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88A -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88A
KR20160015488A KR1020140097418A KR20140097418A KR20160015488A KR 20160015488 A KR20160015488 A KR 20160015488A KR 1020140097418 A KR1020140097418 A KR 1020140097418A KR 20140097418 A KR20140097418 A KR 20140097418A KR 20160015488 A KR20160015488 A KR 2016001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coordinate point
client
serv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현우
김복기
서성기
시대복
신승식
김태완
박보성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4009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488A/en
Publication of KR2016001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ccuracy management for a structure,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system for accuracy management for a structure uses a network when constructing a structure to easily and quickly check a construction error between a design drawing and the actual structure at a site. The system for accuracy management for a structure comprises: a design client to generate a design coordinate point on a design drawing of a structure; a server to which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s uploaded from the design client; and a site client to downloa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upload a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measured on the actual structure at a site to the server.

Description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정도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uracy management system, a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정도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시공 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계 도면과 현장의 실제 구조물 간의 시공 오차를 쉽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정도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a structure, a quality control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is stored. More specifically, A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structure, a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일반적으로, 건축, 토묵 및 플랜트 분야의 구조물은 시공 시 먼저 설계 도면을 작성한 후 설계 도면에 따라서 건축 부재의 조립 및 설치가 이루어지며, 각각의 건축 부재는 현장에서 제작되거나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후 현장에서 설치된다. Generally, in construction, touc and plant, the construction drawings are first created and then the building members are assembl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s. Each building member is manufactured in the field or manufactured in advance at the factory, Lt; / RTI >

그러나,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건축 부재는 설계 도면을 따라 제작 및 시공하더라도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조립되므로, 시공 오차가 발생하여 설치 위치 및 치수가 왜곡되어 실제 설계와는 다르게 시공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building member for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s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since the construction member is manually assembled by the human force, a construction error occurs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dimensions are distorted, so that the construction member can be construct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design.

또한, 시공 오차를 보정하지 않고 구조물의 시공을 계속 진행하게 되면, 시공 오차의 누적으로 인해 추가적인 건축 부재의 조립이 어렵게 되고 설계 도면과 다른 구조물이 시공되게 된다.Further, if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s continued without correcting the construction errors, it is difficult to assemble additional building members due to accumulation of the construction errors, and construction drawings and other structures are constructed.

따라서, 종래에는 구조물의 시공 시 작업자가 설계 좌표에 따라 실제 현장을 측량하여 시공 오차를 확인하여야 했다. 즉, 현장에서 측량된 측량 좌표와 설계 좌표를 작업자가 일일이 비교 및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Therefore, in the past,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was performed, the worker had to measure the actual site according to the design coordinates and check the construction error. In other words, the operator must compare and confirm the measurement coordinates and design coordinates measured in the field.

특히, 시공 오차의 확인을 위해 작업자는 측량을 하면서 설계 좌표에 대응하는 측량 좌표를 일일이 비교하고 그 편차를 직접 계산하여야 하므로, 시간의 소모가 크고 측량 효율 및 생산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Particularly, in order to confirm the construction error, the operator compares the measuremen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design coordinates individually while performing the survey, and directly calculates the deviation. Therefore, the time consuming is large and the measurement efficiency and production efficiency are reduced.

또한, 측량을 수행하는 작업자 이외에는 설계 좌표 및 측량 좌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구조물에 대한 측량 데이터가 현장 내 작업자들 간의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confirm information on design coordinates and measurement coordinates other than the worker performing the surve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vey data on the structure can not be shared among workers in the fiel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설계 도면과 현장에서 시공되는 실제 구조물 간의 시공 오차를 쉽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측량 데이터 및 시공 오차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현장 내 작업자들 간의 공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정도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and quickly check the construction error between a design drawing and an actual structure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to construct a database on surveying data and construction error data,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is stor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는 설계 클라이언트;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이 업로드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설계 좌표점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설계 좌표점을 기준으로 하여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된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현장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ign client for generat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in a design drawing of a structure; A server for uploa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design client; And a field client for downloa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uploading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measured in an actual structure on the site to the server based 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다운로드한 후,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ign client download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설계 좌표점 생성 시, 기설정된 아이디 체계에 따라 각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를 부여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ign client assigns an ID of each design coordinate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D system when generat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체계는 설계 좌표점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ID scheme is sequentially numbered according to the order of creation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체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에서 상기 설계 도면 상 위치, 생성월일 및 생성 순서가 표시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ID system displays the position in the design drawing, the creation date, and the creation order in the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설계 좌표점에 대응하는 측량 좌표점은 서로 동일한 아이디로 매칭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esign coordinate points are matche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I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설계 좌표점과 측량 좌표점을 자동연결하여, 좌표 간의 편차를 비교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ign client automatically coupl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having the same ID, and compares the deviation between the coordinat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이미지로 표시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ign client displays, as an image, a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or determining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숫자로 표시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ign client displays the number of deviations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numerical form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sign client comprises a personal compute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PDA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eld client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DA.

