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655A -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655A
KR20160016655A KR1020150107884A KR20150107884A KR20160016655A KR 20160016655 A KR20160016655 A KR 20160016655A KR 1020150107884 A KR1020150107884 A KR 1020150107884A KR 20150107884 A KR20150107884 A KR 20150107884A KR 20160016655 A KR20160016655 A KR 20160016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user terminal
message
sharing ser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124B1 (ko
Inventor
이길수
허봉규
윤정상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6001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간의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공유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릴레이 서버를 포함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SHARING OF MULTIMEDIA}
본 발명은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및 스마트폰을 통해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사용자 단말간에 직접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최근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1:1 방식의 멀티미디어 공유를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여 공유자와 참여자 단독으로만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1:1 방식에 그치지 않고 1:N 방식으로 멀티미디어를 사용자 단말간에 공유할 수 있는 방식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1:1 방식을 벗어나 1:N 방식으로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형식을 사용하는 단말 간에서도 간편하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간의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공유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릴레이 서버를 포함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제어 서버는, 신호 제어 서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매니저;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한 세션을 형성하고 사용자 단말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제어 신호를 메시지 형태로 송수신하는 그룹 매니저; 상기 그룹 매니저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큐(Queue); 상기 큐에 메시지가 저장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메시지 검출부; 및 상기 메시지 검출부에 의해 메시지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매니저로 전송하는 메시지 해석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출력하는 큐; 상기 큐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에 상응하도록 변환(transcoding)하여 출력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오디오 송신 매니저; 및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비디오 송신 매니저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을 참조하여 변환이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준비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공유 초대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참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1:1 방식을 벗어나 1:N 방식으로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형식을 사용하는 단말 간에서도 간편하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명의 기술지원이 필요한 스마트 단말의 A/S 분야, 또는 모바일 영상방송 분야, 모바일 음악방송의 서비스에 지원되는 기능을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통합, 제공함으로써 각 서비스마다 따로 구축되어야 하는 서비스들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덱과 같은 정보가 틀릴 경우 트랜스코딩(Transcoding)을 통하여 이기종 단말간 영상/음성의 공유가 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므로 서비스 확장성이 용이하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미디어 처리를 위해서는 대부분 각 미디어에 대한 별도의 처리 장비가 필요로 했는데 반해 본 발명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추가되는 미디어에 대한 타입만 연동 규격에 추가하면 새로운 미디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투자비 및 운영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의 확장이 수월하고, 특히 영상/음성 등 방송기반 서비스의 경우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해 쉽게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플랫폼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사업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신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초기 투자비 및 시스템 운용을 위한 투자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200)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과 사용자 단말(200)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신호 제어 서버(MMSP-CS, 10)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릴레이 서버(2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변환부(2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200)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 카메라, 영상, 사운드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1:1 뿐 아니라 1:N의 방식으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스마트 단말을 의미한다. 시스템(100)은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multimedia)라 함은,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콘텐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과 사용자 단말(200)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MMSP, Multimedia Sharing Platform, 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3G/LTE) 및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들과 연결되며, 시스템(100)을 통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200)들은 신호(signal) 처리 및 멀티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하나의 공유자인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하는 멀티미디어를 받아 다수의 참여자 스마트 단말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다수의 참여자 스마트 단말에서 보내는 Signal 메시지를 공유자에게 전달하여 공유자의 단말을 원격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100)은 신호 제어 서버(10), 릴레이 서버(20), 운용 서버(30), 데이터베이스 서버(40) 및 푸쉬 서버(50)를 포함한다.
우선, 도 2에서 운용 서버(30)는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관리하는 서버이고, 데이터베이스 서버(40)는 시스템(100) 및 서비스를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또한, 푸쉬 서버(50)는 사용자 단말(200)로의 푸쉬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들 운용 서버(30), 데이터베이스 서버(40) 및 푸쉬 서버(50)는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신호 제어 서버(10) 및 릴레이 서버(20)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제어 서버(MMSP-CS(Control Server), 10)는 사용자 단말(200)간의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신호(signal)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로이다.
