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326A -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326A
KR20160018326A KR1020150022367A KR20150022367A KR20160018326A KR 20160018326 A KR20160018326 A KR 20160018326A KR 1020150022367 A KR1020150022367 A KR 1020150022367A KR 20150022367 A KR20150022367 A KR 20150022367A KR 20160018326 A KR20160018326 A KR 20160018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bination
receiver
precod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856B1 (ko
Inventor
배정현
권혁준
이정원
강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454,512 external-priority patent/US9391685B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04L1/003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where the transmitter decides based on inferences, e.g. use of im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컴퓨팅 시스템은, 간섭 식별 수신기에서 간섭 소스로부터의 간섭 신호 및 서빙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를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는 장치간 인터페이스, 그리고 장치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수신기 설명에 기반하여 서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고, 간섭 신호 및 서빙 신호를 나타내는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고, 그리고 프리코딩 후보 세트로부터 서빙 신호와 통신하기 위한 썸레이트 상태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통신 유닛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COMPUTING SYSTEM WITH PR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신의 소비자용 및 산업용 전자 장치들, 특히 셀룰러폰, 네비게이션 시스템, PDA, 및 이들이 조합된 장치들은 모바일 통신과 같은 최신 생활을 지원하는 더 많은 수준의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현존하는 기술 분야의 연구 및 개발은 매우 다양한 방향들로 진행되고 있다.
최신 생활에서 급증하는 정보에 대한 욕구는, 사용자가 어느 때에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로 정보를 액세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통신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신호들은 다양한 소스들로부터의 다양한 간섭들뿐 아니라, 데이터 액세스의 품질 및 속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통신 포맷들로부터 비롯되는 연산의 복잡성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증가하는 사용자의 기대 및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제품 차별화의 기회가 감소함과 함께 꾸준히 증가하는 상업적 경쟁 압력의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발견하는 것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효율성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경쟁 압박을 충족하고자 하는 요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 필요성에 긴급 성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은 오래동안 조사되어 왔으나, 선행하는 개발들은 어떠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다라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은 당업자에게 이룰 수 없는 문제가 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 높은 효율성 및 성능을 갖는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은, 간섭 식별 수신기에서 간섭 소스로부터의 간섭 신호 및 서빙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를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간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장치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기 설명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 신호 및 상기 서빙 신호를 나타내는 썸레이트 상태(sum-rate condition)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로부터 상기 서빙 신호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장치간 인터페이스는 채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 설명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채널 피드백에 SVD (singular-value decomposition)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신호 추정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논리적으로 감소하는 환경 감소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추정 카테고리를 판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추정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장치간 인터페이스는 채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 설명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기 위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힌 후에 상기 서빙 신호 및 상기 간섭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적용하여 상기 서빙 신호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SVD 메커니즘 및 상기 채널 피드백에 기반하여 분해 출력 세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분해 출력 세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서빙 신호, 상기 간섭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포괄 신호 측정을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포괄 신호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서빙 신호, 상기 간섭 신호, 상기 채널 피드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롱텀 측정을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롱텀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전체 공통 세팅, 전체 전용 세팅, 특정 모델 세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신호 추정 세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 공통 세팅, 상기 전체 전용 세팅, 또는 상기 특정 모델 세팅을 선택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간섭 식별 수신기에서 서빙 신호 및 간섭 소스로부터의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를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 설명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빙 신호 및 상기 간섭 신호를 나타내는 썸레이트 상태(sum-rate condition)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통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로부터 상기 서빙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는 단계는, 채널 피드백을 포함하는 수신기 설명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피드백에 SVD (singular-value decomposition)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신호 추정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논리적으로 감소하는 환경 감소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추정 카테고리를 판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정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임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간섭 식별 수신기에서 서빙 신호 및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를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 설명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빙 신호 및 상기 간섭 신호를 나타내는 썸레이트 상태(sum-rate condition)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통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로부터 상기 서빙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는 단계는, 채널 피드백을 포함하는 수신기 설명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피드백에 SVD (singular-value decomposition)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신호 추정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논리적으로 감소하는 환경 감소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추정 카테고리를 판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정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비용, 높은 효율성 및 성능을 갖는 컴퓨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컴퓨팅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컴퓨팅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는 컴퓨팅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1의 컴퓨팅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중 전송 장치들의 서빙 신호(serving signal) 및 간섭 신호(interference signal)의 전송을 조정(coordinate)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는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receiver description)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추정 카테고리(assumption category) 및 그에 대응하는 썸레이트(sum-rate) 상태가 통신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는 추정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좁혀지거나 감소될 수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의 좁혀진 예들은, 썸레이트 상태에 기반하여 다중 전송 장치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 예들은 이 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게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기반하여, 시스템, 프로세스, 기계적 변화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괴리되지 않으면서 변형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후술되는 설명에서, 다양한 상세한 구성들이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구성들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부 잘 알려진 회로들, 시스템 구성들 및 프로세스 단계들의 설명은 생략된다.
시스템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은 개략적인 것이며, 일부 비율 및 디멘젼은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강조된다. 마찬가지로,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들의 시점들이 유사한 방향들을 보여주지만, 이는 임의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 예, 제2 실시 예 등으로 명명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거나 중요성을 구분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 코드, 펌웨어, 임베디드 코드,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함수, 함수에 대한 호출, 코드 블록,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는 게이트들,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들,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장치들, 소프트웨어 함수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구비한 물리적 비임시 저장 매체, 이들 중 일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프로세싱'은 신호 및 대응하는 데이터를 조절하는 것으로, 필터링, 검출, 디코딩, 데이터 구조의 조직화, 데이터 구조의 전송, 데이터 구조의 조절, 데이터 구조의 읽기 및 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심볼들, 패킷들, 블록들, 파일들, 입력 데이터, 계산된 데이터 또는 생성된 데이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으로 배열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개인용 장치, 서버 장치, 통신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셀룰러 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또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유선 통신 메커니즘 또는 무선 통신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UE (User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들 또는 수단들의 시스템일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배선,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타워, 기지국, 조정 장치(coordinating device), 리피터(repeater), 전화 네트워크,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10)는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10)는 다양한 사이즈의 영역 네트워크들의 라우터들, 케이블들, 컴퓨터들, 서버들, 그리고 클라이언트 장치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고 통신하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네트워크(110)를 액세스하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신호를 처리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다른 기지국들, 네트워크(110) 내의 구성 요소들 또는 이들의 조합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신호를 통신하거나 중계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서로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노드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네트워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허브, 핫스팟, 테더링 포인트, P2P 네트워크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동작하는 사용자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셀 타워, 무선 라우터, 안테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내에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함께 포함되는 통신 장치 또는 프로세싱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e-UTRA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구현하는 대기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로서 eNB (evolved node 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조정 장치(coordinating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기지국, 조정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다중 송신기들, 위치들 또는 영역들, 셀들, 또는 이들의 조합의 동작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다중 셀들, 다중 기지국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다중 통신의 동시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자신들, 다른 모바일 장치들, 서버들, 컴퓨터들, 전화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장치들과 연결되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처리하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은 신호 내의 콘텐츠(112)를 표시하고, 신호 내의 콘텐츠(112)에 따라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거나 운영체제를 갱신하는 것과 같이 콘텐츠(112)에 따라 프로세싱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전화 통화의 음성 신호 또는 웹 페이지를 구현하는 데이터 및 상호작용(interaction)을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무선으로 교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트레이닝 신호(training signal), 에러 검출 신호, 에러 정정 신호, 헤어 정보, 전송 포맷, 프로토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송할 수 있다.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4G (fourth generation) 표준과 같은 통신 방법에 기반하여, 통신 신호는 통신 정보에 추가되는 참조 부분(reference portion), 헤더 부분, 포맷 부분, 에러 정정 또는 검출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부분, 헤더 부분, 포맷 부분, 에러 정정 또는 검출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은 미리 정해진 비트, 펄스, 파형, 심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정기적인 시간 간격, 주파수,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다양한 부분들이 통신 신호 내에 추가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노드 링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드 링크(114)는 노드 장치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정보를 직접 통신하기 위한 방법, 프로세스,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링크(114)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을 관리하는 조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드 링크(114)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 또는 연결, 교환 정보, 통신 프로토콜, 교환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로서, 노드 링크(114)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통신하는 백홀(back-haul)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통신의 콘텐츠(112)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터보 코드 스킴 또는 폴라 코드 스킴과 같은 코딩 스킴에 따라 콘텐츠(112)를 포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PSK (phase-shift keying) 또는 이들의 파생형의 변조 스킴을 콘텐츠(112)에 적용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콘텐츠(112)를 프로세싱함으로써 통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 장치(106)는 제1 사용자 장치(102)와 통신하도록 의도된 서빙 신호(116)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 장치(108)는 제2 사용자 장치(104)와 통신하도록 의도된 간섭 신호(118)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빙 신호(116)는 서빙 신호(116)를 수신하는 장치가 서빙 신호(116)를 처리하도록 의도된 통신 정보이다. 간섭 신호(118)는 간섭 신호(118)를 수신할 때에 간섭 신호(118)를 수신하는 장치가 간섭 신호(118)를 처리하도록 의도되지 않은 통신 정보이다.