또한, 본 발명은 설계 클라이언트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가, 상기 설계 도면에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측량 좌표점과 상기 설계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시공 오차를 계산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installed in a design client is stored, wherein the design client caus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o be generated in the design drawing,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between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to calculate the construction error.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게 하고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하며,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게 하고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loaded on a server is stored, wherein the server receiv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design client and stores it in a database, To the on-site client, receiving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rom the on-site client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design client when requested by the design client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또한, 본 발명은 현장 클라이언트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을 다운로드하여 화면에서 표시하게 하고,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되는 측량 좌표점을 입력받아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installed in a field client is stored, wherein the field client download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on a screen, And uploading the program to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은 (1)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2)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량 좌표점을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3)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을 제공한다.(1) creat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on a design drawing of a structure and uploa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o a server; (2) measuring coordinate points in an actual structure of the site and uploading the measured coordinate points to the server; And (3)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아이디 및 번호를 부여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1) sequentially assigns an ID and a number according to the order of generation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에서 상기 설계 도면 상 위치, 생성월일 및 생성 순서가 표시되게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1) causes the design drawing position, the creation date, and the creation order to be displayed in the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측정되는 측량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에 대응하는 설계 좌표점은 서로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measur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have the same I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는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설계 좌표점과 측량 좌표점을 자동연결하여 각 좌표 간의 편차를 비교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3), the design coordinate point having the same ID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re automatically connected 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ordinates is compar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이미지로 표시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3) displays, as an image, a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숫자로 표시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3) displays, as a number, a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or determining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quality of a structure is stored.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설계 도면에서 생성된 설계 좌표점과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된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구조물의 시공 오차가 판별하는 설계 클라이언트가 구비되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the design client for determining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structure is provid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generated in the design drawing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measured in the actual structure in the field,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structure can be discriminated.

또한, 본 발명은 설계 클라이언트과 현장 클라이언트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에 연결될 서버를 통해서 설계 좌표점 및 측량 좌표점을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므로, 위치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계 좌표점 또는 측량 좌표점을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Also, since the design client and the site client ar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hrough the server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nternet network,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esign coordinate point or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time Can be received.

또한, 서버로 전송된 설계 좌표점, 측량 좌표점 및 시공 오차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현장 내 작업자들이 필요 시 언제든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nd the construction error transferred to the server are stored in the datab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orkers in the field can check and connect to the server at any time if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설계 도면에 생성되는 설계 좌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설계 클라이언트의 좌표점 전송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시공 오차의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현장 클라이언트의 좌표점 전송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generated in a design drawin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ordinate point transmission screen of a design cli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alysis results of a construction error.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ordinate point transmission screen of a site cli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quality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center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설계 도면에 생성되는 설계 좌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설계 클라이언트의 좌표점 전송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시공 오차의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현장 클라이언트의 좌표점 전송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generated in a design drawing,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transmission of a design cl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alysis results of a construction error,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rdinate point transmission screen of a site cli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은, 구조물의 정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설계 도면과 실제 현장에서 시공되는 구조물 간의 시공 오차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설계 클라이언트(100), 서버(200) 및 현장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a 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fficiently performing quality control of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error between a design drawing and an actual construction site And includes a design client 100, a server 200, and an on-site client 300. The design client 100, the server 200,

여기서, 상기 구조물은 예컨대, 건축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설계 도면을 기준으로 건축 부재를 조립 및 설치하는 현장에서 상기 건축 부재의 설치 위치 및 치수를 측량하여 시공 오차를 보정하여야 하는 토목 분야 및 플랜트 분야 등의 다양한 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may be, for example, an architectural structure.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plant field in which the construction error is corrected by measur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dimension of the building member in the site where the building member is assembled and installed based on the design drawing And the like.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설계 도면을 작성하는 사무실 등에 구비되고, 상기 서버(20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구조물이 실제 시공되는 현장에 구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design client 100 is provided in an office for creating a design drawing, and the server 200 is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It will be installed in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퍼스널 컴퓨터 및 노트북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비되며, 또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컴퓨터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client 10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computer devices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and a notebook computer, and also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means for executing instructions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memory have.

