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157A - Cell coll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Cell coll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157A
KR20160012157A KR1020157035011A KR20157035011A KR20160012157A KR 20160012157 A KR20160012157 A KR 20160012157A KR 1020157035011 A KR1020157035011 A KR 1020157035011A KR 20157035011 A KR20157035011 A KR 20157035011A KR 20160012157 A KR20160012157 A KR 2016001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cell harvesting
cell
posture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2694B1 (en
Inventor
노리히사 사사야마
유이 하기와라
토모에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1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823B1/en
Publication of KR2016001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과제] 세포 채취 부재가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관체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쉽게 관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세포 채취 장치(10)는 관체(11)와 관체(11)의 선단에 장착 가능한 세포 채취 부재(12)와, 세포 채취 부재(12)를 관체(11)의 선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31)와, 잠금부(31)를 잠금자세 또는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시키는 조작부재(13)을 구비한다. 조작부재(13)는 관체(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단측이 조작됨으로써 잠금부(31)를 자세 변화시키는 것이다.
[PROBLEMS] When a cell harvesting member collects cells of the cervix, it does not fall out of the tubular body, but provides a means of easily separating from the tubular body after collection.
A cell harvesting apparatus 10 includes a cell harvesting member 12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a tubular body 11 and a tubular body 11, And an operating member 13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lock portion 31 in the lock posture or the release posture. The operation member 13 is actuat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tube 11, thereby changing the posture of the lock portion 31.

Figure P1020157035011
Figure P1020157035011

Description

세포 채취 장치{CELL COLLECTION DEVICE}CELL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관체 또는 봉재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가 착탈 가능한 세포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harvest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a cell harvesting member at the tip of a tubular member or a bar member.

자궁경부암의 진단에 있어서, 자궁경부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채취한 세포를 슬라이드 글래스에 도말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진단을 자궁경부 세포진이라 한다. 또한, 채취한 세포를 검사 센터 등으로 반송하여 검사 센터에서 관찰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In the diagnosis of cervical cancer, cells are collected from the cervix and the collected cells are stained on a slide glass and observed with a microscope. This diagnosis is called cervical cytology. In addition, the collected cells are returned to an examination center or the like and observed at an examination center.

자궁경부에서의 세포의 채취에는 봉형상 부재의 선단에 브러시 등이 설치된 디바이스가 이용된다(특허문헌 1 참조). 디바이스의 브러시 등이 자궁경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봉형상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러시 등에 자궁경부의 세포가 채취된다. 그리고,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브러시 등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문질러 발라 세포가 도말된다. 또한, 검사 센터에서 검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봉형상 부재를 파단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브러시 등의 부분만 용기에 넣어져 검사 센터로 반송된다.A cell equipped with a brush or the like at the distal end of the bar member is used for collecting cells in the cervix (see Patent Document 1). Cells of the uterine cervix are collected on the brush by rotating the bar member with the brush of the device in contact with the cervix. Then, the brush attached with the cells is rubbed on a slide glass, and the cells are smudged. When the inspection is performed in the inspection center, only the part of the device such as the brush of the device is broken into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returned to the inspection center.

특허문헌 : 특개평 4-500320호 공보Patent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4-500320

디바이스의 브러시 등의 부분만을 용기에 넣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축부분(15)에서 얇은 파단점(1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분(15)을 파단점(16)에서 파단하여 브러시단 부분만을 용기에 넣을 수 있다. 또한, 관체에서 브러시 등을 빼낼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thin breaking point 16 is provided in the shaft portion 15 in order to put only a part of the device such as a brush into the container. Therefore, the shaft portion 15 can be broken at the break point 16 so that only the brush end portion can be put into the container. It is also conceivable that a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the brush or the like from the tubular body is adopted.

그러나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 디바이스는 삽발(揷拔)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거나 회전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질 내에서 파단점(16)이 파단되거나 브러시 등이 관체에서 빠질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taking the cells of the cervix, the device is repeatedly moved or rotated in the pulling direction. This operation may break the break point 16 in the vagina or cause the brush or the like to come off the tub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세포 채취 부재가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관체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쉽게 관체 또는 봉재에서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by which a cell harvesting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tubular body or a stem after harvesting, without withdrawing from the tubular body when collecting cells of the uterine cervix .

(1)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는 제 1 단 및 제 2 단을 갖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 가능한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자세,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지 않는 해제자세로 상기 잠금부를 자세 변화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측이 조작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자세 변화시키는 것이다.(1) A cell harv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ular body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 cell harvesting member attachable to the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and a cell harvesting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A locking position for hold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or a locking posture for hold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And an operating member for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locking portion in the unlocking posture. And the operating member is moved in the posture by operating the second end sid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세포 채취 장치는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장착되어, 조작부재가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대하여 고정되고, 관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해도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의 조작은 관체의 제 2 단측에서 행해지므로 관체의 제 1 단측에 외력이 가해져도 불시에 잠금부가 해제자세로 되는 경우는 없다.In collecting cervical cells,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is in the locking posture. In this state,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fixed to the tubular body,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does not fall out of the tubular body even if the tubular body is moved longitudinally or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is performed at the second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the unlocking portion does not suddenly become the disengaged posture.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관체의 제 2 단측에서 조작부재가 조작됨으로써, 잠금부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After the cervical cells are collected, the operating member is operated at the second end of the tube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chang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released position. As a result, the cell harvesting member can be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2)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2) The lock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operating member.

이로 인해, 부품수가 적어져서 장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As a result, the number of components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simplified.

(3) 상기 세포 채취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잠금부는 잠금자세에서 상기 변형부를 관체로 가압하는 것이어도 된다.(3) The cell harvesting member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deformation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may press the deformation portion to the tubular body in the locking posture.

잠금부에 가압된 변형부와 관체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고정된다. 세포 채취 부재 및 관체에 갈고리나 구멍 등의 걸어맞춤을 위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fixed to the tubular body by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deformed portion pressed against the lock portion and the tubular bod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 for engaging a cell harvesting member and a tubular body such as a hook or a hol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4) 상기 변형부는 상기 잠금부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관체와 걸어맞추어지는 것이어도 된다.(4) The deformed portion may be engaged with the tubular body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lock portion.

변형부와 관체의 걸어맞춤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firmly fixed to the tubular body by the deformation portion and the tubular body being engaged.

(5)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의 제 2 단측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어도 된다.(5) The operating member may be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in the locking posture by being screwed to the tubular body at the second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이로 인해, 불시에 잠금부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것이 억제된다.This prevents the lock portion from unintentionally changing its posture from the lock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6)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의 제 2 단측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어도 된다.(6) The operating member may be hel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brought into the locking posture by being engaged with the tubular body.

이로 인해, 불시에 조작부재의 잠금부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것이 억제된다.This prevents the lock portion of the operating member from suddenly changing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released position unintentionally.

(7)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관체가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에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7)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fitting portion for fitt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tubular body around a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so as not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And may have a screw coupling portion.

끼워맞춤부에 의해 관체의 회전이 세포 채취 부재에 전달되고, 나사결합부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부와 나사결합부로 나누어 관체에서 세포 채취 부재로 힘이 전달되므로 잠금부로의 부하가 경감된다.The rotation of the tubular body is transmitted to the cell collection member by the fitting portion, and the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ll collection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is transmitted by the threaded portion. Thus, since th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tubular body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by dividing the tubular body into the fitting portion and the screw coupling portion, the load on the locking portion is reduced.

(8)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관체가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에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8)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fitting portion i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tubular body are fitted so as to be mutually non-rotatable around imaginary line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a holding portion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are engaged It may have a loose engagement portion.

끼워맞춤부에 의해 관체의 회전이 세포 채취 부재로 전달되고, 걸어맞춤부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부와 걸어맞춤부로 나누어 관체에서 세포 채취 부재로 힘이 전달되므로 잠금부로의 부하가 경감된다.The rotation of the tubular body is transmitted to the cell collection member by the fitting portion, and the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ll collection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is transmitted by the engagement portion. Since th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tubular body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by dividing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the load on the locking portion is reduced.

(9) 상기 걸어맞춤부는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의 상기 조작부재의 제 1 회전위치에서 잠금자세로 되어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걸어맞추어지고, 제 2 회전위치에서 해제자세로 되어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9)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in a locking posture at a first rotational position of the operating member about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may not be engaged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이로 인해, 간단한 조작으로 걸어맞춤부가 자세 변화한다.As a result, the engagement portion changes its posture with a simple operation.

(10) 본 발명은 봉재 또는 세포 채취 부재의 일방에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해당 봉재의 선단부에 해당 세포 채취 부재가 착탈 가능한 세포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탄성적으로 자세 변화하는 갈고리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를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가압부를 갖는다.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타방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 및 상기 갈고리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상기 원통부의 둘레벽에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의 상기 갈고리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가능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harvesting apparatus in which an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rod or a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detachable at the distal end of the rod.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a protruding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sture to the releasing posture And a pressing portion that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is pressed to change the posture from the engagement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A cylindrical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awl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can be inserted,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hook in the engagement posture is inserted and engageable is provided.

세포 채취 장치는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걸어맞춤부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 및 갈고리가 원통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되고, 또한 갈고리가 둘레벽의 구멍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The cell harvesting device is used for harvesting cervical cells, with cell harvesting members mounted on the bar.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and the hook of the engaging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so that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hook is engaged with the hole of the peripheral wall so that the cell- And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가압부가 가압됨으로써 걸어맞춤부의 갈고리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해제자세의 갈고리는 원통부의 둘레벽의 구멍에서 빠진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와 봉재가 길이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되어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서 빠진다.After the cervical cells are harvested, the pressurizing portion is press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engagement portion to the release posture. The hooks of the releasing posture fall out of the hol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cylindrical portion. As a result,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bar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otating direction,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pulled out of the bar.

(11) 상기 갈고리,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구멍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11) The pawl,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hole are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formed on the center line .

갈고리, 가압부 및 구멍이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시에 일방의 가압부에 얼마간의 외력이 가해져서 대응하는 갈고리가 해제자세로 되어 구멍에서 빠졌다고 해도, 타방의 갈고리는 구멍과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서 빠지지 않는다.A pair of claws, a pressurizing portion and a hole are provided. Therefore, even when som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pressing portion at the time of collecting the cervical cells and the corresponding hook is released from the hole and released from the hole, The cell harvesting member does not fall out of the bar because it is in the engaged state.

또한, 갈고리, 가압부 및 구멍의 한 쌍이 봉재 또는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방의 가압부에 한번에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적다.Further, since the pair of hooks,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hole are provided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r or cell harvesting member,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both pressing portions at once.

(12)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12) The engagement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bar material.

이로 인해, 가압부를 가압할 때에 세포 채취 부재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Thereby, it is not necessary to contact the cell harvesting member when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13) 상기 볼록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13) The convex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bar material.

이로 인해, 봉재에 있어서 볼록부와 갈고리의 간격을 크게 하기가 쉬워지므로,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의 갈고리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갈고리와 둘레벽의 구멍과의 걸어맞춤량을 크게 할 수 있다.This makes it easy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 and the hook in the bar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hook from the engagement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amount of engagement between the hook and the hole of the peripheral wall can be increased.

(14) 상기 볼록부는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며, 상기 봉재의 선단에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테이퍼면이 상기 오목부에 압접하는 것이어도 된다.(14) The convex portion may have a tapered shape tapering toward the tip, and the tapered surface may be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ell colle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bar material.

볼록부의 테이퍼면과 오목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해, 시술자가 봉재를 미는 힘 및 회전시키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로 전달되므로, 이들 힘이 갈고리와 둘레벽의 구멍과의 걸어맞춤 개소에 대한 부하가 되지 않는다.The pushing force of the operator and the rotating force of the operator are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by the pressure contact between the tapered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so that the load on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hook and the hol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t does not.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의 제 2 단측에서 조작부재가 조작됨으로써 관체와 세포 채취 부재를 장착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의 자세가 변화하므로,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관체에서 세포 채취 부재가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용이하게 관체로부터 세포 채취 부재가 분리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the operating member at the second end of the tubular body, the posture of the lock portion that keeps the tubular body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in the mounted state is changed. Therefore, when collecting cells of the cervical portion, ,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after harvest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되고, 또한 걸어맞춤자세의 갈고리가 원통부의 둘레벽의 구멍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로부터 쉽게 분리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hook in the engaging posture is engaged with the hole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cylindrical portion, when the cells of the cervix are taken, the cell- After harvest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s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r stock.

[도 1]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관체(1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조작부재(13)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세포 채취 장치(1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탄성편(42, 43)이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5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관체(5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9는 세포 채취 부재(5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조작부재(53)의 외관 구성을 타나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도 7의 XI-X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세포 채취 장치(5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수나사부(61)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세포 채취 장치(5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70)의 걸어맞춤부(72) 부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도 15는 세포 채취 장치(7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걸어맞춤부(72)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7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8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도 18은 관체(81) 및 캡(84)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도 19는 세포 채취 부재(5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도 20은 조작부재(53)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도 21은 세포 채취 장치(5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2] 도 22는 잠금부(96)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8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3] 도 23은 제 4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도 24는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해제자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도 2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1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도 26은 관체(111), 조작부재(113) 및 코일스프링(13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 도 27은 세포 채취 부재(11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 도 28은 잠금부재(114)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 도 29는 세포 채취 장치(11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0] 도 30은 잠금부재(114)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1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1] 도 3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15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 도 32는 관체(15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도 33은 세포 채취 장치(15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 도 34는 조작부재(153)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 도 35는 도 31의 V-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 도 36은 세포 채취 장치(15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세포 채취 장치(15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7] 도 37은 수나사부(161)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세포 채취 장치(15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8] 도 38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2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 도 39는 봉재(21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도 40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 도 41은 세포 채취 장치(21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2] 도 42는 갈고리(222, 223)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2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3] 도 43은 봉재(211)에 오목부(246)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볼록부(221)가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4] 도 44는 한 쌍의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의 일방만이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5] 도 45는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에 코일스프링(235)이 설치된 변형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6] 도 46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에 코일스프링(235)이 설치된 변형예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7] 도 47은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8] 도 48은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9] 도 49(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서의 봉재(211)의 볼록부(221)를 중심선(102)을 따라 본 도면이며, 도 49(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서의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를 중심선(102)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50] 도 50(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0(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1] 도 51(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1(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2] 도 52(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2(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3] 도 53(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3(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4] 도 54(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4(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ell sampling device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tubular body 11. Fig.
[Fig. 3]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Fig.
[Fig. 4]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operating member 13.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a centerline 102 of the cell sampling device 10;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0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ieces 42, 43 are changed to attitude in an unfolding posture.
[Fig. 7]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ll sampling device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tube body 51. FIG.
[Fig. 9]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tructure of the cell-harvesting member 52.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53.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FIG. 7;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centerline 102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50. FIG.
[Fig. 13] 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50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ale threaded portion 61 is changed to the unfolded posture.
[Fig. 14]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engaging portion 72 of the cell sampling device 7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a centerline 102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70;
1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sampling device 70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72 is changed to the unlocked posture.
[Fig. 17]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8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tructure of the tubular body 81 and the cap 84.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cell-harvesting member 52.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53. Fig.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cell sampling device 50;
2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8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portion 96 has been changed to a disengaged posture.
[Fig. 23] Fig. 2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ease posture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1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tructure of the tube 111, the operating member 113, and the coil spring 131. Fig.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cell-gathering member 112;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lock member 114. FIG.
2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a centerline 102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110;
3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1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114 has changed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Fig. 31]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tube body 151;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52. FIG.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153; 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31;
3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ell collection device 150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a center line 102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150. FIG.
3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50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ale threaded portion 161 is changed to the unfolded posture.
3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21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rod material 211. Fig.
FIG.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tructure of the cell-harvesting member 212; FIG.
4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cell collection device 210;
4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in a state where the claws 222 and 223 are changed to the unfolded posture.
4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46 is provided in the rod member 211 and the convex portion 221 is provided in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FIG.
4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only one of the pair of claws 222 and 223,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nd the holes 249 and 250 are provided.
4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coil spring 235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246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4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ease state of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coil spring 235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246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4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4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49A is a view showing a convex portion 221 of the rod material 211 along a center line 102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and FIG. A view of a concave portion 246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apparatus 210 along a center line 102;
5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a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install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And 50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rections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not provid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
51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a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install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And 51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rections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not provid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
5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a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install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And 52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rections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not provid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
5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install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And 53 (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rections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not provid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
54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a vertical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install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And 54 (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rections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not provid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300 is mounted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10)는 관체(11), 세포 채취 부재(12) 및 조작부재(13)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12)는 관체(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2)는 관체(1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1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1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1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1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1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1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1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1,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0 has a tubular body 11, a cell harvesting member 12, and an operating member 13.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 The operating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tube body (11).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ongated tubular body 11 extends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ube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line 10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direction 103. [ The side of the tubular body 11 on which the practitioner grips is referred to as a proximal side (right side in Fig. 1) and the side where the cell collection member 12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distal side (left side in Fig. 1). The tip end of the tubular body 11 corresponds to the first end, and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11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관체(11)][Tubular body (1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1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1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관체(1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1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ubular member 11 is a member of a long tub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tubular member 11 has openings at its front end and rear end, respectively, and the inner space is continuous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tubular body 11 is formed, for example, as a molded product of a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tube 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olygonal, for example. The external dimensions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set so as to be best suited for the operator to reach the proximal end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to the cervical portion.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의 선단측에는 구멍(20, 21)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20, 21)은 관체(11)의 선단측에서 관체(11)의 벽을 직경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있다. 구멍(20, 21)은 그 둘레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이 사각형이다. 구멍(20, 21)은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관체(11)의 기단측의 내벽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22)는 조작부재(13)의 수나사(33)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and Fig. 5, holes 20 and 21 are provided on the tip end side of the tube 11. The holes 20 and 21 penetrate the wall of the tube 11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tip end side of the tube 11, respectively. The holes 20 and 21 have a quadrangular shape formed by their peripheries. The holes 20 and 21 are arranged as a pair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A female thread 22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 The female screw 22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33 of the operating member 13. [

