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559A - Showcase - Google Patents

Show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559A
KR20160015559A KR1020140097935A KR20140097935A KR20160015559A KR 20160015559 A KR20160015559 A KR 20160015559A KR 1020140097935 A KR1020140097935 A KR 1020140097935A KR 20140097935 A KR20140097935 A KR 20140097935A KR 20160015559 A KR20160015559 A KR 2016001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case
hologram
viewer
display
provi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경회
Original Assignee
(주)옥토끼이미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토끼이미징 filed Critical (주)옥토끼이미징
Priority to KR102014009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559A/en
Publication of KR2016001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5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ca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wcase effective for the understanding of an exhibited item si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ed item can be comprehended at a glance by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content image around the exhibited item using a hologra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case having a closed exhibition space with the exhibited item which is exhibited inside a housing, comprising: a hologram content providing device which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howcase and provides a three-dimensional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when a viewer reaches a close location to the showcase after the detection of the viewer approaching the showcase through a sensor part installed toward the front in the inner part of the showcase; and a display means which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hibited item which is exhibited in the exhibition space to convey to the viewer the image provided by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쇼케이스{SHOWCASE}Showcase {SHOWCASE}

본 발명은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컨텐츠 영상을 전시물 주변에 출력을 하여 상기 전시물과 관련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상기 전시물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wcase capable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content image around a display by using a hologram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 can be grasped at a glance.

일반적으로, 보석이나 유물, 보물, 명품, 그 밖의 고가의 상품을 안전하게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에 전시를 하게 되는데, 보통 진열장(陳列欌, showcase, 유의어로 쇼케이스)이라 함은, 디자인 표현된 각종 물품을 전시해 놓는 장을 일컫는 것으로, 전시품의 관람이 가능하도록 유리패널로써 진열공간을 내부에 형성함과 함께 조명장치를 이용한 빛의 조사를 통해 그 전시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In general, exhibitions are held in showcases that allow visitors to safely exhibit jewelry, artifacts, treasures, luxury goods, and other expensive items. A showcase (showcase, showcase in synonyms) It is a place to display the goods.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display space with glass panels so that visitors can see the exhibits inside, and also to enhance the exhibits by illuminating the light using the lighting device.

종래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에 놓여있는 진열물품에 대한 설명은 상기 진열물품 아래쪽, 상기 진열장 후면에 부착하거나 상기 진열장 옆에 안내 패널(panel)을 설치하여 상기 진열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한정된 공간에 많은 내용을 기재할 수 없기에 중요한 내용만 간추려서 설명하므로 상기 진열물품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궁금한 경우 관람객이 추후에 관련된 정보를 찾아봐야만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Conventionally, a display article placed on the display case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article and on the back of the display case, or by providing a panel next to the display cas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splay article. However, since many contents can not be described in a limited spac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splay article because the important contents are briefly explain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iewer had to search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 the future.

또한, 상기 진열장은 진열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진열대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관람자가 한 지점에서 진열물품의 전체 부위를 볼 수 없게 되고, 진열물품의 각 부위를 보려면 진열장 둘레를 걸어서 돌아야 하는 불편이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진열장 둘레에 충분한 관람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helf for displaying the shelf item is fixed, the spectator can not see the entire part of the shelf item at one point, and it is inconvenient to walk around the display case to see each part of the shelf item There is a problem that a sufficient viewing space should be secured around the display case.

아울러, 진열장에 진열되는 진열물품들은 크기 및 높이가 각기 다른 경우가 많고,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진열을 위해서는 진열물품에 따라 진열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지만 종래에 있어서는 진열대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진열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display height according to the display article in order to display the display more efficiently. However, since the display stand is fixed in the past, the display height Can not be controlled.

