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843A - Cabinet for Electric Device - Google Patents

Cabinet for Electr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843A
KR20160011843A KR1020140093012A KR20140093012A KR20160011843A KR 20160011843 A KR20160011843 A KR 20160011843A KR 1020140093012 A KR1020140093012 A KR 1020140093012A KR 20140093012 A KR20140093012 A KR 20140093012A KR 20160011843 A KR20160011843 A KR 20160011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frame
exhaust
ai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영
유성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843A/en
Publication of KR2016001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8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In a cabinet for an electronic device which includes a body which has air suction ports in a front part, at least duct unit which i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body and is arrang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nner part of the body; and a fan unit which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exhausts the ai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the cabinet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n air suction frame which is formed at the end part of the air suction port; and an exhaust frame which has the exhaust hole formed in an upper part.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캐비닛 {Cabinet for Electric Device}Cabinet for Electric Device {Cabinet for Electric Device}

본 실시예는 전기 전자 통신장비를 보호하고 효과적으로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abinet structure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ed for protecting and effectively installing electric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일반적으로 전기, 전가 및 통신장비 등을 수납하는 패널형 캐비닛은 내부에 랙 방식으로 다양한 전장품들을 탑재한다. 전장품들에서 발생되는 열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부면 또는 측벽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공기배출구를 통해 열이 포함된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수록 열 배출에 유리하기 때문에, 팬 등을 이용하여 공기 흐름을 강제로 만들어 줄 수 있으며, 별도의 공기유로 등을 형성하기도 한다.In general, panel cabinets that store electricity, passeng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are equipped with various electric equipments in a rack type inside. At least one air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wall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ic components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side the cabinet containing the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As the air flow is more smooth, it is advantageous for the heat dischar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air flow by using a fan or the like, or to form a separate air flow path or the like.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전면부 등에 설치된 공기 유입구와 상부에 달린 팬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시스템 내부로 흐르게 하여 발열부품들을 강제 냉각하였으나, 발열부품의 위치가 캐비닛의 후면 등에 배치될 경우 충분한 냉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냉각 팬 유닛이 설치된 상부면이나, 외부의 공기가 직접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부근의 경우에는 냉각이 쉽지만,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기 않은 캐비닛 후면 등에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잘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발열부품들이 충분히 냉각되지 못할 경우, 발열부품의 후면부의 온도는 안전 온도 기준보다 상승하게 되어 전체 시스템의 운전 및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lated art, the air inlet provided in the front part or the like and the fan unit mounted on the upper part are used to flow the outside air into the system to forcibly cool the heat generating parts. However, when the positions of the heat generating parts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There is a problem that cooling is difficult. That is, in the case of the upper surface provided with the cooling fan unit or in the vicinity of the air inlet where the outside air directly flows, cooling is easy, but relatively cool air can not flow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to be. If the heat-generating components can not be sufficiently cooled, the temperature of the rear portion of the heat-generating component may rise above the safe temperature reference, which may cause problems in operation and reliability of the entire system.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8-0063021호(1998.11.16.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63021 (published on November 16, 1998)

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되는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양호하게 방출할 수 있으며,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이 국부 발열부품을 지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자기기의 캐비닛을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cabinet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equipment housed therein can be well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flow for cooling can pass through the local heating component.

전면부에 복수 개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흡기공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배출공은 상기 몸체 내부의 후면부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유닛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캐비닛은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흡기공이 단부에 형성되는 흡기 프레임; 및 상기 배출공이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duct unit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duct units dispos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air holes are disposed i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The cabine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unit comprises an intake frame formed with the intake holes at the ends thereof, and a fan unit for exhausting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And an exhaust frame on which the exhaust hole is formed; And a control unit.

상기 덕트유닛은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며, 각각의 덕트유닛들은 일정한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duct units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nd each of the duct units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상기 덕트유닛은 한 쌍의 흡기 프레임이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흡기 프레임의 흡기공의 타단은 상기 배기 프레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uct unit may have a pair of intak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end of the intake hole of the pair of intake frames may be connected to the exhaust frame.

상기 흡기 프레임과 배기 프레임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intake frame and the exhaust frame may be vertically connected.

상기 흡기 프레임과 배기 프레임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intake frame and the exhaust frame may have a cross section of any one of a quadrangle, a circle, a triangle, and a polygon.