신호 제어 서버(10)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시작할 때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하고, 서비스 시작/종료 알림 신호, 초대 알림/응답 신호 등과 같은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세션(session)을 형성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해당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3은 신호 제어 서버(MMSP-CS, 10)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제어 서버(10)는 제어 매니저(11), 그룹 매니저(12), 큐(Queue,13), 메시지 검출부(14), 메시지 해석부(15)를 포함한다.
제어 매니저(11)는 신호 제어 서버(10)에서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와 관련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후술하는 그룹 매니저(12), 큐(Queue,13), 메시지 검출부(14), 메시지 해석부(15)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한다.
그룹 매니저(12)는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세션에 의해 메시지 즉,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큐(Queue,13)는 그룹 매니저(12)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단이다.
메시지 검출부(14)는 큐(13)에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해석부(15)는 큐(13)에 저장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매니저(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사용자 단말(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메시지가 세션을 통해 수신되면 그룹 매니저(12)는 이를 큐(13)에 저장하고, 메시지 검출부(14)가 큐(13)에 메시지가 저장되었음을 메시지 해석부(15)로 통보하면, 메시지 해석부(15)는 큐(13)에 저장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해당 메시지에 상응하는 메시지(제어 신호)를 그룹 매니저(11)로 전송하고, 그룹 매니저(11)는 수신된 메시지를 다시 사용자 단말(200)들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신호 제어 서버(10)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메시지 형태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신호는 인증 처리를 위한 신호, 멀서비스 시작/종료 알림 신호, 초대 알림/응답 신호,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등을 의미한다.
다시 도 2의 릴레이 서버(20)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서버(MMSP-RS(relay server), 20)는 사용자 단말(200)간에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공유를 위한 세션이 네트워크 및 신호 제어 서버(10)를 통해 형성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릴레이 서버(20)를 통해 영상이나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간의 멀티미디어의 형식(type)이 다른 경우 이를 변환(transcoding) 처리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릴레이 서버(2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릴레이 서버(20)는 릴레이 매니저(21), 큐(22), 변환부(23), 오디오 송신 매니저(24) 및 비디오 송신 매니저(25)를 포함한다.
릴레이 매니저(21)는, 릴레이 서버(20)에서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와 관련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후술하는 큐(22), 변환부(23), 오디오 송신 매니저(24), 비디오 송신 매니저(25)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과의 네트워크를 통한 포트 관리 등의 연결 관리를 위한 제어도 수행한다.
큐(2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출력하는 수단이다. 큐(22)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각각에 대한 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오디오 포트 및 비디오 포트를 통해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FIFO 방식으로 변환부(23)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오디오 포트 및 비디오 포트는 예컨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부(23)는 큐(22)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꺼내서 다른 사용자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형식에 상응하도록 변환(transcoding)하여 이를 오디오 송신 매니저(24) 또는 비디오 송신 매니저(2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별한 변환이 필요없는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오디오 및 비디오 송신 매니저(24,25)로 전송한다.
이 때, 변환부(23)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계산하여 헤더(header)를 생성하고 생성된 헤더와 변환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합하여 오디오 및 비이도 송신 매니저(24,25)로 전송한다.
오디오 송신 매니저(24) 및 비디오 송신 매니저(25)는 변환부(23)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오디오 및 비디오 포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변환부(2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변환부(23)는 큐(22)를 통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기 전에 다른 사용자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를 참조하여 직접 전송할지(relay) 또는 변환(transcoding)하여 전송할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다른 사용자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하는데 예컨대 송신 사용자 단말(200)이 H.264 형식을 사용하지고, 수신 사용자 단말(200) 중 어느 하나는 H.263 형식을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VP8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변환부(23)는 H.264 형식을 H.263 형식과 VP8 형식으로 각각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변환부(23)는 각각의 형식에 따른 변환(Transcoding)을 수행할 변환 모듈(231,232,233,234,235,236)을 각각 구비한다.