이에,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07868호에서는, 진열장 본체 내부에 진열되는 물품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시품의 진열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7868 discloses a display article rotating device for a display case that can rotate an article displayed inside a display case body and adjust a display height of a display art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 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마련된 진열공간(D)의 하단부에 회전테이블(20)이 설치되고, 상기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하측 중앙에 지지브라켓트(6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관(4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관(40)의 내부 상측에 상기 회전테이블(20)의 하단 중앙에 마련되는 회전중심축(21)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회전관(40)의 하단부가 동력전달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동모터(30)에 접속되되, 상기 회전테이블(20)의 회전중심축(21) 하단 회전관(40)의 내부 하측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봉(22)을 고정 설치하고, 회전관(40)의 하단으로 인출된 높이조절나사봉(22)을 체결너트(23)로 고정하여 상기 회전테이블(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helf product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is case, a rotary table 2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display space D provided inside of the showcase body 10, A rotating tube 4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60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table 20 on the inside of the rotating tube 40 And the lower end of the rotary pipe 4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30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belt (not shown), and the lower end of the rotary pipe 40 is connected to the rotary center shaft 21 of the rotary table 20, A height adjusting screw rod 22 screw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tary pipe 40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height adjusting screw rod 22 pulled out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pipe 40 is screwed into the tightening nut 23 So that the height of the rotary table 20 can be adjusted.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회전테이블(20)의 상단 면에 설치되는 진열물품(이하 "전시물"이라 함)을 좌, 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관람자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전시품의 사방을 두루 관람할 수 있고, 굳이 진열장 주변 전체에 관람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어 진열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전테이블(20)을 승강시켜 전시품에 알맞은 진열높이를 조절하여 진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display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hibiti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table 20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so that visitors can observe all four sides of the exhibit even if the viewer does not move ,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viewing space around the entire display case, and the display spac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the display height can be adjusted by elevating and lowering the rotary table 20 to improve display efficiency.

하지만, 상기 회전테이블(20)의 회전구동에 의해 진열공간(D)에 비치된 전시품을 단순히 좌, 우로 회전시켜 진열효율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기대할 순 있지만, 해당 전시품의 상, 하 모습을 보는데 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helf efficiency by simply rotating left and right the exhibition products held in the display space D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otary table 20, There was still difficulty.

또한, 상기 회전테이블(20)의 회전구조 달성을 위해 각종 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될 수밖에 없어, 진열장(쇼케이스)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노출해 왔다.In addition, various devices have to be complicated in order to achieve 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rotary table 20, which has exposed the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showcase (showcase) increases.

이에,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9972호에서는, 동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한 홀로그램 동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9972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hologram image obtained by embodying the same phase as a hologram imag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동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모니터를 통해 그 상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출력되며, 홀로그램 영상이 출력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결합체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등 세 면에 반반사유리를 위치시켜 외부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ogram in-phase display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which a hologram image is output to the upper side through a monitor, and a hologram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side, the left side, It is possible to view the hologram image from the outside.

여기서, 홀로그램(Hologram)은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3차원 영상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2개로 나눠 하나의 빛을 기준광(reference beam)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빛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돼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위상차(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때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 간섭무늬에 의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홀로그램이다.Here, a hologram (hologram) is a three-dimensional image which i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a real object, and is made using the principle of holography. The principle of holography is that a beam of light from a laser is split into two beams, one of which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beam, and the light of an object is referred to as an object beam. Since the object light is the light reflected from each surface of the object, the phase difference (distance from the object surface to the screen) varies depending on the object surface. At this time, the unmodified reference light interferes with the object light. The hologram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is interference fringe.

한국등록특허 제10-1349972호를 통해서, 회전테이블의 회전구조 달성을 위해 각종 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이로 인하여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전시품의 상, 하측 모습을 보기가 어려우며, 상기 진열장에 전시되어 있는 전시물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여전히 한정적인 공간에서 제한적으로만 제공되기에 상기 전시물을 이해하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Korean Patent No. 10-1349972 has solved the problem that the various devices are complicatedly configured to achieve 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rotary table, thereby increasing the weight, but it is difficult to see the top and bottom of the exhibit still, The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the exhibits displayed on the showcase is still limited and limited in limited space, so that it is still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xhibits.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07868호Korean Patent No. 10-0807868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9972호Korean Patent No. 10-134997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홀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영상을 전시물과 동시에 보여주어 관람객이 상기 전시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wcase in which a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an exhibit to help viewers understand the exhib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쇼케이스 내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센서를 설치하여 관람객이 없을 시에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영상을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wcase in which a sensor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showcase to save energy by controlling a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when there is no view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람객의 시선이나 행동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도 변화하는 쇼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wcase in which a content image that is recognized in response to a viewer's gaze or behavior change is also chan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전시물이 전시 되어있는 닫혀진 전시공간이 구비된 쇼케이스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wcase having a closed exhibition space in which a display is displayed inside a housing,

