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293A - 비-면역억제성 항원 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 Google Patents

비-면역억제성 항원 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293A
KR20160015293A KR1020157036889A KR20157036889A KR20160015293A KR 20160015293 A KR20160015293 A KR 20160015293A KR 1020157036889 A KR1020157036889 A KR 1020157036889A KR 20157036889 A KR20157036889 A KR 20157036889A KR 20160015293 A KR20160015293 A KR 2016001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
exogenous
immunomodulator
inhibitors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173B1 (ko
Inventor
로베르토 에이. 말도나도
다까시 케이 키시모토
Original Assignee
셀렉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렉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filed Critical 셀렉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1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61K38/13Cyclospo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Preparations to induce tolerance to non-self, e.g. prior to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61K47/48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593Polyesters, e.g. PLGA or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semi-solid, e.g. an ointment, a gel, a hydrogel or a solidifying g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n inorganic particle, e.g. ceramic particles, silica particles, ferrite or synso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e.g. poly(meth)acrylat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or polyvinyl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des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des or polyglycerol
    • A61K47/693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des or polyglycerol the polymer being PLGA, PLA or polyglyco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4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amines, polyanhydrides
    • A61K9/5153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3Autoimmune diseases, e.g.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multiple sclerosis, rheumathoid arthriti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uto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3DNA (RNA) vacc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55Liposomes; Vesicles, e.g. nanoparticles; Spheres, e.g. nanospheres;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93Synthetic polymers, e.g. polyethyleneglycol [PEG], Polymers or copolymers of (D) glutamate and (D) lys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를 사용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프로토콜은 이전에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비-면역억제성 항원 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REPEATED ADMINISTRATION OF NON-IMMUNOSUPRESSIVE ANTIGEN SPECIFIC IMMUNOTHERAPEUTICS}
관련 출원
본원은 2013년 6월 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831,128의 35 U.S.C. §119 하의 이익을 청구하고, 상기 가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를 사용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프로토콜은 이전에 반복 투여 시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질환 또는 병태, 예컨대 자가면역 질환, 알레르기, 또는 단백질 또는 효소 대체 요법을 필요로 하는 유전적 또는 후천적 결핍증, 및 생물학적 요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은 종종 원치않는 면역 반응을 초래한다. 면역조절제 약물의 사용을 통해 이같은 원치않는 면역 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면역조절제 약물은 광범위하게 작용한다. 추가로, 면역억제를 유지하기 위해, 면역조절제 약물 요법은 일반적으로 평생의 과제이다. 불행하게도,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면역조절제의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 예컨대 종양, 감염, 신독성 및 대사 장애의 위험과 연관된다. 따라서, 새로운 면역조절제 요법이 이로울 것이다.
한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것; 및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대상체에게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결정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의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따라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이 제공된다.
제공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수득 또는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결정은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가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함을 입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외인성 항원 또는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프로토콜에서 입증된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키트이다.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한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중 어느 하나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프로토콜은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나타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는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가로 나타난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면역조절제는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제; TGF-β 수용제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렉틴 수용체 리간드;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프로테아솜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효능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시토카인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활성화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시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 6-메르캅토퓨린; 아스피린;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리폴리드; 인터류킨; 시클로스포린 A, 또는 siRNA 표적화 시토카인 또는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면역조절제는 라파마이신, 미코페놀산 또는 CD22 리간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외인성 항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또한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는 서로 커플링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항원은 치료 단백질, 변형된 항원 또는 발현된 항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발현된 항원은 변형된 메신저 RNA로부터 발현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내인성 항원에 대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내인성 항원은 자가항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자가항원은 강직성 척추염; 수포성 천포창;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습진; 염증성 장 질환; 루푸스 또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건선; 사르코이드증; 전신 경화증; 경피증; 갑상선염;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하시모토 갑상선염; 갑상선중독증; 원형 탈모증;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복강 질환; 쇼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열; 위염 자가면역 위축성 위염; 자가면역 간염; 췌도염; 난소염; 고환염; 포도막염; 수정체성 포도막염; 중증 근무력증; 원발성 점액수종; 악성 빈혈;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애디슨병; 경피증; 굿패스쳐 증후군; 신염; 건선; 심상성 천포창; 유천포창; 교감신경성 안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베게너 육아종증 또는 다발/피부근염에서 발견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고, 내인성 면역조절제의 존재 하에 투여되는 경우에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내인성 면역조절제는 아폽토시스 또는 관련 신호전달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T 또는 B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또는 수지상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내지 10년 후에 일어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후에 일어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2주일 후에 일어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 내지 12개월 후에 일어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고, 외인성 항원은 외인성 면역조절제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반복적으로 투여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1종 초과의 외인성 항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은 외인성 면역조절제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반복적으로 투여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는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서로 커플링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면역조절제는 ERY1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프로토콜의 모든 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요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외인성 면역조절제에 커플링된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에 부착된 면역조절제의 로드는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에 걸쳐 평균 0.1% 내지 50% (중량/중량)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로드는 0.1% 내지 20% (중량/중량)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면역조절제 로드는 평균 적어도 95%, 97%, 98% 또는 99% (중량/중량)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 및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가 외인성 항원에 추가로 커플링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 및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가 외인성 항원과 병용 투여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방법은 외인성 항원 또는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양으로 생산 또는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공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양은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프로토콜에서 입증된 양이다. 제공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방법은 양 또는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달성하지만 면역억제의 유도는 달성하지 않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외인성 면역조절제 또는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달성하지만 면역억제의 유도는 달성하지 않기 위한, 외인성 면역조절제 또는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중 어느 하나이다.
도 1은 항원 및 라파마이신을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외인성 면역조절제인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외인성 면역조절제인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외인성 면역조절제 (ERY1 펩티드)에 부착된 외인성 항원 (OVA)으로의 CD8+ T 세포의 결실 또는 무반응을 입증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하기 전에, 본 발명이 특정하게 예시된 물질 또는 공정 파라미터에 한정되지 않는데, 이들이 당연히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고, 본 발명을 기술하는 대안적인 용어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상기에서든 하기에서든, 이에 의해 모든 목적을 위해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맥락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합체"에 대한 언급은 2개 이상의 이같은 분자의 혼합물 또는 상이한 분자량의 단일 중합체 종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합성 나노담체"에 대한 언급은 2개 이상의 이같은 합성 나노담체의 혼합물 또는 다수의 이같은 합성 나노담체를 포함하고, "DNA 분자"에 대한 언급은 2개 이상의 이같은 DNA 분자의 혼합물 또는 다수의 이같은 DNA 분자를 포함하며, "면역조절제"에 대한 언급은 2개 이상의 이같은 물질의 혼합물 또는 다수의 면역조절제 분자를 포함하는 것 등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하다(comprise)"라는 용어 또는 이의 변형 예컨대 "포함하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은 임의의 언급된 완전체 (예를 들어, 특색, 요소, 특징, 성질, 방법/공정 단계 또는 제한) 또는 완전체들의 군 (예를 들어, 특색들, 요소들, 특징들, 성질들, 방법/공정 단계들 또는 제한들)을 포함하지만 임의의 다른 완전체 또는 완전체들의 군을 배제하지 않는 것을 가리키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고,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완전체 또는 방법/공정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 중 임의의 것의 실시양태에서, "포함하는"이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 또는 "~로 이루어지는"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이라는 구절은 특정 완전체(들) 또는 단계들뿐만 아니라 청구된 발명의 특징 또는 기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들을 필요로 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완전체 (예를 들어, 특색, 요소, 특징, 성질, 방법/공정 단계 또는 제한) 또는 완전체들의 군 (예를 들어, 특색들, 요소들, 특징들, 성질들, 방법/공정 단계들 또는 제한들)만 존재하는 것을 가리키도록 사용된다.
A. 서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현재의 통상적인 면역조절 조성물은 광범위하게 작용하고, 일반적으로 면역계의 전체적인 전신 하향조절을 초래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은, 특히 언급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반복 투여에서 사용될 때, 더욱 표적화된 면역 효과를 허용한다.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통상적인 면역조절 조성물이 제공되는 대상체에 대한 상당한 유해 사례에 이를 수 있는 장기간의 면역억제를 일반적으로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반복 투여 동안의 광범위한 면역억제가 특히 우려된다. 대신, 본 발명자들은 반복 투여 동안 장기 또는 광범위한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 항원-특이적 면역조절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 개시된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문제 및 제한사항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을 뜻밖에, 그리고 놀랍게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것; 및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대상체에게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밖에 발견하였다. 추가로, 본 발명자들은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의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따라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밖에 발견하였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프로토콜은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나타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자들은 반복적으로 투여되었을 때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양으로 외인성 항원 또는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밖에 발견하였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양은 대상체에서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프로토콜에서 입증된 것이다.
여러 유형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여러 유형의 외인성 및 내인성 항원, 및 여러 유형의 외인성 및 내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추가적인 실시양태 및 측면이 본원에서, 예컨대 실시예에서 개시된다.
이제 본 발명이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B. 정의
"투여하는" 또는 "투여" 또는 "투여하다"는 약리학적으로 유용한 방식으로 대상체에게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용어는 투여되도록 야기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투여되도록 야기하는"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또 다른 관계자가 물질을 투여하도록 야기하거나, 강요하거나, 장려하거나, 보조하거나, 유도하거나 또는 지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 투여 형태, 또는 방법의 맥락에서의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프로토콜에서 입증된 양"은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입증된 프로토콜에 따라 투여되었을 때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의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당연히, 의료진의 지식 및 전문 기술 내의 치료되는 특정 대상체; 병태, 질환 또는 장애의 중증도; 연령, 신체 상태, 크기 및 체중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환자 파라미터; 치료 기간; 동반 요법 (존재하는 경우)의 성질; 특정 투여 경로 등의 요인에 좌우될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되어 있고, 일상적인 뿐인 실험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의학적 판단에 따른 최대 용량, 즉 안전한 최고 용량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의학적 이유, 심리적 이유 또는 사실상 임의의 다른 이유로 환자가 더 낮은 용량 또는 허용가능한 용량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의 용량 또는 양은 약 10 ㎍/kg 내지 약 100,000 ㎍/kg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량은 약 0.1 mg/kg 내지 약 100 mg/kg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용량은 약 0.1 mg/kg 내지 약 25 mg/kg, 약 25 mg/kg 내지 약 50 mg/kg, 약 50 mg/kg 내지 약 75 mg/kg 또는 약 75 mg/kg 내지 약 100 mg/kg 범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하는 양의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을 제공하는 합성 나노담체의 개수를 기초로 용량 또는 양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용한 용량 또는 양은 106, 107, 108, 109 또는 1010개 초과의 합성 나노담체 (용량 당)를 포함한다. 유용한 용량 또는 양의 기타 예는 약 1×106 내지 약 1×1010, 약 1×107 내지 약 1×109 또는 약 1×108 내지 약 1×109개의 합성 나노담체 (용량 당)를 포함한다.
"항원"은 B 세포 항원 또는 T 세포 항원을 의미한다. "항원의 유형(들)"은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원 특징을 공유하는 분자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단백질, 폴리펩티드, 펩티드, 지질단백질, 당지질, 폴리뉴클레오티드, 다당류일 수 있거나, 또는 세포 내에 함유되거나 세포에서 발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예컨대 항원이 잘 규정 또는 특성화되지 않는 경우, 항원이 세포 또는 조직 제제, 세포 잔해물, 세포 엑소솜, 컨디셔닝 배지 등 내에 함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일 수 있다. 내인성 항원은 대상체 자신의 신체에 의해 생성된 항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반복 투여 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예컨대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항원-특이적 관용에 이를 수 있는 면역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인성 항원은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반복 투여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한다. 내인성 항원의 예는 자가면역 항원을 포함하고, 이의 일부가 본원의 다른 곳에서 개시된다. 외인성 항원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일부로서 또는 일부 기타 치료적 개입의 일부로서 투여되지만 대상체 자신의 신체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 항원을 포함한다. 외인성 항원의 예는 환경적인 알레르겐, 치료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 등을 포함하고, 이의 일부가 본원의 다른 곳에서 개시된다.
"항원-특이적"은 항원 또는 이의 일부분의 존재로부터 초래되거나, 또는 특이적으로 항원을 인식하거나 항원에 결합하는 분자를 생성시키는 임의의 면역 반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이 항원-특이적 항체 생산인 경우,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생산된다. 또 다른 예로서, 면역 반응이 항원-특이적 B 세포 또는 CD4+ T 세포 또는 CD8+ T 세포 활성화, 증식 및/또는 활성인 경우, 항원 또는 이의 일부분 (단독 또는 MHC 분자, B 세포 등과의 복합체)의 인식으로부터 활성화, 증식 및/또는 활성이 초래된다.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관심 항원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에 대한 관용유발 효과가 있을 수 있는 치료제를 의미한다.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항원 및 면역조절제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항원은 면역조절제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커플링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서로 커플링되지 않은 항원 및 면역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고, 항원 및 면역조절제는 병용으로 반복 투여된다. 이같은 실시양태에서, 항원 및 면역조절제는 동일한 조성물 내에서 또는 별개의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고, 이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구성하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전체성이다. 실시양태에서, 항원 (즉 외인성 항원) 및/또는 면역조절제 (즉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각각 내인성 면역조절제 및/또는 내인성 항원과 상호작용하여, 바람직하게는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할 수 있는 면역 반응을 초래하거나 또는 이에 이를 수 있다.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효능"은 관심 항원 (Agi)에 대해, 동일한 Agi 투약으로 Agi IgG 역가 (EC50으로서 보고됨)가 양성 대조군의 수준에서 50% 이상 더 낮은 역가 (EC50으로서 보고됨)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문헌 [J. R. Crowther, "ELISA: Theory and Practice" (1995 Humana Press)]을 참조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평균"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산술 평균을 지칭한다.
"B 세포 항원"은 B 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B 세포에서의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임의의 항원 (예를 들어, B 세포 또는 B 세포 상의 수용체가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원)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항원인 항원이 또한 B 세포 항원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T 세포 항원은 또한 B 세포 항원이 아니다. B 세포 항원은 단백질, 펩티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 세포 항원은 비-단백질 항원을 포함한다 (즉, 단백질 또는 펩티드 항원이 아니다).
"야기하는"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제3의 관계자를 통해)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사용하여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또 다른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되도록 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2종 이상의 물질 및/또는 작용제 (본원에서 성분으로 또한 지칭됨)에 적용된 바와 같은 "조합물"은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가 회합된 물질을 정의하도록 의도된다. 성분들, 예를 들어, 제1 성분, 제2 성분, 제3 성분 등이 따로따로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의 "조합된" 및 "조합하는"이라는 용어는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조합물 내의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의 회합은 물리적 또는 비-물리적일 수 있다. 물리적으로 회합된 조합된 물질/작용제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ㆍ 혼합된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를 (예를 들어, 동일한 단위 용량 내에)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단일 제제);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가 (예를 들어 가교, 분자성 응집 또는 공통 비히클 모이어티에 대한 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물리화학적으로 연결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가 화학적으로/물리화학적으로 공동-포장된 (예를 들어, 지질 소포, 입자 (예를 들어, 마이크로- 또는 나노입자) 또는 에멀젼 액적 상에 또는 이의 내부에 배치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가 (예를 들어, 단위 용량의 어레이의 일부로서) 공동-포장되거나 공동-제시되는 제약 키트, 제약 팩 또는 환자 팩.
비-물리적으로 회합된 조합된 물질/작용제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중 하나 이상을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의 물리적 회합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작용제의 즉석 회합에 관한 지침서와 함께 포함하는 물질 (예를 들어, 비-단일 제제);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중 하나 이상을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로의 조합 요법에 관한 지침서와 함께 포함하는 물질 (예를 들어, 비-단일 제제);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중 하나 이상을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중 다른 것(들)이 투여된 (또는 투여 중인) 환자 집단에게 투여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와 함께 포함하는 물질;
ㆍ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중 하나 이상을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중 다른 것(들)과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체적으로 개조된 양 또는 형태로 포함하는 물질.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조합 요법"이라는 용어는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의 조합물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사용을 포함하는 요법을 정의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원에서의 "조합 요법", "조합물" 및 "조합된" 물질/작용제의 사용에 대한 언급은 동일한 전체적인 치료 체계의 일부로서 투여되는 물질/작용제를 지칭할 수 있다. 그러므로,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각각의 약량학이 상이할 수 있다: 각각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조합물의 물질/작용제가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전 또는 후), 또는 동일한 제약 제제에서 (즉, 함께) 또는 상이한 제약 제제에서 (즉, 따로따로)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동일한 제제에서 동시에 투여되는 것은 단일 제제로서인 반면, 상이한 제제에서 동시에 투여되는 것은 비-단일성이다. 조합 요법에서의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 각각의 약량학은 투여 경로와 관련하여 상이할 수도 있다.
"병용으로"는 면역 반응에서의 조절을 제공하도록 시간 면에서 상호관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시간 면에서 충분히 상호관련되는 방식으로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가 조합되어 투여된다. 실시양태에서, 동반 투여는 특정 기간 이내, 바람직하게는 1개월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주일 이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일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내의 2종 이상의 물질/작용제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물질/작용제가 병용으로 반복 투여될 수 있다; 이는 1회를 초과하는 동반 투여이다.
"커플링하다(couple)" 또는 "커플링된" 또는 "커플링하다(couples)" (등)는 하나의 엔티티 (예를 들어 모이어티)를 또 다른 것에 화학적으로 회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커플링은 공유결합성이고, 이는 커플링이 2개의 엔티티 사이의 공유 결합의 존재의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공유결합 실시양태에서는, 전하 상호작용, 친화력 상호작용, 금속 배위, 물리적 흡착, 호스트-게스트 상호작용, 소수성 상호작용, TT 스태킹 상호작용, 수소 결합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상호작용, 자기 상호작용, 정전기 상호작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비-공유결합 상호작용에 의해 비-공유결합 커플링이 매개된다. 실시양태에서, 캡슐화는 커플링의 한 형태이다.
"결정하는" 또는 "결정하다" 또는 "입증하는" 또는 "입증하다"는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입력값, 예를 들어, 프로토콜의 요소 또는 전체 프로토콜과 하나 이상의 출력값, 예를 들어, 면역억제의 존재 또는 부재 또는 항원-특이적 관용의 달성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가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하는 것 등은 실험을 수행하는 것 또는 계획을 만드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 예컨대 시험 용량으로 출발하고, 공지된 스케일링 기술 (예컨대 알로메트릭 또는 이소메트릭 스케일링)을 사용하여 투여를 위한 프로토콜 예컨대 용량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 예컨대 면역조절제의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경험 및 안내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직접적인 실험을 통해,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요소에서의 변동, 예컨대 다양한 용량을 시험함으로써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 예컨대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결정하는" 또는 "결정하다" 또는 "입증하는" 또는 "입증하다"는 "결정되도록 야기하는" 또는 "입증되도록 야기하는"을 포함한다. "결정되도록 야기하는" 또는 "입증되도록 야기하는"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또는 명백하게 또는 암암리에를 포함하여, 엔티티가 사실 관계를 확인하도록 야기하거나, 강요하거나, 장려하거나, 보조하거나, 유도하거나, 지시하거나 또는 엔티티와 함께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여 형태"는 대상체로의 투여에 적절한 매질, 담체, 비히클 또는 장치 내의 약리학적으로 및/또는 면역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 또는 용량 중 어느 하나가 투여 형태일 수 있다.
"캡슐화하다"는 합성 나노담체 내에 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이 둘러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물질이 합성 나노담체 내에 완전히 둘러싸인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캡슐화된 물질의 대부분 또는 물질 모두가 합성 나노담체에 대해 외부인 국소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50%, 40%, 30%, 20%, 10% 또는 5% (중량/중량) 이하가 국소 환경에 노출된다. 캡슐화는 흡착과 상이한데, 흡착은 물질의 대부분 또는 물질 모두를 합성 나노담체의 표면 상에 배치하고, 물질을 합성 나노담체에 대해 외부인 국소 환경에 노출되게 한다.
"면역조절제"는 APC (항원 제시 세포)가 관용유발 효과를 지니게 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관용유발 효과는 원치않는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거나 방지하거나 또는 원하는 항원-특이적 관용유발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APC에 의한 시토카인 또는 기타 인자의 생산 또는 발현 또는 APC의 유전적 발현 프로파일의 변화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발현의 변화)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내인성 또는 외인성일 수 있다. 내인성 면역조절제는 대상체 자신의 신체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하고,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반복 투여 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예컨대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항원-특이적 관용에 이를 수 있는 면역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인성 면역조절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외인성 항원이 투여되는 경우에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할 수 있다. 내인성 면역조절제의 예는 아폽토시스 세포 및 기타 아폽토시스 리간드 또는 마커, 관용유발 시토카인 예컨대 IL-10, 및 관용유발 반응에 관련된 세포 표면 마커 예컨대 CD22를 포함한다. 외인성 면역조절제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일부로서 또는 일부 기타 치료적 개입의 일부로서 투여되지만 대상체 자신의 신체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한다.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예는 라파마이신 및 본원에서 개시된 기타 면역조절제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APC가 하나 이상의 면역 이펙터 세포에서 조절 표현형을 촉진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조절 표현형은 항원-특이적 CD4+ T 세포 또는 B 세포의 생산, 유도, 자극 또는 동원의 억제, 항원-특이적 항체의 생산의 억제, Treg 세포 (예를 들어, CD4+CD25highFoxP3+ Treg 세포)의 생산, 유도, 자극 또는 동원 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CD4+ T 세포 또는 B 세포의 조절 표현형으로의 전환의 결과일 수 있다. 이는 다른 면역 세포, 예컨대 CD8+ T 세포, 대식세포 및 iNKT 세포에서의 FoxP3의 유도의 결과일 수도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APC가 항원을 프로세싱한 후에 APC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항원의 프로세싱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추가적인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아폽토시스-신호전달 분자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인지질이 아니다.
