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356A -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356A
KR20160021356A KR1020140105983A KR20140105983A KR20160021356A KR 20160021356 A KR20160021356 A KR 20160021356A KR 1020140105983 A KR1020140105983 A KR 1020140105983A KR 20140105983 A KR20140105983 A KR 20140105983A KR 20160021356 A KR20160021356 A KR 20160021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representative card
otp
payment mean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331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31B1/ko
Priority to JP2015159155A priority patent/JP6395678B2/ja
Priority to US14/825,445 priority patent/US11257068B2/en
Publication of KR2016002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5Personalisation of cards for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보안 기능이 강화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결제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AYMENT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체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휴대 및 사용의 편의성에 의하여 신용 카드, 체크 카드, 직불 카드, 현금 카드 등 카드 형태의 결제 수단(이하, '결제 카드'라 칭함)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다.
결제 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은 가맹점 측에 설치된 단말기에 카드 거래 승인에 필요한 정보(예컨대, 카드번호, 유효기관, 카드 발급사 등)를 제공하면 가맹점에서 해당 카드사에 거래 승인을 의뢰하고 승인된 결과를 토대로 결제 처리가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 카드 결제 서비스 방법은 실제 카드 정보가 가맹점에 노출된 상태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개인의 카드 정보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결제 카드의 카드 번호 및 유효 기간은 카드 폐기 시점까지 반복 사용되기 때문에 해킹을 통하여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6353호(공개일 2002년 12월 31일) "일회용 가상 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는 일회용 가상 카드를 매번 새로 생성하여 결제에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 기술은 일회용 가상 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 바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이 비대해질 뿐만 아니라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결제가 필요할 때마다 일회용 가상 카드를 발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결제가 어렵고 그 절차 또한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다.
결제 수단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든 결제 수단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표 카드에 설정된 결제 수단을 편리하게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표 카드에 대한 보안 문제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카드는 OTP(One Time Password)를 이용한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이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 관련된 금융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는 결제 요청에 따라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결제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제1 OTP를 수신하고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제2 OTP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카드는 OTP를 이용한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이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결제 수단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결제 수단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또는 가맹점 정보에 따라 대표 카드로 대체될 수 있는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 및 변경함으로써 결제 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장의 대표 카드를 소지하는 것만으로 실제 결제 수단을 일일이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결제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편리하고 익숙한 사용자 경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대표 카드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결제 보안을 더욱 강화하여 안전한 결제를 보장할 수 있고 대표 카드의 분실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비밀 번호가 아닌 무작위로 생성되는 일회용 비밀번호(One Time Password)를 이용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동일한 비밀 번호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보안 상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로 대신할 수 있는 결제 수단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결제 모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맹점과 금융 기관(예컨대, 카드사, 은행, 통신사 등) 간의 결제 과정을 중계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중계 결제 모델에 관한 것이며, 이는 일반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대면 결제 환경 및 온라인에서의 비대면 결제 환경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 수단은 카드(신용 카드, 체크 카드, 모바일 카드 등), 계좌, 휴대폰, 마일리지, 쿠폰, 상품권 등 결제 금액을 지불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지불 수단은 물론, 더 나아가 마일리지 적립 카드와 같이 결제 금액에 대하여 정해진 혜택을 지급받을 수 있는 지급 수단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서비스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사용자 단말(101), 가맹점 단말(103), 금융사 서버(105),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구성 간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은 금융사 서버(105)와 연동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중계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전자 지갑 앱'이라 칭함)과 결제 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관리나 처리를 위한 인터넷 상의 플랫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1)에서 실행되는 전자 지갑 앱과의 연동을 통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모든 결제 수단을 통합하여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은 금융사 별로 일대일 시스템 형태로 구축되거나, 여러 금융사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위해 통합 시스템으로 별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표 카드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 또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과 관련된 기관에서 발급되는 것으로, 신용 카드와 같은 실물 카드이거나 혹은 다차원 코드(예컨대, 바코드, QR 코드 등) 등의 형태로 발급될 수 있다. 