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250A -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250A
KR20160011250A KR1020140091632A KR20140091632A KR20160011250A KR 20160011250 A KR20160011250 A KR 20160011250A KR 1020140091632 A KR1020140091632 A KR 1020140091632A KR 20140091632 A KR20140091632 A KR 20140091632A KR 20160011250 A KR20160011250 A KR 2016001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power connec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8786B1 (en
Inventor
윤순일
오창호
최재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786B1/en
Publication of KR2016001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power supply distributed there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ata line disposed on a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and transferring a data signal, a gate line disposed on the substrate in a second direction, and transferring a gate signal,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by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crossing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pixels connected to a source electrode or a 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corresponding to a pixel region; N number of assisting power insertion units disposed in a first side outside the display panel; and M number of source power providing units disposed in a second side outside the display panel to face the first side, and connected to the power insertion unit through a power supply member. The assisting power insertion unit is provided with power through two or more first power connection wires,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wir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es.

Description

전원 공급이 분산된 표시장치{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0002]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이 분산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power supply is distributed.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시장치에는, 그에 맞는 표시패널이 포함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evelops, there have been various demands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Recent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evice are being used. Such various display apparatuses include display panels corresponding thereto.

이러한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표시패널은 하나의 기판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개의 표시패널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여러 공정 절차에 따라, 하나의 기판에서 화소들을 구성하는 소자들, 신호라인, 또는 전원 라인 등이 표시패널 단위별로 형성되고, 이후, 스크라이브(Scribe) 장비를 이용하여 표시패널 단위로 기판을 절단하여 여러 개의 표시패널을 만들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included in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formed on one substrate. That is,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procedures, elements, signal lines, power supply lines, or the like that constitute pixels in one substrate are formed for each display panel unit, and then a substrate is scribed in units of display panels using a scribe equipment You can cut several display panels.

또한, 패널에는 유기발광소자, 액정 등이 형성되는 표시영역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지며, 비표시영역에서 표시영역의 다수의 화소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표시영역에서 전원전압(VDD)을 인가한다. 그런데 대면적의 표시장치인 경우 전원전압의 인가를 위해 비표시영역의 소스보드에서 보조전원을 적용하여 전원전압을 인가할 경우 전원전압에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표시장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panel may include a display region where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 liquid crystal or the like is formed, and a non-display region where a plurality of pads are formed. In order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display region in the no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However, in the case of a large-area display device, when the power source voltage is applied by applying the auxiliary power source to the source board of the non-display area in order to apply the power source voltage, heat may be generated from the power source voltage. have.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전원에서 패널로 인입되는 전원전압을 분산하여 인가하여 발열을 줄이고 이로 인한 표시품질 하락을 방지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distributes and applies a power supply voltage to an panel from an auxiliary power supply to reduce heat generation and thereby prevent display quality deterior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제1방향에 위치하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과, 상기 기판 상에 제2방향에 위치하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외부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N개의 보조전원 인입부,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외부의 제2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 인입부와 전원 공급 부재로 연결되는 M개의 소스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전원 인입부는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 사이에 제2전원 연결배선이 위치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data line which is located in a first direction on a substrate and transmits a data signal, a gate line which is located in a second direction on th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by intersecting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 display panel connected to a source electrode or a 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corresponding to pixel regions; And M source power supply units located at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supply member, Where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t least two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an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is located.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 표시패널에 그라운드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과 교대로 위치하는 L개의 제2전원 연결 배선,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결합되며 상기 표시패널로 제1전원을 공급하는 인입단,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부재와 연결되는 소스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보조전원 인입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for supplying a reference voltage to a display panel; And a source power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mber for providing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and a source power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Provides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전원 인입부의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연결 배선을 증가시켜, 전원 인입시의 전류 밀도를 낮출 수 있어 패널의 과전류구동 및 보조전원 인입부 발열을 억제하고 전류 밀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for providing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inlet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current density at the time of power supply input, thereby suppressing the overcurrent driving of the panel and the heat- It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density.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조전원 인입부가 결합된 표시패널(110)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원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전원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원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전원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원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전원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제1전원 연결 배선의 두께가 보조전원 인입부의 인입단 보다 넓은 경우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제1전원 연결 배선부에 저항을 연결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전원 인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4개의 소스전원 제공부와 4개의 보조전원 인입부가 결합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보조전원 인입부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하나인 경우와 3개, 4개인 경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2 is a display panel 110 to which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uple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enabling multipl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enabling multip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enabling multip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showing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r than the lead-in end of the auxiliary power lead-in portion.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re a resistor is connected to a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por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four source power supplies and four auxiliary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11B, and 11C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one, and three and four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1방향(예: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1라인(VL1~VLm)이 형성되고, 제2방향(예: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제2라인(HL1~HLn)이 형성되는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제1라인(VL1~VLm)으로 제1신호를 공급하는 제1구동부(120)와, 다수의 제2라인(HL1~HLn)으로 제2신호를 공급하는 제2구동부(130)와, 제1구동부(120) 및 제2구동부(1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es VL1 to VLm formed in a first direction (e.g., a vertical direction) A display panel 110 o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lines HL1 to HLn are formed, a first driver 120 for supplying a first signal to a plurality of first lines VL1 to VLm, A second driver 130 for supplying a second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lines HL1 to HLn and a timing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rs 120 and 130.

표시패널(110)에는, 제1방향(예: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라인(VL1~VLm)과 제2방향(예: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라인(HL1~HLn)의 교차에 따라 다수의 화소(P: Pixel)가 정의된다.The display panel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lines VL1 to VLm formed in a first direction (e.g.,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lines HL1 to HLn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e.g., A plurality of pixels (P)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pixels.

