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76A -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76A
KR20160017876A KR1020140101416A KR20140101416A KR20160017876A KR 20160017876 A KR20160017876 A KR 20160017876A KR 1020140101416 A KR1020140101416 A KR 1020140101416A KR 20140101416 A KR20140101416 A KR 20140101416A KR 20160017876 A KR20160017876 A KR 20160017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glass
wearabl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성철
엄정한
김진영
이경현
김대중
김석기
유철현
Original Assignee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876A/en
Publication of KR2016001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nput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using a wearable glasse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notifying completion of food using a wearable glasses device comprises: a step (S100) of inputting an order code into a wearable glasses device; a step (S101) of signal-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of updated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to wirelessly transmit a processed signal to the wearable glasses device if the food order processing is updated; and a step (S102) where the wearable glasses device notifies a user if the transmitted signal responds to the orde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stare at an electronic display board to check a food completion result after placing an order.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ime for conversing with an accompanying person or doing other things while waiting for the ordered food. Also, a restaurant does not have to use a paper order code ticket or a vibrating bell for notifying completion of food, and thus expenses can be reduced.

Description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wearable device of a glass type,

본 발명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의 업데이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and a notification method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delivering update of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using a glass-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안경(Glass)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Recently wearable devices are emerging. It has appeared in the form of glasses that are linked to smart phones, and some forms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a smartphone are also emerging.

한편, 푸드코드에 음식을 먹으러 고객이 방문하면, 주문 후 주문코드를 부여받고, 본인이 부여받은 주문코드 번호가 전광판에 표시되는지 확인하면서 기다린다. 음식을 주문하고 기다리는 고객이 많으면 많을수록 자주 전광판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통해 음식을 기다리는 시간동안 일행들과의 시간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불편함도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stomer visits the food code to eat food, the order code is given after the order is received, and the order code number given to the custom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oard. The more customers who order food and wait, the more inconvenience it is often to check the electric signboard. This causes inconvenience of not enjoying the time with the parties during the waiting time of the food.

또한, 고객에게 주문코드를 부여하여 발급하는 주문코드용지는 고객 입장에서 번거롭고 귀찮으며, 음식점 입장에서도 버려지는 것이므로 종이 낭비가 되고 주변 환경이 지저분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code paper issuing the order code to the customer is cumbersome and troublesome for the customer, and is also discarded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taurant, so that paper wast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come dirty.

또한, 최근에는 진동벨에 의해 음식이 완성되었음을 고객에게 알려주기도 하지만, 진동벨의 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주문 고객이 많은 경우 진동벨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진동벨 파손이나 진동벨 분실의 문제도 발생한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customers have been informed that the food has been completed by the vibrating bell. However, since the number of vibrating bell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stomer can not give vibrating bell when there are many customers.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문코드를 입력받고,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면 무선통신을 통해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and a notification method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that receives an order code and receives an order code and recognizes the ordered foo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es a notification to a user have.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using a wearab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an order code to th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the updated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o the glass wearable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And if the transmitted signal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informing the user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또한, 상기 주문코드의 입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상기 주문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방식,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주문코드를 수신하는 방식, 음성입력을 통해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연동된 통신디바이스의 터치조작을 통해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상기 사용자의 눈깜박임을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putting of the order code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first camera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acquires and recogniz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A method of receiving the order code, a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through voice input, a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through a touch operation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or an interlocked communication device, a method of recognizing the user's gesture A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and a method of recognizing blinking of the user and inputting the order code.

또한,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여 알리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동발생에 의해 알리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음향출력에 의해 알리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nsmitted signal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the step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includes a method of displaying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And a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by an acoustic output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또한, 상기 무선통신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엑티브센싱을 할 수 있는 비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wearable device is a beacon signal capable of performing active sensing.

또한, 상기 주문코드를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음식 조리 완료 시, 상기 비콘신호에 상기 주문코드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ransmitting the order code to a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adding the order code to the beacon signal upon completion of the cooking and transmitting the beacon signal.

