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130A -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result from macrocell device - Google Patents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result from macrocel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130A
KR20160011130A KR1020150010071A KR20150010071A KR20160011130A KR 20160011130 A KR20160011130 A KR 20160011130A KR 1020150010071 A KR1020150010071 A KR 1020150010071A KR 20150010071 A KR20150010071 A KR 20150010071A KR 20160011130 A KR20160011130 A KR 2016001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cell
information
terminal
cell
macro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진삼
오현오
손주형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1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of a macro cell terminal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obtain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which exists in surroundings of the macro cell terminal, through a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to a macro cell;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which receives interference of an uplink signal from the macro cell; setting a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which receives the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obtaining an access permit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set wireless LAN link; and performing hand-over from the macro cell to the small cell of which an access mode is converted from a closed access mode to a hybrid access mode.

Description

매크로셀 단말 및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RESULT FROM MACROCELL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generated from a macro cell terminal and a macro cell terminal,

본 발명은 매크로셀 단말 및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generated from a macro cell terminal and a macro cell terminal.

최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A Release 12 또는 그 이후 통신 표준에서는 셀룰러 시스템의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룰러-무선랜 인터워킹(Cellular-WLAN Interworking), 스몰셀(Small cell) 수신기의 성능 향상 기술,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기술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셀룰러-무선랜 간의 트래픽 링크 전환(traffic steering)과 같은 인터워킹 수준에서 진화하여, carrier aggregation을 무선랜 주파수까지 확장한 LTE-WLAN Radio Level Integration이라는 새로운 주제에 대해서 기술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랜 활용 및 3GPP 표준화를 도모하고 있다.Recently, i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A Release 12 or later communication standard, a cellular-WLAN interworking, a small cell, There are discussions o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technology of the receiver and dual connectivity technology. In addition, technology discussions are ongoing on a new topic called LTE-WLAN Radio Level Integration that evolves from interworking to traffic-steering between cellular and wireless LANs and extends carrier aggregation to wireless LAN frequencies. , And the utilization of the wireless LAN and the standardization of 3GPP are being promoted.

한편, 셀룰러-무선랜 인터워킹 또는 스몰셀 수신기 접속에 있어, 펨토셀과 매크로셀이 공존하는 스몰셀 환경과 같이 이종 셀이 혼재하는 시스템에서, 상호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무선랜으로 트래픽을 분산하거나, 단말의 접속 허용을 제어하는 기법은 셀룰러-무선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 요소 중 하나이다. On the other hand, in a cellular-wireless LAN interworking or a small cell receiver connection, in a system where heterogeneous cells are mixed, such as a small cell environment in which a femtocell and a macrocell coexist, the mutual interference is effectively controlled, Or controlling the access permission of the terminal is one of the essential technical elements for effectively using the cellular-wireless LAN resources.

이 과정에서 동일 주파수 자원에서의 이종 셀간 간섭이 매우 크게 작용할 경우, 단말이 특정 eNB(eNode B)와의 통신이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커버리지 손실(coverage loss) 또는 데드존(deadzone)에 들어가 연결(connection)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셀룰러-무선랜 연동 기술은 3GPP LTE-A Rel.13 이후에 매우 중요한 기술로 판단되며, 추후 비면허 대역에서 LTE를 활용한 LAA(licensed assisted access)와 같은 LTE-Unlicensed(LTE-U), IEEE 802.11 등과 같은 Wi-Fi 무선랜 통신에서 비면허 대역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제품 및 표준화 기술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this process, if inter-cell interference in the same frequency resource is very large, it is difficult for the UE to communicate with a specific eNode B (eNode B), and thus, coverage loss or deadzone occurs, )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cellular-wireless LAN interworking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technology after 3GPP LTE-A Rel.13, and it is expected that LTE-Unlicensed (LTE-U) such as licensed assisted access (LAA) ), IEEE 802.11, and so on,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variety of application products and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utilizing a license-exempt band in Wi-Fi wireless LAN communication.

한편,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은 넓은 서비스 영역, 즉 커버리지에 포함된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은 커버리지가 넓은 대신 셀의 경계영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중심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셀의 커버리지를 작게 설계할 경우, 셀간 동일 주파수 사용시 간섭(Interference)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간섭의 유형에 대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llular network base station can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erminals included in a wide service area, i.e., coverage. However, the cellular network base station has a problem that the data transmission rate in the boundary area of the cell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central area, instead of the coverage area being wid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coverage of the cell is designed to be small,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same frequency is used between cells. This type of interfer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도 1a 및 도 1b는 다계층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간섭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types of interference in a multi-layer network structure.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스몰셀(20a, 20b, 20c)의 경우 무선 전송 전력의 세기가 매크로셀(10)과 다르기 때문에 전파의 도달 거리가 매크로셀(10)과 다르다. 이로 인해, 매크로셀(10) 또는 스몰셀(20a, 20b, 20c)에 접속한 단말(100, 21a, 21b, 21c, 21d)은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으로 인해 해당 접속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간섭의 유형은 크게 이종 계층 간섭(Cross-tier Interference)과 동일 계층 간섭(Co-tier Interference)로 분류될 수 있다.1A, the small cell 20a, 20b, 20c differs from the macro cell 10 in the arrival distance of the radio wave because the radio transmission power is different from the macro cell 10 in the case of the small cells 20a, 20b and 20c.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terminals 100, 21a, 21b, 21c, and 21d connected to the macro cell 10 or the small cells 20a, 20b, and 20c to maintain the connection due to interference from other cells . At this time, the type of interferenc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cross-tier interference and a co-tier interference.

이종 계층 간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간에 발생하는 간섭의 유형으로서, 도 1b의 ①, ②, ③ 및 ④에 해당하는 간섭 유형에 해당한다. 이때,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유발되는 상황은, ①과 같이 매크로셀 단말(100)이 펨토셀(20a)에게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와, ③의 경우 스몰셀 단말(21b)이 매크로셀(10)에게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달리 하향링크 신호 간섭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②의 경우 매크로셀(10)이 스몰셀 단말(21a)에게 하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와, ④의 경우 스몰셀(20b)이 매크로셀 단말(100)에게 하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Heterogeneous layer interference is a type of interference occurring between different network elements, which corresponds to the interference types corresponding to (1), (2), (3) and (4) in FIG. In this case, the situation where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is caused may be a case wher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uses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to the femtocell 20a as in (1) and the case where the small cell terminal 21b is in the macro cell The mobile station 10 may cause uplink signal interference. Unlike the case where the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occurs, the case where the macrocell 10 causes the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terminal 21a and the case where the small cell 20b is the macrocell There is a case where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is caused to the terminal 100 in some cases.