또한, 대표 카드는 카드를 식별하기 위한 일련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실물 카드의 경우 카드 일면에 일련 번호가 기재될 수 있고, 다차원 코드의 경우 일련 번호가 코드화 되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의 대면 결제 환경 또는 온라인 쇼핑몰의 비대면 결제 환경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주체로, 대표 카드를 가맹점에 제시하면서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인 사용자 단말(101)에는 전자 지갑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된 전자 지갑 앱 이외에도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관된 프로그램으로서 플러그 인(plug-in) 형태로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01)이나 사용자 단말(101)의 웹브라우저를 제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플러그 인(plug-in)은 제3자가 만든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가 표시할 수 없는 각종 형식의 파일을 웹브라우저의 윈도 내에 표시되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웹브라우저와 일체로 동작하여 별도의 응용 윈도를 열지 않아도 마치 웹브라우저 자체가 그 파일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동작하는 기술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은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관된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단말(101)은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관된 프로그램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맹점은 오프라인 매장의 대면 결제 환경 또는 온라인 쇼핑몰의 비대면 결제 환경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주체로, 사용자가 제시한 대표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점에서 이용되는 단말 장치인 가맹점 단말(103)은 대면 결제 환경의 경우 가맹점에 설치된 POS(point of sales)와 같은 전용 결제 단말이나 결제를 위한 서비스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통신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비대면 결제 환경에서는 가맹점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 또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결제 서버에서 가맹점 단말(103)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 가맹점 단말(103)은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과의 통신을 통해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105)는 카드사, 은행, 통신사, 마일리지사, 쿠폰 대행 업체 등 사용자를 대상으로 결제 수단을 발급 내지 발행할 수 있는 모든 기관의 서버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 카드의 분실 등에 대비한 보안 결제 방안으로 사용자 단말(101) 상의 전자 지갑 앱과 연동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또 다른 보안 결제 방안으로 고정된 비밀 번호가 아닌 무작위로 생성되는 일회용 비밀번호(One Time Password: 이하, 'OTP'라 칭함)를 이용하여 대표 카드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OTP를 이용한 인증 방식으로는 (1) 결제 중계 서버 역할을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에 OTP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2) 금융사 서버(105)에 OTP 정보를 저장하고 금융사 서버(105)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3) 사용자 단말(101)에 OTP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보안 결제 방안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결제 처리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등록부(211), 설정부(212), 및 결제 처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결제 처리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5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계좌 번호, 휴대폰 번호, 쿠폰 번호, 상품권 번호 등)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예컨대, 카드 일련 번호 등)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등록부(211), 설정부(212), 및 결제 처리부(213)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등록부(211), 설정부(212), 및 결제 처리부(213)는 도 3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등록부(211)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과 결제 수단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할 수 있다. 등록부(211)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결제 수단 별로 결제에 필요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계좌 번호, 휴대폰 번호, 쿠폰 번호, 상품권 번호 등)를 등록하고, 사용자를 대상으로 발급된 별개의 고유 카드인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예컨대, 카드 번호, 코드 번호 등)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수단 및 대표 카드는 전자 지갑 앱을 통해 등록될 수 있으며, 혹은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상에서 등록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등록부(211)는 전자 지갑 앱을 통해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쿠폰 등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401)을 등록할 수 있고, 전자 지갑 앱 상에 등록된 사용자의 모든 결제 수단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402)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설정부(212)는 대표 카드에 결제 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결제 수단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설정부(212)는 단계(310)에서 등록된 결제 수단 중 특정 결제 수단을 대표 카드에 매칭하여 대표 카드에 특정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대표 카드에 매칭되는 결제 수단은 결제 시 함께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멤버십 카드, 쿠폰 등이 신용 카드와 함께 선택되어 대표 카드에 통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전에 혹은 결제 요청 시점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결제 수단이 직접 선택될 수 있고, 이에 설정부(212)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결제 수단과 대표 카드의 매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설정부(212)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결제 수단에 관한 서비스 정보(예컨대, 가맹점 정보, 할인이나 무이자 등의 혜택 정보 등)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의 결제를 요청한 시점에 사용자의 