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786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786A
KR20160012786A KR1020140094959A KR20140094959A KR20160012786A KR 20160012786 A KR20160012786 A KR 20160012786A KR 1020140094959 A KR1020140094959 A KR 1020140094959A KR 20140094959 A KR20140094959 A KR 20140094959A KR 20160012786 A KR20160012786 A KR 2016001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210B1 (ko
Inventor
강창공
허형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210B1/ko
Priority to US14/806,900 priority patent/US9690128B2/en
Priority to CN201510441203.9A priority patent/CN105301819B/zh
Publication of KR2016001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 요소들 간의 최소 이격 거리가 확보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제1 섀시(chassis), 제2 섀시,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를 포함한다. 제1 섀시는 액정 표시 패널의 일 면을 덮는다. 제2 섀시는 액정 표시 패널을 둘러싸고, 제1 섀시의 상면의 엣지 면에 대향하는 제1 면 및 액정 표시 패널의 하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다. 제1 패드부는 제1 섀시와 제2 섀시의 제1 면 사이에 개재된다.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는 제2 섀시의 제2 면과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다.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폼 패드층과 경성층(rigid layer)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패드부를 통해 액정 표시 장치 내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가 확보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I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 내에서 폼 패드층 및 경성층으로 구성된 패드부를 적용함으로써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확보되는 동시에 구성 요소들 사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대한 액정 표시 패널의 투과도를 조정함으로써 구동된다. 최근에는 높은 해상도와 낮은 전력 소모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을 가지는 동시에 베젤(bezel)을 갖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을 수용하기 위한 섀시(chassis)를 포함한다. 섀시는 액정 표시 패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 등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섀시와 섀시 사이 또는 섀시와 다른 구성 요소 사이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액정 표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섀시와 섀시 사이 또는 섀시와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실리콘 물질의 패드부를 적용하였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베젤을 최소화하거나 베젤을 없애기 위해, 섀시 및 섀시의 내측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 사이의 간격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구성 요소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일부의 구성 요소들은 액정 표시 장치가 조립될 때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 위치가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요소들이 서로에게 압력을 가하게되고 이로 인해 구성 요소가 손상되어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100)의 액정 표시 패널(140), 도광판(150) 및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1 섀시(110) 및 제2 섀시(12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회로 단락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 액정 표시 장치(100) 내로의 외부 이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액정 표시 패널(140)과 제2 섀시(120) 사이에 제2 패드부(124)가 배치되었다. 종래에는, 제2 패드부(124)가 고정된 두께를 가진 실리콘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제2 패드부(124)가 너무 두꺼운 경우 액정 표시 패널(140)과 제2 섀시(120)가 조립될 때, 제2 패드부(124)가 액정 표시 패널(140)에 압력을 가해, 예를 들어 액정의 배향이 변경될 수 있다. 액정이 배향이 변경되면, 액정 표시 패널(140)에 빛샘 현상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100)는 불투명한 커버부(130)를 사용하므로, 액정 표시 패널(140)에 빛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액정 표시 패널(140)의 엣지(edge) 부분이 커버부(130)에 의해 가려지고, 빛샘 현상이 실질적으로 육안으로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엣지 부분에 발생하는 빛샘을 가리기 위해 커버부(130)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커버부(130)를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커버부(130)가 사용되지 않는 구조에서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2 패드부(124)가 사용되면, 액정 표시 패널(140)에 압력이 가해져, 액정의 배향이 바뀌어 발생하는 빛샘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140)과 제2 패드부(124)의 배치되는 위치가 겹쳐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두께의 제2 패드부가 사용되면,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차단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섀시(110) 위에는 광학층(170)이 위에 형성된 도광판(150)이 배치되고, 도광판(150) 아래에는 반사판(reflector)(160)이 배치된다. 반사판(160)의 엣지 부분에는 백라이트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반사판(160) 엣지 부분에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검은색 잉크가 인쇄된 잉크부(162)가 형성된다. 잉크부(162)는 반사판(160)에 의한 빛샘을 감소시킨다.
