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986A -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 Google Patents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986A
KR20160017986A KR1020140101802A KR20140101802A KR20160017986A KR 20160017986 A KR20160017986 A KR 20160017986A KR 1020140101802 A KR1020140101802 A KR 1020140101802A KR 20140101802 A KR20140101802 A KR 20140101802A KR 20160017986 A KR20160017986 A KR 2016001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beam assembly
nacelle frame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4873B1 (en
Inventor
강종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873B1/en
Publication of KR2016001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A lifting apparatus of a nacelle frame is disclosed. The lifting apparatus of a nacell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ug part which is installed in a nacelle frame to lift a beam assembly where the nacelle frame is placed; a moving part which moves the lug part in the intern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celle fram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eam assemb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nacelle frame in case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is changed; and a fixing part which selectively fixes the position of the moved lu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table lifting of the nacelle frame placed in the beam assembly by installing the lug part in the beam assembly and easily moves the lug part regardless of the weight change of the nacelle frame.

Description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0001]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0002]

본 발명은 나셀 프레임을 리프팅할 때 안정적으로 리프팅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stably lifting a nacell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device for a nacelle frame.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발전 형태로는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력발전 및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을 들 수 있다.Generally, typical types of power genera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include thermal power generation using fossil fuel as an energy source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using nuclear power.

그러나, 화력발전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른 공해유발의 문제와 함께 막대한 건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원자력발전은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유리하지만 방사선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막대한 시설비가 요구됨은 물론 방사선 누출의 위험성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며, 나아가 폐기물처리도 쉽지 않으며, 사소한 사고라 할지라도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mal power generation has a problem of causing pollution due to utilization of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 and a huge construction cost. In addition, nuclear power generation is advantageous in produc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but an enormous facility cost is required to prevent radiation leakage, and a strong rebound of local residents is expected due to the risk of radiation leakage. There is always a risk of causing severe environmental destruction.

이에,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공해문제로부터 자유롭고 고갈될 염려 없는 영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natural energy such as wind power, tidal power, hydroelectric power, and solar energy as an energy source as a permanent energy source free from exhaustion problems due to firepower or nuclear power generation.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가운데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풍력발전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함과 동시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wind power generation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rom the viewpoint of using clean energy sources among natural energy-based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is easy to operate and manage, and can be operated unattended and automated. Therefore, the introduc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소음과 진동 등에 의한 환경피해가 속출하고 발전용량이 대형화되고,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집약적으로 집단화시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wind power generation structures were mainly located on land, but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vibration, power generation capacity has become larger, and aesthetics, As a result,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연결되는 허브(hub)를 구비한 로터(rotor)와, 로터와 연결되는 나셀(nacelle)을 지지하면서 보호하는 나셀 커버(nacelle cover)와, 블레이드, 로터, 나셀 및 나셀커버를 지지하는 타워(tower)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에서 유용한 공력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공력 토크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A wind turbine generator is a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from wind-induced rotational energy. The wind turbine generator includes a rotor having a hub to which a plurality of blades rotated by the wind are connected, and a nacelle a nacelle cover that supports and protects the nacelle, and a tower that supports the blade, rotor, nacelle, and nacelle cover. The blade uses aerodynamically designed geometry to generate useful aerodynamic torques in the wind energy and generates electricity by rotating the generator using aerodynamic torques.

블레이드는 전기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 역학적 형상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그 형상으로부터 유발되는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The blade must be able to support the load induced by its shape structurally as well as aerodynamic shape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54156호(공개일: 2012년 05월 3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54156 (Publication date: May 30, 2012)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러그부를 빔 조립체에 설치하여 중량체인 나셀 프레임이 빔 조립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통해 리프팅이 이루어질 때 안정적인 리프팅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나셀 프레임의 서로 다른 무게 변화에 상관 없이 러그부를 이동시켜 나셀 프레임에 대한 용이한 이동을 실시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for a stable lifting of the nacelle frame when the nacelle frame is lifted through the wire in a state where the nacelle frame is mounted on the beam assembly by installing the lug part on the beam assembly, The lug portion is mov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nacelle fr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나셀 프레임(Nacelle Frame)이 안착된 빔 조립체에 대한 리프팅(Lifting)을 위해 나셀 프레임에 장착되는 러그부; 상기 나셀 프레임의 무게가 변동될 경우 이동에 따른 빔 조립체의 평형을 위해 러그부를 나셀 프레임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된 러그부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celle frame, comprising: a lug part mounted on a nacelle frame for lifting of a beam assembly on which a nacelle frame is placed;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lug part in an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celle frame for balance of the beam assembly when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is changed; And a fixing part for sel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ed lug part.

