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13A -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13A
KR20160015413A KR1020140096973A KR20140096973A KR20160015413A KR 20160015413 A KR20160015413 A KR 20160015413A KR 1020140096973 A KR1020140096973 A KR 1020140096973A KR 20140096973 A KR20140096973 A KR 20140096973A KR 20160015413 A KR20160015413 A KR 2016001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tag
information
databas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474B1 (ko
Inventor
박희란
Original Assignee
박희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란 filed Critical 박희란
Priority to KR102014009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4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tion)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를 이용한 민원인의 간편한 신고 접수 및 실시간 전력량 분석을 통한 고장 보안등 자동 식별 방식의 2중 적용을 통해, 고장 보안등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안등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보안등;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부착되며, NFC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 상기 각각의 보안등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파악하기 위한 전력량계;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대해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보안등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전력량 데이터베이스; 상기 보안등 신고용 태그에 대한 판독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응답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통신서버; 및 상기 전력량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상기 보안등에 대한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관리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reet lamps}
본 발명은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tion)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를 이용한 민원인의 간편한 신고 접수 및 실시간 전력량 분석을 통한 고장 보안등 자동 식별 방식의 2중 적용을 통해, 고장 보안등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력범죄의 발생이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가 차원의 다양한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고 사설 경비업체 또는 경호업체 등의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범죄 발생 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대응책은 범죄 취약 시간에 대한 순찰 강화 및 범죄 취약 지역의 최소화 등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가운데 범죄 취약 지역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대책으로는 방범등이나 CCTV 등의 설치를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적에 의해 설치되는 방범등은, 설치 비용도 작지 않지만 이에 대한 유지보수에도 많은 인력과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장난 보안등에 대한 신속한 파악과 대처는 결과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설비를 통한 고장 보안등의 자동 파악 및 시민들의 간편한 고장 신고 기능이라는 2중의 장치를 통해, 최대한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장 보안등의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보안등의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7410호(발명의 명칭: 보안등 원격제어/고장검출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9594호(발명의 명칭: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NFC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를 이용한 민원인의 간편한 신고 접수 및 실시간 전력량 분석을 통한 고장 보안등 자동 식별 방식의 2중 적용을 통해, 고장 보안등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등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보안등;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부착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 상기 각각의 보안등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파악하기 위한 전력량계;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대해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보안등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전력량 데이터베이스; 상기 보안등 신고용 태그에 대한 판독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응답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통신서버; 및 상기 전력량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상기 보안등에 대한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관리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량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다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의 전력 사용량을 갖는 보안등을 검출하고, 해당 내용을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상기 다수의 보안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해 상위 1 내지 10% 및 하위 1 내지 10%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 평균값(trimmean)의 5 내지 30% 범위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보안등의 관리번호, 관리 담당자, 주소 정보 또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및 고장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등 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 담당자로부터 처리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사건 종료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보안등에 대해 NFC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가 제공되는 태그 제공 단계;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대해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 상기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를 통해 파악된 상기 각각의 보안등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 상기 태그 제공 단계를 통해 제공된 상기 보안등 신고용 태그에 대한 판독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응답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통신 단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 또는 상기 통신 단계를 통해 상기 보안등에 대한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보안등 관리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이상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등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는, 상기 다수의 보안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해 상위 1 내지 10% 및 하위 1 내지 10%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 평균값의 5 내지 30% 범위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의 전력 사용량을 갖는 보안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담당자로부터 처리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사건 종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NFC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를 이용한 민원인의 간편한 신고 접수 및 실시간 전력량 분석을 통한 고장 보안등 자동 식별 방식의 2중 적용을 통해, 고장 보안등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고장 보안등에 대한 시의적절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함은 물론, 야간이나 새벽 시간의 상시적 안전 확보를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장점 제공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많은 보안등에 대해 최소의 유지보수 비용으로 최대한 효율적인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회적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는 등의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보안등 및 이에 부착되는 식별정보 태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적용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는 이에 적용되는 보안등 및 이에 부착되는 식별정보 태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보안등(110), 통신서버(120),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 전력량 데이터베이스(140) 및 관리서버(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보안등(110)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T)를 포함하는 식별표(115)가 부착될 수 있다. NFC란 0.2미터 이내의 근거리무선통신기술로써, 전자 지불, 파일 전송은 물론 스마트폰이 지정된 동작을 자동 수행하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며, 우수한 보안성 등의 이유로 인해 점차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그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NFC 태그 식별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즉, 지역 주민 등의 일반인이 고장난 보안등을 발견하는 경우 휴대중인 스마트폰으로 보안등(110)에 부착된 태그(T)와 접촉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해당 보안등에 대한 고장 신고가 접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세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가 관리 담당자에게 실시간 통지됨으로써 최대한 신속하게 조치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을 통해 태그(T) 접촉에 의한 보안등(110) 고장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시스템은 통신서버(120) 등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의 사용자에게 접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SMS 등을 발송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접수 완료 통지에는 접수 번호, 접수 시각 및 담당자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시스템에는 수많은 보안등(110)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가 구비되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각각의 보안등(110)에 대한 관리번호, 관리 담당자, 보안등의 주소 정보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및 고장 이력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어, 일반 시민이 스마트폰을 통해 보안등(110)의 고장 접수를 하는 경우 전송되는 간단한 식별 정보만으로 해당 보안등(110)에 대한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의 확인 및 관리 담당자 지정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고장 신고에 의해 현장을 방문한 관리 담당자 등의 경우, 해당 보안등(110)의 태그(T)와의 접촉을 통해 관리자 모드로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 도착 확인이나 수리 등의 조치 완료 확인과 같은 정보 입력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각의 보안등(110)에는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파악하기 위한 전력량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전력량계를 통해 파악된 각각의 보안등(110)의 전력 사용량 정보는 통신망과 통신서버(120)를 통해 전력량 데이터베이스(140)로 전송된다.