결제 수단 중 가맹점에서 가장 적합한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대표 카드에 매칭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설정부(212)는 사용자가 사전에 지역 별로 결제 수단을 지정해 놓은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예컨대, GPS 정보 등)를 기준으로 해당 지역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한 후 선택된 특정 결제 수단과 대표 카드의 매칭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설정부(212)는 사용자가 사전에 가맹점 별로 결제 수단을 지정해 놓은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가맹점 또는 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한 후 선택된 특정 결제 수단과 대표 카드의 매칭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제 수단을 선택적으로 특정하여 대표 카드와 매칭함에 따라 특정 결제 수단의 결제 역할과 권한이 대표 카드에 그대로 부여됨으로써 사용자의 실제 결제 수단을 대표 카드로 대신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대표 카드를 대표 카드에 설정된 결제 수단으로 변환한 후 해당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에 복수의 결제 수단이 매칭된 경우 복수의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쿠폰이 대표 카드에 매칭된 경우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마일리지 적립, 쿠폰 할인을 통합적으로 일괄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의 분실 등에 대비하여 소정의 보안 과정을 통해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 또는 대표 카드에 설정된 결제 수단에 대한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 번호와 사전에 설정된 비밀 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 처리부(213)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자 지갑 앱과 연동하여 전자 지갑 앱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 후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결제 처리부(213)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한적으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의 이용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된 직후부터 설정 시간(예컨대, 3분) 동안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설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결제 처리부(213)는 전자 지갑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이 결제를 요청한 가맹점과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결제 처리부(213)는 OTP를 이용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처리부(213)는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인증용 OTP를 생성하여 인증용 OTP를 해당 대표 카드와 연관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로 발송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 OTP를 수신하게 되면 인증용 OTP와 회신 OTP와 비교하여 두 OTP가 일치하는 경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부(213)는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을 요청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회신을 함께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일련 번호를 대표 카드 등록 시 사전에 등록된 일련 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한 대표 카드의 보안 방식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둘 이상의 보안 방식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대표 카드 또는 대표 카드에 설정된 결제 수단에 대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지갑 앱의 실행 시점부터 일정 시간 동안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OTP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되는 동안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OTP를 이용한 인증 절차의 수행 주체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즉, 결제 처리부(213))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은 물론, 금융사 서버에서 OTP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것 또한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러 결제 수단을 소지하거나 제시할 필요 없이 모든 결제 수단을 대표 카드가 대신할 수 있고, 대표 카드가 대신할 결제 수단을 사용자가 원하는 결제 수단 또는 자동으로 추천된 결제 수단으로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결제와 아울러 적립과 할인 과정을 한번에 통합 처리할 수 있고, 결제 수단 별로 관리되던 결제 관련 키 값을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비밀 번호나 앱과의 연동 등을 통해 여러 수준의 보안 설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의 대면 결제 환경 또는 온라인 쇼핑몰의 비대면 결제 환경에서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해 가맹점에 결제 수단을 대신하여 대표 카드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503)에서는 사용자가 제시한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가맹점 정보 등)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달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501).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에서는 가맹점 단말(503)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의 결제 수단 중에서 대표 카드가 대신할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S502). 일 예로,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해 놓은 결제 수단 중 대표 카드가 대신할 특정 결제 수단을 사전에 지정해 놓을 수 있고,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특정 결제 수단을 자동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은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501)로 특정 결제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 단말(501)로부터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은 현재 시중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결제 수단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결제 수단 중 가맹점에서 가장 적합한 결제 수단을 자동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위치 또는 가맹점 별로 대표 카드가 대신할 결제 수단을 사전에 지정해 놓을 수 있고,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수단 또는 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수단을 자동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에서는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해 단계(S502)에서 선택된 특정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금융사 서버(503)로 사용자의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503).