동종 계층 간섭은 동일한 계층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에 발생하는 간섭의 유형으로서, 도 1b의 ⑤, ⑥에 해당하는 간섭이다. 이때, ⑤의 경우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스몰셀 단말(21c)이 스몰셀(20b)에게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와 이와 달리, ⑥의 경우 하향링크 신호 간섭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스몰셀(20c)이 스몰셀 단말(21d)에게 하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Homogeneous layer interference is a type of interference occurring between network elements of the same layer, which is the interference corresponding to ⑤ and ⑥ in FIG. 1B. At this time, when the small cell terminal 21c causes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20b in the situation where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is occurring in the case of (5),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occurs in the case of (6) There is a case where the small cell 20c causes the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terminal 21d.

한편, 이종 계층 간섭의 경우에는 스몰셀의 단말 접속 허용 방식에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스몰셀의 단말 접속 허용 모드는 모든 단말의 접속이 가능한 상태인 개방형 접속 모드, 멤버쉽을 가지고 있는 단말의 접속만이 가능한 상태인 폐쇄형 접속 모드 및 멤버쉽이 없는 특정 단말의 접속만을 허용하는 상태인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eterogeneous layer interference, the operations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rminal access permission scheme of the small cell. In this case, the small cell's terminal access permission mode is a mode in which all terminals can be connected, an open connection mode in which all terminals can be connected, a closed connection mode in which only the terminal having membership is available, and a state In hybrid connection mode.

이와 같은 스몰셀의 접속 방식 중 폐쇄형 접속 모드의 경우, 주변에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단말이 상향링크로 강한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주변의 스몰셀은 강한 간섭으로 인해 스몰셀의 커버리지(Coverage)에서 지원해야 할 통신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종 셀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접속을 유지하기 어려운 수준의 강한 간섭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해당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단말의 스몰셀로의 접속을 허용하거나 유지 관리 및 변경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In the case of the closed connection mode of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small cell, if a terminal, which is not allowed to connect to the periphery, transmits a strong signal in the uplink, the small cell in the periphery may receive coverage of the small cell due to strong interference,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be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cell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eds a technique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nnection even when strong interference with a level tha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nection is generated. In particular, And to support maintenance and change.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164호(발명의 명칭: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모드와 단말에 대한 액세스 허용 관리 방법)는 단말과 펨토 기지국간의 근거리 통신이나 펨토 기지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과 더불어 선행기술은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유발되는 강한 간섭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73164 entitled " Service mode of femto base station and method of managing access permission to terminals ") discloses a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using a femto base station Thereby changing the service mode of the femto base station.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or art can not solve strong interference caused from the macro cell termina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무선랜과 LTE 가 서로 연동하여 다계층셀 환경에서 매크로셀 단말이 유발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극복할 수 있는 매크로셀 및 스몰셀 기지국과 매크로셀 단말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을 제공한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between a macro cell and a small cell base station that can overcome uplink signal interference caused by a macro cell terminal in a multi- Provide a mitigation method.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은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상기 매크로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액세스 모드가 변경된 스몰셀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in a macro cell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via a cellular link of a small cell,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to the macro cell; Receiving information on a small cell that is interfered with by the uplink signal from the macro cell; Setting a wireless LAN link with a small cell that is interfered with by the uplink signal; Acquiring access permission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via the set wireless LAN link and handing over from the macro cell to the small cell in which the access mode is changed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to the hybrid access mode.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은 셀룰러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매크로셀 및 스몰셀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부터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상기 매크로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로 전송하며,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로 액세스 모드가 변경된 스몰셀로 핸드오버한다.The macro cell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acro cell and a small cell,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by executing the program, from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existing in the periphery of the cell terminal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to the macro cell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and receives the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from the macro cell Wherein the mobile station receives information on a small cell and establishes a wireless LAN link with a small cell interfering with the uplink signal through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 At this time, handover is performed from the macro cell to the small cell in which the access mode is changed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to the hybrid mode.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매크로셀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 전송으로 주변 스몰셀에 강한 간섭을 야기하는 경우, 스몰셀로의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스몰셀 탐색을 수행하여, 스몰셀로 핸드오버함으로써 스몰셀에 야기되는 강한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극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when the macrocell terminal causes strong interference to the neighboring small cell due to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the small cell search for controlling the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is performed, Handover can overcome the interference of the strong uplink signal caused by the small cell.

또한, 스몰셀로 핸드오버함에 있어서, 스몰셀과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바, 매크로셀과의 셀룰러 링크 접속을 해제하지 않고 통신 수행이 가능하며, 셀룰러 링크를 통해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데 따른 스몰셀의 트래픽 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urther, in the handover to the small cell, access permission is acquir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so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leasing the cellular link connection with the macro cel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raffic load problem of the small cell due to obtaining the access permission through the link.

