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237A -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237A
KR20160012237A KR1020160006224A KR20160006224A KR20160012237A KR 20160012237 A KR20160012237 A KR 20160012237A KR 1020160006224 A KR1020160006224 A KR 1020160006224A KR 20160006224 A KR20160006224 A KR 20160006224A KR 20160012237 A KR20160012237 A KR 2016001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rust
plan
bond
g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환
이상대
Original Assignee
삼성증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증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증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237A/ko
Publication of KR2016001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0Tax strateg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증여신탁을 위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된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증여신탁의 수익자에게 상기 가입기간 동안의 분할 지급시기마다 지급해야할, 상기 증여신탁의 신탁원본 및 운용수익이 포함된,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onation trust plan}
본 발명은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인의 이익을 위해 자산을 신탁하는 타익신탁을 통해 절세효과를 얻을 수 있는 증여를 계획 및/또는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산의 증여를 가능한 적은 세금을 부담하면서 수행할 수 있는 요구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요구는 자산가들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절세를 하면서 증여를 할 수 있는 방식인 정기금 평가를 통한 증여 방식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일예는 "정기금 평가"라는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해서도 많은 선행기술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기금 평가는 미래의 현금흐름이 확정적이지 못할 때 적용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증여의 할인율(예컨대, 6.5%)가 적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증여자 또는 수증자의 입장에서도 공시이율의 변경에 따라 미래의 현금흐름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정확한 자금운용계획 또는 설계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신탁을 보다 높은 증여에 대한 절세효과를 가지면서도 미래의 현금흐름을 확정할 수 있는 신탁을 이용한 증여플랜을 계획 및/또는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신탁을 이용해 확정적인 운용수익률 즉, 확정적인 미래의 현금흐름을 특정할 수 있는 증여 플랜의 계획 및/또는 운용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신탁을 이용하여 신탁원본과 신탁수익을 동시에 분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절세효과(예컨대, 할인율 10%)를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증여자 또는 수증자의 입장에서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총 지급액이 분할되어 증여되므로 한 번에 큰 수익이 증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은 증여신탁을 위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된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증여신탁의 수익자에게 상기 가입기간 동안의 분할 지급시기마다 지급해야할, 상기 증여신탁의 신탁원본 및 운용수익이 포함된,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만기를 갖는 채권을 이용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을 균등한 액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로 상기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할 상기 채권의 매수가액을 연산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은 상기 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매수신호를 채권 거래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은 국공채를 매입 후 스트립하여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상기 채권을 생성하기 위한 운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권은 국공채스트립 채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또는 상기 기간동안의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연산하여 상기 지급플랜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연산하기 위해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 순현금흐름 및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연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지급액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1]
액면 맞춤비율×(가입액/N)
여기서, N은 총 분할지급횟수이고,
액면 맞춤비율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를 만족하는 비율임.
[수학식 2]
Figure pat00001
여기서 i는 분할 지급시기의 인덱스를 나타냄.