제1 노드 장치(106)는 코딩, 변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프로세싱을 콘텐츠(112)에 수행함으로써, 서빙 신호(116)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유사한 방식으로 콘텐츠(112)를 프로세싱하여 간섭 신호(118)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 채널들(120)을 통해 콘텐츠(112)를 교환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 장치(106)는 통신 채널들(120)의 일부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도달하는 서빙 신호(116)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 장치(108)는 통신 채널들(120)의 일부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도달하는 간섭 신호(118)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은 신호들을 교환하는 장치들 사이의 환경들 또는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은 UE 및 노드 장치 사이와 같은 대응하는 장치들 사이의 직접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은 대응하는 장치들 사이의 교환이 의도된 또는 교환이 의도되지 않은 신호들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의 각 부분은 간접 링크를 위한 리피터들, 증폭기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의 각 부분은 의도된 장치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시간 슬롯, 패킷 지정(packet designation), 전송률, 채널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상세(communication detail)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120)의 각 부분은 대응하는 장치들과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에 고유한 물리 특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은 무선 신호의 전송에 영향을 주는 신호의 특성 변화 또는 고유한 지연 원인 또는 신호의 반사와 같은 구조 또는 영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120)은 전송되는 신호들을 교란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전송된 각 신호는 통신 채널들(120)의 부분을 통과하여 특정한 장치에서 수신기 신호(122)로 수신된다. 수신기 신호(122)는 특정한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또는 캡처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신호(122)는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에서 수신기 신호(122)가 수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조정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수신기 신호(122)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2)를 처리하는 간섭 식별 수신기(124, IAR, Interference-Aware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은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의도된 또는 예상된 신호의 프로세싱 시에 의도되지 않은 또는 예상되지 않은 신호에서 콘텐츠(122)를 처리 및 활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또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서빙 신호(116)의 프로세싱 시에 간섭 신호(118)를 처리할 수 있다.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간섭 식별 검출기, 디코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서빙 신호(116)의 프로세싱 시에 간섭 신호(118)에 대해 식별, 백색화(whiten), 취소 또는 제거, 검출, 디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조인트 검출기(joint detector), 디코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의도되지 않은 또는 예상되지 않은 신호를 설명하는 포맷 또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정보를 판별함으로써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노드 장치(106) 및 노드 링크(114)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2)로 간섭 신호(118)의 변조 및 코딩 스킴(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100)은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118)의 MCS를 추정할 수 있다.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수신 장치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또는 예상되지 않은 신호의 콘텐츠(112)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간섭 신호(118)에 대해 검출, 디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간섭 신호(118) 내에서 콘텐츠(112)에 대응하는 비트 또는 심볼을 판별하거나, 이들을 추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서빙 신호(116)의 프로세싱 시에 간섭 신호(118)에 대응하는 콘텐츠(112)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서빙 신호(116)에 대응하는 콘텐츠(112)를 결정할 때에 간섭 신호(118)에 대응하는 비트, 심볼, 이들의 추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식별 수신기(124)는 서빙 신호(116)의 콘텐츠(112)의 프로세싱 시에, 간섭 신호(118) 및 서빙 신호(116) 모두에 대해 조인트 검출, 조인트 디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간섭 신호(118)를 취소(cancel)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제1 노드 장치(106)가 서빙 신호(116)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의도되고, 제2 사용자 장치(104) 및 제2 노드 장치(108) 사이에서 의도된 간섭 신호(118)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컴퓨팅 장치(100)는 후술되는 프로세스들을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에서, 제1 노드 장치(106)가 제2 노드 장치(108)와의 통신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후술되는 프로세스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별도의 조정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여 이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간섭 신호(118)는 제2 사용자 장치(104) 및 제2 노드 장치(108) 사이의 통신인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간섭 신호(118)는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수신 장치에서, 해당 시간 대에 의도되지 않은 임의의 정보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데이터 스트림 또는 계층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이용하여,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정보의 특정한 시퀀스를 통신하기 위한 연결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계층,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사이의 차별적인 조합, 데이터의 특정한 시퀀스를 통신하기 위한 타이밍 또는 주파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SISO (single-input single-output) 통신 포맷과 같은 데이터 스트림의 단일 예를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통신과 같은 데이터 스트림의 다중 예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수에 대응하는 전송 안테나 카운트는 특정한 장치, 특정한 신호, 데이터 스트림의 특정한 예,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M"으로 표현된다. 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신기 안테나 카운트는 특정한 장치, 특정한 신호, 데이터 스트림의 특정한 예,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N'으로 표현된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2)에 기반하여 채널 측정(channel measure)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측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의 페이딩(fading), 지연된 신호 또는 메아리로부터의 교란(distortion) 또는 변화(alteratio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현하거나 또는 특성화할 수 있다.
채널 측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유발되는 열화, 손실, 변화, 교란, 변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2)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서빙 채널 측정(126),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이들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빙 채널 측정(126)은 서빙 신호(116)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을 표현 또는 특성화할 수 있다. 서빙 채널 측정(126)은 의도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들(120)의 정량화된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채널 측정(126)은 제1 노드 장치(106) 및 제1 사용자 장치(102) 사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을 표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간섭 채널 측정(128)은 간섭 신호(118)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을 표현 또는 특성화할 수 있다. 간섭 채널 측정(128)은 의도되지 않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들(120)의 정량화된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채널 측정(128)은 제2 노드 장치(108)가 제1 사용자 장치(102)가 아닌 제2 사용자 장치(104)와 통신하도록 의도된 때에, 제2 노드 장치(108) 및 제1 사용자 장치(102) 사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을 표현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다양한 방법들에 기반하여 채널 측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은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결정된 채널 정보 또는 채널 모델과 같은, 통신 채널들(120)에 대한 알려진 또는 사전에 결정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100) 또는 수신 장치는 송신된 신호에 포함된 참조 부분에 기반하여 채널 측정을 결정할 수 있다.
참조 부분은 수신 장치에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알려진 또는 지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부분은 컴퓨팅 시스템(100), 표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미리 결정된 비트, 심볼, 신호 패턴, 신호 세기, 주파수, 위상, 지속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부분은 전송 장치, 의도된 수신기, 통신 블록, 통신, 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각각 고유할 수 있다. 참조 부분의 상세한 구성은 알려져 있으며, 컴퓨팅 시스템(100)의 하나, 복수 또는 모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는 참조 부분의 알려진 구성 및 참조 부분의 수신된 구성 사이의 차이로서 채널 추정을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2)의 속성, 특성, 또는 특정한 부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은 잡음 측정(130), 포괄 신호 측정(132, comprehensive signal measu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할 수 있다.
잡음 측정(130)은 수신기 신호(122)에 포함된 데이터의 에러 또는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잡음 측정은 프로세싱 채널 또는 데이터의 루트, 신호를 처리하는 하드웨어 구성, 배경 잡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유발되는 에러 또는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잡음 측정(130)은 구성 요소들 사이의 톨러런스 레벨(tolerance level) 또는 크로스토크(cross-talk)와 같은 하드웨어의 제한으로 인한 신호 또는 데이터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잡음 측정(130)은 전송 심볼에 독립적일 수 있다.
잡음 측정(130)은 자연적으로 추가되는 에러 또는 편차를 나타내며, 의사 가우시안(Gaussian) 또는 레일리(Rayleigh) 분산을 가질 수 있다. 잡음 측정(130)은 유색 또는 백색일 수 있다. 잡음 측정(130)은 편차(deviation), 공분산(covariance), 전력(power), 스프레드(spread), 거리(distancing), 밀도(density)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에러 또는 편차의 측정에 기반할 수 있다.
포괄 신호 측정(132)은 특정한 장치에 대한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잡음 측정(130) 또는 이들의 조합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포괄 신호 측정(132)은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잡음 측정(130),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는 비율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괄 신호 측정(132)은 SIR (signal-to-interference ratio), SNR (signal-to-noise ratio), INR (interference-to-noise ratio), SINR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설명(134, receiver descrip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수신기 설명(134)은 수신 장치 또는 그것의 신호 프로세싱을 가리키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수신기 설명(134)은 수신기 신호(122)를 처리하는 간섭 식별 수신기(124), 전송 안테나 카운트 또는 수신기 안테나 카운트,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랭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설명(134)은 채널 피드백(136), 신호 피드백(13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피드백(136)은 수신 장치에 의해 감지된, 경험된 또는 판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120)을 설명하는 정보이다. 더 상세한 예로서, 채널 피드백(136)은 수신 장치로부터의 서빙 채널 측정(126),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피드백(136)은 안전한 채널 지식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피드백(136)은 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보고(acknowledgement),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다른, 더 상세한, 추가적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피드백(138)은 수신 장치에서 수신 신호(122) 또는 그것의 구성 성분을 설명하는 정보이다. 신호 피드백(138)은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그것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122)의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피드백(138)은 서빙 신호(116)의 파워, 간섭 신호(118)의 파워, 그것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122)의 부분의 파워, 포괄 신호 측정(132),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설명(134)은 제1 노드 장치(106) 또는 제2 노드 장치(108)와 같은 전송 장치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피드백(136), 신호 피드백(13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신기 설명(134)은 수신 장치에 의해 피드백 정보로 전송되고, 전송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로서, 수신기 신호(122)를 수신 및 처리하는 제1 사용자 장치(102)는 수신기 설명(134)을 제1 노드 장치(106)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트릭(metri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은 서빙 통신 용량(140), 간섭 통신 용량(142),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통신 용량(140)은 서빙 신호(116)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의 용량 또는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서빙 통신 용량(14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제1 노드 장치(106), 또는 이들의 조합의 용량 또는 효율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통신 용량(140)은 서빙 신호(116)에 대응하는 의도된 장치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속도 또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통신 용량(14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제1 노드 장치(106) 사이의 통신의 속도 또는 양을 특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통신 용량(140)은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이용하여 제1 노드 장치(106)가 간섭 신호(118)를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가리킬 수 있다.