한편, 제1 섀시(110)와 제2 섀시(120) 사이에는 제1 패드부(122)가 배치된다. 제1 패드부(122)는 제1 섀시(110)와 제2 섀시(120) 사이를 밀봉할 뿐만 아니라, 제1 섀시(110)와 반사판(160) 그리고 제2 섀시(120)와 도광판(150) 사이는 제1 패드부(122)를 통해 이격된다. 그러나, 제2 섀시(120)와 제1 섀시(110)가 제1 패드부(122)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때 제1 섀시(110)와 제2 섀시(120)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유지되지 않으면, 제2 섀시(120)의 돌출부에 접착된 제3 패드부(126)가 도광판(150)의 엣지 부분을 누를 수 있다. 눌려진 도광판(150)의 엣지 부분에 압력 및 열이 가해지면, 잉크부(162)가 도광판(150)에 들러붙게 된다. 고온 고습 환경에서 금속인 반사판(160)이 팽창될 때, 잉크부(162)가 도광판(150)과 들러붙어 있어 반사판(160)이 평탄하게 팽창되지 못하고, 구김(wrinkle)을 가지며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구김 현상이라고 하며, 구김 현상이 발생된 반사판(160)은 입사된 빛을 액정 표시 패널(140)에 걸쳐 균일하게 반사시킬 수 없고, 균일하게 반사되지 않은 빛은 얼룩과 같이 시인될수도 있다.
[관련기술문헌]
1. PORTABLE COMPUTER HOUSING WITH INTEGRAL DISPLAY (미국특허출원번호 제12/691,714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보다 얇은 두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현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입자 유입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겹치지 않게 이격 거리가 유지되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정 표시 패널, 반사판, 도광판, 섀시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의 위치가 겹쳐지지 않도록 구성 요소들 사이의 좁은 간격을 유지시킬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이 겹쳐지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는 패드부가 적용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커버부가 적용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빛샘 현상과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이 최소화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제1 섀시(chassis), 제2 섀시,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를 포함한다. 제1 섀시는 액정 표시 패널의 일 면을 덮는다. 제2 섀시는 액정 표시 패널을 둘러싸고, 제1 섀시의 상면의 엣지 면과 대향하는 제1 면 및 액정 표시 패널의 하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다. 제1 패드부는 제1 섀시와 제2 섀시의 제1 면 사이에 개재된다.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는 제2 섀시의 제2 면과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다.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폼 패드층과 경성층(rigid layer)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패드부를 통해 액정 표시 장치 내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가 확보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의 상면에 접착된 투명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패드부는 제2 섀시의 제2 면에 접착되며, 제2 패드부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최소화하도록 액정 표시 패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판은 제2 섀시 위에 배치되고 접착층을 통해 제2 섀시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경성층은 검정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폼 패드층은 경성층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폼 패드층은 경성층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폼 패드층과 경성층 사이에 제1 접착층이 배치되고, 제1 접착층은 검정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패드부 또는 제2 패드부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제2 접착층은 제1 섀시 또는 제2 섀시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섀시 위에 배치된 도광판,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된 반사판 및 반사판의 엣지 부분과 도광판 사이에 형성된 잉크부를 더 포함하고, 반사판과 제1 섀시는 경성층의 두께 이하만큼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패드부의 적어도 일 측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섀시는 액정 표시 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제2 면은 돌출부에서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섀시 위에 배치된 도광판,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된 반사판, 반사판의 엣지 부분과 도광판 사이에 형성된 잉크부 및 도광판의 상면에 대향하는 돌출부의 제3 면에 형성된 제3 패드부 를 더 포함하고, 제3 패드부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는 제1 패드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사판과 제1 섀시 사이의 거리 및 제3 패드부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의 합은 제1 패드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폼 패드부와 경성층을 포함하는 패드부를 통해 섀시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의 위치가 겹쳐짐으로써 발생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빛샘 및 반사판으로 인한 비균일성에 기인하는 얼룩과 같은 시인성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폼 패드부와 경성층을 포함하는 패드부를 사용하여, 구성 요소들 사이의 좁은 간격을 유지시킬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이 겹쳐지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걔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라 절단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泰?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상에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걔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라 절단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정 표시 패널(240)과 액정 표시 패널(240)을 둘러싸는 제2 섀시(220)만을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200)는 제1 섀시(210), 제2 섀시(220), 제1 패드부(222), 제2 패드부(224), 제3 패드부(226), 투명판(230), 접착층(232), 액정 표시 패널(240), 도광판(250), 반사판(260), 광학층(270) 및 체결부(280)를 포함한다.