도 1a 및 도 1b는 다계층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간섭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이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다계층 셀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의 블록도이다.
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types of interference in a multi-layer network struct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acro cel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plink signal interference occurring in a multi-layer cell environment.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generated from a macro cel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generated from a macro cel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macrocell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이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acro cel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매크로셀(10)의 경우 일반적으로 넓은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고, 스몰셀(20)의 경우 매크로셀(10)보다는 상대적으로 좁은 서비스 영역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스몰셀(20)은 매크로셀(10)의 서비스 영역에 하나 이상이 중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때, 매크로셀(10)과 스몰셀(20)은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가지며, 서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매크로셀(10)과 스몰셀(20)은 백홀(backhaul)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때, 백홀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macro cell 10 generally provides a wide service area and the small cell 20 provides a relatively narrow service area than the macro cell 10. [ One or more of such small cells 20 are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macro cell 10 in a superimposed manner. At this time, the macro cell 10 and the small cell 20 have different carrier frequencies and may use the same carrier frequency. The macro cell 10 and the small cell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ackhaul. At this time, the backhaul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s a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device, a cable home (MoCA), an Ethernet, an IEEE1294, an integrated wired home network, and an RS-485 control device.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매크로셀(10) 또는 스몰셀(2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크로셀 단말(100)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즉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connect to the macro cell 10 or the small cell 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macro cell terminal 100 may include a mobile station MS, a user equipment (UE), a user terminal (UT), a wireless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T), a terminal, a subscriber uni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unit (WTRU), a mobile node, a mobile, or other terminology. Various embodiments of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such a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Digital Assistants),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서의 매크로셀(10)과 스몰셀(20)과 같은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 릴레이(relay) 및 펨토셀(femto-cell) 등을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A base station such as the macro cell 10 and the small cell 20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fers to a fixed or mobile point in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includes a base station, a Node- , an eNode-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 relay, and a femto-cell.

도 3은 다계층 셀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plink signal interference occurring in a multi-layer cell environment.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펨토셀과 같은 스몰셀(20a, 20b)의 경우, 특정 단말(21a, 21b)만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스몰셀(20a, 20b)은 등록된 사용자(21a, 21b)만의 접속을 허용하고 있다. 이때, 스몰셀 주변(20a, 20b)에 매크로셀 단말(100)이 존재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에서 심각한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데드존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small cells 20a and 20b such as the femtocell operating in the closed connection mode, only the specific terminals 21a and 21b can be set to be connectable. That is, the small cells 20a and 20b allow only the registered users 21a and 21b to connect. At this time, when the macrocell terminal 100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small cells 20a and 20b, as shown in FIG. 3, serious interference occurs in the uplink, and a dead zone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occurs.

즉, 도 3에서와 같이 다계층 셀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간섭은 매크로셀(10)에 접속한 매크로셀 단말(100)이 매크로셀(10)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주변의 스몰셀(20a)은 매크로셀 단말(100)이 전송하는 강한 상향링크 신호로 인해 간섭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스몰셀(20a)은 스몰셀 단말(21a)이 상향링크로 스몰셀(20a)에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어, 스몰셀(20a) 전체 커버리지의 통신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매크로셀 단말(100)이 유발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으로 인해 스몰셀(20a) 및 스몰셀 단말(21a)은 통신 커버리지에서 제외되는 데드존(deadzone) 영역에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은 해당 간섭을 스몰셀(20a, 20b)이 인지하고, 매크로셀(10)로 간섭 관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100)을 스몰셀 단말(20a)로 핸드오버시켜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3, when the macrocell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macrocell 10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macrocell 10, the uplink interference in the multi-layered cell environment is a closed- The small cell 20a in the vicinity of the macrocell terminal 100 is interfered with due to the strong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crocell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small cell 20a can not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small cell 20a by the small cell terminal 21a in the uplink, and communication of the entire small cell 20a may become impossible. That is, due to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caused b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he small cell 20a and the small cell terminal 21a fall into the dead zone area excluded from the communication coverag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uplink interference by recognizing the interference by the small cells 20a and 20b and requesting the macrocell 10 to perform interference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terference problem by handing over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o the small cell terminal 20a.

한편, 본 발명에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uplink (UL, or uplink) means a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base station by a terminal, and a downlink (DL or downlink) It means the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generated from a macro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를 참조하면, 매크로셀(10)에 접속된 매크로셀 단말(100)이 매크로셀(10) 주변에서 강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매크로셀 단말(100)의 주변에 위치한 스몰셀(20)이 스몰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려 할 때, 매크로셀 단말(100)의 강한 상향링크 신호 간섭으로 인해 스몰셀(20)은 스몰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해당 스몰셀(20)의 멤버쉽이 없는 매크로셀 단말(100)은 주변에 스몰셀(20)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스몰셀(20)로 핸드오버할 수 없어, 스몰셀(20)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유발하게 된다.4, when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macro cell 10 transmits a strong uplink signal around the macro cell 10, the small cell located near the macro cell terminal 100 20 to receive the uplink signal from the small cell terminal, the small cell 20 can not receive the uplink signal of the small cell terminal due to the stro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having no membership of the small cell 20 can not perform the handover to the small cell 20 even though the small cell 20 exists in the periphery, Thereby caus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이와 같은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있는 경우 스몰셀(20)은 이를 감지하고(S410), 백홀(backhaul)을 통해 형성된 통신 채널(예를 들어, 이더넷 네트워크(Ethernet Network, SON server 등)을 통해 해당 매크로셀(10)에게 간섭 관리(Interference Management, IM)를 요청한다(S415). 간섭 관리 요청을 수신한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10) 내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주변 스몰셀(20)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420). 이에 따라, 매크로셀(10)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매크로셀 단말(100)은 자신의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한다(S425). 즉,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이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점마다 전송하는 스몰셀(2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스몰셀(20)의 정보는 해당 스몰셀(20)의 ID 및 현재 서비스 모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ID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스몰셀(20)을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몰셀(20)의 정보는 3GPP의 경우 스몰셀(20)의 PIC(Physical Cell ID),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 스몰셀(20)의 검색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If there is such an uplink signal interference, the small cell 20 detects this interference (S410), and transmits the MAC address of the macro cell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through a backhaul (for example, an Ethernet network The macro cell 10 having received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requests interference management (IM) to the cell 10. Upon receiving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the macro cell 10 transmits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to one or more terminals connected in the macro cell 10, The one or more macro cell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macro cell 10 are searched for one or more small cells 20 located in the vicinity there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via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o be transmitted periodically or at a specific time point is received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may be information on the ID of the small cell 20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service mode and may be information on the small cell 20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small cell 20 based on the I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ll cell 20 such as the PIC (Physical Cell ID) and th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of the small cell 20 in the 3GPP, for example. As shown in Fig.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위와 같은 스몰셀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 후 핸드오버되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operating in the closed connection mode, and the cellular phone of the small cell 20 Data can be exchang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when the access is granted through the link and then handed over.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신한 스몰셀(20)의 정보는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은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스몰셀(20)에 대하여 스캐닝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해서만 스캐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cro cell terminal 100 may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In this case, And information on the small cell 20 to be managed. Accordingl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scan only the small cell 20 managed by the macro cell 10, rather than scanning all the small cells 20 existing in the vicinity thereof.