또한,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2
여기서 i는 분할 지급시기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순현금흐름은 (채권액면-신탁보수-원천징수세액)을 나타내며, 할인연수는 (시기별 지급일-최초지급일)/365 를 나타냄.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증여신탁을 위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입력된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증여신탁의 수익자에게 상기 가입기간 동안의 분할 지급시기마다 지급해야할, 상기 증여신탁의 신탁원본 및 운용수익이 포함된,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을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만기를 갖는 채권을 이용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을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지급시기별로 상기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할 상기 채권의 매수가액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매수신호를 채권 거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국공채를 매입 후 스트립하여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상기 채권을 생성하기 위한 운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지급액 및 상기 분할 지급액을 지급하기 위한 지급시기별 운용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또는 상기 기간동안의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신탁을 이용해 확정적인 운용수익률 즉, 확정적인 미래의 현금흐름을 특정할 수 있는 증여 플랜의 계획 및/또는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개별채권의 만기보유로 인해 시중금리 변화와 무관한 고정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래의 지급일의 지급금을 위한 채권이 시장에 유통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국공채 등의 스트립 채권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탁을 이용하여 신탁원본과 신탁수익을 동시에 분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절세효과(예컨대, 할인율 10%)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여자 또는 수증자의 입장에서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총 지급액이 분할되어 증여되므로 한 번에 큰 수익이 증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이 상이한 다양한 고객들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면서도, 분할 지급시기마다 받을 수 있는 분할 지급액, 보수 및 세금이 공제된 후의 순지급액, 증여재산가액 등을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에 의해 연산되는 지급플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에 의해 연산되는 지급플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청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증여자가 신탁자산을 소정의 기간을 정하여 신탁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탁자는 신탁자산 및 상기 기간 동안의 운영수익을 수익자(타인) 즉 수증자에게 상기 기간동안 분할 지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분할 지급액은 신탁자산의 즉, 신탁원본과 신탁수익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횟수의 분할 지급이 완료되면 신탁원본 및 신탁수익은 모두 수익자에게 지급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자산을 신탁하고 신탁원본 및 신탁수익에 대한 이익이 수익자(수증자)에게로 귀속되는 경우에는 종래에 정기금을 이용한 증여보다 더 높은 절세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정기금을 이용한 증여의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62조에 따라 각 정기금을 기준일의 가치로 할인(예컨대, 할인율 6.5%)하여 증여세를 징수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61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지급금을 기준일의 가치로 할인(예컨대, 할인율 10%)로 할인하게 된다. 따라서 훨씬 높은 절세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신탁자산 및 상기 신탁자산의 운영수익을 N 번 분할하여 지급할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첫번째 지급액인 분할 지급액 1의 지급시기가 증여세를 계산하는 기준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지급액 1은 모두 증여세의 과세대상이 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신탁 보수 및 원천징수세액을 공제한 금액이 증여의 과세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분할 지급액 2는 상기 분할 지급액 2를 상기 기준일의 가치로 할인한 금액이 증여세의 과세대상이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신탁자산의 원본 및 수익에 대한 이익이 같이 지급되는 경우에는 할인율 10%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할 지급액 3, 분할 지급액 4, 및 분할 지급액 5 모두 증여세를 과세하는 상기 기준일(즉, 분할 지급액 1의 지급일)의 가치로 할인되게 되며, 종래의 연금/보험 등의 정기금 평가를 통한 증여시보다 훨씬 높은 할인율을 적용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61조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미래의 분할 지급액이 확정되어야 할 수 있다. 이처럼 분할 지급액이 확정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를 만기로 하는 채권을 매입하는 것을 상기 신탁자산의 운영전략으로 삼을 수 있다.
예컨대, 분할 지급액 1의 지급시기 1을 만기로 하는 채권을 분할 지급액 1만큼 매입하는 경우, 상기 지급시기 1에 수익자에게 지급될 분할 지급액 1은 상기 채권의 액면가로 확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급시기 2에 지급될 분할 지급액 2를 확정적으로 수익자에게 지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급시기 2를 만기로 하는 채권을 분할 지급액 2만큼 매입하는 운영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전략의 운영수익은 각각의 분할 지급액들에 상응하는 채권을 채권의 만기일 전에 할인하여 매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지급액별 지급시기는 다양한 채권들의 만기시기로 결정함으로써, 지급시기별로 분할 지급액을 미리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다양한 국채들의 만기일은 주로 3월 10일, 6월 10일, 9월 10일, 12월 10일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수익자에게 분할 지급액을 지급할 지급시기를 이러한 만기일 중 하나로 선택함으로써, 해당 지급시기를 만기일로 하는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해당 지급시기에 상기 분할 지급액을 확정적으로 지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각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즉, 신탁보수 및/또는 이자소득의 원천징수 세액 공제 전 금액)은 모두 동일한 금액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여자 또는 수익자는 정확한 현금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확한 자금 운용계획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처럼 분할 지급액이 동일한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또는 앞으로 발생할) 세제혜택(즉, 증여세의 할인)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분할 지급액을 신탁기간동안 균등하게 분배하여야 할 필요성은 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신탁자산의 운영주체가 매입하여야 할 채권은 국공채 등 다양한 이자표시채권이 스트립된 채권 즉 무이표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트립채권은 이자표시채권의 원본(P/O : Pincipal Only)이 아닌 이자표시채권의 이자부분(I/O : Interest Only) 채권(이하, '이자 스트립 채권')일 수 있다.
