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756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756A
KR20160015756A KR1020140098427A KR20140098427A KR20160015756A KR 20160015756 A KR20160015756 A KR 20160015756A KR 1020140098427 A KR1020140098427 A KR 1020140098427A KR 20140098427 A KR20140098427 A KR 20140098427A KR 20160015756 A KR20160015756 A KR 2016001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wireless
remaining amount
wireless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4009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756A/ko
Publication of KR2016001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bstract

실시 예는,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확인부, 상기 배터리 전원을 기반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상기 무선전력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되게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Device}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충전요청정보가 전송되면, 외부장치의 무선충전방식에 따른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장치를 무선충전하기 용이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디지털 기기들이 소형화 되어감에 따라서 사람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이동 단말기들을 소지하고 다니고 있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에너지 관리 및 휴대성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성능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저전력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휴대성을 위해서 가벼운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저전력 구조로 만들어져도 이동 단말기의 사용 습관에 따라 에너지 소모 여부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항상 전원 케이블을 소지하고 다닌다.
또한 업체마다 충전 단자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외부에 있으면서 충전을 할 수 있는 전원케이블이 없을 때에는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쉽게 찾기 어렵다.
최근들어, 적어도 2이상의 이동 단말기 사이에 배터리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충전요청정보가 전송되면, 외부장치의 무선충전방식에 따른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장치를 무선충전하기 용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확인부, 상기 배터리 전원을 기반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상기 무선전력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되게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 중 제1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생성된 제1 무선전력신호 및 제2 자기유도방식(PMA)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생성된 제2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무선전력신호 중 자가공명방식(A4WP)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생성된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제1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WPC 모듈,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제2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PMA 모듈, 상기 제1 전력신호 입력시 공진하여 상기 제1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전력시호 입력시 공진하여 상기 제2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WPC 모듈 또는 상기 PMA 모듈과 상기 제1 코일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제3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A4MP 모듈, 상기 제3 전력신호 입력시 공진하여 상기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A4MP 모듈 및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NFC,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로 무선충전불가능정보가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되게 전달하는 잔량 확인부,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외부장치의 무선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 제2 자기유도방식(PMA) 또는 자가공명방식(A4MP)인지 확인하는 충전방식 확인부 및 상기 제1 자기유도방식(WPC), 상기 제2 자기유도방식(PMA) 또는 상기 자가공명방식(A4MP) 중 상기 충전방식 확인부에서 확인한 충전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무선충전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컴퓨팅 장치 등과 상호간의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을 확인하여,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는 경우 외부장치를 무선충전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외부장치로 무선충전이 불가능한 것을 알림으로써, 사용자 이동 단말기에서 최소로 요구하는 배터리 전원을 보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충전 시스템은 외부장치(1) 및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1)는 외부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1)는 이동 단말기(100)로 동일한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장치(1)로부터 송신한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수신하고, 무선충전요청정보(IP)에 포함된 무선충전방식에 따른 무선전력신호(sp)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미도시)의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전력신호(sp) 또는 무선충전불가능정보(OP)를 외부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무선충전불가능정보(OP)를 외부장치(1)로 송신하고,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무선전력신호(sp)를 외부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은 외부장치(1) 및 이동 단말기(100)가 서로 무선전력신호로를 송수신함으로써, 서로간에 무선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전력송신부(200), 통신부(250), 배터리 확인부(27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장치(1)로부터 송신된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수신하고, 외부장치(1)로 무선전력신호(sp)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이동 단말기(미도시)로부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충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무선전력송신부(200)는 제1 자기유도방식(WPC) 및 제2 자기유도방식(PMA)으로 무선전력신호(sp) 중 제1 무선전력신호(sp1) 및 제2 무선전력신호(sp2)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210) 및 자가공명방식(A4WP)으로 무선전력신호(sp) 중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송신부(210)는 제1 자기유도방식(WPC) 및 제2 자기유도방식(PMA)을 포함하는 유도 결합 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sp) 중 주파수가 다른 제1, 2 무선전력신호(sp1, sp2)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며, 제2 송신부(220)는 자가공명방식(A4WP)을 포함하는 공진 결합 방식으로 무선전력신호(sp) 중 특정 주파수에 해당되는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송신부(210)는 상기 자기유도방식으로 제1 전력신호(s1)를 생성하는 WPC 모듈(212), 제2 전력신호(s2)를 생성하는 PMA 모듈(214)는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1, 2 전력신호(s1, s2) 중 어느 하나와 공진하여 제1, 2 무선전력신호(sp1, sp2)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코일(216) 및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WPC 모듈(212) 및 PMA 모듈(214) 중 어느 하나와 제1 코일(216)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218)를 포함할 수 있다.