상기 쇼케이스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케이스 내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를 통해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에 접근여부를 파악한 후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홀로그램을 이용한 입체적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 및 상기 전시공간에 전시되어 있는 상기 전시물의 전면에 부설되어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을 관람객에게 전달해주는 디스플레이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logram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if a viewer reaches a close position afte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viewer approaches the showcase through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howcase through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showcase, ; And a display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and transmitting an image provided by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to a viewer. .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루프 하우징으로 구성되되,Here, the housing may include a main housing including the display unit and a roof housing including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루프 하우징 전면을 향해 출력한 영상을 상기 메인 하우징 전면 아래쪽에서 후면 위쪽으로 사선형태로 부설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반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루프 하우징 전면 아래쪽에서 후면 위쪽으로 사선형태로 부설된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s loca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image output from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roof housing to the display means, And a mirror attached in an oblique fashion from below the front face to the rear face of the roof housing.

또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에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으로는 상기 전시물의 입체적인 모습, 유래, 발굴기록 내지 시대상을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image provided to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may be three-dimensionally provided with three-dimensional shapes, origins, excavation records, and the like of the exhibits.

더불어, 상기 쇼케이스 내부 상측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부설되되, 상기 관람객이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전시물의 정면 모습에서 측면모습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상기 전시물의 유래에서 시대상으로 내용이 변화하기 위해, 상기 관람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viewer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contents image is changed from a front view to a side view of the exhibit or from contents of the exhibit And an operation recognizing unit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viewer.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쇼케이스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영상을 전시물과 동시에 보여주어 관람객이 상기 전시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how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elping the viewer to understand the exhibit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ontent image using the hologram with the exhibit.

또한, 상기 쇼케이스 내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센서를 부착하여 관람객이 없을 시에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영상을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f a sensor is attach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showcase and there is no viewer, energy can be sav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image using the hologram.

이와 함께, 관람객의 시선이나 행동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도 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At the same time, it is an invention that can recognize the change of the sight line or behavior of the viewer and change the content image provided in response to the chan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 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동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적용 예시 모습.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내부 구성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itutional relationship of a shelf product rotating apparatus of a show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hologram-coincid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IG. 3 i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적용 예시 모습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내부 구성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application example of a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internal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a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100)(SHOWCASE)는, 하우징 내부에 전시물(240)이 전시 되어있는 닫혀진 전시공간(270)이 구비된 상기 쇼케이스(100)에 있어서,3 and 4, the show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wcase 100 having a closed exhibition space 270 on which an exhibit 240 is displayed, As a result,

상기 쇼케이스(100)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케이스(100) 내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100)에 접근여부를 파악한 후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홀로그램을 이용한 입체적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 및The viewer can determine whether the viewer is approaching the showcase 100 through a sensor unit (not shown)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howcase 100 and installed in the showcase 100 to face the front of the showcase 100, A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And

상기 전시공간(270)에 전시되어 있는 상기 전시물(240)의 전면에 부설되어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가 제공하는 영상을 상기 관람객에게 전달해주는 디스플레이 수단(210);으로 구성된다.And a display unit 210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240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270 and transmitting an image provided by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to the viewer.

상기 하우징은, 메인 하우징(200)을 기준으로 상단에는 루프 하우징(300), 하단에는 베이스 하우징(400)이 적층구조를 이루며 구성되어 있다.The housing has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loop housing 300 at the upper end and a base housing 400 at the lower end with respect to the main housing 200.

상기 메인 하우징(200)의 경우, 상기 전시물(240)을 전시할 수 있는 상기 전시공간(2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시공간(270)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이 부설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200) 전면(前面) 아래쪽에서 후면 위쪽으로 사선형태로 부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을 볼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200)의 전면(前面)은 전면(全面)유리(260)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삼면은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후면은 상기 메인 하우징(200) 내부에 상기 전시물(240)을 넣거나 뺄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이나 상기 전면(全面)유리(260)를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메인 하우징 도어(230)를 구성한다.In the case of the main housing 200, the display space 270 is provided for displaying the display 240. The display unit 21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space 270, In the case of the display unit 210, the display unit 210 is installed in an oblique manner from below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200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rface.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200 is made of a front glass 260 so that the display means 210 can be seen, and the remaining three surfaces are made of walls.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allows the display 240 to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main housing 200, and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front glass 26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200, (230).

