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051A -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 Google Patents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051A
KR20160011051A KR1020140092031A KR20140092031A KR20160011051A KR 20160011051 A KR20160011051 A KR 20160011051A KR 1020140092031 A KR1020140092031 A KR 1020140092031A KR 20140092031 A KR20140092031 A KR 20140092031A KR 20160011051 A KR20160011051 A KR 20160011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urce
earset
power
audio signal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향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아이티
Priority to KR102014009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051A/en
Publication of KR2016001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0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earset, which performs an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by being connected to a device, comprises: a microphone which changes a sound of a user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 driving element forme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in the audio signal process. The earset receives power from a first power supply inside the device when the microphone is operated, and receives power from a second power supply inside the device when the driving element is operated. When a power supply to the driving element inside the earset is required, the performance of the earset can be increased as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device. A stable voltage application is possible by using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element as a bios power of the earset and an additional power.

Description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본 발명은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셋 내부의 구동 소자에 전원 공급이 필요한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이어셋의 성능을 높일 수 있고, 구동 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이어셋의 바이오스 전원과 별도의 전력 전원으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전압 인가가 가능한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earphone. More specifically, when power supply is required to the drive element in the earset, power is supplied from the devic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earset,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통상적으로 이어셋은 PC,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기기들에 연결되고, 사용자에게 음악 재생시 스피커로서 동작하며, 통화시 마이크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는 손실이 적고 노이즈가 적은 음질의 음악 또는 통화 품질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다.Typically, the earset is connected to devices such as a PC,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serves as a speaker for music playback, and provides a microphone during a call. Also, as technology develops, there is a great deal of effort to reflect this, as users require low quality music with low loss and low noise, or call quality.

그런데, 이어셋은 자체가 독립한 전원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내부에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능동 소자를 형성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However, since the earset itself does not have an independent power source, it is a common practice to form an active element for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earset.

본 발명은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내부의 구동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set capable of receiving power from a device and driving an internal driving element,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은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셋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에서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2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device and performs an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The earset includ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driving element forme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wherein when power is supplied from a first power source in the device during operation of the microphon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인가된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 1 전원인지 또는 상기 제 2 전원인지를 구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 또는 구동 소자를 연결하는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circuit for comparing the input voltage applied from the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to distinguish the first power source or the second power source and connect the microphone or the driving device accordingly.

그리고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전원,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switching circuit may determine that power is appli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when the inpu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from the second power source when the input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또한, 상기 전력이 인가되는 경로에 형성된 복수의 저항과 상기 저항의 연결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키 누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누름키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ush-key circuit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formed in the path to which the power is applied, and a switching element that controls the connection of the resistors and is on-off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s key pressing.

또한,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 소자가 전력을 인가받고 있는 상태에서,상기 누름키 회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대전류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tha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element when at least one switching element of the push-key circuit unit is turned on while the driving element is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ource .

또한, 상기 대전류 유도부는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 중단 이후, 대전류 저항을 연결하여 대전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Also, afte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is stopped, the high current directing unit may connect a large current resistance to generate a large current.

또한, 상기 대전류 저항은 생성된 대전류가 상기 구동 소자에서 소모되는 최대 전류보다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high current resistance may have a resistance value set so that the generated large current has a value larger than the maximum current consumed in the driving element.