매크로셀 단말(100)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스몰셀(20) 정보를 매크로셀(10)로 전송하면(S430), 매크로셀(10)은 백홀을 통해 스몰셀(20)로 스몰셀(20) 주변의 단말정보와 강한 간섭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의심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한다(S435). 또한,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 단말(100)로, 매크로셀 단말(100)이 유발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전송한다(S440). 한편, 스몰셀(20)은 무선랜(30)과 같이 짧은 커버리지 및 실내 또는 핫스팟에서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으로서 무선랜(30)을 함께 포함하고 있으므로,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 단말(100)에게 스몰셀(20)의 정보 전송시 무선랜(30)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the acquired at least one small cell 20 information to the macro cell 10 at step S430 and the macro cell 10 transmits the acquired small cell 20 information to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backhaul 20, Information of one or mor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s 100 suspected of causing strong interference with neighboring termi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S435). The macro cell 10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20 that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caused b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o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t step S440. Since the small cell 20 includes the wireless LAN 30 as a base station that supports communication in the indoor or hot spot as well as the short coverage like the wireless LAN 30,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LAN 30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다음으로, 매크로셀 단말(100)은 무선랜을 활성화시키고(S445), 스몰셀(20)의 무선랜(30)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스몰셀(20)의 무선랜(30)과 접속하거나,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몰셀(20)의 무선랜(30)을 활성화시킬 것을 요청하여 무선랜(30)을 활성화시킨다(S450). 그리고, 스몰셀(20)의 정보와 무선랜(30)의 정보를 이용하여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 또는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을 수행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무선랜 링크에 접속한다(S455). 여기서, 패시브 스캐닝은 매크로셀 단말(100)이 특정 채널을 일정 시간 동안 리스닝 (listening) 함으로써 해당 무선랜 링크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 검색하는 방법이고, 액티브 스캐닝은 매크로셀 단말(100)이 무선랜에서 정의된 특정 채널을 통해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과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해당 채널에 존재하는 무선랜과 주고 받음으로써 주변 무선랜을 검색하는 방법이다.Next,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tivates the wireless LAN (S445). When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is activate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onnects to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If it is not activated, the wireless LAN 30 is activated by requesting activation of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S450). The mobile station 20 performs active scanning or passive scanning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and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LAN 30 so that the radio waves of the small cell 20, And connects to the LAN link (S455). Here, passive scanning is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a corresponding wireless LAN link exists by listening to a specific channe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arching the macrocell terminal 100, and active scanning is performed when the macrocell terminal 100 is defined in the wireless LAN A probe request and a probe response are exchanged with a wireless LAN existing on a corresponding channel through a specific channel to search for a neighboring wireless LAN.

이와 같이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고 난 후, 설정된 스몰셀(20)의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다(S460). 매크로셀 단말(100)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고 나면, 스몰셀(20)은 액세스 모드를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변경하고(S465), 매크로셀 단말(100)은 매크로셀(10)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여 매크로셀(10)로부터 스몰셀(20)로 핸드오버된다(S470).After establishing the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2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small cell 20 obtains the access permission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of the set small cell 20 (S460). After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quires the access permission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he small cell 20 changes the access mode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to the hybrid connection mode (S465) The terminal 100 receives a handover command from the macrocell 10 and is handed over from the macrocell 10 to the small cell 20 (S470).

한편, 스몰셀(20)이 액세스 모드를 특정 단말만의 액세스를 허용하던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변경함에 따라, 멤버쉽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임의의 단말에게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몰셀(20)은 필요에 따라 특정 단말에게 자신의 액세스 모드가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ll cell 20 may allow access to any terminal that does not have membership, by changing the access mode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in which only the specific terminal is allowed to access to the hybrid connection mode. Accordingly, the small cell 20 can notify the specific terminal, if necessary, that its access mode has been changed to the hybrid access mode.

이와 달리, 스몰셀(20)은 액세스 모드를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변경함에 있어, 무선랜 링크를 통해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 매크로셀 단말(100)만의 액세스를 허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 다르게 스몰셀(20)은 특정 단말에게 자신의 액세스 모드가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Alternatively, in changing the access mode to the hybrid access mode, the small cell 20 may allow access only to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hat has acquired the access permission via the wireless LAN link. In this case, the small cell 20 may not notify the specific terminal that its access mode is changed to the hybrid access mode, as described above.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과 통신함과 동시에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10)과 통신이 가능하다(S4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통신 모듈을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바, 셀룰러 링크 접속을 해제하지 않고 무선랜-LTE간 연동을 지원할 수 있어 트래픽의 분산으로 인한 기지국 부하를 분산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macro cell 1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mall cell 20 via the wireless LAN link (S4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by using two communication modules independently, and it is possible to support interworking between WLAN and LTE without releasing a cellular link connection, It can have an effect of being able to process it.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uplink signal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generated from the macro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generated from a macro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은 먼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획득하고(S510),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로 전송한다(S520).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generated from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transmits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to the macro cell terminal 100 via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is acquired (S510), an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20 is transmitted to the macro cell 10 (S520).

이때, 스몰셀(20)은 매크로셀 단말(100)로부터 발생되는 상향링크 신호로 인해 간섭을 받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해당 매크로셀(10)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관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매크로셀(10)은 간섭 관리 요청에 대응하여 매크로셀 단말(100)에게 매크로셀 단말(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매크로셀(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10)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매크로셀 단말(100)과, 매크로셀 단말(100)들이 전송한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비교하여, 스몰셀(20)로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을 추출하고,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를 백홀을 통해 스몰셀(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한 스몰셀(20)의 정보는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 단말(100)은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스몰셀(20)을 스캐닝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해서만 스캐닝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mall cell 20 receives interference due to the uplink signal generated from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nd requests the macrocell 10 to perform interference management for the uplink signal in order to mitigate such interference . The macro cell 10 can request information of one or more small cells 20 existing aroun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Accordingl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quires th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20 existing around the small cell 20 via the cellular link,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cro cell 10. The macro cell 10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macro cell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macro cell 10 with th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20 transmitted by the macro cell terminals 100, It is possible to extract one or more candidate macro cell terminals 100 causing uplink interference with the small cell 20 a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 cell terminal 100 to the small cell 20 through a backhaul.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In this case,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is transmitted to the macro cell 10 And information on the small cell 20 to be managed. Accordingly, the macrocell terminal 100 can scan only the small cell 20 managed by the macrocell 10, rather than scanning all the small cells 20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macrocell terminal 100.