상기 루프 하우징(300)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200) 상단에 위치하여, 홀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는 상기 루프 하우징(300) 전면(前面)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된 영상이 상기 메인 하우징(200)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에 도달해야 함으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의 앞쪽에 출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으로 반사하여 전달하는 미러(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루프 하우징(300) 후면에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 (310) 및 상기 미러(320)를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루프 하우징 도어(330)를 구성한다.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includes a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that is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200 and provides a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in the case of the loop housing 300, And outputs an imag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roof housing 300.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image must reach the display means 210 in the main housing 200, the output image is reflected to the display means 210 in front of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device 310, (320). At this time, the roof housing door 330 is configured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and the mirror 320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of housing 300.

상기 미러(320)의 경우,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출력된 영상을 아래쪽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과 유사하게 상기 루프 하우징(300) 전면 아래쪽에서 후면 위쪽으로 사선형태로 부설된다.In the case of the mirror 320, the loop housing 300 may be provid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display means 210 in order to transmit the image output from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to the display means 210 at the lower side. It is laid in an oblique line from the lower front to the upper rear.

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과 상기 미러(320)의 사선 각도는 동일할 수 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관람객에 따라 영상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However, the oblique angles of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mirror 3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so that the image can be proper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viewer.

상기 베이스 하우징(400)의 경우에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부(410)와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된 자료를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 전달 및 제어를 해주는 컨트롤부(4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400) 후면에는 상기 저장부(410)와 상기 컨트롤부(420)의 유지 보수 및 관리와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베이스 하우징 도어(430)를 구성한다.In the case of the base housing 400, a storage unit 410 for storing and managing images output from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and a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for stor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And a control unit 420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a base housing door 4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housing 400 to facilitate maintenanc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410 and the control unit 420.

여기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출력된 영상을 상기 관람객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출력된 영상이 상기 미러(320)에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에 도달한 후, 상기 쇼케이스(100) 전면에서 있는 관람객의 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은 하프 미러(320)(half mirror)로 구성이 된다.Here,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to the viewer is as follows. The image output from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is reflected by the mirror 320 and reaches the display means 210 and enters into the eyes of the viewer at the front of the showcase 100, And a half mirror 320 (half mirror).

상기 하프 미러(320)란,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도록 만들어진 거울로서, 거울 특성과 유리 특성을 겸하고 있다. 예컨대, 밝은 영역에서 하프 미러(320)를 통해 어두운 영역을 볼 경우에는 거울 특성, 어두운 영역에서 하프 미러(320)를 통해 밝은 영역을 볼 경우에는 유리 특성을 보여주며, 하프 미러(320)를 통해 어두운 영역에서 밝은 영역을 볼 수 있으나, 밝은 영역에서 어두운 영역은 볼 수가 없다. 또한, 하프 미러(320)를 중심으로 양측영역이 모두 밝을 경우에는 하프 미러(320)는 거울 특성과 유리 특성을 동시에 나타나며 두 영역이 동시에 표시된다.The half mirror 320 is a mirror made to reflect a part of light and transmit a part of it, and also serves as a mirror characteristic and a glass characteristic. For example, when a dark region is viewed through a half mirror 320 in a bright region, a mirror characteristic is shown. When a bright region is viewed through a half mirror 320 in a dark region, glass characteristics are shown. You can see bright areas in dark areas, but you can not see dark areas in bright areas. In addition, when both sides of the half mirror 320 are bright, the half mirror 320 simultaneously exhibits mirror characteristics and glass characteristics, and the two area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상기 하프 미러(320)의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쇼케이스(100)는 상기 전시공간(270)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전시물(240)에 조명(250)을 비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을 기준으로 상기 관람객쪽 보다 상기 전시물(240)쪽이 더 밝아 상기 관람객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은 유리 특성을 보이므로 상기 관람객들은 평소와 다름없이 상기 쇼케이스(100)에 있는 상기 전시물(240)을 관람할 수가 있다. The showcase 100 may display the illumination 250 on the display 240 located behind the display unit 210 in the exhibition space 270 by using the property of the half mirror 320, Since the display unit 210 is brighter than the viewer on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the glass characteristic around the viewer, the spectators can view the showcase 100 as usual, The display 240 can be viewed.

