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182A - 무전극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무전극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182A
KR20160016182A KR1020140099790A KR20140099790A KR20160016182A KR 20160016182 A KR20160016182 A KR 20160016182A KR 1020140099790 A KR1020140099790 A KR 1020140099790A KR 20140099790 A KR20140099790 A KR 20140099790A KR 20160016182 A KR20160016182 A KR 20160016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electrodeless
luminescent material
metal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주
김현정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182A/ko
Publication of KR2016001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radioactive materia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e.g. inside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조명기기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는 무전극전구를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전극전구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벌브, 상기 벌브 내에 충전되는 발광물질 및 상기 벌브 내에 충전되는 반응성이 약한 버퍼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물질은 황(S)을 포함하는 제1발광물질 및 요오드(I)를 포함하는 제2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전극 조명기기{PLASMA LIGHTING SYSTEM}
실시예는 무전극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극 조명기기는 마그네트론과 같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에 전달되고, 상기 공진기의 내부에 구비된 무전극전구의 충전물질을 여기시키며, 이 과정에서 상기 무전극전구의 충전가스가 플라즈마 상태로 변환되어 빛이 발생되는 장치이다.
상기 무전극 조명기기는 전구의 내부에 전극이나 필라멘트가 없는 무전극전구로 수명이 매우 길거나 반영구적이며, 아울러 상기 무전극전구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질이 플라즈마화 되면서 발광하게 되어 자연광과 같은 빛을 발광시키게 된다.
전극전구에 충진되는 발광물질로 황(S)이 사용되면, 효율이 우수하고, 색온도 5000K ~ 6000K의 범위인 화이트 빛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방광물질로 황(S)이 사용되면 광 스펙트럼이 녹색 계열로 치우쳐서 연색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발광 효율과 연색성이 우수한 무전극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조명기기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는 무전극전구를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전극전구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벌브, 상기 벌브 내에 충전되는 발광물질 및 상기 벌브 내에 충전되는 반응성이 약한 버퍼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물질은 황(S)을 포함하는 제1발광물질 및 요오드(I)를 포함하는 제2발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발광물질로 황을 사용하고, 제2발광물질로 요오드를 사용하여서, 연색성 및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제2발광물질이 안정한 화합물 형태로 유지되므로, 무전극 조명기기의 사용에 따른 발광색이 변하지 않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조명기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전구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전구의 횡단면도,
도 6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조명기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무전극 조명기기(1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는 본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10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케이싱(100)은 대략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100)의 외면에는 본체를 외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55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5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쪽 끝 부분이 케이싱(100)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케이싱(100)을 상방으로 지나면서 반대쪽 케이싱(100)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측단면도이다.
실시예의 무전극 조명기기(10)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7)와 타측에 유입구(12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2)를 가지는 케이싱(100),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기(200), 고전압발생기(200)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300), 마그네트론(300)에 결합되어 마그네트론(30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안내하는 도파관(400), 도파관(400)의 출구 측에 결합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하는 공진기(500), 공진기(5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물질이 구비되는 무전극전구(60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무전극 조명기기(10)는 무전극전구(60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100)은 일측에 유입구(127)와 타측에 유출구(122)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00)은 상부(도 3 기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7)가 형성되고, 하부에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출구(122)와 유입구(127)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무전극 조명기기(10)의 정상 작동 중에는 유입구(127)에서 유출구(122)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형성되어서, 케이싱(100)의 내부부품을 냉각하게 된다.
케이싱(100)은 적어도 2개의 케이싱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00)은 상부 케이싱 부재(110)와 하부 케이싱 부재(120)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상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7)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테두리 부재(113)에 의해 유입구(127)가 형성된다.
테두리 부재(113)에는 케이싱(100)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이물질이 걸리는 이물질 방지턱(11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122)는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구(122)는 케이싱(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케이싱(100)의 내부의 부품의 열을 전달받고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127)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출구(122)는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좌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7)의 상부에는 유입구(127)로 유입되는 공기를 우회시키는 유입구 커버(830)가 위치될 수 있다.