상기 러그부는 상기 빔 조립체의 상단 내측 길이 방향에 수직 상태로 위치된 플레이트 형태의 러그 바디; 상기 러그 바디에 개구되고 와이어가 결합되는 통공; 상기 통공을 기준으로 상단까지 연장되어 와이어의 하중에 따른 러그 바디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한다.The lug portion including a plate-shaped lug body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eam assembly;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is coupled to the lug body; And a reinforcing rib exte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ug body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wire.

상기 러그부는 상기 통공이 개구된 위치가 러그 바디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ug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extends outward from a side surface of the lug body.

상기 이동부는 상기 러그부의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빔 조립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러그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The moving part includes a bearing positioned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lug part to allow relative movement of the lug part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assembly.

상기 이동부는 상기 빔 조립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러그부가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치형 결합된 기어 유닛; 상기 기어 유닛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가이드 레일을 빔 조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모터 유닛을 포함한다.Wherein the mov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beam assembly and the lug par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 gear unit coupled to the guide rail in a tooth-like manner; And a motor unit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unit to move the guide rai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상기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상기 모터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유닛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러그부의 위치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unit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lug unit.

상기 고정부는 상기 러그부가 위치된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개구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빔 조립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러그부에 형성되어 고정 브라켓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inserted in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beam assembly through an insertion hole opened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lug portion is located;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lug portion and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inserted therein.

상기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상기 러그부의 이동에 따른 상대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lug part.

상기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상기 러그부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위해 빔 조립체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표기된 마커를 포함한다.
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includes markers equidistantly spac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assembly for visually recogniz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ug par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나셀 프레임을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나셀 프레임의 무게가 상이한 경우에도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성도 보장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lift the nacelle fram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Even when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is different, the horizontal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safety of the operator is also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그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의 고정 브라켓을 통한 고정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fting device of a nacell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u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 lifting device of a nacell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he control unit.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xed state of a lifting device of a nacelle frame through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structure of a lifting device of a nacell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나셀 프레임(2)이 안착되는 빔 조립체(10)에 러그부(100)를 설치하여 중량체인 나셀 프레임(2)에 대한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나셀 프레임(Nacelle Frame)(2)이 안착된 빔 조립체(10)에 대한 리프팅(Lifting)을 위해 나셀 프레임(2)에 장착되는 러그부(100)와, 상기 나셀 프레임(2)의 무게가 변동될 경우 이동에 따른 빔 조립체(10)의 평형을 위해 러그부(100)를 나셀 프레임(2)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200)와, 상기 이동된 러그부(1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1 to 3, 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includes a lug part 100 installed on the beam assembly 10 on which the nacelle frame 2 is mounted, so that the nacelle frame 2 can be stably moved A lug part 100 mounted on the nacelle frame 2 for lifting of the beam assembly 10 with the nacelle frame 2 mounted thereon for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2, A moving part 200 for moving the lug part 100 in an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celle frame 2 in order to balance the beam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ug part 100, And a fixing part 30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300 selectively.

러그부(100)는 빔 조립체(10)의 상단 내측 길이 방향에 다수개가 배치되는데, 나셀 프레임(2)의 무게를 고려하여 개수는 변동될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개수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ug portions 100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eam assembly 10. The number of the lug portions 100 may be varied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2, .

예를 들어 나셀 프레임(2)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울 경우 빔 조립체(10)에 안착된 상태로 리프팅을 실시할 때 상기 빔 조립체(1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지 않고 수평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러그부(100)에 와이어를 신속하게 연결한 후에 나셀 프레임(2)에 대한 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시간을 상대적으로 단축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2 is relatively heavy, when the lifting is perform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beam assembly 10, the beam assembly 10 is not inclined leftward or rightward, Since the wires can be quick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ug parts 100 and the nacelle frame 2 can be moved,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and the work time can be relatively shortened, thereby performing more efficient operations. can do.