이때, 상기 전시물(240)을 비추고 있던 상기 조명(250)을 꺼버리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이용하여 상기 전시물(240)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을 기준으로 상기 관람객 쪽이 상기 전시물(240)쪽 보다 더 밝아 상기 관람객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은 거울 특성을 보이므로 상기 관람객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을 통해서 상기 전시물(240)을 보지 못하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시물(240)과 관련된 켄텐츠 영상만을 보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illumination 250 illuminating the display 240 is turned off and an image related to the display 240 is output using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The viewer is brighter than the exhibit 240 and the display means 210 exhibits a mirror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viewer so that the viewer can not view the exhibit 240 through the display means 210 Only the content image related to the exhibit 240 provided by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is viewed.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을 중심으로 양측이 모두 밝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이 거울 특성과 유리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므로 상기 관람객은 상기 전시물(240)과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시물(240)과 관련된 켄텐츠 영상을 동시에 보게 된다. Whe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210 are bright,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the mirror characteristic and the glass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viewer can see the display 240 and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image related to the display 240 provid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전시물(240)의 입체적인 모습, 상기 전시물(240)의 유래나 시대상, 재미있는 일화등 상기 전시물(24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관람객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10)을 통해서 실제의 상기 전시물(240)과 함께, 영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전시물(240)의 앞, 뒤, 측면 및 상, 하 모습 등의 입체적인 모습이나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함께 볼 수 있기에 관람 위치를 바꾸지 않아도 상기 전시물(240)의 다양한 모습뿐만 아니라 관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전시물(240)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Here, the content image may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 240 such as a stereoscopic view of the display 240, an origin of the display 240, an interesting anecdote, and the like. Therefore, the viewer can view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such as front, rear, side, top, and bottom views of the exhibit 240 provided with the image together with the actual exhibit 240 through the display means 210, It is possible to receive a great deal of help in understanding the exhibit 240 through various information of the exhibit 240 as well as related information without changing the viewing position.

또한, 상기 쇼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전면(前面)을 향하도록 설치된 센서부에서 상기 쇼케이스(100) 주변의 관람객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자동으로 ON/OFF하게 된다.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OFF 상태에서 상기 조명(250)을 상기 전시물(240)에 비추어 주면 멀리 있는 관람객에게 상기 전시물(240)이 눈에 띄게 된다. The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showcase 100 faces the front of the showcase 100 and senses approaching of the viewer around the showcase 100 to automatically turn on / off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 When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is turned off and the illumination unit 250 is illuminated on the display unit 240, the display unit 240 becomes noticeable to viewers who are far away.

아울러,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항상 켜놓게 될 경우 전기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는 ON/OFF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하겠다.In addition, when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is always turned on,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may be turned on / off because electric energy may be wasted.

이를 위해, 상기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100)에 근접하였을 때 감지를 하여야 하므로 상기 쇼케이스(100) 내부에서 전면을 향하여 상기 센서부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 열감지 센서 또는 동작감지 센서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성하면 된다.For this purpose, the user must detect when the viewer is close to the showcase 100, so that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facing the front of the showcase 100.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 thermal sensor, May be selectively used.

만약에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통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영상이 변화 없이 한 화면만 제공이 된다면, 일반 전시회에서 볼 수 있는 안내 패널과는 공간적으로 여유를 가질 수 있다는 정도의 차이만 존재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영상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변화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100) 주변 어딘가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눌러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변화를 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람객의 시선이나 행동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If the content image provided through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is provided without change, only a difference in degree of spac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guide panel visible in the general exhibition will be. Therefore, the content image provided through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can be variously changed. As a method for changing the content, the viewer presses a button installed somewhere around the showcase 10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detect changes in the line of sight or behavior of the viewer and to change the content image through the detection.

그래서 상기 쇼케이스(100) 내부 상측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부설되되, 상기 관람객이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전시물(240)의 정면 모습에서 측면모습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상기 전시물(240)의 유래에서 시대상으로 내용이 변화하기 위해, 상기 관람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인식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refore, when the viewer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contents image changes from a front view to a side view of the exhibit 240, or from the front view to the exhibit 240, And an operation recognizing unit 220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viewer to change the contents from the origin to the age of the viewer.