또한, 상기 비콘신호는, 상기 점포별로 상이한 상기 비콘신호를 사용하거나, 상기 비콘신호 내에 점포별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beacon signal may use the different beacon signal for each of the stores, or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store in the beacon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식별코드 장치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한 식별코드로부터 주문코드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ID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 장치가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using a wearable device of a glass type, comprising: inputting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to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Extracting order code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cognized by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identification code device; The ID code device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order cod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the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step; And a step in which the glass-wearable device receives a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and informs the user of the call signal.

또한, 상기 식별코드 입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방식,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putting of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first camera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acquires and recogniz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method.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여 알리는 방식, 진동발생에 의해 알리는 방식, 음향출력에 의해 알리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receives the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call signal may include a method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glass-wearable device, And a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은, 주문코드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카메라;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주문코드를 추출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주문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comprising: a first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or an image including an order co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n order code from the image or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assigned to the user; And an output unit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when the order code is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은, 대기번호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제공하고,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ID 정보를 수신하며, 관리서버로 상기 ID 정보 및 상기 대기번호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코드 장치;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 및 상기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wait number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s ID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wearable wearable device,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for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waiting numb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a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a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And a glass type wearable device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extracting the order code information and the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call sig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사용자는 음식 주문 후 음식완성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광판을 주시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주문된 음식을 기다리면서 일행과 대화를 하는 등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First, the user does not have to watch the electric signboard to check the food completion result after ordering the fo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tilize time, such as talking with the party while waiting for the ordered food.

둘째, 음식점은 음식이 완성되었다는 알림을 종이로 된 주문코드표나 진동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econd, restaurants can save money by not having to use a paper order code or vibration bell to notify them that the food is finis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
도 2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1카메라를 통해 주문코드를 입력받는 예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예시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식별코드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의 내부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type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FIG. 3 is an exemplary drawing in which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order code through a first camera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arabl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2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1카메라를 통해 주문코드를 입력받는 예시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예시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식별코드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FIG.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type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rder code is input through a first camera, FIG. And informs the user.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도 1 내지 도 6에는 시스템(100), 사용자입력부(110), 어플리케이션(111), 키보드(112), 음성입력부(113), 터치패드(114), GPS신호부(115), 근거리통신(116),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123), 센싱부(130), 자이로센서(131), 가속도센서(132), 압력센서(133), 홍체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근전도센서(136), 제어부(210), 음성인식부(220), 상황평가모듈(230),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출력부(300),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부(320), 알람부(330), 햅틱모듈(340)가 도시된다.1 to 6 show a system 100, a user input unit 110, an application 111, a keyboard 112, a voice input unit 113, a touch pad 114, a GPS signal unit 115, A camera 120, a first camera 121, a second camera 122, a third camera 123, a sensing unit 130, a gyro sensor 131, an acceleration sensor 132, a pressure sensor 133, an iris recognition sensor 134, a heartbeat detection sensor 135, an electromyogram sensor 136, a control unit 210, a voice recognition unit 220, a situation evaluation module 2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a memory 260, an interface unit 270, an output unit 300, a display unit 310, an acoustic output unit 320, an alarm unit 330, a haptic module 340,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내부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type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카메라부(120), 음성입력부(113), 사용자입력부(110), 센싱부(130), 출력부(300), 무선통신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10), 전원공급부, 및 음성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로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외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20, a voice input unit 113, a user input unit 110, a sensing unit 130, an output unit 3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a memory 260, A controller 270, a controller 210, a power supply unit,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220.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include all of the above components but may be composed of only some components. It may also include other additional components.

카메라부(12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쓰이는 경우, 제어부(210)로 이미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한다.The camera unit 120 is for inputting video signals or image signals, and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e camera unit 120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0. [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unit 12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 When an image signal or a video signal is used as an input for information processing, the image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0.

