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717A -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717A
KR20160015717A KR1020140098336A KR20140098336A KR20160015717A KR 20160015717 A KR20160015717 A KR 20160015717A KR 1020140098336 A KR1020140098336 A KR 1020140098336A KR 20140098336 A KR20140098336 A KR 20140098336A KR 20160015717 A KR20160015717 A KR 2016001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ws
voice
article
annou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현
Original Assignee
김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현 filed Critical 김낙현
Priority to KR102014009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717A/ko
Publication of KR2016001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여 온라인 사이트의 호(call)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음성뉴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로 다수의 기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다량의 기사정보가 탑재되며; 상기 기사정보는 다수의 아나운서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후, 아나운서로부터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녹음한 음성뉴스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음성뉴스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에 해당 기사정보별로 그룹핑되어 저장 등록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앱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한 상기 음성뉴스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웹 화면 또는 어플을 이용하여 관심 뉴스의 카테고리를 키워드로 입력 선택하거나, 다수의 아나운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아나운서 정보를 검색 선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털 사이트 또는 다수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수집된 뉴스 데이터를 기 등록된 다수의 아나운서로부터 음성 정보로 가공된 후, 단말기의 앱을 통해 아나운서의 간략 정보 및 음성화된 뉴스정보가 선택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음색을 선별 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N OFFERING SYSTEM FOR VOICE NEWS}
본 발명은 뉴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털 사이트 또는 다수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수집된 뉴스 데이터를 기 등록된 다수의 예비 아나운서로부터 음성 정보로 가공된 후, 단말기의 앱을 통해 아나운서의 간략 정보 및 음성화된 뉴스정보가 선택 출력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매일 수많은 뉴스를 접하면서 생활하고 있다. 뉴스는 전통적인 매체인 신문을 비롯하여 TV, 라디오를 통해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인터넷과 통신수단의 발달로 인해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뉴스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체를 통해 뉴스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뉴스가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시간에 맞추어 시청 또는 청취를 하여야 하거나, 인터넷을 통해서 뉴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일일이 뉴스를 검색해 보아야만 한다. 또한, 일상 생활과 업무에 바쁜 현대인으로서는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뉴스를 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뉴스를 접하는 시간대는 하루 중에서 아침이 될 경우가 많은데, 출근 준비로 인해 뉴스를 제대로 접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출근 차량 또는 지하철 내에서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되는 신문을 읽는 사람들이 많지만, 좁은 공간 내에서 신문을 펼치고 각 기사를 일일이 집중해서 읽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때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감마저 줄 수 있다. 나아가, 자가 운전자의 경우에는 신문을 보는 것마저 불가능하여, 그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불특정한 방송을 무작정 청취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방송 및 언론매체의 발달에 따라 일반인들은 매일 같이 많은 정보에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의 범람은 오히려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적절한 시간에 맞추어 얻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예를 들어, 방송의 경우, 가장 빠른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것은 아침방송 뉴스인데, 아침시간에 출근을 서두르면서 얻는 정보들은 그다지 상세하지 기억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출근 후에 다른 업무에 우선순위가 밀리게 되어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의 획득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신문의 경우, 출근에 바쁜 아침시간을 이용하여 신문을 구독하기 위해서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공간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타인에게 폐를 끼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는 신문이라는 매체가 다량의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 피할 수 없는 특성에 기인한다. 더욱이, 특별히 관심을 가지지 않는 분야까지 총망라하여 관련정보를 게재하고 있기 때문에 교통수단의 좁은 공간에서 관심분야에 관련된 정보를 일일이 찾는 것은 더욱 단점으로 작용한다.
첨부된 특허 문헌은 음성을 통하여 뉴스 등의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음성뉴스 제공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모듈(32)은 클라이언트(10)와 인터넷(20)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뉴스나 광고를 제공하거나 클라이언트(1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받는다.