이처럼 이자 스트립 채권을 각각의 지급시기별 지급액 즉, 분할 지급액을 위한 매입대상으로 함으로써, 원하는 금액의 채권매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이유로는 주로 P/O는 장기적인 투자대상을 원하는 보험, 연금 등에 그 수요가 많은 반면, 이자 스트립 채권의 경우에는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서 원하는 만기일에 원하는 금액만큼의 매입을 하기 위한 유통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하는 이자 스트립 채권이 없는 경우라도 국공채 등의 이자표시채권을 매입 후, 스트립함으로써 원하는 이자 스트립 채권을 생성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을 구현하기 위한 안정적인 투자대상이 될 수 있다. 물론, 신탁자산의 운영주체가 국공채 등을 매입할 경우에는, P/O부분을 매도한 후 매도한 금액으로 다시 이자 스트립 채권을 매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을 위해서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운용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상기 제어모듈(110)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을 설계하기 위한 시뮬레이터(simul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신탁자산 및 신탁기간이 입력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상기 운용모듈(130)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증여신탁 플랜을 위한 시뮬레이터의 기능뿐만 아니라, 증여신탁 플랜을 운영(필요한 채권의 매입 또는 필요한 채권의 매입을 위한 정보의 생성 등)하기 위한 운영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신탁자산의 운영주체(예컨대,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가 운영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운영주체의 직원 등이 이용하는 단말기(예컨대, 컴퓨터, 노트북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서버 또는 단말기로 구현된다고 함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2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200)은 예컨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컨대, 채권의 호가(시가) 등)를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채권의 매수신호에 기초하여 채권을 매수할 수 있는 시스템(예컨대, 채권 거래 시스템)일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200)은 예컨대, 채권 거래소가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기만 하면 그 운영주체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서버로 구현되든, 소정의 주체(예컨대, 신탁자산 운용사의 직원 등)이 이용하는 단말기로 구현되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기가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또는 상기 운용모듈(13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또는 상기 운용모듈(13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증여신탁을 위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신탁기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소정의 사용자(예컨대, 자산 운용사의 직원)의 단말기로 구현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또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가입액 및 가입기간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신탁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이 서버로 구현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입력된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이 적용될 경우의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신탁자산 및 신탁자산의 운영수익이 어떻게 수익자에게 지급될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증여신탁의 수익자에게 상기 가입기간 동안의 분할 지급시기마다 지급해야할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할 지급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여신탁의 신탁원본 및 운용수익이 포함된, 상기 수익자에게 지급시기별로 지급해야할, 지급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은 분할지급액에서 신탁운용 보수 및 원천징수세액을 제외한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제로 수익자에게 지급될 금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는 각각의 분할 지급액을 위한 채권매수가액 및/또는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채권매수가액은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 할 채권의 매수가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은 실제로 수익자에게 지급되는 순지급액을 기준일(즉, 최초 지급시기)의 할인된 가치로 평가한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은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의미할 수도 있고, 상기 가입기간 전체의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는 지급시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신탁자산의 금액 즉, 가입액 및 가입기간(즉, 신탁기간)을 입력하면 후술할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신탁자(증여자), 또는 수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신탁자 또는 수익자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에 기초하여 자신이 원하는 증여신탁 플랜을 설계할 수 있으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가입액 또는 가입기간 등을 변경하여 재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지급시기(지급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지급시기(지급일)은 다양한 국공채 특히 국공채의 이자 스트립 채권의 만기일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만기를 갖는 채권을 이용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채권을 이용한다고 함은, 상기 채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채권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채권의 가격(호가), 만기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을 균등한 액수가 되도록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로 상기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할 상기 채권의 매수가액을 연산할 수 있다.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이 계산되기 위해 상기 채권의 매수가액이 먼저 결정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채권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운용모듈(130)은 분할 지급시기별 채권매수가액이 결정되면, 상기 분할 지급시기가 만기일인 채권을 매수하기 위한 매수신호를 상기 외부 시스템(예컨대, 채권 거래시스템,2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권은 이자 스트립 채권일 수 있다.