각각의 변환 모듈(231,232,233,234,235,236)은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모듈의 형식에 따라 변환한 후 이를 오디오 및 비디오 송신 매니저(24,25)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변환이 필요없는 경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오디오 및 비디오 송신 매니저(24,25)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릴레이 서버(20)를 구성함으로써 미디어 타입이 추가될 때마다 ㅂ변환(Transcoding)을 관여하는 모듈에 해당 모듈을 추가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미디어의 확장시에도 기존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사용자 단말 1(201)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시작하고 요청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 2(202)와 사용자 단말 3(203)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 1(201)은 시스템(100)의 신호 제어 서버(1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로그인하고(S100), 영상 및 음성 전송을 위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준비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10).
시스템(100)의 신호 제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 2 및 사용자 단말 3(202,203)으로 멀티미디어 공유 초대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20).
그리고, 사용자 단말 1(201)은 시스템(100)으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참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40). 이 때, 사용자 단말 1(201)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H.264)가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 2(202)도 시스템(100)의 신호 제어 서버(1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로그인하고(S150),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참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60). 이 때, 사용자 단말 2(202)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H.263)가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시스템(100)의 신호 제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 1(201)로 사용자 단말 2(202)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에 참여하였음을 알리고(S17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1(201)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시작함을 알리는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180). 그리고, 시스템(100)의 신호 제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 2(202)로 공유 서비스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S19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1(201)은 시스템(100)의 릴레이 서버(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즉,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S200). 이 때,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1(201)의 형식에 따라 H.264로 전송된다.
시스템(100)의 릴레이 서버(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 단말 즉 사용자 단말 2(202)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 1(201)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와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 2(202)의 멀티미디어 형식에 맞게 변환부(23)를 통해 변환(transcoding) 작업을 수행한다(S210).
그리고 시스템(100)의 릴레이 서버(20)는 변환된 멀티미디어 즉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 2(202)로 전송한다(S220).
한편, VP8의 멀티미디어 형식을 갖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3(203)이 시스템(100)에 로그인한 경우,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사용자 단말 3(203)으로 전송된다(S230 내지 S27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에서 제공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화면 공유
화면 공유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스크린을 다른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 1(201)이 화면을 캡처하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 2(202)로 캡처한 화면(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2(202)는 사용자 단말 1(201)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원격으로 사용자 단말 1(201)을 제어할 수 있다. 화면 공유는 참여자가 1명인 1:1 방식과 참여자가 다수인 1:N 방식 모두 가능하다.
2) 카메라 공유
카메라 공유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또한 참여자가 1명인 1:1 방식과 참여자가 다수인 1:N 방식 모두 가능하다.
3) 음악 공유 (Music Sharing)
음악 공유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음악을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또한 1:1 혹은 1:N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외부의 음악 포탈 서버를 통해 공유자와 다수의 참여자간에 음악을 공유할 수 있고, 음악에 대한 URL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공유자/참여자간에 음악을 공유할 수도 있다.
4) 동영상 공유 (Video Sharing)
동영상 공유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동영상을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또한 1:1 혹은 1:N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외부의 동영상 포탈 서버를 통해 공유자와 다수의 참여자간에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고, 동영상에 대한 URL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공유자/참여자간에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5) 추가 미디어 확장
본 발명에 의한 화면 공유, 카메라 공유, 음악 공유, 동영상 공유 외 추가 되는 멀티미디어에 대해서는 단말(200)과 시스템(100) 간의 연동 규격 내 미디어 형식(Type)만 추가하면 다수의 공유자 및 참여자간 실시간 공유 로직을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미디어 확장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1:1만 가능한 공유 서비스를 벗어나 여러명의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 플랫폼에서 영상, 음성 외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공유 서비스 확장에 유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 화면 공유를 통한 고객센터 원격 제어 서비스
A/S 센터와 같이 전문가가 공유자의 스마트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단말로 접근하여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카메라 공유를 통한 개인방송
스마트 단말을 통해 다수의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개인 방송의 경우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1:N 서비스를 통해 여러 참여자들과 함께 서로 다른 단말, 즉 스마트폰, 스마트TV, 태블릿 PC, TV 등의 단말로 실시간으로 미디어 영상/음성을 전송/공유할 수 있다.