음성입력부(113)는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unit 113 is for inputting voice signals and may include a microphone and the like. The microphone receive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 variety of noise canceling algorithms may be used to remove the noise generated by the microphone in receiving an external acoustic signal.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e user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key pad, a keyboar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a finger mous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310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디바이스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싱부(130)는 디바이스의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부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 연결 여부 인식 등의 다양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device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device, the position of the devi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30 may function a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information processing of a device, and may perform various sensing functions such as recognition of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압력센서(133), 모션 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체인식센서(134), 심박검출센서(135), 피부온도센서, 피부저항센서, 심전도센서, 거리센서 및 도플러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 pressure sensor 133, a mo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134, a heartbeat detection sensor 135, a skin temperature sensor, , A distance sensor, a Doppler radar, and the like.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kes it possible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object to be approached or nearby, without mechanical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can detect a nearby object by using the change of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or the change of the static magnetic field, or by using the change rate of the capacitance. The proximity sensor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sensor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압력센서(133)는 디바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33)는 사용환경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33)가 디스플레이부(31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33 can detect whether or not pressure is applied to the device,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the like. The pressure sensor 133 may be installed in a part of the device where the pressure needs to be detect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When the pressure sensor 133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310, a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10 and a pressure applied by the touch input The pressure touch input can be identified. Also,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33,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310 at the time of pressure touch input can be known.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132), 자이로센서(131),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132)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센서(132)는 중력가속도의 변화를 인식하는 중력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자이로센서(131)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132, a gyro sensor 131, and a geomagnetic sensor, and detects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device using the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132, which can be used for a motion sensor,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acceleration change in one direction into an electric signal and is widely u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The acceleration sensor 132 includes a gravity sensor that recognizes a change in gravitational acceleration. Further, the gyro sensor 131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and can sense th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심박검출센서(135)는 감성신호를 수집하기 위해 심장 박동에 의한 혈관 굵기의 변화에 따른 광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피부 온도 센서는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피부 온도를 측정한다. 피부 저항 센서는 피부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다.The heartbeat detection sensor 135 measures changes in the optical blood flow due to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blood vessel caused by the heartbeat in order to collect emotion signals. The skin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skin temperature as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skin resistance sensor measures the skin's electrical resistance.

홍체인식센서(134)는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해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의 홍채는 생후 18개월 이후 완성된 뒤, 홍채의 내측연 가까이에 융기되어 있는 원형의 홍채 패턴은 한번 정해지면 거의 변하지 않고, 또 사람마다 모양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홍채인식은 사람마다 각기 다른 홍채의 특성을 정보화해 이를 보안용 인증기술로 응용한 것이다. 즉, 홍채의 모양과 색깔, 망막 모세혈관의 형태소 등을 분석해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한 인증방식이다.The iris recognition sensor 134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a person using iris information of an eye having a characteristic unique to each person. The human iris is completed after 18 months of age, and the circular iris pattern, which is raised near the medial side of the iris, is almost unchanged once determined, and the shape of each person is different. Therefore, iris recognition is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security for information of different iris characteristics. That is, it is an authentication method developed to identify people by analyzing the shape and color of iris and the morphology of retinal capillaries.