간섭 통신 용량(142)은 간섭 신호(118)를 처리하는 통신의 용량 또는 효율을 가리킬 수 있다. 간섭 통신 용량(142)은 제2 사용자 장치(104),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의 용량 또는 효율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통신 용량(140)은 간섭 신호(118)에 대응하는 의도된 장치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속도 또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통신 용량(142)은 제2 사용자 장치(104) 및 제2 노드 장치(108) 사이의 통신의 속도 또는 양을 특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통신 용량은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사용하는 제2 노드 장치(108)가 의도되지 않은 간섭들을 처리하는 용량을 가리킬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의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제2 사용자 장치(104)의 수신기 카운트(144)는 2인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K'로 표현되는 수신기 카운트는 2보다 큰 임의의 수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에서, 수신기 신호(122)는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yr'은 제1 사용자 장치(102)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r)에서의 수신기 신호(122)를 가리킨다. 수신기들 각각에서의 다양한 수신기 신호들(122)은 'r=1, ..., K'로 표현될 수 있다.
서빙 채널 측정(126)은 'Hri'로 표현되며, 송신기(i)로부터 수신기(r)를 간섭하는 복소 가우시안 채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신호(116)는 'si'로 표현될 수 있다. 간섭 채널 특정(128)은 'Hrj'로 표현되며, 송신기(i)로부터 수신기(r)로의 복소 가우시안 채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신호(118)는 'Sj'로 표현된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w'로 표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리코딩 조절들(148)을 포함하며 'W'로 표현되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이용하여 장치들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ρ'로 표현되는 롱텀 특정(150, long-term measure)을 이용하여 장치들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다.
프리코딩 조절(148)은 공간적 그리고 방향성 신호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이다. 프리코딩 조절(148)은 신호에 적용되는 팩터(또는 인자) 또는 값, 신호 및 안테나의 할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코딩 조절(148)은 매트릭스, 벡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프리코딩 조절(148)은 특정한 전송, 특정한 메시지 또는 그것의 일부, 특정한 송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신호(116)는 제1 노드 장치(106) 및 제1 사용자 장치(102) 사이의 공간적 및 방향적 관계를 이용하기 위한 콘텐츠(112) 또는 편차에 적용되는 고유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신호(118)는 제2 노드 장치(108) 및 제2 사용자 장치(104) 사이의 공간적 및 방향적 관계를 사용하기 위한 콘텐츠(112) 또는 편차에 적용되는 고유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은 프리코딩 조절들(148)의 그룹이다.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동시에 수행되는 다중 통신들과 함께 사용되는 프리코딩 조절들(148)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다중 안테나들, 다중 송신기들, 다중 기지국들 또는 셀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제1 노드 장치(106) 및 제2 노드 장치(108)를 포함하는 다중 이웃 기지국들 또는 셀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리코딩 조절들(1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수신기 카운트(144), 중복되는 다중 기지국들 또는 셀들에 따라, 지리적 영역 내에서 수신기들과 통신하도록 의도된 프리코딩 조절들(148)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장치들과 통신할 때에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하고 그것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동시 통신들을 조정하는 것에 기반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협업 또는 정보를 공유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하는 제1 노드 장치(106) 또는 제2 노드 장치(108)와 같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송신기들의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하는 조정 또는 스케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후술된다.
롱텀 측정(150)은 시간 주기에 따른 세기를 가리킨다. 롱텀 측정(150)은 롱텀 SNR을 가리킬 수 있다. 롱텀 특정(150)은 채널 파워를 가리킬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동작 환경에 기반하여 롱텀 특정(150)을 식별 또는 측정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수신기 신호(122)는 제1 사용자 장치(102)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수신기 신호(122)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제2 노드 장치(108)에서 수신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 및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장치와 같이, 모바일 장치로 정보를 통신하는 기지국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는 다른 장치와 또는 기지국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제1 노드 장치(106) 사이에서 통신하는 하나의 서빙 신호(116) 및 하나의 간섭 신호(118)를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컴퓨팅 장치(100)는 다중 간섭 신호들 및 소스들을 경험하고 처리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의 신호들의 통신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 네트워크(110), 그리고 제1 노드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는 제1 장치 전송(208)의 정보를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1 노드 장치(106)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는 제2 장치 전송(210)의 정보를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장치(102)를 다른 타입의 장치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02)는 표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서버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노드 장치(106)를 서버로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노드 장치(106)를 다른 타입의 장치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 장치(106)는 클라이언트 장치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1 사용자 장치(102)는 클라이언트 장치인 것으로, 그리고 제1 노드 장치(106)는 서버 장치인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사용자 장치(102)는 제1 제어 유닛(212), 제1 스토리지 유닛(214), 제1 통신 유닛(216), 그리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212)은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212)은 제1 소프트웨어(226)를 실행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에 지적 능력(예를 들어, 연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212)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유닛(212)은 프로세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FSM (finite state machin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는 제1 제어 유닛(212) 및 제1 사용자 장치(102) 내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표들은 제1 사용자 장치(102)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는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와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광학 회로, 도파관,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유닛(214)은 제1 소프트웨어(226)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유닛(214)은 수신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존재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음원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유닛(214)은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리지 유닛(214)은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불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유닛(214)은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는 제1 스토리지 유닛(214) 및 제1 사용자 장치(102) 내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는 제1 사용자 장치(102)의 외부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표들은 제1 사용자 장치(102)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는 제1 스토리지 유닛(214)과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는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와 유사한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제1 사용자 장치(102)의 외부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유닛(216)은 제1 사용자 장치(102)가 제1 노드 장치(106), 다른 장치, 주변 장치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부착 장치, 네트워크(110) 또는 이들의 조합과 통신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제1 통신 유닛(216)은 제1 사용자 장치(102)가 네트워크(110)의 엔드 포인트 또는 터미널 유닛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신 허브로 기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네트워크(110)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전자회로 또는 안테나와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통신 신호들에 대해 전송, 포맷화, 수신, 검출, 디코딩, 추가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장치 또는 소자, 모뎀, DS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필터, 증폭기, 프로세서 타입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압, 전류, 디지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캐시 또는 RAM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제1 장치간(inter-device) 인터페이스(217)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별도의 장치와 신호를 물리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장치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다른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무선 신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 유선 신호를 위한 물리 연결 및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전방향(omnidirectional) 안테나, 배선, 안테나 칩, 세라믹 안테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포트, 배선, 리피터, 커넥터, 필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전자기파의 파워를 검출하거나 또는 전자기파의 파워에 응답하고, 검출된 결과를 제1 통신 유닛(216)에 제공하여, 제2 장치 전송(210)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제1 장치 전송(208)을 포함하는 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 통신 유닛(216)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응답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제1 통신 인터페이스(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28)는 제1 통신 유닛(216) 및 제1 사용자 장치(102) 내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28)는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28)는 제1 통신 유닛(216)과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28)는 제1 제어 인터페이스(222)와 유사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사용자(미도시)와 제1 사용자 장치(102)의 인터페이스 및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18)의 입력 장치의 예는 키패드, 터치패드, 소프트키, 키보드, 마이크,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입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제1 표시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인터페이스(230)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인터페이스(23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212)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18)가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212)은 컴퓨팅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한 제1 소프트웨어(2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212)은 제1 통신 유닛(216)을 통한 네트워크(110)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1 소프트웨어(2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는 제1 사용자 장치(102)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장치 예에 최적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는 제1 사용자 장치(102)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또는 더 높은 프로세싱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는 제2 제어 유닛(234), 제2 통신 유닛(236),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8), 그리고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8)는 사용자(미도시)와 제1 노드 장치(106)의 인터페이스 및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8)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장치의 예들은 키패드, 터치패드, 소프트키, 키보드, 마이크,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입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8)의 출력 장치의 예들은 제2 표시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234)는 제2 소프트웨어(242)를 실행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의 제1 노드 장치(106)에 지적 능력(예를 들어, 연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소프트웨어(242)는 제1 소프트웨어(226)와 연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234)은 제1 제어 유닛(212)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기능 또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234)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8)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234)은 제2 통신 유닛(236)이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2)와 통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해 제2 소프트웨어(242)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234)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유닛(234)은 프로세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FSM (finite state machin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234)은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는 제2 제어 유닛(234) 및 제1 노드 장치(106)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는 제1 노드 장치(106)의 외부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의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의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은 제1 노드 장치(106)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는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와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광학 회로, 도파관,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제2 소프트웨어(242)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수신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존재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음원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제1 스토리지 유닛(214)을 보완하는 추가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단일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분산 배치되는 스토리지 소자들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을 단일 계층의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을 다른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서로 다른 레벨들의 캐시, 메인 메모리, 회전식 매체, 또는 오프라인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메모리 계층 시스템을 형성하는 다양한 스토리지 기술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불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유닛(246)은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는 제2 스토리지 유닛(246) 및 제1 노드 장치(106)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는 제1 노드 장치(106)의 외부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표들은 제1 노드 장치(106)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는 제2 스토리지 유닛(246)과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는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와 유시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제1 노드 장치(106)의 외부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유닛(236)은 제1 노드 장치(106)가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2)와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제1 노드 장치(106)가 네트워크(110)의 엔드 포인트 또는 터미널 유닛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신 허브로 기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네트워크(110)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전자회로 또는 저항들과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통신 신호들에 대해 전송, 포맷화, 수신, 검출, 디코딩, 추가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장치 또는 소자, 모뎀, DS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필터, 증폭기, 프로세서 타입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압, 전류, 디지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캐시 또는 RAM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제2 장치간(inter-device) 인터페이스(237)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장치간 인터페이스(237)는 별도의 장치와 물리적으로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장치의 부분일 수 있다. 