면역조절제는 스타틴; mTOR 억제제, 예컨대 라파마이신 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TGF-β 신호전달제; TGF-β 수용제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예컨대 트리코스타틴(Trichostatin) A;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예컨대 로테논;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예컨대 6Bio,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TCPA-1, IKK VII;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 (PGE2), 예컨대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억제제 (PDE4), 예컨대 폴리프람(Rolipram); 프로테아솜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효능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시토카인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활성화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PI3KB 억제제, 예컨대 TGX-221; 자가포식 억제제, 예컨대 3-메틸아데닌(Methyladenine);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프로테아솜 억제제 I (PSI); 및 산화된 ATP, 예컨대 P2X 수용체 차단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면역조절제는 IDO, 비타민 D3, 시클로스포린, 예컨대 시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 (Aza), 6-메르캅토퓨린 (6-MP), 6-티오구아닌 (6-TG), FK506, 산글리페린 A, 살메테롤,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MMF), 아스피린 및 기타 COX 억제제,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및 트립톨리드를 또한 포함한다.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작용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면역조절제는 APC에 대한 관용유발 효과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화합물일 수 있거나, 또는 관용유발 효과를 간접적으로 (즉, 투여 후 어떤 식으로든 프로세싱된 후에) 제공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면역조절제는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중 임의의 것의 전구약물 형태를 포함한다.
면역조절제는 관용유발 면역 반응을 초래하는 본원에서 제공된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관용유발 면역 반응을 초래하는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이고, 이는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된 핵산이다.
핵산은 DNA 또는 RNA, 예컨대 mRNA일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원에서 제공된 핵산 중 임의의 것의 보체, 예컨대 전장 보체, 또는 축중물 (유전자 코드의 축중성에 기인함)을 포함한다.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세포주 내로 형질감염되는 경우 전사될 수 있는 발현 벡터이다. 실시양태에서, 발현 벡터는 특히 플라스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분자 생물학 접근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사용하여 핵산 단편을 생산함으로써 핵산을 단리 또는 합성할 수 있고, 그 후 이를 정제하고 발현 벡터 내로 클로닝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유용한 추가적인 기술을 문헌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2007, John Wiley and Sons, Inc.];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Third Edition) Joseph Sambrook, Peter MacCallum Cancer Institute, Melbourne, Australia; David Russell,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Cold Spring Harb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에 본원에서 제공되는 면역조절제가 커플링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합성 나노담체의 구조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해 추가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가 하나 이상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경우, 면역조절제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에 대해 추가적이고 이에 커플링되는 화합물이다. 또 다른 예로서, 한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가 하나 이상의 지질로 구성되는 경우, 면역조절제는 하나 이상의 지질에 대해 추가적이고 이에 커플링되는 화합물이다. 합성 나노담체의 물질이 또한 관용유발 효과를 초래하는 경우와 같은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관용유발 효과를 초래하는 합성 나노담체의 물질에 대해 추가로 존재하는 요소이다.
기타 예시적인 면역조절제는 소형 분자 약물, 천연 제품, 항체 (예를 들어, CD20, CD3, CD4에 대한 항체), 생물제제-기반 약물, 탄수화물-기반 약물, 나노입자, 리포솜, RNAi, 안티센스 핵산, 앱타머, 메토트렉세이트, NSAID; 핑골리모드; 나탈리주맙; 알렘투주맙; 항-CD3; 타크롤리무스 (FK506)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면역조절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는 나노결정질 형태와 같은 형태이고, 이에 의해 면역조절제 자체의 형태는 입자 또는 입자-유사물이다. 실시양태에서, 이같은 형태는 바이러스 또는 기타 외래 병원체를 모방한다. 다수의 약물이 나노화되었고, 이같은 약물 형태를 생산하는 적합한 방법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었을 것이다. 약물 나노결정, 예컨대 나노결정질 라파마이신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Katteboinaa, et al.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Tech Resesarch; Vol. 1, No. 3; pp682-694).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약물 나노결정"은 담체 또는 매트릭스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약물 (예를 들어, 면역조절제)의 형태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물 나노결정은 90%, 95%, 98%, 또는 99% 또는 이를 초과하는 값의 약물을 포함한다. 약물 나노결정을 생산하는 방법은, 비제한적으로, 밀링, 고압 균질화, 침전, 분무 건조, 초임계 용액의 급속 팽창 (RESS), 나노엣지(Nanoedge)® 기술 (백스터 헬스케어(Baxter Healthcare)), 및 나노크리스탈 테크놀러지(Nanocrystal Technology)™ (엘란 코포레이션(Elan Corporation))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 또는 안정화제가 약물 나노결정의 입체적 또는 정전기적 안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노결정 또는 나노결정질 형태의 면역조절제가 면역조절제, 특히 불용성이거나 불안정한 면역조절제의 용해도, 안정성 및/또는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면역억제"는 (1)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의 결과로서의 면역 반응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지속적 하향조절, 또는 (2)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1회 이상의 반복 투여 후의 KLH 챌린지 T-세포 의존적 항체 반응 ELISA 검정 (KLH는 관심 항원이 아닌 것으로 가정됨)에 대한 비-인간 시험 대상체의 반응으로, 이때 반응이 동일한 KLH 투약으로 양성 대조군의 수준에서 평균 음성 대조군 ("배경")보다 3 표준 편차 위인 것과 등가이거나 이보다 작은 역가 (EC50으로서 보고됨)로 변화하는 KLH IgG 역가 (EC50으로서 보고됨)를 특징으로 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문헌 [J. R. Crowther, "ELISA: Theory and Practice" (1995 Humana Press)]을 참조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지속적 하향조절은 하향조절 (비-처리 아암에 대해 측정된 처리 아암)이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최종 반복 투여 후 1주일보다 길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입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방법, 프로토콜 및 투여 형태는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거나 또는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다.
KLH 챌린지 ELISA 검정은 일반적으로 문헌, 예를 들어, 문헌 [J.T. Brisbin et al., Influence of In-Feed Virginiamycin on the Systemic and Mucosal Antibody Response of Chickens, Poultry Science 87:1995-1999 (2008)]에 기술되어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아이템(Item) ELI-01G 마우스 항-KLH IgG ELISA 키트, 또는 ELI-03G NHP 항-KLH IgG ELISA 키트로서 스텔라 바이오테크놀로지스(Stellar Biotechnologies) (미국 93041 캘리포니아주 포트 와이니미 이스트 스콧 스트리트 332)로부터 상업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항-KLH 항체 역가를 측정하기 위한 ELISA 방법, 예를 들어, 전형적인 샌드위치 ELISA는 하기의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i) 관심 항체 표적이 기질 중합체 또는 기타 적절한 물질에 커플링되도록 ELISA-플레이트 코팅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ii) 수용액 (예컨대 PBS) 내의 코팅 물질을 제조하고, 멀티웰 플레이트 상으로의 코팅물의 밤샘 침착을 위해 코팅 물질 용액을 멀티웰 플레이트의 웰에 전달하는 단계, (iii) 멀티웰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 (예컨대 PBS 내의 0.05% 트윈(Tween)-20)로 철저히 세정하여, 과량의 코팅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iv) 희석제 용액 (예컨대 PBS 내의 10% 소 태아 혈청)을 적용함으로써 비-특이적 결합에 대해 플레이트를 차단하는 단계, (v) 차단/희석제 용액을 세정 완충제로 플레이트로부터 세정하는 단계, (vi) ELISA 반응을 적절하게 포화시키는 농도를 수득하는데 필요한 만큼, 항체를 함유하는 혈청 샘플(들) 및 적합한 표준 물질 (양성 대조군)을 희석제로 희석하는 단계, (vii) ELISA 반응 곡선을 생성시키는데 적절한 농도 범위를 포함하도록 멀티웰 플레이트 상에서 혈장 샘플을 단계적으로 희석하는 단계, (viii) 플레이트를 인큐베이션하여 항체-표적 결합을 제공하는 단계, (ix)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세정하여, 항원에 결합되지 않은 항체를 제거하는 단계, (x) 1차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동일한 희석제 내의 적합한 농도의 2차 검출 항체 예컨대 비오틴-커플링 검출 항체를 첨가하는 단계, (xi) 적용된 검출 항체와 함께 플레이트를 인큐베이션한 후, 세정 완충제로 세정하는 단계, (xii) 비오틴화 항체 상에서 확인되는 비오틴에 결합할 스트렙타비딘-HRP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와 같은 효소를 첨가하고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xiii) 멀티웰 플레이트를 세정하는 단계, (xiv) 기질(들) (예컨대 TMB 용액)을 플레이트에 첨가하는 단계, (xv) 발색이 완료되었을 때 정지 용액 (예컨대 2N 황산)을 적용하는 단계, (xvi) 기질에 대한 특정 파장 (450 nm이고, 570 nm에서의 판독값이 차감됨)에서 플레이트 웰의 광학 밀도를 판독하는 단계, (xvi) 적절한 멀티파라미터 곡선 핏(fit)을 데이터에 적용하고, 플레이트 표준 물질에 대한 최대 OD 값의 절단이 달성되는 곡선 상의 농도로서 최대-절단 유효 농도 (EC50)를 정의하는 단계.
"로드"는 외인성 면역조절제 조성물의 면역조절제의 양 (중량/중량)이다. 예를 들어, 합성 나노담체에 부착된 경우, 로드는 전체 합성 나노담체 내의 물질의 총 건조 처방 중량을 기초로 한다 (중량/중량). 일반적으로, 이같은 로드는 합성 나노담체의 집단에 걸친 평균으로서 계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에 걸친 평균으로의 로드는 0.1% 내지 99%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로드는 0.1% 내지 50%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의 로드는 0.1% 내지 20%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의 로드는 합성 나노담체의 집단에 걸친 평균으로 25% 이하이다. 실시양태에서, 로드는 실시예에 기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또는 다르게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계산된다.
또 다른 예로서, 면역조절제의 형태가 자체로 입자 또는 입자-유사물, 예컨대 나노결정질 면역조절제인 경우, 면역조절제의 로드는 입자 등 내의 면역조절제의 양이다 (중량/중량). 이같은 실시양태에서, 로드는 90%, 95%, 97%, 98%, 99% 이상에 가까울 수 있다.
"합성 나노담체의 최대 치수"는 합성 나노담체의 임의의 축을 따라 측정된 나노담체의 최대 치수를 의미한다. "합성 나노담체의 최소 치수"는 합성 나노담체의 임의의 축을 따라 측정된 나노담체의 최소 치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거의 구형인 합성 나노담체의 경우, 합성 나노담체의 최대 및 최소 치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것이고, 이의 직경의 크기일 것이다. 유사하게, 입방형 합성 나노담체의 경우, 합성 나노담체의 최소 치수는 이의 높이, 폭 또는 길이 중 최소값인 한편, 합성 나노담체의 최대 치수는 이의 높이, 폭 또는 길이 중 최대값일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총 개수를 기초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최소 치수가 100 nm 이상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총 개수를 기초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최대 치수가 5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총 개수를 기초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최소 치수가 110 nm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nm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nm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nm 초과이다.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의 최대 및 최소 치수의 종횡비는 실시양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나노담체의 최대 대 최소 치수의 종횡비는 1:1 내지 1,000,000: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0,0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0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00: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0: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1로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총 개수를 기초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최대 치수가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nm 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총 개수를 기초로, 샘플 내의 합성 나노담체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최소 치수가 10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nm 이상이다. 합성 나노담체 치수 (예를 들어, 직경)의 측정은 합성 나노담체를 액체 (일반적으로 수성) 매질에 현탁시키고 동적 광 산란 (DLS)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브룩하벤(Brookhaven) ZetaPALS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다. 예를 들어, 합성 나노담체의 현탁액을 수성 완충제로부터 정제수 내로 희석하여 약 0.01 내지 0.1 mg/mL의 최종 합성 나노담체 현탁액 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희석된 현탁액은 직접적으로 내부에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DLS 분석을 위해 적절한 큐벳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큐벳을 DLS 내에 놓고, 제어 온도로 평형화시킨 후, 충분한 시간 동안 스캐닝하여, 매질 점도 및 샘플의 굴절 지수에 대한 적합한 입력값을 기초로 안정적이고 재현가능한 분포를 취득할 수 있다. 그 후, 유효 직경 또는 분포 평균을 기록한다. 종횡비가 높거나 또는 구형이 아닌 합성 나노담체의 유효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더욱 정확한 측정치를 수득하기 위해 부가적인 기술, 예컨대 전자 현미경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합성 나노담체의 "치수" 또는 "크기" 또는 "직경"은 예를 들어 동적 광 산란을 사용하여 수득된 입자 크기 분포의 평균을 의미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조성물을 제제화하기 위해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물질과 함께 사용되는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당류 (예컨대 글루코스, 락토스 등), 방부제 예컨대 항균제, 재구성 보조제, 착색제, 염수 (예컨대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및 완충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은 대상체에게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패턴을 의미한다. 프로토콜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토콜의 이같은 요소는 투약량, 투약 빈도, 투여 경로, 투약 기간, 투약 속도, 투약 사이의 간격, 상기의 것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시험 대상체에게 투여할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시험 대상체에서의 면역 반응을 평가하여 원하는 면역학적 효과 또는 원하는 수준의 면역학적 효과를 생성시키는데 프로토콜이 효과적이었는지 또는 그렇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이전에 시험 대상체, 예컨대 비-인간 대상체에서 입증된 후, 인간 프로토콜로 번역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인간 대상체에서 입증된 투약량이 확립된 기술 예컨대 알로메트릭 스케일링 또는 기타 스케일링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프로토콜의 요소로서 스케일링될 수 있다. 프로토콜에 원하는 효과가 있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본원에서 제공되거나 다르게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면역 세포, 시토카인, 항체 등이 감소되었는지, 생성되었는지, 활성화되었는지 등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본원에서 제공된 언급된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반복적으로 투여된 대상체로부터 세포 집단을 수득할 수 있다. 면역 세포의 존재 및/또는 개수를 검출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은 유동 세포측정 방법 (예를 들어, FACS) 및 면역조직화학 방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면역 세포 마커의 특이적 염색을 위한 항체 및 기타 결합제가 시판된다. 전형적으로 이같은 키트는 비균질 세포 집단으로부터 원하는 세포 집단의 FACS-기반 검출, 분리 및/또는 정량을 허용하는 다중 항원에 대한 염색 시약을 포함한다. 실시양태에서, 프로토콜을 이루는 모든 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요소를 사용하여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또 다른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된다.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나타난 프로토콜"은 프로토콜의 요소 중 하나 이상 (완전한 프로토콜까지이고, 완전한 프로토콜을 포함함)이 반복 투여, 바람직하게는 전체 반복 투여 동안의 1회 이상 지점 동안에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의 시점에 입증된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제공하는"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아이템 또는 일련의 아이템 또는 방법을 공급하는, 개체가 수행하는 작용 또는 일련의 작용을 의미한다. 작용 또는 일련의 작용은 직접적으로 스스로 또는 간접적으로 취해질 수 있다.
"대상체에게 제공하는"은 임상의가 대상체에 접촉하여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게 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을 대상체에서 수행하게 하는 임의의 작용 또는 일련의 작용이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체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관용유발 면역 반응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이다. 작용 또는 일련의 작용은 스스로 직접적일 수 있거나 또는 간접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대상체에게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반복 투여" 또는 "반복적으로 투여하다" 또는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등은 이전에 확립된 면역 관용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이의 지속을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실시양태는 확립된 관용이 하락할 때 또는 하락 위험에 있을 때의 1회의 투여 또는 짧은 과정의 치료를 수반한다. 반복 투여는 초기 용량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투여 후에 다음 용량 또는 용량들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투여되었을 때 시작된다. 투여된 초기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반복 투여 동안 투여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조성, 투약 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증진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2주일 내지 1년 후, 바람직하게는 1개월 내지 6개월 후에 수행된다. 본 발명은 주 2회, 매주, 격주로 또는 임의의 다른 규칙적인 일정으로 발생하는 투여 일정에서의 규칙적인 반복 투여를 수반하는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대상체"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 및 영장류; 조류; 가정 또는 농장 동물 예컨대 고양이, 개, 양, 염소, 소, 말 및 돼지; 실험실 동물 예컨대 마우스, 래트 및 기니 피그; 어류; 파충류; 동물원 및 야생 동물 등을 포함하는 동물을 의미한다.
"합성 나노담체(들)"는 천연에서 발견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치수의 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분리된 물체를 의미한다. 알부민 나노입자가 일반적으로 합성 나노담체로서 포함되지만, 특정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알부민 나노입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키토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지질-기반 나노입자가 아니다. 추가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인지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합성 나노담체는 1개 또는 여러 개의 지질-기반 나노입자 (본원에서 지질 나노입자, 즉 구조를 구성하는 물질의 대부분이 지질인 나노입자로 또한 지칭됨), 중합체성 나노입자, 금속 나노입자, 계면활성제-기반 에멀젼, 덴드리머, 버키볼, 나노와이어, 바이러스-유사 입자 (즉, 바이러스 구조 단백질로 주로 구성되지만 감염성이지 않거나 감염성이 낮은 입자), 펩티드 또는 단백질-기반 입자 (본원에서 단백질 입자, 즉 구조를 구성하는 물질의 대부분이 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나노입자로 또한 지칭됨) (예컨대 알부민 나노입자) 및/또는 나노물질들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개발된 나노입자 예컨대 지질-중합체 나노입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나노담체는 구형, 입방형, 피라미드형, 직사각형, 원통형, 도넛형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나노담체는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합성 나노담체는 (1) 그레프(Gref) 등의 미국 특허 5,543,158에 개시된 생물분해성 나노입자, (2) 살츠만(Saltzman)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60002852의 중합체성 나노입자, (3) 데시몬(DeSimone)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90028910의 석판술로 구축된 나노입자, (4) 폰 안드리안(von Andrian) 등의 WO 2009/051837의 개시물, (5) 페나데스(Penade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8/0145441에 개시된 나노입자, (6) 데 로스 리오스(de los Rio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90226525에 개시된 단백질 나노입자, (7) 세벨(Sebbel)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60222652에 개시된 바이러스-유사 입자, (8) 벡맨(Bachmann)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60251677에 개시된 핵산이 커플링된 바이러스-유사 입자, (9) WO2010047839A1 또는 WO2009106999A2에 개시된 바이러스-유사 입자, (10) 문헌 [P. Paolicelli et al., "Surface-modified PLGA-based Nanoparticles that can Efficiently Associate and Deliver Virus-like Particles" Nanomedicine. 5(6):843-853 (2010)]에 개시된 나노침전 나노입자, (11) 미국 공개 2002/0086049에 개시된 아폽토시스 세포, 아폽토시스 바디 또는 합성 또는 반합성 모방체, 또는 (12) 문헌 [Look et al., Nanogel-based delivery of mycophenolic acid ameliorat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mice" J. Clinical Investigation 123(4):1741-1749(2013)]의 것을 포함한다.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종횡비가 1:1, 1:1.2, 1:1.5, 1:2, 1:3, 1:5, 1:7 초과 또는 1:10 초과일 수 있다.
최소 치수가 약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인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나노담체는 상보체를 활성화시키는 히드록실 기가 있는 표면을 포함하지 않거나, 대안적으로, 상보체를 활성화시키는 히드록실 기가 아닌 모이어티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최소 치수가 약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인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나노담체는 상보체를 실질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표면을 포함하지 않거나, 대안적으로, 상보체를 실질적으로 활성화시키지 않는 모이어티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최소 치수가 약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인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나노담체는 상보체를 활성화시키는 표면을 포함하지 않거나, 대안적으로, 상보체를 활성화시키지 않는 모이어티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바이러스-유사 입자를 배제한다.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종횡비가 1:1, 1:1.2, 1:1.5, 1:2, 1:3, 1:5, 1:7 초과 또는 1:10 초과일 수 있다.
"T 세포 항원"은 CD4+ T-세포 항원 또는 CD8+ 세포 항원을 의미한다. "CD4+ T-세포 항원"은 CD4+ T-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CD4+ T-세포에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임의의 항원, 예를 들어, 클래스 II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분자 (MHC)에 결합된 항원 또는 이의 일부분의 제시를 통해 CD4+T 세포 상의 T-세포 수용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는 항원을 의미한다. "CD8+ T 세포 항원"은 CD8+ T-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CD8+ T-세포에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임의의 항원, 예를 들어, 클래스 I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분자 (MHC)에 결합된 항원 또는 이의 일부분의 제시를 통해 CD8+T 세포 상의 T-세포 수용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는 항원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항원인 항원은 또한 B 세포 항원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T 세포 항원은 또한 B 세포 항원이 아니다. T 세포 항원은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펩티드이다.
"치료 단백질"은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치료 효과가 있는 임의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기반 요법을 지칭한다. 이같은 요법은 단백질 대체 및 단백질 보충 요법을 포함한다. 이같은 요법은 외인성 또는 외래 단백질의 투여, 항체 요법, 및 세포 또는 세포-기반 요법을 또한 포함한다. 치료 단백질은 효소, 효소 보조인자, 호르몬, 혈액 응고 인자, 시토카인, 성장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및 폴리클로날 항체를 포함한다. 기타 치료 단백질의 예가 본원의 다른 곳에서 제공된다. 치료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세포 상에서 또는 세포에 의해 생산될 수 있고, 이같은 세포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이같은 세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치료 단백질은 포유동물 세포, 곤충 세포, 효모 세포, 박테리아 세포, 식물 세포, 트랜스제닉 동물 세포, 트랜스제닉 식물 세포 등 내에서, 이러한 세포 상에서, 또는 이러한 세포에 의해 생산된다. 이같은 세포에서 재조합에 의해 치료 단백질이 생산될 수 있다. 치료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되거나 형질도입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작된 자가 세포 내에서, 이러한 세포 상에서, 또는 이러한 세포에 의해 치료 단백질이 생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치료 단백질이 핵산으로서 또는 핵산을 리포솜 등 내로 도입함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치료 단백질이 이같은 형태로부터 수득되고, 치료 단백질 자체로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는 상기 중 임의의 것이 제공되었거나, 제공 중이거나 또는 제공될 임의의 대상체를 포함한다.
"원치않는 면역 반응"은 항원에 대한 노출로부터 초래되거나, 본원에서 제공된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이의 증상)을 촉진하거나 악화시키거나, 또는 본원에서 제공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전조가 되는 임의의 원치않는 면역 반응을 지칭한다. 이같은 면역 반응은 일반적으로 대상체의 건강에 음성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대상체의 건강에 대한 음성적인 영향의 전조가 된다. 원치않는 면역 반응은 항원-특이적 항체 생산, 항원-특이적 B 세포 증식 및/또는 활성 또는 항원-특이적 CD4+ T 세포 증식 및/또는 활성을 포함한다.