WPC 모듈(212)은 제1 스위치(218)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제1 코일(2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코일(216)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전력신호(s1), 즉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전류를 공급한다.
즉, WPC 모듈(212)은 제1 코일(216)과 유도 결합을 함으로써, 제1 코일(216)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외부장치(1)에 포함된 무선전력수신기(미도시)로 제1 무선전력신호(sp1)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PMA 모듈(214)은 제1 스위치(218)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제1 코일(2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코일(216)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전력신호(s2), 즉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전류를 공급한다.
즉, PMA 모듈(214)은 제1 코일(216)과 유도 결합을 함으로써, 제1 코일(216)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외부장치(1)에 포함된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 제2 무선전력신호(sp2)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18)는 제어부(300)로부터 제1 제어신호(sc1) 입력시, 제1 코일(216)과 WPC 모듈(212)을 연결하거나, 또는 제어부(300)로부터 제2 제어신호(sc2) 입력시, 제1 코일(216)과 PMA 모듈(214)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218)는 릴레이 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송신부(220)는 상기 자가공명방식으로 제3 전력신호(s3)를 생성하는 A4WP 모듈(222), A4WP 모듈(222)로부터 전달되는 제3 전력신호(s3)와 공진하여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하는 제2 코일(226) 및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A4WP 모듈(222) 및 제2 코일(226)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228)를 포함할 수 있다.
A4WP 모듈(212)은 제2 스위치(228)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코일(2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2 코일(226)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3 전력신호(s3), 즉 특정주파수를 가지는 제3 전류를 공급한다.
즉, A4WP 모듈(222)은 제2 코일(226)과 공진 결합을 함으로써, 제2 코일(226)에 전자기 공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외부장치(1)에 포함된 무선전력수신기로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스위치(228)은 제어부(300)로부터 제3 제어신호(sc2) 입력시, 제2 코일(226)과 A4WP 모듈(222)을 연결하여, A4WP 모듈(222)로부터 제3 전력신호(s3)가 제2 코일(226)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외부장치(1)에 포함된 통신부(미도시)와 근거리 통신, 예를 들면 NFC,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등으로 통신하며, 외부장치(1)로부터 송신된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수신하고, 제어부(300)로부터 무선충전불가능정보(OP)가 전달되면, 무선충전불가능정보(OP)를 외부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 확인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배터리(미도시)에서 배터리 전원에 대한 상기 잔량을 확인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잔량 확인부(310), 충전방식 확인부(320) 및 충전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잔량 확인부(310)는 통신부(250)가 무선충전요청정보(IO)를 수신하면, 배터리 확인부(270)에서 확인한 상기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즉, 잔량 확인부(310)은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통신부(250)를 통하여 외부장치(1)로 무선전력신호(sp)를 송신하지 않는 무선충전불가능정보(OP)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잔량 확인부(310)는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충전방식 확인부(320)로 전달한다.
충전방식 확인부(320)는 잔량 확인부(310)로부터 전달된 무선충전요청정보(IP)에 포함된 외부장치(1)의 무선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 제2 자기유도방식(PMA) 또는 자가공명방식(A4MP)인지 확인한다.
이후, 충전방식 확인부(320)는 제1 자기유도방식(WPC), 제2 자기유도방식(PMA) 및 자가공명방식(A4MP)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충전제어부(330)로 전달한다.
충전제어부(330)는 제1 자기유도방식(WPC), 제2 자기유도방식(PMA) 또는 자가공명방식(A4MP) 중 충전방식 확인부(320)에서 확인한 충전방식에 따라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sp1, sp2, sp3) 중 어느 하나가 송신되게 제1, 2 송신부(210, 22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제어부(330)는 충전방식 확인부(320)에서 확인한 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이면, 제1 스위치(216)로 제1 제어신호(sc1)를 전송하여 제1 송신부(210)에서 제1 무선전력신호(sp1)가 전송되게 제어한다.
또한, 충전제어부(330)는 충전방식 확인부(330)에서 확인한 충전방식이 제2 자기유도방식(PMA)이면, 제1 스위치(216)로 제2 제어신호(sc2)를 전송하여 제1 송신부(210)에서 제2 무선전력신호(sp2)가 전송되게 제어한다.