전술한 제1구동부(120) 및 제2구동부(130) 각각은, 영상 표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driving unit 12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er IC for outputting a signal for displaying an image.

표시패널(110)에 제1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라인(VL1~VLm)은, 일 예로, 수직방향(제1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의 화소 열로 데이터 전압(제1신호)을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일 수 있으며, 제1구동부(120)는 데이터 배선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lines VL1 to VLm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display panel 11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irst direction) to transmit a data voltage (first signal) And the first driver 120 may be a data driver for supplying the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또한, 표시패널(110)에 제2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라인(HL1~HLn)은 수평방향(제2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의 화소 열로 스캔 신호(제1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배선일 수 있으며, 제2구동부(130)는 게이트 배선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lines HL1 to HLn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display panel 110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econd direction) to form a gate signal (first signal) And the second driver 130 may be a gate driver for supplying a scan signal to the gate line.

또한, 제1구동부(120)와 제2구동부(130)와 접속하기 위해 표시패널(110)에는 패드부가 구성된다. 패드부는 제1구동부(120)에서 다수의 제1라인(VL1~VLm)으로 제1신호를 공급하면 이를 표시패널(110)로 전달하며, 마찬가지로 제2구동부(130)에서 다수의 제2라인(HL1~HLn)으로 제2신호를 공급하면 이를 표시패널(110)로 전달한다. In addition, a pad portion i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10 to connect the first driver 120 and the second driver 130. When the first driver 120 supplies a first signal to the plurality of first lines VL1 through VLm, the pad unit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driver 130 similarly applies a plurality of second lines HL1 to HLn), and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display panel (110).

표시패널(110)의 외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표시패널(110)이 대형의 표시패널이거나, 또는 대형의 표시패널이 아니어도 전원을 균등하게 제공하기 위해 보조전원을 인입하여 전원을 표시패널(110)에 제공할 수 있다.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 large display panel or a large display panel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panel 110 by supplying an auxiliary power source to provide power evenly.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조전원 인입부가 결합된 표시패널(110)이다. 표시패널(110)은 표시영역(도면에 미도시)과 표시영역에 전원을 메인으로 공급하며 표시영역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소스전원 제공부(230)가 결합한다. 그리고 소스전원 제공부(230)와 전원 공급 부재(235)을 통하여 연결되며, 소스전원 제공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보조전원 인입부(240)가 있다. 소스전원 제공부(2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표시패널(110)에 결합할 수 있다. 보조전원 인입부(240) 역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표시패널(110)에 결합할 수 있다.2 is a display panel 110 to which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upled. The display panel 110 mainly supplies power to a display region (not shown) and a display region and is coupled to a source power supply unit 230 located on a first side of the display region. And an auxiliary power input unit 240 connected to the source power supplying unit 230 through the power supplying member 235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source power supplying unit 230. One or more of the source power supplies 230 may b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110. One or more auxiliary power inlet 240 may also b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110.

212는 도 1의 제1구동부(120)에서 신호를 받을 수 있는 패드부이며, 213은 도 1의 제2구동부(130)에서 신호를 받을 수 있는 패드부이다. 제1구동부(120)가 데이터 구동부인 경우 212는 데이터 패드가 되며, 제2구동부(130)가 게이트 구동부인 경우 213은 게이트 패드가 된다.Reference numeral 212 denotes a pa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first driving portion 120 of FIG. 1, and 213 is a pa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cond driving portion 130 of FIG. When the first driver 120 is a data driver, 212 is a data pad. When the second driver 130 is a gate driver, 213 is a gate pad.

전원 공급 부재(235)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선 또는 연성 평면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이하 FFC) 또는 연성 인쇄 회로(Flextible Printed Circuit, FPC)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ower supply member 235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for supplying power such as a metal wire made of metal or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인캡(encap)(250)은 표시영역을 커버하며 전원 공급 부재(235)와 표시영역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encaps 250 covers the display area and provides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display area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235. [

도 2의 구조의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인 평판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적용할 경우, 필수적인 전원신호의 인가는 소스전원 제공부(230)가 있는 쪽으로 단방향 인입 구조로 설계되며, 대면적 디스플레이 또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전원 신호의 드롭에 의한 화질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소스전원 제공부가 위치한 반대편에 보조전원 인입부(240)를 배치하여 전원부 손실을 최소화 시켜준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ower source signal to drive a flat panel or a curved display panel, which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tructure of FIG. 2, In the case of a large-area display or a high-resolution display panel, an auxiliary power inlet 24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source power providing unit is disposed in order to reduce image quality degradation due to drop of the power source signal, thereby minimizing power source loss.

소스전원 제공부(230)의 반대편의 전원 인입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스전원 제공부(230)의 개수를 유지하며, 소스전원 제공부(230)와 전원 공급 부재(235)로 연결되는 보조전원 인입부(240)를 배치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ource power supply 230 maintains the number of the source power supplies 230 in order to reduce the cost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ied from the source power supply 230 to the power supply member 235 The power inlet portion 240 can be disposed.

전류 구동으로 동작하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Display) 같은 경우는 전원 신호의 중요성이 더욱 크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조전원 인입부(240)가 둘 이상의 기준전압(VDD)와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가 위치하도록 구현한다.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which operates by current driving, the power supply signal is more important.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240 includes two or more reference voltages VDD and one or more And the ground is positioned.

일반적인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있어서 전원은 소스전원 제공부가 있는 쪽으로 단방향 인입이 되나, 대면적 또는 고해상도 제품 개발에서는 소스전원 제공부의 개수 증가 없이 보조전원을 이용하여 소스전원 제공부의 반대편으로의 전원 인입을 통해 VDD 드롭 등의 전원부 손실을 최소화 시켜주게 된다.In general OLED display panel driving, the power source is unidirectional to the source power supply unit. However, in the development of a large-area or high-resolution product, power supply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ource power supply unit usi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ource power supply unit Thereby minimizing power source loss such as VDD drop.