러그부(100)는 수직 상태로 위치된 플레이트 형태의 러그 바디(102)와, 상기 러그 바디(102)에 개구되고 와이어가 결합되는 통공(104)과, 상기 통공(104)을 기준으로 상단까지 연장되어 와이어의 하중에 따른 러그 바디(102)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리브(106)를 포함한다.The lug part 100 includes a lug body 102 in the form of a plate positioned in a vertical state, a through hole 104 opened to the lug body 102 and coupled with the wire, And a reinforcing rib 106 extending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ug body 102 due to the load of the wire.

일 예로 러그 바디(102)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될 경우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조적 강도가 보강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lug body 102 may be formed in a shape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modified to other shapes. When the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on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wires are coupled, .

러그 바디(102)는 통공(104)이 정 중앙에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 타입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러그부(100)는 빔 조립체(10)의 내측에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된다.The lug body 102 may be of a type in which the through hole 104 is open at the center, in which case the lug portion 100 is positioned inside the beam assembly 10 in the state shown in the drawing.

보강 리브(106)는 와이어가 통공(104)에 설치된 이후에 중량체인 나셀 프레임(2)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러그 바디(102)의 하단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ribs 106 ar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than the lower end of the lug body 102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age when a load of the nacelle frame 2 is applied after the wire is installed in the through- .

보강 리브(106)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외측을 향해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 또는 통공(104) 주위에만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 리브가 형성된 형태 중의 어느 한 형태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형태 이외의 다른 형태로의 변경도 가능함을 밝혀둔다.The reinforcing ribs 106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for example, a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toward the outside or a shape in which a reinforcing rib is formed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nly around the through hole 104 may be selectively used , It is possible to change to other forms other than those mentioned above.

보강리브(106)는 러그 바디(102)의 살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거나 상기 러그 바디(102)에 열처리 또는 제조 방식의 변경을 통해 구조적인 강도 보강을 도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ribs 106 may increase the structural thickness of the lug body 102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lug body 102, or structural strength of the lug body 102 may be improved by heat treatment or by changing the manufacturing method.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러그부(100)는 통공(104)이 개구된 위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러그 바디(102)의 정 중앙이 아닌 러그 바디(102)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와이어와 빔 조립체(10)와 직접적인 간섭이 방지되어 상기 와이어의 파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통공(104)에 와이어를 설치할 경우에도 보다 손쉽게 통공(104)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3, the lug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 104 is opened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lug body 102, not at the right center of the lug body 102, And in this case direct interference with the wire and the beam assembly 10 is prevented so that breakage of the w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lso, when a worker installs a wire in the through hole 104, the worker can be more easi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04,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빔 조립체(10)는 H자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및 상기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참고로 러그부(1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내측 길이 방향에 다수개가 배치된다.
The beam assembly 10 includes an upper frame 11 and a lower frame 12 as an H-shaped structure and a connecting frame 13 connecting the upper frame 11 and the lower frame 12 to each other. For reference, a plurality of lug parts 100 are disposed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본 실시 예에 의한 러그부(100)는 이동부(200)를 통해 빔 조립체(10)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 구간 작업자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나셀 프레임(2)의 무게가 전체적으로 무겁거나 나셀 프레임(2)이 빔 조립체(10)에 안착된 이후에 좌측 또는 우측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빔 조립체(10)의 수평 상태를 조정해야 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동부(200)를 통해 빔 조립체(10)의 수평 상태를 조정하여 나셀 프레임(2)에 대한 안정적인 리프팅을 실시한다.
The lug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opera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10 through the moving part 200.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2 Or whe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beam assembly 10 needs to be adjusted because the weight of the left or right side is relatively heavy after the nacelle frame 2 is mounted on the beam assembly 10, Thereby adjus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eam assembly 10 to perform stable lifting of the nacelle frame 2.

이동부(200)는 일 예로 상기 러그부(100)의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빔 조립체(10)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러그부(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202)이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베어링(202)이 빔 조립체(10)의 내측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러그부(100)의 이동이 특정 위치로 이루어진다.
The moving unit 200 includes a bearing (not shown) that is positioned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lug unit 100 and is movable relativ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m assembly 10 to allow movement of the lug unit 100 202) is used. In this case, the bearing 202 is brought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eam assembly 10, and the movement of the lug part 100 is made to a specific position.