먼저, 액정 표시 패널(240)은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양을 액정의 배향을 통해 조절하고, 투과되는 빛을 컬러필터에 투과시켜 색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이다. 액정 표시 패널(24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 액정층 등을 포함하고 복수의 트랜지스터와 액정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240) 상에는 액정 표시 패널(240)의 상면에 접착된 투명판(230)이 배치된다. 투명판(230)은 액정 표시 패널(240)과 접착된다. 투명판(230)은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랙서블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커버부를 포함하므로, 액정 표시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성은 커버부의 두께로 인해 액정 표시 장치를 더 얇게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이에 따라 커버부를 제거하는 경우, 액정 표시 장치를 더 얇게 하고 빛이 발광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배젤(bezel) 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가 제거됨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이 탈착되거나 충격에 노출될 수 있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240) 위에 투명판(230)이 형성되고, 투명판(230) 아래에 액정 표시 패널(240)이 접착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140) 아래에는 도광판(250)이 배치된다. 도광판(250)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200)의 측면에 배치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백라이트의 빛이 액정 표시 패널(240)이 배치된 방향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빛을 인도(guide)하기 위한 구성 요소다.
도광판(250) 상에는 도광판(250)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는 광학층(270)이 형성된다. 광학층(270)은 하나의 층일 수도 있고, 다양한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층일 수도 있다. 광학층(270)은, 예를 들어, 집광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빛을 분산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광판(250)의 아래에는 반사판(260)이 배치된다. 반사판(260)은 도광판(250)을 통과하는 백라이트의 빛 중 도광판(250)의 아래로 조사되는 빛을 액정 표시 패널(240)로 반사시킨다. 반사판(260)의 엣지 부분에서는 잉크부(262)가 형성된다. 반사판(260)의 엣지 부분에는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의 일부와 도광판을 투과한 빛의 일부가 반사판(260) 엣지 부분에 반사되면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판(260)의 엣지 부분에 검은색 잉크가 인쇄된 잉크부(262)가 형성됨으로써, 빛이 엣지 부분에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반사판(260)은 반사도가 높은 금속 또는 다양한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판(plate)이다. 따라서, 반사판(260)은 온도 및/또는 습도가 변함에 따라,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260)은 고온 및/또는 고온의 환경에서 팽창될 수 있다. 반사판(260)이 도광판(250)의 적어도 일부에 들러붙게 된다면, 반사판(260)이 팽창될 때의 응력에 의해 반사판(260)에는 구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구김 현상이 발생되면, 반사판(26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균일하게 액정 표시 패널(240)로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섀시(220)의 돌출부(228) 또는 액정 표시 장치(200)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반사판(260)의 잉크부(262)와 도광판(250)이 밀착되고, 잉크부(262)가 고온 또는 고습의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잉크부(262)는 녹아 접착력이 높아져 도광판(250)에 늘러 붙어버릴 수 있다. 이 경우, 구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에서는 반사판(260)의 잉크부(262)가 도광판(250)에 들러붙지 않고, 반사판(260)은 그 주위에 수축 또는 팽창될 공간을 갖는다..
한편, 도 3에서 반사판(260)의 잉크부(262)와 도광판(250)이 접촉된 것으로 도시되나, 반사판(260)의 잉크부(262)는 도광판(250)에 접착되지 않고 반사판(260)은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을 정도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도광판(250)과 반사판(260)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들에 의해 지지되며, 도광판(250)과 반사판을 지지하는 구성 요소들은 제1 섀시(210) 또는 제2 섀시(2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섀시(210)는 액정 표시 장치(200)의 하단에 배치된다. 제1 섀시(210)는 액정 표시 장치(200)의 하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정 표시 장치(200)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제1 섀시(210)는 액정 표시 패널(240) 및 반사판(260)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도 3에서 제1 섀시(210)의 상면과 하면은 평탄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섀시(210)의 상면과 하면은 설계에 따라 엣지 부분이 돌출된 형태를 가지거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섀시(210)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하도록 제1 섀시(210)의 일부가 절연 처리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1 섀시(210)는 반사판(260)과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사판(260)은 제1 섀시(210)에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도 있다. 다만, 반사판(260)과 제1 섀시(210)가 접촉하는 경우, 열이나 습도에 의해 반사판(260)이 자유롭게 수축 또는 팽창되도록 서로 접착되지는 않을 수 있다.