충전제어부(330)는 충전방식 확인부(330)에서 확인한 충전방식이 자가공명방식(A4MP)이면, 제2 스위치(226)로 제3 제어신호(sc3)를 전송하여 제2 송신부(220)에서 제3 무선전력신호(sp3)가 전송되게 제어한다.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전력신호(sp)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이동 단말기(100)가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외부장치(1)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장치인 경우 무선충전방식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장치(1)로부터 전송된 무선충전요청정보(IP)를 수신하면(S210), 배터리의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을 확인한다(S220).
즉, 제어부(300)는 통신부(250)로부터 외부장치(1)에서 전송된 무선충전요청정보(IP)가 전달되면, 배터리 확인부(270)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배터리 전원에 대해 확인된 잔량을 전달받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S230),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무선전력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하다는 무선충전불가능정보(OP)를 외부장치(1)로 송신한다(S240).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무선충전요청정보(IP)에 포함된 무선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인지 확인하고(S250), 상기 무선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이면 제1 송신부(210)를 통하여 제1 무선전력신호(sp1)가 송신되게 제어한다(S26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이 아니면 제2 자기유도방식(PMA)인지 확인하고(S270), 제2 자기유도방식(PMA)이면 제1 송신부(210)를 통하여 제2 무선전력신호(sp2)가 송신되게 제어한다(S280).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충전방식이 제2 자기유도방식(PMA)이 아니면 자가공명방식(A4MP)으로 확인하고(S290), 제2 송신부(220)를 통하여 제3 무선전력신호(sp3)가 송신되게 제어한다(S300).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배터리 전원에 대한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확인부;
    상기 배터리 전원을 기반으로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잔량이 설정된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상기 무선전력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되게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 중 제1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생성된 제1 무선전력신호 및 제2 자기유도방식(PMA)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생성된 제2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무선전력신호 중 자가공명방식(A4WP)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생성된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제1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WPC 모듈;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제2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PMA 모듈;
    상기 제1 전력신호 입력시 공진하여 상기 제1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전력시호 입력시 공진하여 상기 제2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WPC 모듈 또는 상기 PMA 모듈과 상기 제1 코일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제3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A4MP 모듈;
    상기 제3 전력신호 입력시 공진하여 상기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A4MP 모듈 및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NFC,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로 무선충전불가능정보가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되게 전달하는 잔량 확인부;
    상기 잔량이 상기 기준잔량을 만족하면, 상기 무선충전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외부장치의 무선충전방식이 제1 자기유도방식(WPC), 제2 자기유도방식(PMA) 또는 자가공명방식(A4MP)인지 확인하는 충전방식 확인부; 및
    상기 제1 자기유도방식(WPC), 상기 제2 자기유도방식(PMA) 또는 상기 자가공명방식(A4MP) 중 상기 충전방식 확인부에서 확인한 충전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98427A 2014-07-31 2014-07-31 이동 단말기 KR20160015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27A KR20160015756A (ko) 2014-07-31 2014-07-31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27A KR20160015756A (ko) 2014-07-31 2014-07-3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756A true KR20160015756A (ko) 2016-02-15

Family

ID=5535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427A KR20160015756A (ko) 2014-07-31 2014-07-3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787A (ko) * 2016-05-06 2018-02-21 상하이 유니버시티 오브 트레디셔널 차이니즈 메디신 블루투스 맥박 진단 팔찌 및 맥박 데이터 전송 방법 (bluetooth pulse diagnosis wristband and pulse data transmiss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787A (ko) * 2016-05-06 2018-02-21 상하이 유니버시티 오브 트레디셔널 차이니즈 메디신 블루투스 맥박 진단 팔찌 및 맥박 데이터 전송 방법 (bluetooth pulse diagnosis wristband and pulse data transmiss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145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12972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N108156829B (zh) 无线电力发送器及其控制方法
KR102195109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902795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9742216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ariable charging mode
US925785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7610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스마트 폰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US20150214748A1 (en) Wireless power supply scheme capable of dynamically adjusting output power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voltage/current/power inform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charged
EP316494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40023409A (ko) 무선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81855A1 (en) A multi-coil wireless power apparatus
TWI697168B (zh) 用於無線電力接收器中背散射調變期間電力控制的方法及裝置
KR20200104233A (ko) 코일 선택의 q-인자 결정
US10523035B2 (en) Multi-tapped coil for wireless charging range and efficiency
WO2014208302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015756A (ko) 이동 단말기
KR101973406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US202101436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reless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based on states of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KR101171938B1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CN113783310A (zh) 用于增强型无线接收器输出功率的硬件和方法
US1075656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non contact power-supply system
KR20180128371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15002633A (ja) 給電装置
KR20140106077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전송 송신장치 및 그것의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