다음으로, 매크로셀 단말(100)은 매크로셀(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수신한다(S530). 즉,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10)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매크로셀 단말(100)로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몰셀(20)의 정보는 스몰셀(20)의 현재 서비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이 개방형 접속 모드, 폐쇄형 접속 모드로 동작 중인지 아니면 하이브리드 모드로 동작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Next, the macro cell terminal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from the macro cell 1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S530). That is, the macro cell 1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hat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to one or more macro cell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macro cell 1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ervice mode of the small cell 20. That is,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acquire information on whether the small cell 20 is operating in the open connection mode, the closed connection mode, or the hybrid mode.

또한, 스몰셀(20)의 정보에는 스몰셀(20)의 무선랜(30)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랜(30) 정보는 무선랜(30)의 SSID 및 MAC 어드레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무선랜(30)의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The wireless LAN 30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SSID and a MAC address of the wireless LAN 30. However,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LAN 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s needed.

다음으로, 매크로셀 단말(100)은 무선랜을 활성화시킨다(S540). 이때, 매크로셀 단말(100)의 무선랜이 이미 사용중인 경우에는, 별도로 활성화시킬 필요없이 기 사용중인 무선랜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크로셀 단말(100)의 무선랜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매크로셀 단말(100)은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한다(S550). 일반적으로 단말과 스몰셀(20)의 경우 무선랜(3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이 무선랜(30)을 통해 동작 중인 경우, 스몰셀(20) 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할 수 있고, 스몰셀(20)의 무선랜(30)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향링크를 통해 스몰셀(20)의 무선랜(30)을 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매크로셀 단말(100)은 해당 스몰셀(20)이 인지 가능한 상향링크 신호를 직접 전송하여 스몰셀(20)의 무선랜(25)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이 미리 설정된 상향링크 신호를 스몰셀(20)로 전송하여 스몰셀(20)의 무선랜(25)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ACH를 통해 특정 Random access sequence를 무선랜(25) 활성화를 위한 상향링크 신호로 사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스몰셀(20)의 시스템 정보를 매크로셀 단말(100)이 스몰셀(20)의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통해 획득하거나 매크로셀(1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tivates the wireless LAN (S540). At this time, if the wireless LAN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is already in use, the wireless LAN in use can be used without being separately activated. In this manner, in a state where the wireless LAN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is activate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establishes a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20 that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S550). In general, the terminal and the small cell 20 include a wireless LAN 30. [ Therefore, when the small cell 20 is operating through the wireless LAN 30,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establish a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20, ) Is not activated, it may request to activate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uplink. That is,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LAN 25 of the small cell 20 by directly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 that the small cell 20 can recognize. In this case, the macrocell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preset uplink signal to the small cell 20 via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o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LAN 25 of the small cell 20 have. For example, a specific random access sequence may be predefined and transmitted as an uplink signal for activating the WLAN 25 through the RACH. At this time, the system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can be obtained b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downlink control signal of the small cell 20 or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macro cell 10.

이와 더불어, 매크로셀 단말(100)이 매크로셀(10)과의 상향링크를 통해 해당 스몰셀(20)의 무선랜(25)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스몰셀(20)이 백본을 통해 매크로셀(10)로부터 무선랜(25)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여 무선랜(25)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rocell terminal 100 may request to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LAN 25 of the corresponding small cell 20 through the uplink to the macrocell 10,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LAN 25 by receiving the activation command of the wireless LAN 25 from the macro cell 10 through the backbone.

이때, 매크로셀 단말(100) 또는 스몰셀(20)의 무선랜(30)은 와이파이(Wi-Fi)일 수 있다. 그리고 매크로셀 단말(100)과 스몰셀(20)의 무선랜(30)을 통해 설정된 무선랜 링크는 LTE-U(LTE-Unlicensed) 또는 와이파이의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or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may be Wi-Fi. The wireless LAN link established through the wireless LAN 30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nd the small cell 20 may be provided through a license-exempt band of LTE-U (LTE-Unlicensed) or Wi-Fi.

다음으로, 매크로셀 단말(100)은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다(S560). 이때, 스몰셀(20)은 접속한 무선랜 링크를 통해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상향링크 간섭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무선랜 링크를 통해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의 세기 및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이 접속한 매크로셀(10)의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스몰셀(20)은 무선랜 링크를 통하여 매크로셀 단말(100)의 인증을 위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매크로셀(10)로부터 핸드오버시키기 위한 정보 등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Next, the macro cell terminal 100 obtains access permission via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set wireless LAN link (S560). At this time, the small cell 20 can estimate the uplink interference level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connected WLAN link. That is, it is possible to share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of the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and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macrocell 10 connected to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In addition, the small cell 2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for authentication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Various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to overcome signal interference.