제2 장치간 인터페이스(237)는 다른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제2 장치간 인터페이스(237)는 무선 신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 유선 신호를 위한 물리 연결 및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37)는 전방향(omnidirectional) 안테나, 배선, 안테나 칩, 세라믹 안테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간 인터페이스(217)는 포트, 배선, 리피터, 커넥터, 필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간 인터페이스(237)는 전자기파의 파워를 검출하거나 또는 전자기파의 파워에 응답하고, 검출된 결과를 제2 통신 유닛(236)에 제공하여, 제1 장치 전송(208)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2 장치간 인터페이스(237)는 제2 장치 전송(210)을 포함하는 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2 통신 유닛(236)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응답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제2 통신 유닛(236) 및 제2 노드 장치(106)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제2 통신 유닛(236)과 통신하는 기능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제2 제어 인터페이스(244)와 유사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은 네트워크(110)에 연결되어 제1 장치 전송(208)에서 정보를 제1 노드 장치(106)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는 네트워크(110)의 제1 장치 전송(208)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236)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유닛(236)은 네트워크(110)에 연결되어 제2 장치 전송(210)에서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는 네트워크(110)의 제2 장치 전송(210)으로부터 제1 통신 유닛(216)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1 노드 장치(106)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8), 제2 스토리지 유닛(246), 제2 제어 유닛(234), 그리고 제2 통신 유닛(236)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노드 장치(106)는 다양한 요소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프트웨어(242)는 그것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제어 유닛(234) 및 제2 통신 유닛(236)에 구현되도록, 다르게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제1 노드 장치(106)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의 기능 유닛들은 다른 기능 유닛들과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2)는 제1 노드 장치(106) 및 네트워크(110)와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의 기능 유닛들은 다른 기능 유닛들과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는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네트워크(110)와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된 기능 유닛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유닛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게이트들,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들,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장치들, 소프트웨어 함수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구비한 물리적 비임시 저장 매체, 이들 중 일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이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제1 노드 장치(106)의 동작으로 설명된다. 제1 사용자 장치(102) 및 제1 노드 장치(106)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임의의 모듈들 및 기능들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의 다른 예에 따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장치(104), 네트워크(110), 그리고 제2 노드 장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04)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3 장치 전송(308)으로 정보를 제2 노드 장치(108)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4 장치 전송(310)으로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장치(104)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장치(104)를 다른 타입의 장치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104)는 표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서버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노드 장치(108)를 서버로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2 노드 장치(108)를 다른 타입의 장치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드 장치(108)는 클라이언트 장치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2 사용자 장치(104)는 클라이언트 장치인 것으로, 그리고 제2 노드 장치(108)는 서버 장치인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사용자 장치(104)는 제3 제어 유닛(312), 제3 스토리지 유닛(314), 제3 통신 유닛(316), 그리고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 유닛(312)은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 유닛(312)은 제3 소프트웨어(326)를 실행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에 지적 능력(예를 들어, 연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제어 유닛(312)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제어 유닛(312)은 프로세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FSM (finite state machin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제3 제어 유닛(312) 및 제2 사용자 장치(104) 내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표들은 제2 사용자 장치(104)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고,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와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광학 회로, 도파관,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유닛(314)은 제3 소프트웨어(326)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유닛(314)은 수신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존재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음원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유닛(314)은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스토리지 유닛(314)은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불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유닛(314)은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는 제3 스토리지 유닛(314) 및 제2 사용자 장치(104) 내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는 제2 사용자 장치(104)의 외부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표들은 제2 사용자 장치(104)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는 제3 스토리지 유닛(314)과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는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와 유사한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제2 사용자 장치(104)의 외부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3 통신 유닛(316)은 제2 사용자 장치(104)가 제2 노드 장치(108), 다른 장치, 주변 장치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부착 장치, 네트워크(110) 또는 이들의 조합과 통신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제3 통신 유닛(316)은 제2 사용자 장치(104)가 네트워크(110)의 엔드 포인트 또는 터미널 유닛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신 허브로 기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네트워크(110)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전자회로 또는 안테나와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통신 신호들에 대해 전송, 포맷화, 수신, 검출, 디코딩, 추가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장치 또는 소자, 모뎀, DS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필터, 증폭기, 프로세서 타입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압, 전류, 디지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캐시 또는 RAM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제3 장치간(inter-device) 인터페이스(317)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별도의 장치와 신호를 물리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장치의 부분일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다른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무선 신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 유선 신호를 위한 물리 연결 및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전방향(omnidirectional) 안테나, 배선, 안테나 칩, 세라믹 안테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포트, 배선, 리피터, 커넥터, 필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전자기파의 파워를 검출하거나 또는 전자기파의 파워에 응답하고, 검출된 결과를 제3 통신 유닛(316)에 제공하여, 제4 장치 전송(310)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제3 장치 전송(308)을 포함하는 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 통신 유닛(316)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응답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제3 통신 인터페이스(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제3 통신 유닛(316) 및 제2 사용자 장치(104) 내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3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제3 통신 유닛(316)과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제3 제어 인터페이스(322)와 유사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사용자(미도시)와 제2 사용자 장치(104)의 인터페이스 및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8)의 입력 장치의 예는 키패드, 터치패드, 소프트키, 키보드, 마이크,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입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제3 표시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표시 인터페이스(330)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표시 인터페이스(33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 유닛(312)은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318)가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3 제어 유닛(312)은 컴퓨팅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한 제3 소프트웨어(3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제어 유닛(312)은 제3 통신 유닛(316)을 통한 네트워크(110)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3 소프트웨어(3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제2 사용자 장치(104)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장치 예에 최적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제2 사용자 장치(104)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또는 더 높은 프로세싱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제4 제어 유닛(334), 제4 통신 유닛(336),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338), 그리고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는 사용자(미도시)와 제2 노드 장치(108)의 인터페이스 및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장치의 예들은 키패드, 터치패드, 소프트키, 키보드, 마이크,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입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338)의 출력 장치의 예들은 제4 표시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시 인터페이스(34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제어 유닛(334)는 제4 소프트웨어(342)를 실행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의 제2 노드 장치(108)에 지적 능력(예를 들어, 연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소프트웨어(342)는 제3 소프트웨어(326)와 연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4 제어 유닛(334)은 제3 제어 유닛(312)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기능 또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제어 유닛(334)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338)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4 제어 유닛(334)은 제4 통신 유닛(336)이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104)와 통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해 제4 소프트웨어(342)를 실행할 수 있다.
제4 제어 유닛(334)은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제어 유닛(334)은 프로세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FSM (finite state machin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4 제어 유닛(334)은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제4 제어 유닛(334) 및 제2 노드 장치(108)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제2 노드 장치(108)의 외부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의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의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은 제2 노드 장치(108)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와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광학 회로, 도파관,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제4 소프트웨어(342)를 저장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수신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존재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음원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제3 스토리지 유닛(314)을 보완하는 추가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단일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분산 배치되는 스토리지 소자들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을 단일 계층의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을 다른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서로 다른 레벨들의 캐시, 메인 메모리, 회전식 매체, 또는 오프라인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메모리 계층 시스템을 형성하는 다양한 스토리지 기술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불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유닛(346)은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는 제4 스토리지 유닛(346) 및 제2 노드 장치(108)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는 제2 노드 장치(108)의 외부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목표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표들은 제2 노드 장치(108)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표들일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는 제4 스토리지 유닛(346)과 인터페이스되는 기능 유닛들 또는 외부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는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와 유시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제2 노드 장치(108)의 외부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통신 유닛(336)은 제2 노드 장치(108)가 네트워크(110)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104)와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제2 노드 장치(108)가 네트워크(110)의 엔드 포인트 또는 터미널 유닛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신 허브로 기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네트워크(110)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전자회로 또는 저항들과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통신 신호들에 대해 전송, 포맷화, 수신, 검출, 디코딩, 추가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장치 또는 소자, 모뎀, DS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필터, 증폭기, 프로세서 타입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압, 전류, 디지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캐시 또는 RAM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제4 장치간(inter-device) 인터페이스(337)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장치간 인터페이스(337)는 별도의 장치와 물리적으로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장치의 부분일 수 있다. 제4 장치간 인터페이스(337)는 다른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제4 장치간 인터페이스(337)는 무선 신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들, 유선 신호를 위한 물리 연결 및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37)는 전방향(omnidirectional) 안테나, 배선, 안테나 칩, 세라믹 안테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치간 인터페이스(317)는 포트, 배선, 리피터, 커넥터, 필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장치간 인터페이스(337)는 전자기파의 파워를 검출하거나 또는 전자기파의 파워에 응답하고, 검출된 결과를 제4 통신 유닛(336)에 제공하여, 제3 장치 전송(308)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4 장치간 인터페이스(337)는 제4 장치 전송(310)을 포함하는 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4 통신 유닛(336)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응답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제4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제4 통신 유닛(336) 및 제2 노드 장치(106)의 다른 기능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4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 유닛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4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제4 통신 유닛(336)과 통신하는 기능 유닛들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제4 제어 인터페이스(344)와 유사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통신 유닛(316)은 네트워크(110)에 연결되어 제3 장치 전송(308)에서 정보를 제2 노드 장치(108)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네트워크(110)의 제3 장치 전송(308)으로부터 제4 통신 유닛(336)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4 통신 유닛(336)은 네트워크(110)에 연결되어 제4 장치 전송(310)에서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04)는 네트워크(110)의 제4 장치 전송(310)으로부터 제3 통신 유닛(316)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2 노드 장치(108)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338), 제4 스토리지 유닛(346), 제4 제어 유닛(334), 그리고 제4 통신 유닛(336)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노드 장치(108)는 다양한 요소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소프트웨어(342)는 그것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4 제어 유닛(334) 및 제4 통신 유닛(336)에 구현되도록, 다르게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 장치(108)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04)의 기능 유닛들은 다른 기능 유닛들과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04)는 제2 노드 장치(108) 및 네트워크(110)와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의 기능 유닛들은 다른 기능 유닛들과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노드 장치(108)는 제2 사용자 장치(104) 및 네트워크(110)와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된 기능 유닛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유닛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게이트들,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들, 압력 센서, 관성 센서,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장치들, 소프트웨어 함수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구비한 물리적 비임시 저장 매체, 이들 중 일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이 제2 사용자 장치(104) 및 제2 노드 장치(108)의 동작으로 설명된다. 제2 사용자 장치(104) 및 제2 노드 장치(108)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임의의 모듈들 및 기능들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의 제어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환경 모듈(402), 초기 후보 모듈(404), 객체 기능 모듈(406), 감소 모듈(408), 조정 모듈(41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듈(402)은 객체 기능 모듈(406)에 연결된 초기 후보 모듈(404)과 연결된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통신 환경 모듈(402)과 연결되는 조정 모듈(410)과 연결된다.