보조전원의 경우 패널 내에 등간격으로 배치가 되며, 1개의 보조전원 인입부가 균등하게 전원을 감당하게 된다. 휘도 증가와 패널 오작동 등의 이유로 패널 내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보조전원 인입부에는 증가하는 전류만큼 발열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편광판 변형, 소자 성능 변화 등의, 패널 동작에 대한 성능 저하를 유발 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power source, the auxiliary power source unit is equally spaced in the panel, and one auxiliary power source unit receives the power evenly. As the current flowing in the panel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luminance and panel malfunction, the heat generation increases by an increasing current in the auxiliary power input portion. This causes a deterior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panel operation, such as polarizer distortion and device performance change .

이하 설명하게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전원의 인입 구조를 변경하여 하나의 인입구조에서 2중, 3중 혹은 그 이상의 다중 인입구조로 배치하여 하나의 보조전원으로 여러 개의 전원인입 효과를 가져오는 구조를 구현하고, 발열에 따른 패널 성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 결과, 보조전원의 개수 증가 없이 패널의 화질 및 제품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lead-in structure of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changed so that the lead-in structure is arranged in a double lead structure, a triple lead structure or a multi lead lead structure, Structur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panel performance due to heat generation. As a result, the picture quality and the product reliability of the panel can be secured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auxiliary power sources.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만 데이터가 인입되는 단일 소스 보드(소스전원 제공부)가 적용되는 패널 구조에서 소스전원 제공부의 반대편에 보조전원 인입부가 위치하여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anel structure in which a single source board (source power supply unit) in which data is input to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is applie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may be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ource power supply unit.

이하, 도 2의 구조에서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전원이 쏠리지 않도록 다중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및 이를 적용한 표시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power inlet 240 in such a manner that the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inlet 240 is not concentrated in the structure of FIG. 2,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원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전원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보조전원 인입부(240)를 확대한 도면이다.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전원을 표시영역으로 공급하는 접촉부(301)와,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310)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 사이에 제2전원 연결 배선(320a, 320b)이 위치한다. 접촉부(301)는 구현 방식에 따라 보조전원 인입부(240)과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촉부(301)가 직접 표시영역의 배선과 연결될 수도 있지만, 표시영역의 배선과 연결되는 별도의 연결 부재가 있고, 접촉부(301)는 이러한 연결 부재를 통하여 표시영역의 배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2전원 연결 배선이 표시 영역과 연결되도록 접촉부(301)는 제1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표시영역과 제2전원 연결 배선을 연결시키는 제2전원접촉부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enabling multipl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auxiliary power inlet 240 shown in FIG. A contact portion 301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240 to the display region and at least two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10 an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10a,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20a and 320b are located. The contact portion 301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 24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and the contact portion 30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iring in the display region, And the contact portion 301 can supply power to the wiring in the display region through such a connection memb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tact portion 301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so that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is connected to the display region, and may include a second power contact portion connecting the display region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은 기준 전압의 전원이 제공되며, VDD 또는 EVDD로 지시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2전원 연결 배선(320a, 320b)은 그라운드의 전원 또는 VSS, EVSS로 지칭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390 방향으로는 전원 공급 부재와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소스전원 제공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1전원 연결 배선은 소스전원 제공부의 기준전압(VDD)와 연결되며 제2전원 연결배선은 소스전원 제공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310a, 310b, 310c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of a reference voltage and can be supplied with power indicated by VDD or EVDD.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20a and 320b are supplied with a power source of ground, or a power source referred to as VSS and EVSS.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mber in the 390 direction and receives power from the source power supply.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DD) of the source power supply part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source power supply part.

도 3은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이 3개로 구성되며 310a과 310b 사이에 하나의 제2전원 연결 배선(320a)이 위치하며, 310b과 310c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제2전원 연결 배선(320b)이 위치하며 발열을 줄일 수 있다. 3,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310a, 310b, and 310c are three,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320a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310a and 310b, The connection wiring 320b is located and the heat generation can be reduced.

도 3과 같이 다수의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이 구성되고, 제2전원 연결 배선(320a, 320b)이 두 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및 310b, 또는 310b 및 310c) 사이에 위치하는 다중 전원 인입 구조로 보조전원 인입부를 구현할 경우, 패널의 과전류 구동 시 발생하는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발열을 줄일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310a, 310b and 310c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320a and 320b are formed by two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310a and 310b, or 310b and 310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 generated by the auxiliary power inlet 240 generated when the panel is driven in an overcurrent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원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전원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달리, 제1전원 연결 배선이 4개이며, 제2전원 연결 배선이 하나인 경우이다. 도 4에서는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 310d)을 도 3의 홀수개의 배치가 아니라 짝수인 4개로 배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중심부로 제1전원을 인입하지 않고 좌/우로 분산하여 인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320)을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중앙에 배치시킬 수 있다.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enabling multip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re are four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and on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In FIG. 4,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310a, 310b, 310c, and 310d of the auxiliary power inlet unit 240 may be arranged in four even numbers instead of the odd numbered configurations in FIG. This allows the first power source to be fed into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ower inlet 240 by being dispersed leftward / rightward. In this case,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320 can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ower inlet 240.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원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전원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달리, 제2전원 연결 배선이 3개인 경우이다. 도 4와 마찬가지로,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 310d)이 4개가 위치하며, 각 제1전원 연결 배선들 사이에 3개의 제2전원 연결 배선(320a, 320b, 320c)이 위치한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enabling multip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re are thre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4, four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310a, 310b, 310c, and 310d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240 are disposed, and thre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310a, 310b, 310c, and 310d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320a, 320b, and 320c.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제2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를 제1실시예와 달리 홀수로 배치한 예를 보여준다.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of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is arranged in an odd number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제 1, 2, 3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보조전원 내에서 패널로 인입되는 전원구조를 2중, 3중 또는 그 이상의 다중 인입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제1전원(기준 전압, VDD 또는 EVDD)이 병목구간에 의한 보조전원 인입부의 발열 현상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량 현상을 제거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원의 연결 배선은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a power supply structure that is drawn into a panel in one auxiliary power supply is designed as a double, triple, or more multi- Or EVDD) can attenuate the heating phenomenon of the auxiliary power input portion due to the bottleneck region, thereby eliminating the defective phenomen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wiring of the second power source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수가 2N개인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의 수는 (2N-1)개보다 작거나 같게 되도록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의 사이에 제2전원 연결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is 2N,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such that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is smaller than or equal to (2N-1).