이에, 금융사 서버(503)에서는 사용자의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단말(501)과 가맹점 단말(503)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500)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제 승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S50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의 대면 결제 환경 또는 온라인 쇼핑몰의 비대면 결제 환경에서 상품 구매 후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자 단말(601) 상에서 전자 지갑 앱을 실행할 수 있다(S601).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600)에서는 사용자 단말(601) 상에서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되면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S602).
이후, 사용자는 전자 지갑 앱의 실행을 통해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이 활성화 되면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해 가맹점에 결제 수단을 대신하여 대표 카드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503)에서는 사용자가 제시한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가맹점 정보 등)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600)으로 전달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603).
이하의 단계들(S604 내지 S606)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계(S502 내지 S50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해당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결제 서비스 시스템(600)에서는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고 해당 시간이 경과되면 대표 카드에 부여된 결제 역할이나 권한을 해제하여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서비스 시스템(600)에서는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또는 전자 지갑 앱의 실행 후 일정 시간 동안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함으로써 대표 카드에 대한 보안 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대표 카드를 제시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703)에서는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가맹점 정보 등)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으로 전달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701).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는 가맹점 단말(703)로부터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대표 카드에 대하여 인증용 OTP를 생성한 후, 대표 카드의 결제 요청 사실과 함께 인증용 OTP를 사용자 단말(701)로 발송할 수 있다(S702). 이때,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는 SMS 등을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701)로 인증용 OTP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는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을 요청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과 함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일련 번호의 왼쪽에서 첫 번째와 세 번째, 그리고 다섯 번째 자리의 숫자)에 대한 회신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701)에서는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회신 OTP를 입력 받아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으로 송신할 수 있다(S703). 이를 위해,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는 가맹점 단말(703)의 결제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701) 상의 전자 지갑 앱과 연동할 수 있고, 이때 전자 지갑 앱에는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 OTP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이 실행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에 대한 회신이 함께 요청되는 경우 전자 지갑 앱에서는 회신 OTP와 함께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는 사용자 단말(701)로 발송한 인증용 OTP와 사용자 단말(701)로부터 수신된 회신 OTP를 비교하여 OTP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고, 이때 인증용 OTP와 회신 OTP가 일치하는 경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할 수 있다(S704). 아울러,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는 인증을 위한 회신으로 사용자 단말(701)로부터 수신된 일련 번호를 대표 카드 등록 시 사전에 등록된 일련 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추가로 인증할 수 있다.
이하의 단계들(S705 내지 S707)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계(S502 내지 S50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해당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이 OTP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결제 서비스 시스템(700)에서 사용자의 회신을 바탕으로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대표 카드를 제시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803)에서는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가맹점 정보 등)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800)으로 전달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801).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800)에서는 가맹점 단말(803)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의 결제 수단 중에서 대표 카드가 대신할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S802).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방식들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계(S502)와 동일하므로 해당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결제 서비스 시스템(800)에서는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해 단계(S802)에서 선택된 특정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금융사 서버(803)로 사용자의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대표 카드의 결제 요청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S803).