[세포 채취 부재(12)][Cell harvesting member (1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12)는 본체(40), 브러시(41), 및 탄성편(42, 43)을 갖는다. 본체(4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41)는 본체(40)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44)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41)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41)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1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3 and 4,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has a main body 40, a brush 41, and resilient pieces 42, 43. The main body 40 is, for example,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brush 41 is inserted into a hole 44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main body 40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brush 41 has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bers fixed on a shaft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rush 41 may be any known one such as a molded product of an elastomer. 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extends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tube 11, and the fibers may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shaft, or other shapes may be employed.

본체(40)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40)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48, 49)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48, 49)는 각각이 반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부(48, 49)의 외주면을 따른 원의 직경은 관체(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볼록부(48, 49)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본체(40)가 관체(1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The main body 4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shape. On the base end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40, convex portions 48, 49 protruding from the surface are provided. The convex portions 48 and 49 each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circ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s 48 and 49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11. The protrusions 48 and 49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s of the front end of the tube 11 and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ody 40 is positioned and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respective axes coincide with the tip of the tube 11.

본체(40)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탄성편(42, 43)이 돌출되어 있다. 탄성편(42, 43)은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한 박판 형상이며, 각 표리면이 평행으로 대향하여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42, 43)은 각각의 돌출단에 갈고리(45, 46)를 갖고 있다. 갈고리(45, 46)는 탄성편(42, 43)으로부터 각각 중심선(102)에서 멀어지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갈고리(45, 46)는 관체(11)의 구멍(20, 21)에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Elastic pieces 42 and 43 protrude from the base-end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40.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each in the form of a thin plate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are disposed at positions where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have hooks 45 and 46 at their respective projecting ends. The claws 45 and 46 protrude outward from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respectively, away from the center line 102. The hooks 45 and 46 are sized and shaped so as to enter the holes 20 and 21 of the tube 11.

갈고리(45, 46)의 각 선단 사이의 거리는 관체(11)의 내경보다 짧다. 따라서, 탄성편(42, 43)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편(42, 43)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그 개구 둘레가장자리나 관체(11)의 내벽에 가압접촉하지 않고,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즉, 탄성편(42, 43)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체(1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12)는 세포 채취 부재(1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1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11)에서 빠진다. 탄성편(42, 43)이 변형부에 상당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hooks 45, 46 is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11.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do not come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of the tube 11 and the inner wall of the tube 11 in the state where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not elastically deformed , Entry and exit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body 11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not elastically deformed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11 101 are in a state along the gravity direction, they easily fall out of the tubular body 11 by gravity.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correspond to the deformed portion.

본체(40)의 기단측에 면에서의 탄성편(42, 43)의 사이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7)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13)의 잠금부(31)의 선단부가 진입 가능하다.Between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on the surface on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40, a hole 47 extending toward the tip side along the center line 102 is formed. The hole 47 is cylindrical in shape,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31 of the operation member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enter.

[조작부재(13)](Operation member 1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3)는 로드부(30), 잠금부(31), 및 손잡이부(32)를 갖는다. 로드부(30)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로드부(30)는 관체(1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1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다. 또한, 로드부(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량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홈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4 and 5, the operating member 13 has a rod portion 30, a lock portion 31, and a handle portion 32. As shown in Fig. The rod portion 30 is a substantially columnar member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length of the rod portion 30 is equal to or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ubular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rod portion 30 ha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ular body 11. 4, the rod portion 3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o reduce the amount of resin.

조작부재(13)의 선단측에는 잠금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31)는 로드부(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로드부(30)의 선단측에서 테이퍼 형상으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잠금부(31)의 선단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탄성편(42, 43)의 사이로부터 구멍(47)으로 진입 가능한 외경이다. 잠금부(31)의 기단측은 로드부(30)의 외주면과 연속하고 있고, 그 외경은 탄성편(42, 43)이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간격보다 크다.A locking portion 31 is provid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13. The lock portion 3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d portion 30 and is a portion whose tip is taper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rod portion 30.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ortion 31 is an outer diameter allowing entry into the hole 47 from between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lock portion 31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portion 30 and its out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urfaces of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facing each other.

로드부(30)의 기단에는 손잡이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32)는 로드부(30)의 외경 및 관체(11)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원통형상이다. 로드부(30)의 외경은 관체(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손잡이부(32)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을 따른 오목홈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At the base end of the rod section (30), a handle section (32) is provided. The grip portion 32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11.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3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11. [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2,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event slippage.

로드부(30)의 기단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3)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33)는 로드부(30)가 관체(1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관체(11)의 암나사(22)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end portion of the rod portion 30, a male screw 33 is formed. The male screw 33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e 11 and screwed to the female screw 22 of the tube 11.

[세포 채취 장치(10)의 사용][Use of cell harvesting apparatus (10)] [

세포 채취 장치(1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13)가 잠금부(31)를 잠금자세로 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잠금부(31)가 잠금자세일 때, 세포 채취 부재(12)는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1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1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12)는 관체(1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1 and the operating member 13 is in a state of locking the locking member 31 Lt; / RTI >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rotating direction 103 when the locking portion 31 is in the locking posture. Therefore, when the operator grip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 and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pulling, pulling, or rotating,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so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moves integrally with the tubular body 11 Or rotat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13)의 수나사(33)와 관체(11)의 암나사(22)가 나사결합되면 조작부재(13)의 잠금부(31)는 관체(11)의 선단측에 가장 진입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잠금부(31)의 선단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구멍(47)으로 진입하고 있다. 또한 잠금부(31)의 둘레면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탄성편(42, 43)의 사이에 진입하여 탄성편(42, 43)의 갈고리(45, 46)측을 중심선(102)으로부터 멀어지는 외향으로 탄성변형시킨다. 조작부재(13)는 수나사(33)와 암나사(22)의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는 한,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The operation member 13 is inserted from the base end and the male thread 33 of the operating member 13 and the tubular body 11 are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11 with the cell collecting member 12 mounted on the tip end of the tubular body 11, The lock portion 31 of the operating member 13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1 reaches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 most. At this time, the distal end of the lock portion 31 enters the hole 47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portion 31 enters between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and the side of the claws 45 and 46 of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line 102 And elastically deforms away from and outward. The operating member 13 does not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with respect to the tube 11 unless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screw 33 and the female screw 22 is released.

탄성편(42, 43)은 잠금부(31)에 의해 외향으로 가압되어 탄성변형하여 갈고리(45, 46)가 관체(11)의 구멍(20, 21)으로 각각 진입한다. 또한, 탄성편(42, 43)에서의 갈고리(45, 46)보다 본체(40)측의 박판부분은 잠금부(31)와 관체(11)의 구멍(20, 21)의 둘레가장자리 사이에 끼워넣어져서 잠금부(31)에 의해 관체(11)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탄성편(42, 43)이 잠금부(31)와 관체(11)의 구멍(20, 21)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탄성편(42, 43)이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가령 커다란 힘이 세포 채취 부재(12)에 가해졌다고 해도 갈고리(45, 46)와 구멍(20, 21)의 걸어맞춤에 의해 탄성편(42, 43)이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42, 43)을 탄성변형시키는 잠금부(31)의 자세(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잠금자세에 상당한다.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pressed outward by the locking part 31 and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laws 45 and 46 enter the holes 20 and 21 of the tubular body 11 respectively. The thin plate portions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40 are sandwiched between the locking portions 31 and the peripheries of the holes 20 and 21 of the tubular body 11 than the claws 45 and 46 of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nd is pressed by the tubular body 11 by the lock portion 31.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sandwiched between the locking portions 31 and the holes 20 and 21 of the tubular body 11 so that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inclined relative to the tubular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r does not rotate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103. [ Even if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engaged with the tubular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vented from moving along the rotation axis 101 or rotating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103. The posture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n this embodiment) of the lock portion 31 that elastically deforms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in this manner corresponds to the lock posture.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13)의 손잡이부(32)와 관체(1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32)가 관체(11)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관체(11)의 암나사(22)와 조작부재(13)의 수나사(33)의 나사결합이 풀린다. 그리고, 조작부재(13)가 관체(11)의 기단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잠금부(31)가 세포 채취 부재(12)의 탄성편(42, 43)으로부터 분리된다. 잠금부(31)의 가압이 없어지면 탄성편(42, 43)이 탄성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즉, 갈고리(45, 46)의 각 선단 사이의 거리는 관체(11)의 내경보다 짧은 자세가 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42, 43)이 탄성변형하지 않는 잠금부(31)의 자세(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After the cervical cells are collected, as shown in Fig. 6,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handle 32 of the operating member 13 are held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handle 32 is held in the tubular body 11 . The threaded engagement of the female screw 22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male screw 33 of the operating member 13 is released. As the operating member 13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extracting from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11, the locking portion 31 is separated from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When the lock portion 31 is not pressed,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resiliently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ips of the hooks 45 and 46 is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11. The posture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lock portion 31 in which the resilient pieces 42 and 43 are not elastically deformed corresponds to the release posture.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탄성편(42, 43)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그 개구 둘레가장자리나 관체(11)의 내벽에 가압접촉하지 않고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체(1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12)는 세포 채취 부재(1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1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11)로부터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1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The elastic pieces 42 and 43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can enter and exit without any pressing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of the tube 11 and the inner wall of the tube 11. [ Therefo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mounted on the tip of the tubular body 11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tubular body 11 along the gravity direction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downward, And easily escapes from the tubular body 11. The missing cell harvesting member 1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제 1 실시예의 작용효과][Function and 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장착되어 조작부재(13)의 잠금부(31)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대하여 고정되고, 관체(11)를 길이방향(101)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방향(103)으로 회전시키거나 해도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13)의 조작은 관체(11)의 기단측에서 행해지므로 관체(11)의 선단측에 외력이 가해져도 불시에 잠금부(31)가 이동(자세 변화)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관체(11)의 기단측에서 조작부재(13)가 조작됨으로써 잠금부(31)가 이동(자세 변화)하여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collecting the cervical cells,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is mounted on the tubular body 11 and the cell collecting member 12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1 by the locking portion 31 of the operating member 13. [ The cell collecting member 12 does not come off from the tubular body 11 even if the tubular body 11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r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 Since the operating member 13 is operated at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 the locking member 31 does not move (change posture) unintentionally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 After the cervical cells are collected, the operation member 13 is operated at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 so that the locking part 31 moves (changes posture)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moves from the tubular body 11 And becomes detachable.

또한, 잠금부(31)가 조작부재(1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포 채취 장치(10)의 부품수가 적어져서 장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Further, since the lock portion 31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member 13, the number of parts of the cell sampling device 10 is reduced, and the device structure is simplified.

또한, 세포 채취 부재(12)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편(42, 43)을 갖고 있고, 잠금부(31)가 탄성편(42, 43)을 관체(11)로 가압하므로, 잠금부(31)에 가압된 탄성편(42, 43)과 관체(11)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편(42, 43)에 갈고리(45, 46)가 설치되어 있으나, 가령 갈고리(45, 46)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고정되므로, 갈고리(45, 46)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세포 채취 장치(10)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has elastically deformable elastic pieces 42 and 43 and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pressed by the tubular body 11 so that the locking pieces 31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is fixed to the tubular body 11 by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pressed against the tubular body 11 and the tubular body 11. Although the hooks 45 and 46 are provided on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ll collecting member 12 can be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1 even if the hooks 45 and 46 are not provided. The structure of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0 is simplified by not providing the hooks 45 and 46.

또한, 탄성편(42, 43)의 갈고리(45, 46)는 잠금부(31)에 가압됨으로써 관체(11)의 구멍(20, 21)과 걸어맞추어지므로,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확실하게 고정된다.Since the claws 45 and 46 of the elastic pieces 42 and 43 are engaged with the holes 20 and 21 of the tube 11 by being pressed by the locking portion 31, 11).