홍체인식센서(134)는 홍채의 패턴을 코드화해 이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비교?판단하는데,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거리에서 홍채인식기 중앙에 있는 거울에 사용자의 눈이 맞춰지면, 적외선을 이용한 카메라가 줌렌즈를 통해 초점을 조절한다. 이어 홍채 카메라가 사용자의 홍채를 사진으로 이미지화한 뒤, 홍채 인식 알고리즘이 홍채의 명암 패턴을 영역별로 분석해 개인 고유의 홍채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홍채 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과 동시에 비교 검색이 이루어진다.The iris recognition sensor 134 encodes a pattern of iris and converts it into a video signal to compare and judge. The general operation principle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user's eye is aligned with the mirro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ris recognizer at a certain distance, the infrared camera adjusts the focus through the zoom lens. After the iris camera images the user's iris as a photo, the iris recognition algorithm analyzes the iris pattern of the iris region to generate iris codes unique to the user. Finally, a comparison search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the iris code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거리센서는 2점간 거리 측정방식, 3각 측량방식(적외선 이용식, 자연광 이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종래의 3각측량의 원리와 같이,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 경우, 자연광으로 하는 방법(수동식)과 적외선을 발사하여 행하는 방법이 있다. 초음파방식은 피측정물에 지향성이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아는 방식인데, 수신센서는 압전소자가 사용된다.Distance sensors include two-point distance measurement, triangulation (infrared, natural light) and ultrasonic. As in the conventional triangulation principle, when the object to be measured from two paths is reflected by a rectangular prism and incident on two image sensors,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is displayed when the relative positions are matched. In this case, there is a method of making natural light (manual type) and a method of emitting infrared rays. The ultrasonic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having sharp direction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measuring the time until the reflected wave from the object is received to find the distance. A piezoelectric element is used as the receiving sensor.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레이더의 한 방식으로, 반사파의 위상변화 즉, 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이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펄스 변조되지 않는 사인파를 송ㆍ수신하는 연속파 레이더와 전자파 신호파형으로서 방형파에 펄스 변조된 전파를 사용하는 펄스 레이더가 있다.The Doppler radar is a radar that uses a Doppler effect of a wave, that is, a phase change of a reflected wave. The Doppler radar includes a continuous wave rada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sinusoidal wave that is not pulse-modulated, and a pulse radar that uses a pulse-modulated wave to a square wave as an electromagnetic wave signal waveform.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도플러 주파수 필터의 성능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변조주파수를 비교적 높게 취하기 때문에 원거리를 대상으로 한 레이더에는 부적당하나, 도플러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대로 택함으로써 인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안정감 있는 소리로서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펄스 레이더는 펄스 송신에서 반사 에코 수신까지의 시간에 의해 목표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송신 펄스폭 내에서 주파수 변조나 위상 변조를 가하는 펄스 압축 레이더라 일컬어지는 방식이 있다. In the continuous wave radar, the modulation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in order to obtain the performance of the Doppler frequency filter.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for the radar for the long distance, but the mo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vehicle is reproduced as a stable sound by adopting the Doppler frequency as the audible frequency band.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The pulse radar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target by the time from the pulse transmission to the reflection echo reception. There is a method referred to as a pulse compression laser that performs frequency modulation or phase modulation within the transmission pulse width.

출력부(3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300)에는 디스플레이부(310), 음향출력 모듈, 알람부(330), 및 햅틱 모듈(3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30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3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310, an audio output module, an alarm unit 330, a haptic module 340,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310)는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디바이스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31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device. For example, when the device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s displayed. When the device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aptured or received image can be display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the UI and the GUI are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3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310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10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f the display unit 31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외부 디스플레이부(310)와 내부 디스플레이부(310)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310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ype of the device. For example, the device may include an external display unit 310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310 at the same time.

디스플레이부(310)는 HUD(Head up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란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다. HUD(Head up Display)는 사용자의 가시영역 내의 유리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영시키는 영상표시장치이다.The display unit 310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a head mounted display (HMD), or the like. HMD (Head Mounted Display) i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allows you to enjoy large images on your head like glasses. A Head Up Display (HUD) is a video display device that projects a virtual image onto a glass in a visible region of a user.

음향출력 모듈(320)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320)은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3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320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Also, the sound output module 320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device, for example,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320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330)는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30)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330)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330)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330)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10)나 음향출력 모듈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330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device.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a device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and inputting a key signal. The alarm unit 330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The alarm unit 330 may output a signal to notify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Also.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330 can output a signal as a feedback signal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signal output by the alarm unit 330.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device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10 or the sound output module.

햅틱 모듈(haptic module)(340)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40)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340)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340)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340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340 is a vibration effect. When the haptic module 340 generates vibration with a haptic effec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340 can be converted, and th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무선통신부(250)는 방송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GPS module.

방송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terminal.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exist in various forms.

방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receives a broadcast signal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and can receive a digital broadcast signal using a digital broadcast system.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can be embedded in a device or externally.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or the like can be used.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6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eac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비콘(Beacon)은 무선통신 장치로써 블루투스 4. 0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해 매우 작은 주파수 시그널을 그들 주위에 전달한다. 블루투스 4. 0은 장치가 대략 5m~70m내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전력이어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여 블루투스를 항상 켤 수 있다.Beac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very small frequency signals around them using a protocol based on Bluetooth 4.0 (BLE-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4.0 allows devices to communicate with devices within approximately 5m to 70m, and is low power with minimal impact on battery life, so you can always turn on Bluetooth with minimal power wastage.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5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메모리(260)는 제어부(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1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e.g.,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etc.) It is possible.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2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 And a ROM. ≪ / RTI > The device may also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storage functions of the memory on the Internet.