한편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수가 (2N+1)개인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의 수는 2N개보다 작거나 같게 되도록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의 사이에 제2전원 연결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is (2N + 1),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so that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is less than or equal to 2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이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구성에 추가하여 도 6과 같이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외부에 2개의 제2전원 연결 배선(320d, 320e)이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two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320d and 320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s shown in FIG.

정리하면,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수가 2N개인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의 수는 (2N+1)개보다 작거나 같은 홀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원 연결 배선의 수가 (2N+1)개인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의 수는 (2N+2)보다 작거나 같은 짝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원 연결 배선과 제2전원 연결 배선은 대칭이 되도록 하여 보조전원의 인입이 보다 균형되도록 하여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In summary,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is 2N,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can be an odd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2N + 1).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is (2N + 1),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can be an even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2N + 2).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are made symmetrical so that the inflow of the auxiliary power is more balanced and the heat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전원 인입을 새로이 구성하여 보조전원의 개수를 증가시킨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저비용과 고성능 제품의 구현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o FIG. 6, the same effect as tha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auxiliary power sources can be obtained by newly constructing the power supply, thereby realizing a low cost and high performance product.

한편 발열을 제어하기 위해 보조전원 인입부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를 다중으로 조절하는 실시에에 추가하여, 보조전원 인입부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제1전원 연결 배선과 소스전원 제공부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제안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heat generation,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lead-in portion may be adjusted in multi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lead- And a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ies.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제1전원 연결 배선의 두께가 보조전원 인입부의 인입단 보다 넓은 경우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도 3과 같은 구성에서 외측에 제2전원 연결 배선이 추가로 형성된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3의 접촉부(301)가 생략된 형태이다. 7 is an embodiment showing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r than the lead-in end of the auxiliary power lead-in portion. 3,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Fig. 7 is a view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301 of Fig. 3 is omitted.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과 제2전원 연결 배선(320a, 320b, 320c, 320d)이 교대로 형성되어 다중 인입의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1전원 연결 배선(310a)의 두께인 A"는 인입단(790)의 두께인 B" 보다 그 크기가 크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10a, 310b and 310c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20a, 320b, 320c and 320d are alternately formed to form a multi-connection structure. Here, the thickness A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310a may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B" of the lead-in end 790.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제1전원 연결 배선부에 저항을 연결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제1전원 연결 배선(310a)의 두께보다 인입단(790)의 두께가 작도록 구성한 보조전원 인입부(240)의 인입단(790)이 형성되어 있다.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re a resistor is connected to a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por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lead-in end 790 of the auxiliary power-supply lead-in portion 240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lead-in end 79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wer-supply lead-in wire 310a.

제1전원 연결 배선(310a, 310b, 310c)과 제2전원 연결 배선(320a, 320b, 320c, 320d)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각 배선들에는 811~817과 같이 7개의 저항들이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저항들은 각각의 연결배선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앞서 살펴본 전원 공급 부재(235) 내에 저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저항은 전원 연결 배선과 소스전원 제공부(230)를 연결한다.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10a, 310b and 310c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320a, 320b, 320c and 320d are alternately formed and seven resistors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irings as 811 to 817 . Each of the resistors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connection wiring, and a resistance may be formed in the power supply member 235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or couples the power connection wiring to the source power supply 230.

도 3 내지 도 8의 실시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전원 인입부는 독립적인 보조전원 인입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전원 인입장치들이 소스전원 제공부 및 전원 공급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물론 보조전원 인입장치가 보조전원 인입부로 표시장치에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3 to 8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uxiliary power inlet may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auxiliary power inlet device and these auxiliary power inlet devices may couple with the source power supplier and the power supply member. Of course,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unit as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전원 인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보조전원 인입장치(900)는 표시패널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910a, 910b, 910c, 910d, ..., 910k)와 표시패널에 그라운드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과 교대로 위치하는 L개의 제2전원 연결 배선(920a, 920b, 920c, ..., 920l)을 포함하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910a, 910b, 910c, 910d, ..., 910k)이 결합하여 표시패널로 제1전원을 공급하는 인입단(990)과,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부재(미도시)와 연결되는 소스전원 연결부(950)을 포함한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apparatus 900 supplies a first ground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and K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910a, 910b, 910c, 910d, ..., 910k for supplying a reference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920b, 920c, ..., and 920l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910a, 910b, 910c, 910d , ..., and 910k to supply a first power to the display panel, and a source power connection (not shown) connected to a power supply member (not shown) for providing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950).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K가 짝수인 경우, K/2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보조전원 인입장치(900)의 1/2영역을 차지하며, 나머지 K/2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보조전원 인입장치(900)의 나머지 1/2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면, K가 홀수인 경우, 보조전원 인입장치(900)의 중앙에 하나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형성되고, 그에 대칭되는 각각의 1/2 영역을 (K-1)/2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The K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f K is an even number, K / 2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occupy a half area of the auxiliary power inlet device 900, and the remaining K / 2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power inlet device 900 The remaining half of the area of the light-emitting layer. On the other hand, if K is an odd number, a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lin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device 900, and each half area symmetrical to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line is (K-1) Connection wiring can be formed.