상기 배기 프레임의 배출공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xhaust hole of the exhaust frame may have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a triang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상기 배기 프레임의 배출공은 몸체의 후벽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exhaust hole of the exhaust fram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body.

국부 발열부품에도 외부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external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local heat generating compon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component.

또한, 덕트 구성을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로 사용할 경우,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the duct structure is used as the frame member constituting the cabinet,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adding any additional configuration.

또한, 덕트 내부에 별도의 공기순환용 소형 팬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보다 원활하게 공기순환을 도모할 수도 있다.
Further, when an additional small air circulation fan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duct, the air circul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캐비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덕트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덕트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덕트유닛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배기 프레임 및 배출공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binet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shapes of an exhaust frame and an exhaust hole applicable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캐비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덕트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덕트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덕트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배기 프레임 및 배출공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pply duc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S.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s of the exhaust frame and the exhaust hole applicable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캐비닛은 몸체(10), 덕트유닛(100) 및 팬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abine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10, a duct unit 100, and a fan unit 200.

몸체(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에 금속 재질의 패널을 연결하여 상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는 복수 개의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흡입구(11)는 일정 면적의 사각형은 물론, 슬릿형태, 매쉬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11)에는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필터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오픈된 형태의 통공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dy 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by connecting a metal panel to a plurality of frames. A plurality of air intake openings 11 may b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The air intake openings 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lit shape or a mesh shape as well as a squar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 air inlet 11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unit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may be provided with an open-type through-hole.

덕트유닛(100)은 흡기공(101)을 가지는 제 1 흡기 프레임(111)과 배출공(150)을 가지는 제 1 배기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유닛(100)의 상기 흡기공(101)은 몸체(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공(150)은 몸체(10) 내부의 후면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유닛(100)의 구성은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uct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intake frame 111 having an intake hole 101 and a first exhaust frame 112 having an exhaust hol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ake hole 101 of the duct unit 100 can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exhaust hole 150 can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body 10 . The construction of the duct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팬 유닛(20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 유닛(20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1개가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10)의 측벽 또는 후벽면 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바닥면 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an uni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o forcibly discharge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fan units 200 may be provid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one fan unit 20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or rear wall side of the body 10, or on the bottom side, although not show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유닛(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흡기 및 배기 프레임(111)(11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ct unit 100 may include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frames 111 and 112 as described above.

제 1 흡기 프레임(111)은 흡기공(101)이 단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흡기공(101)은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흡기공(101)은 몸체(10)의 측벽 또는 바닥면 등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곳이든 배치 가능하다.The first intake frame 111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intake hole 101. The intake hole 101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intake hole 101 can be disposed at any position where external air such as a side wall or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can be sucked.

제 1 흡기 프레임(111)은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1 흡기 프레임(111) 한 쌍이 각각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기공(101)의 타단은 상기 제 1 배기 프레임(112)과 연결될 수 있다. At least one pair of the first intake frames 111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2, a pair of the first intake frames 111 having the same shape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 The other end of the intake hole 10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frame 112.

제 1 흡기 프레임(111)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삼각형 또는 다각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흡기 프레임(111)의 형상은 전장 부품의 형태나 기타 설계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first intake frame 111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y may be formed in a general rectangular frame shape as shown in FIGS. 2 to 4, or in a circular pipe shape as shown in FIGS. 5 to 7.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triangular or polygonal frame, though not shown. The shape of the first intake frame 111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other design factors.