메모리(260)는 이하 저장부(260)로 표현될 수 있다.The memory 260 may be represented by a storage unit 260 as follows.

인터페이스부(270)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260)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이나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Exampl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260 card,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A card socket, an audi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a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earphone. The interface unit 270 may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supply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device, and may transmit data in the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부 또는 센싱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21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for multimedia reproduction. In addition, it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or the sensing unit 130.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음성인식부(220)는 자동적 수단에 의하여 음성으로부터 언어적 의미 내용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성파형을 입력하여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의미를 추출하는 처리 과정이며, 크게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5가지로 분류된다. 음성인식부(220)는 저장된 음성과 입력된 음성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음성평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부(220)는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텍스트변환모듈(240)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eech recognition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verbally meaningful contents from the speech by automatic means. Specifically, a speech waveform is input to identify a word or a word sequence, and a meaning is extracted. The process is largely divided into voice analysis, phoneme recognition, word recognition, sentence analysis, and semantic extraction.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evaluation module that compares the stored voice with the input voice.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voice-to-text conversion module 240 that converts the input voice to text or converts the voice to vo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기기의 입력신호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put signal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xternal device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S100);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101); 및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S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putting an order code to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S100); (S101),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signaling the updated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o transmit to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f the transmitted signal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notifies the user (S102). A method of notifying the completion of a food using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주문코드를 입력한다(S100).The order code is input to the wearable device 100 (S100).

상기 주문코드의 입력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1카메라(121)가 상기 주문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121)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이다. 상기 제1카메라(121)가 상기 주문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 부분을 추출한다. 상기 주문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문자가 기재된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가 상기 문자를 저장된 문자와 비교하여 인식하여 입력받는다. 상기 주문코드에 해당하는 QR코드 또는 바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가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에서 상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입력받는다.3, the first camera 121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quires and recogniz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 cod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Lt; / RTI > The first camera 12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to acquire a forward image or an image. The first camera 121 acquir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and extracts the character, QR code or barcode portion. When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described, the control unit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compares the character with the stored character and receives the character. When a QR code or a bar cod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included, the control unit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recognizes and receives a corresponding character from the bar code or the QR code.

또한, 상기 주문코드의 입력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주문코드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등의 근거리통신을 통해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상기 주문코드신호를 전송하여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der code can be input by a method in which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the order code via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order cod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a beacon.

또한, 상기 주문코드의 입력은, 음성입력을 통해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성입력부(113)가 사용자의 주문코드를 읽는 음성을 입력받아서 상기 음성인식부(220)가 상기 음성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Also, the order code may be input by inputting the order code through voice input. The voice input unit 113 receives a voice for reading a user's order code,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0 recognizes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and receives the voice.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기 제1카메라(121)가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여 주문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Also, the user can recognize the gesture and input the order code. The first camera 121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can recognize the user's hand movements and receive the order code.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동공방향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카메라(122)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눈깜박임을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눈의 깜박임은 1, 오른쪽 눈의 깜박임은 5로 하여 깜박임 횟수에 따른 숫자의 합으로 각 자리의 숫자를 표현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용자의 눈깜박임에 의한 입력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amera 122,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cquires an image or an image in the pupil direction, recognizes the eye blink of the user and inputs the order code . For example, the order code can be input by expressing the number of each digit as the sum of the nu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links with the blinking of the left eye as 1 and the blink of the right eye as 5. However, the input method by the user's blinking of eyes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주문코드의 입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연동된 통신디바이스의 터치조작을 통해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기 터치부(114)에 터치조작을 수행하는 횟수로 각 자릿수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통신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put of the order code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the order code through a touch operation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or the interlocked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the number of digits can be express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touch portion 114 of the wearable type glass-like device 100. Further, the order code can be inputted to a touch screen of a communication device interlocked with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and transmitted to the glass-wearable device 100.

