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835A -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 Google Patents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835A
KR20160013835A KR1020150173590A KR20150173590A KR20160013835A KR 20160013835 A KR20160013835 A KR 20160013835A KR 1020150173590 A KR1020150173590 A KR 1020150173590A KR 20150173590 A KR20150173590 A KR 20150173590A KR 20160013835 A KR20160013835 A KR 2016001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attaching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호 filed Critical 정민호
Priority to KR102015017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835A/ko
Publication of KR201600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하는 보호필름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키기 위한 보호필름 부착틀 및 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부착틀이 모바일기기의 전면에 결합되고 부착틀의 상면에 존재하는 개구부를 통해 액정보호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는 부착틀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Installation Fram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액정을 보호하는 액정보호 필름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틀에 관한 것으로서, 부착틀을 모바일기기에 결합 한 후 상면의 개구부를 통해 보호필름을 모바일 기기에 정확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보호필름 테두리의 크기에 맞춰 개구부를 타발하는 경우, 보호틀 하나의 형태로 크기가 다양한 다수의 보호필름에 맞춰 사용이 가능한 부착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액정이 넓은 모바일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교체비용의 감소를 위해 액정을 보호하는 액정보호필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는 노트북,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등 액정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모바일기기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액정보호필름의 부착이 어려운 소비자를 위하여 보호필름을 대신해서 부착해주는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액정보호필름의 부착은 액정 각각의 모서리 및 홈들에 맞추어 섬세하게 부착해야 하므로 모바일기기 소비자들이 보호필름을 장착하는 데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41640 호는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그를 이용해 부착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71552호는 휴대전화 외형에 부합하는 고정틀과 고정틀 저면에 부착되는 액정보호필름으로 구성되어 고정틀에 의해 액정보호필름이 휴대전화 액정부위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 액정보호필름 어셈블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최소한의 구성품을 사용하여 액정에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시키는 발명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보호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품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다양한 크기의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발명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보호필름을 부착시키는 구성품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액정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시키는 부착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액정에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모바일기기와 결합이 가능한 부착틀;과 모바일 액정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하는 보호필름의 테두리와 크기가 일치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구부를 통해 보호 필름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착틀은 정확한 위치에 액정보호 필름을 부착할 수 있어 편의성을 주고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나, 유리 소재 등 다양한 소재의 액정보호 필름을 부착하는데 용이하다, 종래에는 소재에 따라 부착틀이 따로 있어서 생산비용은 물론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품은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부착틀 상면의 개구부의 크기를 달리하여, 기존에 생산되고 있는 크기가 다양한 제품의 보호필름에도 응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지그를 생산하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착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부착틀을 이용하여 액정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액정에 부착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틀 및 그 부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착틀(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부착틀(100)은 액정보호 필름의 테두리와 일치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개구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틀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300)의 액정에 부착할 액정보호 필름(200)과 액정보호 필름(200)을 부착할 스마트기기(300)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착틀(100)을 스마트기기(300)에 씌우는 도면이다.
더 상세히는 부착틀의 내측면과 스마트기기에 외측면을 일치시켜고 덮어서 결합한 경우, 유격에 의한 움직임이 없도록 정교하게 제작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도면으로 액정보호 필름 테두리의 일측면을 부착틀의 내측 테두리 일측면과 일치 시켜 정확한 위치를 자리잡은 후 일치시킨 액정보호 필름의 반대측 테두리를 부착틀의 개구부와 일치시켜 부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 하단에 점착면을 가지고 있어 스마트기기의 액정과 접촉하여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틀(100)의 개구부를 통해 액정보호 필름(200)이 스마트기기(300)의 액정에 부착되어 있는 사시 도면이다.
도7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틀(100)은 부착틀을 이용하여 액정보호 필름(200)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킨 후 부착틀을 제거하면 스마트기기(300)에 액정보호 필름(200)이 정확히 부착되어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부착틀을 제공하고 있어 보호필름 부착에 있어 비숙련자도 정확한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고, 제조가 간단하여 단순한 사출성형으로 부착틀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다양한 크기의 액정보호 필름도 개구부의 테두리를 액정보호 필름 테두리에 맞게 타발하여 사용가능하여, 모바일 기기 기종에 맞게 성형된 하나의 틀을 사용하여 여러 크기의 액정보호 필름을 부착가능하게는 기능이 있어 제조 원가를 낮추는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100 : 부착 틀 110 : 개구부
200 : 액정보호 필름
300 : 스마트 기기

Claims (2)

  1. 모바일기기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일치해 결합이 가능한 하단면이 개방된 상자형태의 부착틀; 및 상기 부착틀 상면에는 액정보호 필름의 테두리와 크기가 일치하여 개구부를 통하여 보호필름 부착이 가능한 부착틀.
  2. 제 1항에 있어서, 부착틀 상면의 개구부는 다수의 액정보호 필름의 크기에 맞춰 타발이 가능한 부착틀.
KR1020150173590A 2015-12-07 2015-12-07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KR20160013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90A KR20160013835A (ko) 2015-12-07 2015-12-07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90A KR20160013835A (ko) 2015-12-07 2015-12-07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835A true KR20160013835A (ko) 2016-02-05

Family

ID=5535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90A KR20160013835A (ko) 2015-12-07 2015-12-07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8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401A (zh) * 2019-09-11 2019-11-22 东莞市金盾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硬边框手机保护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401A (zh) * 2019-09-11 2019-11-22 东莞市金盾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硬边框手机保护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2872B (zh) 制造装置外壳的方法和包括具有阶梯式凸缘的透明透镜的装置外壳
US928829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panel thereof
US20120071217A1 (en) Protector for smartphone
EP3012708A1 (en)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3189366A3 (zh) 一种终端的前壳与前壳结构
KR101687343B1 (ko)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가이드지그
JP5981189B2 (ja) 透光性パネル取付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US20140364178A1 (en) Rigid frame with protective film
US20120133608A1 (en) Touch display assembly structure
CN104317087A (zh) 触控显示模组及触控显示装置
US20180217314A1 (en) Backlight module,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WO2018068440A1 (zh) 终端设备
KR101879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KR20160013835A (ko) 액정보호필름 부착틀
CN105785625A (zh) 显示装置以及装置
EP3605216B1 (en) Glue sealing method for display screen frame
US20150153775A1 (en) Screen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 screen of electronic apparatus
US10139659B2 (en) Buffer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04570590B (zh) 防尘薄膜组件
CN107219656A (zh) 显示模块及显示模块的制造方法
US20150260380A1 (en) Backlight frame, backlight structure and lcd display device
US8656618B2 (en) Electronic device frame
US20180279494A1 (en) Hous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3241958U (zh) 防护镜片、触控模块、显示模块及触控显示器
US20120032568A1 (en) Electronic devic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