음성뉴스 결정모듈(33)은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를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설정정보는 음성뉴스나 광고의 분야, 종류, 발생시각, 정보 소오스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클라이언트(10)에서 일관되게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31)은 음성뉴스 결정모듈(33)에 의해 결정된 음성뉴스와 광고를 CGI(Common Gateway Interface; 35)를 개재하여 관련 DB(360)로부터 읽어 들여 서버 통신모듈(32)을 통하여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정보 비교모듈(34)은 접속된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체크하여 회원 DB에 등록된 회원인가를 판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고유번호를 체크하여 ID나 패스워드의 입력없이 등록된 회원인가를 체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운영서버(30)에는 각종 데이터베이스(36)가 구축되는데, 등록된 회원의 ID와 패스워드 또는 선택적으로 소유한 단말장치의 고유번호을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회원 DB, 광고주 정보와 관련 광고정보가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되는 광고 DB, 신문내용 등에 대응하는 음성뉴스를 식별코드 또는 발생일시 등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음성뉴스 DB, 클라이언트(10)가 사전에 설정한 음성뉴스 관련 예약정보를 저장하는 예약정보 DB 및 기(energy) 음향을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기 음악 D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음성뉴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휴대가 용이한 컴팩트한 단말장치로부터 성우들의 음성으로 변환된 뉴스를 제공받기 때문에 지하철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맞춤에 의해 관심이 있는 분야의 뉴스만을 한정하여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범람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뉴스를 음성의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정보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뉴스 제공 시스템은 뉴스의 청취 목적만을 가지고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 예컨대, 음성뉴스 아나운서(또는 성우)의 음색을 선택하거나, 동일 뉴스에 대한 다수의 음성뉴스 아나운서들의 인기순위에 따른 선택 등 사용자의 선택폭을 넓히지 못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2-0081615, 공개일자 2002년 10월 30일, 발명의 명칭 '음성뉴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털 사이트 또는 다수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수집된 뉴스 데이터를 기 등록된 다수의 아나운서(또는 예비 아나운서)로부터 음성 정보로 가공된 후, 단말기의 앱을 통해 아나운서의 간략 정보 및 음성화된 뉴스정보가 선택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취향에 따른 음색을 선별 청취할 수 있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나운서의 음색이 부여된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접속률에 대응하는 해당 아나운서의 인기도를 측정 및 홍보함으로써 해당 뉴스 정보를 제공한 포털 사이트의 호(Call) 집중도를 향상시켜 광고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음절을 분리하여 음절간의 간격, 음성 정보의 음압 크기 및 음성 주파수에 대한 비율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음성 뉴스정보의 빠르기를 자연스럽게 제어하여, 각 연령층에 대한 음성뉴스 정보의 청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은,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로 다수의 기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다량의 기사정보가 탑재되며; 상기 기사정보는 다수의 아나운서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후, 아나운서로부터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녹음한 음성뉴스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음성뉴스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에 해당 기사정보별로 그룹핑되어 저장 등록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앱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한 상기 음성뉴스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는, 웹 화면 또는 어플을 이용하여 관심 뉴스의 카테고리를 키워드로 입력 선택하거나, 다수의 아나운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아나운서 정보를 검색 선택한 후, 상기 음성뉴스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뉴스는 동일한 기사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아나운서가 음성 변환한 정보로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연예, 종교, 취미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한 데이터이거나, 지역별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한 데이터이거나, 기사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또는 지역 매체 사이트의 포털 정보를 음성 변환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아나운서 단말기는 임의 포털 서버로 등록된 기사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해당 기사정보에 대하여 음성녹음된 음성뉴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운서 컴퓨터; 및 해당 아나운서의 인증절차를 통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기사정보와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동일성 판단을 기반으로 한 기사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음성뉴스 정보를 상기 포털 서버로 업로드하기 위한 승인을 결정하는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은 해당 아나운서의 인증절차로서 개인용 인증서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기사정보와 아나운서로부터 녹음된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동일성을 판단하여 해당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기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은, 포털 사이트 또는 다수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수집된 뉴스 데이터를 기 등록된 다수의 아나운서로부터 음성 정보로 가공된 후, 단말기의 앱을 통해 아나운서의 간략 정보 및 음성화된 뉴스정보가 선택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음색을 선별 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나운서의 음색이 부여된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접속률에 대응하는 해당 아나운서의 인기도를 측정 및 홍보함으로써 해당 뉴스 정보를 제공한 포털 사이트의 호(Call) 집중도를 향상시켜 광고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음성뉴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뉴스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나운서 단말기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절 분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음성뉴스 정보는 현재 활동 중인 다수 기자로부터 작성된 기사내용을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것으로서, 아나운서 또는 아나운서 준비생인 예비 아나운서를 포함한 임의의 대상자에 의해 음성 뉴스정보가 제작된다. 이러한 음성 뉴스정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자로부터 작성된 원문을 음성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며, 음성화된 뉴스 정보를 지속적으로 청취하는 경우, 해당 기자의 기사원문을 접속하는 격이 된다.
