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063A - Instant tea container set - Google Patents
Instant tea container 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6063A KR20160016063A KR1020140099285A KR20140099285A KR20160016063A KR 20160016063 A KR20160016063 A KR 20160016063A KR 1020140099285 A KR1020140099285 A KR 1020140099285A KR 20140099285 A KR20140099285 A KR 20140099285A KR 20160016063 A KR20160016063 A KR 201600160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
- main body
- present
- cover
- dispos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를 우려 마시는 다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통적인 다기 세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여러 명이 간편하게 차를 즐길 수 있는 일회용 다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ceremony tea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tea tea set i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can easily enjoy tea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tea set.
일반적으로 차(茶)는 좁은 의미에서는 차나무의 잎이나 이를 달이거나 우려서 만든 음료를 말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꽃 등의 차원료 또는 이를 이용한 기호음료를 말한다. In general, tea is a leaf of tea, a moon, or a beverage made from tea, in the narrow sense, and broadly refers to a tea material, such as leaf, stem, root, fruit, flower or the like,
이러한 차는 고유의 풍미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최근 들어 건강음료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차분한 분위기에서 다기(茶器)를 이용하여 차를 우려 마시다 보면 심신이 안정되는 효과를 얻기 때문에 심신수행의 방편으로 다도(茶道)가 추천되기도 한다.Such tea contains a beneficial ingredient for the human body together with its own flavor, and has recently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a health drink. In addition, tea ceremony in a calm atmosphere, tea is a concern for the mind and body to get a stable effect, so tea and tea ceremony (tea ceremony) is recommended as a means of performance.
그런데 바쁜 현대인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차를 즐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특히 다도를 즐기기 위해서는 고가의 다기세트를 구입해야 하는데다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자주 차를 즐기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However, busy modern people are hard to secure time to enjoy tea in the traditional way. Especially, in order to enjoy tea ceremony, it is difficult to enjoy tea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use expensive tea sets.
이로 인해 최근에는 간편하게 차를 우려낼 수 있는 티백 형태의 차 제품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As a result, tea-bag-shaped tea products, which can easily disturb tea, have gained popularity recently.
그러나 티백을 사용하더라도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티백을 우려낼 컵을 따로 준비하거나 구매한 후에 티백의 포장을 벗겨서 컵에 넣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However, even with the use of a tea bag, consumers should take the inconvenience of taking the tea bag apart or preparing it for the tea bag and putting the tea bag in the cup.
이러한 배경하에 최근 들어 소비자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소개되고 있다. Under these circumstances, various ideas are introduce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consumers in recent years.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용기 내부에 거름망체와 티백을 넣고 커버를 덮어 포장한 일회용 다기를 제안하고 있는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일회용 다기를 구입하면 티백과 컵을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disposable multi-package in which a sieve bag and a tea bag are put in a container and the cover is covered and packaged. From the standpoint of a consumer, purchasing such a disposable multi- have.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일회용 다기를 사용하더라도, 일행이 여러 명인 경우에는 별도로 컵을 준비해야 하고, 컵을 준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원 수에 맞게 일회용 다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아직까지는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안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disposable tableware of Patent Document 1 is us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cup when the number of people is plural. If the cup can not be prepared, the disposable table must be purchas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eople. Therefore, .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통적인 다기 세트를 대신하여 여러 사람이 보다 간편하게 차를 즐길 수 있는 일회용 다기 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ble multifunctional set i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can enjoy a car more easily in place of a conventional multifunctional se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보조용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티백; 상기 보조용기와 상기 티백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일회용 다기세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internal space; At least one auxiliary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tea bag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tea bag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밀폐커버일 수 있다.In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ki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ay be an airtight cover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body to seal the inner space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밀폐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밀폐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며,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로 돌출된 결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는 가이드벽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ki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ling film for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cover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film, And the protruding coupling end can be coupled to the main body while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At this time,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guide wall protrudes outwardly around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티백은 본체의 바닥에 일 측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용기의 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티백은 상기 본체의 바닥에 접하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Further, in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 bag may be fixed