다.
저수조(110)는 상수도 집수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도를 저장하고, 상수도 배수관(140)을 통해 상수도를 마을로 제공하거나 외부로 유출하도록 한다.
저수조 수위 센서(120)는 저수조(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수도의 높이를 확인하여 저수조 수위를 센싱한다. 저수조 수위 센서(120)가 상수도 높이를 토대로 저수조 수위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저수조 수위가 저수조(110) 총 량의 1/3 이하인 경우, 저수조 수위 센서(120)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 저수조 수위에 대한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약품 투입기(150)는 저수조(110)에 저장된 상수도로 약품을 투입한다. 이때의 약품 종류나 약품 투입 방법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약품 투입기 수위 센서(160)는 약품 투입기(150)의 수위를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고, 확인한 약품 투입기(150)의 수위가 전체 총 량의 1/3 이하인 경우,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 약품 투입기 수위에 대한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약품 투입기 수위 센서(160)가 약품 투입기(150)의 수위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뚜껑 개폐 센서(170)는 저수조(110)의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뚜껑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뚜껑 개폐 정보를 생성한다.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는 저수조 수위 센서(120), 약품 투입기 수위 센서(160)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정보를 토대로 저수조(100)를 관리하고, 관리 정보를 경보 발생부(200)로 전달한다. 또한,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는 자체적으로 저수조(100)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경보 발생부(2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보안 관제부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 카메라 모듈부(182), 통신 모듈부(183), 태양광 발전부(184), 보안 관제 제어부(185) 및 보호 케이스(186)를 포함한다.
센서 정보 수집부(181)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센싱 정보에는 저수조 뚜껑 개폐 여부, 저수조(100)의 수위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부(182)는 저수조(100)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어, 저수조(100) 외부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 영상 정보에는 저수조(100)의 외부 환경 정보나 주변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정보로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 모듈부(183)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가 수신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모듈부(182)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를 저수조 정보에 포함하여 경보 발생부(200)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부(183)는 카메라 모듈부(182)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메라 모듈부(182)와 통신 모듈부(183)가 분리된 형태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통신 모듈부(183)와 카메라 모듈부(182)는 일체화된 스마트 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부(183)에서 사용하는 통신 형태로는 무선 통신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모듈부(183)는 이후 설명할 보안 관제 제어부(185)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경보 발생부(200)로 전송한다. 만약, 통신 모듈부(183)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저수조 정보 및 동작 정보 모두 경보 발생부(200)로 전송되지 못할 수도 있다.
태양광 발전부(184)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에 전력을 공급하여 카메라 모듈부(182)가 저수조(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센서 정보 수집부(181)가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 모듈부(183)가 저수조 정보를 경보 발생부(2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부(184)는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예를 들어, 비가 내리는 날 등)를 대비하여, 일정 전력을 일정 기간동안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부(184)는 12V, 10W 정도의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발전 패널과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 그리고 집수부(300)와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 서로 상이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어댑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집수부(300)에는 110V 또는 220V의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어댑터에서 변환하고,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에는 5V의 직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변환한다. 태양광 발전부(184)의 구현 형태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안 관제 제어부(185)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 카메라 모듈부(182) 및 통신 모듈부(183)와 연동하고, 연동한 각각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정상 동작 여부를 알리는 동작 정보를, 각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부(183)를 통해 경보 발생부(200)로 전송한다. 또한, 보안 관제 제어부(185)는 경보 발생부(200)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센서 정보 수집부(181), 카메라 모듈부(182) 및 통신 모듈부(183)가 리셋되어 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보호 케이스(186)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 카메라 모듈부(182), 통신 모듈부(183), 태양광 발전부(184) 및 보안 관제 제어부(185)가 외부 오염 요소(예를 들어, 먼지, 비, 눈, 바람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태양광 발전부(184)가 보호 케이스(186) 내부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보호 케이스(186) 외부에 따로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보 발생이 필요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20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발생부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하는 경보 발생부(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경보 발생부(230) 및 데이터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의 통신 모듈부(185)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저수조 정보에는 저수조 영상 정보, 저수조 뚜껑 개폐 정보, 전원 공급 여부 정보, 수위 정보 등을 포함하고, 동작 정보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의 구성 요소인 센서 정보 수집부(181), 카메라 모듈부(182) 및 통신 모듈부(183)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데이터 수신부(210)가 수신한 저수조 정보를 데이터에 맞춰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저수조 영상 정보는 통신 모듈부(183)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압축된 영상을 압축되기 전의 형태로 되돌리고, 화질을 개선하는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경보 발생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정보를 토대로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원격의 사용자 단말(400)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경보 발생 조건이라 함은, 수위 정보를 확인하여 저수조(110)와 약품 투입기(150)의 수위가 각각 저수조(110)와 약품 투입기(150) 전체 용량의 1/3 이하인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예로 한다.