또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PDA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구조물이 실제 시공되는 현장 내 작업자가 휴대 및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site client 300 may be a mobile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DA. In particular, the on-site client 300 may be a mobile device carried and used by an on-site worker in which the structure is actually instal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설계 도면, 예컨대, 3D 모델링된 설계 도면에 설계 좌표점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설계 좌표점은 복수 개로 생성되며, 각각의 설계 좌표점은 상기 구조물 또는 건축 부재에 대한 주요 측량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The design client 100 generates a design coordinate point for a design drawing for the structure, for example, a 3D modeled design drawing. At this time,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are generated in a plurality, and each design coordinate point may represent a main survey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r building member.

실질적으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및 시공 오차의 판별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설계 도면에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서버(200)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측량 좌표점과 상기 설계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시공 오차를 계산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In practice, the design client 100 may store a program for generat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determining a construction error. In addition, the program causes the design client 100 to generat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n the design drawing,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0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o perform the function of calculating the error.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설계 도면에 설계 좌표점(10)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설계 좌표점(10)을 정확한 위치에 생성하기 위하여 오토 스냅(auto snap)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설계 도면에서 끝점, 중간점, 중심점 및 교차점 등을 자동으로 선택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design client 100 may generate a design coordinate point 10 in the design drawing. At this time, in order to generat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10 at an accurate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select the end point, the intermediate point, the center point, and the intersection point in the design drawing by using an auto snap function.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시 기설정된 아이디 체계에 따라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를 부여하여, 상기 설계 좌표점의 구별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design client 100 assigns the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D system upon creation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hereby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아이디 체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가 부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 체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에서 상기 설계 도면 상 위치, 생성월일 및 생성 순서가 표시되게 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ID system may be sequentially numbered according to the order of generation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In addition, the ID system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position, the creation date, and the creation order in the design drawing at the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한 후 설계 좌표 리스트 또는 설계파일로 취합하여 상기 서버(200)에 업로드하며,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서 업로드된 설계 좌표 리스트 또는 설계파일, 즉, 상기 설계 좌표점은 상기 구조물이 시공되는 현장에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client 100 generat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collects the design coordinate list into a design coordinate list or a design file, uploads the design coordinate list to the server 200, and transmits the design coordinate list or design file uploaded from the design client 100 That i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may be downloaded via the field client 300 at the site where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서는 상기 설계 좌표점 및 상기 측량 좌표점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전송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design client 1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unit 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의 전송부(110)는, 상기 설계 좌표점 또는 상기 설계 좌표점을 포함하는 측량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수단(111),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 또는 상기 설계 좌표점을 포함하는 설계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수단(112) 및 IP 설정과 같은 옵션 변경을 위한 설정수단(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110 of the design client 100 may include means 111 for uploading a survey file inclu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or the design coordinate point, Means 112 for downloading a design file inclu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setting means 113 for changing an option such as IP setting.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에서 입력된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상기 설계 좌표점을 비교분석하여 시공 오차를 판별한다.Also, the design client 100 download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put from the field client 300 from the server 200,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 예컨대, 좌표점의 x축, y축 및 z축의 편차를 계산하여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하고 분석 결과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하거나, 설계 도면에 이미지로서 표시할 수 있다.4, the design client 10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or example, the deviation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coordinate point, The construction error can be identified and the analysis result can be displayed in numbers or letters, or displayed as an image in the design drawing.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서 상기 시공 오차의 판별 시,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설계 좌표점과 측량 좌표점을 자동연결하여 각 좌표 간의 편차를 비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design client 100 determines the construction error, the design client 10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design coordinate point having the same ID with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nd compare the deviation between the coordinates.