이때, 상기 동작인식부(220)는 간단하게는 위치식별장치에서 젠플라 또는 키넥트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otion recognizing unit 220 is simply composed of a genre or a key in a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한편, 앞서 설명한 젠플라(Genpla)란, 인간의 시각체계를 응용한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기초로 하지만, 그동안의 시간적 변이에만 적용하던 옵티컬 플로워 기법을 변형하여 스테레오 카메라의 공간적 변이에 적용한 것으로 캘리브레이션 없이 스테레오 매칭의 구현이 가능하며, 가장 최소한의 사전 정보를 활용하여 스테레오 매칭 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이며, 키넥트(Kinect)란, 콘트롤러 없이 이용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게임과 엔터테인먼트를 경험할 수 있는 엑스박스 360과 연결해서 사용하는 주변기기로, 2009년 6월 1일 E3에서 처음 "프로젝트 나탈(Project Natal)"이란 이름으로 발표했으며, E3 2010에서 공식 명칭인 '키넥트'를 발표하였다. 키넥트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모션 캡처로 플레이어의 동작을 인식하며, 마이크로 모듈로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Genpla described above is based on the stereo vision method applying the human visual system, but it is applied to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stereo camera by modifying the optical follow method applied only to the temporal variation during the time, Kinect is a device that can realize the matching and realize the stereo matching configuration by utilizing the least amount of prior information. Kinect is an Xbox 360 that can experience game and entertainment using the body of the user without a controller. It was first introduced as "Project Natal" on June 1, 2009 at E3, and announced the official name "Kinect" at E3 2010. It is a device that recognizes the player's motion by motion capture with a camera module installed, and recognizes the voice by a micro-module.

앞서 설명한 각 부분의 설명들을 종합하여, 상기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100)의 전시공간(270)에 전시되어 있는 상기 전시물(240)을 보러 올 경우 이루어 질 수 있는 상황을 예를 들어 상기 쇼케이스(100)를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A situation that can be achieved when the viewer comes to see the exhibit 240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270 of the showcase 10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showcase 100 ).

우선, 상기 쇼케이스(100)의 전시공간(270)에 전시되어 있는 상기 전시물(240)은 상기 조명(250)을 이용한 빛의 조사를 통해 돋보이게 되어 멀리에서도 상기 관람객의 눈에 띠게 될 것이며, 이때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는 작동이 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있을 것이다. 상기 관람객이 상기 전시물(240)을 보기위해 상기 전시물(240)이 전시되어 있는 상기 쇼케이스(100)에 다가 올 것이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100)에 근접함을 감지하고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의 작동을 준비하고 있다가 상기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100) 앞에 서서 상기 전시물(240)을 관람하게 되면,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에서 준비된 상기 전시물(240)과 관련된 정보가 담긴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The display 240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270 of the showcase 100 will be illuminated by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250 and will be visible to the viewer at a distance,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will be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can not operate. The viewer will come to the showcase 100 where the exhibit 240 is displayed to view the exhibit 240. The sensor unit senses that the viewer is close to the showcase 100 and prepares for operation of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10. The viewer stands in front of the showcase 100 to watch the display 240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provides an image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 240 prepared by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이때,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 영상 중에는 앞서 말했듯이 상기 전시물(240)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단면도 등 다양한 모습을 상기 전시물(240) 주변에 배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various contents such a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 rear view, a bottom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exhibit 240 are disposed around the exhibit 240, as mentioned above.

또한, 상기 관람객이 상기 전시물(240)의 좌측 혹은 우측면이 보고 싶어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몸을 기울이게 되면, 여러 가지 상기 컨텐츠 영상 중에서 상기 관람객이 이동하거나 몸을 기울인 쪽의 모습이 확대되어 상기 전시물(240) 우측면에 표현 되게 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좌측면의 모습도 보여줄 수 있으며, 평면, 저면, 배면의 모습도 상기와 같이 상기 관람객의 위치나 행동을 상기 동작인식부(220)가 인식한 후 그에 대응되는 모습을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통해 제공해 주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view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xhibit 240 or tilts the body of the exhibit 240, the view of the viewer moving or leaning among the various contents images is enlarged,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20 recognizes the position or behavior of the viewer as described above,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provides the corresponding state after the hologram contents are provided.