또 다른 예로,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모듈(183), 카메라 모듈(182) 또는 센서 정보 수집부(181)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동작 반응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와의 통신을 통해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가 리셋(reset)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보 발생부(230)는 사전에 저수조의 뚜껑의 개폐 여부에 대해 입력된 데이터와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보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시간에 저수조 청소 등의 원인을 통해 저수조 뚜껑이 열릴 것을 알리는 정보가 미리 전달되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뚜껑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간 이외에 열려있다고 가정한다면, 저수조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데이터 저장부(240)는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처리한 저수조 영상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저장한다. 저장한 저수조 영상 정보는 임의의 시간 동안만 저장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저수조 관리자가 원격에서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데이터 저장부(240)는 저장되어 있는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의 상수도 집수관(130)과 연결되어 상수도를 저수조(120)로 제공하는 상수도 집수부(300)의 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집수부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 집수부(300)는 집수부(310), 모터(320), 전원 센서(330) 및 개폐 센서(340)를 포함한다.
집수부(310)는 모터(320)를 통해 구동되어 상수도를 집수한다.
모터(320)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의 태양광 발전부(18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집수부(310)가 상수도를 집수할 수 있도록 모터를 가동한다.
전원 센서(330)는 집수부(300)의 모터(320)가 태양광 발전부(18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센싱한다. 만약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 전달한다.
개폐 센서(340)는 집수부(310)가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한다. 그리고 센싱한 집수부(310)의 개폐 여부에 대해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수부(300)에서도 동작 정보와 집수부 개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로 전달하여 관리될 수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환경에서 저수조 관리 시스템이 저수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은 집수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정보,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 자체적으로 센싱한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S100).
여기서 센싱 정보는 저수조 정보와 동작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센싱 정보에는 집수부 개폐 정보, 집수부 전원 공급 여부 정보, 저수조 뚜껑 개폐 정보, 저수조 수위 정보, 약품 투입기 수위 정보를 포함하는 저수조 정보와,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보를 저수조 정보와 동작 정보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영상 정보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부(182)가 수집한 저수조를 포함하는 주변 영상 정보를 의미한다.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면, 카메라 모듈부(18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 모듈부(183)는 저수조 정보와 동작 정보를 경보 발생부(200)로 전달한다(S110). 경보 발생부(200)는 수신한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S120), 경보 발생이 필요한지 판단한다(S130).
예를 들어, 저수조(110)의 수위가, 저수조(110)에 상수도를 저장할 수 있는 전체 높이의 1/3 이하로 떨어져 있다거나, 저수조(110)의 뚜껑이 사전에 입력한 계획과 달리 열려 있거나 닫혀 있는 경우, 또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 내부의 센서 정보 수집부(181), 카메라 모듈(182) 또는 통신 모듈(18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 경보 발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경보 발생부(200)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에 문제가 발생하여 경보 발생이 필요한 경우인지, 아니면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센서가 수집한 센싱 정보로부터 경보 발생이 필요한 경우인지 확인한다(S140). 만약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면 경보 발생부(200)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으로 리셋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고(S150),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은 S150 단계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시스템을 리셋한다(S160).