C. 본 발명의 조성물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합성 나노담체
실시양태에서, 관련 방법과 함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을 포함하는 합성 나노담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광범위한 합성 나노담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구체 또는 회전타원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편평하거나 또는 판-형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정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타원체 또는 타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원통, 원뿔 또는 피라미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합성 나노담체가 성질이 유사하도록 크기, 형상 및/또는 조성 면에서 비교적 균일한 합성 나노담체들의 집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합성 나노담체의 총 개수를 기초로, 80%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의 합성 나노담체가 최소 치수 또는 최대 치수가 합성 나노담체의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치수의 5%, 10%, 또는 20% 이내에 속할 수 있다.
합성 나노담체는 고체 또는 중공체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층은 다른 층(들)에 비교하여 독특한 조성 및 독특한 성질을 지닌다. 한 예를 제공하면, 합성 나노담체는 코어/쉘 구조를 지닐 수 있고, 이때 코어가 한 층이고 (예를 들어, 중합체성 코어), 쉘이 제2 층 (예를 들어, 지질 이중층 또는 단층)이다. 합성 나노담체는 복수의 상이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지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리포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지질 이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지질 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미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지질 층 (예를 들어, 지질 이중층, 지질 단층 등)으로 둘러싸인 중합체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지질 층 (예를 들어, 지질 이중층, 지질 단층 등)으로 둘러싸인 비-중합체성 코어 (예를 들어, 금속 입자, 양자점, 세라믹 입자, 골 입자, 바이러스 입자, 단백질, 핵산, 탄수화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금속 입자, 양자점, 세라믹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는 비-중합체성 성분의 응집체, 예컨대 금속 원자 (예를 들어, 금 원자)의 응집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양친매성 엔티티는 안정성이 증가되거나, 균일성이 개선되거나 또는 점도가 증가된 합성 나노담체의 생산을 촉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양친매성 엔티티가 지질 막 (예를 들어, 지질 이중층, 지질 단층 등)의 내부 표면과 회합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수의 양친매성 엔티티가 본 발명에 따라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이같은 양친매성 엔티티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스포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DPPC); 디올레일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DOPE); 디올레일옥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 (DOTMA);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디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롤숙시네이트; 디포스파티딜 글리세롤 (DPPG); 헥산데칸올; 지방 알코올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옥시에틸렌-9-라우릴 에테르; 표면 활성 지방산 예컨대 팔미트산 또는 올레산; 지방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지방산 디글리세리드; 지방산 아미드;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스팬(Span)®85) 글리코콜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스팬®20); 폴리소르베이트 20 (트윈®20); 폴리소르베이트 60 (트윈®60); 폴리소르베이트 65 (트윈®65); 폴리소르베이트 80 (트윈®80); 폴리소르베이트 85 (트윈®8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서팩틴; 폴록소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레시틴; 리소레시틴;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세팔린); 카르디올리핀; 포스파티드산; 세레브로시드; 디세틸포스페이트;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스테아릴아민; 도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아세틸 팔미테이트; 글리세롤 리시놀레에이트; 헥사데실 스테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틸록사폴; 폴리(에틸렌 글리콜)5000-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400-모노스테아레이트; 인지질; 계면활성제 성질이 높은 합성 및/또는 천연 세제; 데옥시콜레이트; 시클로덱스트린; 카오트로픽 염; 이온쌍 형성제; 및 이들의 조합물. 양친매성 엔티티 성분은 상이한 양친매성 엔티티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는 계면활성제 활성이 있는 물질의 예시적인 목록이며 포괄적인 목록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임의의 양친매성 엔티티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합성 나노담체의 생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수화물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탄수화물은 유도체화된 천연 탄수화물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탄수화물은 글루코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리보스, 락토스, 수크로스, 말토스, 트레할로스, 셀비오스, 만노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토론산, 만누론산, 글루코사민, 갈락토사민 및 뉴람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탄수화물은 풀룰란, 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HPMC), 히드록시셀룰로스 (HC), 메틸셀룰로스 (MC), 덱스트란, 시클로덱스트란, 글리코겐, 히드록시에틸전분, 카라기난, 글리콘, 아밀로스, 키토산, N,O-카르복실메틸키토산, 알긴 및 알긴산, 전분, 키틴, 이눌린, 곤약, 글루코만난, 푸스툴란, 헤파린, 히알루론산, 커들란, 및 잔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당류이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탄수화물, 예컨대 다당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는 명확하게 배제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탄수화물은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및 락티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당 알콜과 같은 탄수화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비-메톡시-말단 플루로닉 중합체인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적어도 1%, 2%, 3%, 4%,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97%, 또는 99% (중량/중량)가 비-메톡시 말단 플루로닉 중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를 구성하는 중합체 모두가 비-메톡시 말단 플루로닉 중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비-메톡시 말단 중합체인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적어도 1%, 2%, 3%, 4%,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97%, 또는 99% (중량/중량)가 비-메톡시 말단 중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를 구성하는 중합체 모두가 비-메톡시 말단 중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플루로닉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적어도 1%, 2%, 3%, 4%,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97%, 또는 99% (중량/중량)가 플루로닉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를 구성하는 중합체 모두가 플루로닉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같은 중합체는 코팅층 (예를 들어, 리포솜, 지질 단층, 미셀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의 다양한 요소가 중합체와 커플링될 수 있다.
다수의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이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플링은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과 합성 나노담체 사이의 결합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이 합성 나노담체의 표면에 부착되고/되거나 합성 나노담체 내에 함유 (캡슐화)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은 합성 나노담체에 결합하기보다는 합성 나노담체의 구조의 결과로서 합성 나노담체에 의해 캡슐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중합체를 포함하고,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이 중합체에 커플링된다.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과 합성 나노담체 사이의 결합의 결과로서 커플링이 발생하는 경우, 커플링 모이어티를 통해 커플링이 발생할 수 있다. 커플링 모이어티는 이를 통해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이 합성 나노담체에 결합되는 임의의 모이어티일 수 있다. 이같은 모이어티는 공유 결합, 예컨대 아미드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 뿐만 아니라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을 합성 나노담체에 (공유결합으로 또는 비-공유결합으로) 결합시키는 별도의 분자를 포함한다. 이같은 분자는 링커 또는 중합체 또는 이의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플링 모이어티는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이 이에 정전기적으로 결합하는 하전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커플링 모이어티는 자신이 공유결합으로 결합되는 중합체 또는 이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합성 나노담체는 완전히 중합체성일 수 있거나, 또는 중합체 및 기타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의 중합체들이 회합되어 중합체성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양태 중 일부에서, 면역조절제 또는 항원과 같은 성분이 중합체성 매트릭스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공유결합으로 회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유결합 회합이 링커에 의해 매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성분이 중합체성 매트릭스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비-공유결합으로 회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성분이 중합체성 매트릭스 내에 캡슐화되고/되거나, 중합체성 매트릭스로 둘러싸이고/싸이거나, 중합체성 매트릭스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성분이 소수성 상호작용, 전하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힘 등에 의해 중합체성 매트릭스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회합될 수 있다. 광범위한 중합체 및 이로부터 중합체성 매트릭스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중합체는 천연 또는 비-천연 (합성) 중합체일 수 있다.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또는 2가지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서열 면에서, 공중합체는 무작위일 수 있거나, 블록일 수 있거나, 또는 무작위 및 블록 서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유기 중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 또는 이의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코-글리콜산),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이의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가 생물분해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가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가 생물분해성이도록 폴리에테르 및 생물분해성 중합체의 블럭-공중합체를 중합체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폴리에테르 또는 이의 유닛,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의 유닛을 단독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중합체의 기타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폴리(1,3-디옥산-2온)), 다가무수물 (예를 들어 폴리(세박산 무수물)), 폴리프로필푸머레이트,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산 (예를 들어, 폴리(β-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우레탄, 폴리포스파젠,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아,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민, 폴리리신, 폴리리신-PEG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 이민)-PEG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락트-코-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1,3-다이옥산-2온)); 다가무수물 (예를 들어, 폴리(세박산 무수물));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우레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21 C.F.R. §177.2600 하에 미국 식품의약청 (FDA)이 인간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승인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친수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는 음이온성 기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기, 술페이트 기, 카르복실레이트 기); 양이온성 기 (예를 들어, 4급 아민 기); 또는 극성 기 (예를 들어, 히드록실 기, 티올 기, 아민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친수성 중합체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합성 나노담체는 합성 나노담체 내에 친수성 환경을 생성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소수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소수성 중합체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합성 나노담체는 합성 나노담체 내에 소수성 환경을 생성시킨다. 중합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선택은 합성 나노담체 내에 혼입되는 (예를 들어 커플링되는) 물질의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 및/또는 관능기로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모이어티 또는 관능기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탄수화물, 및/또는 다당류로부터 유래된 비환식 폴리아세탈로 변형될 수 있다 (Papisov, 2001, ACS Symposium Series, 786:301). 그레프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543158, 또는 폰 안드리안 등의 WO 공개 WO2009/051837의 일반적인 교시내용을 사용하여 특정 실시양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가 지질 또는 지방산 기로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방산 기는 부티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또는 리그노세르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방산 기는 팔미톨레산, 올레산, 박센산, 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 감마-리놀레산, 아라키돈산, 가돌레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에루크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락트산 및 글리콜산 유닛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트산-코-글리솔산) 및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본원에서 총괄적으로 "PLGA"로 지칭됨); 및 글리콜산 유닛을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본원에서 "PGA"로 지칭됨), 및 락트산 유닛을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예컨대 폴리-L-락트산, 폴리-D-락트산, 폴리-D,L-락트산, 폴리-L-락티드, 폴리-D-락티드, 및 폴리-D,L-락티드 (본원에서 총괄적으로 "PLA"로 지칭됨)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예시적인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폴리히드록시산; PEG 공중합체 및 락티드 및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PLA-PEG 공중합체, PGA-PEG 공중합체, PLGA-PEG 공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PEG 공중합체, 폴리(L-락티드-코-L-리신), 폴리(세린 에스테르), 폴리(4-히드록시-L-프롤린 에스테르), 폴리[α-(4-아미노부틸)-L-글리콜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PLGA일 수 있다. PLGA는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생체적합성, 생물분해성 공중합체이고, 다양한 형태의 PLGA가 락트산:글리콜산 비에 의해 특성화된다. 락트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D,L-락트산일 수 있다. 락트산:글리콜산 비를 변경함으로써 PLGA의 분해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PLGA는 약 85:15, 약 75:25, 약 60:40, 약 50:50, 약 40:60, 약 25:75, 또는 약 15:85의 락트산:글리콜산 비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중합체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 무수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4차 암모늄 기의 함량이 낮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완전히 중합된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양이온성 중합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이온성 중합체는 핵산 (예를 들어 DNA,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음성으로 하전된 가닥을 응축시키고/시키거나 보호할 수 있다. 아민-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리신) (문헌 [Zauner et al., 1998, Adv. Drug Del. Rev., 30:97]; 및 [Kabanov et al., 1995, Bioconjugate Chem., 6:7]), 폴리(에틸렌 이민) (PEI; 문헌 [Boussif et al., 1995, Proc. Natl. Acad. Sci., USA, 1995, 92:7297]), 및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문헌 [Kukowska-Latallo et al., 1996, Proc. Natl. Acad. Sci., USA, 93:4897]; [Tang et al., 1996, Bioconjugate Chem., 7:703]; 및 [Haensler et al., 1993, Bioconjugate Chem., 4:372])는 생리학적 pH에서 양성으로 하전되고, 핵산과 이온 쌍을 형성하며, 다양한 세포주에서 형질감염을 매개한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배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양이온성 측쇄를 보유하는 분해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문헌 [Putnam et al., 1999, Macromolecules, 32:3658]; [Barrera et al., 1993, J. Am. Chem. Soc., 115:11010]; [Kwon et al., 1989, Macromolecules, 22:3250]; [Lim et al., 1999, J. Am. Chem. Soc., 121:5633]; 및 [Zhou et al., 1990, Macromolecules, 23:3399]).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예는 폴리(L-락티드-코-L-리신) (Barrera et al., 1993, J. Am. Chem. Soc., 115:11010), 폴리(세린 에스테르) (Zhou et al., 1990, Macromolecules, 23:3399), 폴리(4-히드록시-L-프롤린 에스테르) (문헌 [Putnam et al., 1999, Macromolecules, 32:3658]; 및 [Lim et al., 1999, J. Am. Chem. Soc., 121:5633]), 및 폴리(4-히드록시-L-프롤린 에스테르) (문헌 [Putnam et al., 1999, Macromolecules, 32:3658]; 및 [Lim et al., 1999, J. Am. Chem. Soc., 121:56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 및 기타 중합체의 성질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이 관련 기술분야에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6,123,727; 5,804,178; 5,770,417; 5,736,372; 5,716,404; 6,095,148; 5,837,752; 5,902,599; 5,696,175; 5,514,378; 5,512,600; 5,399,665; 5,019,379; 5,010,167; 4,806,621; 4,638,045; 및 4,946,929; 문헌 [Wang et al., 2001, J. Am. Chem. Soc., 123:9480]; [Lim et al., 2001, J. Am. Chem. Soc., 123:2460]; [Langer, 2000, Acc. Chem. Res., 33:94]; [Langer, 1999, J. Control. Release, 62:7]; 및 [Uhrich et al., 1999, Chem. Rev., 99:3181] 참조). 더욱 일반적으로, 특정한 적절한 중합체를 합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문헌 [Concise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Polymeric Amines and Ammonium Salts, Ed. by Goethals, Pergamon Press, 1980]; [Principles of Polymerization by Odian, John Wiley & Sons, Fourth Edition, 2004];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by Allcock et al., Prentice-Hall, 1981]; [Deming et al., 1997, Nature, 390:386]; 및 미국 특허 6,506,577, 6,632,922, 6,686,446, 및 6,818,732에 기술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선형 또는 분지형 중합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덴드리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서로 가교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가교가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교 단계의 진행 없이 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가 블럭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상기 중 임의의 것 및 기타 중합체의 배합물, 혼합물 및/또는 부가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추가로 이해하여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서 열거된 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의 예시적이지만 포괄적이지 않은 목록을 나타낸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중합체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는 금속 입자, 양자점, 세라믹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는 비-중합체성 성분의 응집체, 예컨대 금속 원자 (예를 들어, 금 원자)의 응집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예컨대 방부제, 완충제, 염수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와 조합된 합성 나노담체를 포함한다. 유용한 투약 형태에 도달하도록 통상적인 제약 제조 및 배합 기술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방부제와 함께 주사용 무균 염수 용액 내에 현탁된다.
실시양태에서, 담체로서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하는 경우, 성분을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하는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성분이 소형 분자이면, 합성 나노담체의 조립 전에 성분을 중합체에 부착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성분을 중합체에 부착시킨 후 이러한 중합체 접합체를 합성 나노담체의 구축에 사용하는 것보다는 표면 기의 사용을 통해 성분을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시키는데 사용되는 표면 기가 있는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커플링은 공유결합 링커일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가 나노담체의 표면 상의 아지도 기와 알킨 기를 함유하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의 1,3-쌍극성 고리부가 반응에 의해 또는 나노담체의 표면 상의 알킨과 아지도 기를 함유하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의 1,3-쌍극성 고리부가 반응에 의해 형성된 1,2,3-트리아졸 링커를 통해 외부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같은 고리부가 반응은 적절한 Cu(I)-리간드 및 Cu(II) 화합물을 촉매적으로 활성인 Cu(I) 화합물로 환원시키는 환원제와 함께 Cu(I)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이러한 Cu(I)-촉매 아지드-알킨 고리부가 (CuAAC)는 클릭 반응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추가로, 공유결합 커플링은 아미드 링커, 디술피드 링커, 티오에테르 링커, 히드라존 링커, 히드라지드 링커, 이민 또는 옥심 링커, 요소 또는 티오우레아 링커, 아미딘 링커, 아민 링커, 및 술폰아미드 링커를 포함하는 공유결합 링커를 포함할 수 있다.
아미드 링커는 한 성분 예컨대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 상의 아미드와 제2 성분 예컨대 나노담체의 카르복실산 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통해 형성된다. 링커 내의 아미드 결합은 적절하게 보호된 아미노산 및 활성화된 카르복실산 예컨대 N-히드록시숙신이미드-활성화 에스테르와의 통상적인 아미드 결합 형성 반응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디술피드 링커는 예를 들어 R1-S-S-R2 형태의 2개의 황 원자 사이의 디술피드 (S-S) 결합의 형성을 통해 제조된다. 디술피드 결합은 티올/메르캅탄 기 (-SH)를 함유하는 성분과 중합체 또는 나노담체 상의 또 다른 활성화된 티올 기, 또는 티올/메르캅탄 기를 함유하는 나노담체와 활성화된 티올 기를 함유하는 성분의 티올 교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트리아졸 링커, 특히 형태
Figure 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임의의 화학 엔티티일 수 있다]의 1,2,3-트리아졸은 제1 성분 예컨대 나노담체에 부착된 아지드와 제2 성분 예컨대 면역조절제 또는 항원에 부착된 말단 알킨의 1,3-쌍극성 고리부가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1,3-쌍극성 고리부가 반응은 촉매, 바람직하게는 Cu(I)-촉매의 존재 하에 또는 이의 부재 하에 수행되고, 이는 2개의 성분을 1,2,3-트리아졸 관능기를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화학이 문헌 [Sharpless et al., Angew. Chem. Int. Ed. 41(14), 2596, (2002)] 및 [Meldal, et al, Chem. Rev., 2008, 108(8), 2952-3015]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고, 종종 "클릭" 반응 또는 CuAAC로 지칭된다.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사슬에 대해 말단인 아지드 또는 알킨 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제조된다. 그 후, 이러한 중합체를 사용하여, 다수의 알킨 또는 아지드 기가 나노담체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한다. 대안적으로, 합성 나노담체를 또 다른 경로로 제조할 수 있고, 이어서 알킨 또는 아지드 기로 관능화시킬 수 있다. 알킨 (중합체가 아지드를 함유하는 경우) 또는 아지드 (중합체가 알킨을 함유하는 경우) 기의 존재 하에 성분이 제조된다. 그 후, 1,4-이치환 1,2,3-트리아졸 링커를 통해 성분을 입자에 공유결합으로 커플링시키는 촉매의 존재 하에 또는 이의 부재 하에 1,3-쌍극성 고리부가 반응을 통해 성분을 나노담체와 반응시킨다.
티오에테르 링커는 예를 들어 R1-S-R2 형태의 황-탄소 (티오에테르) 결합의 형성에 의해 제조된다. 티오에테르는 한 성분 상의 티올/메르캅탄 (-SH) 기의 제2 성분 상의 알킬화 기 예컨대 할라이드 또는 에폭시드로의 알킬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티오에테르 링커는 한 성분 상의 티올/메르캅탄 기의 마이클 수용체로서의 말레이미드 기 또는 비닐 술폰 기를 함유하는 제2 성분 상의 전자-결핍 알켄 기로의 마이클 부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티오에테르 링커는 한 성분 상의 티올/메르캅탄 기와 제2 성분 상의 알켄 기의 라디칼 티올-엔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히드라존 링커는 한 성분 상의 히드라지드 기와 제2 성분 상의 알데히드/케톤 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히드라지드 링커는 한 성분 상의 히드라진 기와 제2 성분 상의 카르복실산 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같은 반응은 아미드 결합 형성과 유사한 화학을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이때 카르복실산이 활성화 시약으로 활성화된다.
이민 또는 옥심 링커는 한 성분 상의 아민 또는 N-알콕시아민 (또는 아미노옥시) 기와 제2 성분 상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요소 또는 티오우레아 링커는 한 성분 상의 아민 기와 제2 성분 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아미딘 링커는 한 성분 상의 아민 기와 제2 성분 상의 이미도에스테르 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아민 링커는 한 성분 상의 아민 기의 제2 성분 상의 알킬화 기 예컨대 할라이드, 에폭시드 또는 술포네이트 에스테르 기로의 알킬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아민 링커는 적절한 환원 시약 예컨대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또는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를 사용하는 한 성분 상의 아민 기의 제2 성분 상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기로의 환원적 아미드화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술폰아미드 링커는 한 성분 상의 아민 기와 제2 성분 상의 술포닐 할라이드 (예컨대 술포닐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술폰 링커는 비닐 술폰으로의 친핵체의 마이클 부가에 의해 제조된다. 비닐 술폰 또는 친핵체 중 하나가 나노담체의 표면 상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성분에 부착될 수 있다.
비-공유결합 접합 방법을 통해 성분이 나노담체에 접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으로 하전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가 양성으로 하전된 나노담체에 정전기 흡착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금속 리간드를 함유하는 성분이 금속 착물을 함유하는 나노담체에 금속-리간드 착물을 통해 접합될 수도 있다.
실시양태에서, 합성 나노담체의 조립 전에 성분이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블럭-폴리에틸렌 글리콜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반응성이거나 활성화가능한 기가 표면 상에 있는 합성 나노담체가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합성 나노담체의 표면이 제시하는 부착 화학과 상용성인 기가 있는 성분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펩티드 성분이 적절한 링커를 사용하여 VLP 또는 리포솜에 부착될 수 있다. 링커는 2개의 분자를 함께 커플링시킬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시약이다. 실시양태에서, 링커는 문헌 [Hermanson 2008]에 기술된 바와 같은 동종2관능성 또는 이종2관능성 시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상에 카르복실 기를 함유하는 VLP 또는 리포솜 합성 나노담체가 EDC의 존재 하에 동종2관능성 링커인 아디픽 디히드라지드 (ADH)로 처리되어, ADH 링커가 있는 상응하는 합성 나노담체가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생성된 ADH-연결 합성 나노담체가 NC 상의 ADH 링커의 다른쪽 끝부분을 통해 산 기를 함유하는 펩티드 성분과 접합되어, 상응하는 VLP 또는 리포솜 펩티드 접합체가 생산된다.
이용가능한 접합 방법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문헌 [Hermanson G T "Bioconjugate Techniques", 2nd Edition Published by Academic Press, Inc., 2008]을 참조한다. 공유결합 부착에 더하여, 성분은 미리 형성된 합성 나노담체에 흡착에 의해 커플링될 수 있거나, 또는 합성 나노담체의 형성 동안 캡슐화에 의해 커플링될 수 있다.