이에, 금융사 서버(803)에서는 가맹점 단말(803)이 결제를 요청한 대표 카드에 대하여 인증용 OTP를 생성한 후, 대표 카드의 결제 요청 사실과 함께 인증용 OTP를 사용자 단말(801)로 발송할 수 있다(S804). 이때, 금융사 서버(803)에서는 SMS 등을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801)로 인증용 OTP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금융사 서버(803)에서는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을 요청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과 함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일련 번호의 왼쪽에서 첫 번째와 세 번째, 그리고 다섯 번째 자리의 숫자)에 대한 회신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801)에서는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회신 OTP를 입력 받아 금융사 서버(803)로 송신할 수 있다(S805). 이를 위해, 결제 서비스 시스템(800)에서는 가맹점 단말(803)의 결제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801) 상의 전자 지갑 앱과 연동할 수 있고, 이때 전자 지갑 앱에는 인증용 OTP에 대한 회신 OTP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이 실행될 수 있다. OTP 유효성과 함께 일련 번호를 이용한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지갑 앱에서는 회신 OTP와 함께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금융사 서버(803)에서는 사용자 단말(801)로 발송한 인증용 OTP와 사용자 단말(801)로부터 수신된 회신 OTP를 비교하여 OTP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고, 이때 인증용 OTP와 회신 OTP가 일치하는 경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할 수 있다(S806). 아울러, 금융사 서버(803)에서는 인증을 위한 회신으로 사용자 단말(801)로부터 수신된 일련 번호를 대표 카드 발급 시 사전에 등록된 일련 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추가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사 서버(803)에서는 OTP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통해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이 승인 처리되면 사용자의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S806), 이후 사용자 단말(801)과 가맹점 단말(803)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800)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제 승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S807).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사 서버(803)가 OTP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금융사 서버(803)에서 사용자의 회신을 바탕으로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기 위한 인증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대표 카드를 제시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903)에서는 대표 카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가맹점 정보 등)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으로 전달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901).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에서는 가맹점 단말(903)로부터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901) 상의 전자 지갑 앱과 연동하여 대표 카드의 결제 요청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S90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901)에서는 전자 지갑 앱의 제어에 따라 대표 카드에 대한 인증용 OTP를 생성한 후 인증용 OTP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으로 발송할 수 있고(S903), 이와 동시에 전자 지갑 앱의 화면 상에 인증용 OTP를 표시할 수 있다(S904). 이때, 사용자는 오프라인 대면 결제의 경우 단말 화면을 보여주거나 온라인 비대면 결제의 경우 쇼핑몰의 서비스 화면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단말 화면 상에 표시된 인증용 OTP를 가맹점에 제시할 수 있다.
이후, 가맹점 단말(903)에서는 사용자가 제시한 인증용 OTP를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으로 송신할 수 있다(S905).
이에,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에서는 사용자 단말(901)로부터 수신된 인증용 OTP와 가맹점 단말(903)로부터 수신된 인증용 OTP를 비교하여 OTP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고, 이때 두 인증용 OTP가 일치하는 경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할 수 있다(S906).
이후,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에서는 사용자 단말(901)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대표 카드의 일련 번호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요청에 대한 사용자 회신을 통해 해당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추가로 인증할 수 있다.
이하의 단계들(S907 내지 S909)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계(S502 내지 S50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해당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901)이 OTP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결제 서비스 시스템(900)에서 가맹점과 사용자의 양측 회신을 바탕으로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010), 메모리(memory)(10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040), 전력 회로(1050) 및 통신 회로(10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000)은 단말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컴퓨터 시스템(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0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0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는 컴퓨터 시스템(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010) 및 메모리(10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0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0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0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0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0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0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0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0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지갑 앱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결제 수단을 대신할 수 있는 대표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결제 수단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또는 가맹점 정보에 따라 대표 카드로 대체될 수 있는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 및 변경함으로써 결제 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장의 대표 카드를 소지하는 것만으로 실제 결제 수단을 일일이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결제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편리하고 익숙한 사용자 경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대표 카드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결제 보안을 더욱 강화하여 안전한 결제를 보장할 수 있고 대표 카드의 분실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비밀 번호가 아닌 무작위로 생성되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동일한 비밀 번호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보안 상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결제 서비스 시스템
211: 등록부
212: 설정부
213: 결제 처리부

Claims (19)