스몰셀(20)은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100)을 추출하고, 추출한 매크로셀 단말(100)에게 액세스를 허가하며, 핸드오버를 위해 추출된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를 매크로셀(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10)은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100)을 스몰셀(20)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The small cell 20 extracts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using the uplink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 cell terminal 100, permits access to the extracted macro cell terminal 100,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macro cell terminal 100 to the macro cell 10. Accordingly, the macro cell 10 can handover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using the uplink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20.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과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로 핸드오버 되기 전에 매크로셀(10)과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an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That is,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continue communication with the macro cell 10 before being handed over to the small cell 2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 경우, 스몰셀(20)은 서비스 모드를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변경한다. 그리고, 스몰셀(20)의 액세스 모드에 대한 허가를 획득한 매크로셀 단말(100)은, 매크로셀(10)로부터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 스몰셀(20)로 핸드오버된다(S570). 이와 같이 스몰셀(20)의 서비스 모드가 변경된 경우,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 또는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로부터 서비스 모드의 변경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스몰셀(20)의 서비스 모드가 변경되었다는 정보는 스몰셀(20)이 백홀(backhaul)을 통해 매크로셀(10)로 전송할 수 있고, 매크로셀(10)이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macrocell terminal 100 acquires the access permission via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mall cell 20 changes the service mode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to the hybrid connection mod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hat has obtained the permission for the access mode of the small cell 20 is handed over to the small cell 20 that has obtained the access permission from the macro cell 10 (S570). When the service mode of the small cell 20 is change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nge of the service mode is completed from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r the wireless LAN link of the small cell 20 . Separately,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rvice mode of the small cell 20 has been changed can be transmitted to the macro cell 10 through the backhaul, and the macro cell 10 can transmit the macro cell 10 via the cellular link.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ell terminal 1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 획득을 위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한 스몰셀(20)의 정보와 스몰셀(20)의 무선랜(30) 정보를 비교하여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받는 스몰셀(20)과 무선랜 링크가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interference in a small cell 20 acquired through a cellular link of a small cell 20 to obtain an access permission through a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to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LAN link is established with the small cell 20 receiving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먼저, 매크로셀 단말(100)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기 위해, 매크로셀 단말(100)은 먼저 스몰셀(20)의 무선랜(30)과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한 스몰셀(20)의 정보와 무선랜 링크를 통해 수신한 스몰셀(20)의 정보에 기초하여, 스몰셀(20)과 설정된 무선랜 링크가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무선랜(30)과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한 스몰셀(20)의 정보와 무선랜(30) 링크를 통해 수신한 스몰셀(20)의 정보의 일치 여부에 기초하여 스몰셀(20)과 설정된 무선랜 링크가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무선랜(30)과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신한 스몰셀(20)의 정보는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매크로셀 단말(100)은 설정된 무선랜 링크가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무선랜과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스몰셀(20)로 전달하여, 해당 스몰셀(20)과 무선랜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macro cell terminal 100 first connects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to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in order to obtain the access permission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is acquir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acquir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and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received via the wireless LAN link,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the small cell 20 20 and the set wireless LAN link is set to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For exampl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acquir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and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LAN 30 link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mall cell 20 and the set wireless LAN link are set to the wireless LAN 30 of the small cell 2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At this time, the macro cell terminal 100 may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In this case,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is transmitted to the macro cell 10 And information on the small cell 20 to be managed. When the macro cell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set wireless LAN link is set to the wireless LAN of the small cell 20 receiving the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mall cell 20, 20) to obtain access permission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이와 달리,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한 스몰셀(20) 정보를 스몰셀(20)이 수신하고 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먼저 매크로셀 단말(100)은 무선랜(30) 링크가 설정된 스몰셀(20)로,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한 스몰셀(20)의 정보를 전송한다. 스몰셀(20)은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무선랜 링크가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100)과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매크로셀 단말(100)은 이에 대한 판단 결과를 스몰셀(20)로부터 수신한다.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셀 단말(100)은 설정된 무선랜 링크가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무선랜과 설정된 것으로 확인하고,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로의 액세스 허가를 위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small cell 20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and compare the received small cell 20 information.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acquir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o the small cell 20 to which the wireless LAN 30 link is set. The small cell 20 receives such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t wireless LAN link is set up with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using the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The macro cell terminal 100 determines And receives the result from the small cell 20.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 macrocell terminal 100 confirms that the set wireless LAN link is set to the wireless LAN of the small cell 2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mall cell 20 via the wireless LAN link It is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for access permission.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서 설명한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매크로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each component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performed by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의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acro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은 셀룰러 통신 모듈(610), 무선랜 통신 모듈(620), 메모리(630) 및 프로세서(640)를 포함한다.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610,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620, a memory 630, and a processor 64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6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may perform predetermined roles can do.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us, by way of example, an element may compris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within thos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통신 모듈(610)은 매크로셀(10) 또는 스몰셀(20)과 셀룰러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무선랜 통신 모듈(620)은 스몰셀(20)의 무선랜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무선랜 통신 모듈(620)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data via the cellular link with the macro cell 10 or the small cell 20.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620 establishes a wireless LAN link with the wireless LAN of the small cell 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620 may be implemented by a wireless LAN (W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 GHz WPAN, Binary-CDMA, wireless USB technology and wireless HDMI technology.

메모리(630)에는 매크로셀(10) 및 스몰셀(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63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63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mory 630, a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macro cell 10 and the small cell 20 is stored. Here, the memory 63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keep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or example, the memory 630 may be a compact flash (CF) card, a secure digital (SD) card, a memory stick, a solid- A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 such as a NAND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and the like, and an optical disc drive such as a CD-ROM, a DVD-ROM, etc. .

또한, 메모리(6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63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may perform predetermined roles.

프로세서(640)는 메모리(6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프로세서(640)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셀룰러 통신 모듈(610)에 의해 연결된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1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매크로셀 단말(100)로 인해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받고 있는 스몰셀(20)이 매크로셀(10)로 간섭 관리를 요청하고, 매크로셀(10)은 간섭 관리 요청에 대응하여 매크로셀 단말(100)에게 매크로셀 단말(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매크로셀(10)로 전송한다.The processor 640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630. At this time, the processor 640 executes one or more small cells 20 existing aroun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connected by the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610, And transmits the obtaine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20 to the macro cell 1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 Specifically, the small cell 20 receiving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b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requests interference management to the macro cell 10, and the macro cell 10 transmits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to the macro cell 10 And requests information on one or more small cells 20 existing aroun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o the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cro cell 10.