변형된 항원
일부 실시양태에서, 언급된 조성물 및/또는 언급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중 어느 하나는 변형된 항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변형은 순환 안정성 증가 (예컨대 단백질 또는 펩티드 항원의 PEG화), 펩티다제 소화에 대한 감수성 감소 (예컨대 천연 아미노산의 비-천연 아미노산으로의 치환), 및 관용유발 성능 강화 (예컨대 적혈구에 대한 부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변형된 항원은 적혈구에 결합하는 결합 모이어티와 융합된 관심 항원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이같은 결합 모이어티의 예는 문헌에서 H2N-WMVLPWLPGTLDGGSGCRGCONH2 (서열 1)로 기술된 합성 12-aa 펩티드 (ERY1)를 포함하고, 이는 문헌에서 마우스 글리코포린-A 결합제로서 기술된 12량체 서열을 포함한다. GGSG 영역이 접합에 사용된 시스테인 잔기에 대한 링커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술되었고, 측면의 아르기닌 잔기가 pKa를 낮추며, 따라서 시스테인 잔기의 반응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결합 모이어티 예컨대 뮤린 글리코포린 A-결합 모이어티 또는 다른 종 (예를 들어 인간)에 대한 등가의 이같은 모이어티와 융합돤 관심 항원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뮤린 글리코포린 A-결합 TER-119 Ab, 또는 이의 단편 (예컨대 TER-119 scFv)이 관심 항원과 융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헌 [S. Kontos et al., "Engineering antigens for in situ erythrocyte binding induces T-cell dele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2013 Jan 2;110(1):E60-8 ("문헌 [Kontsos]")]을 참조한다. 논문 [Kontos] 및 관련 문헌에 일반적으로 개시된 파지 디스플레이 또는 mAb/mAb 단편 접근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적혈구 결합 모이어티가 생성될 수 있다.
변형된 항원이 다양한 경로를 사용하는 투여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적합한 제제화 접근법, 및 유용한 경로가 본원의 다른 곳에서 개시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발현된 항원:
일부 실시양태에서, 언급된 조성물 및/또는 언급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제는 발현된 항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발현된 항원은 유전학적 구축물, 바람직하게는 고도로 면역원성이지 않은 유전학적 구축물의 전달 후에 발현된다. 이같은 유전학적 구축물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축물; 플라스미드; 또는 네이키드 DNA 또는 RNA (cDNA, 메신저 RNA, 변형된 메신저 RNA, 및 RNAi 형태를 포함함)의 직접 주입 (리포솜, 양이온성 지질); 또는 응축 DNA/RNA 입자, 또는 유전자 총 전달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문헌 [J. R. Ohlfest et al., "Phenotypic correction and long-term expression of factor VIII in hemophilic mice by immunotolerization and nonviral gene transfer using the Sleeping Beauty transposon system" Blood 2005;105:2691-2698]; [A Tautzenberger et al., "Nanoparticles and their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bone" Int'l. J. of Nanomedicine 2012:7 4545-4557]을 참조한다. 변형된 메신저 RNA (이의 직접 주입 포함)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3/0115272 (드 푸제롤레스(de Fougerolles) 등)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2/0251618 (스크룸(Schrum)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의 다른 곳에서 열거되거나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단백질 중 임의의 것이 발현된 항원의 맥락에서의 전달에 고려될 수 있다.
발현된 항원이 다양한 경로를 사용하는 투여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적합한 제제화 접근법, 및 유용한 경로가 본원의 다른 곳에서 개시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에 적용될 수 있다.
항원
외인성 및 내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항원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행에서 유용한 항원이 선택될 수 있다.
외인성 항원
외인성 항원은, 본원의 다른 곳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치료 단백질, 변형된 항원, 및 발현된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단백질은 본원에서 제공된 치료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유도체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단백질은 불용성 치료 단백질, 효소, 효소 보조인자, 호르몬, 혈액 응고 인자, 시토카인 및 인터페론, 성장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및 폴리클로날 항체, 및 폼페병과 연관된 단백질 (예를 들어, 알글루코시다제 알파, rhGAA (예를 들어, 미오자임(Myozyme) 및 루미자임(Lumizyme) (젠자임(Genzyme))) (예를 들어, 대체 요법으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료 단백질은 혈액 응고 케스케이드에서 수반되는 단백질을 또한 포함한다. 치료 단백질은 인자 VIII, 인자 VII, 인자 IX, 인자 V, 폰 빌레브란트 인자, 폰 힐데브란트 인자,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인슐린, 성장 호르몬, 에리트로포이에틴 알파, VEGF, 트롬보포이에틴, 라이소자임, 항트롬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료 단백질은 아디포카인, 예컨대 렙틴 및 아디포넥틴을 또한 포함한다. 치료 단백질의 기타 예는 하기 및 본원의 다른 곳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항원으로서 제공된 치료 단백질 중 임의의 것의 단편 또는 유도체가 또한 포함된다.
리소좀 축적 장애가 있는 대상체의 효소 대체 요법에서 사용된 치료 단백질의 예는 고셔병의 치료를 위한 이미글루세라제 (예를 들어, 세레자임(CEREZYME)™), 파브리병의 치료를 위한 a-갈락토시다제 A (a-gal A) (예를 들어, 아갈시다제 베타, 파브리자임(FABRYZYME)™), 폼페병의 치료를 위한 산 a-글루코시다제 (GAA) (예를 들어, 알글루코시다제 알파, 루미자임(LUMIZYME)™, 미오자임(MYOZYME)™), 뮤코다당질축적증의 치료를 위한 아릴술파타제 B (예를 들어, 라로니다제, 알두라자임(ALDURAZYME)™, 이두르술파제, 엘라프라제(ELAPRASE)™, 아릴술파타제 B, 나글라자임(NAGLAZYM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효소의 예는 옥시도리덕타제, 트랜스퍼라제, 히드롤라제, 리아제, 이소머라제, 및 리가제를 포함한다.
호르몬의 예는 멜라토닌 (N-아세틸-5-메톡시트립타민), 세로토닌, 티록신 (또는 테트라아이오도티로닌) (갑상선 호르몬), 트리아이오도티로닌 (갑상선 호르몬), 에피네프린 (또는 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또는 프로락틴 억제 호르몬), 항뮬러관 호르몬 (또는 뮬러관 억제 인자 또는 호르몬), 아디포넥틴, 부실피질자극 호르몬 (또는 코르티코트로핀), 안지오텐시노겐 및 안지오텐신, 항이뇨 호르몬 (또는 바소프레신, 아르기닌 바소프레신), 심방 나트륨배설 펩티드 (또는 아트리오펩틴), 칼시토닌, 콜레시스토키닌, 코르티코트로핀-방출 호르몬, 에리트로포이에틴, 여포 자극 호르몬, 가스트린, 그렐린, 글루카곤, 글루카곤-유사 펩티드 (GLP1), GIP, 성선자극호르몬-방출 호르몬, 성장 호르몬-방출 호르몬,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인간 태반성 락토겐, 성장 호르몬, 인히빈, 인슐린,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또는 소마토메딘), 렙틴, 황체형성 호르몬,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오렉신, 옥시토신, 부갑상선 호르몬, 프로락틴, 릴랙신, 세크레틴, 소마토스타틴, 트롬보포이에틴, 갑상선-자극 호르몬 (또는 티로트로핀), 티로트로핀-방출 호르몬, 코르티솔, 알도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안드로스텐디온,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칼시트리올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칼시디올 (25-히드록시비타민 D3),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프로스타사이클린, 트롬복산, 프로락틴 방출 호르몬, 리포트로핀, 뇌 나트륨배설 펩티드, 뉴로펩티드 Y, 히스타민, 엔도텔린, 췌장 폴리펩티드, 레닌, 및 엔케팔린을 포함한다.
혈액 및 혈액 응고 인자의 예는 인자 I (피브리노겐), 인자 II (프로트롬빈), 조직 인자, 인자 V (프로액셀레린, 불안정 인자), 인자 VII (안정 인자, 프로콘버틴), 인자 VIII (항혈우병 글로불린), 인자 IX (크리스마스 인자 또는 혈장 트롬보플라스틴 성분), 인자 X (스튜어트-프라워 인자), 인자 Xa, 인자 XI, 인자 XII (하게만 인자), 인자 XIII (피브린-안정화 인자), 폰 필레브란트 인자, 프리칼리크레인 (플레처 인자), 고분자량 키니노겐 (HMWK) (피츠제럴드 인자), 피브로넥틴, 피브린, 트롬빈, 항트롬빈 III, 헤파린 보조인자 II, 단백질 C, 단백질 S, 단백질 Z, 단백질 Z-관련 프로테아제 억제제 (ZPI), 플라스미노겐, 알파 2-항플라스민,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tPA), 유로키나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억제제-1 (PAI1),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억제제-2 (PAI2), 암 응고유발제 및 에포에틴 알파 (에포젠(Epogen), 프로크리트(Procrit))를 포함한다.
시토카인의 예는 림포카인, 인터류킨, 및 케모카인, 1형 시토카인, 예컨대 IFN-γ, TGF-β, 및 2형 시토카인, 예컨대 IL-4, IL-10, 및 IL-13을 포함한다.
성장 인자의 예는 아드레노메둘린 (AM), 안지오포이에틴 (Ang), 자가분비 운동성 인자,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 뇌-유래 신경영양 인자 (BDNF), 표피 성장 인자 (EGF),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FGF), 신경교 세포-유래 신경영양 인자 (GDNF), 과립구 콜로니-자극 인자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성장 분화 인자-9 (GDF9), 간세포 성장 인자 (HGF), 간암-유래 성장 인자 (HDGF),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IGF), 이동-자극 인자, 마이오스타틴 (GDF-8), 신경 성장 인자 (NGF) 및 기타 뉴로트로핀,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PDGF), 트롬보포이에틴 (TPO), 전환 성장 인자 알파 (TGF-α), 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β), 종양_괴사_인자-알파 (TNF-α),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Wnt 신호전달 경로, 태반 성장 인자 (PlGF), [(소 태아 소마토트로핀)] (FBS), IL-1, IL-2, IL-3, IL-4, IL-5, IL-6, 및 IL-7을 포함한다.
모노클로날 항체의 예는 아바고보맙(Abagovomab), 아브식시맙(Abciximab), 아달리무맙(Adalimumab), 아데카투무맙(Adecatumumab), 아펠리모맙(Afelimomab), 아푸투주맙(Afutuzumab), 알라시주맙 페골(Alacizumab pegol), ALD,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알투모맙 펜테테이트(Altumomab pentetate),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Anatumomab mafenatox), 안루킨주맙(Anrukinzumab), 항-흉선세포 글로빈, 아폴리주맙(Apolizumab), 아르시투모맙(Arcitumomab), 아셀리주맙(Aselizumab), 아틀리주맙(Atlizumab) (토실리주맙(tocilizumab)), 아토롤리무맙(Atorolimumab), 바피뉴주맙(Bapineuzumab), 바실릭시맙(Basiliximab), 바비툭시맙(Bavituximab), 베크투모맙(Bectumomab), 벨리무맙(Belimumab), 벤랄리주맙(Benralizumab), 베르틸리무맙(Bertilimumab), 베실레소맙(Besileso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비시로맙(Biciromab), 비바투주맙 메르탄신(Bivatuzumab mertansine), 블리나투모맙(Blinatumomab), 브렌툭시맙 베도틴(Brentuximab vedotin), 브리아키누맙(Briakinumab), 카나키누맙(Canakinumab), 칸투주맙 메르탄신(Cantuzumab mertansine), 카프로맙 펜데티드(Capromab pendetide), 카투막소맙(Catumaxomab), 세델리주맙(Cedelizumab), 세르톨리주맙 페골(Certolizumab pegol), 세툭시맙(Cetuximab), 시타투주맙 보가톡스(Citatuzumab bogatox), 식수투무맙(Cixutumumab), 클레놀릭시맙(Clenoliximab), 클리바투주맙 테트락세탄(Clivatuzumab tetraxetan), 코나투무맙(Conatumumab), 다세투주맙(Dacetuzumab), 다클리주맙(Daclizumab), 다라투무맙(Daratumumab), 데노수맙(Denosumab), 데투모맙(Detumomab), 도리모맙 아리톡스(Dorlimomab aritox), 도릭시주맙(Dorlixizumab), 에크로멕시맙(Ecromeximab), 에쿨리주맙(Eculizumab), 에도바코맙(Edobacomab), 에드레콜로맙(Edrecolomab), 에팔리주맙(Efalizumab), 에푼구맙(Efungumab), 엘로투주맙(Elotuzumab), 엘실리모맙(Elsilimomab), 엔리모맙 페골(Enlimomab pegol), 에피투모맙 시툭세탄(Epitumomab cituxetan), 에프라투주맙(Epratuzumab), 에리주맙(Erlizumab), 에르투막소맙(Ertumaxomab), 에타라시주맙(Etaracizumab), 엑스비비루맙(Exbivirumab), 파놀레소맙(Fanolesomab), 파랄리모맙(Faralimomab), 파레투주맙(Farletuzumab), 펠비주맙(Felvizumab), 페자키누맙(Fezakinumab), 피지투무맙(Figitumumab), 폰톨리주맙(Fontolizumab), 포라비루맙(Foravirumab), 프레솔리무맙(Fresolimumab), 갈릭시맙(Galiximab), 잔테네루맙(Gantenerumab), 자빌리모맙(Gavilimomab), 젬투주맙 오조가미신(Gemtuzumab ozogamicin), GC1008, 지렌툭시맙(Girentuximab), 글렘바투무맙 베도틴(Glembatumumab vedotin), 골리무맙(Golimumab), 고밀릭시맙(Gomiliximab), 이발리주맙(Ibalizumab),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Ibritumomab tiuxetan), 아이고보맙(Igovomab), 임시로맙(Imciro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인테투무맙(Intetumumab), 이놀리모맙(Inolimomab), 이노투주맙 오조가마이신(Inotuzumab ozogamicin), 이필리무맙(Ipilimumab), 이라투무맙(Iratumumab), 켈릭시맙(Keliximab), 라베투주맙(Labetuzumab), 레브리키주맙(Lebrikizumab), 레말레소맙(Lemalesomab), 레르델리무맙(Lerdelimumab), 렉사투무맙(Lexatumumab), 리비비루맙(Libivirumab), 린투주맙(Lintuzumab), 로보투주맙 메르탄신(Lorvotuzumab mertansine), 루카투무맙(Lucatumumab), 루밀릭시맙(Lumiliximab), 마파투무맙(Mapatumumab), 마슬리모맙(Maslimomab), 마투주맙(Matuzumab), 메폴리주맙(Mepolizumab), 메텔리무맙(Metelimumab), 밀라투주맙(Milatuzumab), 민레투모맙(Minretumomab), 미투모맙(Mitumomab), 모롤리무맙(Morolimumab), 모타비주맙(Motavizumab), 무로모납(Muromonab)-CD3, 나콜로맙 타페나톡스(Nacolomab tafenatox), 나프투모맙 에스타페나톡스(Naptumomab estafenatox), 나탈리주맙, 네바쿠맙(Nebacumab), 네시투무맙(Necitumumab), 네렐리모맙(Nerelimomab), 니모투주맙(Nimotuzumab), 노페투모맙 메르펜탄(Nofetumomab merpentan), 오크렐리주맙(Ocrelizumab), 오둘리모맙(Odulimo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올라라투맙(Olaratumab), 오말리주맙(Omalizumab), 오포르투주맙 모나톡스(Oportuzumab monatox), 오레고보맙(Oregovomab), 오텔릭시주맙(Otelixizumab), 파기박시맙(Pagibaximab), 팔리비주맙(Palivizumab), 파니투무맙(Panitumumab), 파노바쿠맙(Panobacumab), 파스콜리주맙(Pascolizumab), 펨투모맙(Pemtumomab), 페르투주맙(Pertuzumab), 펙셀리주맙(Pexelizumab), 핀투모맙(Pintumomab), 프릴릭시맙(Priliximab), 프리투무맙(Pritumumab), 라피비루맙(Rafivirumab), 라무시루맙(Ramucir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락시바쿠맙(Raxibacumab), 레가비루맙(Regavirumab) 레슬리주맙(Reslizumab), 릴로투무맙(Rilotumumab), 리툭시맙(Rituximab), 로바투무맙(Robatumumab), 론탈리주맙(Rontalizumab), 로벨리주맙(Rovelizumab), 루플리주맙(Ruplizumab), 사투모맙 펜데티드(Satumomab pendetide), 세비루맙(Sevirumab), 시브로투주맙(Sibrotuzumab), 시팔리무맙(Sifalimumab), 실툭시맙(Siltuximab), 시플리주맙(Siplizumab), 솔라네주맙(Solanezumab), 소네프시주맙(Sonepcizumab), 손투주맙(Sontuzumab), 스타물루맙(Stamulumab), 술레소맙(Sulesomab), 타카투주맙 테트락세탄(Tacatuzumab tetraxetan), 타도시주맙(Tadocizumab), 탈리주맙(Talizumab), 타네주맙(Tanezumab), 타플리투모맙 팝톡스(Taplitumomab paptox), 테피바주맙(Tefibazumab), 텔리모맙 아리톡스(Telimomab aritox), 테나투모맙(Tenatumomab), 테넬릭시맙(Teneliximab), 테플리주맙(Teplizumab), 티실리무맙(Ticilim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티가투주맙(Tigatuzumab), 토실리주맙(Tocilizumab) (아틀리주맙(atlizumab)), 토랄리주맙(Toralizumab), 토시투모맙(Tositumoma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투코투주맙 셀모류킨(Tucotuzumab celmoleukin), 투비루맙(Tuvirumab), 우르톡사주맙(Urtoxazumab), 유스테키누맙(Ustekinumab), 바팔릭시맙(Vapaliximab), 베돌리주맙(Vedolizumab), 벨투주맙(Veltuzumab), 베팔리모맙(Vepalimomab), 비실리주맙(Visilizumab), 볼로식시맙(Volociximab), 보투무맙(Votumumab), 잘루투무맙(Zalutumumab), 자놀리무맙(Zanolimumab), 지랄리무맙(Ziralimumab) 및 졸리모맙 아리톡스(Zolimomab aritox)를 포함한다.
주입 요법 또는 주사가능한 치료 단백질의 예는, 예를 들어, 토실리주맙 (로슈(Roche)/아크템라(Actemra)®), 알파-1 항트립신 (카마다(Kamada)/AAT), 헤마티드(Hematide)® (어피맥스(Affymax) 및 다케다(Takeda), 합성 펩티드), 알빈테르페론 알파-2b (노바티스(Novartis)/잘빈(Zalbin)™), 루신(Rhucin)® (파밍 그룹(Pharming Group), C1 억제제 대체 요법), 테사모렐린 (쎄라테크놀로지스(Theratechnologies)/에그리프타(Egrifta), 합성 성장 호르몬-방출 인자), 오크렐리주맙 (제넨테크(Genentech), 로슈(Roche) 및 바이오젠(Biogen)), 벨리무맙 (글락소스미쓰클라인(GlaxoSmithKline)/벤리스타(Benlysta)®), 페글로티카제 (사비엔트 파마슈티칼즈(Savient Pharmaceuticals)/크리스텍사(Krystexxa)™), 페그시티카제, 탈리글루세라제 알파 (프로탈릭스(Protalix)/유플리소(Uplyso)), 아갈시다제 알파 (시레(Shire)/레플라갈(Replagal)®), 벨라글루세라제 알파 (시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유용한 추가적인 치료 단백질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외인성 항원은 변형된 항원 또는 발현된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항원, 예컨대 관심 항원과 적혈구를 표적화하는 모이어티 사이의 융합 구축물이 본원의 다른 곳에서 기술되었고, 본 발명의 실행에서 유용할 수 있다.
발현된 항원, 예컨대 면역원성이 아니거나 불량하게 면역원성인 유전자 벡 터, 플라스미드 DNA, 핵산 (예를 들어 DNA 또는 RNA), 또는 변형된 핵산의 투여에 의해 생성된 항원이 본원의 다른 곳에서 기술되었고, 본 발명의 실행에서 유용할 수 있다.
내인성 항원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는 내인성 항원인 항원을 포함한다. 내인성 항원은 자가항원, 예컨대 자가면역 질환에서 발견되는 것을 포함한다. 자가항원은 강직성 척추염; 수포성 천포창;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인슐린-의존적 당뇨병, 당뇨병, 소아 당뇨병, 자발적 자가면역 당뇨병, 면역-매개 또는 I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당뇨병; 습진; 염증성 장 질환 (예를 들어, 크론병 또는 궤양성 결장염) 예컨대 자가면역 염증성 장 질환; 루푸스 또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건선; 사르코이드증; 전신 경화증; 경피증; 갑상선염;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하시모토 갑상선염; 갑상선중독증; 원형 탈모증;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복강 질환; 쇼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열; 위염 자가면역 위축성 위염; 자가면역 간염; 췌도염; 난소염; 고환염; 포도막염; 수정체성 포도막염; 중증 근무력증; 원발성 점액수종; 악성 빈혈;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애디슨병; 경피증; 굿패스쳐 증후군; 신염, 예를 들어, 사구체신염; 건선; 심상성 천포창; 유천포창; 교감신경성 안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베게너 육아종증 및 다발/피부근염에서 발견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이 구상되는 일부 추가적인 예시적인 자가면역 질환, 관련된 자가항원, 및 자가항체가 하기 표 1에서 기술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내인성 항원은 이식된 조직, 예컨대 고형 장기 이식 또는 골수 이식과 연관될 수도 있다.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D)은 새롭게 이식된 물질이 이식 수용자의 신체에 대한 공격을 초래하는, 다능성 세포 (예를 들어, 줄기 세포) 또는 골수 이식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일부 경우에, GVHD는 수혈 후에 일어난다.
추가적인 내인성 항원은 염증성 질환과 연관된 항원을 포함한다. 이같은 항원은 알츠하이머병, 관절염,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크론병, 결장염, 낭성 섬유증, 피부염, 게실염, 간염, 과민성 장 증후군 (IBS), 홍반성 루푸스, 근육 디스트로피, 신염, 파킨슨병, 대상 포진 및 궤양성 대장염과 연관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염증성 질환과 연관된 항원은, 예를 들어, 심혈관 질환, 만성 폐색성 폐 질환 (COPD), 기관지확장증, 만성 담낭염, 결핵, 하시모토 갑상선염, 사르코이드증, 규폐증과 연관된 것을 또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인성 항원은 비-자가연역 염증성 장 질환, 수술후 유착, 관상동맥 질환, 간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급성 염증성 췌장염,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에 의해 유도된 췌장염, 화상, 관상, 뇌 및 말초 동맥의 죽종형성, 충수염, 담낭염, 게실염, 내장의 섬유성 장애, 상처 치유, 피부 흉터형성 장애 (켈로이드, 화농성 한선염), 육아종 장애 (사르코이드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천식, 괴저 농피증, 스위트 증후군, 베체트병, 또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면역조절제
외인성 면역조절제
본 발명의 실행에서 유용한 외인성 면역조절제는 스타틴; mTOR 억제제, 예컨대 라파마이신 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TGF-β 신호전달제; TGF-β 수용제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HDAC)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예컨대 로테논;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렉틴 수용체 (예를 들어 CD22) 리간드;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억제제; 프로테아솜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효능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시토카인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활성화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및 산화된 ATP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면역조절제는 IDO, 비타민 D3, 시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 6-메르캅토퓨린, 아스피린,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리폴리드, 인터류킨 (예를 들어, IL-1, IL-10), 시클로스포린 A, siRNA 표적화 시토카인 또는 시토카인 수용체 등을 또한 포함한다.