3) 화면공유를 통한 게임 공유
공유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수행하는 게임의 화면을 캡처하여 다수의 참여자에게 화면 내용을 전송하여 참여자의 스마트 단말에 게임 내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공유자뿐만 아니라 참여자가 누른 버튼 신호를 시스템(100)을 통해 공유자의 단말을 제어함으로써 다자간의 게임 공유를 할 수 있다.
4) 음악/동영상 공유를 통한 SNS 서비스
사용자간에 SNS 도중에 공유자의 스마트 단말에 있는 음악/동영상을 다수의 참여자에게 전송하여 참여자의 스마트 단말에 실시간으로 미디어 공유하고, 참여자간에 미디어 공유를 통해 SNS 서비스할 때 배경음으로 플레이 하거나 동영상을 보면서 메신저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100..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0...사용자 단말
10...신호 제어 서버
20...릴레이 서버

Claims (5)

  1.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간의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공유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릴레이 서버
    를 포함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서버는,
    신호 제어 서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매니저;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한 세션을 형성하고 사용자 단말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제어 신호를 메시지 형태로 송수신하는 그룹 매니저;
    상기 그룹 매니저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큐(Queue);
    상기 큐에 메시지가 저장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메시지 검출부; 및
    상기 메시지 검출부에 의해 메시지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매니저로 전송하는 메시지 해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출력하는 큐;
    상기 큐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에 상응하도록 변환(transcoding)하여 출력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오디오 송신 매니저; 및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비디오 송신 매니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을 참조하여 변환이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준비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공유 초대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참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의 멀티미디어 형식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07884A 2014-08-01 2015-07-30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91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9154 2014-08-01
KR1020140099154 2014-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655A true KR20160016655A (ko) 2016-02-15
KR101691124B1 KR101691124B1 (ko) 2016-12-29

Family

ID=5535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884A KR101691124B1 (ko) 2014-08-01 2015-07-30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844A (ko) * 2020-02-19 2021-08-27 (주)티아이스퀘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365A (ko) 2001-07-09 2001-08-22 유영진 네트웍 컴퓨터의 프로그램 실시간 이벤트 공유 처리 방법및 시스템
KR20030010938A (ko) 2001-07-27 2003-02-06 나이스굿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 방법
KR20070067927A (ko)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KR20120111859A (ko) 2011-03-29 2012-10-11 (주)티아이스퀘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365A (ko) 2001-07-09 2001-08-22 유영진 네트웍 컴퓨터의 프로그램 실시간 이벤트 공유 처리 방법및 시스템
KR20030010938A (ko) 2001-07-27 2003-02-06 나이스굿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 방법
KR20070067927A (ko)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KR20120111859A (ko) 2011-03-29 2012-10-11 (주)티아이스퀘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844A (ko) * 2020-02-19 2021-08-27 (주)티아이스퀘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124B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4171B2 (en) Reduced latency server-mediated audio-video communication
CN108055496B (zh) 一种视频会议的直播方法和系统
CN100583985C (zh) 一种在视频业务中实现画面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CN105763832B (zh) 一种视频互动、控制方法及装置
US8068866B2 (en) Group communication server
US20130314490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8006573A1 (zh) 一种视频会议的屏幕共享实现装置
WO2015154608A1 (zh) 一种视频会议资料共享方法、系统及装置
US8635274B2 (en) Video conferencing using white board
US200702743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media stream in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terminal
US20130033562A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integrated femtocell and residential gateway device
CN105472309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580988A (zh) 一种可兼容监控视频的视频会议实现方法
CN113923470A (zh) 直播流处理方法及装置
US9013537B2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systems for controlling multiple auxiliary streams
TW201240465A (en) Video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200045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KR101691124B1 (ko) 다자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438119A (zh) 一种数字电视的音视频通讯系统
CN113726534A (zh) 会议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14785A (ko) 다자간 통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1561B1 (ko) 복수 개의 영상회의용 단말을 이용하여 멀티 스크린 영상회의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회의 서버 및 그 방법
CN115589463B (zh) 基于工业互联网的信息传输系统
US20140059629A1 (en) Two-way broadcas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media transmission apparatus
KR100949233B1 (ko) 표준 영상 단말 또는 ip tv를 이용한 문서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