전력량 데이터베이스(140)는 다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의 전력 사용량을 갖는 보안등(110)을 검출하고, 해당 내용을 관리서버(15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하여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기준치에 비해 전력 사용량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보안등(110)을 이상 발생 보안등으로 간주하고 이를 관리서버(150)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서버(150)가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보안등(110)의 관리 담당자에 의한 현장 조치 등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는, 다수의 보안등(110)으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해 상위 1 내지 10% 및 하위 1 내지 10%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 평균값(trimmean)의 5 내지 30% 범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전력량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해 수집 관리되는 전력량 데이터에 대해 관리서버(150)가 정보의 비교 분석 등을 통해 이상 발생 보안등(110)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양자가 상이한 구성이 아니라 결과적으로 동일한 구성임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관리서버(150)는 통신서버(120),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 및 전력량 데이터베이스(140) 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스마트폰을 통한 보안등(110)의 고장 접수 또는 전력량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한 고장 파악 등의 상황 발생시 해당 내용을 보안등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하여 관리하고, 이에 대한 조치 완료 보고가 접수되는 경우 다시 이를 기록함으로써 사건을 종료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130, 140)를 갱신하며, 보안등 고장과 같은 상황의 발생부터 종료까지 전과정을 관리한다.
통신서버(120)가 신고자의 스마트폰과의 통신, 전력량계와의 데이터 전송 및 관리 담당자와의 통신 등과 관련된, 시스템 전반의 다양한 유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NFC 태그 위주로만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NFC 태그 이외에 QR코드 태그를 포함하는 통상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어떠한 인식 기술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이에 적용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관리 방법은, 태그 제공 단계(S310),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S320), 전력 사용량 분석 단계(S330), 통신 단계(S340) 및 이상 신호 처리 단계(S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태그 제공 단계(S310)는, 다수의 보안등에 대해 NFC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 등으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가 제공되는 단계로써, 이와 같은 태그는 통상 도 2의 식별표(115)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안등 신고용 태그는, 지역 주민 등의 일반인이 스마트폰을 통해 이와 접촉하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해당 보안등에 대한 고장 신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S320)는 전력량계 등을 통해 각각의 보안등에 대해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이며, 전력 사용량 분석 단계(S330)를 통해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S320)에서 파악된 각각의 보안등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S330)는, 다수의 보안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해 상위 1 내지 10% 및 하위 1 내지 10%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 평균값의 5 내지 30% 범위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S410)와, 다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의 전력 사용량을 갖는 보안등을 검출하는 단계(S420) 등으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체 보안등의 평균 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준치를 설정한 다음, 일정 시간 동안 기준치 범위를 벗어나는 전력 사용량을 나타낸 보안등에 대해 고장 보안등으로 간주하고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상(異常) 발생 보안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신 단계(S340)는, 태그 제공 단계(S310)를 통해 제공된 보안등 신고용 태그에 대한 판독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고 아울러 이에 대응되는 응답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과정으로, 통신 단계(S340)를 통해 고장 신고가 접수되면 보안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된 관리 담당자에게 해당 보안등의 정확한 위치 정보 등을 실시간 자동 통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異常) 신호 처리 단계(S350)를 통해,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S330)나 통신 단계(S340)에서 검출 또는 접수된 고장 보안등에 대해,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내용을 기록하고 이를 보안등 관리 담당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동작한다.