다만,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연동되는 통신디바이스의 다양한 구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to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ethods that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100 or the interlocked communication device are applied .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S101). 즉,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면, 음식주문 처리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정보를 담은 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the updated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signal-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101). That is, when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is completed,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is updated, and a signal containing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by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무선통신으로 비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엑티브센싱을 할 수 있다. 비콘과 같이 신호를 전체적으로 송신한 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엑티브센싱을 하는 경우, 송신하는 신호 내에 음식이 완성된 주문코드를 모두 포함하여 송신하고, 음식을 주문한 고객이 찾아가면 상기 주문코드는 송신한 신호 내에서 제외하는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다만,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비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하는 신호 내에 정보를 담는 방식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beacon scheme can be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beacon-type wearable device 100 can perform active sensing of the beacon. When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performs active sensing after transmitting a signal as a beacon as a whole, all of the completed order codes are transmitted in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Lt; RTI ID = 0.0 > excluded < / RTI > in the transmitted signal. Howev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beacon,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storing information in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한다(S102). 즉, 상기 무선통신부(250)를 통해 업데이트된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정보처리를 통해 파악된 상기 신호 내 주문코드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입력된 상기 주문코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한다.When the transmitted signal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order code (S102). That is, when the updated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order code in the signal identifi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incides with the order code input to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Notify the user.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방식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여 알리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진동발생에 의해 알리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음향출력에 의해 알리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310) 상에 상기 주문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The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is a method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presence of vibration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 method of notifying by sound output, or the like can be appli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order cod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0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또한, 상기 주문코드를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음식 조리 완료 시, 상기 비콘신호에 상기 주문코드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방식으로 비콘을 이용할 경우 상기 점포에서 비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면 비콘신호에 추가하고, 상기 음식을 고객이 받아갈 경우 비콘신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포에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주문 음식에 대응되는 주문코드를 상기 점포로 알려준다. 그 후, 상기 주문 음식이 완성되면 상기 주문코드를 상기 점포에서 발생시키는 비콘신호에 추가한다. Transmitting the order code to a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adding the order code to the beacon signal upon completion of the cooking and transmitting the beacon signal. When a beacon is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beacon signal can be generated at the store. Therefore, when the ordered food is completed, the beacon signal is added to the beacon signal. Therefore, in order to update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the shop, an order code corresponding to the ordered food is informed to the shop. Thereafter, when the ordering food is completed, the ordering code is added to the beacon signal generated in the store.

또한, 상기 비콘신호는, 상기 비콘신호 내에 점포별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신호를 점포별로 발생시키지 않고 매장 전체에 동일 비콘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부여받은 상기 주문코드의 포함여부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점포별 식별기호를 추가하여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shop in the beacon signal. If the same beac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entire store without generating the beacon signal for each store, it may take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order code given by the user is included, so that an identifier for each store can be added and trans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식별코드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식별코드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식별코드 장치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단계(S200);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인식한 식별코드로부터 주문코드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ID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201); 상기 식별코드 장치가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02);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3);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S2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식별코드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5, a method for notifying a food completion using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ep (S200) of inputting a displayed identification code; (S201) of extracting order code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cognized by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nd transmitting the user ID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code device;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order cod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S202);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the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Step S203; And a step (S204) of receiving the paging signal transmitted with the ID information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wearable type wearable device (100). A method of notification of completion of food using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식별코드 장치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입력한다(S200). 상기 식별코드 입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1카메라(121)가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방식,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dentification-code device is input to the wearable device 100 (S200). The input of the identification code is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first camera 121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quires and recogniz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 method in which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like.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인식한 식별코드로부터 주문코드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ID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 장치로 전송한다(S201). 상기 주문코드는 주문한 음식에 해당하는 주문번호이고, 상기 서버접속정보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주문음식을 관리하는 관리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ID정보는 상기 관리서버 내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식별코드에서 주문코드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ID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서버 내 상기 사용자의 ID로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cognized by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order code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identification code device (S201). The order code corresponds to the order number corresponding to the ordered food, and the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enabling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to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ordered food. In addition,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user in the management server. Therefore,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extracts order code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s the order code, and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Also, the user ID information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allow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D of the user in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식별코드 장치가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202). 이를 통해 상기 ID정보와 상기 주문코드정보가 대응되어, 상기 주문코드정보의 음식 완성시 상기 ID로 음식완성을 통지할 수 있다.The ID code device transmits the ID information and the order cod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S202). Thus, the ID information and the order code information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food of the order code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ID can be notified of the completion of the food.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한다(S203).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the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S203).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한다(S204).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ID로 상기 음식의 완성에 따른 상기 호출신호가 전송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므로, 상기 호출신호가 상기 ID로 전달되면 인지하여 사용자에 알린다.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방식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여 알리는 방식, 진동발생에 의해 알리는 방식, 음향출력에 의해 알리는 방식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wearabl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the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call signal (S204). The wearable type wearabl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pag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food is transmitted to the user ID. Therefore, when the pag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D, Notify the user. The wearable typ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a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and informs the user of the call signal. The wearable type device 100 displays a notification on the display of the wearable type wearable device 100, A method of notifying by acoustic output, or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다만, 도 6에 있어서, 기 설명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은, 제1카메라(121); 무선통신부(250); 정보처리부(21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a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mera 12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0; And an output unit 300.