제1 섀시(210)의 엣지에는 제1 섀시(210)와 수직한 부분을 갖는 제2 섀시(220)가 배치된다. 제2 섀시(220)는 액정 표시 패널(240)을 둘러싸며, 액정 표시 장치(200)의 측면으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 액정 표시 장치(200)를 보호한다. 제2 섀시(220)의 상면은 접착층(232)을 통해 투명판(230)과 접착된다. 제2 섀시(220)는 제1 섀시(210)의 엣지 면(210a)에 대향하는 제1 면(220a)을 가지며, 제1 면(220a)과 엣지 면(210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222)를 사이에 두고 있다. 제2 섀시(220)는 회로부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섀시(220)는 액정 표시 패널(240)과 일부 중첩되며, 제2 섀시(220)는 액정 표시 패널(240)을 둘러싼다. 제2 섀시(220)는 도 2에서는 하나의 섀시로 도시되나, 복수의 섀시 예를 들어 좌측 섀시, 우측 섀시, 상측 섀시 및 하측 섀시 등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섀시(22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240)에 접착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회로부, 백라이트 등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평면 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섀시(220)는 액정 표시 패널(240) 방향으로 돌출되고, 액정 표시 패널(240) 아래에 위치하는 돌출부(228)를 갖는다. 돌출부(228)는 액정 표시 패널(240)과 도광판(250) 사이에 위치되며, 액정 표시 패널(240)에 대향하는 제2 면(220b) 및 도광판(250)에 대향하는 제3 면(220c)을 갖는다. 제2 섀시(220)는 액정 표시 장치(200)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입자들을 차단하고, 제2 섀시(220)와 도광판(250), 액정 표시 패널(240)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의 위치가 겹치지 않게 하고,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2 패드부(224), 제3 패드부(226)등이 제2 섀시(2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섀시(220)의 돌출부(228)의 하면에는 제3 패드부(226)가 형성된다. 제3 패드부(226)는 도광판(250)이 물리적 충격에 의해 제2 섀시(220)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패드부다. 제3 패드부(226)의 물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2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2 섀시(220)의 형상은 예시적인 형상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섀시(220)는 돌출부(228)를 갖지 않으면서 액정 표시 패널(240)에 대향하는 제2 면(220b)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제2 섀시(220)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설계에 따라 제3 면(220c)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섀시(210)의 제1 면(220a)과 제2 섀시(220)의 엣지 면(210a) 사이에는 제1 패드부(222)가 배치된다. 제1 패드부(222)는 제1 섀시(210)와 제2 섀시(220) 사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을 차단한다. 또한, 제1 패드부(222)는 제1 섀시(210)와 반사판(26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 및 제2 섀시(220)와 도광판(25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를 확보한다. 여기서, 제1 섀시(210)와 반사판(26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란 제1 섀시(210)와 반사판(260)이 이격되어 잉크부(262)가 도광판(250)에 접착되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제2 섀시(220)와 도광판(25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란 잉크부(262)가 도광판(250)에 접착되지 않도록 제2 섀시(220)의 돌출부(228)가 도광판(250)을 누르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에서는 제1 섀시(210)와 반사판(26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 및 제2 섀시(220)와 도광판(250) 사이의 거리가 최소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제1 패드부(222)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패드부(222)는 폼(foam) 패드층(222a) 및 경성층(rigid layer)(222b)을 포함한다. 폼 패드부(222a)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압력이 인가되면 미리 결정된 두께까지 압축 가능한 패드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폼 패드부(222a)는 0.4 mm의 두께를 가지며, 제1 섀시(210)의 제1 면(220a)과 제2 섀시(220)의 엣지 면(210a)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이 인가되면 두께가 0.1 mm까지 압축되는 패드부일 수 있다. 폼 패드층(222a)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 계(polyester-based)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폼 패드층(222a)과 액정 표시 장치(2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위치가 겹쳐지면 압력에 의해 폼 패드층(222a)의 일부가 수축된다. 폼 패드층(222a)의 일부가 수축되므로, 위치가 겹쳐지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반대편에 위치한 구성 요소가 받는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폼 패드층(222a)은 제2 섀시(220)와 제1 섀시(210) 사이를 막아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차단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한 다른 물질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더 흡수할 수 있다.