따라서, 음성뉴스 정보의 제공은 포털 사이트 또는 지역 사이트 등의 기사의 내용을 용이하게 접하게 된다. 예컨대, 특정 지역의 소식을 듣고자 할 경우, 해당 지역에 관련된 음성 뉴스를 선택하거나, 해당 지역의 아나운서를 선택함으로써, 지속적인 지역정보를 청취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지역의 기자의 기사 내용을 청취함에 따라, 해당 기자의 원문에 대한 접속률이 높아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음성뉴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201)로 다수의 기자 단말기(203)로부터 업로드된 다량의 기사정보가 탑재되며, 상기 기사정보는 다수의 예비 아나운서 단말기(205)로 다운로드된 후, 예비 아나운서로부터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녹음한 음성 뉴스가 생성되고, 상기 음성 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201)에 해당 기사정보별로 그룹핑되어 저장 등록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209)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앱 서버(207)에 접속하여 선택한 상기 음성 뉴스 및 기사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클라이언트(209)는 웹 화면 또는 어플을 이용하여 관심 뉴스의 카테고리를 키워드로 입력 선택하거나, 다수의 예비 아나운서 중 어느 하나의 아나운서를 검색 선택한다. 물론, 관심 뉴스 카테고리와 예비 아나운서 선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임의 예비 아나운서의 목소리로 선택된 관심 뉴스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아나운서는 기 등록된 회원에 한하여 운영되며, 각 예비 아나운서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부여된다. 또한, 예비 아나운서는 관리자에게 부여된 임의 기사정보를 음성뉴스로 변환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예비 아나운서가 임의의 기사정보를 선별하여 음성뉴스로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음성뉴스는 동일한 기사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예비 아나운서가 음성변환한 정보로서, 예비 아나운서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연예, 종교, 취미 등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하거나, 카테고리에 관계없이 지역별로 구분하여 관련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할 수 있다. 또는, 기사정보를 제공하는 업체 예컨대, 포털 사이트, 지역 매체 사이트를 선택하여 해당 사이트의 포털 정보를 음성 변환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예비 아나운서의 음성 뉴스는 비즈니스 구조에 따라 기사의 카테고리, 지역별, 사이트별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예비 아나운서는 기자 단말기(203)로부터 제공되는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하기 위한 태스크가 부여되고 있음에 따라, 최초 기사정보에 대한 변환 과정에서 기사정보의 왜곡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아나운서 단말기(205)는 예비 아나운서의 본인 인증과 더불어, 기사인증을 토대로 음성정보의 업로드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상기 관리 프로그램은 예비 아나운서에 대한 인증 및 기사 내용에 대한 인증 수단으로서, 상기 아나운서 단말기(205)의 운용 프로그램에 탑재됨을 전제로 하나, 필요에 따라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201)에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아나운서 단말기(205)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 포털 서버(201)로 등록된 기사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해당 기사정보에 대하여 음성녹음된 음성뉴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운서 컴퓨터(301)로 탑재되며, 해당 예비 아나운서의 인증절차를 통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기사정보와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동일성 판단을 기반으로 한 기사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음성뉴스 정보를 상기 포털 서버(201)로 업로드하기 위한 승인을 결정하는 관리 프로그램(303)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 프로그램(303)은 해당 예비 아나운서의 인증절차로서 개인용 인증서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완료되면 고유코드를 제공한다. 고유코드는 포털 사이트별로 상이하며 기 등록된 아나운서인지에 대한 확인 절차로 상정된다.