at one end to the bottom of the body. At this time,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edg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tea bag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를 사용하면 별도로 컵을 준비하거나 구매하지 않아도 여러 사람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차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려낼 차의 양이나 인원수를 감안하여 티백에 담기는 차의 양을 차등화하여 한 번에 수회 이상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기의 반복 재활용을 유도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The use of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a person can easily enjoy a car anywhere, anytime, without preparing or purchasing a cup separately. Also, taking into account the amount of tea or the number of people to worry abou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resources by inducing the repeated recycling of the disposable machine by making the amount of tea contained in the tea bag different so as to disturb the tea more than once at a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밀폐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단면도
도 5는 본체에 물을 부어 차를 우려내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커버의 관통홀 주변에 가이드벽이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multi-unit s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cover is removed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osable multi-unit s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poured into the main body,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multi-unit s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in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osable multi-function k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osable multi-unit s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guide wall protruding around a through hole of a cov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밀폐커버(12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각각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는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110), 본체(110)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보조용기(130),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티백(140), 내부에 보조용기(130)와 티백(140)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밀폐커버(120)를 포함한다.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10)와 보조용기(130)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보조용기(130)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 개가 포개진 상태에서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용기(130)의 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받침부(132)가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도면에는 4개의 보조용기(130a, 130b, 130c, 130d)를 나타내었으나, 보조용기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lthough four
티백(140)은 본체(110)나 보조용기(130)의 바닥에 단순히 놓여질 수도 있으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운반 중 흔들림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체(110)의 바닥에 티백(140)을 고정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최하단 보조용기(130)의 받침부(130)의 안쪽에 티백(140)을 위치시키면 보다 안정적으로 티백(140)을 유지시킬 수 있다.The
그리고 티백(140) 전체를 본체(110)의 바닥에 고정시키지 않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단(142)을 식용 접착제 등으로 본체(110)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에 물을 부었을 때 부력에 의해 티백(140)이 세워지게 되므로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차를 보다 빠르게 우려낼 수 있다.4, it is preferable that one
밀폐커버(120)는 본체(110)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함으로써 보관 중에 습기가 침투하여 제품이 변질되거나 풍미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use examples of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밀폐커버(120)를 제거하고 보조용기(130)를 빼낸 상태에서 본체(110)에 물을 부으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백(140)이 세워지면서 차가 우려지게 된다. 이때 온도 유지를 위하여 커버(120)를 본체(110)의 상단에 올려 둘 수도 있다.First, when the
차가 적당히 우려지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에서 우려진 차를 각 보조용기(130a, 130b, 130c, 130d)로 옮기고, 양이 부족하면 다시 본체(110)에 물을 부어서 한번 더 차를 우린 후에 보조용기에 따른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car is adequately concerned, the vehicle concerned is moved 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를 사용하면 별도로 컵을 준비하거나 구매하지 않아도 여러 사람이 전통 고급차를 부담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for a plurality of people to easily enjoy a traditional luxury car without having to prepare or purchase a cup separatel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는 우려낼 차의 양이나 인원수를 감안하여 티백(140)에 채워지는 차의 분량을 차등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의 티백(400)으로 수 회 이상 차를 우려내는 것도 가능하므로 일회용기의 반복재활용을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물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Particularly, the disposable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2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커버(17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각각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200)의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200)도 본체(1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보조용기(130)와 티백(140)이 구비되는 점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본체(110)와 보조용기(130)의 재질이나 형상, 티백(140)의 위치 등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 disposable multi-function s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one or more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내부에 보조용기(130)와 티백(140)을 넣은 상태에서 본체(110)의 상단에 밀폐필름(150)을 부착하여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고, 밀폐필름(150)의 상부에 커버(170)를 추가로 결합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커버(170)는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결합단(171)을 구비하며, 결합단(171)의 내측으로 본체(110)의 상단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본체(110)에 결합된다. 커버(17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커버(170)의 상면에는 관통홀(17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172)을 형성하면 본체(110)에 커버(170)를 결합한 상태에서 차를 우려낸 후에 커버(170)를 벗기지 않고도 보조용기(130)에 차를 따를 수 있다.A through
보다 용이하게 차를 따르기 위해서는 커버(170)의 상면 일측에 상대적으로 튀어나온 돌출부(175)를 형성하고, 돌출부(175)의 상면에 관통홀(17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172)의 주변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가이드벽(177)을 형성하면, 주전자를 이용하는 것처럼 용이하게 차를 따를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otruding