한편, 매크로셀 단말(100)은 스몰셀(20)의 정보를 매크로셀(1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한 스몰셀(20)의 정보는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매크로셀 단말(100)은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스몰셀(20)에 대하여 스캐닝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셀(10)이 관리하는 스몰셀(20)에 대해서만 스캐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10. In this case,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is transmitted to the macro cell 10 And information on the small cell 20 to be managed. Accordingl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n scan only the small cell 20 managed by the macro cell 10, rather than scanning all the small cells 20 existing in the vicinity thereof.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 단말(100)이 전송한 스몰셀(20)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를 스몰셀(20)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매크로셀(10)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셀 단말(100)로 상향링크 신호 간섭을 받고 있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20)의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매크로셀 단말(100)은 통신 모듈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의 정보를 수신한다.The macro cell 10 extracts the information of one or mor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s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transmitted by the macrocell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mall cell 20. At the same time, the macro cell 10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20 receiving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to the at least one macro cell terminal 100, and accordingly,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2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프로세서(640)는 무선랜 통신 모듈(620)을 활성화시키고, 무선랜 통신 모듈(620)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20)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한다. 이때, 매크로셀 단말(100)의 무선랜 통신 모듈(260)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활성화를 요청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다. 이때, 스몰셀(20)은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100)을 추출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매크로셀(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몰셀(20)은 추출된 매크로셀 단말(100)에 기초하여 스몰셀(20)의 액세스에 대한 허가를 부여한다. The processor 640 activates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620 and establishes a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20 that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through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620. At this time, when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260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is already activated, it is not necessary to request another activation. And acquires access permission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through the set wireless LAN link. At this time, the small cell 20 extracts the macrocell terminal 100 causing the uplink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macrocell 10. Then, the small cell 20 grants access to the small cell 20 on the basis of the extracted macro cell terminal 100.

이때, 스몰셀(20)은 접속한 무선랜 링크를 통해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상향링크 간섭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무선랜 링크를 통해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의 세기 및 후보 매크로셀 단말(100)이 접속한 매크로셀(10)의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스몰셀(20)은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100)을 추출하고, 추출한 매크로셀 단말(100)에게 액세스를 허가한다. 즉, 매크로셀 단말(100)이 스몰셀(20)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 경우, 스몰셀(20)은 서비스 모드를 폐쇄 서비스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서비스 모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10)은 스몰셀(20)로부터 전송받은 매크로셀 단말(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셀 단말(100)을 매크로셀(10)로부터 액세스 허가를 받은 스몰셀(20)로 핸드오버시킨다.At this time, the small cell 20 can estimate the uplink interference level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connected WLAN link. That is, it is possible to share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of the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and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macrocell 10 connected to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 small cell 20 extracts the macro cell terminal 100 causing the uplink interference, and grants access to the extracted macro cell terminal 100. That is, when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quires the access permission of the small cell 20, the small cell 20 changes the service mode from the closed service mode to the hybrid service mode. The macro cell 10 transmits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o the small cell 20 which has received the access permission from the macro cell 1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ted from the small cell 20 Handov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셀 단말(100) 및 매크로셀 단말(100)로부터 유발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은, 매크로셀 단말(100)이 상향링크 신호 전송으로 주변 스몰셀(20)에 강한 간섭을 야기하는 경우, 스몰셀(20)로의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스몰셀(20) 탐색을 수행하여, 스몰셀(20)로 핸드오버함으로써 스몰셀(20)에 야기되는 강한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극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induced from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nd the macro cel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macro cell terminal 100 transmits the uplink signal to the neighboring small cell 20 The mobile station 20 searches for a small cell 20 to control the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20 and performs handover to the small cell 20 so that strong strong uplink signals Interference can be overcome.

또한, 스몰셀(20)로 핸드오버함에 있어서, 스몰셀(20)과 무선랜 링크를 통해 스몰셀(20)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바, 매크로셀(10)과의 셀룰러 링크 접속을 해제하지 않고 통신 수행이 가능하며, 셀룰러 링크를 통해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데 따른 스몰셀(20)의 트래픽 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handover to the small cell 20, access is permitted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20 via the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20, Th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leasing the connection, and the traffic load problem of the small cell 20 due to obtaining the access permission through the cellular link can be sol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ose elem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매크로셀
20, 20a, 20b, 20c: 스몰셀
21a, 21b, 21c, 21d: 스몰셀 단말
30: 무선랜
100: 매크로셀 단말
610: 셀룰러 통신 모듈
620: 무선랜 통신 모듈
630: 메모리
640: 프로세서
10: Macro cell
20, 20a, 20b, 20c: Small cell
21a, 21b, 21c, 21d: Small cell terminal
30: Wireless LAN
100: Macro cell terminal
610: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620: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630: Memory
640: Processor

Claims (17)