베어링(202)은 러그 바디(102)에 압입되고 스프링(미도시)으로 탄지되어 상부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에 형성된 베어링 삽입홈(11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베어링(202)을 갖는 러그부(100) 전체는 상부 프레임(11)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The bearing 202 is inserted into the lug body 102 and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groove 11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by being pushed by a spring (not shown) The whole of the lug part 100 may be moved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베어링(202)은 전술한 위치에 모두 형성되거나, 특정 위치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베어링을 이용한 러그부(100)의 이동과 함께 롤러를 이용한 이동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구름 접촉을 통한 통상의 회전부재를 통한 이동은 모두 가능함을 밝혀두며 베어링 또는 롤러를 이용한 방식으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It is noted that the bearings 202 may be formed at all of the positions described above, or may be disposed only at specific positions, and that the bearings 202 may be moved using the roller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lug part 100 using the bearings. That is, movement through rolling contact through a normal rotating member is all possibl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bearing or roller ty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부(200)는 기계적인 구동력을 이용하여 러그부(100)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빔 조립체(10)의 내측에 구비되고 러그부(100)가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 가이드 레일(210)과, 상기 가이드 레일(210)과 치형 결합된 기어 유닛(220)과, 상기 기어 유닛(22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가이드 레일(210)을 빔 조립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모터 유닛(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mov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ove the lug part 100 to a specific position by using a mechanical driving force. To this end, the moving part 200 is provided inside the beam assembly 10 A gear unit 220 coupled to the guide rail 210 in a state where the lug unit 100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ear unit 220, And a motor unit 230 for moving the guide rail 2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10. [

가이드 레일(210)은 빔 조립체(10)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기 위해 상측 양단이 부분적으로 홀더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0)은 홀더 브라켓과 최소한의 마찰이 발생되면서 모터 유닛(230)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다.In order to move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10, both ends of the guide rail 210 are partially supported by a holder bracket (not shown), and the guide rail 210 is held by a holder bracket Movement is performed by the motor unit 230 while minimal friction is generated.

가이드 레일(210)은 전술한 상부 프레임(11)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고 모터 유닛(230) 또한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제어부(400)를 통해 모터 유닛(230)의 작동 상태가 제어된다.The guide rails 210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frame 11 and the motor unit 230 is also independently disposed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respective guide rails. Is controlled.

제어부(400)는 모터 유닛(230)을 특정 회전수로 제어하거나, 온 오프 제어를 통해 가이드 레일(210)에 대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motor unit 230 at a specific rotation speed or enables the movement to the guide rail 210 through on / off control.

러그부(100)는 가이드 레일(210)에 고정된 상태로 작업자가 일일이 러그부(100)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빔 조립체(10)의 평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lug part 100 can be conveniently and automatically moved without the worker moving the lug part 100 to a specific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lug part 100 is fixed to the guide rail 210. This improves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 Can be stably maintained.

빔 조립체(10)에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빔 조립체(10)가 특정 방향으로 경사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The beam assembly 10 is provided with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and when the beam assembly 10 is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tilt sensor senses the tilt sensor and transmits the tilt sensor to the controller 400.

제어부(400)는 기울기 센서를 통해 현재 빔 조립체(10)가 경사진 상태로 판단하고 구동 유닛에 대한 작동 유무와 회전수 제어를 통해 빔 조립체(10)에 대한 자동 수평 제어를 실시한다.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beam assembly 10 is in an inclined state through the tilt sensor and performs automatic horizontal control on the beam assembly 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and the rotation speed control.

따라서 작업자가 빔 조립체(10)의 수평 상태를 임으로 조절하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나셀 프레임(2)에 대한 리프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Therefore, the operator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beam assembly 10 without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so that lifting of the nacelle frame 2 can be performed safely and efficiently, and workability is improved.

모터 유닛(230)은 모터와 감속기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감속기를 경유하여 회전력과 토크가 조절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210)에 전달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210)은 특정 이동속도로 서서히 이동되어 러그부(100)에 대한 이동이 이루어진다.
In this cas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guide rail 210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torque are controlled via the speed reducer. Therefore, the guide rail 210 is gradually moved at a specific moving speed and moved to the lug part 100.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러그부(100)가 위치된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개구된 삽입홀(14)을 통해 상기 빔 조립체(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브라켓(310)과, 상기 러그부(100)에 형성되어 고정 브라켓(3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art 30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eam assembly 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 which is open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where the lug part 100 is located, A bracket 310 and an insertion part 320 formed in the lug part 100 and into which an end of the fixing bracket 310 is inserted.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300)의 타입을 고정 브라켓(31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고정시키는 형태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러그부(100)에 대한 고정을 위해 다른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ype of the fixing part 300 is limited to the fixing part using the fixing bracket 310, bu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ixing part 300 to another type for fixation to the lug part 100 Leave.