스타틴의 예는 아토르바스타틴 (리피토르(LIPITOR)®, 토르바스트(TORVAST)®), 세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레스콜(LESCOL)®, 레스콜® XL), 로바스타틴 (메바코르(MEVACOR)®, 알토코르(ALTOCOR)®, 알토프레브(ALTOPREV)®), 메바스타틴 (컴팩틴(COMPACTIN)®), 피타바스타틴 (리발로(LIVALO)®, 피아바(PIAVA)®), 로수바스타틴 (프라바콜(PRAVACHOL)®, 셀렉틴(SELEKTINE)®, 리포스타트(LIPOSTAT)®), 로수바스타틴 (크레스토르(CRESTOR)®) 및 심바스타틴 (조코르(ZOCOR)®, 리펙스(LIPEX)®)을 포함한다.
mTOR 억제제의 예는 라파마이신 및 이의 유사체 (예를 들어, CCL-779, RAD001, AP23573, C20-메탈릴라파마이신 (C20-Marap), C16-(S)-부틸술폰아미도라파마이신 (C16-BSrap), C16-(S)-3-메틸인돌라파마이신 (C16-iRap) (Bayle et al. Chemistry & Biology 2006, 13:99-107)), AZD8055, BEZ235 (NVP-BEZ235), 크리소판산 (크리소파놀), 데포롤리무스 (MK-8669), 에베롤리무스 (RAD0001), KU-0063794, PI-103, PP242, 템시롤리무스, 및 WYE-354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의 셀렉(Selleck)으로부터 입수가능함)를 포함한다.
TGF-β 신호전달제의 예는 TGF-β 리간드 (예를 들어, 액티빈 A, GDF1, GDF11, 골 형태형성 단백질, 노달, TGF-β) 및 이들의 수용체 (예를 들어, ACVR1B, ACVR1C, ACVR2A, ACVR2B, BMPR2, BMPR1A, BMPR1B, TGFβRI, TGFβRII), R-SMADS/co-SMADS (예를 들어, SMAD1, SMAD2, SMAD3, SMAD4, SMAD5, SMAD8), 및 리간드 억제제 (예를 들어, 폴리스타틴, 노긴, 코르딘, DAN, 레프티, LTBP1, THBS1, 데코린(Decorin))를 포함한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의 예는 아트락틸로시드 (디포타슘 염), 봉크렉산 (트리암모늄 염), 카르보닐 시아나이드 m-클로로페닐히드라존, 카르복시아트락틸로시드 (예를 들어, 아트락틸리스 굼미페라(Atractylis gummifera)로부터의 것), CGP-37157, (-)-데구엘린(Deguelin) (예를 들어, 문둘레아 세리세아(Mundulea sericea)로부터의 것), F16, 헥소키나제 II VDAC 결합 도메인 펩티드, 올리고마이신, 로테논, Ru360, SFK1, 및 발리노마이신 (예를 들어, 스트렙토마이세스 풀비시무스(Streptomyces fulvissimus)로부터의 것) (EMD4바이오사이언시즈(EMD4Biosciences), 미국)을 포함한다.
P38 억제제의 예는 SB-203580 (4-(4-플루오로페닐)-2-(4-메틸술피닐페닐)-5-(4-pyridyl)1H-이미다졸), SB-239063 (트랜스-1-(4히드록시시클로헥실)-4-(플루오로페닐)-5-(2-메톡시-피리미딘-4-일) 이미다졸), SB-220025 (5-(2아미노-4-피리미디닐)-4-(4-플루오로페닐)-1-(4-피페리디닐)이미다졸)), 및 ARRY-797을 포함한다.
NF (예를 들어, NK-κβ) 억제제의 예는 IFRD1, 2-(1,8-나프티리딘-2-일)-페놀, 5-아미노살리실산, BAY 11-7082, BAY 11-7085, CAPE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디에틸말레에이트, IKK-2 억제제 IV, IMD 0354, 락타시스틴, MG-132 [Z-Leu-Leu-Leu-CHO], NFκB 활성화 억제제 III, NF-κB 활성화 억제제 II, JSH-23, 파르테놀리드, 페닐아르신 옥시드 (PAO), PPM-18, 피롤리딘디티오카르밤산 암모늄 염, QNZ, RO 106-9920, 로카글라미드, 로카글라미드 AL, 로카글라미드 C, 로카글라미드 I, 로카글라미드 J, 로카글라올, (R)-MG-132, 살리실산나트륨, 트립톨리드 (PG490), 웨델로락톤을 포함한다.
렉틴 수용체 리간드의 예는 문헌 [B. E. Collins et. al. "High-Affinity Ligand Probes of CD22 Overcome the Threshold Set by cis Ligands to Allow for Binding, Endocytosis, and Killing of B Cells" J. Immunol September 1, 2006 vol. 177 no. 5 2994-3003]에 개시된 CD22 리간드 예컨대 9-아지도-9-데옥시-시알릴올리고사카라이드 및 기타 CD22 리간드; 및 문헌 [G-J Boons, "Liposomes Modified by Carbohydrate Ligands can Target B cells for the Treatment of B-Cell Lymphomas" Expert Rev Vaccines. 2010 November; 9(11): 1251-1256]에 개시된 리간드를 포함한다.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의 예는 CGS-21680 및 ATL-146e를 포함한다.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의 예는 E-프로스타노이드 2 및 E-프로스타노이드 4를 포함한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비-선택적 및 선택적 억제제)의 예는 카페인, 아미노필린, IBMX (3-이소부틸-1-메틸잔틴), 파라잔틴, 펜톡시필린,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메틸화 잔틴, 빈포세틴, EHNA (에리트로-9-(2-히드록시-3-노닐)아데닌), 아나그렐리드, 에녹시몬 (페르판(PERFAN)™), 밀리논, 레보시멘돈, 메셈브린, 이부딜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루테올린, 드로타베린, 로플루밀라스트 (닥사스(DAXAS)™, 달리레스프(DALIRESP)™), 실데나필 (레바티온(REVATION)®, 비아그라(VIAGRA)®), 타달라필 (아드시르카(ADCIRCA)®, 시알리스(CIALIS)®), 바르데나필 (레비트라(LEVITRA)®, 스탁신(STAXYN)®), 우데나필, 아바나필, 이카리인, 4-메틸피페라진, 및 피라졸로 피리미딘-7-1을 포함한다.
프로테아솜 억제제의 예는 보르테조밉, 디술피람,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및 살리노스포라미드 A를 포함한다.
키나제 억제제의 예는 베바시주맙, BIBW 2992, 세툭시맙 (에르비툭스(ERBITUX)®), 이마티닙 (글리벡(GLEEVEC)®), 트라스투주맙 (허셉틴(HERCEPTIN)®), 제피티닙 (이레사(IRESSA)®), 라니비주맙 (루센티스(LUCENTIS)®), 페갑타닙, 소라페닙, 다사티닙, 수니티닙, 에를로티닙, 닐로티닙, 라파티닙, 파니투무맙, 반데타닙, E7080, 파조파닙, 무브리티닙을 포함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예는 히드로코르티손 (코르티솔), 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베클로메타손, 플루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데옥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DOCA) 및 알도스테론을 포함한다.
레티노이드의 예는 레티놀, 레티날, 트레티노인 (레티노산, 레틴-A(RETIN-A)®), 이소트레티노인 (아큐탄(ACCUTANE)®, 암네스팀(AMNESTEEM)®, 클라라비스(CLARAVIS)®, 소트레트(SOTRET)®), 알리트레니토인 (판레틴(PANRETIN)®), 에트레티네이트 (테지손(TEGISON)™) 및 이의 대사산물인 아시트레틴 (소리아탄(SORIATANE)®), 타자로텐 (타조락(TAZORAC)®, 어베이지(AVAGE)®, 조락(ZORAC)®), 벡사로텐 (타르그레틴(TARGRETIN)®) 및 아다팔렌 (디페린(DIFFERIN)®)을 포함한다.
시토카인 억제제의 예는 IL1ra, IL1 수용체 길항제, IGFBP, TNF-BF, 유로모둘린, 알파-2-마크로글로불린, 시클로스포린 A, 펜타미딘(Pentamidine), 및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펜토팩(PENTOPAK)®, 펜톡실(PENTOXIL)®, 트렌탈(TRENTAL)®)을 포함한다.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의 예는 GW9662, PPARγ 길항제 III, G335, T0070907 (EMD4바이오사이언시즈, 미국)을 포함한다.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의 예는 피오글리타존, 시글리타존, 클로피브레이트, GW1929, GW7647, L-165,041, LY 171883, PPARγ 활성화제, Fmoc-Leu, 트로글리타존, 및 WY-14643 (EMD4바이오사이언시즈, 미국)을 포함한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의 예는 히드록삼산 (또는 히드록사메이트), 예컨대 트리코스타틴 A, 시클릭 테트라펩티드 (예컨대 트라폭신 B) 및 뎁시펩티드, 벤즈아미드, 친전자성 케톤, 지방족 산 화합물 예컨대 페닐부티레이트 및 발프로산, 히드록삼산 예컨대 보리노스타트 (SAHA), 벨리노스타트 (PXD101), LAQ824, 및 파노비노스타트 (LBH589), 벤즈아미드 예컨대 엔티노스타트 (MS-275), CI994, 및 모세티노스타트 (MGCD0103), 니코틴아미드, NAD의 유도체, 디히드로쿠마린, 나프토피라논, 및 2-히드록시나프알데히드를 포함한다.
칼시뉴린 억제제의 예는 시클로스포린, 피메크롤리무스, 보클로스포린, 및 타크롤리무스를 포함한다.
포스파타제 억제제의 예는 BN82002 히드로클로라이드, CP-91149, 칼리쿨린 A, 칸타리드산, 칸타리딘, 사이퍼메트린, 에틸-3,4-데포스타틴, 포스트리에신 나트륨 염, MAZ51, 메틸-3,4-데포스타틴, NSC 95397, 노르칸타리딘, 프로로센트룸 콘카붐으로부터의 오카다산 암모늄 염, 오카다산, 오카다산 칼륨 염, 오카다산 나트륨 염, 페닐아르신 옥시드, 다양한 포스파타제 억제제 칵테일, 단백질 포스파타제 1C, 단백질 포스파타제 2A 억제제 단백질, 단백질 포스파타제 2A1, 단백질 포스파타제 2A2, 소듐 오르토바나데이트를 포함한다.
내인성 면역조절제
특정 실시양태에서, 내인성으로 면역조절제가 입수가능하다. 내인성 면역조절제는 대상체 자신의 신체에 의해 생성되지만,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일부로서 또는 일부 기타 치료적 개입의 일부로서 반복적으로 투여되지 않는다. 내인성 면역조절제의 예는 아폽토시스 또는 관련 신호전달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T 또는 B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및 수지상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같은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를 통한 항원의 공급은 관심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관용유발 프로세스를 개시 또는 지속시킬 수 있다.
내인성 면역조절제의 구체적인 예는 아폽토시스 적혈구 (문헌 [S. Kontos et al., "Engineering antigens for in situ erythrocyte binding induces T-cell dele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2013 Jan 2;110(1):E60-8]에 개시됨); 면역 세포 자극에서 수반되는 분자 (예를 들어 MHC I/II 또는 공동자극 분자)을 또한 공급하지 않으면서 또는 면역 세포 (에컨대 T 세포, 특히 나이브 T 세포)가 이펙터 기능을 획득하게 하지 않으면서 항원이 제시되었을 때 생성되는 특정 시토카인 조합물 (밀러(Mille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2/0076831에 개시됨); 및 관용유발 항원-특이적 T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MHC-항원 복합체에서 항원이 제시되었을 때 생성되는 시토카인 조합물 (산타마리아(Santamari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9/0155292에 개시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성분, 예컨대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가 단리될 수 있다. 단리된은 요소가 이의 천연 환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이의 확인 또는 사용을 허용하는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이는 요소가 (i) 발현 클로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생산될 수 있거나, 또는 (ii)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전기영동에 의해서와 같이 정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리된 요소는 실질적으로 순수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단리된 요소가 제약 제제에서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요소가 제제에 적은 중량 백분율으로만 포함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 있는 시스템에서 자신과 회합될 수 있는 물질로부터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요소가 단리되고, 즉 다른 지질 또는 단백질로부터 단리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요소 중 임의의 것이 단리될 수 있고, 단리된 형태로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D.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 및 관련 방법
본 발명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같은 제제의 구체적인 요소들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을 수 있다. 언급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제조 방법이 하기에서 제시된다; 기타 실시양태에 대한 기타 제조 방법이 관련 문헌에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유용한 합성 나노담체를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침전, 유체 채널을 사용한 유동 포커싱, 분무 건조, 단일 및 이중 에멀전 용매 증발, 용매 추출, 상 분리, 밀링, 마이크로에멀젼 절차, 마이크로제작, 나노제작, 희생층, 단순 및 복합 코아세르베이션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된 기타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 나노담체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단분산 반도체, 전도성, 자기, 유기 및 기타 나노물질에 대한 수성 및 유기 용매 합성이 기술되어 있다 (문헌 [Pellegrino et al., 2005, Small, 1:48]; [Murray et al., 2000, Ann. Rev. Mat. Sci., 30:545]; 및 [Trindade et al., 2001, Chem. Mat., 13:3843]). 추가적인 방법이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Doubrow, Ed., "Microcapsules and Nanoparticles in Medicine and Pharmacy," CRC Press, Boca Raton, 1992]; [Mathiowitz et al., 1987, J. Control. Release, 5:13]; [Mathiowitz et al., 1987, Reactive Polymers, 6:275]; 및 [Mathiowitz et al., 1988, J. Appl. Polymer Sci., 35:755]; 미국 특허 5578325 및 6007845; 문헌 [P. Paolicelli et al., "Surface-modified PLGA-based Nanoparticles that can Efficiently Associate and Deliver Virus-like Particles" Nanomedicine. 5(6):843-853 (2010)] 참조).
문헌 [C. Astete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LGA nanoparticles" J. Biomater. Sci. Polymer Edn, Vol. 17, No. 3, pp. 247-289 (2006)]; [K. Avgoustakis "Pegylated Poly(Lactide) and Poly(Lactide-Co-Glycolide) Nanoparticles: Preparation, Properties and Possible Applications in Drug Delivery" Current Drug Delivery 1:321-333 (2004)]; [C. Reis et al., "Nanoencapsulation I. Methods for preparation of drug-loaded polymeric nanoparticles" Nanomedicine 2:8-21 (2006)]; [P. Paolicelli et al., "Surface-modified PLGA-based Nanoparticles that can Efficiently Associate and Deliver Virus-like Particles" Nanomedicine. 5(6):843-853 (201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물질이 바람직하게 합성 나노담체 내로 캡슐화될 수 있다. 엉거(Unger)의 미국 특허 6,632,671 (2003년 10월 14일)에 개시된 방법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물질을 합성 나노담체 내로 캡슐화하는데 적절한 기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나노침전 공정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해 합성 나노담체가 제조된다. 원하는 크기 또는 성질 (예를 들어, 소수성, 친수성, 외부 형태학, "점착성", 형상 등)의 입자를 산출하기 위해,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사용된 합성 나노담체의 제조 방법 및 조건 (예를 들어, 용매, 온도, 농도, 공기 유속 등)은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될 물질 및/또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조성에 좌우될 수 있다.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입자의 크기 범위가 원하는 범위 밖이면, 예를 들어, 체를 사용하여 입자를 사이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의 요소 (즉, 성분) (예컨대 면역특색 표면을 구성하는 모이어티, 표적화 모이어티, 중합체성 매트릭스, 항원, 면역조절제 등)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유결합에 의해 전체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커에 의해 커플링될 수 있다. 합성 나노담체를 관능화시키는 추가적인 방법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6/0002852 (살츠만(Saltzman) 등),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9/0028910 (데시몬(DeSimone) 등), 또는 공개된 국제 특허 출원 WO/2008/127532 A1 (머씨(Murthy) 등)으로부터 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합성 나노담체가 성분, 예컨대 면역조절제 또는 항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비-공유결합 상호작용을 통해 커플링될 수 있다. 비-공유결합 실시양태에서, 비-공유결합 커플링은 전하 상호작용, 친화력 상호작용, 금속 배위, 물리적 흡착, 호스트-게스트 상호작용, 소수성 상호작용, TT 스태킹 상호작용, 수소 결합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상호작용, 자기 상호작용, 정전기 상호작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비-공유결합 상호작용에 의해 매개된다. 이같은 커플링은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 상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캡슐화 및/또는 흡착은 커플링의 한 형태이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동일한 비히클 또는 전달 시스템에서 혼합함으로써 항원과 조합될 수 있다. 고전적인 제약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합성 나노담체의 제약 투여 형태가 생산될 수 있다.
변형된 또는 발현된 항원이 본원의 다른 곳에서 언급된 참고문헌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문헌 [Kontos]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단백질 생산 기술을 사용하여 변형된 항원에 대한 융합 구축물이 제조될 수 있다. 단백질 발현에 대한 주형으로서의 역할을 할 뉴클레오티드 물질이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발현된 항원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의 전달/투약 형태 (예를 들어, 네이키드 DNA/RNA, 리포솜 전달, 유전자 총 등)에 따라 뉴클레오티드 물질의 전달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전형적인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무기 또는 유기 완충제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카르보네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시트레이트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및 pH 조정제 (예를 들어, 염산,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시트레이트 또는 아세테이트의 염, 아미노산 및 이의 염),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알파-토코페롤),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9-10 노닐 페놀, 소듐 데스옥시콜레이트), 용액 및/또는 동결/분산 안정화제 (예를 들어, 수크로스, 락토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삼투압 조정제 (예를 들어, 염 또는 당), 항균제 (예를 들어, 벤조산, 페놀, 젠타마이신), 소포제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로존), 방부제 (예를 들어, 티메로살, 2-페녹시에탄올, EDTA), 중합체성 안정화제 및 점도-조정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록사머 488,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공용매 (예를 들어,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탄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도록 제제화된다. 유용한 투약 형태에 도달하도록 통상적인 제약 제조 및 배합 기술을 사용하여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기술을 문헌 [Handbook of Industrial Mixing: Science and Practice, Edited by Edward L. Paul, Victor A. Atiemo-Obeng, and Suzanne M. Kresta, 2004 John Wiley & Sons, Inc.]; 및 [Pharmaceutics: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 2nd Ed. Edited by M. E. Auten, 2001, Churchill Livingston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 나노담체는 방부제와 함께 주사용 멸균 염수 용액 내에 현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는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에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적합한 방법의 선택은 회합되는 특정 모이어티들의 성질에 주의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멸균성 조건 하에 제조되거나, 또는 최종적으로 멸균된다. 이는 생성된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멸균성이고 비-감염성인 것을 확실하게 하고, 따라서 멸균성이 아닌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에 비교했을 때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이는,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제공되는 대상체가 면역 결함이 있고/있거나, 감염을 앓고 있고/있거나 감염에 대해 감수성인 경우에, 귀중한 안전성 척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동결건조될 수 있고, 활성을 잃지 않으면서 장기간 동안 제제화 전략에 따라 현탁액 내에 또는 동결건조 분말로서 보관될 수 있다.
투여
본 발명의 조성물 (적합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포함함)을 피하, 비강내, 경구, 정맥내, 복막내, 근육내, 경점막, 설하, 직장, 눈, 폐, 피내, 경피부, 경피 또는 피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경로에 의해 또는 이러한 경로의 조합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흡입 또는 폐 에어로졸에 의한 투여를 또한 포함한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조 기술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참조로 포함된 문헌 [Sciarra and Cutie, "Aerosols,"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1990, pp. 1694-1712]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유효량, 예컨대 본원의 다른 곳에 기술된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용량은 다양한 양의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에 존재하는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의 양은 항원 및/또는 면역조절제의 성질, 달성하려는 치료적 이익, 및 기타 이같은 파라미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에 존재할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의 최적의 치료량을 확립하기 위해 용량 범위 연구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은 대상체에게 투여했을 때 관심 항원에 대한 관용유발 면역 반응을 생성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내에 존재한다.
반복 투여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은 관용유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또는 강화하기 위해, 및/또는 원치않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조정하거나, 지시하거나 또는 다시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복 투여" 또는 "반복적으로 투여하다" 또는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등은 이전에 확립된 면역 관용 또는 관용에 특징적인 효과를 증진시키거나 또는 이의 지속을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복 투여 실시양태는 확립된 관용이 하락할 때 또는 하락 위험에 있을 때의 1회의 투여 또는 짧은 과정의 치료를 수반할 수 있다. 반복 투여는 초기 용량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투여 후에 다음 용량 또는 용량들의 항원-특이적 치료제가 투여되었을 때 시작된다. 투여된 초기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반복 투여 동안 투여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조성, 투약 등의 관점에서). 반복 투약은 바람직하게는 항원-특이적 치료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내지 10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월 내지 12개월 후에 수행된다. 본 발명은 주 2회, 매주, 격주로 또는 임의의 다른 규칙적인 일정으로 발생하는 투여 일정의 규칙적인 반복 투여를 수반하는 실시양태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는 다양한 빈도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복 투여에서의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1회 이상의 투여가 약리학적으로 관련된 반응을 생성시키는데 충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2회 이상의 투여, 3회 이상의 투여, 또는 4회 이상의 투여가 전체적인 반복 투여에서 약리학적으로 관련된 반응을 확실히 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예방적 반복 투여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발병 전에 시작될 수 있거나, 또는 치료적 반복 투여가 장애, 장애 또는 병태가 확립된 후에 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외인성 항원의 투여 전에, 면역조절제가 투여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항원을 투여하기 30, 25, 20,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일 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1회 이상의 시기에 면역조절제가 투여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면역조절제가 외인성 항원의 투여 후에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항원을 투여한 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20, 25, 30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1회 이상의 시기에 면역조절제가 투여된다.
