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096A -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096A
KR20160012096A KR1020150104640A KR20150104640A KR20160012096A KR 20160012096 A KR20160012096 A KR 20160012096A KR 1020150104640 A KR1020150104640 A KR 1020150104640A KR 20150104640 A KR20150104640 A KR 20150104640A KR 20160012096 A KR20160012096 A KR 2016001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base station
congested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영조
김준우
박윤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6001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은 다중 빔 중에서 설정된 임계 수치보다 많은 수의 단말이 위치한 혼잡한 빔 내의 단말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면, 혼잡한 빔의 주변에 여유 자원을 가진 한적한 빔 내의 단말들 중 상기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릴레이 단말에게 각각 상기 혼잡한 빔과 한적한 빔의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단말에게 상기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추가적으로 할당한 후, 상기 릴레이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명령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단말과 통신할 것을 지시한다.

Description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CCESS BASED ON MULTIPLE BEAMS}
본 발명은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중 빔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 형성 기술은 기지국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각 단말과 각기 다른 빔으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한된 주파수 대역과 시간 슬롯에서 최대의 전송율을 얻는 기술이다. 최근 3D 빔 형성 기술 및 매우 좁은 빔 폭의 빔 형성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다중 빔에 기반한 전송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신호 송수신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다수의 단말이 다중 빔 기술을 기반으로 동일 주파수 대역과 동일 시간 슬롯을 공유하며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같은 빔에 속한 다수의 단말들은 시간 혹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할된 직교 코드들을 할당 받음으로써 기지국과 통신한다. 따라서, 같은 빔에 속한 단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각 단말이 할당 받을 수 있는 시간 혹은 주파수 영역의 자원이 한정되어 단말들에게 서비스되는 전송 용량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기술에서는 빔간 단말들의 밀도 차이에 의해 전체 시스템 용량이 저하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빔간 단말들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체 시스템 용량 저하를 극복할 수 있는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빔을 운영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은 상기 다중 빔 중에서 설정된 임계 수치보다 많은 수의 단말이 위치한 혼잡한 빔 내의 단말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혼잡한 빔의 주변에 여유 자원을 가진 한적한 빔 내의 단말들 중 상기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상기 릴레이 단말에게 각각 상기 혼잡한 빔과 상기 한적한 빔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상기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추가적으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단말과 통신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이 한적한 빔에 있는 여유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 한적한 빔에 속한 단말을 릴레이로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전송 용량을 증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빔간 단말들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체 시스템 용량 저하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빔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한적한 빔에 속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o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빔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다중 빔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복수의 단말(210~29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셀 내 다중 빔(B1~B5)을 운용한다. 다중 빔(B1~B5)은 각각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기지국(100)은 각 빔(B1~B5)에서 사용할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100)은 각 빔(B1~B5) 내 단말의 수에 따라 할당할 자원이 부족한 혼잡한 빔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기지국(100)은 각 빔(B1~B5) 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토대로 각 빔(B1~B5)이 혼잡한 빔인지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설정된 제1 임계 수치보다 많은 단말이 존재하여 할당할 자원이 부족한 빔을 혼잡한 빔으로 판단할 수 있고, 설정된 제2 임계 수치 이하의 단말이 존재하여 할당할 자원이 여유로운 빔을 한적한 빔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임계 수치와 제2 임계 수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제1 임계 수치가 제2 임계 수치보다 큰 값일 수도 있다.
기지국(100)은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면, 혼잡한 빔의 주변 빔 중에서 한적한 빔을 검색하고, 한적한 빔 내에서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을 선택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에게 한적한 빔의 자원을 할당하고,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에게 혼잡한 빔의 자원을 할당하고, 추가적으로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할당한다. 혼잡한 빔의 경우,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에게 할당할 자원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에게 추가적으로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할당한다.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은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을 통해서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은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과 기지국(100) 사이에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과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은 서로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B3)의 영역에는 4개의 단말(240, 250, 260, 270)이 속해 있다. 이에 비해 빔(B1)의 영역에는 1개의 단말(210)이 속해 있고, 빔(B2)의 영역에는 2개의 단말(220, 230)이 속해 있으며, 빔(B4)의 영역에는 1개의 단말(280)이 속해 있고, 빔(B5)의 영역에도 1개의 단말(290)이 속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빔(B3)은 혼잡한 빔으로 판단될 수 있고, 빔(B3)에 비해 다른 빔(B1, B2, B4, B5)은 한적한 빔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100)이 빔(B3)에 속해 있는 단말(240, 260, 270)로부터 각각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면, 각 빔(B1~B5) 내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빔(B3) 주변의 한적한 빔(B1, B2, B4)에서 각 단말(240, 260, 270)을 위해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 230, 280)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210, 230, 280)에게 각각 단말(240, 260, 270)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명령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단말(240, 260, 270)에 대해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 230, 280)에게 각각 한적한 빔(B1, B2, B4)의 자원을 할당하고, 각각의 단말(240, 260, 270)에게 한적한 빔(B1, B2, B4)의 여유 자원을 추가적으로 할당한다.