매크로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에 있어서,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상기 매크로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액세스 모드가 변경된 스몰셀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A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in a macro cell terminal,
Obtain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existing around the macro cell terminal through a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to the macro cell;
Receiving information on a small cell that is interfered with by the uplink signal from the macro cell;
Setting a wireless LAN link with a small cell that is interfered with by the uplink signal;
Acquiring an access permission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set wireless LAN link; and
And handover from the macro cell to the small cell in which the access mode is changed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to the hybrid access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셀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셀 단말로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스몰셀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몰셀 각각의 ID 및 현재 서비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cro cell transmit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that is interfered with the uplink signal to one or more macro cell terminals,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D of each of the one or more small cells and the current service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은 상기 매크로셀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관리를 요청하고,
상기 매크로셀은 상기 간섭 관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후보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를 상기 스몰셀로 전송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ll cell requests interference management of the uplink signal to the macro cell,
Wherein the macrocell transmit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that generates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to the small cell in response to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셀은 상기 간섭 관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크로셀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crocell requests information on one or more small cells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macrocell terminal to the macrocell terminal in response to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received from the macrocell terminal And extracts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 cell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은 상기 후보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를 매크로셀에 전송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로 액세스 모드가 변경된 스몰셀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스몰셀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허가를 획득한 스몰셀로 핸드오버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mall cell extracts a macrocell terminal that causes the uplink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macro cell terminal to a macro cell,
The step of handing over to the small cell in which the access mode is changed in the hybrid access mode,
Wherein the mobile station is handed over to the small cell that has obtained the access permission upon receipt of a handover command from the macro cell to the small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의 정보에는 상기 스몰셀의 무선랜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랜 정보는 SSID 및 MAC 어드레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further includes wireless LAN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Wherein the wireless LA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SSID and a MAC addr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의 무선랜에 대한 활성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wireless LAN link with the small cell comprises:
And requesting activation of a small cell of the wireless LAN that is interfered with by the uplink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셀 단말은 상기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과 통신함과 동시에 상기 매크로셀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cro cell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small cell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and at the same time communicates with the macro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의 세기 및 상기 매크로셀 단말이 접속한 매크로셀의 접속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몰셀로부터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cquiring the access permission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includes:
Sharing at least one of an intensity of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and access information of a macro cell connected to the macro cel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And acquiring access permission from the small cell based on the shared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 또는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로부터 상기 서비스 모드의 변경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change completion of the service mode from the small cell through the cellular link or the wireless LAN link of the small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링크는 LTE-U 또는 와이파이의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LAN link is provided over a license-exempt band of LTE-U or Wi-Fi.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의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스몰셀의 정보는 상기 매크로셀이 관리하는 스몰셀에 대응하는 정보인 것인, 상향링크 신호 간섭 완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macro cell terminal comprises:
Acquiring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cell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mall cell managed by the macro cell.
매크로셀 단말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매크로셀 및 스몰셀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부터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상기 매크로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매크로셀로 전송하며,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 스몰셀과 무선랜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스몰셀의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되,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폐쇄형 접속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로 액세스 모드가 변경된 스몰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인, 매크로셀 단말.
In the macro cell terminal,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Memory in which program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cro cells and small cells are stored, an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As the processor executes the program,
Acquir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mall cell existing in the periphery of the macro cell terminal from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to the macro cell through the cellular link of the macro cell Receives information on a small cell which is interfered with an uplink signal from the macro cell,
Setting up a wireless LAN link with a small cell that is interfered with by the uplink signal through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acquiring access permission to the cellular link of the small cell through the set wireless LAN link,
Wherein the handover from the macro cell to the small cell in which the access mode is changed from the closed connection mode to the hybrid mode is perform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을 통해 설정된 상기 무선랜 링크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의 세기 및 상기 매크로셀 단말이 접속한 매크로셀의 접속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공유하고,
상기 공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몰셀로부터 상기 셀룰러 링크로의 액세스 허가를 획득하는 것인, 매크로셀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ocessor shares at least one of an intensity of the uplink signal interference and access information of a macro cell connected to the macro cel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LAN link established through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acquires an access permission from the small cell to the cellular link based on the shared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은 상기 매크로셀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관리를 요청하고,
상기 매크로셀은 상기 간섭 관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후보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를 상기 스몰셀로 전송하는 것인, 매크로셀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mall cell requests interference management of the uplink signal to the macro cell,
Wherein the macrocell transmit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that generates interference of the uplink signal in response to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to the small cel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셀은 상기 간섭 관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크로셀 단말에게 상기 매크로셀 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매크로셀 단말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스몰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매크로셀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acrocell requests information on one or more small cells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macrocell terminal to the macrocell terminal in response to the interference management request,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mall cell received from the macrocell terminal And extracts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 cell termin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은 상기 후보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매크로셀 단말의 정보를 매크로셀에 전송하며,
상기 매크로셀은 상기 상향링크 간섭을 유발하는 매크로셀 단말을 상기 스몰셀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인, 매크로셀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mall cell extracts a macrocell terminal that causes the uplink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macrocell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macro cell terminal to a macro cell,
Wherein the macrocell handover the macro cell terminal causing the uplink interference to the small cell.
KR1020150010071A 2014-06-18 2015-01-21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result from macrocell device KR2016001113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4093P 2014-06-18 2014-06-18
US62/014,093 2014-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30A true KR20160011130A (en) 2016-01-29

Family

ID=5531019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071A KR20160011130A (en) 2014-06-18 2015-01-21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result from macrocell device
KR1020150010073A KR20160011132A (en) 2014-06-18 2015-01-21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by wireless lan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20150010074A KR20160011133A (en) 2014-06-18 2015-01-2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base station and device
KR1020150010070A KR20160019035A (en) 2014-06-18 2015-01-21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in macrocell device
KR1020150010072A KR20160011131A (en) 2014-06-18 2015-01-21 Device and method for outbound detec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073A KR20160011132A (en) 2014-06-18 2015-01-21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by wireless lan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20150010074A KR20160011133A (en) 2014-06-18 2015-01-2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base station and device
KR1020150010070A KR20160019035A (en) 2014-06-18 2015-01-21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downlink signal interference in macrocell device
KR1020150010072A KR20160011131A (en) 2014-06-18 2015-01-21 Device and method for outbound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60011130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31A (en) 2016-01-29
KR20160011132A (en) 2016-01-29
KR20160011133A (en) 2016-01-29
KR20160019035A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599B2 (en) Device support for scalable neutral host and private LTE/5G network discovery, and device mobility
JP7450661B2 (en) Distributed mobility for wireless devices
US9769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ystem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969117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ing over user equipment from a serving base station to a target base station
JP2023162318A (en) Receiver beamforming for measurement
US201702019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781659B2 (en) Proximity detection for femtocells using out-of-band links
US9025579B2 (en)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procedure
JP2017153149A (en) Out-of-band scanning for femto access point detection
JP2020500456A (en) Beam management for different levels of beam handling
WO2019227278A1 (en) Ue based fast return from 3g to 5g
KR102400942B1 (en) Methods for backhaul operations in millimeter wave networks
JP2015510742A (en) Proximity indication using out-of-band links
JP5859647B2 (en) Uniquely identifying the target femtocell to allow active hand-in
JP6740257B2 (en) Redirection in Neutral Host Network
US96291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140616B2 (en)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block acquisition
EP34049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over of wireless communications in heterogeneous networks
WO2021236609A1 (en) Network triggered handover
US10623085B2 (en) Relay
JP7053878B2 (en) Improved cell access procedure
KR102035770B1 (en) Method to improve emergency call continuity by allowing inbound mobility towards non-member csg cells
KR1023572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handover in heterogeneous networks
KR20160011130A (en) Macrocell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uplink signal interference result from macrocell device
WO2024045882A1 (en)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