상기 제1카메라(121)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로, 주문코드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amera 12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earable device 100 to acquire an image or an image including an order code.

상기 무선통신부(250)는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0 performs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정보처리부(210)는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주문코드를 추출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0 extracts an order code from the image or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assigned to the user do.

상기 출력부(300)는 상기 주문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output unit 300 includes the order code,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 performs a function of informing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 식별코드 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은, 관리서버; 식별코드 장치;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A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glass-lik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And a wearable wearable device (100).

상기 식별코드 장치는 대기번호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제공하고,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의 ID 정보를 수신하며, 관리서버로 상기 ID 정보 및 상기 대기번호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device provid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standby number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s user ID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ransmits the ID information and the standby numb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the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Function.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 및 상기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wearable type wearable device 10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extracts the order code information and the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s a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nforms the user of the call signal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사용자는 음식 주문 후 음식완성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광판을 주시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주문된 음식을 기다리면서 일행과 대화를 하는 등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First, the user does not have to watch the electric signboard to check the food completion result after ordering the fo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tilize time, such as talking with the party while waiting for the ordered food.

둘째, 음식점은 음식이 완성되었다는 알림을 종이로 된 주문코드표나 진동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econd, restaurants can save money by not having to use a paper order code or vibration bell to notify them that the food is finish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시스템 110 : 사용자입력부
111 : 어플리케이션 112 : 키보드
113 : 음성입력부 114 : 터치패드
115 : GPS신호부 116 : 근거리통신
120 : 카메라부 121 : 제1카메라
122 : 제2카메라 123 : 제3카메라
130 : 센싱부 131 : 자이로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압력센서
134 : 홍체인식센서 135 : 심박검출센서
136 : 근전도센서
210 : 제어부 220 : 음성인식부
230 : 상황평가모듈 240 : 음성-텍스트변환모듈
250 : 무선통신부 260 : 메모리
270 : 인터페이스부
300 : 출력부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음향출력부 330 : 알람부
340 : 햅틱모듈
100: system 110: user input
111: Application 112: Keyboard
113: voice input unit 114: touch pad
115: GPS signal unit 116: Local area communication
120: camera unit 121: first camera
122: second camera 123: third camera
130: sensing unit 131: gyro sensor
132: acceleration sensor 133: pressure sensor
134: iris recognition sensor 135: heart rate detection sensor
136: EMG sensor
210: control unit 220: voice recognition unit
230: situation evaluation module 240: voice-to-text conversion module
25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0: memory
270:
300: output unit 310: display unit
320: Acoustic output unit 330:
340: Haptic module