한편 관통홀(172)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커버(170)의 해당 부분을 소정 깊이로 절개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해당 부분을 제거하면 관통홀(172)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rough the through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110)나 보조용기(13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체(110) 또는 보조용기(130)가 사각, 육각 등과 같이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For example, although the
또한 본체(110), 밀폐커버(120) 보조용기(130), 커버(170) 등의 재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terials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다기세트(100,200)는 티백(140)에 담기는 차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녹차, 홍차, 우롱차, 황차, 보이차, 인삼차, 감잎차, 둥글레차, 옥수수차, 허브차 등과 같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차는 물론이고 향후 개발 또는 소개되는 새로운 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Also, in the disposa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제 제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100,200: 일회용 다기세트
110: 본체
120: 밀폐커버
130: 보조용기
132: 받침부
140: 티백
150: 밀폐필름
170: 커버
171: 결합단
172: 관통홀
175: 돌출부
177: 가이드벽100, 200: disposable diaper set 110:
120: sealing cover 130: auxiliary container
132: receiving portion 140: tea bag
150: sealing film 170: cover
171: coupling end 172: through hole
175: projection 177: guide wall
Claims (6)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보조용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티백;
상기 보조용기와 상기 티백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일회용 다기세트A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inner space;
At least one auxiliary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tea bag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 cov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tea bag are provided,
≪ / RTI >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밀폐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세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a sealed cover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밀폐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밀폐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며,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로 돌출된 결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세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aling film for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cover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film and an engagement end protruding downward along an edge is coupled to the body while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body.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는 가이드벽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세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guide wall protrudes outwardly around the through hole.
상기 티백은 본체의 바닥에 일 측단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세트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 bag is fixed at one en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상기 보조용기의 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티백은 상기 본체의 바닥에 접하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세트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long an edg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tea bag is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9285A KR20160016063A (en) | 2014-08-01 | 2014-08-01 | Instant tea container 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9285A KR20160016063A (en) | 2014-08-01 | 2014-08-01 | Instant tea container s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063A true KR20160016063A (en) | 2016-02-15 |
Family
ID=5535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9285A KR20160016063A (en) | 2014-08-01 | 2014-08-01 | Instant tea container 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606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806B1 (en) | 2016-06-09 | 2016-11-04 | 김옥수 | Cover of infusion tea maker |
CN106073383A (en) * | 2016-06-30 | 2016-11-09 | 重庆星源玻璃器皿有限责任公司 | Child's glass |
-
2014
- 2014-08-01 KR KR1020140099285A patent/KR2016001606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806B1 (en) | 2016-06-09 | 2016-11-04 | 김옥수 | Cover of infusion tea maker |
CN106073383A (en) * | 2016-06-30 | 2016-11-09 | 重庆星源玻璃器皿有限责任公司 | Child's gla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3240B1 (en) | Coffee drip bag | |
US20100133127A1 (en) | Cup including a compartment in the form of an inverted cup | |
KR200474817Y1 (en) | Take-out cup | |
KR101553337B1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KR20160016063A (en) | Instant tea container set | |
KR200455438Y1 (en) | Disposable Bean Coffee Extraction Container | |
KR200475771Y1 (en) |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 |
KR101415626B1 (en) |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 |
KR101599443B1 (en)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
CN210417695U (en) | Disposable tea cup | |
CN204245799U (en) | Sanitary cup | |
KR200480810Y1 (en) | Drip extract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 |
CN201882425U (en) | Container with additionally arranged tea leaves | |
KR20170000464U (en) | Easy coffee drip bag | |
KR101341852B1 (en) | Tea cup | |
US20130175197A1 (en) | Outer package for securely supporting cup-shaped product onc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outer package | |
KR101813938B1 (en) | Garnish separate storage container | |
JPS585533Y2 (en) | Simple coffee extractor | |
CN215456091U (en) | Portable food cup | |
JP3158138U (en) | Beverage bag | |
CN208761277U (en) | A kind of coffee tyre packaged combination | |
KR20100127160A (en) | A food container lid with built-in portion cup | |
KR20090061242A (en) | Disposable vessel | |
JPH0223554Y2 (en) | ||
KR20140026213A (en) | Cap of a cup and the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8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28 Effective date: 20171027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7920;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7920;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27 Effective date: 2018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