그리고 제1전원 연결 배선들 사이에 각각 제2전원 연결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전원 연결 배선들의 개수 역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제2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인 L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할 경우에는 K가 짝수인 경우 L=1, 혹은 K가 홀수인 경우 L=2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제1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에 비례하도록 할 경우, L은 K+1 또는 K-1인 값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물론 L의 값을 K와 무관하게 설정하여 제2전원 연결 배선을 통하여 그라운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다만 제2전원 연결 배선의 형성 역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And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respectively.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s is also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The number L of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can be variously formed. When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is minimized, L = 1 when K is an even number or L = 2 when K is an odd number.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ade to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L may be formed to have a value of K + 1 or K-1. Of course, the value of L may be set irrespective of K to supply the ground power through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but the formation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may also be formed to be symmetrical.

제1전원 연결 배선과 제2전원 연결 배선을 교대로 배치하므로, 제1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가 짝수가 되며, 그 반대로 제1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제2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가 홀수가 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are arranged alternately,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is an odd number,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becomes an even number, and conversely,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The number of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can be an odd number.

전원 공급 부재가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는 경우, 소스전원 연결부(950)는 이들 제1전원 연결 배선들과 전원 공급 부재의 기준 전압을 위한 배선을 일대일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반면, 전원 공급 부재가 하나의 배선을 통하여 기준 전압을 제공할 경우, 각각의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을 모아서 전원 공급 부재 내의 기준 전압을 위한 배선과 연결하는 K대1의 연결을 소스전원 연결부(950)가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을 그룹핑하여 기준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부재 내의 기준 전압을 위한 배선이 2개인 경우, 소스전원 연결부(950)는 K/2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을 모아서 하나의 기준 전압을 위한 배선과 연결하고, 나머지 K/2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들을 모아서 다른 하나의 기준 전압을 위한 배선과 연결할 수 있다. When the power supply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K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the source power connection 950 can connect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and the wiring for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member one to on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supply member provides the reference voltage through one wiring, a K-to-1 connection that collects each of the first K power connection wirings and connects them with the wiring for the reference voltage in the power supply member, (950). In addition,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may be grouped to provide a reference voltage.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wirings for the reference voltage in the power supply member, the source power connection 950 collects and connects the K / 2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to the wiring for one reference voltage, and the remaining K / The two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can be collected and connected to the wiring for the other reference voltage.

제4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의 폭은 인입단(990)의 배선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5실시예와 같이 각 배선에 대해 저항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전원 연결 배선에는 저항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저항은 소스전원 연결부(950) 내에 저항이 같이 포함될 수도 있고, 혹은 전원 공급 부재(미도시)에 저항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widths of the K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can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s of the wirings of the input terminals 990. In addition, a resistance can be connected to each wiring as in the fifth embodiment. That is, a resisto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The resistor may be included in the source power connection 950 or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member (not shown) A resistor can be connected.

도 9의 보조전원 인입장치는 표시패널과 결합할 경우 보조전원 인입부를 구성하며, 이러한 보조전원 인입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과 도 9를 기반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apparatus of FIG. 9 constitutes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when coupled with the display panel,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summarized as follows. 1, 3 and 9,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기판 상에 제1방향에 위치하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도 1의 VL1, VL2, ..., VLm)과, 상기 기판 상에 제2방향에 위치하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라인(도 1의 HL1, HL2, ..., HLn)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화소 영역(도 1의 P)에 대응하는 다수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110), 그리고 표시 패널의 외부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N개의 보조전원 인입부(도 2의 240)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여 상기 외부의 제2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 인입부와 전원 공급 부재로 연결되는 M개의 소스전원 제공부(도 2의 23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전원 인입부는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 사이에 제2전원 연결배선이 위치한다. 상기 N과 M의 관계는 N이 M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패널에 소스전원 제공부가 전원을 공급할 경우, 그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보조전원 인입부는 하나 이상이 있을 수 있다. 보조전원 인입부의 수는 표시패널의 크기와 소스전원 제공부의 개수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스전원 제공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전원 인입부가 연결될 수 있다.(VL1, VL2, ..., VLm in Fig. 1) which are located in a first direction on a substrate and transmit a data signal, a gate line (HL1, HL2, ..., HLn in FIG. 1),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by intersecting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nd a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a source electrode or a 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N auxiliary power input portions (240 in FIG. 2) located on a first side of the display panel, (230 in FIG. 2) connected to the power inlet unit and the power supply member,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via two or mor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A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is located between the wir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N and M may be greater than M,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is powered by the source power supply, there may be more than one auxiliary power supply located opposite the display panel. The numb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s can be flexi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the number of the source power supply units, etc., and at least on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ource power supply unit.