또한, 조작부재(13)는 관체(11)의 기단측에 있어서, 암나사(22)와 수나사(33)의 나사결합에 의해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불시에 조작부재(13)가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여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The operating member 13 is hel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tube body 11 so as not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11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22 and the male screw 33, The operation member 13 unexpected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o preven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2 from escaping from the tube 11.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50)는 관체(51), 세포 채취 부재(52) 및 조작부재(53)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53)는 관체(5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5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5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5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7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5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7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5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5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7, the cell collection device 50 has a tubular body 51, a cell harvesting member 52, and an operating member 53. As shown in Fig.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51. The operating member (53) is inserted into the tube body (5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ongated tubular body 51 extends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ube 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line 10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direction 103. [ 7), and the side o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distal end side (left side in Fig. 7). The tip of the tube 51 corresponds to the first end, and the base end of the tube 51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관체(51)][Tubular body (51)]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외형이 육각형인 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5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원형의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5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원기둥형상이어도 된다. 관체(5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5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tubular body 51 is a tubular member whose outer shape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which is hexagonal. The tubular body 51 has a front end and a rear end respectively opened, and a circular inner space is continuous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tubular body 51 is formed, for example, as a molded product of a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tubular body 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dimensions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set so as to be best suited for the operator to reach the base end side and to allow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to reach the cervical portion.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선단측의 면에는 홈(54)이 설치되어 있다. 홈(54)은 관체(51)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파여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관체(51)의 외형을 따른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홈(54)은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이 삽입된다. 따라서, 홈(54)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세포 채취 부재(52)에 있어서 볼록편(58)이 본체(55)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grooves 54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ube 51 on the tip side. The groove 54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face of the tube body 51 and shows a hexagon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tube body 51 viewed from the viewpoint along the center line 102. [ The groove 54 is inserted with the convex piece 5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The depth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groove 54 is about the same as the dimension at which the convex piece 58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55 along the centerline 102 in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

[세포 채취 부재(52)][Cell harvesting member (52)]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52)는 본체(55) 및 브러시(56)을 갖는다. 본체(5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56)는 본체(55)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57)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56)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56)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5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9 and 12,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has a main body 55 and a brush 56.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55 is, for example,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brush 56 is inserted into a hole 57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main body 55 and fix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The brush 56 has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bers fixed on a shaft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rush 56 may be any known one such as a molded article of an elastomer. 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extends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tubular body 51, the fibers may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shaft, or other shapes may be employed.

본체(55)는 대략 육각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편(58)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편(58)은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볼록편(58)이 본체(55)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는, 후술하는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볼록편(58)의 두께는 관체(51)의 홈(54)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볼록편(58)이 관체(51)의 홈(54)에 삽입되고, 본체(55)의 기단측의 면과 관체(51)의 선단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본체(55)가 관체(5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볼록편(58)과 홈(54)의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55)는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홈(54) 및 볼록편(58)이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The main body 55 has a substantially hexagonal columnar outer shape. A convex piece 58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55 is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body 55. The convex piece 58 protrudes along the center line 102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55 and shows a hexagonal shape as viewed from the viewpoint along the center line 102. [ The dimension at which the convex piece 58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55 along the center line 102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male thread portion 61 of the operation member 53 described later.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iece 58 is set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54 of the tube 51. The convex piece 58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4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base end surface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surface of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51 abut each other, 51 at the positions where their respective axe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main body 55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51 by the fitting of the convex piece 58 and the groove 54. [ The groove 54 and the convex piece 58 correspond to the fitting portion.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볼록편(58)의 내측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나사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59)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와 나사결합한다. 나사구멍(59)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후술하는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A threaded hole 59 extending toward the distal end side along the center line 10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vex piece 58 on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55. The screw hole 59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61 of the operation member 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pth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screw hole 59 is about the same as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male screw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described later.

[조작부재(53)](Operation member 53)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53)는 로드부(60), 수나사부(61), 및 손잡이부(62)를 갖는다. 로드부(60)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로드부(60)는 관체(5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5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10 and 12, the operating member 53 has a rod portion 60, a male screw portion 61, and a handle portion 62. As shown in Figs. The rod portion 60 is a substantially columnar member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rod portion 60 ha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ubular body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조작부재(53)의 선단측에는 수나사부(61)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61)는 로드부(60)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61)는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으로 진입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다. 수나사부(61)가 잠금부, 나사결합부에 상당한다.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 나사결합하는 자세가 잠금자세에 상당하고,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서 빠져나온 자세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On the tip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53, a male threaded portion 61 is provided. The male screw portion 6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rod portion 60. [ The male screw portion 61 can be screwed into the screw hole 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The male threaded portion 61 corresponds to the locking portion and the threaded portion. The posture in which the male screw portion 61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59 corresponds to the locking posture and the posture in which the male screw portion 61 has escaped from the screw hole 59 corresponds to the release posture.

로드부(60)의 기단에는 손잡이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62)는 로드부(60)의 외경 및 관체(51)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육각기둥형상이다. 로드부(60)의 외경은 관체(5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At the base end of the rod portion (60), a handle portion (62) is provided. The grip portion 62 is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6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51. [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6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51.

[세포 채취 장치(50)의 사용][Use of cell harvesting device 50]

세포 채취 장치(5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수나사부(61)가 잠금자세일 때,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5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5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51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59, To be used in a state of being screwed on. The cell collection member 5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rotation direction 103 when the male screw portion 61 is in the locking posture. Therefore, when the operator grip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51 and performs manipulation such as pushing and pulling or rotating,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so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moves integrally with the tubular body 51 Or rotate.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과 관체(51)의 홈(54)이 끼워맞춤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5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에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The convex piece 5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and the groove 54 of the tubular body 51 are fitted to each other with the cell collecting member 52 mounted on the tip of the tubular body 51, do. Therefore, the cell-gathering member 52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51. The operating member 53 is inserted from the base end and the male screw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 Therefo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does not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51.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53)의 손잡이부(62)와 관체(5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부(6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으로부터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빠져나온다. 그리고, 관체(5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52)는 세포 채취 부재(5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5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51)로부터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5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After the cervical cells are collected, as shown in Fig. 13, the proximal end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handle portion 62 of the operating member 53 are held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handle portion 62 is held in the tubular body 51 . As a result, the male threaded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disengaged from the screw hole 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The cell collecting member 52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body 51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tubular body 51 along the gravity direction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downward, And easily escapes from the tubular body 51. The missing cell collecting member 5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또한, 가령 손잡이부(6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될 때에 관체(51)와 조작부재(53)의 중심선(102)을 따른 상대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작부재(53)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면,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으로부터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빠져나오는 동시에,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어, 볼록편(58)이 홈(54)에서 빠져나온다. 볼록편(58)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수나사부(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가 같은 정도이므로,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서 빠져나올때까지 볼록편(58)과 홈(54)이 끼워맞추어져 있고,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서 빠져나오면 볼록편(58)이 홈(54)에서 빠져나와,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관체(51)에서 빠진다.The operating member 53 is moved by the user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operating member 53 does not change when the handle portion 62 is rotated relative to the tubular body 51 The threaded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disengaged from the screw hole 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and the cell collecting member 52 is separat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body 51, The convex piece 58 exits from the groove 54.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convex piece 58 and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male screw portion 61 are equal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61 and the male screw portion 61 When the male screw portion 61 comes out of the screw hole 59, the male screw portion 58 and the groove 5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vex portion 58 comes out of the groove 54, ).

제 2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관체(51)의 홈(54)과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관체(51)의 회전이 세포 채취 부재(52)로 전달되고,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과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와의 나사결합, 또는 관체(51)의 선단과 세포 채취 부재(52)의 본체(55)와의 맞닿음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러한 끼워맞춤과 나사결합으로 나누어 관체(51)에서 세포 채취 부재(52)로 힘이 전달되므로, 세포 채취 장치(50)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서의 부하가 경감된다.The rotation of the tubular body 51 is transmitted to the cell collection member 52 by fitting the groove 54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convex piece 58 of the cell collection member 52, The threaded hole 59 of the body 52 and the threaded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or the tip of the tube 51 and the body 55 of the cell- The force is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ll collection member 52 is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51. [ Since th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tubular body 51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by such fitting and screwing, the load on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50 is reduc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7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50)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 대신에 결어맞춤구멍(7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 대신에 걸어맞춤부(72)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이하, 걸어맞춤구멍(71) 및 걸어맞춤부(7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세포 채취 장치(70)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50)에 붙여진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진 부재는 세포 채취 장치(50)와 동일한 부재이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7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a connecting hole 71 is formed in place of the screw hole 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And the engaging portion 72 is provided instead of the male screw portion 61 of the operating member 53.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Hereinafter, the engaging hole 71 and the engaging portion 7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70, the member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members as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50.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52)의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볼록편(58)의 내측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71)은 대략 원통형상이다. 걸어맞춤구멍(71)의 개구 둘레가장자리에는 개구를 좁히는 방향, 즉 중심선(102)으로 가까워지는 내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73, 74)가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73, 74)는 걸어맞춤부(71)의 내경을 좁히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73, 74)의 사이에는 걸어맞춤구멍(71)의 안쪽(본체(55)의 선단측)으로 연속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14 and 15, in the inside of the convex piece 58 on the base-end side of the main body 55 of the cell-gathering member 52, an engaging hole (not shown) extending toward the tip side along the center line 102 71 are formed. The engaging hole 71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opening, that is, the inward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er line 102,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at the opening perimeter of the engaging hole 71 .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protrude so as to narrow the inner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71. [ A space continuous to the inside of the engaging hole 71 (the tip end side of the main body 55)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조작부재(53)의 선단측에는 걸어맞춤부(72)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2)는 로드부(60)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2)는 소경부(75) 및 날개편(76, 77)을 갖는다. 소경부(75)는 로드부(6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이며, 걸어맞춤구멍(71)의 볼록부(73, 74)의 사이를 중심선(102)을 따라 진입 가능하다. 소경부(75)의 선단측에는 날개편(76, 77)이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날개편(76, 77)은 중심선(102)에서 분리되는 외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날개편(76, 77)은 각각이 부분원형상이며, 걸어맞춤구멍(71)의 볼록부(73, 74)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 날개편(76, 77)에서 로드부(60)측의 면은 로드부(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78, 79)이다. 날개편(76, 77)은 걸어맞춤구멍(71)으로 진입하여 볼록부(73, 74)와 걸어맞춤 가능하다.An engaging portion 72 is provid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53. [ The engaging portion 7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rod portion 60. The engaging portion 72 has a small-diameter portion 75 and a blade piece 76, 77. The small diameter portion 75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60 and is capable of entering along the center line 102 between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of the engaging hole 71. On the leading end sid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75, blade pieces 76 and 77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as a center. The blade pieces 76 and 77 protrude outwardly from the center line 102, respectively. The blade pieces 76 and 77 are each in the shape of a partial circle and are of a size and shape capable of enter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of the engaging hole 71. The surfaces of the blade pieces 76 and 77 on the side of the rod portion 60 are inclined surfaces 78 and 79 that are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rod portion 60. The blade pieces 76 and 77 enter the engaging hole 71 and are engageable with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세포 채취 장치(70)의 사용][Use of cell harvesting device 70]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과 관체(51)의 홈(54)이 끼워맞춤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5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53)의 걸어맞춤부(72)가 세포 채취 부재(52)의 걸어맞춤구멍(71)과 걸어맞추어진다.The convex piece 5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and the groove 54 of the tubular body 51 are fitted to each other with the cell collecting member 52 mounted on the tip of the tubular body 51, do. Therefore, the cell-gathering member 52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51. The operating member 53 is inserted from the base end and the engaging portion 72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71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

상세하게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2)와 날개편(76, 77)이 걸어맞춤구멍(71)의 볼록부(73, 74)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회전위치에 조작부재(53)가 위치된다. 제 2 회전위치에 있어서, 관체(51)의 기단측으로부터 관체(51)로 삽입된 조작부재(53)의 걸어맞춤부(72)는 날개편(76, 77)이 볼록부(73, 7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걸어맞춤구멍(71)의 안(선단측)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53)가 제 2 회전위치에서 제 1 회전위치로 회전되면, 날개편(76, 77)이 볼록부(73, 74)와 맞닿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날개편(76, 77)의 경사면(78, 79)이 볼록부(73, 74)에 맞닿아 경사면(78, 79)으로 안내되어 걸어맞춤부(72)가 걸어맞춤구멍(71)의 안쪽의 면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조작부재(53)는 제 1 회전위치를 초과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걸어맞춤부(72)와 걸어맞춤구멍(71)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 1 회전위치의 걸어맞춤부(72)가 잠금자세이며, 제 2 회전위치의 걸어맞춤부(72)가 해제자세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6, when the engaging portion 72 and the blade piece 76 are engaged with the convex portions 73, 74 of the engaging hole 71 The member 53 is positioned. The engaging portion 72 of the operating member 53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51 from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51 at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s 73, (Toward the front end side) of the engaging hole 71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m. 15, when the operating member 53 is rotated from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to the first rotation position, the blade pieces 76 and 77 move to the positions where they contact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 The inclined surfaces 78 and 79 of the blade pieces 76 and 77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s 73 and 74 and are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s 78 and 79 so that the engaging portions 72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s 71 It touches the inner side. As a result, the operating member 53 can not rotate beyond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The cell collecting member 52 does not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51 due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72 and the engaging hole 71. [ The engaging portion 72 at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is in the lock posture and the engaging portion 72 at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is the release posture.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53)의 손잡이부(62)와 관체(5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부(62)가 관체(51)에 대하여 제 1 회전위치에서 제 2 회전위치로 회전된다. 그리고, 손잡이부(62)가 관체(51)로부터 약간 떨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52)의 걸어맞춤구멍(71)으로부터 조작부재(53)의 걸어맞춤부(72)가 빠져나온다. 그리고, 관체(5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52)는 세포 채취 부재(5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5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51)에서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5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16,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51 and the handle portion 62 of the operating member 53 are held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handle portion 62 is held by the tubular body 51, To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The engaging portion 72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hole 71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52 when the handle portion 62 is slightly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51. [ The cell collection member 52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body 51 is easily moved by the gravity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tubular body 51 is in the state of gravity along the cell collecting member 52 downward And is removed from the tubular body 51. The missing cell collecting member 5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제 3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조작부재(53)를 제 1 회전위치 또는 제 2 회전위치로 회전시키려면 조작부재(53)의 손잡이부(62)를 약 90° 회전시킬 뿐이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걸어맞춤부(72)가 자세 변화한다.In order to rotate the operating member 53 to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since the knob portion 62 of the operating member 53 is only rotated by about 90 degrees, the engaging portion 72 The posture changes.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80)는 관체(81), 세포 채취 부재(82), 조작부재(83), 및 캡(84)을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에 삽입되어 있다. 캡(84)은 관체(81)의 기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8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8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8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17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8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17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8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8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17,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80 has a tubular body 81, a cell harvesting member 82, an operating member 83, and a cap 84. As shown in Fig.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inserted into the tube 81. The cap 84 is mount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ongated tubular body 81 extends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ube 8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line 10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direction 103. [ 17), and the side o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distal end side (left side in Fig. 17). The tip of the tube 81 corresponds to the first end, and the base end of the tube 81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관체(81) 및 캡(84)][Tubular body 81 and cap 84]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8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원형의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8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8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관체(8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8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tube body 81 is a member having a long and thin cylindric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tubular body 81 has a front end and a rear end respectively opened, and a circular inner space is continuous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tube body 81 is formed, for example, as a molded product of a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tubular body 8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olygonal, for example.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tubular body 8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set so as to be most suitable for the operator to hold the proximal end side and to allow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to reach the cervical portion.