유입구 커버(830)는 유입구(127)의 상부영역(도 3 기준)을 차폐하여 유입구(127)로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흡입되지 못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공기는 케이싱(100)의 외부에서 유입구(127) 방향으로 유동되고, 중간에 유입구 커버(830)와 유입구(127)의 테두리 사이에서 외부 방향으로 다시 유동되고, 다시 공기유동 유닛(150)의 흡입력에 의해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입구 커버(830)는 유입구(127)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13)와 스페이서(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유입구 커버(830)를 커버하는 방충 커버(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충 커버(810)는 유입구 커버(830)를 감싸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방충 커버(810)는 유입구 커버(830)의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적어도 유입구 커버(830)의 상부 영역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방충 커버(810)는 본체를 형성하는 커버 본체(811)와, 커버 본체(81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방진 및 방충을 위한 통기구(813)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구(813)는 외부의 공기는 유입되면서, 외부의 곤충,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홀 형태일 수 있다.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127) 방향에서 유출구(122)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동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동 유닛(150)는 공기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공기를 일 방향으로 유동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공기유동 유닛(150)은 축류팬일 수 있다.
공기유동 유닛(150)은 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127) 방향에서 유출구(122)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고전압발생기(200)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마그네트론(300)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고전압발생기(200)는 구동회로와 전원을 승압시키는 승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00)은 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전압발생기(200)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킬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200)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면, 그 고전압발생기(200)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승압된 고전압을 마그네트론(300)에 공급하고, 마그네트론(300)은 고전압에 의해 발진하면서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한다.
이 마이크로파는 마그네트론(300)의 안테나(310)를 통해 그 마그네트론(300)의 외부로 방출되고, 이 방출된 마이크로파는 마그네트론(300)의 마이크로파 정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면서 도파관(400)으로 안내된다.
도파관(400)은 마그네트론(300)에 결합되어 마그네트론(30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공진기(500) 내부로 안내한다.
도파관(400)은 내부에 마이크로파가 안내되는 도파공간(S)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파관(400)은 유입구(127)와 유출구(122) 사이에 배치되어서, 유입구(127)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도파관(400)의 일측 방향 하부에는 출구(43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싱 부재(120)에는 도파관(400)의 출구와 대응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파관(400)의 출구(430)는 도파관(400) 내의 도파공간(S)과 공진기(500) 내의 공진공간(530)을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도파관(400)의 출구(430)는 도파관(400)의 하면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파관(400)의 출구(430)는 무전극전구(600)와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즉, 도파관(400)의 출구(430)는 전계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위치인 무전극전구(600)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파관(400) 출구(430)의 형상은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공진기(500)의 수평 단면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진기(500)는 도파관(400)의 출구(430) 측에 결합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한다.
도파관(400)에서 유동된 마이크로파는 공진기(5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어 공진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공진기(500)는 적어도 도파관(400)의 출구(430)를 감싸게 도파관(400)의 외면에 결합된다.
또한, 공진기(500)는 내부에 공진공간(53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기(500)는 도 3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 무전극전구(6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진공간(530)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 즉 전방단(광축(Ax)방향)은 닫히고 그 타단, 즉 후방단은 공진공간(530)에서의 공진모드가 TE모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진기(500)의 일측, 즉 무전극전구(600)가 수용되는 부위는 마이크로파는 가두는 반면 빛은 방출할 수 있도록 그물형상으로 메시부(510)가 형성되고, 공진기(500)의 타측, 즉 도파관(400)에 고정되는 부위는 메시가 없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고정부(520)가 형성된다.
실시예는 무전극전구(600)에서 생성된 빛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반사갓(700)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갓(700)은 상부가 공진기(500)의 외면을 감싸게 형성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직경이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갓(700)은 전체적으로 보면, 하면의 지름이 상면의 지름보다 크고,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갓(700)의 상부 중앙을 통해 무전극전구(600)가 반사갓(7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반사갓(700)의 내면에는 무전극전구(600)에서 발광되는 빛을 더 잘 반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물질이 도포되기도 한다.
반사갓(700)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반사갓(700)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플랜지(720)가 형성되고, 플랜지(720)의 하면에는 무전극전구(60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하여 원하는 공간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전면유리(710)가 위치하게 된다.