모듈들은 다양한 방법들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들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도 1의 네트워크(110), 명령 단계들, 프로세스 시퀀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다른 모듈의 출력에 연결되는 입력을 갖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듈들은 중간에 삽입된 매체가 존재하지 않도록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에 삽입된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통신 환경 모듈(402)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들 또는 출력들은 중간에 삽입된 모듈들 또는 장치들 없이 도체들 또는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초기 후보 모둘(404)의 입력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 모듈(402)은 리피터, 스위치, 라우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초기 후보 모듈(404)과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 객체 기능 모듈(406), 감소 모듈(408), 조정 모듈(410), 또는 이들의 조합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전송, 송신, 수신, 코딩, 디코딩,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장치들 사이에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통신된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음원을 재생하거나, 프로세스 단계들 또는 명령들을 교환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와 더 통신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듈(402)은 장치들 사이의 통신에 대한 정보를 판별(또는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환경 모듈(402)은 도 1의 수신기 신호(122)를 나타내는 정보, 수신기 신호(122)를 통신하는 장치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 모듈(402)은 전송 장치, 수신 장치, 도 1의 통신 채널들(120),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대한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통신 환경 모듈(402)은 도 1의 수신기 설명(134), 계층 정보, 전송 안테나 카운트, 수신기 안테나 카운트, 도 1의 수신기 카운트(144), 도 1의 서빙 통신 용량(140), 도 1의 간섭 통신 용량(142), 도 1의 롱텀 특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통신 환경 모듈(402)은 도 1의 제1 노드 장치(106), 도 1의 제2 노드 장치(108), 도 1의 제1 사용자 장치(102), 도 1의 제2 사용자 장치(104), 컴퓨팅 시스템(100) 내의 임의의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 모듈(402)은 수신기 신호(122)를 나타내기 위한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듈(402)은 간섭 소스로 동작하는 제2 노드 장치(108)로부터의 간섭 신호(118)와 동시에 발생하는 서빙 신호(116)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122)를 위한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 모듈(402)은 제1 사용자 장치(102) 또는 제2 사용자 장치(104)에 대한 간섭 식별 수신기(124)가 존재하는지와 같은 수신 장치에 대한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듈(402)은 수신기에서 또는 수신기로부터의 정보를 판별함으로써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 모듈(402)은 노드 장치 또는 스케줄 장치에서 수신기에 의해 결정된 정보를 수신기들로부터 피드백되는 수신기 설명(134)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둘(402)은 수신기 설명(134)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상세 모듈(412), 채널 상세 모듈(4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상세 모듈(412)은 통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상세 모듈(412)은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상세 모듈(412)은 수신기 설명(134)을 위한 수신기 카운트(144), 계층 정보, 전송 안테나 카운트, 수신기 안테나 카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상세 모듈(412)은 수신기 설명(134)을 위한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구비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 상세 모듈(412)은 도 2의 제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24), 도 2의 제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248), 도 3의 제3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24), 도 3의 제4 스토리지 인터페이스(34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를 액세스함으로써, 장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 상세 모듈(412)은 도 2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228), 도 2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250), 도 3의 제3 통신 인터페이스(328), 도 3의 제4 통신 인터페이스(35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액세스함으로써 장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수신기 신호(122)에 대응하는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도 1의 채널 피드백(136), 도 1의 신호 피드백(13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다양한 방법들로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세 모듈(414)은 제1 사용자 장치(102) 또는 제2 사용자 장치(104)와 같은 수신 장치에서 서빙 채널 측정(126),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함으로써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106)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도 1의 노드 링크(114)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채널 상세 모듈(414)은 채널 측정을 채널 피드백(136)으로서 제1 노드 장치(106) 또는 제2 노드 장치(108)와 같은 노드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세 모듈(414)은 수신 장치에서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채널 피드백(136),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기 위한 서빙 신호(116) 또는 간섭 신호(118)에 대응하는 신호 파워, 잡음 측정(130), 포괄 신호 측정(132), 롱텀 측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함으로써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노드 장치와 유사하게 포괄 신호 측정(132), 롱텀 측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세 모듈(414)은 노드 장치 또는 조정 장치에서 수신 장치로부터의 채널 피드백(136), 신호 피드백(13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함으로써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장치들은 완전 채널 정보, SIR, SNR, SINR,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간섭 식별 수신기(124)에서 피드백 정보로써 수신할 수 있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도 2의 제1 장치 인터페이스(217), 도 2의 제2 장치 인터페이스(237), 도 3의 제3 장치 인터페이스(317), 도 3의 제4 장치 인터페이스(337),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신기 설명(134)을 통신할 수 있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도 2의 제1 제어 유닛(212), 도 2의 제2 제어 유닛(234), 도 3의 제3 제어 유닛(312), 도 3의 제4 제어 유닛(334), 도 2의 제1 통신 유닛(216), 도 2의 제2 통신 유닛(236), 도 3의 제3 통신 유닛(316), 도 3의 제4 통신 유닛(336),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신기 설명(134)을 판별할 수 있다. 채널 상세 모듈(414)은 수신기 설명(134)을 도 2의 제1 스토리지 유닛(214), 도 2의 제2 스토리지 유닛(246), 도 3의 제3 스토리지 유닛(314), 도 3의 제4 스토리지 유닛(346),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저장할 수 있다.
수신기 설명(134)을 수신한 후에, 제어 흐름은 초기 후보 모듈(404)로 통과된다. 제어 흐름은 다양한 방법들로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흐름은 하나의 모듈의 프로세싱 결과를 다른 모듈로 통과시킴으로써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흐름은 통신 환경 모듈(402)로부터의 수신기 설명(134)을 초기 후보 모듈(404)로 전달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신기 설명(134)을 초기 후보 모듈(404)에게 알려져 있고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저장하는 것과 같이 프로세싱 결과를 다른 모듈에게 알려져 있고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저장하고 그리고 플래그, 인터럽트, 상태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초기 후보 모듈(404)에 알리는 것과 같이 다른 모듈에 통지함으로써 통과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도 1의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도 1의 프리코딩 조절(14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지는 가능성들의 유한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함으로써 유한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은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프리코딩 조절(14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생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가능성들의 유한한 수로 제한된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절하기 위한 수신기 설명(134)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SVD (singular-value decomposition) 메커니즘(418)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SVD 메커니즘(418)은 값들의 세트의 인자분해(factorization)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SVD 메커니즘(418)은 실 매트릭스(real matrix) 또는 복소 매트릭스(complex matrix)의 인자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수신기 설명(134)에 SVD 메커니즘(418)을 사용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SVD 메커니즘(418)을 이용하여 수신기 설명(134)의 인자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후보 모듈(404)은 SVD 메커니즘(418)을 이용하여 채널 피드백(136)으로 표현되는 서빙 채널 측정(126),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채널 측정의 인자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SVD 메커니즘(418) 및 채널 피드백(136)에 기반하여 분해 출력 세트(420)를 계산할 수 있다. 분해 출력 세트(420)는 인자분해 프로세스로부터 유래한 파라미터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해 출력 세트(420)는 좌측 출력, 중앙 출력, 우측 출력(422), 또는 이들의 조합인 3개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해 출력 세트(420)는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2
채널 피드백(136)으로 표현되는 서빙 채널 측정(126),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이들의 조합은 'Hji'로 표현된다. 분해 출력 세트(420)는 'Uji'로 표현되는 수학식 2의 우변으로 표현된다. 중앙 출력의 각 대각선 원소(diagonal element)는 채널 피드백(136)의 싱귤러 값들(singular values)에 대응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분해 출력 세트(420)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후보 모듈(404)은 분해 출력 세트(42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들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후보 모듈(404)은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좌측 출력, 중앙 출력, 우측 출력(422), 열 벡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후보 모듈(404)은 각 송신기를 위한 각 채널 행렬의 싱귤러 행렬들을 위한 좌측, 중앙, 우측, 또는 이들의 조합의 가능한 열 벡터들의 세트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후보 모듈(404)은 수학식 3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는 '
Figure pat00004
'로 표현된다. 우측 출력(422)은 'vi' 또는 'Vji'로 표현된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는 서빙 채널 측정(126),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우측 출력(422)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SVD 메커니즘(418)에 기반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는 감소된 복잡도 및 향상된 스루풋(throughput)을 갖는 것이 밝혀져 있다. 채널 행렬들에 논리적으로 기반한 가능한 값들(possible values)의 유한 세트는 감소되고, 테스트되고, 최적화되고,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프리코딩 조절(148) 또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하는 복잡도가 감소된다. 또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위한 논리적인 감소, 테스트, 최적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한 프리코딩 조절(148) 또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신호들 사이의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스루풋을 증가시킨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은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제1 스토리지 유닛(214), 제2 스토리지 유닛(246), 제3 스토리지 유닛(314), 제4 스토리지 유닛(346),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저장할 수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한 후에, 제어 흐름은 초기 후보 모듈(404)로부터 객체 기능 모듈(406)로 통과된다. 제어 흐름은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와 같은 초기 후보 모듈(404)의 프로세싱 결과를 이용하여, 통신 환경 모듈(402) 및 초기 후보 모듈(404) 사이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통과된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criteria)을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컴퓨팅 시스템(100)의 통신을 위한 가능한 환경들을 설명하는 신호 추정 세트(430, signaling assumption set)를 생성함으로써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컴퓨팅 시스템(100) 내의 통신을 위한 가능한 환경들의 설명들의 그룹이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대응하는 통신 장치들의 다양한 능력들에 기반할 수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수신기 신호(122)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102), 간섭 신호(118)를 위해 의도된 제2 사용자 장치(10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수신기 설명(134)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추정 세트(430)는 간섭 식별 수신기(124)의 존재, 송신기 안테나 카운트 또는 수신기 안테나 카운트, 수신기 카운트(144),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랭크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각각 추정률(assumption rate) 메커니즘(434)을 포함하는 추정 카테고리들(432)을 포함할 수 있다.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각각 통신의 고유한 환경 가능성을 나타낸다.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신호를 통신하는 장치들, 능력들, 상황들 또는 시나리오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의 고유한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추정률 메커니즘(434)은 특정한 상태들의 세트를 위한 통신 용량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이다. 예를 들어, 추정률 메커니즘(434)은 서빙 통신 용량(140), 간섭 통신 용량(142),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계산 또는 선택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률 메커니즘(434)은 수학식, 룩업 테이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추정 카테고리들(432)과 연관된 문턱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신호 추정 세트(430)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추정 카테고리들(432)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들과 연관되는,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은 포괄 신호 측정(132), 롱텀 측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신호 추정 세트(430)를 생성할 수 있다. 문턱 프로파일은 롱텀 측정(150)에 대응하는 롱텀 문턱, 포괄 신호 측정(132)에 대응하는 신호 측정 문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은 전송 메시지를 공통 부분(common part), 전용 부분(private part),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분해하는 것에 대응하는 전체 공용 세팅(436, all-common setting), 전체 전용 세팅(438, all-private setting), 특정 모델 세팅(440, specific-model setting),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정 카테고리들(432)을 포함하는 신호 추정 세트(430)를 생성할 수 있다. 특정 모델 세팅(440)은 서빙 신호(116), 간섭 신호(118),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공통 및 전용 부분들 모두로 분해하는 방법 또는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어, 특정 모델 세팅(440)은 모든 공통 메시지들이 디코드된 후에 전용 메시지가 디코드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간섭 송신기들로부터 전송된 전용 메시지들만이 전용 모델 세팅(440)에 대해 디코드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모델 세팅(440)은 ETW (Etkin-Tse-Wang) 방법과 같은 특정한 방법에 기반할 수 있다.