관체(81)의 기단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85)에는 캡(84)이 장착된다. 캡(84)은 관체(81)의 기단측을 덮을 수 있는 원통형상이며, 또한 관체(81)의 기단측의 개구를 폐쇄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8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86)와 수나사부(85)가 나사결합하여 관체(81)의 기단이 캡(84)에 의해 덮여 폐쇄된다.A male threaded portion 85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A cap 84 is mounted on the male threaded portion 85. The cap 84 is cylindrical in shape to cover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and also closes the opening at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21, a female screw portion 86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84. As shown in Fig. The female screw portion 86 and the male screw portion 85 ar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base end of the tube body 81 is covered by the cap 84 and closed.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의 선단측의 면에는 홈(87)이 설치되어 있다. 홈(87)은 관체의 선단측의 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파여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관체(51)의 외형을 따른 원형을 나타내고 있다. 홈(87)은 세포 채취 부재(82)의 볼록편(91)이 삽입된다.As shown in Fig. 21, a groove 87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ube 81 on the tip side. The groove 87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and shows a circular shap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tubular body 51 as viewed from the viewpoint along the center line 102. [ In the groove 87, the convex piece 91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inserted.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의 선단측에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확장된 대경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95)는 관체(81)의 선단보다 약간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95)는 길이방향(101)의 중앙부분이 가장 내경이 크고,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 향하여 테이퍼형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이다.As shown in Fig. 21, a large-diameter portion 95 having an expanded inner diameter is form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e 81. As shown in Fig.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is formed slightly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ip of the tubular body 81.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i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has the largest inner diameter, and has a tapered shape with its inner diameter reduced toward the tip end side and the base end side.

[세포 채취 부재(82)][Cell harvesting member (82)]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82)는 본체(88) 및 브러시(89)를 갖는다. 본체(8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89)는 본체(88)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90)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89)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89)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8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19 and 21,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has a main body 88 and a brush 89.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88 is, for example,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brush 89 is inserted into a hole 90 formed in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88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brushes 89 are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bers on a shaft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rush 89 may be any known one such as a molded article of an elastomer. 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extends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tube 81, and the fibers may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shaft, or other shapes may be employed.

본체(88)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편(91)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편(91)은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원형을 나타내고 있다. 볼록편(91)의 두께는 관체(81)의 홈(87)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볼록편(91)이 관체(81)의 홈(87)에 삽입되고, 본체(88)의 기단측의 면과 관체(81)의 선단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본체(88)가 관체(8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The main body 88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shape. A convex piece 9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88 is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body 88. The convex piece 91 protrudes along the center line 102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88 and shows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along the center line 102. [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iece 91 is set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87 of the tube body 81. [ The convex piece 9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87 of the tubular body 81 and the base end side face of the body 88 and the front end side face of the tubular body 8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At the positions where the respective axes coincide with each other.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볼록편(91)의 내측에 있어서,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탄성편(92, 93)이 돌출되어 있다. 탄성편(92, 93)은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한 박판 형상이며, 각 표리면이 평행으로 대향하여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re protruded from the base-end side surface on the inner side of the convex piece 91 on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88.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re each in the form of a thin plate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are arranged at positions where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탄성편(92, 93)에 있어서, 중심선(102)에서 가장 먼 위치 사이의 거리는 관체(81)의 내경보다 짧다. 따라서, 탄성편(92, 93)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편(92, 93)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쉽게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탄성편(92, 93)이 변형부에 상당한다.In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farthest from the center line 102 is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81. [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opening of the front end of the tube 11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re not elastically deformed.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correspond to the deformed portion.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탄성편(92, 93)의 사이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94)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83)의 잠금부(96)가 삽입된다.Between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on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88, a hole 94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center line 102 to the tip side. The hole 94 is cylindrical, and a locking portion 96 of the operation member 8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조작부재(83)](Operation member 83)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83)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기둥형상의 부재이다. 조작부재(83)는 관체(8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8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operating member 83 is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prism member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operating member 83 i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e body 8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ube body 8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조작부재(83)의 선단측에는 잠금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96)는 조작부재(83)의 선단측에 있어서 길이방향(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부재(83)를 관통하는 슬릿(99)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변형부(97, 98)를 갖고 있다. 탄성 변형부(97, 98)는 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잠금부(96)로 길이방향(101)을 따른 압축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부(97, 98)가 외방향으로 크게 휘도록 탄성변형한다. 탄성변형부(97)에는 변형을 쉽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101)을 따른 장공(100)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98)에도 동일한 장공(100)이 형성되어 있다.A lock portion 96 is provided on the tip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83. [ The lock portion 96 is provided with a pair of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s 88 opposing each other via a slit 99 passing through the operating member 83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t the tip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83 97, and 98, respectively. The elastic deforming parts 97 and 98 are curved outwardly in th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compressive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applied to the lock portion 96,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are elastically deformed to warp outward largely.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97 is formed with a slot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o facilitate deformation. The same elongated hole 100 is formed in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98 as well.

[세포 채취 장치(80)의 사용][Use of cell harvesting device 80]

세포 채취 장치(8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82)가 관체(8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에 삽입되고, 관체(81)의 기단측이 캡(84)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부(96)가 잠금자세가 된다. 잠금자세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8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8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81 and the operating member 83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81 and the tubular body 81 Is closed by the cap 84. [0052]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locking portion 96 is in the locking posture. In the locking postu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8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rotation direction 103. Therefore, when the operator grip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and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pushing, pulling, or rotating,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so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moves integrally with the tubular body 81 Rotate.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82)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부재(83)가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삽입되면, 잠금부(96)가 관체(81)의 대경부(95)로 도달한다. 또한, 잠금부(96)의 선단은 세포 채취 부재(82)의 구멍(90)으로 진입하고, 탄성변형부(97, 98)는 세포 채취 부재(82)의 탄성편(92, 93)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83)의 기단측은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21, when the operation member 83 is inserted from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81 in a state whe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tubular body 81,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of the main body 100 reaches. The distal end of the lock portion 96 enters the hole 90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are located inside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 In this state,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83 protrudes outward from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81.

관체(81)의 수나사부(85)에 캡(84)이 나사결합됨으로써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재(83)의 기단측이 관체(81)의 내부 공간으로 밀어넣어진다. 이로 인해, 관체(81)의 대경부(95)에 있어서 잠금부(96)의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편(92, 93)을 개재하여 대경부(95)의 내벽에 밀어붙여지고, 잠금부(96)에 길이방향(101)의 압축력이 가해진다. 이 압축력에 의해 탄성변형부(97, 98)가 외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대경부(95)의 내벽과의 사이에 탄성편(92, 9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끼워넣는다. 즉,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편(92, 93)을 외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서 대경부(95)의 내벽에 밀어붙인다.The base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83 protruding from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81 is push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ular body 81 by screwing the cap 84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85 of the tubular body 81. [ The elastic deformed portions 97 and 98 of the lock portion 96 are push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95 via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in the large diameter portion 95 of the tube body 81 And a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applied to the lock portion 96.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are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by the compressive force to elastically deform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That is,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elastically deform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outwardly, thereby pressing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탄성편(92, 93)이 잠금부(31)와 관체(11)의 대경부(95)의 내벽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탄성편(92, 93)이 관체(8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거나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탄성편(92, 93)을 탄성변형시키는 잠금부(96)의 자세(본 실시에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잠금자세에 상당한다.The resilient pieces 92 and 93 are sandwiched between the lock portion 31 and the inner wall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95 of the tube body 11 Do not move along the direction 101 or rotate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103. [ Thus, the posture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lock portion 96 elastically deforming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corresponds to the lock posture.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관체(81)로부터 캡(84)이 분리된다. 이로 인해, 잠금부(96)에 가해져 있던 압축력이 소실되어 탄성변형부(97, 98)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잠금부(96)가 대경부(95)에서 인출되고, 탄성변형부(97, 98)가 세포 채취 부재(82)의 탄성편(92, 93)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탄성편(92, 93)이 탄성 변형하지 않는 잠금부(96)의 자세(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After the cervical cells are collected, the cap 84 is separated from the tube 81 by the practitioner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lock portion 96 is lost,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As the operating member 83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withdrawing from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81, the locking portion 96 is drawn out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are pulled out from the cell-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sture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lock portion 96 in which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re not elastically deformed corresponds to the release posture.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탄성편(92, 93)은 관체(8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쉽게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체(8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82)는 예를 들어 세포 채취 부재(8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8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81)에서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8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The elastic pieces 92 and 93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opening of the front end of the tube body 81. [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body 81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tubular body 81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down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tubular body 81. The missing cell harvesting member 8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이러한 제 4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체(81)의 수나사부(85)에 캡(84)이 나사결합함으로써 잠금부(96)에 압축력을 부여한 상태가 유지되지만, 수나사부(85) 및 암나사부(86)를 설치하지 않고 관체(81)의 기단측에 캡(84)을 걸어맞추어 길이방향(101)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p 84 is screwed into the male threaded portion 85 of the tubular body 81 so that the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to the lock portion 96. However, the male threaded portion 85 and the female threaded portion 86, The cap 84 may be engaged with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to make it impossibl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재(83)의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82)의 탄성편(92, 93)을 관체(81)의 내벽에 가압하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로부터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잠금부(96)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지만, 조작부재(83)의 탄성변형부(97, 98)가 넓어진 상태에서 좁아진 상태로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하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잠금부(96)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The elastic pieces 92 and 93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are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tubular body 81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of the operating member 83 are elastically deforme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of the operating member 83 are widened as the operating member 83 is moved in the pulling direction from the tube body 81, The lock portion 96 may be chang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by being pushed into the tubular body 81 by the operation member 83 being pushed into the tapered state.

구체적으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96)가 대경부(95)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 복귀하여 잠금부(96)의 탄성변형부(97, 98)를 대경부(95)의 내벽에 밀어붙인다. 이로 인해, 탄성편(92, 93)이 관체(8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조작부재(83)는 관체(81)에 기단측에서 스페이서(104) 등이 개재되거나 관체(81)와 걸어맞추어지거나 함으로써 관체(81)에 대하여 밀어넣어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3,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and 98 are resiliently return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portion 96 is located in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98 to the inner wall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do not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81 or rotat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103.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ration member 8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acer 104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81 or engaged with the tubular body 81 so as not to be pushed into the tubular body 81 .

상술한 스페이서가 분리되거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조작부재(83)가 관체(81)에 대하여 밀어넣기 가능하게 된다. 조작부재(83)가 관체(81)로 밀어넣어지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96)의 선단이 세포 채취 부재(82)의 구멍(94)의 안으로 나아가는 동시에, 탄성변형부(97, 98)가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변형한다. 이로 인해, 탄성편(92, 93)이 탄성복귀하여 관체(81)의 대경부(95)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잠금부(96)의 선단이 구멍(94)의 끝면에 맞닿아 세포 채취 부재(82)가 가압됨으로써 관체(81)의 선단에서 세포 채취 부재(82)가 분리된다.The above-described spacers are separated or disengaged,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83 can be pushed into the tube 81. [ 24, the distal end of the lock portion 96 is moved into the hole 94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82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97, 98 are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narrow the gap. As a result, the elastic pieces 92 and 93 are resiliently returned to be able to escape from the large-diameter portion 95 of the tube body 81. The cell collecting member 82 is separat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tube 81 by pressing the cell collecting member 82 by abutting the tip of the lock portion 96 against the end surface of the hole 94.

이와 같은 변형예에 의해서도 제 4 실시에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our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제 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110)는 관체(111), 세포 채취 부재(112), 조작부재(113), 및 잠금부재(114)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112)는 관체(1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13)는 관체(111)에 삽입되어 있다. 잠금부재(114)는 관체(111)에 내장되어 세포 채취 부재(112)와 걸어맞추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11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1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11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25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11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25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11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11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As shown in Fig. 25, the cell collection device 110 has a tube 111, a cell collection member 112, an operation member 113, and a lock member 114. As shown in Fig. The cell collecting member 11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e 111. The operating member 113 is inserted into the tube 111. The locking member 114 is embedded in the tubular body 111 and engaged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ongated tubular body 111 extends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ube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line 10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direction 103. [ The side on which the operator holds the tubular body 111 is referred to as a proximal side (right side in FIG. 25), and the side on which the cell collection member 112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distal side (left side in FIG. 25). The tip of the tube 111 corresponds to the first end, and the base end of the tube 111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관체(111)][Tubular body (111)]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11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11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관체(11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11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s. 26 and 29, the tubular body 111 is a member having a long tub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tubular member 111 has a front end and a rear end respectively opened, and an inner space is continuous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tube body 111 is formed, for example, as a molded product of a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tubular body 1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olygonal, for example. The external dimensions of the tubular body 11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set so as to be best suited for the operator to reach the base end side and to allow the cell collection member 112 to reach the cervical portion.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1)의 내부 공간의 선단측에는 세포 채취 부재(112)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좌부(119)가 설치되어 있다. 좌부(119)는 중심선(102)을 따른 관통공(120)을 갖고 있다.29, a seat portion 119 for positioning the cell-gathering member 112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tube 111. [ The seat portion (119) has a through hole (120) along the center line (102).

[세포 채취 부재(112)][Cell harvesting member (112)]

도 27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112)는 본체(115) 및 브러시(116)를 갖는다. 본체(11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116)는 본체(115)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117)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116)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116)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11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브러시(116)가 생략되어 있다.27 and 29,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has a main body 115 and a brush 116.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115 is, for example,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brush 116 is inserted into a hole 117 formed in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115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brush 116 has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bers fixed on a shaft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rush 116 may be any known one such as a molded article of an elastomer. 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axis extends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tube 111, the fibers may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axis, or other shapes may be employed. In Fig. 27, the brush 116 is omitted.

본체(115)는 대략 원추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115)의 기단측의 외경은 관체(1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본체(115)는 관체(111)의 선단에서 내부 공간으로 진입 가능하다. 본체(115)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걸어맞춤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18)는 대략 원기둥형상이며, 그 돌출단에 외경이 넓어지는 브러시 형상의 걸어맞춤편(129)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18)는 관체(111)의 좌부(119)의 관통공(120)에 삽입통과 가능한 외형 치수이다.The main body 115 has a substantially conical outer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115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111. Therefore, the main body 115 can enter the inner space from the tip end of the tube 111. An engaging portion 118 protruding from the surface along the center line 102 is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115. The engaging portion 118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brush-shaped engaging piece 129 is formed at the projecting end thereof to widen the outer diameter. The engaging portion 118 is an external dimen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 of the seat portion 119 of the tube 111.

본체(115)가 관체(111)의 선단에서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걸어맞춤부(118)가 좌부(119)의 관통공(120)을 통과하고, 본체(115)의 기단측의 면이 좌부(119)와 맞닿는다. 이로 인해, 본체(115)가 관체(111)의 선단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When the main body 115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at the front end of the tubular body 111, the engaging portion 118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0 of the seat portion 119 and the base- (119). As a result, the main body 115 is positioned and mounted at the tip of the tube 111.

[조작부재(113)](Operation member 113)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13)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조작부재(113)는 관체(11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11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조작부재(113)의 선단은 개구하고 있고, 그 둘레 가장자리의 내주면측에 있어서 내경이 넓어지는 테이퍼형상의 가이드면(121)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6 and 29, the operating member 113 is a member having a long and slende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a circular tube shape. The operating member 113 i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e 111. The length of the operating member 1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tube 111. [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ng member 113 is open, and a tapered guide surface 121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edge to widen the inner diameter.