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을 지급하기 위해 이자 스트립 채권을 매입하게 되면, 결국 신탁자산의 원본 및 이자에 대한 이익이 같이 분할 지급액에 포함되어 지급되는 결과가 된다. 예컨대, 모든 분할 지급액의 지급을 위해 이자 스트립 채권만을 매입한 경우, 결국 신탁자산의 원본도 이자 스트립 채권으로 변환된 결과가 되므로 신탁자산의 원본 및 이자에 대한 이익이 수익자에게 지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61조가 적용되어 보다 높은 증여세의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동법 시행령 61조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모든 분할 지급액이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은 상기 분할 지급액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수익자에게 지급되는 예를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 할 이자 스트립 채권이 시장에 유통되지 않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매입할 채권이 이자 스트립 채권일 수 있으므로, 국공채의 이표채를 매입한 후 해당 분할 지급시기를 만기로 갖는 이자 스트립 채권을 스트립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채권들(즉, P/O 및 I/O)는 매도 후 다른 분할 지급시기를 위한 이자 스트립 채권의 매입을 위해 매도 또는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운용모듈(130)은 국공채를 매입 후 스트립하여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상기 채권을 생성하기 위한 운용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운용정보에는 매입하여야 할 국공채, 스트립할 이자 스트립 채권, 및/또는 매도 또는 교환할 나머지 채권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상대적으로 국공채는 다양한 종류가 수시로 발행되므로, 상기 운용모듈(130)은 각 분할 지급시기별로 필요한 이자 스트립 채권이 유통되는 경우에는 유통되는 이자 스트립 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고, 필요한 이자 스트립 채권이 유통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필요한 이자 스트립 채권이 이표로 포함된 국공채를 매입하고 나머지를 매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스를 위한 운용정보를 상기 운용모듈(130)은 생성할 수 있다. 신탁자산의 운영주체는 생성된 운용정보를 참고하여 필요한 이자 스트립 채권을 생성 및 보유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운용정보에 상응하는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모듈(110)에 의해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도록 신탁자산이, 상기 운용모듈(130) 및/또는 운용주체에 의해 직접 운용되면(즉,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채권이 모두 매입되면), 운용주체는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가 도래하면 상응하는 채권을 현금화하여 수익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증여신탁 플랜의 설립 및 운영에 대한 과정을 간략히 도시화하면 도 3과 같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수신된 상기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S110).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는 분할 지급시기,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 채권매수가액, 및/또는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산된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가입액 및/또는 가입기간을 변경하여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에 재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 지급시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또는 신탁자 또는 수익자)에 의해 소정의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의 운용주체는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채권(예컨대, 이자 스트립 채권)을 매입할 수 있다(S120). 이러한 매입과정은 상기 운용모듈(13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 운용주체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이자 스트립 채권이 유통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국공채 이표채를 매입한 후 스트립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운용주체는 수익자에게 분할 지급시기별로 분할 지급액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130). 이러한 지급 프로세스 역시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소정의 방식으로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수익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분할 지급시기가 되면 분할 지급액을 계좌이체할 수도 있다. 물론, 분할 지급액의 지급을 위해 반드시 상응하는 채권이 현금화될 필요는 없고, 수익자에게 선지급 후에 채권을 현금화하여 운용주체가 이를 계상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이 전술한 바와 같은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에 의해 연산되는 지급플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에 의해 연산되는 지급플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가입액이 10억이고 가입기간이 20년인 경우를 일 예로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분할 지급시기는 도 4에 도시된 지급일일 수 있고, 분할 지급액은 도 4에 도시된 채권액면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분할 지급액은 균등 분배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신탁시기가 2013년 8월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면, 20년간 총 40번 분할하여 신탁자산 및 운영수익에 대한 이익이 수익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증여신탁 플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우선 제어모듈(11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가입액(예컨대, 10억) 및 가입기간(예컨대, 20년)을 수신할 수 있으며, 가입기간(예컨대, 20년)에 상응하는 분할횟수(예컨대, 1년에 두 번, 즉 40회)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횟수별 분할 지급시기를 먼저 특정할 수 있다. 분할 지급시기는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도 4에서의 각각의 수치는 소정의 자리수에서 반올림 또는 내림된 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기초하여 분할 지급액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액면 맞춤비율×(가입액/N)
여기서, N은 총 분할 지급횟수(예컨대, 40)일 수 있다.