또한, 상기 관람객이 위치나 몸을 움직이지 않더라도 상기 관람객의 손이 가리키는 방향을 인식하여 원하는 방향의 모습을 제공해 줄 수도 있으며, 상기 관람객의 시선을 추적하여 상기 관람객이 보고자 하는 방향을 인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방향의 모습을 제공해 줄 수 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iewer does not move his / her body or body, he / she may recognize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hand of the viewer to provide a desired direction, or may follow the viewer's gaze to recognize the direction It can als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기 관람객의 몸짓, 손짓 혹은 시선을 추적하여 그에 대응하는 방향의 모습을 제공하듯,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 중에서 상기 전시물(240)에 관련된 정보(유래나 시대상, 관련 일화등)를 제공해 줄 경우, 상기 관람객이 상기 컨텐츠 영상 한 장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다 보고 읽을 경우 다음 장면으로 넘겨 새로운 정보를 주어야하는데, 종래에는 일정시간이 경과 후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럴 경우, 제공되는 시간을 길게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오히려 짧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한 장면의 정보를 다 본 후에는 상기와 같이 몸짓, 손짓 혹은 시선을 추적하고 인지하여 다음 장면으로 넘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 240 from the content images provided through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such as the gesture, hand gesture, or gaze of the viewer, When the viewer views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cenes of the contents image and reads the information, he or she must hand over the information to the next scene to give new information. Conventionally, In this case, some people may feel long to be provided, and others may feel shor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track the gesture, hand gesture, or gaze as described above, and then pass it to the next scene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scene provided by the content image is viewed.

그리고 크기가 작은 상기 전시물(240)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관람을 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쇼케이스(100)의 내부를 볼 수 있는 부분이 전면 한 곳뿐이었는데, 측면 및 후면까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만들게 되면 사방을 통해서 크기가 작은 상기 전시물(240)이더라도 한꺼번에 여러 명이 상기 전시물(240)을 중심으로 주변을 둘러싸서 관람을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the exhibit 240 having a small size, it is sometimes difficult for many people to view at o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ly one part of the inside of the showcase 100 can be seen. However, if the inside of the showcase 100 can be seen through the side and the rear, even if the exhibit 240 is small in size, A person can be surrounded around the exhibit 240 to watch the exhibition.

이상은 상기 메인 하우징(200)의 전면(前面)이 유리일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전면(前面)뿐만 아니라 측면 및 후면까지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유리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200 is made of glass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glass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can be seen.

즉, 상기 전면(前面)만 상기 유리를 사용한 상기 쇼케이스(100) 말고도 삼면이 상기 유리인 쇼케이스(100)와 사면이 상기 유리인 쇼케이스(100)도 구성이 가능하며, 이럴 경우 각면에 영상을 제공하는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각각 설치하거나 하나의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310)를 이용하여 삼면 내지 사면에 동일한 영상을 제공해 줄 수 있다.That is, the showcase 100, which is the glass, and the showcase 100, in which the slope is the glass,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the showcase 100 using the glass only as the front surface. In this case,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may be installed in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or may provide the same image on three or more slopes using on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310.

즉, 삼면 내지는 사면이 상기 유리로 구성된 상기 쇼케이스(100)의 경우 삼면 내지 사면이 동일한 영상을 제공하여 동시에 여러 사람들에게 동일한 영상을 제공해 줄 수 도 있지만, 삼면 내지 사면의 제공되는 영상이 각기 다르게 구성하되, 첫 번째 면은 상기 전시물(240)의 영상을 제공하며, 두 번째 면과 세 번째면(혹은 네 번째 면)은 상기 전시물(240)의 유래나 시대상등 상기 전시물(240)과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여서 상기 전시물(240)을 전시해 놓은 상기 쇼케이스(100)를 한 바퀴 돌게 되면 상기 전시물(240)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showcase 100 having three or more slopes made of the glas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image to three or more slopes at the same time and to provide the same image to a plurality of peopl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first surface provides an image of the exhibit 240 and the second and third surfaces (or fourth surface) provide images associated with the exhibit 240, such as the origin or age of the exhibit 240,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entire display 240 if the showcase 100 exhibiting the exhibit 240 is rotated on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쇼케이스
200 메인 하우징
210 디스플레이 수단
220 - 동작인식부
230 메인 하우징 도어
240 - 전시물
250 - 조명
260 전면유리
270 - 전시공간
300 - 루프 하우징
310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
320 - 미러
330 - 루프 하우징 도어
400 - 베이스 하우징
410 - 저장부
420 - 컨트롤부
430 - 베이스 하우징 도어
100 - Showcase
200 main housing
210 display means
220 -
230 Main housing door
240 - Exhibition
250 - Lighting
260 front glass
270 - Exhibition Space
300 - Loop housing
310 Hologram contents providing device
320 - Mirror
330 - Loop housing door
400 - Base housing
410 -
420 -
430 - Base housing door

Claims (4)