조작부재(113)의 기단에는 중심선(102)으로부터 떨어지는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22)의 외경은 관체(111)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관체(111)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된 조작부재(113)는 플랜지부(122)가 관체(111)의 기단에 맞닿음으로써 더욱더 삽입이 규제된다.At the base end of the operating member 113, a flange portion 122 projecting outwardly away from the center line 102 is provided.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122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111. The operation member 113 insert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1 is further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by the flange portion 122 abutting the proximal end of the tubular body 111. [

[잠금부재(114)][Locking member 114]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재(114)는 외통부(123) 및 핀치부(124)를 갖는다. 외통부(123)는 핀치부(124)가 동작하기 위한 공간이 절개된 원통형상이다.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외통부(123)는 연결부(13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외통부(123)의 외경은 관체(111)의 내경보다 작다. 또한, 외통부(123)의 외경은 관체(111)의 좌부(119)와 맞닿을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체(111)의 기단측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잠금부재(114)는 외통부(123)가 좌부(119)에 맞닿음으로써 선단 방향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As shown in Figs. 28 and 29, the lock member 114 has an outer cylinder portion 123 and a pinch portion 124. As shown in Fig. The outer cylinder 123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pace for operating the pinch portion 124 is cut. The outer tube 123, which is spaced apart,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132.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tube 123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111.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tube 123 is se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 119 of the tube 111. The lock member 114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tube 111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tip direction by abutting the outer tube portion 123 against the seat portion 119. [

핀치부(124)는 외통부(123)의 기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핀치부(124)는 한 쌍의 평판부재(125, 126)가 외통부(123)와 연결부(132)의 접속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 회전운동하도록 자세 변화가 가능하다. 한 쌍의 평판부재(125, 126)는 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단측이 선단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자세가 된다. 평판부재(125, 126)의 선단측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갈고리부(127, 128)가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부(127, 128)는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으로부터 본체(115)의 기단측으로 끼워넣어, 걸어맞춤부(118)와 걸어맞춤 가능하다.The pinch portion 124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side of the outer cylinder 123. The pinch portion 124 is capable of changing the posture such that the pair of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are rotat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123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2. [ The pair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becomes an attitude in which the proximal end side is relatively widened with respect to the distal end side in th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Claw portions 127, 128 proje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tip end sides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126, respectively. The claw portions 127 and 128 are fitted into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main body 115 from the engaging piece 129 of the engaging portion 11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and are engageable with the engaging portion 118 .

[코일스프링(130, 131)][Coil springs (130, 131)]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재(114)가 관체(111)에 삽입된 조립 상태에서, 한 쌍의 평판부재(125, 126) 사이에서 연결부(132)보다 선단측의 공간에 코일스프링(130)이 길이방향(101)을 압축방향으로 하여 조립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30)은 핀치부(124)가 세포 채취 부재(112)의 본체(115)의 걸어맞춤부(118)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과 잠금부재(114)의 연결부(132)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유지된다.A coil spring 130 (not shown)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pair of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at the tip end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2 in an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114 is inserted into the tube 111, Are assembl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coil spring 130 allows the pinch portion 124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iece 129 of the engaging portion 118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18 of the main body 115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And is held in the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132 of the locking member 114. [

또한 잠금부재(114)와 조작부재(11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31)이 길이방향(101)을 압축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31)은 잠금부재(114)의 외통부(123)와 조작부재(113)의 선단에 맞닿아 조작부재(113)를 관체(111)의 기단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코일스프링(131)에 탄성지지된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은 잠금부재(114)의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에 맞닿거나 근접한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평판부재(125, 126)는 조작부재(113)로부터 자세 변화하기에 충분한 힘을 받고 있지 않고, 기단측이 선단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자세로 유지된다. 이 때의 잠금부재(114)의 자세가 잠금자세에 상당한다.A coil spring 131 is disposed between the lock member 114 and the operating member 113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coil spring 131 is elastically supported in such a direction as to abu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ylinder 123 of the lock member 114 and the operating member 113 and to pull the operating member 113 out of the base end of the tube 111. [ The guide surface 121 of the operating member 113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31 comes into contact with or near the base end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of the lock member 114. [ In this state,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do not receive sufficient force to change the posture from the operating member 113, and the proximal end side is held in a posture relatively widened with respect to the distal end side. At this time, the posture of the lock member 114 corresponds to the lock posture.

[세포 채취 장치(110)의 사용][Use of cell collection device 110]

세포 채취 장치(11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12)가 관체(11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113)가 잠금부재(114)와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가 걸어맞추어지는 잠금자세로 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잠금부재(114)와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본체(115)가 좌부(119)에 가압되어 세포 채취 부재(112)는 관체(1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11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11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112)는 관체(11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11 and the operating member 113 is attached to the locking member 114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Is in a locking postur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118 is engaged. The main body 115 is pressed against the seat portion 119 by the engagement of the lock member 114 and the engagement portion 118 of the cell collection member 112 so that the cell-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101) and the rotation direction (103). Therefore, when the practitioner grip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1 and pushes or pulls or rotates the tubular body 111,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so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moves or moves integrally with the tubular body 111 Rotate.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112)가 장착된 상태에서 관체(111)의 기단측으로부터 잠금부재(114) 및 코일스프링(130), 코일스프링(131), 조작부재(113)의 순서로 삽입된다. 잠금부재(114)의 평판부재(125, 126)의 갈고리부(127, 128)가 좌부(119)의 관통공(120)에 삽입통과된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에 맞닿은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31)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조작부재(113)가 관체(111)에 밀어넣어지면,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이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면(121)을 따라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이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평판부재(125, 126)의 선단측이 넓어져서 갈고리부(127, 128)의 간격이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의 외경보다 커진다.The lock member 114, the coil spring 130, the coil spring 131, and the coil spring 131 are attached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tube body 111 in a state where the cell collection member 112 is mounted on the tip of the tube body 111, , And the operating member 113 are inserted in this order. The pawl portions 127 and 128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of the locking member 114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1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1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 of the seat portion 119 The guide surface 121 of the operating member 113 abuts against the base end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when the operating member 113 is pushed into the tube 111 against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31, And the base ends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are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121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gap. The leading end side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widens and the gap between the claw portions 127 and 128 become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piece 129 of the engaging portion 118. [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기 위해 관체(111)에 대하여 세포 채취 부재(112)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13)가 관체(111)에 더욱 밀어넣어지면 코일스프링(130)이 압축변형하여 잠금부재(114)가 좌부(119)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그 후, 조작부재(113)의 밀어넣기가 멈추어지면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조작부재(113)가 관체(111)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도 관체(111)의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평판부재(125, 126)가 기단측이 선단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자세로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갈고리부(127, 128)가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으로부터 본체(115)의 기단측으로 들어가서 잠금부재(114)와 걸어맞춤부(118)가 걸어맞추어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코일스프링(131)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세포 채취 부재(112)가 관체(111)의 선단측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When the operation member 113 is further pushed into the tubular body 111 in a state where the cell collection member 112 is fixed so as not to come out from the tubular body 111 in order to resist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30, 130 are compressed and deformed to move the lock member 114 until the lock member 114 abuts on the seat portion 119. [ Thereafter, when the pushing of the operating member 113 is stopped, the operating member 113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113 is pulled out of the tube 111 by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30. The guide surface 121 of the operating member 113 also moves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e 111. [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are resiliently returned to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posture relatively widened relative to the distal end side so that the claw portions 127 and 128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18 of the cell- The lock member 114 and the engaging portion 11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ell collecting member 112 is hel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unt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1 against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31 by this engagement.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113)의 플랜지부(122)가 코일스프링(131)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관체(111)의 기단측으로 밀린다. 이로 인해, 조작부재(113)가 관체(111)로 밀어넣어지고,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이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면(121)을 따라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이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평판부재(125, 126)의 선단측이 넓어져서 갈고리부(127, 128)의 간격이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의 외경보다 커진다. 즉, 걸어맞춤부(118)와 잠금부재(114)와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때의 잠금부재(114)의 자세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The operator pushes the flange 122 of the operating member 113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e 111 against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31 as shown in Fig. The operating member 113 is pushed into the tube 111 and the guide surface 121 of the operating member 113 slides against the base ends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and moves along the guide surface 121 The base ends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are guided in the direction to narrow the gap. The leading end side of the flat plate members 125 and 126 widens and the gap between the claw portions 127 and 128 become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piece 129 of the engaging portion 118. [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118 and the lock member 114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osture of the lock member 114 corresponds to the release posture.

결어맞춤부(118)와 잠금부재(11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112)가 관체(111)의 선단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빠져나온 세포 채취 부재(11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When the deflection fitting portion 118 and the locking member 114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 cell collection member 112 is pulled out from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body 111 by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30. The extracted cell-harvesting member 11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이러한 제 5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제 6 실시예][Sixth Embodiment]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150)는 관체(151), 세포 채취 부재(152), 및 조작부재(153)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53)는 관체(15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15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15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15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31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15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31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15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15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As shown in Fig. 31, the cell collection device 150 has a tubular body 151, a cell collection member 152, and an operation member 153.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tube 151. The operating member 153 is inserted into the tube 15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ongated tubular body 151 extends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ube 1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line 10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direction 103. [ 31), and the side o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distal end side (left side in Fig. 31). The tip of the tube 151 corresponds to the first end, and the base end of the tube 151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관체(151)][Body (151)]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외형이 원기둥형상의 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15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원형의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15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5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각기둥형상이어도 된다. 관체(15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15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31 and 32, the tubular body 151 is a cylindrical tubular member whose outer shape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which is shaped like a cylinder. The tubular body 151 has a front end and a rear end respectively opened, and a circular inner space is continuous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tube body 151 is formed, for example, as a molded product of a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tubular body 15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prismatic shape.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tubular body 15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set so as to be best suited for the proximal end side to reach the cell collecting member 152 to the cervical portion.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의 선단측의 면에는 홈(154)이 설치되어 있다. 홈(154)은 관체(151)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파여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관체(151)의 외형을 따른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홈(154)은 세포 채취 부재(152)의 볼록편(158)이 삽입된다. 따라서, 홈(154)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세포 채취 부재(152)에 있어서 볼록편(158)이 본체(155)로부터 중심선(11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As shown in Figs. 35 and 36, grooves 154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ube 151 on the tip side. The groove 154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tube 151 and shows a hexagon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tube 151 as seen from the viewpoint along the center line 102. [ The groove 154 is inserted with the convex piece 15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The depth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groove 154 is about the same as the dimension at which the convex piece 158 protrudes from the body 155 along the centerline 112 in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

도 32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의 기단측의 내면에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넓어진 대경부(166)가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166)는 관체(151)의 기단측의 개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경부(166)에 있어서, 관체(151)의 기단측에는 팽출부(167)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167)는 관체(151)의 내면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가 배치되어 있다. 각 팽출부(167)와, 대경부(166)의 연출단에서의 단차부(168)는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대경부(166)에는 조작부재(153)의 플랜지부(163)가 삽입되어 각 팽출부(167)와 걸어맞추어진다.As shown in FIGS. 32 and 36, a large-diameter portion 166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end side of the tube 151. The large-diameter portion 166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pening on the base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51. In the large-diameter portion 166, a bulge portion 167 is provided at the base end side of the tube body 151. Four swelling portions 167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51. Each swollen portion 167 and the step portion 168 at the leading end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166 ar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lange portion 163 of the operating member 153 is inserted into the large-diameter portion 166 to engage with the respective bulging portions 167.

[세포 채취 부재(152)][Cell harvesting member (152)]

도 33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152)는 본체(155) 및 브러시(156)를 갖는다. 본체(15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156)는 본체(155)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157)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156)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156)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15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33 and 36,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has a main body 155 and a brush 156.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155 is, for example,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brush 156 is inserted into a hole 157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main body 155 and is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brush 156 is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bers on a shaft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rush 156 may be any known one such as a molded article of an elastomer. 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extends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tubular body 151, the fibers may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shaft, or other shapes may be employed.

본체(155)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편(158)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편(158)은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볼록편(158)이 본체(155)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는 후술하는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The main body 155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shape. A convex piece 158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155 is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body 155. The convex piece 158 protrudes along the center line 102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155 and shows a hexagonal shape when viewed along the center line 102. [ The dimension at which the convex piece 158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155 along the center line 102 is the same as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male thread portion 161 of the operation member 153 described later.

볼록편(158)의 두께는 관체(151)의 홈(154)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볼록편(158)은 본체(155)로부터 이어나오는 연출단으로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편(158)이 관체(151)의 홈(154)에 삽입되고,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169)과 관체(151)의 선단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본체(155)가 관체(15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볼록편(158)과 홈(154)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155)는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홈(154) 및 볼록편(158)이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The thickness of the convex piece 158 is set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154 of the tube 151. [ The convex piece 158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iece 158 decreases from the main body 155 toward the leading end. The convex piece 158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54 of the tube body 151 and the surface 169 of the base end side of the body 155 and the tip side surface of the tube body 151 abut each other, And is positioned and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respective axes coincide with the tip of the tube 151. The main body 155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151 by the fitting of the convex piece 158 and the groove 154. [ The groove 154 and the convex piece 158 correspond to the fitting portion.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169)에서의 볼록편(158)의 내측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나사구멍(159)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159)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와 나사결합한다. 나사구멍(159)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후술하는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A threaded hole 159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vex piece 158 on the base end side face 169 of the main body 155 so as to extend along the center line 102 to the tip side. The screw hole 159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portion 161 of the operation member 1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pth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screw hole 159 is about the same as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male screw portion 161 of the operation member 153 described later.

[조작부재(153)][Operation member 153]

도 34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53)는 로드부(160), 수나사부(161), 손잡이부(162) 및 플랜지부(163)를 갖는다. 로드부(160)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로드부(160)는 관체(15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15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34 and 36, the operating member 153 has a rod portion 160, a male screw portion 161, a handle portion 162, and a flange portion 163. The rod portion 160 is a substantially columnar member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rod portion 160 i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ube body 15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ube body 1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조작부재(153)의 선단측에는 수나사부(161)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161)는 로드부(160)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61)는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으로 진입하여 나사결합 가능하다. 수나사부(161)가 잠금부, 나사결합부에 상당한다.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에 나사결합하는 자세가 잠금자세에 상당하고,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으로부터 빠져나온 자세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A male threaded portion 161 is provid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153. The male screw portion 16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ip end side of the rod portion 160. [ The male screw portion 161 enters the screw hole 1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and is screwable.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161 corresponds to the lock portion and the threaded portion. The posture in which the male screw portion 161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59 corresponds to the locking posture and the posture in which the male screw portion 161 has escaped from the screw hole 159 corresponds to the release posture.

로드부(160)의 기단에는 손잡이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162)는 로드부(160)의 외경 및 관체(151)의 내경보다 최소 외경이 큰 단면이 별형상이다. 로드부(160)의 외경은 관체(15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A handle 162 is provided at the base end of the rod 160. The handle portion 162 has a star-shaped cross section having a minimum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16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151.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16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151.

로드부(160)의 기단측에는 손잡이부(162)로부터 선단측으로 거리를 두고 플랜지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63)는 로드부(16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로드부(16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고 있다. 플랜지부(163)의 선단측의 면(164)은 중심선(102)으로부터 떨어지는 외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이며, 플랜지부(163)의 기단측의 면(165)은 중심선(102)과 직교하고 있다. 면(165)과 손잡이부(162) 사이에는 관체(151)의 팽출부(167)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있다. 플랜지부(163)의 외경은 관체(151)의 대경부(166)의 직경보다 작고, 또한 팽출부(167)의 선단 사이의 거리 및 관체(151)의 대경부(166) 이외의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크다.A flange portion 163 is provided at the base end side of the rod portion 160 with a distance from the handle portion 162 toward the tip end side. The flange portion 163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portion 160 and continu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portion 160. The surface 164 on the tip side of the flange portion 163 is an inclined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center line 102 and the base surface 165 of the flange portion 163 is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102. [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face 165 and the handle portion 162 so that the swelled portion 167 of the tube 151 can be disposed.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16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66 of the tubular body 15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end of the bulged portion 167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space oth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166 of the tubular body 151 Diameter.