제 1 배기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흡기 프레임(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흡기 프레임(111)의 양 단을 연결하여, 상기 흡기공(10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전달 받아, 상기 배출공(150)을 통해 토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흡기 프레임(111)이 사각형태의 파이프 구조라면, 상기 제 1 배기 프레임(112) 역시 대응되는 사각형태의 파이프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exhaust frame 112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ake frame 111 and connects both ends of the first intake frame 111 to connec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take hole 101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0. For example, if the first intake frame 111 is a square pipe structure, the first exhaust frame 112 may also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rectangular pipe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흡기 프레임(111)과 제 1 배기 프레임(112)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유로를 간단하게 구성해야 프레임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유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take frame 111 and the first exhaust frame 112 may be vertically connected. Accordingly, it can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need.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simply configure the flow path to maintain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rame, it is preferable to have a flow path of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as much as possible.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유닛(100)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며,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내지 제 3 흡기 프레임(111)(121)(131)과 제 1 내지 제 3 배기 프레임(112)(122)(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들은 일정한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복수 개의 전장 부품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경우로서, 제 1 내지 제 3 흡기공(101)(102)(103)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공(150)은 전장부품들 중 후벽면에 근접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열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1 and 2, the duct units 100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first to third intake frames 111 (first and second intake frames) 121) 131 and first to third exhaust frames 112, 122, 132, and each of the frames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arts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first to third intake holes 101, 102, and 103 suck the outside air,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ntensively injecting air to a portion close to the rear and rear wall surfaces.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기 프레임 내지 제 3 흡기 프레임(111)(121)(131)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배기 프레임(112)(122)(132)도 같은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흡기 프레임(111)과 제 2 흡기 프레임(121)은 제 1 연결 덕트(141)로 연통되고, 제 2 흡기 프레임(121)과 제 3 흡기 프레임(131)은 제 2 연결 덕트(142)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결 덕트(141)(142)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to third intake frames 111, 121 and 131 may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heights at regular intervals, (112) 122 and 132 may be arranged to have the same height difference. At this time, the first intake frame 111 and the second intake frame 121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nnection duct 141, and the second intake frame 121 and the third intake frame 131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nnection duct 141 142).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ducts 141 and 142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nd a pair of the connecting ducts 141 and 142 may be provided.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100)은 한 쌍의 제 1 흡기 프레임(111)만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 1 흡기 프레임(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배기 프레임(111)(11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2단으로 전장 부품들이 설치되는 경우로서, 최소한의 개수로 형성된 제 1 흡기공(101) 만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함이다.3, the duct unit 100 includes only a pair of the first intake frames 111,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take frames 111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rames 111 and 112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case, the electric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wo stages, and the air is sucked by sucking the outside air through only the first number of the first intake holes 101 formed in the minimum number.

또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와 같이, 덕트유닛(100)을 제 1 및 제 2 흡기 프레임(111)(121)으로 구성하면서, 제 1 및 제 2 흡입공(101)(102)을 통해 각각의 전장 부품의 발열원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duct unit 100 may be constituted by the first and second intake frames 111 and 121, and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holes 101 and 102, The heat source of each electric component can be cooled.

한편, 제 1 배기 프레임(112)의 배출공(150)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exhaust hole 150 of the first exhaust frame 112 may have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a triang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기 프레임(111)이 원형일 경우, 제 1 배기 프레임(112)도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배출공(150)은 사각 형상의 통공으로 마련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50)은 원형으로 마련할 수도 있는데 3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복수 개를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5, when the first intake frame 111 is circular, the first exhaust frame 112 may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At this time, the exhaust hole 1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air can be introduc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the discharge holes 15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ree of which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r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holes 150 may be closely arrang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팬 유닛(200)에 의해 강제로 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캐비닛 내부는 외부에 비해 낮은 기압을 형성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입공(101)(102)(103)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air inside the cabinet is forci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an unit 200, the inside of the cabinet forms a lower air pressure than the outside, and the first to third suction holes 101 (102) and (103).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입공(101)(102)(103)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배출공(150)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배출공(150)은 전장품들 중 발열원이 밀집 배치되는 캐비닛 후면 부분에 배치되므로, 이 부분에서의 공기 유동량을 증가시켜 열 대류에 따른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ir suck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suction holes 101, 102 and 10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0. The discharge hole 150 is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amount of air flow at this portion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heat convection.

특히, 발열원 부근에 직접 상대적으로 시원한 공기를 집중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장 부품의 과열로 인한 기기 오작동 발생 등을 차단할 수 있으며,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cool air can be concentratedly supplied directly to the vicinity of the heat sou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 due to overheating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binet.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다 강력한 쿨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기 프레임(111)(121)(131)이나 제 1 내지 제 3 배기 프레임(112)(122)(132)의 내부에 별도의 팬 유닛을 추가로 설치하여 강제로 공기 대류를 형성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intake frames 111, 121, 131, and the first to third exhaust frames 112, 122, 1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through third intake frames 121, A separate fan un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to form forced air convectio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덕트유닛(100)은 전장품을 설치하기 위한 앵글 또는 받침대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나, 필요할 경우 앵글 받침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uct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eparately formed from an angle or a pedestal for installing electrical components, but it may also function as an angle pedestal if necessary.