또한, 상기 관리 프로그램(303)은 상기 기사정보와 예비 아나운서로부터 녹음된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동일성을 판단하여 해당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기사 인증을 수행한다. 기사 인증은 텍스트화된 기사정보의 내용과 예비 아나운서에 의해 녹음된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비 아나운서의 녹음파일로부터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해당 기사정보의 내용과 기준치 이상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즉, 녹음파일을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음성인식된 텍스트와 기사정보에 대한 텍스트가 최소 90%이상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음성인식 프로그램은 HMM 즉,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이나, CHMM(Continuous-density Hidden Markov Model), Deep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음성인식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음절분석을 통해 기사정보와 녹음된 음성뉴스 정보 간의 음절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이는 녹음된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음절을 분류하고, 해당 음절의 개수와 상기 기사정보에 대한 단어의 개수와 비교 분석한다. 본 과정에서 또한 음절의 개수가 기사정보에 대한 단어 개수와 90% 이상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관리 프로그램(303)은 상기 음성인식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음성뉴스 정보의 텍스트 수와 기사정보의 텍스트 수가 기준치 이상 동일하고, 또한 음절의 개수가 기준치 이상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기사의 동일성을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프로그램(303)은 기사 인증을 수행하며, 기사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포털 서버(201)로 예비 아나운서로부터 녹음된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사 인증이 완료됨을 통지하고 더불어, 해당 예비 아나운서의 개인정보, 기사정보에 대한 기자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예비 아나운서의 개인정보는 사진, 성명, 출생년도, 경력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자정보는 기자의 성명, 경력, 이메일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포털 서버(201)는 예비 아나운서의 개인정보를 검증한 후, 해당 음성뉴스 정보를 등재한다. 음성뉴스 정보의 등재는 관련 기사정보와 매칭하여 제공된다. 예컨대, 관련 기사정보를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함에 있어, 해당 기사정보의 근접한 위치에 음성뉴스가 제공됨을 표시하는 로고 또는 식별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9)는 해당 기사정보에 근접한 식별자를 클릭 또는 텃치함으로써 관련 기사를 음성뉴스로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관심 기사에 대한 카테고리 선정 및 아나운서 선택을 기반으로 음성 뉴스가 제공될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209)는 뉴스정보의 정보 수집 목적을 벗어나, 특정 아나운서의 목소리와 더불어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며, 특정 아나운서의 인기도는 포털 서버(201)의 호(Call) 집중을 가중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사인증 수단인 음절분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뉴스의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뉴스 원 신호가 도시되며, 원 신호에 대한 주파수 신호가 추출되고 있다. 상기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음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음색을 기반으로 예비 아나운서의 음성뉴스 정보와 기사 정보 간의 동일성을 판단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성뉴스의 음절 신호를 분석하였으며, 상기 음절신호는 상기 주파수 신호와 원 신호 간의 조합을 기반으로 생성된다. 음절신호의 추출은 다수 알고리즘이 존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 신호(아날로그 신호)의 형상에서 고주파 신호의 부분을 삭제하여 음절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즉, 임의 문장에 대한 녹음된 발음신호의 형태(음태)를 추출하고, 상기 발음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대역의 고주파 신호 부분을 상쇄시켜 음절 신호를 생성한다. 음절신호의 정확도는 매우 높으며, 텍스트화된 상기 기사정보의 음절과 녹음된 아나운서의 발음 음절을 비교함으로써, 기사 내용에 대한 음성 변환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성뉴스에 대한 재생속도를 제어토록 하고 있다. 이는 연령층에 따라 음성뉴스의 청취력에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음성뉴스의 재생속도를 가변하는 것이다.
통상, 녹음된 음성의 재생속도를 높이는 것은 재생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청취 감도가 매우 저하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절신호를 이용하여 청취감도를 높이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먼저, 음성뉴스 원 신호에 대한 음절신호를 추출하고, 음절신호의 간격 시간을 추출한다. 그리고, 음성뉴스의 재생속도를 가변함에 있어, 음절신호의 간격 시간, 음성의 크기 및 음절의 폭을 설정비율에 따라 제어한다. 예컨대, 음성뉴스의 재생속도를 30% 빠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경우, 상기 음절의 폭을 30% 줄이고, 음성의 크기를 15% 줄이고, 음절간격 시간을 7%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음성신호를 일괄적인 비율로 조절하지 않고, 요구하는 재생속도만큼의 음절의 폭을 설정하고, 음성의 크기를 조절된 음절의 폭 대비 50%로 설정하며, 음성의 크기는 조절된 음성의 크기 대비 50%로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생속도가 빠르더라도 재생 음원이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출력된다.