경성층(222b)은 제1 패드부(222)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층으로 폼 패드층(222a)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는 압축이 인가되어도 두께가 실질적으로 변동되지 않는 층이다. 제1 패드부(222)가 폼 패드층(222a) 및 경성층(222b)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제1 패드부(222)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며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1 섀시(210)와 반사판(260) 및 제2 섀시(220)와 도광판(2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경성층(222b)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성층(222b)의 두께는 액정 표시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경성층(222b)의 두께는 반사판(260)과 제1 섀시(210) 사이의 원하는 거리 또는 제3 패드부(226)와 도광판(250) 사이의 원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경성층(222b)의 두께는 반사판(260)과 제1 섀시(21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d1)와 제3 패드부(226)와 도광판(25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d2)의 합에서 폼 패드층(222a)의 두께를 뺀 두께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잉크부(262)가 형성된 반사판(260)의 엣지 부분과 제1 섀시(210)는 경성층(222b)의 두께 이하만큼 서로 이격된다. 즉, 제1 섀시(21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d1)는 경성층(222b)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결국, 경성층(222b)을 통해 액정 표시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이에 따라, 도광판(250)이 제2 섀시(2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눌려, 반사판(260)의 잉크부(262)가 도광판(250)에 접착되며, 반사판(260)의 열변형으로 인한 구김 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경성층(222b)이 폼 패드층(222a) 상에서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경성층(222b)의 두께는 전술된 요소, 즉 구성 요소들의 최소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즉, 반사판(260)은 경성층(222b)의 두께에 의해 열에 의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하도록 위 아래로 충분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3 패드부와 도광판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d2)는 제1 패드부(22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패드부(222)의 두께로 인해 제3 패드부(226)와 도광판(250) 사이의 거리(d2)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260)과 제1 섀시(21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d1) 및 제3 패드부(226)와 도광판(250)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d2) 의 합(d1+d2) 은 제1 패드부(22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패드부(222)의 두께로 구성 요소들 간의 이격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드부(222)는 액정 표시 장치(200) 내부로부터의 빛샘을 최소화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커버부(130)와 제1 섀시(110)의 일부가 제1 섀시(110)와 제2 섀시(120)가 연결되는 부분을 덮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100)의 구조인 경우, 패드부(122)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차단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부(222)의 적어도 일 측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된 경우 제1 패드부(222)는 액정 표시 장치(200) 내부로부터의 빛샘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제1 패드부(222)의 폼 패드층(222a) 및 경성층(222b)은 검은색일 수 있다.
제1 섀시(210)와 제2 섀시(220)는 체결부(280)를 통해 연결된다. 체결부(280)는 나사, 볼트, 너트 등일 수 있으며, 체결부(280)는 제1 섀시(210)와 제1 패드부(222)를 관통하여 제2 패드부(224)에 고정된다. 제1 패드부(222)의 폼 패드층(222a)은 체결부(280)가 조여짐에 따라 압축된다. 체결부(280)에 의해 압축되는 폼 패드층(222a)은 폼 패드층(222a)이 닿는 제2 섀시(220)의 형상에 따라 압축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입자가 들어올 공간을 최소화시킨다. 체결부(280)의 하단면은 제1 섀시(210)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어 액정 표시 장치(200)의 하면은 전반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패드부(222)는 체결부(280)가 닿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나사인 체결부(280)와 제1 패드부(222)가 닿지 않도록 제1 패드부(222)는 체결부(280)의 직경보다 큰 내측 직경을 갖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표시 패널(240)의 하면에 대향하는 제2 섀시(220)의 제2 면(220b)에서 제2 섀시(220)와 액정 표시 패널(240) 사이의 제2 패드부(224)가 개재된다. 