[세포 채취 장치(150)의 사용][Use of cell collection device 150]

세포 채취 장치(15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52)가 관체(15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수나사부(161)가 잠금자세일 때,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15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15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51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161 of the operating member 153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59, To be used in a state of being screwed on. The cell collection member 15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1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rotation direction 103 when the male thread portion 161 is in the locking posture. Therefore, when the practitioner grip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51 and performs pushing, pulling, or rotating operations,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so that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moves integrally with the tubular body 151 Or rotate.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1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152)의 볼록편(158)과 관체(151)의 홈(154)이 끼워맞춤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152)가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15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에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The convex piece 15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and the groove 154 of the tubular body 151 are fitted to each other with the cell collecting member 152 mounted on the tip of the tubular body 151, do. Therefore, the cell-gathering member 152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151. [ The operating member 153 is inserted from the base end and the male screw portion 161 of the operating member 153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59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152. [ Therefore, the cell-retrieving member 152 does not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with respect to the tube 151.

또한, 세포 채취 장치(150)의 조립시에 조작부재(153)가 관체(151)의 기단의 개구에 수나사부(161)측으로부터 삽입되면, 플랜지부(163)의 면(164)이 팽출부(167)와 맞닿아 대경부(166)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탄성변형되어 플랜지부(163)가 단차부(168)와 팽출부(167) 사이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부(163)는 단차부(168)와 팽출부(167)에 끼워져서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되고, 길이방향(101)에 대하여 관체(151)와의 상대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조작부재(153)는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When the operating member 15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ase end of the tubular body 151 from the side of the male screw portion 161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150, the surface 164 of the flange portion 163, The flange portion 163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66 is expand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167 and the flange portion 163 enters between the step portion 168 and the bulged portion 167. In this state, the flange portion 163 is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 168 and the bulging portion 167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163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151 is restrict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Further, in the engaging state, the operating member 153 is relatively rotatable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tube body 151.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153)의 손잡이부(162)와 관체(15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부(162)가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으로부터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빠져나온다. 관체(151)와 조작부재(153)는 길이방향(101)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지 않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으로부터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빠져나오는 동시에, 세포 채취 부재(152)가 관체(151)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볼록편(158)이 홈(154)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볼록편(158)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수나사부(1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가 같은 정도이므로,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으로부터 빠져나올때까지 볼록편(158)과 홈(154)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으로부터 빠져나오면 볼록편(158)이 홈(154)으로부터 빠져나와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151)에서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15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After the cervical cells have been collected, as shown in Fig. 37,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51 and the handle portion 162 of the operating member 153 are held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handle portion 162 is held in the tubular body 151 . As a result, the male threaded portion 161 of the operating member 153 comes out of the screw hole 159 of the cell-gathering member 152. The tubular body 151 and the operating member 153 do no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so that the male threaded portion 161 of the operating member 153 is pulled out from the threaded hole 159 of the cell collecting member 152 , The cell collecting member 152 is separated from the tip of the tube 151 and the convex piece 158 exits from the groove 154.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convex piece 158 and the dimens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male screw portion 161 are the sam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161 and the male screw portion 161 158 and the groove 15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male screw portion 161 is pulled out of the screw hole 159. The male screw portion 159 is pulled out of the groove 154 and easily escapes from the tube body 151 by gravity . The missing cell collection member 15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제 6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btained.

[제 7 실시예][Seventh Embodiment]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210)는 봉재(211) 및 세포 채취 부재(212)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212)는 봉재(2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봉재(21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봉재(2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봉재(21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38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38에서 좌측)이라 한다. 38,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has a rod member 211 and a cell harvesting member 212. As shown in Fig.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rod 2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ongated bar material 211 extends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od 2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line 102 is referred to as the rotation direction 103. [ 38, and the side o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distal end side (left side in FIG. 38).

[봉재(211)][Rods (211)]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부재이다. 봉재(21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외형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봉재(2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다각기둥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봉재(211)와 같이 수지량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홈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봉재(21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21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s. 38 and 39, the rod member 211 is an elongated member in the lengthwise direction 101. Fig. The rod 211 is form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cylinder as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bar material 2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polygonal columnar shape.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o reduce the amount of resin, such as the rod 211. The external dimensions of the rod 211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set so as to be best suited for the operator to reach the proximal end side and to allow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o reach the cervical portion.

도 39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의 선단측에는 걸어맞춤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20)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21)와, 봉재(211)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갈고리(222, 223)와, 갈고리(222, 223)를 각각 자세 변화시키기 위한 가압부(224, 225)를 갖는다. 갈고리(222, 223) 및 가압부(224, 225)는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갈고리(222, 223) 및 가압부(224, 225)는 배치가 다른 것 외에는 같은 형상이므로 갈고리(222, 223) 및 가압부(224, 225)에 대해서는 한 쌍의 일방인 갈고리(222) 및 가압부(224)를 예로 하여 상세한 구성이 설명된다.As shown in Figs. 39 and 41, an engaging portion 22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rod material 211. Fig. The engaging portion 220 includes a convex portion 221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from the tip end of the rod 211, hooks 222 and 223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rod 211, hooks 222 And 22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claws 222 and 223 and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disposed as a pair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Since the claws 222 and 223 and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have the same shape except for the different arrangement, the claws 222 and 223 and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provided with a pair of one- A detailed configuration is described by taking the portion 224 as an example.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돌출되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이다. 볼록부(221)의 둘레면(226)은 봉재(211)로부터의 돌출단, 즉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다. 볼록부(221)의 중심은 봉재(211)의 중심선(102)에 합치한다. 즉,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중심선(10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221)의 테이퍼형상은 후술하는 오목부(246)에 삽입되었을 때에 볼록부(221)의 둘레면(226)과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이 맞닿는 형상이다.The convex portion 221 is an outer shape of a substantially columnar shape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from the tip end of the rod member 211.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of the convex portion 221 has a tapered shape that tapers toward the protruding end from the rod 211, that is, toward the tip. The center of the convex portion 221 coincides with the center line 102 of the bar material 211. That is, the convex portion 221 is disposed on the center line 102 of the rod 211. The tapered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1 has a shap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of the convex portion 221 abuts agains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7 of the concave portion 246 when the concave portion 246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described later.

갈고리(222, 223)는 봉재(211)의 선단 부근으로부터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갈고리(222)는 중심선(102)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봉재(211)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산형상이다. 갈고리(222)의 선단측에는 선단으로 향하여 중심선(102)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227)이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222)의 기단측에는 중심선(102)과 거의 직교하는 걸림면(228)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27)과 걸림면(228)은 연속하고 있고, 경사면(227)과 걸림면(228)의 경계가 산형상의 능선이다. 갈고리(222)의 산형상의 능선의 중심선(102)으로부터의 거리는 봉재(211)의 기단측의 외주면의 중심선(102)으로부터의 거리와 같은 정도이다.The claws 222 and 223 protrude out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rod 211 and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102. The claws 222 are in the shape of a mountai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bar material 211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An inclined surface 227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er line 102 toward the tip is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hook 222.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law 222, there is formed an engaging surface 228 which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102. The inclined surface 227 and the engaging surface 228 are continuou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227 and the engaging surface 228 is a mountain-shaped ridge lin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line 102 of the mountain-shaped ridgeline of the claw 222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line 102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end side of the rod 211.

갈고리(222)와 볼록부(221) 사이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연장되는 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223)에 대해서는 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홈(229)은 봉재(211)의 외면으로 개구하고 있다. 즉, 홈(229)은 봉재(211)를 관통하고 있다. 홈(229)에 의해 갈고리(222)와 볼록부(22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홈(229)의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변형부(231)가 볼록부(221)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갈고리(222)의 능선이 중심선(102)측으로 가까워진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31)가 탄성변형하지 않은 갈고리(222)의 자세를 걸어맞춤자세라 한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31)가 볼록부(221)측으로 기울어진 갈고리(222)의 자세를 해제자세라 한다. 마찬가지로, 홈(23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탄서연형부(232)의 탄성변형에 의해 갈고리(223)가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다.A groove 229 extending along the center line 102 is formed between the claw 222 and the convex portion 221. A groove 230 is formed in the hook 223. The groove 229 open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211. That is, the groove 229 passes through the rod 211.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law 222 and the convex portion 221 by the groove 229. The ridgeline of the claw 222 approaches toward the center line 102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231 located outside the groove 229 to tilt toward the convex portion 221 side. As shown in Fig. 41, the posture of the claw 222 to which the resiliently deformed portion 231 is not resiliently deformed is referred to as the engagement posture. 42, the posture of the claw 222, in which the elastically deformed portion 231 is inclined toward the convex portion 221 side, is referred to as a release posture. Likewis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ongue-and-groove shaped portion 232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groove 230, the claw 223 changes posture from the engagement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탄성변형부(231, 232)의 외측에는 가압부(224, 2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224)는 탄성변형부(231)의 외측에 있어서 봉재(211)의 외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는 중심선(102)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산형상을 이루고 있고, 봉재(211)의 기단측을 향하는 경사면(233)에 길이방향(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길이방향(101)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단측을 향하는 경사면(233)에 의해 가압부(224)가 봉재(211)의 기단측으로부터 밀어넣어지기 쉽게 되어, 경사면(233)에 형성된 복수의 홈에 의해 시술자의 손가락이 선단측으로 쉽게 미끌어지지 않는다. 또한, 가압부(225)의 경사면(234)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s of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s 231 and 232, respectively. The pressurizing portion 224 is outwardly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aterial portion 231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material 211. 41, the pressing portion 224 has a mountain-like shape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center line 102 and i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233 facing the base end side of the rod member 211,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re formed at intervals. The pressing portion 224 is easily pushed in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rod material 211 by the inclined face 233 facing the proximal end side and the finger of the practitioner is easily slid toward the distal end side by the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inclined face 233 Do not. Further, a plurality of grooves are similarly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234 of the pressing portion 225 as well.

[세포 채취 부재(212)][Cell harvesting member (212)]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212)는 본체(240) 및 브러시(241)를 갖는다. 본체(24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241)는 본체(240)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242)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241)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241)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봉재(21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As shown in Figs. 40 and 41,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has a main body 240 and a brush 241. Fig. The main body 240 is, for example,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The brush 241 is inserted into a hole 242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main body 240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brush 241 has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bers fixed on a shaft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brush 241 may be any known one such as a molded article of an elastomer. Therefor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xis extends along the center line 102 of the rod 211, the fibers may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axis, or other shapes may be employed.

본체(240)의 기단측에는 원통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43)는 기단측에 개구(244)를 갖는다. 원통부(243)의 개구(244)를 통해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으로 봉재(211)의 걸어맞춤부(220)가 삽입 가능하다. 개구(244)는 걸어맞춤부(220)의 갈고리(222, 223)가 배치되는 방향(도 40에서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길다.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은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 및 갈고리(222, 223)가 삽입 가능한 치수 및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A cylindrical portion 243 is form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body 240. The cylindrical portion 243 has an opening 244 on the base end side. The engaging portion 220 of the rod 211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through the opening 244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 The opening 244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aws 222 and 223 of the engaging portion 220 are disposed (vertical direction in Fig. 40).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is set to a dimension and a shap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hooks 222 and 223 of the engaging portion 220 can be inserted.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개구(244)와 반대측의 끝면(245)에는 오목부(24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6)는 세포 채취 부재(212)의 중심선(102) 상에 설치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어내어져 있다. 오목부(246)는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에 대응한 형상 및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즉, 오목부(246)는 그 둘레면(247)이 볼록부(221)의 둘레면(226)과 맞닿도록 선단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이다. A concave portion 246 is formed in the end surface 245 opposite to the opening 244 in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The concave portion 246 is provided on the centerline 102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and extends along the centerline 102 to the distal end side. The concave portion 246 is set to a shape and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engaging portion 220. That is, the concave portion 246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its circumferential surface 247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tip side so as to abu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of the convex portion 221.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에는 중심선(10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둘레벽(248)을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249, 250)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49, 250)은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구멍(249, 250)은 배치가 다른 것 외에는 같은 형상이므로 구멍(249, 250)에 대해서는 한 쌍의 일방인 구멍(249)을 예로 하여 상세한 구성이 설명된다.A pair of holes 249 and 250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so as to penetrate the peripheral wall 248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102. The holes 249 and 250 are disposed as a pair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Since the holes 249 and 250 have the same shape except for the different arrangement,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holes 249 and 250 by taking a pair of one-side holes 249 as an example.

구멍(249)은 직사각형의 관통공이다. 구멍(249)의 형상은 걸어맞춤부(220)의 갈고리(222)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구멍(249)에는 갈고리(222)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구멍(249)의 치수는 갈고리(222)의 외형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걸어맞춤 자세의 갈고리(222)가 구멍(249)에 삽입된 상태에서 갈고리(222)의 걸림면(228)이 구멍(249)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갈고리(222)와 구멍(249)이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구멍(250)에는 갈고리(223)가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진다.The hole 249 is a rectangular through hole. The shape of the hole 249 is set corresponding to the hook 222 of the engaging portion 220. The hooks 222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249. Therefore, the dimension of the hole 249 is set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hook 222. The engaging surface 228 of the hook 22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hole 249 while the engaging claw 222 is inserted into the hole 249. [ As a result, the hooks 222 and the holes 249 are engaged with each other. Further, a hook 223 is inserted into the hole 250 and engaged.

[봉재(211) 및 세포 채취 부재(212)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210)][Cell harvesting device 210 in which the rod 211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are engaged]

세포 채취 장치(210)는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봉재(211)의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 및 갈고리(222, 223)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원통부(243)의 개구(244)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걸어맞춤부(220)는 가늘고 긴 개구(244)에 대하여 갈고리(222, 223)를 개구(244)의 가늘고 긴 방향으로 배치하여 삽입된다. 갈고리(222, 223)가 개구(244)에 삽입됨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거의 고정된다. 그리고, 볼록부(221)가 오목부(246)에 삽입되고, 또한 갈고리(222, 223)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s mounted on the rod 211 in collecting the cervical cells.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hooks 222 and 223 of the engaging portion 220 of the bar 211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opening 244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he engaging portion 220 is inserted by arranging the hooks 222 and 223 in the elongated direction of the opening 244 with respect to the elongated opening 244.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is substantially fix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bar member 211 by inserting the hooks 222 and 223 into the opening 244. [ The convex portion 221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and the claws 222 and 223 are engaged with the holes 249 and 250 in the circumferenti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The member 21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rod member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103. [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에서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는 테이퍼형상의 둘레면(226)이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에 가압접촉되어 있다. 둘레면(226)과 둘레면(247)과의 가압접촉에 의해 봉재(211)를 길이방향(101)을 따라 선단측으로 미는 힘, 및 봉재(211)를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 이들 힘이 전달될 때에는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삽입되어 있는 걸어맞춤부(220)의 갈고리(222, 223)는 구멍(249, 250)의 둘레가장자리와 맞닿아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이들 힘의 전달에 있어서, 갈고리(222, 223)에 부하가 생기지 않는다.The tapered circumferential surface 226 of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engaging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while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is mounted on the rod 211 as shown in Fig. Is in press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The pressing for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7 causes the force of pushing the rod material 211 to the distal end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force of rotating the rod material 211 in the rotational direction 103 And is transferr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he claws 222 and 223 of the engaging portion 220 inserted into the holes 249 and 250 of the peripher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are engaged with the peripheries of the holes 249 and 250 It is preferable that it does not abut the edge. As a result, no load is applied to the hooks 222 and 223 in the transmission of these forces.