또한, 상기 대전류 유도부는 상기 제 2 전원의 연결시에만 동작할 수 있다.Also,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may operate only when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또한, 상기 대전류 유도부는 상기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igh current induction unit may include a voltage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input voltage with a reference voltag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이어셋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에서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마이크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1 전원을 통해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2 전원을 통해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device for performing an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and an earset connected to the device, wherein the earset includ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 And a driving element forme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wherein the device applies power through a first power source inside the device when the microphone is in operation, Power can be applied through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어셋의 키 눌림시 전압 분배에 의해 눌려진 키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원과 이어셋의 사이에 바이어스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device may include a bias resistor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earpiece to read a key pressed by a voltage distribution upon key press of the earset.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원과 이어셋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detector for sensing a current flowing between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earpiece.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감지된 전류가 상기 구동 소자에서 사용하는 최대 전류보다 큰 값인 경우, 상기 제 1 전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device may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when the current sensed through the current detector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urrent used by the driv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 2 전원이 다시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again when the current is cut off while the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이 상기 이어셋에 연결된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들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switch unit provided in a path where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re connected to the earpiece to perform switching of the power sources.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키누름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may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through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when the key press signal is applied from the earset while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은 4극 플러그의 이어셋을 사용하여 범용성을 유지하면서도, 이어셋 내부의 구동 소자에 전원 공급이 필요한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어셋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earphone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ower to the driving element in the earset while supplying power from the device while maintaining the versatility by using the earset of the quadrupole plug,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은 구동 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이어셋의 바이오스 전원과 별도의 전력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압 인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 stable voltage by using a power source applied to a driving device as a power source separate from a biosource power source of an ear se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은 구동 소자의 구동시 이어셋의 키 입력을 감지하도록 하여, 이어셋을 통한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arphone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key input of the earset when the driving element is driven, so that the operation through the earset can be stab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플러그 부분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마이크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구동 소자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구동 소자에 전원 인가 도중 누름키가 눌려진 경우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키누름시 대전류 유도부의 회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ug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ar 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path to a microphone of an ear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path to a driving element of an ear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urrent path when a push key is pressed during power supply to a driving element of an ear 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of a large-current induction unit when a key is pressed on an earset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플러그 부분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ug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ar 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은 디바이스(100)와 이어셋(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first to FIG. 1,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100 and an earset 200.

상기 디바이스(100)는 PC, 휴대 전화,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의 일 예로 음성 신호를 통해 통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udio signal to a user such as a PC,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 MP3 player, a CD player, and the like. The device 100 may implement a call function through a voice signal as an example of an audio signal.

상기 이어셋(200)은 상기 디바이스(100)에 플러그(21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이어셋(200)은 상기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을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The earset 200 is connected to the device 100 through a plug 210. The earset 200 outputs an audio signal from the device 100 and allows a user to transmit audio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therei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200) 단부의 플러그(210)는 통상의 이어셋과 동일하게 4극 플러그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플러그(210)를 구성하는 각 극은 마이크 단자(211), 그라운드 단자(212), 제 1 측 출력 단자(213), 제 2 측 출력 단자(214)를 포함하여 총 4극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 출력 단자(213)는 이어셋의 우측 스피커 단자, 제 2 측 출력 단자(214)는 이어셋의 좌측 스피커 단자일 수 있으나,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210)의 각 단자(211, 212, 213, 214)는 각각 접점(211a, 212a, 213a, 214a)을 통해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상호간에 송수신된다. 상기 플러그(2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4극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200)도 역시 통상의 디바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plug 210 at the end of the earse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our-pole plug like the conventional earset. More specifically, each pole constituting the plug 210 includes a microphone terminal 211, a ground terminal 212, a first side output terminal 213, and a second side output terminal 214, . Here, the first side output terminal 213 may be a right speaker terminal of the earset, and the second side output terminal 214 may be a left speaker terminal of the earset, but the left and righ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terminals 211, 212, 213 and 214 of the plug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100 via the contacts 211a, 212a, 213a and 214a, respectively, . Since the plug 210 is a commonly used four pole, an earse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upled to a conventional device 1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마이크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구동 소자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구동 소자에 전원 인가 도중 누름키가 눌려진 경우의 전류 경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path to a microphone of an ear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path to a driving element of an ear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urrent path when a push key is pressed during power supply to a driving element of an ear set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바이오스 전압 인가부(120), 전원공급 스위치부(130), 구동 전원부(140), 전류 검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in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100 includes a processor 110, a bios voltage application unit 120, a power supply switch unit 130, 140, and a current detector 150.