프로토콜 및 그의 요소의 입증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요소가 인간 또는 비-인간 대상체에서 입증될 수 있다. 프로토콜이 비-인간 대상체에서 입증되는 실시양태에서, 이같은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가 인간 프로토콜로 번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류 또는 비-인간 영장류에서 수행된 프로토콜로부터의 시험 결과가 프로토콜 요소 예컨대 반복 투약의 빈도,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용량, 반복 투약의 각각의 경우에서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투약 횟수, 투여 경로, 및 각각의 프로토콜에서의 상기 요소의 변경을 제안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설치류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 프로토콜 결과가 용량 (치료 창을 규정하는 최대 및 최소 용량을 포함함)을 제안할 수 있고, 그 후, 관례적인 스케일링 기술, 예컨대 알로메트릭 스케일링을 기초로, 이러한 양이 인간 프로토콜에서의 사용에 대해 스케일링된다. 비-인간 프로토콜 요소는 인간 프로토콜로 번역될 수 있는 반복 투약의 최적 빈도를 또한 제안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대략적으로 빈도가 동일하고, 다른 실시양태는 비-인간 종과 인간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빈도가 조정된다.
이같은 비-인간 프로토콜, 또는 프로토콜 요소를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의 비-유도를 나타낸 결과를 기초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이같은 비-인간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를 인간에서의 사용에 대해 번역하여, 조성물 및/또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반복적으로 투여되었을 때의 인간에서의 예상되는 안전성 (및 가능하게는 효능)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원의 다른 곳에서, 그리고 관련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된 기술 및 고려사항을 사용하여, 비-인간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가 인간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로 번역될 수 있다.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1회 용량 또는 1회를 초과하는 용량의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포함한다. 이같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1회를 초과하는 용량의 면역조절제를 포함한다. 키트는 1회를 초과하는 용량의 항원을 또한 포함하거나 또는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의 용량은 키트 내의 별도의 용기 내에 또는 동일한 용기 내에 함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기는 바이알 또는 앰풀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량이 이후의 시간에 용기에 첨가될 수 있도록,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의 용량이 용기로부터 분리된 용액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절제 및/또는 항원의 용량은 이후의 시간에 재구성될 수 있도록 각각 별도의 용기 내에 또는 동일한 용기 내의 동결건조 형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재구성, 혼합, 투여 등을 위한 지침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침서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설명을 포함한다. 지침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쇄 삽입물 또는 표지로서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하나 이상의 주사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사용하는 비-면역억제 프로토콜의 입증
합성 나노담체 물질
라파마이신을 TSZ CHEM (01702 매사추세츠주 프레이밍햄 윌슨 스트리트 185; 제품 카달로그 # R1017)로부터 구입하였다. 약 25,000 Da의 PLGA를 레이크쇼어 바이오케미칼스(Lakeshore Biochemicals) (35211 알라바마주 버밍햄 톰 마틴 드라이브 756)로부터 구입하였다. 제품 코드 5050 DLG 2.5A. 약 5,000 Da의 메틸 에테르 말단 PEG 블럭 및 48,000 Da의 PLA 블럭이 있는 PLA-PEG-OMe 블럭 공중합체를 레이크쇼어 바이오케미칼스 (35211 알라바마주 버밍햄 톰 마틴 드라이브 756)로부터 구입하였다. 제품 코드 100 DL mPEG 5000 5CE. OPII.323을 바켐(BACHEM) (90505 캘리포니아주 토런스 카시와 스트리트 3132; 로트 번호 # B06481)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임프로브(EMPROVE)® 폴리비닐 알콜 4-88, USP (85-89% 가수분해, 3.4-4.6 mPa.s의 점도)를 EMD 케미칼스 인크(EMD Chemicals Inc.) (08027 뉴저지주 깁스타운 사우스 데모크랫 로드 480, 파트 번호 1.41354)로부터 구입하였다.
합성 나노담체 방법
하기와 같이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액 1: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100 mg/mL의 PLGA. PLGA를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되었다. 용액 2: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100 mg/mL의 PLA-PEG. PLA-PEG를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되었다. 용액 3: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50 mg/mL의 라파마이신. 라파마이신을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되었다. 용액 4: 0.13 M HCl 내의 20 mg/mL의 OPII.323. OPII.323을 0.13 M HCl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되었다. 용액 5: 100 mM pH 8 포스페이트 완충제 내의 50 mg/mL의 폴리비닐 알콜. 용액 6: 70 mM 포스페이트 완충제, pH 8. 용액 1 내지 4를 혼합함으로써 1차 (W1/O) 에멀젼이 먼저 생성되었다. 용액 1 (0.75 mL), 용액 2 (0.25 mL), 용액 3 (0.20 mL), 및 용액 4 (0.2 mL)를 소형 유리 압력 튜브에서 합치고, 브랜슨 디지털 소니파이어(Branson Digital Sonifier) 250을 사용하여 40초 동안 50% 진폭에서 초음파처리하였다.
그 후, 용액 5 (3.0 mL)를 1차 에멀젼에 첨가하고, 와동시켜 조질 분산액을 생성시킨 후, 브랜슨 디지털 소니파이어 250을 사용하여 60초 동안 30% 진폭에서 초음파처리함으로써 2차 (W1/O/W2)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2차 에멀젼을 용액 6 (30 mL)을 함유하는 개방된 50 mL 비이커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이 증발되고 나노담체가 현탁액에서 형성되게 하였다. 그 후, 나노담체 현탁액을 원심분리 튜브로 옮기고, 75,600 rcf에서 35분 동안 회전시키고, 상청액을 제거하고, 펠릿을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에 재현탁시킴으로써 현탁된 나노담체의 일부분을 세정하였다. 이러한 세정 절차를 반복한 후, 펠릿을 PBS 1X에 재현탁시켜, 중합체를 기초로 공칭 농도가 10 mg/mL인 나노담체 현탁액을 달성하였다. 사용할 때까지 현탁액을 -2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동적 광 산란에 의해 나노담체 크기를 결정하였다. 나노담체 내의 라파마이신의 양을 HPLC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나노담체 내의 OPII.323의 양을 HPLC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현탁액 mL 당 총 건조-나노담체 질량을 중량측정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05
ELISA: 항-OVA IgG의 측정
IgG 항체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PBS 내의 블럭커 카세인(Blocker Casein) (써모 피셔(Thermo Fisher), 카탈로그 #37528)이 희석제로서 사용되었다. 10 ml의 트윈-20 ((시그마(Sigma), 카탈로그 #P9416-100mL)을 2 리터의 10x PBS 스톡 (PBS: 옴니푸르(OmniPur)® 10X PBS 액체 농축물, 4L, EMD 케미칼스, 카탈로그 #6505) 및 18 리터의 탈이온수에 첨가하여 제조된 PBS 내의 0.05% 트윈-20이 세정 완충제로서 사용되었다.
5 mg/ml의 스톡 농도의 OVA 단백질이 코팅 물질로서 사용되었다. 5 ㎍/ml로의 1:1000 희석이 작업 농도로서 사용되었다. 검정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을 웰 당 100 ㎕의 희석된 OVA로 코팅하고, 플레이트를 밀봉 필름 (VWR 카탈로그 #60941-120)으로 밀봉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코스타(Costar)9017 96-웰 편평 바닥 플레이트가 검정 플레이트로서 사용되었다. 코스타9017.
저-결합 폴리프로필렌 96-웰 플레이트 또는 튜브가 셋-업 플레이트로서 사용되었고, 여기에서 검정 플레이트로 옮겨지기 전에 샘플이 제조되었다. 셋업 플레이트는 어떠한 항원도 함유하지 않았고, 따라서 혈청 항체가 샘플 셋업 동안 플레이트에 결합하지 않았다. 셋업 플레이트가 샘플 제조에 사용되어, 항원이 코팅된 플레이트가 샘플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경우 샘플의 제조 또는 피펫팅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결합을 최소화하였다. 셋업 플레이트에서 샘플을 제조하기 전에, 웰을 희석제로 덮어 임의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였고,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고, 최종 세정 후 세정 완충제를 웰에서 완전히 흡입하여 제거하였다. 세정 후, 300 ㎕ 희석제를 검정 플레이트(들)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고, 플레이트를 2시간 이상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셋업 플레이트에서 혈청 샘플을 적합한 출발 희석도로 제조하였다. 희석제를 사용하여 1.5 ml 튜브에서 출발 희석물이 또한 때때로 제조되었다. 입수가능한 경우, 이전의 데이터를 기초로 적합한 출발 희석도가 결정되었다. 이전의 데이터가 입수가능하지 않은 경우, 최저 출발 희석도는 1:40이었다. 희석되었으면, 200 ㎕의 혈청 샘플의 출발 희석물이 셋업 플레이트의 적합한 웰로 옮겨졌다.
예시적인 셋업 플레이트 레이아웃은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칼럼 2 및 11은 1 ㎍/mL (1:4000 희석)로 희석된 항-오브알부민 모노클로날 IgG2b 이소형 (압캠(AbCam), ab17291) 표준물질을 함유하였다. 칼럼 3-10은 혈청 샘플 (적합한 희석도)을 함유하였다. 칼럼 1 및 12는 모서리 효과로 인한 임의의 측정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샘플 또는 표준물질에 대해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칼럼 1 및 12는 200 ㎕ 희석제를 함유하였다. 1:40 희석된 정상 마우스 혈청이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0.5 mg/mL 스톡 (BD 바이오사이언시즈(BD Bioscience))로부터 1:500 희석된 항-마우스 IgG2a가 이소형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이 셋업 플레이트에서 제조되었으면,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검정 플레이트의 차단이 완료될 때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고, 최종 세정 후 세정 완충제를 웰에서 완전히 흡입하여 제거하였다. 세정 후, 100 ㎕ 희석제를 검정 플레이트의 B-H 열 내의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12-채널 피펫을 사용하여 샘플을 셋업 플레이트에서 검정 플레이트로 옮겼다. 150 ㎕의 희석된 혈청을 상하로 3회 피펫팅함으로서 옮기기 전에 샘플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 150 ㎕의 각각의 샘플을 셋업 플레이트로부터 옮기고, 각각의 검정 플레이트의 A 열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샘플의 출발 희석물이 셋업 플레이트로부터 검정 플레이트의 A 열로 옮겨졌으면, 단계 희석물을 하기와 같이 검정 플레이트 상에 피펫팅하였다: 50 ㎕의 각각의 혈청 샘플을 12-채널 피펫을 사용하여 A 열에서 제거하고, 사전에 B 열의 각각의 웰에 첨가된 100 ㎕의 희석제와 혼합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전체 플레이트의 아래로 반복하였다. 최종 열의 희석물을 피펫팅한 후, 50 ㎕의 유체를 최종 열의 웰에서 제거하고 폐기하여, 검정 플레이트의 모든 웰에서 100 ㎕의 최종 부피를 초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에서 샘플 희석물이 제조되었으면,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였다. 검출 항체 (염소 항-마우스 항-IgG, HRP 접합, 압캠 ab98717)를 희석제에서 1:1500 (0.33 ㎍/mL) 희석하고, 100 ㎕의 희석된 항체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였고, 이때 각각의 세정 단계는 30초 이상의 침지 시간을 포함하였다.
세정 후, 검출 기질을 웰에 첨가하였다. 동일한 부의 기질 A 및 기질 B (BD 바이오사이언시즈 TMB 기질 시약 세트, 카탈로그 #555214)를 검정 플레이트에 첨가하기 직전에 합쳤고, 100 ㎕의 혼합된 기질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암실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0분 기간 후에 50 ㎕의 정지 용액 (2N H2SO4)을 각각의 웰에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켰다. 정지 용액을 첨가한 직후에 웰의 광학 밀도 (OD)를 570 nm에서 차감하면서 450 nm에서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평가하였다. 몰레큘러 디바이스(Molecular Device)의 소프트웨어인 소프트맥스 프로(SoftMax Pro) v5.4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부 경우에, x-축의 희석도 (로그 스케일) 및 y-축의 OD 값 (선형 스케일)로 4-파라미터 로지스틱 커브-핏 그래프를 제조하였고, 각각의 샘플에 대한 절반 최대값 (EC50)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샘플의 희석도를 반영하도록 레이아웃 상단의 플레이트 템플리트를 조정하였다 (칼럼 당 1).
ELISA: 항- KLH IgG의 측정
IgG 항체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PBS 내의 블럭커 카세인 (써모 피셔, 카탈로그 #37528)이 희석제로서 사용되었다. 10 ml의 트윈-20 ((시그마, 카탈로그 #P9416-100mL)을 2 리터의 10x PBS 스톡 (PBS: 옴니푸르® 10X PBS 액체 농축물, 4L, EMD 케미칼스, 카탈로그 #6505) 및 18 리터의 탈이온수에 첨가하여 제조된 PBS 내의 0.05% 트윈-20이 세정 완충제로서 사용되었다.
10 mg/ml의 스톡 농도의 KLH 단백질 (시그마, 카탈로그 #H7127)이 코팅 물질로서 사용되었다. 5 ㎍/ml로의 1:2000 희석이 작업 농도로서 사용되었다. 검정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을 웰 당 100 ㎕의 희석된 KLH로 코팅하고, 플레이트를 밀봉 필름 (VWR 카탈로그 #60941-120)으로 밀봉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코스타 9017 96-웰 편평 바닥 플레이트가 검정 플레이트로서 사용되었다 (코스타9017).
저-결합 폴리프로필렌 96-웰 플레이트 또는 튜브가 셋-업 플레이트로서 사용되었고, 여기에서 검정 플레이트로 옮겨지기 전에 샘플이 제조되었다. 셋업 플레이트는 어떠한 항원도 함유하지 않았고, 따라서 혈청 항체가 샘플 셋업 동안 플레이트에 결합하지 않았다. 셋업 플레이트가 샘플 제조에 사용되어, 항원이 코팅된 플레이트가 샘플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경우 샘플의 제조 또는 피펫팅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결합을 최소화하였다. 셋업 플레이트에서 샘플을 제조하기 전에, 웰을 희석제로 덮어 임의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였고,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고, 최종 세정 후 세정 완충제를 웰에서 완전히 흡입하여 제거하였다. 세정 후, 300 ㎕ 희석제를 검정 플레이트(들)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고, 플레이트를 2시간 이상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셋업 플레이트에서 혈청 샘플을 적합한 출발 희석도로 제조하였다. 희석제를 사용하여 1.5 ml 튜브에서 출발 희석물이 또한 때때로 제조되었다. 입수가능한 경우, 이전의 데이터를 기초로 적합한 출발 희석도가 결정되었다. 이전의 데이터가 입수가능하지 않은 경우, 최저 출발 희석도는 1:40이었다. 희석되었으면, 200 ㎕의 혈청 샘플의 출발 희석물이 셋업 플레이트의 적합한 웰로 옮겨졌다.
예시적인 셋업 플레이트 레이아웃은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칼럼 2 및 3은 0.2 ㎍/mL (1 mg/mL 스톡으로부터의 1:5000 희석)로 희석된 항-KLH 마우스 모노클로날 IgG1 이소형 (압캠, ab34607) 표준물질을 함유하였다. 칼럼 4-12는 혈청 샘플 (적합한 희석도)을 함유하였다. 칼럼 1은 코팅 물질에 대한 희석제 단독의 효과가 평가될 수 있도록 샘플 또는 표준물질에 대해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칼럼 1은 200 ㎕ 희석제를 함유하였다. 1:40 희석된 정상 마우스 혈청이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0.5 mg/mL 스톡 (BD 바이오사이언시즈)로부터 1:500 희석된 항-마우스 IgG2a가 이소형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이 셋업 플레이트에서 제조되었으면,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검정 플레이트의 차단이 완료될 때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고, 최종 세정 후 세정 완충제를 웰에서 완전히 흡입하여 제거하였다. 세정 후, 100 ㎕의 희석제를 검정 플레이트의 B-H 열 내의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12-채널 피펫을 사용하여 샘플을 셋업 플레이트에서 검정 플레이트로 옮겼다. 150 ㎕의 희석된 혈청을 상하로 3회 피펫팅함으로서 옮기기 전에 샘플을 혼합하였다. 혼합 후, 150 ㎕의 각각의 샘플을 셋업 플레이트로부터 옮기고, 각각의 검정 플레이트의 A 열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샘플의 출발 희석물이 셋업 플레이트로부터 검정 플레이트의 A 열로 옮겨졌으면, 단계 희석물을 하기와 같이 검정 플레이트 상에 피펫팅하였다: 50 ㎕의 각각의 혈청 샘플을 12-채널 피펫을 사용하여 A 열에서 제거하고, 사전에 B 열의 각각의 웰에 첨가된 100 ㎕의 희석제와 혼합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전체 플레이트의 아래로 반복하였다. 최종 열의 희석물을 피펫팅한 후, 50 ㎕의 유체를 최종 열의 웰에서 제거하고 폐기하여, 검정 플레이트의 모든 웰에서 100 ㎕의 최종 부피를 초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에서 샘플 희석물이 제조되었으면,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였다. 검출 항체 (염소 항-마우스 항-IgG, HRP 접합, 압캠 ab98717)를 희석제에서 1:1500 (0.33 ㎍/mL) 희석하고, 100 ㎕의 희석된 항체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세정 완충제로 3회 세정하였고, 이때 각각의 세정 단계는 30초 이상의 침지 시간을 포함하였다.
세정 후, 검출 기질을 웰에 첨가하였다. 동일한 부의 기질 A 및 기질 B (BD 바이오사이언시즈 TMB 기질 시약 세트, 카탈로그 #555214)를 검정 플레이트에 첨가하기 직전에 합쳤고, 100 ㎕의 혼합된 기질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암실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0분 기간 후에 50 ㎕의 정지 용액 (2N H2SO4)을 각각의 웰에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켰다. 정지 용액을 첨가한 직후에 웰의 광학 밀도 (OD)를 570 nm에서 차감하면서 450 nm에서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평가하였다. 몰레큘러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인 소프트맥스 프로 v5.4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부 경우에, x-축의 희석도 (로그 스케일) 및 y-축의 OD 값 (선형 스케일)로 4-파라미터 로지스틱 커브-핏 그래프를 제조하였고, 각각의 샘플에 대한 절반 최대값 (EC50)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샘플의 희석도를 반영하도록 레이아웃 상단의 플레이트 템플리트를 조정하였다 (칼럼 당 1).
반복 투여 하에서의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항원-특이적 관용유발 활성
이러한 실험의 목적은 항원-특이적 이뮤노글로불린을 측정함으로써 신생 항체 반응에 대한 반복적으로 투여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프로토콜의 효과의 면역억제에 대한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일군의 동물은 대조군으로서 면역화되지 않았다. 모든 군의 동물을 오른쪽 앞발바닥 및 뒷발바닥에서의 3회 주사 (d0, d14 및 d28의 초기 처리)로 닭 오브알부민 (OVA) 및 CpG를 사용하여 면역화시켰고, 왼쪽 앞발바닥 및 뒷발바닥에서 키 림펫 헤모시아닌(Key Limpet Hemocyanine) (KLH)으로 면역화시켰다. OPII를 함유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상기 절차에 따라 제조된 합성 나노담체이고, "t2SVP"로 표지됨)를 제0일에 주사한 후, 제14일, 제28일, 제42일 및 제56일에 반복적으로 투여하였다. 면역화를 위해, 동물에게 20 ㎕/다리의 OVA+CpG, 12.5 ㎍ OVA+10 ㎍ CpG (도 1에 지시된 바와 같은 KLH)를 양쪽 뒷다리에 피하 제공하였다. 동일한 양의 OVA323 -339가 처리군에서 주사되는 방식으로 t2SVP를 희석하였다. 1의 결과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후에 OVA에 대한 역가가 t2SVP로의 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만 (5개의 왼쪽의 칼럼 세트), 항 KLH 역가는 그렇지 않다 (5개의 오른쪽의 칼럼 세트)는 것을 나타낸다. 상이하게 처리된 각각의 군의 동물에 대해, 제21일, 제35일, 제49일 및 제63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에 대한 역가가 제시된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비- 면역억제성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반복 투여 프로토콜 (예측)
본 발명의 실행에서, 이러한 프로토콜 또는 그의 요소가 다른 대상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비-면역억제 프로토콜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확립된 기저 프로토콜의 비-면역억제를 계속 보존하도록 알로메트릭 스케일링 기술을 사용하여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인간에서 용량 요소가 스케일링될 것이다.