전체 공통 세팅(436)은 모든 메시지들을 공통으로 취급하도록 통합된 방법 또는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어, 전체 공통 세팅(436)은 문턱 수의 수신기들 또는 적용 가능한 모든 수신기들에서 간섭 식별 수신기(124) 또는 그것의 능력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공통 세팅(436)은 간섭 신호(118)를 디코딩하는 수신 장치에 기반할 수 있다.
전체 전용 세팅(438)은 모든 메시지들을 전용으로 취급하도록 통합되는 방법 또는 메커니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전용 세팅(438)은 문턱 수의 수신기들 또는 적용 가능한 전체 수신기들에서 간섭 식별 수신기(124)의 부족 또는 그것의 불충분한 능력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전용 세팅(438)은 간섭 신호(118)를 디코딩하지 않고 잡음으로 취급하는 수신 장치에 기반할 수 있다.
전체 전용 세팅(438)은 모든 수신기들이 모든 간섭들을 잡음으로 취급하는 신호 스킴을 나타낸다. 전체 공통 세팅(436)은 모든 수신기들이 모든 송신기들로부터의 신호들을 디코드할 수 있는 신호 스킴을 나타낸다. 특정 모델 세팅(440)은 전체 전용 세팅(438) 및 전체 공통 세팅(436) 사이의 신호 스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특정 모델 세팅(440)은 일부 수신기들만이 간섭 신호들을 디코드하는 것, 일부 또는 전체 수신기들이 간섭 신호들의 일부를 디코드하는 것, 일부 수신기들만이 간섭을 잡음으로 취급하는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특정 모델 세팅(440)은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9로 표현되는 추정률 메커니즘(434)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hij'는 간섭 채널 측정(128) 또는 그것의 파생물을 나타낸다. 'hii'는 서빙 채널 측정(126)을 나타낸다. 'α'는 포괄 신호 측정(132)에 대한 비율을 결정하는 상수이며,
Figure pat00011
일 수 있다. 'ρ'는 SNR을 나타내고, 'ρα'는 INR을 나타낼 수 있다. 'S'는 공통 메시지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2
일 수 있다.
전체 공통 세팅(436)은 수학식 10 내지 13으로 나타나는 추정률 메커니즘(434)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Ri AC'는 제1 사용자 장치(102) 또는 제2 사용자 장치(104)와 같은 i번째 수신 장치에 대한 개별 비율을 나타낸다.
전체 전용 세팅(438)은 수학식 14 및 15로 나타나는 추정률 메커니즘(434)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Ri AC'는 제1 사용자 장치(102) 또는 제2 사용자 장치(104)와 같은 i번째 수신 장치의 개별 비율을 나타낸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신호 추정 세트(430)에 기반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는 동시에 통신되는 간섭 신호(118) 및 서빙 신호(116)를 나타낼 수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는 서빙 통신 용량(140)과 간섭 통신 용량(142)을 나타낼 수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는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히거나, 상태에 따라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테스트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통신 환경에 적합한 추정 카테고리(432)를 판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신기 설명(134), 포괄 신호 측정(132), 롱텀 측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추정 카테고리(432)를 식별 또는 선택하는 것에 기반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선택된 또는 식별된 추정 카테고리(432)에 대응하는 추정률 메커니즘(434)에 기반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신기 설명(134)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선택된 또는 식별된 추정률 메커니즘(434)의 출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은 포괄 신호 측정(132), 롱텀 측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또는 특정 모델 세팅(440)을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문턱 프로파일에 따라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은 롱텀 측정(150)을 롱텀 문턱과 비교하거나, 포괄 신호 측정(132)을 신호 측정 문턱과 비교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여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추정 카테고리(432)를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은 미리 정해진 문턱 레벨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SIR에 기반하여 전체 공통 세팅(436)을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객체 기능 모듈(406)은 다른 문턱 레벨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롱텀 측정(150)에 기반하여 전체 전용 세팅(438)을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객체 기능 모듈(406)은 특정 모델 세팅(440)을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은 간섭 식별 수신기(124)의 상세에 기반하여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신 장치가 간섭 식별에 따른 디코딩 메커니즘으로 동작할 때에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또는 특정 모델 세팅(440)을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신 장치가 간섭 식별 검출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 전체 전용 세팅(438)을 식별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학식 4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추정률 메커니즘(434)을 이용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계산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학식 4, 10 또는 14로 표현되는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출력으로서 썸레이트 컨디션(444)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컴퓨팅 시스템(100)은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하기 위한 특정 상태 세트(442)를 이용하는 객체 기능 모듈(406)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상태 세트(442)는 수신기 카운트(144), 수신기 설명(134),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고유한 환경 인자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썸레이트 상태(444)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상태 세트(442)는 상태들의 테이블 또는 그룹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상태 세트(44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또는 특정 모델 세팅(440)에 대응할 수 있다.