도 2의 경우 전체 패널에는 2개의 소스전원 제공부(230)가 있으며, 하나의 소스전원 제공부에 2개의 보조전원 인입부(240)가 연결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2, there are two source power supplies 230 in the entire panel, and two auxiliary power input units 240 are connected to one source power supply.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4개의 소스전원 제공부와 4개의 보조전원 인입부가 결합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four source power supplies and four auxiliary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전체 패널에는 4개의 소스전원 제공부(1030a, 1030b, 1030c, 1030d)가 있으며, 하나의 소스전원 제공부에 하나의 보조전원 인입부(1040a, 1040b, 1040c, 1040d)가 전원 공급 부재(1035a, 1035b, 1035c, 1035d)연결되어 있다. 보조전원 인입부(1040a, 1040b, 1040c, 1040d)의 구성은 앞서 도 3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전원 인입부(1040a, 1040b, 1040c, 1040d)와 표시패널이 별도의 연결부재(1050a, 1050b, 1050c, 1050d)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부재는 앞서 살펴본 전원 공급 부재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선 또는 연성 평면 케이블 또는 연성 인쇄 회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핀과 같이 전원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하므로, 접촉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보조전원 인입부와 별도로 혹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0, there are four source power supplies 1030a, 1030b, 1030c, and 1030d in the entire panel, and on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040a, 1040b, 1040c, and 1040d are provided in one sourc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members 1035a, 1035b, 1035c, and 1035d are connected.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s 1040a, 1040b, 1040c, and 1040d may be appli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3 to 9. 10, the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s 1040a, 1040b, 1040c, and 1040d and the display panel are connected by separate connecting members 1050a, 1050b, 1050c, and 1050d, And may also be a metal flat cable or a flexible flat cabl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as well as a configuration for enabling power connection such as a pin so that the contact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separately or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power inlet A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various embodiments for supplying power.

제1전원은 기준 전압의 전원이며 제2전원은 그라운드 전원이며, 각각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은 기준 전압의 전원을 표시패널에 제공하며, 제2전원 연결 배선은 그라운드 전원을 표시패널에 제공한다.The first power supply is a reference voltag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power supply is a ground power supply. Each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provides a power supply of a reference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provides ground power to the display panel .

그리고 제1전원 연결 배선과 상기 제2전원 연결 배선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로 교대로 위치하며 또한 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전원이 쏠림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are arranged alternately and symmetrically, so that the power can be supplied without leaning.

세부적으로 도 7 및 제4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결합되는 인입단의 배선 폭은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제5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전원 연결 배선에는 각각 저항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전원 인입부에 포함되는 각 배선들에 연결되는 저항을 달리하도록 소스전원 제공부에 저항을 포함시킬 수도 있고, 각 배선에 저항을 달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보조전원 인입부와 소스전원 제공부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부재에 저항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저항을 연결함으로써, 국부적 패널의 특성에 대해 보상이 가능하며, 저항을 연결함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국부적 발열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4, the wiring width of the lead-in end to which two or mor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are coupled can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 In addition, as described in FIGS. 8 and 5, a resistor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A resistor may be included in the source power supply to vary the resistance connected to each of the wirings included 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he resistance may be different for each wiring,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nd the source power supply unit A resist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wer supply member. By connecting the resistors,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anel. By connecting the resistors, the current flow can be controlled to solve the local heat generation.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보조전원 인입부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하나인 경우와 3개, 4개인 경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에 따라 발열의 차이를 표 1에서 살펴본다. FIGS. 11A, 11B, and 11C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one, and three and four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respectively. Table 1 shows the difference in hea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도 11a는 제1전원 연결 배선(1110a)이 하나만 존재하며, 이를 중심으로 제2전원 연결배선(1120a, 11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도 11b는 제1전원 연결 배선(1110a, 1110b, 1110c)이 3개이며, 이들 사이에 제2전원 연결 배선(1120a, 112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c는 제1전원 연결 배선(1110a, 1110b, 1110c, 1110d)이 4개이며, 가운데에 제2전원 연결 배선(1120a)이 형성되어 있다. 1101a, 1101b 및 1101c는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접촉부이다.11A, there is only on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1110a,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1120a and 1120b are formed arou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1110a. 11B, thre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1110a, 1110b, and 1110c are formed, and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s 1120a and 1120b are formed therebetween. 11C, there are four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1110a, 1110b, 1110c, and 1110d,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1120a is formed in the center. 1101a, 1101b and 1101c are contact portion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도 11a의 인입단(1190a)는 오로지 하나의 제1전원 연결 배선(1110a)을 통하여 기준전압이 제공되므로, 1150 영역에서 높은 열이 발생한다. 반면 도 11b는 3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1110a, 1110b, 1110c)이 다중으로 입력되므로, 1151a, 1151b, 1151c의 열의 발생이 도 11a의 1150보다 낮다. 마찬가지로 도 11c는 4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1110a, 1110b, 1110c, 1110d)이 다중으로 입력되므로, 1152a, 1152b, 1152c, 1152d 에서의 열의 발생이 도 11a의 1150 및 도 11b의 1151a, 1151b, 1151c 보다 낮다. 11A is provided with a reference voltage through only on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1110a, so that high heat is generated in the 1150 region. On the other hand, in FIG. 11B, since the thre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1110a, 1110b, and 1110c are input in multiple, the heat generation of 1151a, 1151b, and 1151c is lower than 1150 in FIG. Likewise, since the four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1110a, 1110b, 1110c, and 1110d are input in multiple, the generation of heat in 1152a, 1152b, 1152c, and 1152d is equivalent to 1151a, 1151b, 1151c.

표 1은 도 11a, 도 11b, 및 도 11c와 같이 구성할 경우의 발열 상황을 보여주는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heat generation status in the case of constituting as shown in Figs. 11A, 11B and 11C.