Claims (11)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의 업데이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업데이트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A method of delivering update of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using a glass-like wearable device,
Inputting an order code to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the updated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o the glass wearable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And
And when the transmitted signal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notifying the user of the glass type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코드의 입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상기 주문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방식,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주문코드를 수신하는 방식, 음성입력을 통해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연동된 통신디바이스의 터치조작을 통해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상기 사용자의 눈깜박임을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of the order code includes:
A method in which a first camera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acquires and recogniz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a method of receiving the order cod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A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through voice input, a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through touch operation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or an interlocked communication device, a method of inputting the order code by recognizing the user's gesture, And a method of recognizing the blink of the user's eyes and inputting the order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여 알리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동발생에 의해 알리는 방식,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음향출력에 의해 알리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ransmitted signal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the step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glass-
The wearable type device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method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and informing by the sound output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A Method of Notifying Food Completion Using Glass - like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엑티브센싱을 할 수 있는 비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is a beacon signal capable of performing active sen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코드를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음식 조리 완료 시, 상기 비콘신호에 상기 주문코드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Sending the order code to a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And adding the order code to the beacon signal upon completion of the cooking, and transmitting the beacon signal to the beacon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신호는,
상기 점포별로 상이한 상기 비콘신호를 사용하거나, 상기 비콘신호 내에 점포별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eacon signal comprises:
Wherein the beacon signal different for each of the stores is used or th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store is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의 업데이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식별코드 장치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한 식별코드로부터 주문코드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ID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 장치가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A method of delivering update of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using a glass-like wearable device,
Inputting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dentification type code device to the glass type wearable device;
Extracting order code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cognized by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user ID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code device;
The ID code device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order cod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the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step; And
And a step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call-type signal that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has been transmitted with the ID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 입력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카메라가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방식,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put of the identification code,
A method in which the first camera of the glass-like wearable device acquires and recognize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a QR code or a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 method in which the glass wearable device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 method of notifying the completion of food using the wearable device of a glass ty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여 알리는 방식, 진동발생에 의해 알리는 방식, 음향출력에 의해 알리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lass-wearable device receives the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call signal,
Wherein the method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method of displaying on a display of the glass-type wearable device, a method of informing by a vibration occurrence, and a method of informing by a sound output.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의 업데이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주문코드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카메라;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주문코드를 추출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주문코드에 대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주문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
A system for delivering updates of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using a glass-like wearable device,
A first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or an image including an order co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n order code from the image or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ood orde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orresponds to the order code assigned to the user;
And an output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glass type wearable device when the order type code includes the order code.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식주문 처리상태정보의 업데이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대기번호정보 및 서버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제공하고,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ID 정보를 수신하며, 관리서버로 상기 ID 정보 및 상기 대기번호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코드 장치;
상기 주문코드에 상응하는 음식주문 처리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의 점포로부터 상기 주문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 정보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주문코드정보 및 상기 서버접속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ID정보로 전송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식 완성 알림시스템.
A system for delivering updates of food orde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using a glass-like wearable device,
An ID code device which provides an ID code including ID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s ID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wearable device of a glass type, and transmits the ID information and the ID cod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A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order code information from a store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a call signal to th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nformation when the food order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code is updated; And
And a glass-type wearable device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extracting the order code information and the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by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call signal. Food Completion Notification System.
KR1020140101416A 2014-08-07 2014-08-07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178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16A KR20160017876A (en) 2014-08-07 2014-08-07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16A KR20160017876A (en) 2014-08-07 2014-08-07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76A true KR20160017876A (en) 2016-02-17

Family

ID=5545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416A KR20160017876A (en) 2014-08-07 2014-08-07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8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4857B2 (en) Mobile terminal
KR101684264B1 (en) Method and program for the alarm of bus arriv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661555B1 (en) Method and program for restricting photography of built-in camera of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17593A (en) Method and program for notifying emergency exit by beacon and wearable glass device
US10397736B2 (en) Mobile terminal
JP2018025855A (e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15142A (en) Method and program for emergency report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7003172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ing wearable device
KR20160026310A (en) System and method for curling coach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728707B1 (en)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2251710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content of external device using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11302A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24140A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hop information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727082B1 (en) Method and program for playing game by mobile device
KR101629758B1 (en) Method and program with the unlock system of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25150A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dating service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23226A (en) System and method for exploring external terminal linked with wearable glass device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832327B1 (en) Method for Providing Safety Zone Information, Apparutus and System Therefor
KR20160016216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forward-look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17876A (en) System and method for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1570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tion acquaintance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53472A (en)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for confirmation of identity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853324B1 (en) Method for Providing Safety Zone Information, Apparutus and System Therefor
KR20160014822A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information about taxi board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2016001826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piry date by wearable gla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