또한,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서 분석되는 분석 결과는,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analyzed by the design client 100 for determining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of a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또한, 상기 이미지는 형상, 색상 또는 길이로서 상기 편차를 표시하여, 상기 시공 오차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기설정된 오차 기준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색상을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는 상기 시공 오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특정 색상 또는 특정 형상으로 나타나게 된다.Further, the image displays the deviation as a shape, a color, or a length, so that the construction error can be perceived intuitively. In addition, the design client 100 may adjust the color of the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rror criterion. For example, the image is displayed as a specific color or a specific shape when the construction err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다른 예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 즉, 시공 오차를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esign client 100 may display the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hat is, the construction error as a number.

또 다른 예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좌표, 상기 측량 좌표점의 좌표 및 상기 시공 오차를 모두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sign client 100 may display the coordinates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he coordinates of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nd the construction error as numbers or letters.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서 계산된, 상기 시공 오차는 상기 서버(200)에 업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error calculated by the design client 100 may be uploaded to the server 200 and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과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 및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에서 업로드된 상기 설계 좌표점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고,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한다.The server 200 relays and stores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design client 100 and the site client 300. The server 200 stor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uploaded from the design client 100 in a database, And transmit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field client 300 upon request of the field client 300. [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고,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receive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rom the on-site client 300 and store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upon request of the design client 100 to the design client 100 ).

실질적으로, 상기 서버(200)에는 상기 설계 좌표점 및 상기 측량 좌표점의 전송 및 저장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200)가,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게 하고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게 하며,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게 하고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In practice, the serv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addition, the program may cause the server 200 to receiv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design client 100 and to stor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n the database, and to transmit the design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on-site client (300), receive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rom the on-site client (300) and store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mobile terminal 100 via the network.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는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된 측량 좌표점을 업로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설계 좌표점을 다운로드한 후 상기 설계 좌표점을 기준으로 현장에서 측정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서버(200)로 업로드한다.The site client 300 is for uploading a measured coordinate point measured in an actual structure of the site, and download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200, and then, based 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uploads coordinate points to the server 200.

실질적으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측량 좌표점의 측정을 위한 광파 측정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파 측정기에서 측정된 좌표를 상기 측량 좌표점으로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practice, the field clien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optical wave measuring device for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by wire or wirelessly, and receive the coordinates measured by the optical wave measuring device at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또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서버(200)에서 다운로드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상기 광파 측정기로 전송하여, 상기 광파 측정기가 측량할 위치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te client 300 may transmit the design coordinate point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optical wave measuring device to provide a referen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to be measured by the optical wave measuring device.

또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설계 좌표점에 대응하는 측량 좌표점을 입력받을 시, 각각의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와 동일하게 상기 측량 좌표점의 아이디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설계 좌표점에 대응하는 측량 좌표점은 서로 동일한 아이디로 매칭된다.When receiving the surveying coordinate point corresponding to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he field client 300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ID of the surveying coordinate point in the same manner as the ID of each designing coordinate point. That i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re matche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ID.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에는 상기 설계 좌표점 및 상기 측량 좌표점의 전송을 위한 프로그램(310)이 구비되며,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300)가,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을 다운로드하여 화면에서 표시하게 하고,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되는 복수의 측량 좌표점을 입력받아 상기 서버(200)로 업로드하게 된다.Actually, as shown in FIG. 5, the on-site client 300 is provided with a program 310 for transferr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measured in an actual structure on the site are input and uploaded to the server 200.

또한, 상기 프로그램(31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 또는 상기 설계 좌표점을 포함하는 설계파일을 전송받기 위한 다운로드수단(311), 상기 측량 좌표점 또는 상기 측량 좌표점을 포함하는 측량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업로드수단(312) 및 IP 설정과 같은 옵션 변경을 위한 환경설정수단(31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gram 310 may include download means 311 for receiving the design file inclu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or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200, a measurement point including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or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n uploading means 312 for transmitting a survey file, and a configuration means 313 for changing an option such as an IP sett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quality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managing the quality of a structure performed in a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서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설계 도면의 복수 위치에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며, 상기 설계 좌표점은 설계 좌표 리스트 또는 설계파일로 취합될 수 있다(S100).First, a design coordinate point is generated in a design drawing of a structure, where the design client creat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design drawing,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can be collected into a design coordinate list or a design file (S100).

한편, 상기 구조물의 설계 도면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계 도면을 작성하는 과정이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계 도면은, 예컨대, 공지된 캐드 툴을 이용하여 3D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도면의 위치와 방향을 현장의 위치 및 방향에 적합하도록 이동 및 회전시킨 후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design drawing of the structure is not provided, the process of creating the design drawing may be performed first. In addition, the design drawing can be 3D modeled using, for example, a known CAD tool. In addi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design drawing can be stored after being moved and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ite.