특정한 수신기 카운트(144)를 갖는 예시적인 상태에서, 객체 기능 모듈(406)은 대응하는 특정 상태 세트(442)를 액세스할 수 있다. 대응하는 특정 상태 세트(442)는 SNR, SIR, 또는 이들의 조합의 값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랭크 세팅들, 포맷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카운트(144)가 2일 때, 특정 상태 세트(442)는 0dB 내지 30dB 범위의 SNR, -10dB 내지 10dB 범위의 SIR, 또는 이들 내의 임의의 범위에 대응하는 다양한 세팅들, 포맷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상태 세트(442)는 수신기 설명(134)에 의해 지적된 SNR 및 SIR 값에 따라 각 송신기에 대한 랭크1 프리코더, 랭크2 프리코더, TDMA (time-domain multiple-access) 세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태 세트(442)는 각 SNR 값, SIR 값,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또는 특정 모델 세팅(440)에 대응하는 다양한 추정률 메커니즘(43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추정률 메커니즘(434)은 수학식 16 내지 23으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학식 16 내지 23 중 적절한 추정률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추정률 메커니즘(434)을 이용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신기 카운트(144)가 2인 특정 상태 세트(442)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객체 기능 모듈(406)은 3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수신기 카운트(144), 다른 'M' 또는 'N' 값,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특정 상태 세트(4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 기능 모듈(406)은 수신기 카운트(144), 'M', 'N',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설명되는 것과 같은 고유한 환경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정 상태 세트(4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설명(134)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신호 추정 세트(430)는 더 적은 에러율 및 향상된 스루풋을 제공하는 것이 밝혀져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간섭 식별 수신기(124)를 사용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특성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는 신호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디코딩 또는 검출 에러를 감소시키면서 간섭 식별 수신기(124)의 능력을 정확히 포착 또는 사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 설명(134)에 대응하는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효율성을 향상시킴이 밝혀져 있다.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SINR 외의 신호 또는 추가 신호에 기반하여 신호 처리의 통신 환경의 더 완전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 및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그리고 특정 모델 세팅(440)을 포함하는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송신기들의 그룹에 대해 향상된 효율성을 제공하고 간섭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밝혀져 있다. 신호들 및 장치들의 정량화 가능한 묘사 또는 모델링으로부터 초래되는 썸레이트 상태(444)는 서로에게 간섭으로 동작하는 모든 송신기들에 대한 통신률을 조정 및 최대화할 때에 테스트 상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특정 상태 세트(442)는 향상된 효율성을 제공함이 밝혀져 있다. 특정 상태 세트(442)는 다양한 추정 카테고리들로부터 식별 또는 선택할 때에 프로세싱 시간 또는 상태를 최소화하면서 통신 환경 또는 상태에 응답하여 다양한 값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설명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3개의 카테고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다양한 모델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인자들에 대응하는 3 이상 또는 이하의 카테고리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 카테고리들(432)은 장치 기능들, 3 이상의 수신기들, 또는 이들의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SIR, SNR, 롱텀 측정(150), 또는 이들의 조합 외의 추가적인 인자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은 썸레이트 상태(444)를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제1 스토리지 유닛(214), 제2 스토리지 유닛(246), 제3 스토리지 유닛(314), 제4 스토리지 유닛(34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저장할 수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를 생성한 후에, 제어 흐름은 객체 기능 모듈(406)로부터 감소 모듈(408)로 전달된다. 제어 흐름은 썸레이트 상태(444)와 같은 객체 기능 모듈(406)의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통신 환경 모듈(402) 및 초기 후보 모듈(404) 사이와 유사하게 통과될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줄이도록 구성된다. 감소 모듈(408)은 신호 추정 세트(430),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객체 기능 모듈(406)에 의해 선택 또는 식별된 추정 카테고리들(432)에 기반하여 또는 추정 카테고리들(432)에 따라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줄이거나 좁힐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소 모듈(408)은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또는 특정 모델 세팅(440)을 선택하는 객체 기능 모듈(406)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신호 추정 세트(430)로부터 선택 또는 식별된 전체 공통 세팅(436), 전체 전용 세팅(438), 또는 특정 모델 세팅(440)에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을 포함한다.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은 통신 환경을 설명하는 또는 통신 환경에 부합하는 추정 카테고리들(432)에 따라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로부터 프리코딩 조절(148)의 후보들을 제거하는 프로세스 또는 방법일 수 있다.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은 수신기 신호(122)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102), 간섭 신호(118)로 의도된 제2 사용자 장치(104), 여기에 연관된 특성들을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논리적으로 줄일 수 있다.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은 다양한 추정 카테고리들(432)에 따른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의 원소들 또는 부분들의 매핑 또는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은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의 원소들 또는 부분들을 평가하기 위한 추정 카테고리들(432) 각각에 대해 상태, 요청,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결정된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을 포함할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에 따른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객체 기능 모듈(406)에 의해 선택 또는 식별된 추정 카테고리들(432) 또는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환경 감소 메커니즘(446)에 따라, 선택 또는 식별된 추정 카테고리들(432) 또는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의 원소들 또는 부분들을 버림으로써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선택 또는 식별된 추정 카테고리들(432) 또는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연결된 또는 적합한 프리코딩 조절(148)의 잠재적인 후보에 대응하는 원소들 또는 부분들을 포함하도록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모든 추정 카테고리들(432)을 커버하는 유한 세트로부터 통신 환경에 적합한 특정한 추정 카테고리들(432)에 대응하는 더 작은 세트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신호 추정 세트(430) 또는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로부터 식별 또는 선택된 추정 카테고리들(432)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히는 것은 향상된 효율성을 제공함이 밝혀져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히는 것은 통신 환경에 적합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 환경에서 특정 상태들에 기반하여 좁히는 것은 적절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하기 위한 후보 평가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힐 수 있다. 감소 모듈(408)은 감소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는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제1 스토리지 유닛(214), 제2 스토리지 유닛(246), 제3 스토리지 유닛(314), 제4 스토리지 유닛(34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저장될 수 있다.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힌 후에, 제어 흐름은 감소 모듈(408)로부터 조정 모듈(410)로 전달된다. 감소 모듈(408)과 조정 모듈(410) 사이의 제어 흐름의 전달은 감소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와 같은 감소 모듈(408)의 프로세싱 결과를 이용하여 통신 환경 모듈(402) 및 초기 후보 모듈(404) 사이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모듈(410)은 동시 신호와 같은 다중 전송에 대해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중 노드 장치들을 통과하는 신호들의 조정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포함하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서빙 신호(116) 및 간섭 신호(118)를 조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로부터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그것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상술된 환경 감소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힌 후에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그것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감소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그것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서빙 신호(116) 또는 간섭 신호(118)를 통신하는 썸레이트 상태(444)을 최대화하는 것에 기반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그것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수학식 24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조절(148)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7
송신기 'i'에 특정된 썸레이트 상태(444)는 '
Figure pat00028
'로 표시된다.
조정 모듈(410)은 수신기 카운트(144)에 해당하는 수신기들 각각과 통신하기 위한 썸레이트 상태(444)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148)의 집합으로서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수학식 25에 기반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9
조정 모듈(410)은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송신 장치에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통신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프리코딩 조절(148) 또는 그와 연관된 수신기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통신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도 1의 노드 링크(114), 적절한 장치간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통신할 수 있다.
조정 모듈(410)은 송신 장치에 적절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 장치(106)는 서빙 신호(116)를 위한 적절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도 1의 콘텐츠(112)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 장치(108)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로부터 간섭 신호(118)를 위한 적절한 프리코딩 조절(148)을 콘텐츠(112)에 적용할 수 있다.
통신 환경에 특화된 썸레이트 상태(444)를 최대화하는 것에 기반한 프리코딩 조절(148)은 향상된 효율성을 제공함이 밝혀져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는 추정 카테고리들(432)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간섭 식별 수신기(124)의 가용성 및 능력을 포함하거나 나타낼 수 있다. 썸레이트 상태(444)의 최대화는 컴퓨팅 시스템(100)의 통신을 위한 간섭 식별 수신기(124)의 가용성 및 능력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송신기들에 특화된 프리코딩 조절(148)을 포함하고 썸레이트 상태(444)를 최대화하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컴퓨팅 시스템(100)에 향상된 스루풋을 제공함이 밝혀져 있다. 다중 동시 전송에 대응하는 썸레이트 상태(444)를 고려하는 것에 기반한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다중 동시 전송의 세트에 대한 부정적인 간섭을 최소화하고 중요하지 않은 간섭을 무시할 수 있다. 결과적인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다중 동시 전송의 통신 속도를 최대화하면서 신호들 사이의 간섭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좁혀진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의 프로세싱으로부터 유래된 프리코딩 조절(148)은 감소된 프로세싱 복잡도를 제공함이 밝혀져 있다. 감소된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는 프리코딩 조절(148)의 후보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감소가 통신 환경에 특화되며 논리적으로 연관되므로, 관련있는 후보들만이 분석되고 그리고 분석의 사이즈 및 복잡도가 감소된다.
프리코딩 조절(148)을 적용하고 신호를 통신한 후에, 제어 흐름은 동신 환경 모듈(402)로 다시 전달된다.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는 후속하는 통신에 기저로 사용되며 갱신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전송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수신기 설명(134)을 수신하고, 상술된 프로세스들을 반복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조절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동작 순서도(500)는 박스(502)에서 도 1의 수신기 카운트(144)를 판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컴퓨팅 시스템(100) 또는 통신 표준에 의해 미리 결정된 프로세스 또는 방법에 따라, 도 1의 제1 사용자 장치(102) 또는 도 1의 제2 사용자 장치(104)와 같은 사용자 장치에 대한 요청, 초기화, 도 1의 수신기 설명(134),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수신기 카운트(144)를 판별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도 4의 통신 환경 모듈(402)을 이용하여 수신기 카운트(144)를 판별할 수 있다. 통신 환경 모듈(40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생략된다.
동작 순서도(500)는 박스(504)에서 도 1의 롱텀 측정(150) 및 도 1의 포괄 신호 측정(132)을 판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설명(134)에 기반하여 롱텀 측정(150) 및 포괄 신호 측정(132)을 판별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통신 환경 모듈(402)을 이용하여 롱텀 측정(150) 및 포괄 신호 측정(132)을 판별할 수 있다.
동작 순서도(500)는 박스(506)에서 초기 세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도 1의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함으로써 초기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설명(134) 또는 도 1의 서빙 채널 측정(126) 또는 그와 연관된 도 1의 간섭 채널 측정(128)과 같은 채널 측정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도 4의 초기 후보 모듈(404)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생성할 수 있다. 초기 후보 모듈(40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생략된다.