그러나,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정보가 미리 설정해 놓은 경보 발생 요건을 만족하여 경보 발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경보 발생부(200)는 경보를 발생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단말로 알린다(S170, S180). 여기서 경보 발생부(200)는 카메라 모듈부(182)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저수조 관리 시스템(100)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센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이나, 리셋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은 저수조 보안 관제부(180)에 포함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부(184)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저수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도 집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도를 저장하고, 상수도 배수관을 통해 저장한 상수도를 마을로 제공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정보를 상기 저수조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경보 발생부로 전달하는 저수조 보안 관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상기 저수조에 대한 센싱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부;
    상기 저수조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며, 저수조의 외부 환경 정보와 주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 모듈부;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상기 센싱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센싱 정보와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저수조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경보 발생부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 및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 및 상기 저수조 관리 시스템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
    를 포함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12V, 10W의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발전 패널, 전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 또는 상기 저수조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집수부로 각각 제공될 전원을 변환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통신 모듈부는 하나의 단말 형태로 구현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 카메라 모듈부 및 통신 모듈부와 연동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부를 통해 상기 경보 발생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경보 발생부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 카메라 모듈부 및 통신 모듈부가 리셋되도록 제어하는 보안 관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는,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 카메라 모듈부, 통신 모듈부, 태양광 발전부 및 보안 관제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오염 요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조의 수위를 센싱하여 저수조 수위 정보를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로 전달하는 저수조 수위 센서;
    상기 저수조로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 투입기;
    상기 약품 투입기의 수위를 센싱하고, 센싱한 수위 정보를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로 전달하는 약품 투입기 수위 센서; 및
    상기 저수조의 뚜껑에 설치되어, 뚜껑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저수조 보안 관제부로 뚜껑 개폐 정보를 전달하는 뚜껑 개폐 센서
    를 포함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통신 모듈부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저수조 정보를 정보 종류에 따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처리한 정보를 확인하여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면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저수조 정보 중 영상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는 저수조 관리 시스템.
KR1020140107969A 2014-08-19 2014-08-19 저수조 관리 시스템 KR20160022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69A KR20160022165A (ko) 2014-08-19 2014-08-19 저수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69A KR20160022165A (ko) 2014-08-19 2014-08-19 저수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65A true KR20160022165A (ko) 2016-02-29

Family

ID=5544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69A KR20160022165A (ko) 2014-08-19 2014-08-19 저수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1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59B1 (ko) * 2016-04-21 2016-10-28 주식회사 지지케이 지하수상부보호관 개방 감시 장치
KR102054809B1 (ko) * 2019-07-18 2019-12-12 (주)동천기공 딥러닝을 활용한 물탱크의 수위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310B1 (ko) * 2020-01-03 2020-05-15 주식회사 문창 배수지 내부 순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59B1 (ko) * 2016-04-21 2016-10-28 주식회사 지지케이 지하수상부보호관 개방 감시 장치
KR102054809B1 (ko) * 2019-07-18 2019-12-12 (주)동천기공 딥러닝을 활용한 물탱크의 수위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310B1 (ko) * 2020-01-03 2020-05-15 주식회사 문창 배수지 내부 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200B1 (ko) 원격검침설비를 이용한 배전 gis 기반의 정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8583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361650B2 (en) Wireless leak alarm camera and sensors, and wireless valv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80243391A1 (en) Information Managing/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1008707B1 (ko) 알에프아이디와 지그비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태양전지판 도난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201331A (ja) 蓄電池搭載機器の保守運用システム
US20160037131A1 (en) Remote trespassing detection and notificaiton system and method
CN110036562B (zh) 用于生成、储存和分配电力的自动且可移动装置
CN105955212A (zh) 智能家居平台及基于智能家居平台的家居环境监控方法
CN102852426A (zh) 一种内置电网和摄像系统的智能保险箱
KR20160022165A (ko) 저수조 관리 시스템
CN106447873A (zh) 基于物联网的5g基站的在线管理系统
CN109309933A (zh) 一种手机信号户外微型基站监控系统
KR101655321B1 (ko) 가로등 전력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CN106603862A (zh) 一种基于手机端的智能取水系统
CN103294017A (zh) 一种基于Zigbee的家居漏湿监测装置
US11372033B1 (en) Electric power monitoring system
KR102056845B1 (ko) 소규모 수도 시설용 스마트 배전반
KR100796143B1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Raghavendran SMS based wireless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2082178B1 (ko)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CN204624400U (zh) 一种可远程监控的垃圾箱
KR101319608B1 (ko) 원격 전원제어장치를 이용한 영상장치
CN108128196B (zh) 一种共享单车的无线充电系统
CN11115555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井盖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