또한 액면 맞춤비율은 매입할 각 분할 지급시기별 채권을 현재의 가치로 고려하여 채권액면 즉, 분할 지급액이 균등하게 되도록 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기 액면 맞춤비율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만족하는 수치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3
여기서 i는 분할 지급시기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제1지급일(2013.9.10)에 상응하는 채권은 현재(예컨대, 2103.8.22) 호가(가격)이 9,982일 수 있다. 즉, 현재 9,982원을 주면 제1지급일(2013.9.10)에 10,000원을 지급하는 채권을 구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채권의 호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채권가격은 채권호가/10,000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지급일(2013.9.10)에 대해 수학식 2가 적용되면, (9,982/10,000)×(10억/40)×액면 맞춤비율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지급일에 대해 채권호가가 확인되면, 수학식 2의 좌변은 (액면 맞춤비율×상수)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의 우변은 가입액(예컨대, 10억)이므로, 상기 액면 맞춤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수학식 2가 반드시 만족할 필요는 없고, 근사치를 갖는 액면 맞춤비율이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결정되는 액면 맞춤비율(예컨대, 1.414280)이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액면 맞춤비율(예컨대, 1.414280)이 결정되면,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분할 지급액 즉,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로 매입할 채권의 채권액면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에 의하면, 액면 맞춤비율(예컨대, 1.414280)×가입액(예컨대, 10억)/40 = 35,357,000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입액(예컨대, 10억)×액면 맞춤비율(예컨대, 1.414280)은 가입기간(예컨대, 20년) 동안 수익자에게 지급될 분할 지급액(예컨대, 35,357,000)의 총합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분할 지급시기별 채권매수가액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채권매수가액은 상기 액면 맞춤비율(예컨대, 1.414280)을 결정하기 위해 먼저 결정되어야 하는 값일 수 있다. 예컨대, 분할 지급시기가 결정되고, 분할 지급시기에 상응하는 채권의 호가가 확인되면, 채권매수가액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지급일(2013.9.10)을 예로 들면, 분할 지급액(예컨대, 35,357,000)만큼의 채권액면을 갖는 채권을 현재(예컨대, 2103.8.22) 매입하기 위해서는, 현재(예컨대, 2103.8.22) 채권의 호가(예컨대, 9,982)이므로, 채권매수가액은 35,293,357이 될 수 있다.
제2지급일(2014.6.10)의 경우, 제2지급일(2014.6.10)에 상응하는 채권의 호가는 9,786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권매수가액은 분할 지급액(예컨대, 35,357,000)×호가(예컨대, 9,786)/10,000으로 연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4,600,360일 수 있다.