또한, 회전방향(103)으로의 회전하는 힘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될 때에, 가령 둘레면(226)이 둘레면(247)에 대하여 미끄러졌다고 해도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의 둘레가장자리와 맞닿음으로써 봉재(211)가 세포 채취 부재(212)에 대하여 공전하지 않는다.Even i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slip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7 when the rotating force in the rotation direction 103 is transmitted from the rod 211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223 abut against the peripheral edges of the holes 249, 250 so that the rod 211 does not revolve with respect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갈고리(222, 223)와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 예를 들어 갈고리(222)의 걸림면(228)이 구멍(249)의 둘레가장자리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봉재(211)를 길이방향(101)을 따라 기단측으로 당기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The engagement of the claws 222 and 223 with the holes 249 and 250 of the peripheral wall 248, for example, the engagement surface 228 of the claw 222 is engaged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hole 249 The force for pulling the bar material 2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가 가압됨으로써 걸어맞춤 자세의 갈고리(222, 223)가 해제 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가압부(224, 225)의 각 경사면(233, 234)은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212)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봉재(211)의 기단측으로부터 가압부(224, 225)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224, 225)는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가압하는 방향이 상반되므로 가압부(224, 225)를 끼워넣도록 하여 한번에 쌍방을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다. After the cervical cells are collected, as shown in FIG. 42, the pressurizing portions 224 and 225 are press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laws 222 and 223 in the engagement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The inclined surfaces 233 and 234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directed toward the base end side of the bar stock 211 so that they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ell gathering member 212 but press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6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bar stock 211, 225 can be pressurized. Since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disposed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and the pressing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fitted so that both of them can be easily pressed at one time Do.

가압부(224, 225)가 가압됨으로써 탄성변형부(231, 232)가 볼록부(221)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한다. 이에 따라, 갈고리(222, 223)도 볼록부(221)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제자세가 된다. 해제자세의 갈고리(222, 223)는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서 빠진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212)와 봉재(211)가 길이방향(101)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갈고리(222, 223)가 개구(244)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세포 채취 부재(212)는 봉재(21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보다 하방이 되도록 봉재(211)의 길이방향(101)이 연직방향을 따르도록 조작됨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로부터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21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s 231 and 232 are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close to the convex portion 221 by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being pressed. As a result, the claws 222 and 223 also move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convex portion 221, thereby becoming the releasing posture. The claws 222 and 223 in the unlocking posture are disengaged from the holes 249 and 250 in the peripher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As a result,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and the rod 211 can be relative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with respect to the bar stock 211 in the state where the hooks 222 and 223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244. [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is removed from the rod 211 by opera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of the rod 21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is below the rod 211. The missing cell harvesting member 212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제 7 실시예의 작용효과][Operation and effect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 7 실시예에 의하면,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가 원통부(243)의 오목부(246)에 삽입되고, 또 걸어맞춤 자세의 갈고리(222, 223)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쉽게 분리된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engaging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and the claws 222 and 223 in the engaged position ar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When the cells of the uterine cervix are collected by engaging with the holes 249 and 250 of the peripheral wall 248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s 212 and 243, the cell harvesting members 212 do not come off from the bar stock 211,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rod 211.

또한,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이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시에 가압부(224, 225)이 일방에 어떤 외력이 가해져서 대응하는 갈고리(222, 223)의 어느 일방이 해제자세로 되어 구멍(249, 250)에서 빠졌다고 해도, 갈고리(222, 223)의 타방은 구멍(249, 250)과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빠지지 않는다. Further, since the pair of hooks 222, 223, the pressing portions 224, 225, and the holes 249, 250 are provided, the pressing portions 224, 225 at the time of collecting the cervical cells produce any external force The other of the claws 222 and 223 is in engagement with the holes 249 and 250 even if one of the corresponding claws 222 and 223 is applied in the unlocking posture and exits the holes 249 and 250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does not come off from the rod 211.

또한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의 한 쌍이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방의 가압부(224, 225)에 한번에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적다.Since the pair of the hooks 222 and 223,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nd the pair of the holes 249 and 250 are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There is less chance of external force applied at one time.

또한, 걸어맞춤부(220)가 봉재(21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압부(224, 225)를 가압할 때에 세포 채취 부재(212)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Further, since the engaging portion 220 is provided on the rod 211, it is not necessary to contact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when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또한, 볼록부(221)가 봉재(21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봉재(211)에 있어서 볼록부(221)와 갈고리(222, 223)와의 간격을 크게 하기가 쉬워진다. 이로 인해, 걸어맞춤 자세에서 해제자세로의 갈고리(222, 223)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갈고리(222, 223)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량을 크게 할 수 있다.Since the convex portion 221 is provided on the rod 211, it is easy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claws 222 and 223 in the rod 211. [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hooks 222, 223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released position. As a result, the amount of engagement between the claws 222, 223 and the holes 249, 250 of the peripher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can be increased.

또한, 볼록부(221)는 둘레면(226)이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이며,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둘레면(226)이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에 가압접촉되므로, 시술자가 봉재(211)를 미는 힘 및 회전시키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될 때에 이들 힘이 갈고리(222, 223)와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 개소에 대한 부하가 되지 않는다.The convex portion 221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is tapered toward the distal en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ell gathering member 212 is mounted on the rod 211 When the practitioner pushes the bar 211 and the rot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hese forces are transmitted to the hooks 222 and 223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7 of the concave portion 246, No load is applied to the engagement portions with the holes 249 and 250. [

[제 7 실시예의 변형예][Modified example of the seventh embodiment]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봉재(211)에 볼록부(221)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오목부(246)가 설치되어 볼록부(221)가 오목부(246)에 삽입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에 오목부(246)가 설치되어 세포 채취 부재(212)에 볼록부(221)가 설치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The convex portion 221 is provided in the rod 211 and the concave portion 246 is provided in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so that the convex portion 221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A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46 is provided in the bar material 211 and the convex portion 221 is provided in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as shown in Fig.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이 한 쌍 설치된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한 쌍 중의 일방만이, 예를 들어 갈고리(222), 가압부(224) 및 구멍(249)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을 한 쌍 설치할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봉재(211)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하거나, 걸어맞춤부(220)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21) 및 오목부(246)는 중심선(102)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seventh embodiment, a pair of the hooks 222 and 223,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nd the holes 249 and 250 are shown. However, as shown in FIG. 44, Only one of them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hook 222, the pressing portion 224 and the hole 249,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for a pair of the pawls 222 and 223,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nd the holes 249 and 250, so that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rod 211 can be reduced, 220 can be made compact.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concave portion 246 may be disposed offset from the center line 102.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도 45 및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에 코일스프링(235)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봉재(211)의 볼록부(221)가 코일스프링(235)을 압축변형시키면서 오목부(246)에 삽입되고, 또한 갈고리(222, 223)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코일스프링(235)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In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coil spring 235 may be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246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as shown in Figs. 45 and 46. Fig. 45, in a state where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is mounted on the rod member 211,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rod member 211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while compressively deforming the coil spring 235 And the claws 222 and 223 are engaged with the holes 249 and 250 of the peripher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so that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103. As shown in Fig. Further,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is retain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rod 211 against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coil spring 235.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가 가압되어 탄성변형부(231, 232)가 볼록부(221)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함으로써 갈고리(222, 223)가 이동하여 해제자세가 된다.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235)의 탄성지지력을 받고 있는 세포 채취 부재(212)는 봉재(211)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빠져나간다. 따라서, 봉재(211)로부터 세포 채취 부재(212)가 확실하고 용이하게 분리된다.46, the pressing portions 224, 225 are pressed and elastically deformed such that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s 231, 232 come close to the convex portion 221, so that the hooks 222, 223 move and become the releasing posture . Therefore,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which receives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coil spring 235, escapes from the rod 2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Therefore,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s reliably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bar material 211.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봉재(211)에 걸어맞춤부(22)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원통부(243)가 설치된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봉재(211)에 원통부(243)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걸어맞춤부(220)가 설치되어도 된다.In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 is show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22 is provided on the rod 211, and the cylindrical portion 243 is provided on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However, The cell collecting member 212 may be provid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20. [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볼록부(221)는 둘레면(226)이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며,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에서 둘레면(226)이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에 압접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볼록부(221)의 둘레면(226)과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이 가압접촉하지 않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회전방향(103)의 힘이 볼록부(221)와 오목부(246)와의 가압접촉에 의해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갈고리(222, 223)와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방향(103)의 힘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 또한, 볼록부(221)가 다각기둥형상이며, 오목부(246)가 볼록부(221)의 다각기둥형상이 끼워넣는 다각형상이면 볼록부(221)와 오목부(246)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회전방향(103)의 힘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In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vex portion 221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is tapered toward the distal end. In the state where the cell collection member 212 is mounted on the rod 211,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6 of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7 of the concave portion 246 do not come into pressur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concave portion 246 is pressed agains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7 of the concave portion 246 May be adopted. In this configuration, the force in the rotation direction 103 is not transmitted by the pressing contact between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concave portion 246. [ The force in the rotating direction 103 is transmitted from the rod member 211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by, for example, engaging the hooks 222 and 223 with the holes 249 and 250. [ When the convex portion 221 is polygonal and the concave portion 246 is a polygonal shape in which the polyg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1 is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46, The force in the direction 103 is transmitted from the rod 211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봉재(211)의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돌출되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이지만, 도 47,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돌출되는,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플러스)」형상인 기둥체의 외형이어도 된다.In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engaging portion 220 of the rod member 211 is an outer shape of a substantially columnar shape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from the tip end of the rod member 211, As shown in Figs. 47 and 48, the convex portion 221 has a shape of "+ (positive)" in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102, which protru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from the tip end of the rod 211 The outer shape of the column body may also be used.

또한 볼록부(221)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개구(244)와 반대측의 끝면(245)에 형성된 오목부(246)는 「+」형상의 볼록부(221)에 대응한,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형상인 중심선(102)을 따른 홈이며, 그 「+」형상의 외면은 「+」형상의 볼록부(221)의 대응하는 외면과 각각 맞닿는다.The concave portion 246 formed in the end surface 245 opposite to the opening 244 in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1 is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 The outer surface of the " + " shape correspo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 + " sha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221, Respectively.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볼록부(221) 및 오목부(246)에 의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의 회전방향(103)의 힘이 전달되기 쉬워진다. 또한, 볼록부(221)가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쉽게 휘지 않게 되므로, 볼록부(221)가 휘어짐으로써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에서 빠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concave portion 246 having the "+"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can easily transmit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103 from the rod 211 to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he convex portion 221 is not easily bent against the external force from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102 and the convex portion 221 is bent so that the claws 222 and 223 come out of the holes 249 and 250 Is not easily generated.

또한, 도 4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상의 볼록부(221)는 중심선(102)(도 49(A)의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중심선(102)에 있어서 직교하는 2개의 「-(마이너스)」형상의 굵기(도 49(A)의 좌우방향을 따른 치수(d1), 상하방향을 따른 치수(d2))가 달라도 된다. 이로 인해, 볼록부(221)를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키면 직교하는 「-」형상의 굵기가 다른 외형이 된다.As shown in Fig. 49 (A), the convex portion 221 of the " + " shape has the convex portion 221 in the center line 102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Fig. (The dimension d1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49 (A) and the dimension d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when the convex portion 221 is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center line 10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 - "

또한, 상술한 볼록부(221)의 형상이 채용될 때, 도 4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볼록부(221)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부(243)의 끝면(245)에 형성된 오목부(246)의 「+」형상의 홈도 중심선(102)에 있어서 직교하는 2개의 「-(마이너스)」형상의 굵기(도 49(B)의 좌우방향을 따른 치수(d1), 상하방향을 따른 치수(d2))가 다르다.Whe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1 described above is adopted, as shown in Fig. 49 (B), concave portions 221 formed on the end face 245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1 described above The "+" -shaped groove of the portion 246 also has two "- (minus)" shapes (the dimension d1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49 (B)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102, (D2)).

상술한 볼록부(221) 및 오목부(246)는 봉재(211)의 갈고리(222, 223)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이 걸어맞춤 가능한 관계로 배치된다. 즉, 볼록부(221)의 「+」형상 중 굵은 쪽인 「-」형상(치수(d1))과, 오목부(246)의 「+」형상 중 굵은 쪽인 「-」형상(치수(d1))이 합치할 때,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과 걸어맞추어질 수 있다.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concave portion 246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laws 222 and 223 of the rod member 211 and the holes 249 and 250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dimension d1) which is the thicker side of the "+"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1 and the "-" shape (the dimension d1) which is the thicker side of the "+"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46, The hooks 222 and 223 can be engaged with the holes 249 and 250. [

반대로, 봉재(211)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원통부(243)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중심선(102)에 대하여 90도 회전하여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과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위치관계일 때, 볼록부(221)의 「+」형상 중 굵은 쪽인 「-」형상(치수(d1))이 오목부(246)의 「+」형상 중 가는 쪽인 「-」형상(치수(d2))으로 끼워넣고자 하는데, 해당 「-」형상에서의 볼록부(221)의 굵기가 오목부(246)의 굵기보다 굵기 때문에 이 위치관계에서는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를 장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봉재(211)와 세포 채취 부재(212)와의 조립시에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과 걸어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볼록부(221)가 오목부(246)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Conversely,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d 211 and the cylindrical portion 243 of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is rotat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102 so that the hooks 222 and 223 engage with the holes 249 and 250 Shape (dimension d1), which is the thicker side of the convex portion 221, is larger than the " - " shape (the dimension d1) of the concave portion 246 the convex portion 221 in the shape of the "-" shape is thicker than the concave portion 246, so that the cell gathering member 212 is placed on the rod 211 at this positional relationship, Can not be mounted. The convex portion 221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246 in a state in which the claws 222 and 223 are not engaged with the holes 249 and 250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rod 211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t is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또한, 상술한 각 세포 채취 장치(10, 50, 70, 80, 110, 150, 210)는 각 세포 채취 부재(12, 52, 82, 112, 152, 212)를 덮는 캡(300)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 7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210)를 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00)은 세포 채취 부재(212)를 내포할 수 있는 원통형상이며, 그 양끝이 되는 단(301, 302)은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캡(300)의 내경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다. 또한, 캡(300)의 선단측, 즉 세포 채취 부재(212)의 삽입구가 되지 않는 쪽의 단(301)은 막혀 있어도 되고, 또한 캡(300)의 내경은 반드시 길이방향(101)을 따라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Each of the cell collecting apparatuses 10, 50, 70, 80, 110, 150 and 210 may have a cap 300 covering the cell collecting members 12, 52, 82, 112, 152, do. As shown in Fig. 50, the cap 300 is a cylindrical shape capable of containing the cell-gathering member 212, The ends 301 and 302 are open. Therefore,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 300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he end 301 of the cap 300 may be clogged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 300 may be consta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1 You do not have to do.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 즉 봉재(211)의 갈고리(222, 223)가 세포 채취 부재(212)의 구멍(249, 250)에 진입하여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캡(300)의 단(302)으로 세포 채취 부재(212)가 삽입되도록 하여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캡(300)의 단(302)은 가압부(224, 225)의 선단측(캡(300)의 단(302)과 대향하는 쪽)의 단면(251, 252)과 맞닿는다. 단면(251, 252)은 봉재(211)의 중심선(102)과 거의 직교하는 평면이며,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302)측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면(251, 252)이 캡(30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치수는 가압부(224, 225)가 중심선(102)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가령 가압부(224, 225)가 중심선(102)쪽으로 가압된 상태라도 단면(251, 252)은 캡(300)의 단(302)측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다.50, the state i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s mounted on the bar stock 211, that is, the hooks 222, 223 of the bar stock 211 are inserted into the holes 249, 250 of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he cap 300 is inserted into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by insert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into the end 302 of the cap 300 while being fitted. The end 302 of the cap 300 abuts against the end faces 251 and 252 on the tip end side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the side facing the end 302 of the cap 300). The end faces 251 and 252 are plane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102 of the rod 211 and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300 of the cap 300 mounted on the cell harvester 210 . The dimension at which the end faces 251 and 252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300 is greater than the dimension at which the pushing portions 224 and 225 can press toward the center line 102. [ The end faces 251 and 252 protrude outward beyond the outer circumferential face on the end 302 side of the cap 300 even when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pressed toward the center line 102. [

캡(300)의 단(302)이 단면(251, 252)보다 봉재(211)의 기단측(도 50에서의 우측)까지 삽입되지 않으므로,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될 때에 가압부(224, 225)가 캡(300)의 내부 공간에 밀어넣어져서 중심선(102)쪽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지 않는다. 즉,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에서 빠진 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서 분리될 때에 불시에 캡(300)과 함께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빠지는 경우가 없다.Since the end 302 of the cap 300 is not inserted to the base end side (right side in FIG. 50) of the rod member 211 than the end faces 251 and 252, the cap 300 is mounted on the cell-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push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p 300 and are not pressed toward the center line 102. [ That is, when the cap 300 is mounted on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the hooks 222 and 223 are not removed from the holes 249 and 250. Thereby, when the cap 300 is separated from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the cell harvesting member 212 together with the cap 300 does not unintentionally escape from the bar stock 211.