또한, 상기 설계 좌표점은 상기 구조물에 대한 주요 측량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상기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건축 부재의 설계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represents a main survey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may be designed to indicate the design dimension of the building membe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또한,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시 각각의 설계 좌표점이 생성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아이디 및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에는 상기 설계 도면 상 위치, 생성월일 및 생성 순서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Ds and numbers may be sequentially given in the order in which the respective design coordinate points are generated wh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are generated. In addition, the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may be displayed in the design drawing, the creation date, and the creation order.

또한, 상기 설계 좌표점 또는 상기 설계 좌표점을 포함하는 설계파일은 생성된 후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에 연결된 서버로 업로드된다.In addition, the design file inclu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or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s generated and uploaded to a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nternet network.

다음,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량 좌표점이 측정된다(S200).Next,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s measured in the actual structure of the site (S200).

이때, 현장 클라이언트는 상기 측량 좌표점의 측정을 위해, 상기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설계 좌표점을 먼저 다운로드하여 측량 위치의 기준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상기 설계 좌표점이 표시되거나,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와 연결된 광파 측정기로 상기 설계 좌표점이 전송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ite client first download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uploaded to the server for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nd us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s a reference of the measurement location. In additi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field client, or the design coordinate point may be transmitted to a light wave meter connected to the field client.

또한, 상기 측량 좌표점은, 예컨대, 상기 광파 측정기에서 측정되어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로 입력된 좌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측량 좌표점에 대응하는 설계 좌표점은 서로 동일한 아이디를 갖도록 구비된다.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may be, for example, a coordinate measured by the light wave meter and input to the field client, and design coordinate points corresponding to each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ID.

또한, 상기 측량 좌표점은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서버로 업로드되어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다.Further,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s uploaded to the server by the field client and stored in the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에서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한 후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측정하는 것으로 개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측정한 후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거나,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는 과정과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측정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s generated in the design drawing of the structure and then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s measured in the actual structure of the site. However,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n the design drawing of the structure after measuring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the actual structure in the field or generat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n the design drawing of the structure, And a process of measuring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the actual structure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다음,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하게 된다(S300).N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s analyzed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S300).

이때에는,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다운로드한 후 상기 시공 오차의 판별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계 좌표점 및 상기 측량 좌표점은 서로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각각의 설계 좌표점과 측량 좌표점이 자동연결되어 좌표 간의 편차가 비교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design client download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performs the determination of the work error. In additi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re automatically connected to each design coordinate point having the same ID, 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coordinates is compared.

또한, 상기 좌표 간의 편차, 즉, 시공 오차는 숫자, 문자 또는 이미지로서 표시되어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편리하게 판별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deviation between the coordinates, that is, the construction error, is displayed as a number, a character or an image so that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can be easily determined.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공 오차를 이미지의 색상 또는 형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에서 분석된 시공 오차는 상기 서버로 업로드되어 상기 서버에서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client may display the construction error by color or shape of the image, or may display the construction error by a number or letter. Also, the construction error analyzed by the design client may be uploaded to the server and stored in the server.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은 설계 도면의 설계 좌표점과, 현장에서 측정된 측량 좌표점을 자동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시공 오차를 판별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정도관리를 체계화, 표준화 및 자동화할 수 있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측량 관리 및 시공 오차의 분석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aging the quality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mpare and analyz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of a design drawing and a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n the field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Standardization, and auto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iciently perform the analysis of the survey management and the construction error in the fiel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설계 클라이언트
200 : 서버
300 : 현장 클라이언트
100: Design Client
200: Server
300: Field Client