  1.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카드는 OTP(One Time Password)를 이용한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이 승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2.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3.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 관련된 금융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는 결제 요청에 따라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4. 컴퓨터로 구현되는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결제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제1 OTP를 수신하고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제2 OTP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카드는 상기 대표 카드와 관련된 일련 번호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추가 절차를 통해 상기 결제 기능이 승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에 따라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점부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역 또는 가맹점 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결제 수단이 사전에 지정되고,
    상기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지역 또는 가맹점에 지정된 결제 수단을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는,
    금액 지불과 관련된 지불 수단과 마일리지 적립과 관련된 지급 수단을 포함한 복수 개의 결제 수단을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금액 지불과 관련된 지불 수단과 마일리지 적립과 관련된 지급 수단이 포함된 복수 개의 결제 수단이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지불 수단과 상기 지급 수단에 대한 결제를 통합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2.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카드는 OTP를 이용한 인증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이 승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 관련된 금융사 서버에서, 상기 결제 처리부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결제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제1 OTP가 수신되고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카드는 상기 대표 카드와 관련된 일련 번호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추가 절차를 통해 상기 결제 기능이 승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17. 컴퓨터 시스템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컴퓨터 시스템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 관련된 금융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는 결제 요청에 따라 제1 OTP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제2 OTP가 수신되면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컴퓨터 시스템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상기 결제 수단을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결제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제1 OTP를 수신하고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제2 OTP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OTP와 상기 제2 OTP를 비교하여 상기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결제 수단 중 상기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대표 카드에 설정된 상기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40105983A 2014-08-14 2014-08-14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27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983A KR102270331B1 (ko) 2014-08-14 2014-08-14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5159155A JP6395678B2 (ja) 2014-08-14 2015-08-11 統合機能を有するカードを利用した決済サービス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14/825,445 US11257068B2 (en) 2014-08-14 2015-08-13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aymen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983A KR102270331B1 (ko) 2014-08-14 2014-08-14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356A true KR20160021356A (ko) 2016-02-25
KR102270331B1 KR102270331B1 (ko) 2021-06-29

Family

ID=5544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983A KR102270331B1 (ko) 2014-08-14 2014-08-14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472A (ko) * 2019-02-08 2021-06-28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법인카드 기반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2812A (ko)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통합카드 결제 승인처리 방법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결제 승인처리 장치, 기록매체
KR20110064119A (ko) * 2009-12-07 2011-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결제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결제 처리 서비스 방법
KR101161778B1 (ko) * 2011-01-26 2012-07-03 주식회사 티모넷 Nfc를 이용한 pos 결제 시스템
KR101307035B1 (ko) * 2011-04-19 2013-09-11 고효남 대표 카드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2812A (ko)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통합카드 결제 승인처리 방법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결제 승인처리 장치, 기록매체
KR20110064119A (ko) * 2009-12-07 2011-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결제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결제 처리 서비스 방법
KR101161778B1 (ko) * 2011-01-26 2012-07-03 주식회사 티모넷 Nfc를 이용한 pos 결제 시스템
KR101307035B1 (ko) * 2011-04-19 2013-09-11 고효남 대표 카드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472A (ko) * 2019-02-08 2021-06-28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법인카드 기반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331B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5678B2 (ja) 統合機能を有するカードを利用した決済サービス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30289777A1 (en) Confirming Physical Possession of Plastic NFC Cards with a Mobile Digital Wallet Application
US11374943B2 (en) Secure interface using non-secure element processors
US20220207497A1 (en) Acquisition of card information to enhance user experience
EP3414869B1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location matching
US9824504B2 (en) Mobile card processing using multiple wireless devices
US10685349B2 (en) Confirming physical possession of plastic NFC cards with a mobile digital wallet application
US8880881B2 (en) Secure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U2013201076B2 (en) Fraud protection for online and NFC purchases
US20170221047A1 (en) Secure contactless card emulation
US20150278795A1 (en) Secure offline payment system
US20140052637A1 (en) Portable device wireless reader and payment transaction terminal secure memory functionality
US20130185208A1 (en) Handling transaction and trip data
US20150278796A1 (en) Reserving account balance for concurrent payments in secure offline payment system
KR20160135799A (ko) 보안 오프라인 지불 시스템
EP2805536B1 (en) Secure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a trusted server
KR20170005879A (ko) 통합 기능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10275766B2 (en) Encrypting financial account numbers such that every decryption attempt results in valid account numbers
KR102270331B1 (ko)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922748B1 (ko) 통합 기능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3109372A1 (en) Mobile card processing using multiple wireless devices
AU2014268144A1 (en) Fraud protection for online and nfc purch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