동작 순서도(500)는 박스(508)에서 수신기 카운트(144)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순서도(500)는 도 4의 객체 기능 모듈(406)을 이용하여 컴퓨팅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결정된 문턱에 대한 수신기 카운트(144)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턱은 상술된 바와 같이 2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순서도(500)는 박스(510)에서 루틴(routine)에 따라 객체 기능을 판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도 4의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하는 데에 상술된 루틴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상술된 루틴을 사용하여 수신기 카운트(144)가 문턱보다 클 때에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동작 순서도(500)는 박스(512)에서 상태 세트를 이용하여 객체 기능을 판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도 4의 특정 상태 세트(442)를 이용하여 상술된 썸레이트 상태(444)를 판별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수신기 카운트(144)가 문턱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때에 특성 상태 세트(442)를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객체 기능 모듈(406)을 이용하여 루틴을 이용한 썸레이트 상태(444), 특정 상태 세트(442),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판별할 수 있다. 객체 기능 모듈(40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생략된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박스(514)에서 최적 프리코딩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썸레이트 상태(444)를 최대화하는 도 1의 프리코딩 조절(148)을 포함하는 도 1의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썸레이트 상태(444)를 최대화하는 것에 따라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를 좁히고 프리코딩 후보 세트(416)의 원소들을 테스트하는 것에 기반하여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도 4의 감소 모듈(408), 도 4의 조정 모듈(410),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조절(148)을 포함하는 조정 프리코딩 세트(146)를 생성할 수 있다. 감소 모듈(408) 및 조정 모듈(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생략된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박스(516)에서 롱텀 협력(cooperation)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통신 환경 모듈(402)을 이용하여 장치들 사이의 롱텀 협력을 평가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컴퓨팅 시스템(100) 또는 통신 표준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롱텀 협력을 평가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롱텀 협력이 존재할 때에 제어 흐름을 박스(508)로 넘기고 수신기 카운트(144)를 평가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롱텀 협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제어 흐름을 박스(502)로 넘기고 수신기 카운트(144)를 판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의 방법의 순서도(600)가 도시되어 있다. 방법(600)은 블록(602)에서 간섭 식별 수신기에서 서빙 신호 및 간섭 소스로부터의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를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는 것; 블록(604)에서 서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수신기 설명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는 것; 블록(606)에서 서빙 신호 및 간섭 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는 것; 그리고 블록(608)에서 프리코딩 후보 세트로부터 서빙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썸레이트 상태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된 모듈들은 도 2의 제1 통신 유닛(216), 도 2의 제2 통신 유닛(236), 도 3의 제3 통신 유닛(316), 도 3의 제4 통신 유닛(336), 도 2의 제1 제어 유닛(212), 도 2의 제2 제어 유닛(238), 도 3의 제3 제어 유닛(312), 도 3의 제4 제어 유닛(338), 또는 이들의 조합의 수동 회로, 능동 회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가속기들일 수 있다. 상술된 모듈들은 도 1의 제1 사용자 장치(102), 도 1의 제2 사용자 장치(104), 도 1의 제1 노드 장치(106), 도 1의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위치하며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또는 이들의 조합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동 회로, 능동 회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가속기들일 수 있다.
도 1의 컴퓨팅 시스템(100)은 예시적인 모듈 기능들 및 명령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모듈들을 다르게 분할하거나 또는 모듈들을 다르게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객체 기능 모듈(406)은 하나의 모듈에서 도 3의 신호 추정 세트(430)을 생성하고 다른 하나의 모듈에서 신호 추정 세트(430)를 선택 또는 식별하는 다중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기능 모듈(406) 및 도 3의 감소 모듈(408)은 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에 특화된 다양한 모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술된 모듈들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모듈들이 다른 장치들에 구현될 수 있고, 모듈들의 기능들은 다중의 장치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모듈들이 비임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를 위하여, 상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은 상이한 시스템, 상이한 장치, 상이한 사용자, 또는 이들의 조합에 분산되어 비임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모듈들은 칩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단일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저장 또는 구현되거나 또는 다중 하드웨어들을 이용하여 저장 또는 구현될 수 있다.
상술된 모듈들은 비임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또는 이들의 조합은 비임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가리킬 수 있다. 제1 통신 유닛(216), 제2 통신 유닛(236), 제3 통신 유닛(316), 제4 통신 유닛(336), 제1 제어 유닛(212), 제2 제어 유닛(234), 제3 제어 유닛(312), 제4 제어 유닛(334),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일부는 제1 사용자 장치(102), 제2 사용자 장치(104), 제1 노드 장치(106), 제2 노드 장치(108),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비임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또는 스틱, 외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카세트,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프리코딩 조절(148)로부터의 도 1의 수신기 신호(122)의 물리적 변환은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를 위해 표시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와 같은 물리 세계의 이동을 초래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전화기의 음성과 같은 제1 사용자 장치(102)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는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전화기의 응답에 따라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물리 세계의 이동은 채널 측정, 제1 사용자 장치(102)의 지리적 위치, 전송의 간섭, 또는 이들의 조합의 변화를 초래하고, 컴퓨팅 시스템(100)에 피드백되어 도 1의 수신기 설명(134) 및 도 3의 신호 추정 세트(430)에 영향을 준다.
결과적인 방법, 프로세스, 장치, 제품, 또는 시스템은 직관적이고, 가격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용도가 많고, 정확하고, 민감하고, 그리고 효율적이며, 준비된, 효율적은, 그리고 경제적인 제조, 적용 및 활용을 위해 알려진 구성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중요한 측면은, 비용을 줄이고,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그리고 성능을 높이는 트렌드를 지원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컴퓨팅 시스템 102, 104; 사용자 장치
106, 108; 노드 장치 110; 네트워크
112; 콘텐츠 114; 노드 링크
116; 서빙 신호 118; 간섭 신호
120; 채널들 122; 수신기 신호
124; 간섭 식별 수신기 126; 서빙 채널 측정
128; 간섭 채널 측정 130; 잡음 측정
132; 포괄 신호 측정 134; 수신기 설명
136; 채널 피드백 138; 신호 피드백
140; 서빙 통신 용량 142; 간섭 통신 용량
144; 수신기 카운트 146; 조정 프리코딩 세트
148; 프리코딩 조절 150; 롱텀 특정
208, 210; 장치 전송
212, 312, 234, 334; 제어 유닛
214, 314, 246, 346; 스토리지 유닛
216, 316, 236, 336; 통신 유닛
218, 318238, 338; 사용자 인터페이스
222, 244, 322, 344; 제어 인터페이스
224, 248, 324, 348;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226, 242, 326, 342; 소프트웨어
228, 250, 328, 350; 통신 인터페이스
230, 240, 330, 340; 표시 인터페이스
402; 환경 모듈 404; 초기 후보 모듈
406; 객체 기능 모듈 408; 감소 모듈
410; 조정 모듈 412; 제어 상세 모듈
414; 채널 상세 모듈 416; 프리코딩 후보 세트
418; 메커니즘 420; 분해 출력 세트

Claims (10)

  1. 간섭 식별 수신기에서 간섭 소스로부터의 간섭 신호 및 서빙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를 나타내는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간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장치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기 설명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 신호 및 상기 서빙 신호를 나타내는 썸레이트 상태(sum-rate condition)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로부터 상기 서빙 신호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간 인터페이스는 채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 설명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채널 피드백에 SVD (singular-value decomposition)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신호 추정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논리적으로 감소하는 환경 감소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추정 카테고리를 판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추정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간 인터페이스는 채널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 설명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 설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기 위한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힌 후에 상기 서빙 신호 및 상기 간섭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조절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프리코딩 조절을 적용하여 상기 서빙 신호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SVD 메커니즘 및 상기 채널 피드백에 기반하여 분해 출력 세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분해 출력 세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서빙 신호, 상기 간섭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포괄 신호 측정을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포괄 신호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서빙 신호, 상기 간섭 신호, 상기 채널 피드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롱텀 측정을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롱텀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썸레이트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수신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상기 간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전체 공통 세팅, 전체 전용 세팅, 특정 모델 세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신호 추정 세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 공통 세팅, 상기 전체 전용 세팅, 또는 상기 특정 모델 세팅을 선택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코딩 후보 세트를 좁히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
KR1020150022367A 2014-08-07 2015-02-13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4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4,512 2014-08-07
US14/454,512 US9391685B2 (en) 2013-08-15 2014-08-07 Computing system with pr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326A true KR20160018326A (ko) 2016-02-17
KR102343856B1 KR102343856B1 (ko) 2021-12-27

Family

ID=5548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367A KR102343856B1 (ko) 2014-08-07 2015-02-13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8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2598A1 (en) * 2008-07-02 2010-01-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reporting a rank and a precoding matrix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KR20110035555A (ko) * 2009-09-30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채널에서의 선형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US20120120970A1 (en) * 2010-11-15 2012-05-17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KR20120119973A (ko) * 2011-04-21 2012-11-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될 프리코딩 데이터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113531A (ko) * 2010-12-02 2013-10-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공유 노드를 이용하여 이동국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2598A1 (en) * 2008-07-02 2010-01-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reporting a rank and a precoding matrix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KR20110035555A (ko) * 2009-09-30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채널에서의 선형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US20120120970A1 (en) * 2010-11-15 2012-05-17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KR20130113531A (ko) * 2010-12-02 2013-10-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공유 노드를 이용하여 이동국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119973A (ko) * 2011-04-21 2012-11-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될 프리코딩 데이터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856B1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530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マスタ・ユニット、およびスレーブ・ユニットでアップリンク無線周波数信号を受信する方法
KR102120730B1 (ko) 레이트 선택 메커니즘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0741567A (zh) 用于高多普勒条件的多天线传输协议
US11581959B2 (en) Channel estimation and prediction with measurement impairment
TW201937872A (zh) 增強在分散式輸入分散式輸出之無線系統中之空間分集的系統及方法
CN111434069A (zh) 用于采用nzp csi-rs的mu干扰测量的信令
US11510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multi-beam reporting
WO2018028549A1 (zh) 测量导频的发送方法、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
CN106888062A (zh) Cqi估计、sinr确定方法及相关设备
Mahmood et al. Interference aware inter-cell rank coordination for 5G systems
US9521558B2 (en) Computing system with coordin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4049432A1 (en) Exploration data for network optimization
US11323160B2 (en) Link adaptation correction for low latency MU-MIMO
US9391685B2 (en) Computing system with pr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00098567A (ko)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160080174A1 (en) Computing system with channel estim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699048B2 (en) Computing system with channel qualit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314779B1 (ko) 피드백 매커니즘을 구비하는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806827B2 (en)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343856B1 (ko) 프리코딩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467216B2 (en) Computing system with joint-transmiss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254342B1 (ko) 공동 전송 매커니즘을 갖는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629003B2 (en) Computing system with factor estim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23155092A1 (e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doppler frequency val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