상기 프로세서(110)는 디바이스(100)가 휴대 전화인 경우, 내장된 휴대 전화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상기 이어셋(200)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어셋(200)으로부터 마이크 입력 신호 또는 누름키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processor 110 may be an embedded cellular phone processor when the device 100 is a cellular phone and outputs an audio signal to the earset 200 and outputs a microphone input signal or a push key signal .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이어셋(200)의 마이크(230)가 동작 중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를 통해 바이어스 전압(V0)을 인가하고, 상기 이어셋(200)의 구동 소자(250)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구동 전원부(140)를 통해 구동 전압(Vbat)을 인가한다.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120 so that the bias voltage V0 is applied through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when the microphone 230 of the earset 200 is in oper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driving element 250 of the earset 200, the driving voltage Vbat is applied through the driving power supply 14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의 바이어스 전압(V0)은 약 2.8[V]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셋(200)의 마이크(250)를 구동하거나 스위칭 회로부(220)의 키누름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V0)이 상기 이어셋(200)의 키누름을 검출하는 경로에서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R0)와 상기 이어셋(200)의 스위칭 회로부(220)에서 키누름시 연결되는 저항 성분(R1 내지 R4 중 하나)이 직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이어셋(200)의 입력 전압(V-in)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통해 눌려진 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The bias voltage V0 of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is about 2.8 V and drives the microphone 250 of the earset 200 or detects a key press of the switching circuit unit 220 Can be used. The bias resistor R0 connected to the bias voltage applying part 130 and the key pressing part 220 of the earset 200 in the path where the bias voltage V0 detects the key press of the earset 200, The input voltage V-in of the earset 200 is changed because one of the resistance components (one of R1 to R4) is connected in series. Accordingly, the processor 110 can recognize the input of the pressed key through the input voltage V-in, and thus control the output signal.

한편,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은 상기 이어셋의 구동 소자(250)를 구동하기에는 충분한 전력을 인가하기 어려운 전원이다. 즉,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이어셋(200)에 대한 전력 공급으로 사용이 어렵다.Meanwhile,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is a power source that is difficult to apply sufficient power to drive the driving element 250 of the earpiece. That is, since the current that can be supplied by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is relatively small, it is difficult to use the power supply for the earset 20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전원 상기 구동 전원부(140)를 사용하며, 상기 구동 전원부(140)는 LDO(Low Drop Ourput)와 같은 전원 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전원부(140)의 구동 전압(Vbat)은 약 3.3[V]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에 비해 충분한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원 전원부(140)의 경로에는 별도의 저항 성분이 구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이어셋(200)에 전원이 공급될 때, 전력 손실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For this purpose,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ower source driving power source unit 140 provided in the device 100 is used, and the driving power source unit 140 includes an LDO ). ≪ / RTI > The driving voltage Vbat of the driving power supply 140 may be about 3.3 V and may supply a sufficient current to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In addition, since no separate resistance component is provided in the path of the saved power source unit 140, power loss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arset 200.