온도 분포Temperature distribution 전류 밀도 분포Current density distribution 도 11a의 경우11A 최대 65.572℃Up to 65.572 ℃ 최대 0.3415 mA/㎛2 Up to 0.3415 mA / 탆 2 도 11b의 경우11B 최대 23.202℃Up to 23.202 ° C 최대 0.0759 mA/㎛2 Up to 0.0759 mA / 탆 2 도 11c의 경우11C 최대 22.904℃Up to 22.904 ℃ 최대 0.0668 mA/㎛2 Up to 0.0668 mA / ㎛ 2

표 1을 살펴보면, 제1전원 연결 배선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발열 문제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달리 OLED 디스플레이는 전류에 의해 구동이 되므로, 전류에 의한 발열 구조 개선이 중요하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전원 연결 배선을 증가시킬수록, 전원 인입시의 전류 밀도를 낮출 수 있으며, 그 결과 패널의 과전류구동 및 보조전원 인입부 발열에 의한 불량 현상의 개선이 탁월하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generation problem is improved as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is increased. 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driven by a voltage, an OLED display is driven by an electric current, so improvement of a heat generation structure by an electric current is important. As shown in Table 1, as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is increased, the current density at the time of power supply can be lowered. As a result, the overcurrent driving of the panel and the improvement of the bad phenomenon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portion are excellent.

전류로 구동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OLED 디스플레이에서 보조전원 인입부에서 패널 구동전류가 증가하면 패널의 휘도 증가, 오작동에 의한 과전류 등이 발생하며, 보조전원 인입부의 온도가 증가한다. 보조전원 인입부의 온도가 증가하여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편광판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불량을 야기하게 되며, TFT 소자의 성능을 변형시켜 화질 균일도를 저하시키며, 심할 경우 패널 번트(Panel Burnt)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제품 휘도와 패널의 설계적인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이는 도 11a와 같이 패널 구동 시 보조전원 인입부 구조에서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 인입단에서의 전류 쏠림에 그 원인이 있는데, 보조전원 인입부에서 하나의 보조전원으로 인입되는 입력 전류의 절반이 전원 인입 병목부분으로 쏠리게 되며, 정상 구동 상태에서도 보조전원 인입부가 패널의 다른 부분보다 좀 더 높은 온도 분포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제1전원 연결 배선을 다중으로 설정하였으며 입력 전류가 분산되도록 하여 발열 문제를 해결한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driven by the current, when the panel driving current increases 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portion in the OLED display, the panel increases in brightness or overcurrent due to malfunc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portion increases. If the temperature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increases and exceeds a certain level, the polarizing plate may be deformed to cause defec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TFT element may be modified to lower the uniformity of the image quality, which may cause panel bust . This problem affect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so the product brightness and panel design constraints are followed. This is caused by the current deviating from the lead-in terminal at which the reference voltage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power-source lead-in structure when the panel is driven as shown in FIG. 11A. Half of the input current, which is drawn into one auxiliary power- And the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 has a higher temperature distribution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panel even in the normal driving sta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for providing a reference voltage are set and the input current is dispersed to solve the heat generation proble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조전원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패널로의 보조전원 인입 구조를 단일 인입 구조에서 다중 인입 구조로 변경하여 전류 쏠림에 의한 발열 문제를 개선 할 수 있으며 오동작에 의한 전류 쏠림 발생시에도 패널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Whe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uxiliary power generation of the display panel.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uxiliary power supply structure to the panel from a single inlet structure to a multi-inlet structure to improve the heat generation problem due to the current leakage and to maintain the reliability of the panel even when the current leakage due to the malfunction occurs.

특히, 대형 OLED TV(65UHD)의 싱글 데이터(single data)구동을 위하여, 소스전원 제공부와 보조전원 인입부를 전원공급부재로 연결하여 양 측면에서 전원을 인가할 경우, 보조전원 인입부의 전원 집중현상으로 국부적 발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국부적으로 TFT의 Vth Shift(threshold voltage shift, 문턱전압 변화) 현상에 의한 휘도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조전원 인입부의 개수를 증가시킬 경우 코스트가 상승하며, 이들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부재의 증가로 인해 백커버 합착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보조전원 인입부의 개수를 유지하되 국부적 발열을 제거하기 위해 제1 내지 제5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조전원 인입부의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 연결 배선을 증가시킬 수 있다.그 결과 패널에서의 발열을 억제하여 품질 저하(Mura effect)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in order to drive single data of a large OLED TV (65UH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both sides of a source power supply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through a power supply member, Local heat generation may occur, which may result in a luminance drop due to a threshold voltage shift (threshold voltage change) phenomenon of a local TFT. The cost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s is increased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back cover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power supply members connecting the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s.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number of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s for supplying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sub power supply inlet, as described in Embodiment 5.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ura effect by suppressing heat generation in the panel, And the yield can be improved.

제1전원 연결 배선은 VDD, 제2전원 연결 배선은 VSS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다중으로 형성되므로 국부적인 포인트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발열을 억제한다. 제1~5실시예에서 제1전원 연결 배선과 제2전원 연결 배선을 교차하여 배열시키며, 제4실시예에서 인입단의 배선 폭보다 제1전원 연결 배선의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에 균등하게 보조전원 인입부를 설치하여 기준 전압인 제1전원과 그라운드인 제2전원이 균등하게 분할되어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5실시예에서 소스전원 제공부와 제1전원 연결 배선 및 제2전원 연결 배선 간에 저항을 연결하여 각 부위로 인입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패널의 국부적 발열에 의한 Vth Shift를 억제할 수 있다.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may be VD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may be VSS, and since they are formed in multiple, they are not concentrated on local points, thereby suppressing heat generation.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width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can be made wider than the wiring width of the lead-in e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qually divide the first power source, which is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by equally dividing the auxiliary power source unit into the display panel. The Vth shift due to the local heat generation of the panel can be suppressed by connecting a resistor between the source power supply and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 in the fifth embodiment to adjust the voltage applied to each part.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보조전원 인입부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시키면서도 발열을 억제하고 소스전원 제공부로부터의 전원을 반대편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연 공급 부재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량을 저하하지 않으며 패턴을 단순화하여 TFT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eading edge feeding members can be reduced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heat generation while reducing or even reducing the auxiliary power lead-in portion and to provide the power from the source power supplying portion to the opposite sid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attern and improve the yield of the TFT.