반사갓(700)은 하부 케이싱 부재(120)에 고정부재(740)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무전극전구(600)는 공진기(5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한다.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무전극전구(600)를 회전시키는 모터(M)가 위치될 수 있다. 모터(M)는 무전극전구(600)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620)은 무전극전구(600)의 중심에 결합된다.
모터(M)는 무전극전구(600)를 회전시켜서 무전극전구(600)를 냉각시킨다.
이하, 무전극전구(6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전구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전구의 횡단면도, 도 6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예를 들면, 무전극전구(600)는 내부에 닫힌 공간을 가지는 벌브(611)와, 벌브(611)의 내부에 충전되는 발광물질과, 벌브(611) 내에 충전되는 버퍼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벌브(611)는 내부의 발광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생성된 빛은 투과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벌브(611)는 광투과 재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브(611)는 유리, 유리질 실리카, 인조 실리카, 유리, 사파이어,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벌브(611)는 내부에 공간(615)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전극전구(600)가 모터(M)에 의해 회전될 때, 핫 스팟을 방지하기 위해서, 벌브(611)는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브(611)는 원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원통 형상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벌브(611)의 내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형광물질은 할로포스페이트(halophosphate)나 플로오로포스페이트(fluorophosphate)와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가스는 상기 벌브(611) 내에 충전되는 반응성이 약하거나 거의 없는 가스이다.
예를 들면, 버퍼가스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한다. 불활성 가스는 크세논, 아르곤, 네온 및 크립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버퍼가스는 무전극 전구(600)이 초기 기동을 돕고, 발광물질이 안정되게 존재하게 한다.
버퍼가스는 주변 온도에서 약 2-700 토르(torr)의 압력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물질은 벌브(611)의 내부 공간(615)에 충전된다. 발광물질은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게 된다.
무전극전구(600)는 발광물질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긴 파장의 가시광선의 발광을 원하는 경우의 발광물질과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 발광을 원하는 경우의 발광물질을 달리하여 무전극전구(600)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선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발광물질은 제1발광물질과 제2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광물질은 황(S) 또는 황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물질로 황이 사용되면, 높은 효율의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황 또는 황화물은 고체, 액체 및 기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은 0.4 ~ 2.5 mg/cc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물질로 황(S)이 사용된 무전극전구(600)(비교예)에서 생성된 빛은 광 스펙트럼이 녹색 계열로 치우쳐 있다. 즉, 무전극전구(600)에서 생성된 빛은 중심파장 영역인 500nm 내지 560nm 에서 강한 빛을 발산하고, 중심 파장 영역을 정점으로 단파장 또는 장파장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약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황(S)을 사용한 무전극 조명기기는 연색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연색성(CRI, Color Rendering Index)이란 조명기기가 물체를 비추었을 때 조명기기가 그 물체의 색깔을 얼마나 잘 표현해내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따라서 연색성이 높다는 것은, 비추고 있는 물체의 색깔을 원래 색깔 그대로 잘 표현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조명기기의 연색성은 평균 연색 지수(Ra)로부터 계산이 되는데, 평균 연색 지수는 기준광원과 시험광원을 규정된 8종류의 시험색 시료에 조명하여 반사된 스펙트럼의 색좌표 차이를 계산하여 나타내게 된다.
황(S)을 사용한 무전극 조명기기는 평균 연색 지수(Ra)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일 예로 황을 사용한 무전극 조명기기(비교예)의 평균 연색 지수(Ra)는 80 정도이다.
따라서, 연색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2발광물질이 벌브(611) 내에 충전된다.
제2발광물질은 요오드(I)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발광물질로 요오드 이외에 할로겐 원소를 사용하면, 벌브(611) 내에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벌브(611)에 침착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제2발광물질로 요오드를 사용하면(실시예), 녹색 영역의 빛을 줄여주므로, 연색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요오드는 벌브(611) 내에서 안정되어 존재한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발광물질로 요오드를 사용하면(실시예), 평균 연색 지수(Ra)가 90이상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발광물질은 요오드 화합물일 수 있다. 요오드는 요오드 자체보다 화합물 형태일 때 더욱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2발광물질은 금속의 요오드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의 요오드화물을 이루는 금속은 알칼리 금속(alkali metal), 알칼리 토금속(alkaline earth metal) 및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의 요오드화물을 이루는 금속은 나트륨(Na), 리튬(Li), 스트론튬(Sr), 칼슘(Ca), 임듐(In), 디스프로슘(Dy),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벌브(611) 내에서 요오드 화합물은 0.3 ~ 1.8 mg/cc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무전극 조명기기(1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전원 유닛(200)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면, 그 전원 유닛(200)은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승압된 구동전압을 마그네트론(300)에 공급하고, 마그네트론(300)은 구동전압에 의해 발진하면서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한다.