제2 패드부(224)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차단하기 위해 액정 표시 패널(240)의 하면에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40)은 투명판(230)의 하면에 접착되므로, 제2 섀시(220)의 돌출부(228)와는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즉, 제2 섀시(220)의 돌출부(228)는 액정 표시 패널(240)을 지지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섀시(220)와 액정 표시 패널(240)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액정 표시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이물은 회로를 단락시키거나 액정 표시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을 손상시킬 줄 수도 있다. 이에, 제2 패드부(224)는 제2 섀시(220)와 액정 표시 패널(240) 사이의 공간을 막아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패드부(224)는 폼 패드층(224a) 및 경성층(224b)을 갖는다. 폼 패드층(224a)과 경성층(224b)은 제1 패드부(222)에서의 폼 패드층(222a)과 경성층(222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폼 패드층(224a) 및 경성층(224b)을 통한 제2 패드부(224)의 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패드부(224)가 폼 패드층(224a) 또는 경성층(224b) 단독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패드부(224)가 폼 패드층(224a)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폼 패드층(224a)은 압축되지 않거나 일부만 압축된 상태에서 액정 표시 패널(240)에 닿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외부로부터의 이물은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패널(240)의 이동 및 다양한 충격에 의해 폼 패드층(224a)은 표면의 일부가 벗겨져서 일어나는 버어(burr)와 같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 경우 폼 패드층(224a) 자체에 의한 이물이 액정 표시 장치(20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패드부(224)가 경성층(224b)만으로 형성될 때, 경성층(224b)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액정 표시 패널(240)의 하면에 폼 패드층(224a)이 접촉되지 못하여 이물을 충분히 차단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경성층(224b)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경성층(224b)이 액정 표시 장치(20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압력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240)의 액정의 배향이 변경되거나 액정 배향층의 배향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액정 표시 패널(240)이 모두 빛을 차단하는 검은색 상태에서 일부의 빛이 제2 패드부(224)가 형성되는 영역의 액정 표시 패널(240)을 통해 누출될 수 있다.
이러한 빛샘 현상은 제2 패드부(224)가 폼 패드층(224a) 및 경성층(224b) 모두를 포함하게 형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폼 패드층(224a) 및 경성층(224b)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224)는 폼 패드층(224a)을 통해 제2 패드부(224)가 액정 표시 패널(240)의 하면에 접촉하게 한다. 또한, 경성층(224b)의 두께를 조절하여 액정 표시 패널(240)에서의 액정 배향 변화 등이 일어나지 않게 제2 패드부(224)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2 패드부(224)를 통해 액정 배향 변경으로 인한 빛샘이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까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경성층(224b)이 폼 패드층(224a) 위에 형성되는 경우 경성층(224b)이 폼 패드층(224a)의 상면을 덮게 되어, 폼 패드층(224a)과 경성층(224b)이 접촉하는 면에 발생하는 버어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부(222) 또는 제2 패드부(224)가 폼 패드층(222a, 224a) 및 경성층(222b, 224b)가 포함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격 공간이 확보되는 동시에 각종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260)의 구김 현상, 액정 표시 패널(240)의 빛샘 현상 등이 최소화되어 액정 표시 장치(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7은 도 3의 제1 패드부(222) 또는 제2 패드부(224)에 적용될 수 있는 폼 패드층(422a, 522a, 622a, 722a)와 경성층(422b, 522b, 622b, 722b)을 포함하는 패드부들(422, 522, 622, 722)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간결함을 위해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는 도시되지 않으나 패드부들(422, 522, 622, 722)은 도 3에서 전술한 제1 패드부(222) 및/또는 제2 패드부(224)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폼 패드층(422a, 522a)이 경성층(422b, 522b)보다 더 두꺼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폼 패드층(422a, 522a)이 경성층(422b, 522b)보다 두꺼운 경우, 패드부(422, 522)가 액정 표시 패널과 제2 섀시 사이에 적용되면, 완충 능력이 있는 폼 패드층(422a, 522a)이 액정 표시 패널에 밀착되면서도, 액정 표시 패널에 가하는 압력은 낮아 액정 표시 패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폼 패드층(422a)과 경성층(422b) 사이에 제1 접착층(422c)이 형성된다. 제1 접착층(422c)은 폼 패드층(422a)과 경성층(422b)을 연결시킨다. 제2 접착층(422d)은 경성층(422b) 아래에 배치된다. 경성층(422b)은 제2 접착층(422c)을 통해 제1 섀시 또는 제2 섀시와 연결된다. 도 5에서, 제2 접착층(522d)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폼 패드층(522a), 제1 접착층(522c) 및 경성층(522b)은 도 4에서의 폼 패드층(422a), 제1 접착층(422c) 및 경성층(422b)과 동일하다. 도 5에서는 폼 패드층(522a)이 제2 접착층(522d)을 통해 제1 섀시 또는 제2 섀시와 접착된다.