Claims (22)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는 설계 클라이언트;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이 업로드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설계 좌표점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설계 좌표점을 기준으로 하여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된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현장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A design client for generat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in a design drawing of a structure;
A server for uploa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design client; And
And a field client for download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uploading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measured in an actual structure on the site to the server based o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다운로드한 후,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client downloads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복수의 설계 좌표점 생성 시, 기설정된 아이디 체계에 따라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sign client assigns the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D system when generating the plurality of design coordinate point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체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D system is sequentially numbered according to the order of generation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체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에서 상기 설계 도면 상 위치, 생성월일 및 생성 순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D system displays a position, a creation date, and a creation order in the design drawing at an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좌표점에 대응하는 측량 좌표점은 동일한 아이디로 매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are matched with the same I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설계 좌표점과 측량 좌표점을 자동연결하여, 각 좌표 간의 편차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sign client automatically connect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having the same ID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nd compares the devia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ordina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client displays a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s an image for determining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숫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client displays, as a number, a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for determining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client comprises a personal 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PD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te client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DA.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설계 클라이언트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가, 상기 설계 도면에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측량 좌표점과 상기 설계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시공 오차를 계산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2.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installed in the design client of any one of claims 1 to 11 is stored,
The program causing the design client to generate the design coordinate point in the design drawing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to calculate the construction error Stored recording medium.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서버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게 하고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설계 좌표점을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하며,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측량 좌표점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게 하고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의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측량 좌표점을 상기 설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installed in a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s stored,
The server receive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design client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and send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on-site client upon request of the on-site client, And to transmit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design client upon request of the design client.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현장 클라이언트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현장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설계 좌표점을 다운로드하여 화면에서 표시하게 하고,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정되는 측량 좌표점을 입력받아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2.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installed in a field client of any one of claims 1 to 11 is stored,
Wherein the site client downloads the design coordinate point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nd receives a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measured in an actual structure on the site and uploads the coordinate point to the server.
(1) 구조물의 설계 도면에 설계 좌표점을 생성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2) 현장의 실제 구조물에서 측량 좌표점을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3)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 creating a design coordinate point on a design drawing of a structure and uploading the coordinate point to a server;
(2) measuring coordinate points in an actual structure of the site and uploading the measured coordinate points to the server; And
(3)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아이디 및 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1) includes sequentially assigning an ID and a number according to the order of generation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s.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의 아이디에서 상기 설계 도면 상 위치, 생성월일 및 생성 순서가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 the step (1), a position, a creation date, and a creation order are displayed in the design drawing at an ID of the design coordinate poin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측정되는 측량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에 대응하는 설계 좌표점은 서로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measured in the step (2) and the design coordinate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have the same ID.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설계 좌표점과 측량 좌표점을 자동연결하여 좌표 간의 편차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ep (3) includes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design coordinate point having the same ID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to compare deviations between the coordinate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3) displays the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as an imag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실제 구조물의 시공 오차 판별을 위해, 상기 설계 좌표점과 상기 측량 좌표점 간의 편차를 숫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eviation between the design coordinate point and the measurement coordinate point is expressed as a number in order to determine a construction error of the actual structure.
제 15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물의 정도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22.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quality control method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1 is stored.
KR1020140097418A 2014-07-30 2014-07-30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600154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18A KR20160015488A (en) 2014-07-30 2014-07-30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18A KR20160015488A (en) 2014-07-30 2014-07-30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88A true KR20160015488A (en) 2016-02-15

Family

ID=5535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418A KR20160015488A (en) 2014-07-30 2014-07-30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4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600A (en) * 2018-03-30 2019-10-10 한국원자력연구원 3d environment awareness system and nuclear facility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600A (en) * 2018-03-30 2019-10-10 한국원자력연구원 3d environment awareness system and nuclear facility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86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amlessly communicating state between user interface devices in a mobile control room
US20170230930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mission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10324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process control hardware
EP2598955B1 (en)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 with integration to external software application
US10459418B2 (en) Technology for assessing and presenting field device commissio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rocess plant
CN106249707B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JP2021535511A (en) Methods and systems to digitally track and monitor the automotive refinish repair process
KR20150138958A (en) N f c based plant management system
US10789556B2 (en) Self control
KR20160015488A (en) Accu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7343253B2 (en) Technology for evaluating and presenting field device commissio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rocess plants
JP6370320B2 (en) Equipment management support system, equipment management support method,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JP2018081713A (e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information gathering terminal device, information gathering server device, and information gathering method
EP4254288A1 (en)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JP2019197449A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tag name verification method
US20220405672A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facilit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JP7088720B2 (en) Surveying instruments and surveying systems
KR20220011071A (en) Augmented Reality-Based Non-face-to-face Technical Suppor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200053979A (en) Block distor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otal-station network
KR20110094757A (en)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design drawing based on a constructi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CN114510035A (en) Robot remote survey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190296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2015001783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7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28

Effective date: 201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