한편, 신탁보수 및 원천징수세액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신탁보수는 신탁자산의 운용주체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는 값일 수 있고, 원천징수세액은 관련 세법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원천징수세액은 과세대상수익에 대하여 소득세 및 주민세가 부과된 금액일 수 있고, 과세대상수익은 채권의 (쿠폰)이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쿠폰)이율에 대한 정보 역시 채권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시스템(200)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지급일(2013.9.10)에 상응하는 채권의 이율은 4.3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과세대상수익은 채권액면(즉, 분할 지급액(예컨대, 35,357,000))×(쿠폰)이율(4.3)×(경과일수(즉, 분할 지급시기(2013.9.10)-현재(예컨대, 2103.8.22) = 19일)/365)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과세대상수익에 대해 원천징수세액이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신탁보수도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일 예에서는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로 신탁보수를 일정 부분 징수하고, 최후 지급일(예컨대, 2033.6.10)에 다시 일정 부분 징수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신탁보수를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는 신탁보수 및 원천징수세액이 합해진 금액이 도시되고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10)은 분할 지급액(예컨대, 35,357,000)에서 신탁보수 및 원천징수세액을 공제한 금액을 순지급액(순현금흐름으로 표현되기도 함) 즉, 수익자에게 실제로 지급할 액수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연산할 수도 있다.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이라 함은, 실제로는 분할 지급시기(예컨대, 제1지급일(2013.9.10))에 순지급액(순현금흐름, 예컨대 35,344,830)만큼 증여가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경우에, 분할 지급시기별로 증여한 것으로 취급되는 할인된 증여액(예컨대, 35,344,830)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일 예를 들면, 실제 증여세를 계산하는 기준일은 제1지급일(2013.9.10)이므로 제1지급일(2013.9.10)에서는 순지급액(예컨대 35,344,830)과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예컨대 35,344,830)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지급일(2014.6.10)의 경우에도 기준일로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않았으므로, 순지급액(예컨대 35,166,650)과 증여재산가액(예컨대 35,166,650)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제3지급일(2014.12.10)부터는 기준일로부터 1년이 지났으므로, 할인연수는 1년이 되고, 이러한 경우 순지급액(예컨대 335,046,650)에 비해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예컨대 31,860,591)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실제로는 335,046,650의 증여가 이루어졌지만, 증여는 31,860,591만 한 것으로 취급되므로, 증여세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4지급일(2015.12.10)의 경우에는, 기준일로부터 2년이 지났으므로, 할인연수는 2년이 되고, 이러한 경우 순지급액(예컨대 34,804,400)에 비해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예컨대 28,763,967)이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의 할인폭은 할인연수에 따라 커짐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제39지급일의 경우 실제 증여액은 32,938,090 이지만, 증여세의 과세대상인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은 5,385,641밖에 안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총 가입기간 동안 실제 증여는 순 지급액의 총합인 1,310,306,474 만큼 이루어졌지만, 증여세의 과세대상인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은 631,010,845밖에 되지 않으므로 상당한 절세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처럼 상기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신탁자 또는 수익자에게 확인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절세효과를 확인시켜줄 수 있다.
이처럼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연산하는 방식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4
여기서 i는 분할 지급시기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순현금흐름(순지급액)은 (채권액면-신탁보수-원천징수세액)을 나타내며, 할인연수는 (시기별 지급일-최초지급일)/365의 정수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할인율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도 4의 경우에는 할인율이 10%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신탁자 또는 수익자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연산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한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여 증여신탁 플랜을 설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입액 및/또는 가입기간(구현 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만 변경함으로써 간단하게 새로운 증여신탁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신탁자 또는 수익자는 동일한 가입액(예컨대, 10억)으로 소정의 가입기간 동안 보다 많은 분할 지급액을 일정 주기별로 지급하기를(또는 지급받기를)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입기간을 20년에서 10년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10년 동안 총 20번의 분할횟수에 걸쳐 신탁자산 및 운영수익이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분할 지급액(예컨대, 59,131,000)은 도 4에 도시된 분할 지급액(예컨대, 35,357,0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입기간이 짧아짐으로 인해 신탁자산의 운영수익이 도 4의 경우에 비해 줄어들고, 실제 총 증여액(1,125,474,097) 및 할인된 총 증여재산가액(769,320,167)의 차이가 도 4에 비해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5의 각각의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예컨대, 분할 지급액(채권액면), 분할 지급시기(지급일), 채권매수가액, 순지급액,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등)을 연산하는 방식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증여신탁을 위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된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증여신탁의 수익자에게 상기 가입기간 동안의 분할 지급시기마다 지급해야할, 상기 증여신탁의 신탁원본 및 운용수익이 포함된,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만기를 갖는 채권을 이용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분할 지급액을 균등한 액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로 상기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할 상기 채권의 매수가액을 연산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은,
    상기 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매수신호를 채권 거래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은,
    국공채를 매입 후 스트립하여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상기 채권을 생성하기 위한 운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은,
    국공채스트립 채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또는 상기 기간동안의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연산하여 상기 지급플랜 정보에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을 연산하기 위해,
    각각의 분할 지급시기별 순현금흐름 및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연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지급액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수학식 1]
    액면 맞춤비율×(가입액/N)
    여기서, N은 총 분할지급횟수이고,
    액면 맞춤비율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를 만족하는 비율임.