한적한 빔에 속한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 230, 280)은 각각 릴레이의 대상 단말인 단말(240, 260, 270)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하고,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240, 260, 270)은 각각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 230, 280)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한다. 이때 기지국(100)은 기지국(100)과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 230, 280), 기지국(100)과 자원 할당을 요청한 혼잡한 빔의 단말(240, 260, 270), 릴레이 단말(210, 230, 280)과 자원 할당을 요청한 혼잡한 빔의 단말(240, 260, 270) 사이의 빔들이 충분한 각도로 떨어져 있도록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 230, 28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을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100)은 각 빔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빔별 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S202). 빔별 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에는 단말이 위치해 있는 빔 식별자, 통신이 가능한 주변 단말의 식별자 및 방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00)은 각 빔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빔 중에서 혼잡한 빔과 한적한 빔을 확인한다(S204).
기지국(100)은 혼잡한 빔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혼잡한 빔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전송하고(S206), 한적한 빔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한적한 빔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전송한다(S208).
이후, 기지국(100)은 단말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면(S210),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이 혼잡한 빔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한다.
기지국(100)은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240)이 혼잡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3)에 위치해 있는 경우(S212), 혼잡한 빔 주변에 한적한 빔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14).
기지국(100)은 혼잡한 빔 주변에 한적한 빔이 존재하면, 한적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1)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에서 릴레이로 동작할 하나의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210)을 선택하고(S216), 선택된 단말(210)에게 한적한 빔(B1)의 자원을 할당하고(S218), 선택된 단말(210)에게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240)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명령한다(S220). 이때 명령에는 혼잡한 빔(B3)에 위치한 단말(240)의 식별자, 단말(240)의 방향 정보와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240)에게 단말(240)이 속한 빔 (B5)의 자원뿐만 아니라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할당하고(S222),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한 단말(240)에게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의 정보와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함으로써(S224),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과 통신할 것을 지시한다. 이때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의 정보는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의 식별자와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290)이 한적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5)에 위치하는 경우,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290)에게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290)이 속한 빔(B5)의 자원을 할당한다(S226).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혼잡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3)에 속한 단말(예를 들면, 24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혼잡한 빔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한다(S302).
단말(24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혼잡한 빔(B3)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파일럿 신호를 전방위의 다중빔을 통해 전송한다(S304).
단말(240)은 혼잡한 빔(B3)의 주변에 한적한 빔에 속한 단말로서 릴레이로 동작할 능력을 가진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추가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없다. 반면, 혼잡한 빔(B3) 주변의 한적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1)에 릴레이로 동작할 능력을 가진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210)이 존재한다면, 단말(24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40)이 속한 빔의 자원과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추가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다. 단말(24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 받은 자원 정보와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의 정보를 수신한다(S306).
단말(240)은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하고(S308),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송수신 빔을 통해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과 통신을 수행한다(S310).
그리고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210)은 단말(240)과 기지국(100) 사이에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한적한 빔에 속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한적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1)에 속해 있는 단말(210)은 전방위의 다중 빔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면(S402), 수신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의 식별자와 방향 정보를 확인한다(S404).
단말(210)은 통신 가능한 단말의 식별자와 방향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100)에 보고한다(S406). 단말(210)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보고 요청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단말의 식별자와 방향 정보를 확인하고, 통신 가능한 단말의 식별자와 방향 정보를 기지국(100)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21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혼잡한 빔(예를 들면, 도 1의 B3)에 속한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240)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면(S408), 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자원 할당 정보와 혼잡한 빔(B3)에 속해 있는 단말(240)의 식별자 및 방향 정보를 확인한다.