도 6 및 도 7은 경성층(622b, 722b)이 폼 패드층(622a, 722a)보다 더 두꺼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경성층(622b, 722b)이 폼 패드층(622a, 722a)보다 두꺼운 경우, 폼 패드층(622a, 722a)이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우며, 폼 패드층(622a, 722a)을 통해 구성 요소들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게 하는 동시에 경성층(622b, 722b)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구성 요소들 사이의 원하는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폼 패드층(622a)과 경성층(622b) 사이에 제1 접착층(622c)이 형성된다. 제1 접착층(622c)은 폼 패드층(622a)과 경성층(622b)을 연결시킨다. 제2 접착층(622c)은 폼 패드층(622a) 위에 배치된다. 폼 패드층(622a)은 제2 접착층(622d)을 통해 제1 섀시 또는 제2 섀시와 연결된다. 도 7에서, 제2 접착층(722d)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폼 패드층(722a), 제1 접착층(722c) 및 경성층(722b)은 도 6에서의 폼 패드층(622a), 제1 접착층(622c) 및 경성층(622b)과 동일하다. 도 7에서는 경성층(722b)이 제2 접착층(722d)을 통해 제1 섀시 또는 제2 섀시와 접착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제1 접착층(422c, 522c, 622c, 722c)은 폼 패드층(422a, 522a, 622a, 722a)과 경성층(422b, 522b, 622b, 722b)을 접착하기 위한 층이며, 제2 접착층(422d, 522d, 622d, 722d)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와 패드부(422a, 522a, 622a, 722a)를 접착시키기 위한 층이다. 패드부(422a, 522a, 622a, 722a)는 2 개의 구성 요소를 접합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접착되어 다른 구성 요소와 접촉되는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양면에 접착층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착층(422c, 522c, 622c, 722c) 또는 제2 접착층(422d, 522d, 622d, 722d)은 검정색일 수 있다. 제1 접착층(422c, 522c, 622c, 722c) 또는 제2 접착층(422d, 522d, 622d, 722d)이 검정색 물질로 이루어지면, 빛샘이 우려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422c, 522c, 622c, 722c) 또는 제2 접착층(422d, 522d, 622d, 722d)을 통한 빛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는 폼 패드층(422a, 522a, 622a, 722a)이 위에 있는 구성으로 도시되나, 설계에 따라 폼 패드층(422a, 522a, 622a, 722a)이 아래에 배치되고 경성층(422b, 522b, 622b, 722b)이 위에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접착층이 다양하게 위치하고 폼 패드층과 경성층의 두께가 조절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내에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들(422, 522, 622, 722)이 두께가 상이한 폼 패드층(422a, 522a, 622a, 722a)과 경성층(422b, 522b, 622b, 722b)을 포함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각 위치에 맞게 요구되는 두께와 폼 패드층(422a, 522a, 622a, 722a)의 완충 능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422c, 522c, 622c, 722c) 또는 제2 접착층(422d, 522d, 622d, 722d)이 검정색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패드부들(422, 522, 622, 722)을 통한 빛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백라이트부(290)가 추가된 점 및 제1 섀시(210)와 제2 섀시(220)의 형상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이 도 3에서의 단면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액정 표시 장치(200)가 하단에 백라이트부(290)를 구비하는 경우, 액정 표시 장치(200)의 하단에 대한 단면도일 수 있다. 제1 섀시(210)는 백라이트부(290)를 수용하기 위해 액정 표시 패널(240)에 수직한 측벽을 가진다. 측벽에는 백라이트부(290)가 형성된다. 제1 섀시(210)가 측벽을 가지므로, 제2 섀시(220)는 아래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섀시(210)와 제2 섀시(220)를 덮는 커버부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1 섀시(210)와 제2 섀시(220) 사이에는 검정색 물질로 형성되는 제1 패드부(222)가 개재된다. 또한, 제2 섀시(220)의 돌출부(228)와 액정 표시 패널(240) 사이에는 제2 패드부(224)가 개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섀시(210)가 측벽을 가지는 경우 및 백라이트부(290)의 유무에 상관없이 제1 패드부(222)를 통해 구성 요소 간의 이격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110, 210 : 제1 섀시
120, 220 : 제2 섀시
122, 124, 126 : 패드부
130 : 커버부
140, 240 : 액정 표시 패널
150, 250 : 도광판
160, 260 : 반사판
162, 262 : 잉크부
170, 270 : 광학층
200 : 액정 표시 장치
210a : 엣지 면
220a : 제1 면
220b : 제2 면
220c : 제3 면
222 : 제1 패드부
224 : 제2 패드부
226 : 제3 패드부
222a, 224a, 422a, 522a, 622a, 722a : 폼 패드층
222b, 224b, 422b, 522b, 622b, 722b : 경성층
230 : 투명판
232 : 접착층
280 : 체결부
290 : 백라이트부
422, 522, 622, 722 : 패드부
422c, 522c, 622c, 722c : 제1 접착층
422d, 522d, 622d, 722d : 제2 접착층

Claims (14)

  1.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일 면을 덮는 제1 섀시(chassis);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둘러싸고, 상기 제1 섀시의 상면과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제2 섀시;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의 상기 제1 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2 섀시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2 패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폼 패드층과 경성층(rigid layer)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면에 접착된 투명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제2 섀시의 상기 제2 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2 