또한, 덕트유닛(100)의 외부면에 흡입된 공기의 온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단열 수단을 강구할 수도 있고, 냉각수 등이 통과하는 이중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중 파이프 구성은 공지영역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eparate heat insula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unit 100 from dropping or a double pipe type in which cooling water or the like passes. Since the double pipe structure is a description of a known are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몸체 100; 덕트유닛
101; 제 1 흡기공 102; 제 2 흡기공
103; 제 3 흡기공 111; 제 1 흡기 프레임
112; 제 1 배기 프레임 121; 제 2 흡기 프레임
122; 제 2 배기 프레임 131; 제 3 흡기 프레임
132; 제 3 배기 프레임 150; 배출공
200; 팬 유닛
10; Body 100; Duct unit
101; A first intake hole 102; The second intake hole
103; A third intake hole 111; The first intake frame
112; A first exhaust frame 121; The second intake frame
122; A second exhaust frame 131; The third intake frame
132; A third exhaust frame 150; Discharge hole
200; Fan unit

Claims (5)

전면부에 복수 개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흡기공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배출공은 상기 몸체 내부의 후면부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유닛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흡기공이 단부에 형성되는 흡기 프레임; 및
상기 배출공이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 프레임; 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
At least one duct unit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duct units dispos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air holes are disposed i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a fan unit for discharging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the cabinet comprising:
The duct unit includes:
An intake frame formed at an end of the intake hole; And
An exhaust frame formed above the exhaust hole; The cabinet of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며,
각각의 덕트유닛들은 일정한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ortions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 cabinet of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each duct unit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dif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한 쌍의 흡기 프레임이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흡기 프레임의 흡기공의 타단은 상기 배기 프레임으로 연결된 전자기기의 캐비닛.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intake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end of the intake hole of the pair of intake frames is connected to the exhaust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프레임과 배기 프레임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take frame and the exhaust frame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프레임과 배기 프레임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배기 프레임의 배출공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캐비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ake frame and the exhaust frame have a cross section of any one of a quadrangle, a circle, a triangle, and a polygon,
Wherein the exhaust hole of the exhaust frame has a shape of a rectangle, a circle, a triangle, or a polygon.
KR1020140093012A 2014-07-23 2014-07-23 Cabinet for Electric Device KR201600118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12A KR20160011843A (en) 2014-07-23 2014-07-23 Cabinet for Electr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12A KR20160011843A (en) 2014-07-23 2014-07-23 Cabinet for Electr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43A true KR20160011843A (en) 2016-02-02

Family

ID=5535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12A KR20160011843A (en) 2014-07-23 2014-07-23 Cabinet for Electr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8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78954T3 (en) Hot aisle containment cooling system and method
US20220035426A1 (en) Air directing device
US7525799B2 (en) Cabinet for electronic devices
CA2520878C (en) Cooling system for equipment and network cabinets and method for cooling equipment and network cabinets
CN102999127B (en) Server cabinet system
JP6578011B2 (en) Electronic hous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onic housing line and a coole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housing line
US20090061755A1 (en) Intake Duct
JP2008182233A (en) Switching cabinet for accepting inserting-type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with heat exchanger
TW201328560A (en) Rackable server system
SI3016558T1 (en) Temperature control cabinet
TW201642728A (en) Rack enclosure with perforations for cooling
CN102023683B (en) Server cabinet
KR10243720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ir-conditioning a cold aisle
JP6219174B2 (en) Electrical equipment
CN104679149B (en) Server
CN103841799A (en) Data center and cabinet thereof
CN102402256A (en) Server cabinet
KR20160011843A (en) Cabinet for Electric Device
JP61366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xhaust unit, and data center
KR101912684B1 (en) Cooling system for EMP rack
JP2015213628A (en) Kitchen apparatus
KR102403973B1 (en) Electric rice cooker having air discharging structure
TW201542075A (en) Container data center
JP6352608B2 (en) Cooling device and controller with cooling device
JP6786896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