즉, 소스전원 제공부나 보조전원 인입부 개수 증가 없이 동일한 전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패널의 동작 전류가 증가해도, 보조전원부의 발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조전원 발열 현상에 따른 화질 불량, 편광판 변형 등의 불량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전원의 발열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전원 인입을 다중화시킨 것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평판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same power performance can be achieved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source power supply units or the number of auxiliary power supply units. As a result, even if the operating current of the panel increases, the heating phenomenon of the auxiliary power source portion can be reduced, and defective images such as defective image quality and deflection of the polarizer due to generation of auxiliary power can be prevented. In order to solve the heat generation of the auxiliary power sour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multiplexed and can be applied to both the flat panel or the curved display panel u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제1구동부 130: 제2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230, 1030: 소스전원 제공부
240, 900, 1040: 보조전원 인입부 310, 910, 1110: 제1전원 연결배선
320, 920, 1120: 제2전원 연결배선 790, 990, 1190: 인입단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first driving part 130: second driving part
140: timing controller 230, 1030: source power supply
240, 900, 1040: auxiliary power inlet unit 310, 910, 1110: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320, 920, 1120: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790, 990, 1190:

Claims (9)

기판 상에 제1방향에 위치하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과, 상기 기판 상에 제2방향에 위치하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외부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N개의 보조전원 인입부;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외부의 제2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 인입부와 전원 공급 부재로 연결되는 M개의 소스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전원 인입부는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 사이에 제2전원 연결배선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
A data lin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n a substrate and transferring a data signal; a gate line positioned in a second direction on the substrate and transferring a gate signal; and a thin film formed by crossing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 display panel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r the 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corresponding to pixel regions;
N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s located on a first side surface outside the display panel; And
And M source power supply units located on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nlet unit and the power supply member,
The auxiliary power inlet portion
Power is supplied through at least two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s,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lin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은 상기 표시패널에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이며 상기 제2전원은 그라운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인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wer source is a power source for providing a reference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power source is a power source for providing ground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과 상기 제2전원 연결 배선은 서로 교대로 위치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are alternately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결합되는 인입단의 배선 폭은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ing width of the lead-in end to which the two or mor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are coupled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제1전원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전원 연결 배선에는 각각 저항이 연결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sisto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two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line.
표시패널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
표시패널에 그라운드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과 교대로 위치하는 L개의 제2전원 연결 배선;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이 결합되며 상기 표시패널로 제1전원을 공급하는 인입단;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부재와 연결되는 소스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보조전원 인입 장치.
K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for supplying a reference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L second power supply interconnection lines for supplying a ground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and alternately located with the K first power supply interconnection lines;
An input terminal coupled to the K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lines and supplying a first power to the display panel; And
And a source power connection connected to a power supply member providing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K개의 제1전원 연결 배선의 폭은 상기 인입단의 배선의 폭보다 큰, 보조전원 인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widths of the K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wirings are larger than the widths of the wirings of the inlet en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전원 연결 배선에는 저항이 결합된, 보조전원 인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resistor is coupl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wiring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wir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L은 상기 K+1 또는 K-1인 값을 가지는 보조전원 인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L is a value of K + 1 or K-1.

KR1020140091632A 2014-07-21 2014-07-21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KR102168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632A KR102168786B1 (en) 2014-07-21 2014-07-21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632A KR102168786B1 (en) 2014-07-21 2014-07-21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50A true KR20160011250A (en) 2016-02-01
KR102168786B1 KR102168786B1 (en) 2020-10-23

Family

ID=5535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632A KR102168786B1 (en) 2014-07-21 2014-07-21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7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619B2 (en) 2019-10-23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circuit film including power wiring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ircuit film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32B1 (en) * 2004-08-25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splay
KR20110136625A (en) * 2010-06-15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20140002953A (en) * 2012-06-28 2014-01-09 주성엔지니어링(주)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5636B1 (en) * 2012-09-12 2014-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Link Line
KR20140067527A (en) * 2012-11-26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72438A (en) * 2012-12-04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83142A (en) * 2012-12-24 2014-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Driving Unit
KR20140087906A (en) *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93093A (en) * 2013-01-17 201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32B1 (en) * 2004-08-25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splay
KR20110136625A (en) * 2010-06-15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20140002953A (en) * 2012-06-28 2014-01-09 주성엔지니어링(주)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5636B1 (en) * 2012-09-12 2014-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Link Line
KR20140067527A (en) * 2012-11-26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72438A (en) * 2012-12-04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83142A (en) * 2012-12-24 2014-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Driving Unit
KR20140087906A (en) *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93093A (en) * 2013-01-17 201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619B2 (en) 2019-10-23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circuit film including power wiring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circuit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786B1 (en)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04B1 (en) Display device with power supply in cover type
US20080029784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display
US1040169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on wirings each having an associated connecting portion disposed in a common plane with one another
EP3496078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TWI710838B (en) Pixel array substrate
US10426034B2 (en) Circuit substrate modul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02634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354915A1 (en) Narrow fram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arge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7086474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wiring board
CN108108070A (en) TFT substrate and apply its touch-control display panel
US10928696B2 (en) Wiring substrate and display panel
EP302116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69990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123251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409704B1 (en) Flexible film,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1123162A (en) Display device
KR102168786B1 (en) Display device of decentralized power supply
US20200053878A1 (en) Flexible wiring board and display device
JP2009092695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80055296A (en) Flat panel display
KR102195804B1 (en) Power supply module and display device with the power supply module
JP2020115173A (en) Display device
US10043777B2 (en) Display device
JP2006208412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O201607813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rray backplane circui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