실시예 2: 반복 투여된 내인성 항원을 이용하는 PLP -커플링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밀러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2/0076831 ("밀러")의 실시예 21에 개요된 방법에 따라 PLP-커플링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한다.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제0일에 10 mg 나노담체/체중 kg의 용량으로 SJL 마우스에 정맥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주 동안 격주로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10 mg/kg의 동일한 용량으로 마우스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질량을 기초로 스케일링된 용량으로 10 mg/kg의 초기 용량 후에, 인간 대상체에게 합성 나노담체를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투여 후 3주 동안은 매주, 그 후는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3: 반복 투여된 내인성 항원을 이용하는 나노겔 -유형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문헌 [M. Look et. al. "Nanogel-based delivery of mycophenolic acid ameliorat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mice" J Clin Invest. doi:10.1172/JCI65907 (201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미코페놀산 함유 나노겔-유형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한다.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4일 동안 매일 0.625 mg의 MPA/동물 체중 킬로그램 ("mpk")의 용량으로 C57BL/6 마우스에 정맥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마우스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질량을 기초로 스케일링된 용량, 즉 0.625 mpk로 인간 대상체에게 합성 나노담체를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초기 용량은 2일 동안 매일이다. 반복 투약 빈도는 0.625 mpk으로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4: 반복 투여된 내인성 면역조절제를 이용하는 항원 융합 단백질 (예측)
본원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문헌 [Kontos et al.]의 개시내용을 사용하여 에리트로포이에틴과 뮤린 적혈구-특이적 단일쇄 Fv (scFv) 항체 단편이 조합된 융합 단백질을 생성시킨다. 그 후, 융합 단백질을 처음에는 용량 당 10 ㎍의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도록 계산된 용량으로 3일 동안 매일 12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에 정맥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격주로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 및 인간 적혈구에 대해 특이적인 scFV 단편을 포함하는 인간 융합 단백질이 생성된다. 그 후, 융합 단백질을 처음에는 마우스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혈액 부피를 기초로 스케일링된, 마우스 10 ㎍ 용량을 기초로 하는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3일 동안 매일 정맥내 투여한다. 반복 용량은 초기 용량과 동일하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용량의 절반으로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5: 반복 투여된 외인성 mRNA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이용하는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문헌 [Su et al., "In vitro and in vivo mRNA delivery using lipid-enveloped pH responsive polymer nanoparticles" Mol Pharm. 2011 June 6; 8(3): 774?787] ("문헌 [Su]")의 개시내용에 따라 pH-반응성 폴리(β-아미노-에스테르) (PBAE) 코어 및 인지질 쉘로 구성된 분해성 합성 나노담체 시스템을 제조한다. 이중 에멀젼 제제화 전략이 추구되고, MPA 농도가 100 mg/ml인 용액으로서 존재하는 미코페놀산이 1차 에멀젼 내에, 이어서 합성 나노담체 내에 캡슐화된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캡슐화 전략에 대해 문헌 [Moon et al.," Interbilayer-Crosslinked Multilamellar Vesicles as Synthetic Vaccines for Potent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Nat Mater. 2011 March; 10(3): 243-251]을 또한 참조한다. 그 후, 문헌 [Su]에 일반적으로 개시된 방법에 따라 EPO에 대한 mRNA가 합성 나노담체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문헌 [Su]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타 치료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 예컨대 mRNA-기반 백신 또는 단백질 대체물이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7 mg/kg의 합성 나노담체를 함유하도록 계산된 용량으로 레서스 원숭이에게 정맥내 주입을 통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격월로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원숭이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질량을 기초로 스케일링된, 최초의 7 mg/kg 용량의 2배 (즉 14 mg/kg)를 기초로 하는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6: 반복 투여된 외인성 cDNA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이용하는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제노스피어(Genosphere)-양식의 합성 나노담체를 제조한다. 라파마이신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나노담체 제제에 첨가된 건조 성분의 중량을 기초로 4% w/w의 계산된 라파마이신 로드에 도달하도록 라파마이신 용액을 지질 용액과 조합함으로써, 라파마신을 합성 나노담체 내에 캡슐화한다. 인간 및 비-인간 영장류 모두에서 번역될 수 있는 통상적인 플라스미드 기술을 사용하여, DNA 상은 에리트로포이에틴 ("EPO")을 코딩하는 cDNA가 혼입된 플라스미드를 포함한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12 mg/kg의 합성 나노담체를 함유하도록 계산된 용량으로 2일 동안 매일 마카크 원숭이에게 정맥내 주입을 통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하고, 이때 초기 용량의 2배 (즉 24 mg/kg)로 시작하고, 그 후 2개월마다 25%만큼 감소된다 (18 mg/kg, 12 mg/kg, 6 mg/kg).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원숭이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질량을 기초로 스케일링된, 원숭이에서 반복적으로 투여된 감소되는 24 mg/kg 원숭이 용량 (예를 들어, 2개월 간격으로 감소되는 24, 18, 12, 및 6 mg/kg)을 기초로 하는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7: 반복 투여된 외인성 mmRNA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이용하는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물질
라파마이신을 TSZ CHEM (01702 매사추세츠주 프레이밍햄 윌슨 스트리트 185; 제품 카달로그 # R1017)로부터 구입한다. 약 25,000 Da의 PLGA를 레이크쇼어 바이오케미칼스 (35211 알라바마주 버밍햄 톰 마틴 드라이브 756)로부터 구입한다. 제품 코드 5050 DLG 2.5A. 약 5,000 Da의 메틸 에테르 말단 PEG 블럭 및 48,000 Da의 PLA 블럭이 있는 PLA-PEG-OMe 블럭 공중합체를 레이크쇼어 바이오케미칼스 (35211 알라바마주 버밍햄 톰 마틴 드라이브 756)로부터 구입한다. 제품 코드 100 DL mPEG 5000 5CE. 임프로브® 폴리비닐 알콜 4-88, USP (85-89% 가수분해, 3.4-4.6 mPa.s의 점도)를 EMD 케미칼스 인크. (08027 뉴저지주 깁스타운 사우스 데모크랫 로드 480, 파트 번호 1.41354)로부터 구입한다.
드 푸제롤레스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3/0115272의 개시내용에 따라 재조합 인간 과립구-콜로니 자극 인자 (rhuG-CSF) 변형 mRNA를 제조한다.
방법
하기와 같이 용액을 제조한다: 용액 1: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100 mg/mL의 PLGA. PLGA를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2: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100 mg/mL의 PLA-PEG. PLA-PEG를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3: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50 mg/mL의 라파마이신. 라파마이신을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4: 0.13 M HCl 내의 20 mg/mL의 rhuG-CSF 변형 mRNA. mmRNA를 0.13 M HCl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5: 100 mM pH 8 포스페이트 완충제 내의 50 mg/mL의 폴리비닐 알콜. 용액 6: 70 mM 포스페이트 완충제, pH 8. 용액 1 내지 4를 혼합함으로써 1차 (W1/O) 에멀젼이 먼저 생성된다.
용액 1 (0.75 mL), 용액 2 (0.25 mL), 용액 3 (0.20 mL), 및 용액 4 (0.2 mL)를 소형 유리 압력 튜브에서 합치고, 브랜슨 디지털 소니파이어 250을 사용하여 40초 동안 50% 진폭에서 초음파처리한다. 그 후, 용액 5 (3.0 mL)를 1차 에멀젼에 첨가하고, 와동시켜 조질 분산액을 생성시킨 후, 브랜슨 디지털 소니파이어 250을 사용하여 60초 동안 30% 진폭에서 초음파처리함으로써 2차 (W1/O/W2) 에멀젼이 형성된다. 2차 에멀젼을 용액 6 (30 mL)을 함유하는 개방된 50 mL 비이커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이 증발되고 나노담체가 현탁액에서 형성되게 한다. 그 후, 나노담체 현탁액을 원심분리 튜브로 옮기고, 75,600 rcf에서 35분 동안 회전시키고, 상청액을 제거하고, 펠릿을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에 재현탁시킴으로써 현탁된 나노담체의 일부분을 세정한다. 이러한 세정 절차를 반복한 후, 펠릿을 PBS 1X에 재현탁시켜, 중합체를 기초로 공칭 농도가 10 mg/mL인 나노담체 현탁액을 달성한다. 사용할 때까지 현탁액을 -20℃에서 냉동 보관한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12 mg/kg의 합성 나노담체를 함유하도록 계산된 용량으로 2일 동안 매일 마카크 원숭이에게 정맥내 주입을 통해 투여한 후, 동일한 용량 (즉 12 mg/kg)으로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원숭이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질량을 기초로 스케일링된, 원숭이에서 반복적으로 투여된 12 mg/kg 용량을 기초로 하는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8: 반복 투여된 외인성 mmRNA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이용하는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재조합 인간 과립구-콜로니 자극 인자 (rhuG-CSF) 변형 mRNA가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 (huEPO) 변형 mRNA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한다. 드 푸제롤레스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3/0115272의 개시내용에 따라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 (rhuEPO) 변형 mRNA를 제조한다.
실시예 9: 이부프로펜이 커플링된 메조포러스 ( Mesoporous ) 실리카 나노입자 (예측)
메조포러스 SiO2 나노입자 코어가 졸-겔 공정을 통해 생성된다.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CTAB) (0.5 g)를 탈이온수 (500 mL)에 용해시킨 후, 2 M 수성 NaOH 용액 (3.5 mL)을 CTAB 용액에 첨가한다.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테트라에톡시실란 (TEOS) (2.5 mL)을 용액에 첨가한다. 생성된 겔을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형성된 백색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포획한 후, 탈이온수로 세정하고, 실온에서 건조시킨다. 그 후, HCl의 에탄올성 용액에서의 밤샘 현탁에 의해 잔존하는 계면활성제를 입자로부터 추출한다. 입자를 에탄올로 세정하고, 원심분리하고, 초음파처리 하에 재분산시킨다. 이러한 세정 절차를 추가로 2회 반복한다.
그 후, SiO2 나노입자를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APTMS)을 사용하여 아미노 기로 관능화시킨다. 이를 위해, 입자를 에탄올 (30 mL)에 현탁시키고, APTMS (50 ㎕)를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에탄올을 주기적으로 첨가하여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4시간 동안 비등시킨다. 원심분리에 의해 세정하고 순수한 에탄올에 재분산시키는 사이클 5회에 의해 잔존하는 반응물을 제거한다.
별도의 반응에서, 1-4 nm 직경의 금 시드가 생성된다. 이러한 반응에서 사용된 모든 물은 먼저 탈이온화된 후 유리로부터 증류된다. 물 (45.5 mL)을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한다. 교반하면서, 0.2 M 수성 NaOH (1.5 mL)를 첨가한 후, 테트라키스(히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THPC)의 1% 수용액 (1.0 mL)을 첨가한다. THPC 용액을 첨가하고 나서 2분 후, 15분 이상 동안 숙성된 염화금산의 10 mg/mL 수용액 (2 mL)을 첨가한다. 물에 대한 투석을 통해 금 시드를 정제한다.
코어-쉘 나노담체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에서 형성된 아미노-관능화 SiO2 나노입자를 먼저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금 시드와 혼합한다. 금이 장식된 SiO2 입자를 원심분리를 통해 수집하고, 중탄산칼륨 및 염화금산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금 쉘을 형성시킨다. 그 후, 입자를 원심분리로 세정하고, 물에 재분산시킨다. 입자를 소듐 이부프로펜의 용액 (1 mg/L)에 72시간 동안 현탁시킴으로서 이부프로펜을 로딩시킨다. 그 후, 원심분리 및 물에 재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 이부프로펜을 입자로부터 세정한다.
실시예 10: 시클로스포린 A를 함유하는 리포솜 (예측)
박막 수화를 사용하여 리포솜이 형성된다.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PPC) (32 μmol), 콜레스테롤 (32 μmol), 및 시클로스포린 A (6.4 μmol)를 순수한 클로로포름 (3 mL)에 용해시킨다. 이러한 지질 용액을 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60℃의 온도에서 회전식 증발기에서 용매를 증발시킨다. 그 후, 플라스크에 질소 기체를 플러싱하여 잔존 용매를 제거한다.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2 mL) 및 5개의 유리 비드를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진탕시킴으로써 지질 필름을 수화시켜 현탁액을 형성시킨다. 현탁액을 소형 압력 튜브로 옮기고, 각각의 펄스 사이에 30초를 지연시키면서 30초 펄스의 사이클 4회 동안 60℃에서 초음파처리한다. 그 후, 현탁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그대로방치하여 완전히 수화되게 한다. 원심분리 후에 신선한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에 재현탁시키는 것에 의해 리포솜을 세정한다.
실시예 11: 중합체- 라파마이신 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성 나노담체 (예측)
PLGA-라파마이신 접합체의 제조:
산 말단 기가 있는 PLGA 중합체 (7525 DLG1A, 산가 0.46 mmol/g, 레이크쇼어 바이오케미칼스; 5 g, 2.3 mmol, 1.0 당량)를 30 mL의 디클로로메탄 (DCM)에 용해시킨다.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2 당량, 2.8 mmol, 0.57 g)를 첨가한 후, 라파마이신 (1.0 당량, 2.3 mmol, 2.1 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2.0 당량, 4.6 mmol, 0.56 g)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한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제거한다. 그 후, 여액을 약 10 mL 부피로 농축하고, 100 mL의 이소프로필 알콜 (IPA)을 첨가하여, PLGA-라파마이신 접합체를 침전시킨다. IPA 층을 제거한 후, 중합체를 50 mL의 IPA 및 50 mL의 메틸 t-부틸 에테르 (MTBE)로 세정한다. 그 후, 중합체를 진공 하에 35℃에서 2일 동안 건조시켜, 백색 고체 (약 6.5 g)로서 PLGA-라파마이신을 제공한다.
PLGA-라파마이신 접합체 및 오브알부민 펩티드 (323-339)을 함유하는 나노담체의 제조: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PLGA-라파마이신을 함유하는 나노담체를 제조한다:
나노담체 형성을 위한 용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용액 1: 묽은 염산 수용액 내의 20 mg/mL의 오브알부민 펩티드 323-339. 실온에서 0.13 M 염산 용액에 오브알부민 펩티드를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2: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100 mg/mL의 PLGA-라파마이신. PLGA-라파마이신을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3: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의 100 mg/mL의 PLA-PEG. PLA-PEG를 순수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액이 제조된다. 용액 4: 100 mM pH 8 포스페이트 완충제 내의 50 mg/mL의 폴리비닐 알콜.
먼저 1차 유중수 에멀젼을 제조한다. 용액 1 (0.2 mL), 용액 2 (0.75 mL), 및 용액 3 (0.25 mL)을 소형 압력 튜브에서 합치고, 브랜슨 디지털 소니파이어 250을 사용하여 40초 동안 50% 진폭에서 초음파처리함으로써 W1/O1이 제조된다. 그 후, 용액 4 (3.0 mL)를 1차 W1/O1 에멀젼과 합치고, 10초 동안 와동시키고, 브랜슨 디지털 소니파이어 250을 사용하여 60초 동안 30% 진폭에서 초음파처리함으로써 2차 에멀젼 (W1/O1/W2)이 제조된다. W1/O1/W2 에멀젼을 70 mM pH 8 포스페이트 완충제 용액 (30 mL)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가 증발되고 나노담체가 형성되게 한다. 그 후, 나노담체 현탁액을 원심분리 튜브로 옮기고, 75,600×g 및 4℃에서 35분 동안 회전시키고, 상청액을 제거하고, 펠릿을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에 재현탁시킴으로써 나노담체의 일부분을 세정한다. 세정 절차를 반복하고, 약 10 mg/mL의 최종 나노담체 분산액에 대해 펠릿을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에 재현탁시킨다.
실시예 12: 라파마이신을 함유하는 금 나노담체 ( AuNC )의 제조 (예측)
HS-PEG-라파마이신의 제조:
건조 DMF 내의 PEG 산 디술피드 (1.0 당량), 라파마이신 (2.0-2.5 당량), DCC (2.5 당량) 및 DMAP (3.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불용성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액을 이소프로필 알콜 (IPA)에 첨가하여 PEG-디술피드-디-라파마이신 에스테르를 침전시키고, IPA로 세정하고, 건조시킨다. 그 후, 중합체를 DMF 내의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PEG 디술피드를 티올 PEG 라파마이신 에스테르 (HS-PEG-라파마이신)로 환원시킨다. 생성된 중합체를 IPA로부터의 침전에 의해 회수하고,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건조시키고, H NMR 및 GPC로 분석한다.
금 NC (AuNC)의 형성:
500 mL의 1 mM HAuCl4의 수용액을 콘덴서가 장착된 1 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킨다. 그 후, 교반 중인 용액에 50 mL의 40 mM 시트르산3나트륨의 용액을 신속하게 첨가한다. 생성된 짙은 적포도주색 용액을 환류 하에 25-30분 동안 유지시키고, 열을 제거하고,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그 후, 용액을 0.8 ㎛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AuNC 용액을 제공한다. 가시광선 분광법 및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AuNC를 특성화한다. AuNC는 피크 흡광이 520 nm인 시트레이트가 캡핑된 약 20 nm 직경이다.
HS-PEG-라파마이신과의 AuNC 접합체:
150 ㎕의 HS-PEG-라파마이신 (10 mM pH 9.0 카르보네이트 완충제 내의 10 μM)의 용액을 1 mL의 20 nm 직경의 시트레이트-캡핑 금 나노담체 (1.16 nM)에 첨가하여 2500:1의 티올 대 금 몰비를 생성시킨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여 티올이 금 나노담체 상의 시트레이트로 완전히 교환되게 한다. 그 후, 표면 상에 PEG-라파마이신이 있는 AuNC를 30분 동안 12,000g에서의 원심분리로 정제한다. 상청액을 따라낸 후, AuNC-S-PEG-라파마이신을 함유하는 펠릿을 1x PBS 완충제로 세정한다. 그 후, 정제된 금-PEG-라파마이신 나노담체를 추후의 분석 및 생물학적 검정을 위해 적절한 완충제 내에 재현탁시킨다.
실시예 13: 라파마이신 및 오브알부민을 함유하는 리포솜 (예측)
박막 수화를 사용하여 리포솜이 형성된다.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PPC) (32 μmol), 콜레스테롤 (32 μmol), 및 라파마이신 (6.4 μmol)을 순수한 클로로포름 (3 mL)에 용해시킨다. 이러한 지질 용액을 10 mL 유리 튜브에 첨가하고, 질소 기체 흐름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하에 6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과량의 오브알부민을 함유하는 2.0 ml의 25 mM MOPS 완충제 pH 8.5로의 필름의 수화에 의해 다층 소포가 수득된다. 지질 필름이 튜브 표면으로부터 박리될 때까지 튜브를 와동시킨다. 다층 소포를 단층으로 분해하기 위해, 동결 (액체 질소) 및 해동 (30℃ 수조)의 사이클 10회를 적용한다. 그 후, 샘플을 25 mM MOPS 완충제 pH 8.5에서 1 ml로 희석한다. 샘플을 200 nm 구경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터에 10번 통과시키는 것에 의한 압출에 의해 생성된 리포솜의 크기를 균질화시킨다. 그 후, 생성된 리포솜을 추가적인 분석 및 생물학적 검정에 사용한다.
실시예 14: 반복 투여된 내인성 항원을 이용하는 다양한 추가적인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실시예 9, 10 및 12에서 개시된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용량 당 30 ㎍의 면역조절제를 제공하는 합성 나노담체의 용량으로 4일 동안 매일 C57BL/6 마우스에 정맥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마우스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혈액 부피를 기초로 스케일링된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초기 용량은 3일 동안 매일이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용량과 동일한 용량으로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15: 반복 투여된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이용하는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실시예 11 및 13의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25 mg/kg의 합성 나노담체를 함유하도록 계산된 용량으로 암컷 비글에 2일 동안 매일 정맥내 주입을 통해 투여한 후, 동일한 용량으로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비글과 인간 사이의 상대적 질량을 기초로 스케일링된, 25 mg/kg의 반복적으로 투여된 비글 용량을 기초로 하는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16: 반복 투여된 외인성 항원을 이용하는 다양한 추가적인 관용유발 합성 나노담체 (예측)
실시예 9, 10 및 12에서 개시된 합성 나노담체를 처음에는 용량 당 30 ㎍의 면역조절제를 제공하는 합성 나노담체의 용량으로 4일 동안 매일 C57BL/6 마우스에 정맥내 투여한 후,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실시예 7의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 (rhuEPO) 변형 mRNA을 합성 나노담체와 병용으로, 구체적으로는 합성 나노담체의 각각의 용량으로부터 24시간 이내에 투여한다. 충분한 mmRNA가 10 밀리유닛/밀리리터의 huEPO가 달성되도록 투여된다. 제0일, 각각의 반복 투여 직전, 및 최종 반복 투여 1주일 후에 혈액 샘플을 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KLH IgG ELISA 절차를 사용하여 KLH IgG 역가를 확립하도록 혈액 샘플을 분석한다. KLH IgG 역가가 합성 나노담체의 반복 투여 후에 취해진 샘플 중 하나 이상에서 배경값을 초과하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은 면역억제의 부재가 나타날 수 있다.
그 후, 합성 나노담체를 마우스와 인간 사이의 상대적 혈액 부피를 기초로 스케일링된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rhuEPO를 코딩하는 변형 mRNA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음)를 인간 대상체에서 10-20 밀리유닛/밀리리터의 rhuEPO를 달성하도록 투여되는 양으로 병용으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24시간 이내에) 투약한다. 초기 용량은 3일 동안 매일이다. 반복 투약 빈도는 초기 용량과 동일한 용량으로 초기 투여 후 6개월 동안 매월이다. 인간 대상체를 기회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면역계 억제의 기타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실시예 17: 메토트렉세이트 (MTX)가 항원-특이적 면역학적 관용에 이른다
연령이 매칭되는 (5-6주) C57BL/6 암컷 마우스에서 25 ㎍의 면역원성인 미립자 형태의 닭 오브알부민 (pOVA)의 매주 주사를 꼬리 정맥에 5회 정맥내 주사하였다. 일군의 동물에게 처음 3회의 항원 주사와 함께 같은 날 및 이후의 2일에 200 ㎍의 MTX의 3회의 복강내 주사를 제공하였다. 미처리 군은 항원만 제공한 반면, 처리군은 총 9회의 MTX 복강내 주사를 제공하였다 (제1일-제3일, 제7일-제9일, 제14일-제16일). 4번째 및 5번째 주사일에, pOVA의 정맥내 주사에 더하여 2 ㎍의 CpG와 혼합하여 20 ㎍의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LH)을 모든 동물의 뒷다리에 피하로 제공하였다.
항-KLH 및 항-OVA 항체 반응을 여러 시점에 이러한 동물들의 혈액에서 모니터링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의 처리의 부재 하에, 동물에서 OVA에 대한 강건한 면역 반응이 발달되었다. 대조적으로, MTX 투여는 항체 반응을 차단하였고, 5회의 항원 주사 후에도 최소의 역가만 검출되었다. MTX 처리 후 KLH 및 CpG가 주사되었을 때 (d21부터), 강건한 항-KLH 반응이 모든 군에서 검출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MTX의 면역억제 효과가 제21일 후에 해제되었다는 것과 MTX 주사의 관용유발 효과가 동반 투여된 항원 (OVA)에 제한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MTX-처리 기간 후에 제공된 항원은 아님).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MTX 및 항원의 동반 주사의 반복 투여가 면역억제에 이르지 않으면서 항원-특이적 항체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18: 메토트렉세이트 (MTX)가 다중 항원 및 경로에 대한 관용 유도에 이른다
MTX의 다중 주사가 면역학적 관용의 확립에 이를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연령이 매칭되는 (5-6주) C57BL/6 암컷 마우스에서 200 ㎍의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LH)의 매주 주사를 꼬리 정맥에 정맥내 주사하고, 2 ㎍의 CpG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ODN)와 혼합된 25 ㎍의 미립자 형태의 닭 오브알부민 (pOVA)을 뒷다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처음 3회의 항원 주사와 함께, 일군의 동물에게 같은 날 및 이후의 2일에 3회의 MTX의 복강내 주사를 제공하였다. 모든 동물에게 5회의 항원 주사 (d0, 7, 14, 21 및 28)를 제공하였고, 일군에게 9회의 추가적인 MTX 복강내 주사를 제공하였다 (제1일-제3일, 제7일-제9일, 제14일-제16일).