이후 관리 담당자로부터 처리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이와 같은 내용을 다시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해당 사건을 종료 처리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음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방범등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10: 보안등 115: 식별표
120: 통신서버 130: 보안등 데이터베이스
140: 전력량 데이터베이스 150: 관리서버
T: 보안등 신고용 태그

Claims (8)

  1. 다수의 보안등;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부착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
    상기 각각의 보안등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파악하기 위한 전력량계;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대해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보안등 데이터베이스;
    상기 보안등 신고용 태그에 대한 판독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응답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통신서버;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전력량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서버 또는 상기 전력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보안등에 대한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관리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다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의 전력 사용량을 갖는 보안등을 검출하고, 해당 내용을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상기 다수의 보안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해 상위 1 내지 10% 및 하위 1 내지 10%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 평균값(trimmean)의 5 내지 3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보안등의 관리번호, 관리 담당자, 주소 정보 또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및 고장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등 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 담당자로부터 처리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사건 종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관리 시스템.
  6. 다수의 보안등에 대해 NFC 태그 또는 QR코드 태그로 이루어진 보안등 신고용 태그가 제공되는 태그 제공 단계;
    상기 각각의 보안등에 대해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
    상기 전력 사용량 파악 단계를 통해 파악된 상기 각각의 보안등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
    상기 태그 제공 단계를 통해 제공된 상기 보안등 신고용 태그에 대한 판독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응답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통신 단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 또는 상기 통신 단계를 통해 상기 보안등에 대한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보안등 관리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이상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등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분석 단계는, 상기 다수의 보안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에 대해 상위 1 내지 10% 및 하위 1 내지 10%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 평균값의 5 내지 30% 범위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의 전력 사용량을 갖는 보안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관리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담당자로부터 처리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내용을 상기 보안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사건 종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등 관리 방법.
KR1020140096973A 2014-07-30 2014-07-30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63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73A KR101636474B1 (ko) 2014-07-30 2014-07-30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73A KR101636474B1 (ko) 2014-07-30 2014-07-30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13A true KR20160015413A (ko) 2016-02-15
KR101636474B1 KR101636474B1 (ko) 2016-07-20

Family

ID=5535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973A KR101636474B1 (ko) 2014-07-30 2014-07-30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359B1 (ko) * 2019-05-13 2020-07-29 주식회사 트로닉스 공공조명용 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410B1 (ko) 2004-10-28 2006-04-07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보안등 원격제어/고장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182599B1 (ko) * 2012-04-25 2012-09-18 주식회사 이에스윈 전력 소비 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24777A (ko) * 2012-05-07 2013-11-15 (주) 신성비엠씨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40092570A (ko) * 2013-01-16 2014-07-24 (주)플라토 보안등 원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410B1 (ko) 2004-10-28 2006-04-07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보안등 원격제어/고장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182599B1 (ko) * 2012-04-25 2012-09-18 주식회사 이에스윈 전력 소비 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24777A (ko) * 2012-05-07 2013-11-15 (주) 신성비엠씨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339594B1 (ko) 2012-05-07 2013-12-10 (주) 신성비엠씨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40092570A (ko) * 2013-01-16 2014-07-24 (주)플라토 보안등 원격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359B1 (ko) * 2019-05-13 2020-07-29 주식회사 트로닉스 공공조명용 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474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540B1 (ko)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113765B1 (en) Determining appliance insurance coverage/products using informatic sensor data
CN206894809U (zh) 电力安全作业及运维智能监管系统
CN103578240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安防服务网
US20140140578A1 (en) Parking enforcement system and method of parking enforcement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CN201917600U (zh) 电表箱异常开启报警系统
CN203054575U (zh) 污染源在线监控系统
CN102208983B (zh) 针对保障性住宅住户身份识别管理系统及方法
CN206322201U (zh) 变电站接地线实时监测系统
CN103760865B (zh) 基于mstp专用通信网络的远程监控平台
CN103580914A (zh) 基于远程数字安防系统故障监控平台运行的方法和装置
US9224122B2 (en) Outdoor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4281127A (zh) 一种智能操作牌挂板系统及使用方法
CN102063604A (zh) 重要场所人员合法性的监控识别装置
CN103020721A (zh) 一种评估电网调度自动化系统实时数据处理效率的方法
KR101636474B1 (ko) 보안등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03078951A (zh) 基于移动应用的环保数据采集器
CN105353714A (zh) 一种智能型一体化管控系统及其用于安防监控的方法
CN206069118U (zh) 一种电梯维保监管系统
CN202093569U (zh) 安全工器具监控管理系统
CN116523311A (zh) 服务点监测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KR101378781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점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Mufassirin et al. Development of IOT based smart energy meter read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4902237A (zh) 报警监控寻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