    [수학식 2]
    Figure pat00005

    여기서 i는 분할 지급시기의 인덱스를 나타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수학식 3]
    Figure pat00006

    여기서 i는 분할 지급시기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순현금흐름은 (채권액면-신탁보수-원천징수세액)을 나타내며, 할인연수는 (시기별 지급일-최초지급일)/365 를 나타냄.
  11.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증여신탁을 위한 가입액 및 가입기간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입력된 가입액 및 가입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증여신탁의 수익자에게 상기 가입기간 동안의 분할 지급시기마다 지급해야할, 상기 증여신탁의 신탁원본 및 운용수익이 포함된,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을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만기를 갖는 채권을 이용하여 상기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지급액 또는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순지급액을 포함하는 지급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지급시기별로 상기 분할 지급액을 위해 매입하여야할 상기 채권의 매수가액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채권을 매입하기 위한 매수신호를 채권 거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은,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국공채를 매입 후 스트립하여 상기 분할 지급액에 상응하는 상기 채권을 생성하기 위한 운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지급액 및 상기 분할 지급액을 지급하기 위한 지급시기별 운용플랜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이 상기 분할 지급시기별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또는 상기 기간동안의 할인된 증여재산가액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06224A 2016-01-19 2016-01-19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2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224A KR20160012237A (ko) 2016-01-19 2016-01-19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224A KR20160012237A (ko) 2016-01-19 2016-01-19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21A Division KR20150047725A (ko) 2013-10-25 2013-10-25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237A true KR20160012237A (ko) 2016-02-02

Family

ID=5535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224A KR20160012237A (ko) 2016-01-19 2016-01-19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07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ancial data communications and data management
JP6616529B2 (ja) オープンマーケット上の電子商取引において決済後のランダム追加割引を提供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8364544B2 (en) Comprehensive online bidding and sales management system for merchant processing services
CN101578595A (zh) 使用支付历史进行商业交易的方法和系统
KR20180011680A (ko) 투자 정보 제공방법 및 투자 정보 제공서버
JP201913929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製造方法
US20160019646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indexes
CN111383112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Asmah et al. Efficiency for e-commerce business actors
KR100431804B1 (ko) 수익률 및 손실률을 설정할 수 있는 금융펀드 운용 방법및 장치
US111516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amily of mutual funds or ETFs
KR20160012237A (ko)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77698A (zh) 资源增量数据的确定方法、装置、介质以及电子设备
KR20150047725A (ko) 증여신탁 플랜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0853B1 (ko) 거래 중개 방법, 거래 중개 서버 및 거래 중개 시스템
JP2021099676A5 (ko)
KR20200048401A (ko) 광고 트래픽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545461B1 (ko) 신용카드의 선납 연회비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102157860B1 (ko) 원인 프로모션 분석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8583479B1 (en) Certified promissory payment method for transaction with reward points
KR20180011682A (ko) 투자 정보 제공방법 및 투자 정보 제공서버
US20040225510A1 (en) Method and software for facilitating a purchase
KR20220048967A (ko) P2p 기반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332326A1 (en) Blind etf with small lot redemption trigger
Martinson The power of the p-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