예를 들면 러그부를 자석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석은 러그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러그부에 힌지 브라켓을 통해 빔 조립체의 외측에 고정되는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ug may b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using a magnet, in which case the magnet may be mounted on the lug or may be fixed to the lug through the hinge bracket to the outside of the beam assembly It can be possible.

본 실시 예에 의한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러그부(100)의 이동에 따른 상대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50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감지부(500)는 이동부(200)에 의해 상대 이동된 러그부(100)의 이동 거리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부(4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기울기 센서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의 빔 조립체(10)에 대한 수평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nsing part 500 sensing a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nugget frame 100 as the lug part 100 moves. The control unit 400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elatively moved lug unit 100 to the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00 combines data input from the tilt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beam assembly 10 is in a horizontal state .

만약 현재 빔 조립체(10)에 나셀 프레임(2)이 안착된 상태로 특정 방향으로 편심되어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감지부(500)를 통해 입력된 러그부(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와 기울기 센서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빔 조립체(10)의 수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빔 조립체(10)에 대한 수평 상태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동부(200)를 통해 러그부(100)의 위치 이동 제어를 통해 상기 빔 조립체(10)에 대한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조절한다.
If the nacelle frame 2 is mounted on the current beam assembly 10 and is not eccentrically eccentrically hel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ug part 100 input through the sensing part 500 And the data inputted from the tilt sensor are combined to determin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eam assembly 10.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beam assembly 10, The position of the beam assembly 10 is stabilized.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1)는 러그부(100)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위해 빔 조립체(1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표기된 마커(20)를 포함한다. 상기 마커(20)는 작업자가 러그부(100)의 이동된 이동 길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빔 조립체(1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될 경우 어느 위치에 위치해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중량체인 나셀 프레임(2)을 리프팅 시킬 경우 상부 프레임(11)의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 of the nacelle frame includes markers 20 equally spac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assembly 10 to allow the operator to visually recognize the moving position of the lug portion 100. The marker 20 can be visually and easily perceived by the operator as the moved length of movement of the lug part 100 allows accurate determination of where the marker 20 is located when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a state where the nacelle frame 2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upper frame 11 when lifting the nacelle frame 2. [

따라서 나셀 프레임(2)의 무게 변동에 따른 정확한 러그부(100)의 이동 지점을 파악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작업량이 최소화되어 보다 효율적인 리프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ement point of the lug part 100 can be graspe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weight change of the nacelle frame 2, workability is improved, unnecessary workload is minimized, and more efficient lifting work can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나셀 프레임
10 : 빔 조립체
100 : 러그부
102 : 러그 바디
104 : 통공
106 : 보강리브
200 : 이동부
202 : 베어링
210 : 가이드 레일
220 : 기어 유닛
230 : 모터유닛
300 : 고정부
400 : 제어부
500 : 감지부
2: nacelle frame
10: beam assembly
100: lug portion
102: lug body
104: Through hole
106: reinforcing rib
200:
202: Bearings
210: guide rail
220: gear unit
230: Motor unit
300:
400:
500:

Claims (9)