반면, 음성뉴스의 재생속도를 50% 늘리고자 할 경우에는 음절의 폭을 50% 늘리고, 음성의 크기를 25% 늘리며, 음절간격 시간을 12% 늘림으로써 예비 아나운서의 발음을 명확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201 : 포털 서버 203 : 기자 단말기
205 : 아나운서 단말기 207 : 웹/앱 서버
209 : 클라이언트 301 : 아나운서 컴퓨터
303 : 관리 프로그램

Claims (7)

  1. 음성뉴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201)로 다수의 기자 단말기(203)로부터 업로드된 다량의 기사정보가 탑재되며;
    상기 기사정보는 다수의 아나운서 단말기(205)로 다운로드된 후, 아나운서로부터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녹음한 음성뉴스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음성뉴스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털 서버(201)에 해당 기사정보별로 그룹핑되어 저장 등록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209)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앱 서버(207)에 접속하여 선택한 상기 음성뉴스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209)는 웹 화면 또는 어플을 이용하여 관심 뉴스의 카테고리를 키워드로 입력 선택하거나, 다수의 아나운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아나운서 정보를 검색 선택한 후, 상기 음성뉴스 정보 및 기사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뉴스 정보는 동일한 기사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아나운서가 음성 변환한 정보로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연예, 종교, 취미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해당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한 데이터이거나, 지역별 기사정보를 음성 변환한 데이터이거나, 기사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또는 지역 매체 사이트의 포털 정보를 음성 변환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나운서 단말기(205)는 임의 포털 서버(201)로 등록된 기사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해당 기사정보에 대하여 음성녹음된 음성뉴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운서 컴퓨터(301); 및
    해당 아나운서의 인증절차를 통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기사정보와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동일성 판단을 기반으로 한 기사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음성뉴스 정보를 상기 포털 서버(201)로 업로드하기 위한 승인을 결정하는 관리 프로그램(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로그램(303)은 해당 아나운서의 인증절차로서 개인용 인증서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기사정보와 상기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동일성을 판단하여 해당 음성뉴스 정보에 대한 기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 인증은 텍스트화된 기사정보의 내용과 녹음된 음성뉴스 정보의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녹음파일을 음성인식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인식된 텍스트와 기사정보에 대한 텍스트가 90%이상 동일한지를 판단한 후;
    녹음된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음절을 분류하고, 해당 음절의 개수와 상기 기사정보에 대한 음절의 개수와 비교 분석하여, 녹음된 음성의 음절 개수가 기사정보에 대한 음절 개수와 90% 이상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프로그램은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CHMM(Continuous-density 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Deep neural Network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40098336A 2014-07-31 2014-07-31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015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336A KR20160015717A (ko) 2014-07-31 2014-07-31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336A KR20160015717A (ko) 2014-07-31 2014-07-31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717A true KR20160015717A (ko) 2016-02-15

Family

ID=5535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336A KR20160015717A (ko) 2014-07-31 2014-07-31 음성 뉴스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7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3887B (zh) 一种细粒度电台音频内容个性化组织推荐方法
US20210044640A1 (en) Livestreaming interactive content to a digital media platform
WO2019233358A1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音质特性处理方法及系统
JP6060155B2 (ja) 受信データの比較を実行しその比較に基づいて後続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9159313B2 (en) Playback control apparatus, playback control method, and medium for playing a program including segments generated using speech synthesis and segments not generated using speech synthesis
US87258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ound signals
US11463772B1 (en) Selecting advertisements for media programs by matching brands to creators
CN107924416B (zh) 在其他媒体内容中引用的媒体内容的提醒
US11537651B2 (en) Descriptive media content search
US20180053261A1 (en) Automated Compatibility Matching Based on Music Preferences of Individuals
CN107211062A (zh) 虚拟声学空间中的音频回放调度
CN111919249A (zh) 词语的连续检测和相关的用户体验
KR100676863B1 (ko) 음악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8000A (ko) 대화의 주제를 결정하고 관련 콘텐트를 획득 및 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83635B1 (ko) 개인방송 컨텐츠 추천방법
CN108899036A (zh) 一种语音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4100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customization of audio and video media
WO2019047850A1 (zh) 标识的显示方法和装置、请求的响应方法和装置
CN110083738A (zh) 一种基于声纹和情境感知的音乐推荐方法和终端设备
WO2019101099A1 (zh) 视频节目识别方法、设备、终端、系统和存储介质
CN107451185A (zh) 录音方法、朗读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装置
EP3839952A1 (en) Masking systems and methods
KR10186367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35076B1 (ko)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감성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뉴스 추천 시스템
KR101715070B1 (ko) 디지털음성송신 기반의 음악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