단말(21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혼잡한 빔(B3)에 속해 있는 단말(240)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하여 단말(240)과 기지국(100) 사이에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한다(S410~S412).
한편, 단말(21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릴레이로 동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500)는 프로세서(510), 송수신기(52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한다.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500)는 기지국(10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각 빔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수집된 빔별 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를 토대로 한적한 빔과 혼잡한 빔을 확인하고, 혼잡한 빔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송수신기(520)를 통해 혼잡한 빔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전송하고, 한적한 빔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송수신기(520)를 통해 한적한 빔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프로세서(510)는 각 빔에 속한 단말들에게 각 빔의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프로세서(510)는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한 단말이 혼잡한 빔에 위치해 있는 경우, 혼잡한 빔 주변에 한적한 빔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한적한 빔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에서 릴레이로 동작할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선택된 단말에게 자원 할당을 요청한 혼잡한 빔의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명령한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선택된 단말이 속한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자원 할당을 요청한 혼잡한 빔의 단말에게 추가적으로 할당한다. 프로세서(510)는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이 한적한 빔에 위치하는 경우,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이 위치한 빔의 자원을 할당한다.
송수신기(520)는 각 빔에 속한 단말들과 신호 및 메시지 등을 송수신한다. 송수신기(520)는 각 빔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빔별 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에게 자원 할당 정보와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기(520)는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에게 자원 할당 정보와 릴레이의 대상 단말인 혼잡한 빔에 위치한 단말의 정보를 전송한다.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하며,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3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와 메모리(530)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송수신기(520)가 연결되며,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저장 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600)는 프로세서(610), 송수신기(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장치(500)는 단말(210~29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기지국으로부터 혼잡한 빔에 속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파일럿 신호를 전방위의 다중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송수신기(62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610)는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하고,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릴레이의 대상 단말인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의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형성한다.
송수신기(620)는 하나 또는 여러 기지국과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기(620)는 파일럿 신호를 전방위의 다중빔을 통해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송수신기(620)는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610)에 의해 형성된 송수신 빔을 통해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송수신기(620)는 릴레이로 동작할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혼잡한 빔에 속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610)에 의해 형성된 송수신 빔을 통해 혼잡한 빔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하며,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3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와 메모리(630)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송수신기(620)가 연결되며,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저장 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다중 빔을 운영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 빔 중에서 설정된 임계 수치보다 많은 수의 단말이 위치한 혼잡한 빔 내의 단말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혼잡한 빔의 주변에 여유 자원을 가진 한적한 빔 내의 단말들 중 상기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상기 릴레이 단말에게 각각 상기 혼잡한 빔과 상기 한적한 빔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상기 한적한 빔의 여유 자원을 추가적으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단말과 통신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KR1020150104640A 2014-07-23 2015-07-23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60012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3552 2014-07-23
KR1020140093552 2014-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96A true KR20160012096A (ko) 2016-02-02

Family

ID=5535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640A KR20160012096A (ko) 2014-07-23 2015-07-23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0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3301985B1 (en)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9571177B2 (en) Communication method of macro base station, macro terminal, micro base station, and micro terminal for interference control in hierarchical cellular network
JP56474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中継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05554916A (zh) 通信网络中的分布式天线系统
US861191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resource of femto base station for protecting interference victim terminal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among femto base stations
WO2020031592A1 (ja) 通信装置
CN104137613A (zh) 使用扩展的封闭订户群接入的家庭基站管理
KR10238291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CN103249134A (zh) 小区间上行干扰的协调方法及系统
US9538387B2 (en) Radio resource assignment coordination in superdense networks
JP6101473B2 (ja)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102017175B1 (ko) 인-밴드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간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1969644B (zh) 资源分配方法及设备
KR101980132B1 (ko) 기지국간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EP33467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cell resources of a device to device system
KR102130015B1 (ko) HetNet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2096A (ko) 다중 빔 기반 다중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1843186B1 (ko) 제어 채널의 간섭을 관리하는 시스템
CN114631392A (zh) 在无线电接入技术之间切换数据传输以进行早期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KR101600955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JP569755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高電力基地局、低電力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20230119096A1 (en) Multiple donor supported directional repeater
US11432173B2 (en) Radio scanner mounted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ructure
CN108810926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