나셀 프레임(Nacelle Frame)이 안착된 빔 조립체에 대한 리프팅(Lifting)을 위해 나셀 프레임에 장착되는 러그부;
상기 나셀 프레임의 무게가 변동될 경우 이동에 따른 빔 조립체의 평형을 위해 러그부를 나셀 프레임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된 러그부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A lug portion mounted on the nacelle frame for lifting the beam assembly with the nacelle frame mounted thereon;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lug part in an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celle frame for balance of the beam assembly when the weight of the nacelle frame is changed; And
And a fixing part for sel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ed lu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는,
상기 빔 조립체의 상단 내측 길이 방향에 수직 상태로 위치된 플레이트 형태의 러그 바디;
상기 러그 바디에 개구되고 와이어가 결합되는 통공;
상기 통공을 기준으로 상단까지 연장되어 와이어의 하중에 따른 러그 바디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ug portion
A lug body in the form of a plat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an upper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is coupled to the lug body;
And a reinforcing rib extending from the opening to the upper e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ug body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wir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는,
상기 통공이 개구된 위치가 러그 바디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ug portion
Wherein the opening of the nacelle frame is formed at a position extending outward from a side surface of the lug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러그부의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빔 조립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러그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includes:
And a bearing positioned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lug portion to enable relative movement of the lug portion while being relatively rotat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assemb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빔 조립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러그부가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치형 결합된 기어 유닛;
상기 기어 유닛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가이드 레일을 빔 조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모터 유닛을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includes:
A guide rail disposed inside the beam assembly and positioned with the lug part fixed to the upper surface;
A gear unit coupled to the guide rail in a tooth-like manner;
And a motor unit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unit to move the guide rai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ssembl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상기 모터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유닛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러그부의 위치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tor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ug unit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러그부가 위치된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개구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빔 조립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러그부에 형성되어 고정 브라켓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xing bracket inserted in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beam assembly through an insertion hole opened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lug portion is located;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lug portion and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inserted therei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상기 러그부의 이동에 따른 상대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And a sensing unit sensing a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nugget frame as the lug unit mov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는,
상기 러그부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위해 빔 조립체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표기된 마커를 포함하는 나셀 프레임의 리프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lifting device of the nacelle frame,
And a marker marked at equal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assembly for visually recogniz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ug part by a worker.
KR1020140101802A 2014-08-07 2014-08-07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KR101704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02A KR101704873B1 (en) 2014-08-07 2014-08-07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02A KR101704873B1 (en) 2014-08-07 2014-08-07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986A true KR20160017986A (en) 2016-02-17
KR101704873B1 KR101704873B1 (en) 2017-02-08

Family

ID=5545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802A KR101704873B1 (en) 2014-08-07 2014-08-07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8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700A (en) * 2018-06-11 2018-09-07 河北长江中远吊索具有限公司 Engine rooms of wind power generators suspen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974U (en) * 1992-06-02 1993-12-27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Lifting device for outer wall materials
JPH101281A (en) * 1996-06-17 1998-01-06 Yamashita Kogyo Kk Balance beam and balance beam stand
JP2006160490A (en) * 2004-12-09 2006-06-22 Masao Hiruta Hanging device using belt sling
JP2010208746A (en) * 2009-03-09 2010-09-24 Isuzu Motors Ltd Work lifting device
KR20120054156A (en) 2010-11-19 2012-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ift installation of wind power gen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974U (en) * 1992-06-02 1993-12-27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Lifting device for outer wall materials
JPH101281A (en) * 1996-06-17 1998-01-06 Yamashita Kogyo Kk Balance beam and balance beam stand
JP2006160490A (en) * 2004-12-09 2006-06-22 Masao Hiruta Hanging device using belt sling
JP2010208746A (en) * 2009-03-09 2010-09-24 Isuzu Motors Ltd Work lifting device
KR20120054156A (en) 2010-11-19 2012-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ift installation of wind power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700A (en) * 2018-06-11 2018-09-07 河北长江中远吊索具有限公司 Engine rooms of wind power generators suspender
CN108502700B (en) * 2018-06-11 2024-04-16 河北长江中远吊索具有限公司 Lifting appliance for cabin of wind driven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873B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3144A1 (en) Unit for cable management and wind turbine
US83032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pitch assembly for use in a wind turbine
CN102562438A (en) Modular rotor blade and method for mounting a wind turbine
EP3431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uptower
KR101346180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KR101704873B1 (en) Lifting apparatus of Nacelle frame
KR102011398B1 (e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generation of wind power and solar
KR101573758B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135822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466092B1 (en) Yawing apparatus, wind power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368799B1 (en) Windmill
KR100935713B1 (en) Wind power generator
KR102071323B1 (en) Multi type wind turbine and control mehtod of the same
KR10134617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CN104088754A (en) Vertical-axis wind turbine
KR102221312B1 (en) Wind turbine blade pitch control apparatus
KR100749212B1 (en) Wind power generator
KR101642567B1 (en) Airflow control it using arrow keys, and a turbo-fan wind turbine generator
KR101455641B1 (en) Guide device for installing wind tower
KR20110080946A (en) Wind power generator
KR101587725B1 (en) The vertical axis wind turbine
JP2020128708A (en) Lifting device for water flow power generator and water flow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588676B1 (en) Hub pulling apparatus
KR101556189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KR101682445B1 (en) Solar cell a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