이 마이크로파는 마그네트론(300)의 안테나를 통해 그 마그네트론(300)의 외부로 방출되고, 이 방출된 마이크로파는 마그네트론(300)의 마이크로파 정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면서 도파관(400)으로 안내된다.
도파관(400)으로 안내된 마이크로파는 그 도파관(400)의 도파공간(S)을 통해 공진기(500) 내부로 안내되어 방사되고, 이 방사된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공진기(500) 내부에는 공진모드가 형성된다.
공진기(500) 내부에 형성된 공진모드에 의하여 무전극전구(600) 내에 충전된 발광물질은 여기(exciting)되어 지속적으로 플라즈마화 되면서 고유한 방출 스펙트럼을 가지는 빛을 발광하고, 이 빛은 반사갓(700)에 의해 하방으로 반사되면서 공간을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전극전구(600)에서 빛이 발생되면 무전극전구(600) 모터(M)가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무전극전구(60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무전극전구(600)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도록 냉각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전극 조명기기
100: 케이싱
200: 구동전압 발생기
300: 마그네트론

Claims (7)

  1.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는 무전극전구를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전극전구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벌브;
    상기 벌브 내에 충전되는 발광물질; 및
    상기 벌브 내에 충전되는 반응성이 약한 버퍼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물질은,
    황(S)을 포함하는 제1발광물질; 및
    요오드(I)를 포함하는 제2발광물질을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물질은,
    요오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물질은,
    금속의 요오드화물을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의 요오드화물을 이루는 금속은 알칼리 금속(alkali metal), 알칼리 토금속(alkaline earth metal) 및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의 요오드화물을 이루는 금속은 나트륨(Na), 리튬(Li), 스트론튬(Sr), 칼슘(Ca), 임듐(In), 디스프로슘(Dy),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은 0.4 ~ 2.5 mg/cc, 요오드 화합물은 0.3 ~ 1.8 mg/cc 인 무전극 조명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공급되는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하는 공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전극 전구는 상기 공진기 내부에 위치되는 무전극 조명기기.
    서로 인접한 상기 가열영역들의 이격거리는 동일한 무전극 전구의 제조방법.

KR1020140099790A 2014-08-04 2014-08-04 무전극 조명기기 KR20160016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90A KR20160016182A (ko) 2014-08-04 2014-08-04 무전극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90A KR20160016182A (ko) 2014-08-04 2014-08-04 무전극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82A true KR20160016182A (ko) 2016-02-15

Family

ID=5535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790A KR20160016182A (ko) 2014-08-04 2014-08-04 무전극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5732B2 (en) Lighting apparatus
EP1519405A2 (en) Electrodeless lighting system
US9218951B2 (en) Plasma lighting system with light sensor for control based on intensity
CN1855356B (zh) 等离子照明系统
KR20160016182A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1633786B1 (ko) 무전극 조명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0862A (ko) 무전극 전구
KR20170005665A (ko) 식물 재배 장치
US9305763B2 (en) Lighting apparatus
KR100748532B1 (ko) 반타원 형상의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20160065680A (ko) 무전극 조명기기
KR20150089184A (ko) 무전극 조명장치
KR101627200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24461B1 (ko) 판형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101632178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24467B1 (ko) 방전유도물질을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의 무수은무전극전구
KR101633787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20170016730A (ko) 조명기기
KR100867624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24454B1 (ko) 복수의 슬롯을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68862B1 (ko) 위치가변형 무전극전구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24460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고효율 무전극전구
KR100690678B1 (ko) 비회전 전구를 갖는 무전극 조명기기
KR100823932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20070077737A (ko) 다각기둥형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