패드부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상기 제2 섀시 위에 배치되고 접착층을 통해 상기 제2 섀시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층은 검정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 패드층은 상기 경성층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 패드층은 상기 경성층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 패드층과 상기 경성층 사이에 제1 접착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검정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 또는 상기 제2 패드부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섀시 또는 상기 제2 섀시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 위에 배치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된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엣지 부분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형성된 잉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1 섀시는 상기 경성층의 두께 이하만큼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의 적어도 일 측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섀시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 위에 배치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엣지 부분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형성된 잉크부; 및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대향하는 상기 돌출부의 제3 면에 형성된 제3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드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패드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1 섀시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3 패드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의 거리의 합은 상기 제1 패드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40094959A 2014-07-25 2014-07-25 액정 표시 장치 KR10220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59A KR102201210B1 (ko) 2014-07-25 2014-07-25 액정 표시 장치
US14/806,900 US9690128B2 (en) 2014-07-25 2015-07-23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201510441203.9A CN105301819B (zh) 2014-07-25 2015-07-24 液晶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59A KR102201210B1 (ko) 2014-07-25 2014-07-25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86A true KR20160012786A (ko) 2016-02-03
KR102201210B1 KR102201210B1 (ko) 2021-01-08

Family

ID=5535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59A KR102201210B1 (ko) 2014-07-25 2014-07-2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3621A4 (en) * 2019-10-28 2023-06-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68B1 (ko) * 2007-09-13 2009-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30104400A (ko) * 2012-03-14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5111A (ko) * 2012-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68B1 (ko) * 2007-09-13 2009-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30104400A (ko) * 2012-03-14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5111A (ko) * 2012-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3621A4 (en) * 2019-10-28 2023-06-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899310B2 (en) 2019-10-28 2024-0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210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12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944231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cover having a lens portion
US20100245707A1 (en) Protection plate integrated display apparatus
JP517922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174819B1 (ko) 표시장치
JP201015795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を備える携帯端末装置
EP3226070B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08225414A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2230296B1 (ko) 표시 장치
US9664938B2 (en) Display device
US10739514B2 (en) Light source device, backlight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163928A1 (en) Display apparatus
US20180224595A1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60231774A1 (en) Display module
JP2010223999A (ja) 液晶表示装置
KR102064751B1 (ko) 베젤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소자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01210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38971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KR20170075464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028200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6845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0115A (ko) 표시 장치
US9891660B2 (en) Display device
KR101918286B1 (ko) 확산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