또한,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이 중심선(102)에 대하여 외측이 내측보다 봉재(211)의 선단측(캡(300)의 단면(302)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되어 있으면 캡(300)의 단(302)이 단면(251, 252)을 타고 넘어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As shown in Fig. 51, the end faces 251 and 252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formed so that the outer side relative to the center line 102 is closer to the tip end side of the rod material 211 The end 302 of the cap 300 rides over the end faces 251 and 252 and is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advancing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bar stock 211. As a result,

또한,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을 캡(300)의 단면(302)과 맞닿게 하지 않아도 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지 않은 봉재(211)의 선단측, 즉 가압부(224, 225)와는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90° 위상이 다르고, 또한 단면(251, 252)보다 봉재(211)의 선단측에 봉재(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53, 254)를 설치해도 된다. 볼록부(253, 254)는 캡(300)의 단부(302)측의 외주면보다 봉재(2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면(302)은 볼록부(253, 254)와 맞닿아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보다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볼록부(253, 254)는 어느 한쪽만이 봉재(211)에 설치되어도 된다.As shown in Fig. 52, even when the end faces 251 and 252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re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face 302 of the cap 300, The rod 211 is shifted in phase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2 from the distal end side of the rod 211, that is, the pushing portions 224 and 225, and the rods 211 are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rod 211 rather than the end faces 251 and 252, The protrusions 253 and 254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252 may be provided. The convex portions 253 and 254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302 side of the cap 300 to the outside of the rod member 211. The end face 302 of the cap 300 mounted on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is in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s 253 and 254 so that the end faces 251 and 252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nd therefore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Further, only one of the convex portions 253 and 254 may be provided on the rod member 211. [

또한,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을 캡(300)의 단면(302)과 맞닿게 하지 않아도 가압부(224, 225)보다 봉재(211)의 선단측에 봉재(211)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상의 플랜지(255)를 설치해도 된다. 플랜지(255)는 캡(300)의 단(302)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봉재(2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면(302)은 플랜지(255)의 선단측의 면과 맞닿아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으로부터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플랜지(255)는 반드시 봉재(211)의 중심선(102) 둘레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중심선(102) 둘레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53, the end surfaces 251 and 252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may b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surface 302 of the cap 300, An annular flange 255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member 211 may be provid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rod member 211. [ The flange 255 protrudes outwardly of the bar stock 211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cap 300 on the side of the end 302. The end face 302 of the cap 300 attached to the cell sampling device 210 is in contact with the face on the side of the tip end of the flange 255 and is pressed against the end face 251 of the pressing portion 224, Since it does not advance to the base end side of the base plate 211,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The flange 255 may be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enter line 102 without being necessarily provided continuously around the center line 102 of the rod material 211.

또한, 도 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을 캡(300)의 단면(302)과 맞닿게 하지 않아도 가압부(224, 225)로부터 봉재(211)의 선단측으로, 봉재(211)의 외경이 캡(300)의 단부(302)측의 외경보다 커지는 대경부(256)를 설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면(302)은 대경부(256)의 선단측의 면과 맞닿아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으로부터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대경부(256)는 반드시 봉재(211)의 중심선(102) 둘레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중심선(102) 둘레의 일부에만 볼록부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54, even if the end faces 251 and 252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do not come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302 of the cap 300, Diameter portion 256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 portion 302 of the cap 300 may be provided on the tip end side of the cap 300. [ The end face 302 of the cap 300 attached to the cell harvesting apparatus 210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56 and extends from the end faces 251 and 252 of the pressing portions 224 and 225 And does not advance to the base end side of the bar material 211, so that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56 may not necessarily be provided continuously around the center line 102 of the rod member 211 but may be provided as a convex portion only in a part around the center line 102.

10, 50, 70, 80, 110, 150 : 세포 채취 장치
11, 51, 81, 111, 151 : 관체
12, 52, 82, 112, 152 : 세포 채취 부재
13, 53, 83, 113, 153 : 조작부재
31 : 잠금부
42, 43, 92, 93 : 탄성편(변형부)
54, 154 : 홈(끼워맞춤부)
58, 158 : 볼록부(끼워맞춤부)
59, 159 : 나사구멍(나사결합부)
61, 161 : 수나사부(잠금부, 나사결합부)
72 : 걸어맞춤부(잠금부)
96 : 잠금부 114 : 잠금부재
210 : 세포 채취 장치 211 : 봉재
212 : 세포 채취 부재 220 : 걸어맞춤부
221 : 볼록부 222, 223 : 갈고리
224, 225 : 가압부 243 : 원통부
246 : 오목부 248 : 둘레벽
249, 250 : 구멍
10, 50, 70, 80, 110, 150: Cell harvesting device
11, 51, 81, 111, 151:
12, 52, 82, 112, 152: cell harvesting member
13, 53, 83, 113, 153: operating member
31:
42, 43, 92, 93: Elastic piece (deformation part)
54, 154: groove (fitting portion)
58, 158: convex portion (fitting portion)
59, 159: Screw hole (threaded portion)
61, 161: Male threaded portion (locking portion, threaded portion)
72: engaging portion (locking portion)
96: locking portion 114: locking member
210: cell harvesting apparatus 211: sewing machine
212: cell harvesting member 220:
221: convex portion 222, 223: hook
224, 225: pressing portion 243: cylindrical portion
246: recess 248: circumferential wall
249, 250: hole

Claims (14)

제 1 단 및 제 2 단을 갖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 가능한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자세,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지 않는 해제자세로 상기 잠금부를 자세 변화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세포 채취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측이 조작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자세 변화시키는 것인 세포 채취 장치.
A tubular body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 cell harvesting member attachable to a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A locking part for hold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A lock position i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held on the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or a lock posture i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held in a disengaged posture in which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not mounted on the first end of the tubular body A cell harvesting apparatus having an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ed in the posture by operating the second end side while the opera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것인 세포 채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perat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채취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잠금부는 잠금자세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를 관체로 가압하는 것인 세포 채취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ell harvesting member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deformation portion,
Wherein the locking portion presses the deformed portion to the tubular body in the locking pos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잠금부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관체와 걸어맞추는 것인 세포 채취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eform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tubular body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lock port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의 제 2 단측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세포 채취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in a locking posture by being screwed to the tubular body at a second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의 제 2 단측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세포 채취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in a locking posture by being engaged with the tubular body at a second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관체가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에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를 갖는 세포 채취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fitting portion for fitt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tube body around a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so as not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and a screw coupling portion for screwing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Lt; / RTI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관체가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에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세포 채취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fitting portion for fitting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tubular body non-rotatably around virtual line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Lt; / RTI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의 상기 조작부재의 제 1 회전위치에서 잠금자세로 되어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걸어맞추어지고, 제 2 회전위치에서 해제자세로 되어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것인 세포 채취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engages with the cell harvesting member in a locking posture at a first rotational position of the operating member about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is not engaged with the harvesting member.
봉재 또는 세포 채취 부재의 일방에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해당 봉재의 선단에 해당 세포 채취 부재가 착탈 가능한 세포 채취 장치로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탄성적으로 자세 변화하는 갈고리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를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타방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 및 상기 갈고리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상기 원통부의 둘레벽에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의 상기 갈고리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가능한 구멍이 설치된 것인 세포 채취 장치.
A cell harvesting apparatus in which an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bar or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cell harvesting member is detachable at the tip of the bar harvesting material,
The engaging portion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 hook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elastically changing its posture from the engagement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And a pressing porti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is urged to change the posture from the engagement posture to the release posture,
On the other side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 cylindrical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and the hook are insertable into the inner space,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can be inserted,
And a hole is provided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a hole is formed in the engaging posture in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engageab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구멍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세포 채취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air of hooks,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hole are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or the cell harvesting member,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disposed on the center lin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는 세포 채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bar materi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는 세포 채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convex portion is provided in the bar material.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며, 상기 봉재의 선단에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테이퍼면이 상기 오목부에 압접하는 세포 채취 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Wherein the convex portion has a tapered shape tapering toward the tip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cell colle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bar material.
KR1020157035011A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KR102292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6281A KR102351823B1 (en)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9667 2013-05-24
JP2013109667 2013-05-24
JPJP-P-2013-109670 2013-05-24
JP2013109670 2013-05-24
PCT/JP2014/063706 WO2014189130A1 (en)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281A Division KR102351823B1 (en)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157A true KR20160012157A (en) 2016-02-02
KR102292694B1 KR102292694B1 (en) 2021-08-23

Family

ID=519336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281A KR102351823B1 (en)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KR1020157035011A KR102292694B1 (en)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281A KR102351823B1 (en) 2013-05-24 2014-05-23 Cell collection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65534B2 (en)
KR (2) KR102351823B1 (en)
WO (1) WO201418913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562B (en) * 2016-08-30 2023-12-12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Retracting type head pressing type disposable hemostix
SE540914C2 (en) * 2017-03-10 2018-12-18 Aprovix Ab A self-sampling device for vaginal fluid collection
CN107811657B (en) * 2017-11-23 2024-06-04 北京海普威生物技术有限公司 Cervical cell sampling brush
KR102009522B1 (en) * 2019-02-21 2019-08-09 (주)바이오다인 collection device of exfoliative cells for womb screening
EP4308006A1 (en) * 2021-03-18 2024-01-24 Bernard-Marie Chaffringeon Breakable swab applicator for use with a sampling cloth and a swab kit
CN114209365B (en) * 2021-12-22 2023-06-23 湖南港湾科学仪器有限公司 Painless and noninvasive collector for biliary tract and pancreatic duct cell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0320A (en) 1988-05-10 1992-01-23 ストルムビ,ニルス Bru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0947164A1 (en) * 1998-04-01 1999-10-06 Smith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Gynaecological samplers
KR20060103768A (en) * 2005-03-28 2006-10-04 (주)메드멕스 Brush for liquid based cytology of cervix carcinoma
JP2008534005A (en) * 2005-03-28 2008-08-28 メディメ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Tumor screening system, collection vial for liquid cytology (LBC), brush for cervical cancer liquid cytology (LBC), and supporting solution for cytology
WO2011021931A1 (en) * 2009-08-21 2011-02-24 Rovers Holding B.V.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120157878A1 (en) * 2009-08-28 2012-06-21 Arx Tech Llc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CN107920809A (en) * 2015-08-10 2018-04-17 索罗赛尔有限公司 For the Medical Devices being sampled to cervical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0983A1 (en) * 2004-03-03 2005-09-22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Device for taking and smearing cells
US20050277846A1 (en) * 2004-06-09 2005-12-15 Chun-Shan Chou Cervical tissue sampling device
EP2263552A1 (en) * 2009-06-17 2010-12-22 Switch bvba Snap-release cell coll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0320A (en) 1988-05-10 1992-01-23 ストルムビ,ニルス Bru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0947164A1 (en) * 1998-04-01 1999-10-06 Smith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Gynaecological samplers
KR20060103768A (en) * 2005-03-28 2006-10-04 (주)메드멕스 Brush for liquid based cytology of cervix carcinoma
JP2008534005A (en) * 2005-03-28 2008-08-28 メディメ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Tumor screening system, collection vial for liquid cytology (LBC), brush for cervical cancer liquid cytology (LBC), and supporting solution for cytology
WO2011021931A1 (en) * 2009-08-21 2011-02-24 Rovers Holding B.V.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120157878A1 (en) * 2009-08-28 2012-06-21 Arx Tech Llc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CN107920809A (en) * 2015-08-10 2018-04-17 索罗赛尔有限公司 For the Medical Devices being sampled to cervical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9130A1 (en) 2014-11-27
JPWO2014189130A1 (en) 2017-02-23
KR20210066943A (en) 2021-06-07
JP6365534B2 (en) 2018-08-01
KR102292694B1 (en) 2021-08-23
KR102351823B1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157A (en) Cell collection device
US8043318B2 (en) Push-button lance device and method
JP6612222B2 (en) Biopsy sampler and sample collector
AU721815B2 (en) Needle holder for fluid collection and/or injection system
EP1790287B1 (en) Centesis instrument
US8152826B2 (en) Lancet device
EP0115388A1 (en) Blood sampling instrument
US20070083222A1 (en) Lancet device, removal system for lancet device, and method
EP2881055A1 (en) Rod insertion device for inserting a rod into a bone anchor, in particula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WO2018224046A1 (en) Blood-taking needle with automatic needle retraction
BR112012031043B1 (en) TOOL TO COLLECT ANIMAL TISSUE SAMPLE
US20090216154A1 (en) Automatically retractable safety blood sampler
US20130165815A1 (en) Insertion Device for Providing Fine Needle Aspiration and Core Biopsy
CN102028480A (en) Improved safe and convenient disposable automatic blood taking needle
US20150005670A1 (en) Safety blood lancet device
CN107811657B (en) Cervical cell sampling brush
EP3592244A1 (en) A self-sampling device for vaginal fluid collection
CN203609428U (en) Disposable hemostix
US9861345B2 (en) Skin tissue biopsy device
EP0031228A1 (en) Instrument for collecting tissue cells
EP4278972A1 (en) Replacement-type blood-collecting device
CN109394243B (en) Hemostix capable of being used by single hand
US20110288490A1 (en) Enveloping needle stick protection device
CN103549964A (en) Disposable hemostix
KR100923778B1 (en) Safe lanc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