항-KLH 및 항-OVA 항체 반응을 여러 시점에 이러한 동물들의 혈액에서 모니터링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의 처리의 부재 하에, 항-KLH 및 항-OVA IgG 항체 역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KLH 및 OVA에 대한 강건한 면역 반응이 동물에서 발달되었다. 대조적으로, MTX 투여는 양쪽 반응을 차단하였고, 5회의 항원 주사 후에도 동물이 낮은 역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MTX 및 항원의 동반 주사의 반복 투여가 면역억제에 이르지 않으면서 항원-특이적 항체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1종 초과의 항원 및 상이한 경로에 의한 투여로 이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프로토콜이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19: ERY1 -OVA를 사용하는 OTI 모델
물질:
임젝트(Imject) 말레이미드 활성화 오브알부민: 써모사이언티픽(Thermoscientific), 제품 # 77126, 로트 # OF185798, 10 mg, 및 ERY1 펩티드 (서열: Trp-Met-Val-Leu-Pro-Trp-Leu-Pro-Gly-Thr-Leu-Asp-Gly-Gly-Ser-Gly-Cys-Arg-Gly-NH2) (서열 1), CSBio, 제품 #CS11662, 로트# M613, MW 2001, TFA 염, 6 mg, 초순수 및 1x PBS 완충제를 수득하였다.
방법
임젝트 말레이미드 활성화 OVA (10 mg)를 2 mL의 초순수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0.6 mL의 초순수 내의 ERY1 펩티드 (6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8℃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약간 혼탁한 용액을 3 mL의 1xPBS로 희석하고, 0.45 마이크로미터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 후, 여액을 10 KD MWCO 아미콘(Amicon)-15 투석여과 튜브 상에서 초순수로 세정하여 과량의 ERY1 펩티드를 제거하였다. 그 후, 농축물을 초순수로 1 mg/mL 농도 (약 9 mL)로 희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용액을 0.2 마이크로미터 필터로 여과하여, ERY1-OVA 접합체 용액 (1 mg/mL, 약 9 mL)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으로 물질이 ERY1-OVA 접합체로서 확인되었다.
적혈구 결합 펩티드를 사용한 CD8 + T 세포 관용의 유도:
마우스 글리코포린-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파지 디스플레이에 의해 발견된 합성 12-aa 펩티드 (ERY1) ({문헌 [Kontos, 2013], #8387})는 적혈구 상에 유일하게 존재하고, 적혈구를 표적화하고 면역학적 관용을 유도하도록 항원에 접합될 수 있다. 어떠한 특정 이론에도 제한되지 않으면서, 적혈구에 결합하는 것은 적혈구 재활용 및 교체 동안 항원을 자가항원으로서 취급하는 것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브알부민 (OVA)에 접합된 ERY1의 투여 후의 CD8+ T 세포의 결실 또는 무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MHC-CLI 복합체 내의 OVA의 펩티드를 인식하는 TCR을 발현하는 OTI+ 트랜스제닉 동물로부터 T 세포를 단리하였다. 제1일에 이러한 세포를 도너 세포 (CD45.2+)를 추적할 수 있도록 CD45 분자 (CD45.1+)에서의 미미한 미스매치가 있는 동물 내로 전달하였다. 일군의 동물 (n=3)는 미처리 및 비-면역화로 남았고 (나이브), 또 다른 군의 동물은 미처리로 남았지만, 면역화되었으며 (처리되지 않음), 마지막 군에는 ERY1에 접합된 OVA가 제0일 및 제5일에 제공되었다. 모든 동물 (처음의 "나이브" 군 제외)을 제14일에 뒷다리에서 OVA (10 ㎍) 및 CpG ODN (10 ㎍)으로 피하 면역화시켰다. 5일 후 (제19일), 모든 동물을 희생시키고, 면역화 부위에서 배출되는 림프절 (슬와)을 절제하고, 전달된 CD45.2+ OTI+ 세포의 존재에 대해 FACS로 분석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이브로 남은 동물은 림프절에 약 0.7×104개의 OTI+ 세포가 있었다. OVA+CpG 주사는 이러한 세포의 활성화 및 약 30배 확장 (21×104개)을 유도한 반면, ERY1-OVA 복합체로의 처리는 OTI 세포의 증식 능력의 완전한 억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이 항원을 인식하고 이의 존재 하에 활성화되는 CD8+ T 세포의 능력을 폐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결과로서의 면역 반응의 비-지속적이고 항원-특이적인 하향조절에 대한 능력을 나타낸다.

Claims (80)

  1. 대상체에서 면역억제를 유발하지 않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것; 및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대상체에게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이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가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함을 입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제; TGF-β 수용제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렉틴 수용체 리간드;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프로테아솜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효능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시토카인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활성화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시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 6-메르캅토퓨린; 아스피린;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리폴리드; 인터류킨; 시클로스포린 A, 또는 siRNA 표적화 시토카인 또는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라파마이신, 미코페놀산 또는 CD22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또한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서로 커플링되지 않고, 반복 투여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외인성 항원이 치료 단백질, 변형된 항원 또는 발현된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발현된 항원이 변형된 메신저 RNA로부터 발현된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내인성 항원에 대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내인성 항원이 자가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자가항원이 강직성 척추염; 수포성 천포창;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습진; 염증성 장 질환; 루푸스 또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건선; 사르코이드증; 전신 경화증; 경피증; 갑상선염;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하시모토 갑상선염; 갑상선중독증; 원형 탈모증;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복강 질환; 쇼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열; 위염 자가면역 위축성 위염; 자가면역 간염; 췌도염; 난소염; 고환염; 포도막염; 수정체성 포도막염; 중증 근무력증; 원발성 점액수종; 악성 빈혈;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애디슨병; 경피증; 굿패스쳐 증후군; 신염; 건선; 심상성 천포창; 유천포창; 교감신경성 안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베게너 육아종증 또는 다발/피부근염에서 발견된 것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고, 내인성 면역조절제의 존재 하에 투여되는 경우에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내인성 면역조절제가 아폽토시스 또는 관련 신호전달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T 또는 B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또는 수지상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내지 10년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2주일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 내지 12개월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19. 제6항, 제7항 및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이 외인성 면역조절제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제6항, 제7항 및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1종 초과의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이 외인성 면역조절제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서로 커플링되고,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ERY1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프로토콜의 모든 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요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에 커플링된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에 부착된 면역조절제의 로드가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에 걸쳐 평균 0.1% 내지 50% (중량/중량)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로드가 0.1% 내지 20% (중량/중량)인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 및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가 외인성 항원에 추가로 커플링되는 것인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 및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가 외인성 항원과 병용 투여되는 것인 방법.
  31.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면역조절제 로드가 평균 적어도 95%, 97%, 98% 또는 99% (중량/중량)인 방법.
  32. 대상체에게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는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의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나타난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따라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결정이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요소가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함을 입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제; TGF-β 수용제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렉틴 수용체 리간드;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프로테아솜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효능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시토카인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활성화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시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 6-메르캅토퓨린; 아스피린;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리폴리드; 인터류킨; 시클로스포린 A, 또는 siRNA 표적화 시토카인 또는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라파마이신, 미코페놀산 또는 CD22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또한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서로 커플링되지 않고, 반복 투여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외인성 항원이 치료 단백질, 변형된 항원 또는 발현된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발현된 항원이 변형된 메신저 RNA로부터 발현된 것인 방법.
  41.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내인성 항원에 대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내인성 항원이 자가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자가항원이 강직성 척추염; 수포성 천포창;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습진; 염증성 장 질환; 루푸스 또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건선; 사르코이드증; 전신 경화증; 경피증; 갑상선염;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하시모토 갑상선염; 갑상선중독증; 원형 탈모증;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복강 질환; 쇼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열; 위염 자가면역 위축성 위염; 자가면역 간염; 췌도염; 난소염; 고환염; 포도막염; 수정체성 포도막염; 중증 근무력증; 원발성 점액수종; 악성 빈혈;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애디슨병; 경피증; 굿패스쳐 증후군; 신염; 건선; 심상성 천포창; 유천포창; 교감신경성 안염;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베게너 육아종증 또는 다발/피부근염에서 발견된 것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고, 내인성 면역조절제의 존재 하에 투여되는 경우에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내인성 면역조절제가 아폽토시스 또는 관련 신호전달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T 또는 B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 또는 수지상 세포 생물학에서 수반되는 물질 및/또는 물질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6.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내지 10년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주일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2주일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초기 용량 또는 이전의 반복 투여로부터 1 내지 12개월 후에 일어나는 것인 방법.
  50. 제37항, 제38항 및 제4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이 외인성 면역조절제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2. 제37항, 제38항 및 제4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1종 초과의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외인성 항원이 외인성 면역조절제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반복 투여가 병용 반복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5.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인성 항원 및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서로 커플링되고,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ERY1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6. 제3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프로토콜의 모든 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요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대상체에게 반복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57. 제3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에 커플링된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에 부착된 면역조절제의 로드가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에 걸쳐 평균 0.1% 내지 50% (중량/중량)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로드가 0.1% 내지 20% (중량/중량)인 방법.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 및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가 외인성 항원에 추가로 커플링되는 것인 방법.
  61.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외인성 면역조절제 및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가 외인성 항원과 병용 투여되는 것인 방법.
  62.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의 면역조절제 로드가 평균 적어도 95%, 97%, 98% 또는 99% (중량/중량)인 방법.
  63. 외인성 항원 또는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를,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프로토콜에서 입증된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64. 제63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면역조절제가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가로 나타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65.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스타틴; mTOR 억제제; TGF-β 신호전달제; TGF-β 수용제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제; P38 억제제; NF-κβ 억제제; 렉틴 수용체 리간드; 아데노신 수용체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효능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프로테아솜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효능제;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길항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시토카인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억제제; 시토카인 수용체 활성화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길항제; 퍼옥시솜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효능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산화된 ATP; IDO; 비타민 D3; 시클로스포린 A;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레스베라트롤; 아자티오퓨린; 6-메르캅토퓨린; 아스피린; 니플룸산; 에스트리올; 트리폴리드; 인터류킨; 시클로스포린 A, 또는 siRNA 표적화 시토카인 또는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6. 제65항에 있어서, 외인성 면역조절제가 라파마이신, 미코페놀산 또는 CD22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7.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외인성 항원이 치료 단백질, 변형된 항원 또는 발현된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8. 제67항에 있어서, 발현된 항원이 변형된 메신저 RNA로부터 발현된 것인 조성물.
  69. 제63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중합체성 합성 나노담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0. 제63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1종 초과의 외인성 항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1. 제63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트인 조성물.
  72. 외인성 항원 또는 외인성 면역조절제를, 반복 투여 시 면역억제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프로토콜에서 입증된 양으로 생산 또는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의 제조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가 제1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방법.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5.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달성하지만 면역억제의 유도는 달성하지 않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외인성 면역조절제 또는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76. 제75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77. 대상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달성하지만 면역억제의 유도는 달성하지 않기 위한, 외인성 면역조절제 또는 외인성 항원을 포함하는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78. 제77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79. 제1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80. 제79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원-특이적 면역요법제.
KR1020157036889A 2013-06-04 2014-06-04 비-면역억제성 항원 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KR102631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1128P 2013-06-04 2013-06-04
US61/831,128 2013-06-04
PCT/US2014/040938 WO2014197616A1 (en) 2013-06-04 2014-06-04 Repeated administration of non-immunosupressive antigen specific immunotherapeu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293A true KR20160015293A (ko) 2016-02-12
KR102631173B1 KR102631173B1 (ko) 2024-01-31

Family

ID=5198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889A KR102631173B1 (ko) 2013-06-04 2014-06-04 비-면역억제성 항원 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40356361A1 (ko)
EP (2) EP3003306B1 (ko)
JP (3) JP7126806B2 (ko)
KR (1) KR102631173B1 (ko)
CN (3) CN105263491A (ko)
AU (4) AU2014274894A1 (ko)
BR (1) BR112015030237A2 (ko)
CA (1) CA2912379A1 (ko)
DK (1) DK3003306T3 (ko)
EA (1) EA201592273A1 (ko)
ES (1) ES2834129T3 (ko)
HU (1) HUE052233T2 (ko)
IL (2) IL242509B (ko)
MX (2) MX2015016691A (ko)
WO (1) WO20141976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400B1 (ko) * 2022-07-26 2023-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1376B (zh) 2009-05-27 2016-12-21 西莱克塔生物科技公司 免疫调节剂-聚合物化合物
AU2011258156B2 (en) 2010-05-26 2016-11-24 Selecta Biosciences, Inc. Multivalent synthetic nanocarrier vaccines
EP2640190A4 (en) 2010-11-05 2016-05-11 Selecta Biosciences Inc MODIFIED NICOTINIC COMPOUNDS AND ASSOCIATED METHODS
US9289477B2 (en) 2011-04-29 2016-03-22 Selecta Bioscience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to reduce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s
WO2013019658A2 (en) 2011-07-29 2013-02-07 Selecta Biosciences, Inc. Synthetic nanocarriers comprising polymers comprising multiple immunomodulatory agents
EA201592106A3 (ru) 2013-05-03 2016-08-31 Селекта Байосайенсиз, Инк. Локальное сопутствующее введение толерогенных синтетических наноносителей для снижения гипер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типа i и гипер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типа iv
WO2016037163A1 (en) 2014-09-07 2016-03-10 Selecta Bioscien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ttenuating gene therapy anti-viral transfer vector immune responses
WO2017083659A1 (en) * 2015-11-12 2017-05-18 New York University Biodegradable polymeric nanoparticle conjugates and use thereof
AU2018205496A1 (en) * 2017-01-07 2019-07-25 Selecta Biosciences, Inc. Patterned dosing of immunosuppressants coupled to synthetic nanocarriers
BR112019018748A2 (pt) 2017-03-11 2020-04-07 Selecta Biosciences Inc métodos e composições relacionados ao tratamento combinado com anti-inflamatórios e nanocarreadores sintéticos compreendendo um imunossupressor
EP3716988A4 (en) * 2017-11-29 2021-12-15 Figene, LLC INTERACTION OF FIBROBLASTS AND IMMUNE CELLS FOR ACTIVATION AND THEIR USES
EP4257143A3 (en) * 2018-11-04 2024-01-03 Figene,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using fibroblasts as facilitators of islet engraft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255A2 (en) * 2011-04-29 2012-11-01 Selecta Bioscience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to reduce immune responses to therapeutic proteins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929A (en) 1983-03-22 1990-08-0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erodible articles useful as implants and prostheses having predictable degradation rates
US4638045A (en) 1985-02-19 1987-01-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on-peptide polyamino acid bioerodible polymers
US4806621A (en) 1986-01-21 1989-02-2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compatible, bioerodible, hydrophobic, implantable polyimino carbonate article
CA1340581C (en) 1986-11-20 1999-06-08 Joseph P. Vacanti Chimeric neomorphogenesis of organs by controlled cellular implantation using artificial matrices
US5736372A (en) 1986-11-20 1998-04-0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ic fibrous matrix containing chondrocyte for in vivo production of a cartilaginous structure
US5759830A (en) 1986-11-20 1998-06-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hree-dimensional fibrous scaffold containing attached cells for producing vascularized tissue in vivo
US5019379A (en) 1987-07-31 1991-05-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Unsaturated polyanhydrides
US5010167A (en) 1989-03-31 1991-04-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ly(amide-and imide-co-anhydride) for biological application
US5399665A (en) 1992-11-05 1995-03-2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polymers for cell transplantation
US5512600A (en) 1993-01-15 1996-04-3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paration of bonded fiber structures for cell implantation
US5514378A (en) 1993-02-01 1996-05-0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compatible polymer membran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of three dimensional membrane structures
US5565215A (en) 1993-07-23 1996-10-15 Massachusette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injectable particles for imaging
US5543158A (en) 1993-07-23 1996-08-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injectable nanoparticles
US6007845A (en) 1994-07-22 1999-12-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of non-linear hydrophilic-hydrophobic multiblock copolymers
US5716404A (en) 1994-12-16 1998-02-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reast tissue engineering
US6123727A (en) 1995-05-01 2000-09-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issue engineered tendons and ligaments
US6095148A (en) 1995-11-03 2000-08-01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Neuronal stimulation using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US5902599A (en) 1996-02-20 1999-05-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polymer networks for use in orthopedic and dental applications
US5837752A (en) 1997-07-17 1998-11-1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US6632922B1 (en) 1998-03-19 2003-10-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polypeptide synthesis
US6506577B1 (en) 1998-03-19 2003-0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nthesis and crosslinking of catechol containing copolypeptides
US6686446B2 (en) 1998-03-19 2004-02-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polypeptide synthesis
CN1406140A (zh) 2000-02-28 2003-03-26 吉倪塞思公司 纳米胶囊包封系统与方法
WO2001085208A2 (en) 2000-05-05 2001-11-15 Cytos Biotechnology Ag Molecular antigen arrays and vaccines
CA2319928A1 (en) 2000-09-18 2002-03-18 Vasogen Ireland Limited Apoptosis-mimicking synthetic entities and use thereof in medical treatments
GB0025414D0 (en) 2000-10-16 2000-11-29 Consejo Superior Investigacion Nanoparticles
US6818732B2 (en) 2001-08-30 2004-11-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ransition metal initiators for controlled poly (beta-peptide) synthesis from beta-lactam monomers
AU2003228768B2 (en) * 2002-05-22 2009-02-05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tolerance to composite tissue allografts
AU2004224762B2 (en) 2003-03-26 2009-12-24 Kuros Us Llc Packaging of 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s into virus-like particle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MXPA06006738A (es) 2003-12-19 2006-08-31 Univ North Carolina Metodos para fabricar micro- y nano-estructuras aisladas utilizando litografia suave o de impresion.
US7534448B2 (en) 2004-07-01 2009-05-19 Yale University Methods of treatment with drug loaded polymeric materials
EP3590503A1 (en) * 2006-10-12 2020-01-08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s
CN101678090B (zh) 2007-03-07 2012-04-11 乌第有限合伙公司 用于预防和治疗自身免疫病的组合物和方法
WO2008124165A2 (en) 2007-04-09 2008-10-16 Chimeros, Inc. Self-assembling nanoparticle drug delivery system
EP2146747A1 (en) 2007-04-12 2010-01-27 Emory University Novel strategies for delivery of active agents using micelles and particles
EP2620157A3 (en) 2007-10-12 2013-10-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Vaccine nanotechnology
WO2009106999A2 (en) 2008-02-28 2009-09-03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Stiftung Des Öffentlichen Rechts Hollow nanoparticles and uses thereof
US20120015899A1 (en) 2008-10-25 2012-01-19 Plant Bioscience, Limited Modified plant virus particles and uses therefor
WO2010056143A1 (en) * 2008-11-13 2010-05-20 Instituto De Medicina Molecular The use of adjuvant to facilitate the induction of immune tolerance
CN102325546A (zh) 2009-01-20 2012-01-18 西北大学 用于诱导抗原-特异性耐受的组合物和方法
CN102481376B (zh) * 2009-05-27 2016-12-21 西莱克塔生物科技公司 免疫调节剂-聚合物化合物
JP6017422B2 (ja) * 2010-08-10 2016-11-02 エコール・ポリテクニーク・フェデラル・ドゥ・ローザンヌ(ウペエフエル)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赤血球結合療法
JP2013540162A (ja) 2010-10-22 2013-10-31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抗原特異的な寛容を誘導する微粒子およびその使用
DE12722942T1 (de) 2011-03-31 2021-09-30 Modernatx, Inc. Freisetzung und formulierung von manipulierten nukleinsäuren
MX2013013445A (es) * 2011-05-16 2014-07-28 Genzyme Corp Induccion de tolerancia inmunologica utilizando metotrexato.
JP6113737B2 (ja) 2011-10-03 2017-04-12 モデルナティエ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odernaTX,Inc. 修飾型のヌクレオシド、ヌクレオチドおよび核酸、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255A2 (en) * 2011-04-29 2012-11-01 Selecta Bioscience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to reduce immune responses to therapeutic proteins
WO2012149259A1 (en) * 2011-04-29 2012-11-01 Selecta Bioscience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to reduce antibody responses
WO2012149265A2 (en) * 2011-04-29 2012-11-01 Selecta Bioscience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to reduce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400B1 (ko) * 2022-07-26 2023-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4025261A1 (ko) * 2022-07-26 2024-02-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592273A1 (ru) 2016-09-30
AU2024200012A1 (en) 2024-01-25
EP3003306A4 (en) 2017-04-12
WO2014197616A1 (en) 2014-12-11
AU2014274894A1 (en) 2015-11-26
CN112933234A (zh) 2021-06-11
CN105263491A (zh) 2016-01-20
HUE052233T2 (hu) 2021-04-28
ES2834129T3 (es) 2021-06-16
JP2016526048A (ja) 2016-09-01
AU2019272021A1 (en) 2019-12-19
JP7126806B2 (ja) 2022-08-29
US20140356361A1 (en) 2014-12-04
EP3003306A1 (en) 2016-04-13
IL242509B (en) 2022-09-01
IL295392A (en) 2022-10-01
JP2020055814A (ja) 2020-04-09
DK3003306T3 (da) 2020-11-30
JP2022078020A (ja) 2022-05-24
EP3858348A1 (en) 2021-08-04
AU2021266242A1 (en) 2021-12-02
CA2912379A1 (en) 2014-12-11
IL242509A (ko) 2015-12-31
CN112933218A (zh) 2021-06-11
EP3003306B1 (en) 2020-08-26
MX2015016691A (es) 2016-04-04
KR102631173B1 (ko) 2024-01-31
MX2022004036A (es) 2022-05-02
BR112015030237A2 (pt)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9362B2 (ja) 薬力学的効果の低減または向上のための寛容原性合成ナノ担体および治療用高分子
KR102631173B1 (ko) 비-면역억제성 항원 특이적 면역요법제의 반복 투여
KR20140027360A (ko) 치료적 단백질에 대해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는 관용원성 합성 나노운반체
AU2020203312B2 (en) Dosing combinations for reducing undesired humoral immune responses
CN118078980A (zh) 致耐受性合成纳米载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