하우징 내부에 전시물이 전시 되어있는 닫혀진 전시공간이 구비된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쇼케이스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케이스 내부에서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를 통해 관람객이 상기 쇼케이스에 접근여부를 파악한 후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홀로그램을 이용한 입체적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 및
상기 전시공간에 전시되어 있는 상기 전시물의 전면에 부설되어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을 관람객에게 전달해주는 디스플레이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A showcase having a closed exhibition space in which exhibits are displayed inside a housing,
A hologram contents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content image using a hologram if the viewer reaches the close position after recognizing whether or not a viewer approaches the showcase through a sensor par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howcase and facing the front side from the inside of the showcase; And
A display unit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and transmitting an image provided by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to a viewer;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루프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루프 하우징 전면을 향해 출력한 영상을 상기 메인 하우징 전면 아래쪽에서 후면 위쪽으로 사선형태로 부설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반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루프 하우징 전면 아래쪽에서 후면 위쪽으로 사선형태로 부설된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main housing including the display means and a roof housing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and including the hologram contents providing device,
Wherein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s loca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image output from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roof housing to the display means, Further comprising a mirror attached obliquely from the bottom front to the rear top of the roof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컨텐츠 제공장치에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으로는 상기 전시물의 입체적인 모습, 유래, 발굴기록 내지 시대상을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mage provided to the hologra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s three-dimensionally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shape, origin, excavation record, and the like of the exhibit.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케이스 내부 상측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부설되되, 상기 관람객이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전시물의 정면 모습에서 측면모습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상기 전시물의 유래에서 시대상으로 내용이 변화하기 위해, 상기 관람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tents image is changed from a front view to a side view of the exhibit when the viewer moves from the center to the side, or the contents change from the origin of the exhibit to the time And an operation recognition unit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viewer.
KR1020140097935A 2014-07-31 2014-07-31 Showcase KR201600155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935A KR20160015559A (en) 2014-07-31 2014-07-31 Show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935A KR20160015559A (en) 2014-07-31 2014-07-31 Show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559A true KR20160015559A (en) 2016-02-15

Family

ID=5535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935A KR20160015559A (en) 2014-07-31 2014-07-31 Show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55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85B1 (en) * 2019-10-10 2020-05-12 주식회사 아이엠전시문화 Showcase displaying 3-dimension imag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4082391A1 (en) * 2021-04-29 2022-11-02 BSH Hausgeräte GmbH Cabinet with a holographic system
KR102539025B1 (en) 2022-08-04 2023-06-01 주식회사 비트리 Refrigerating Showcase Having Hologram Device And Hologram Display Method by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85B1 (en) * 2019-10-10 2020-05-12 주식회사 아이엠전시문화 Showcase displaying 3-dimension imag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4082391A1 (en) * 2021-04-29 2022-11-02 BSH Hausgeräte GmbH Cabinet with a holographic system
EP4082392A1 (en) * 2021-04-29 2022-11-02 BSH Hausgeräte GmbH Holographic system for a cabinet
KR102539025B1 (en) 2022-08-04 2023-06-01 주식회사 비트리 Refrigerating Showcase Having Hologram Device And Hologram Display Method by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5779B (en) A kind of 3D virtual interacting display platform and the method for showing 3D animation
CN102150072B (en) Broad viewing angle displays and user interfaces
US20120120203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tracking three-dimensional display unit and image processing device
US9753341B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ransparent electronic monitor including a polarized mirror in front of the monitor
WO2017015290A1 (en) Themed holograph theater
CN102144201A (en) Method of performing a gaze-based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interactive display system
CN102566049A (en) Automatic variable virtual foc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JP2001502071A (en) Projection system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display image on an image display device
US11428952B2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
JP5939603B1 (en) Door with mirror and video display function
CN102314068A (en) Holographic phantom imag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15559A (en) Showcase
RU2653560C1 (en) Holographic projector-b
US6964487B2 (en) Image display device
CN205645148U (en) Transparent interactive show cupboard
US67670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hysical objects in space
US10873735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d displaying object, and object identifying method thereof
KR20190092806A (en) Display system using depth camera
CN106814532A (en) A kind of 270 degree of line holographic projections showcases
JP2022515608A (en) Systems and / or methods for parallax correction in large area transparent touch interfaces
KR2014010970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teractive image using transparent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interactive image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WO19960359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images in a three-dimensional setting without using lenses
JP5817407B2 (en) Display device
CN202584669U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TW201710744A (en) 360-degree multi-view 3D image device capable of allowing a viewer to see a complete 3D image of the image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