상기 전류 검출부(150)는 상기 구동 전원부(140)와 전원공급 스위치부(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150)는 상기 구동 전원부(140)로부터 상기 이어셋(200)의 구동 소자(250)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며, 이를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상기 전류 검출부(150)는 상기 구동 전원부(140)로부터의 전원 공급 경로에서 전력을 거의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부(150)는 내부의 저항 성분 등을 통해, 상기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110)에 인가한다. The current detector 150 is located between the driving power unit 140 and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120. The current detector 150 detects a current applied from the driving power source 140 to the driving element 250 of the earset 200 and converts the current into a voltage value. Therefore, since the current detector 150 does not consume power in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driving power supply 140, efficient and stable power supply is possible. The current detector 150 converts the current into a voltage and applies the current to the processor 110 through an internal resistance component or the like.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류 검출부(150)의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스위칭 회로부(220)를 통한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상기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4) 중에서 하나(SW3)가 턴온되어 저항 성분(R1 내지 R4)이 연결되면 전류 경로에 연결되는 경우, 전체 저항이 작아지게 되므로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전원부(140) 대신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의 바이어스 저항(R0)과 눌려진 키의 저항 성분(R3)가 직렬로 연결되어 전압 분배에 의해 상기 이어셋(200)에 대한 입력 전압(V-in)이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읽어서 어떤 키가 눌렸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110 compares the signal of the current detector 150 with a reference signal. 7, when one of the switching elements SW1 to SW4 is turned on and the resistance components R1 to R4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current path, , The total resistance becomes small, so that the current increases. Accordingly, 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120 to connect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instead of the driving power supply unit 140. The bias resistor R0 of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resistive component R3 of the pressed key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the input voltage V-in to the earset 200 is varied by voltage distribution .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can determine whether a key is pressed by reading the input voltage V-in, thereby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또한, 상기 스위칭 회로부(220)를 통한 키 입력이 완료되어 스위칭 소자(SW3)가 개방되면 상기 프로세서(110)는 다시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부(120)를 통해 상기 구동 전원부(140)가 다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어셋(200)의 구동 소자(2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key input through the switching circuit unit 220 is completed and the switching device SW3 is opened, the processor 110 again controls the driving power source unit 140 to be connected again through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120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driving element 250 of the earset 2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arphon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앞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이어셋(200)은 스위칭 회로부(220), 마이크(230), 대전류 유도부(240), 구동 소자(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7,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set 200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220, a microphone 230, a high current induction unit 240, a driving device 250 ).

상기 스위칭 회로부(220)는 상기 이어셋(200)에 인가되는 전류 경로에 연결된 입력 전압 감지부(221)와 경로 스위칭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전압 감지부(221)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전압 레벨을 감지한다. 만약, 상기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상기 바이어스 전원 인가부(1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경로에 약 2.2[KΩ]의 바이어스 저항(R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 강하로 인해, 입력 전압(V-in)은 대략 2.1[V] 내지 2.5[V]가 된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약 3.3[V]의 상기 구동 전원부(14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저항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약 2.8[V]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220)는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전압(V-in)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전압(V-in)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마이크(230)에 연결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구동 소자(250)에 연결하도록 상기 경로 스위칭부(222)를 제어한다.The switching circuit unit 220 includes an input voltage sensing unit 221 and a path switching unit 222 connected to the current path applied to the earset 200. The input voltage sensing unit 221 senses a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V-in. If the bias power apply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device, since the bias resistor R0 of about 2.2 KΩ is connected to the path, the input voltage V- in is approximately 2.1 [V] to 2.5 [V]. Meanwhile, when the driving power source 140 of about 3.3 V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device, a separate resistor is not connected and the input voltage V-in becomes about 2.8 V. Thus, the switching circuit 220 compares the reference voltage with the input voltage V-in, connects the microphone 230 to the input voltage V-in when the input voltage V-in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in)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oltage, the path switching unit 222 is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250.

또한, 상기 스위칭 회로부(220)는 누름키 동작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100)로부터의 경로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 성분(R1 내지 R4)과 이들 각각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4)를 구성된 키누름 회로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 성분(R1 내지 R4)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키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4)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따라서, 키가 눌려지면, 상기 저항 성분(R1 내지 R4) 중 하나가 경로에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의 바이어스 저항(R0)과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이에 따라 상기 이어셋(200)에 대한 입력 전압(V-in)이 달라지게 되고, 이를 상기 프로세서(110)가 인지하여 필요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switching circuit unit 220 includes resistance elements R1 to R4 connected in parallel to a path from the device 100 for push key operation and switching elements SW1 to SW4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nnection And a key pushing circuit portion 223. The resistance components R1 to R4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nd on / off of the switching elements SW1 to SW4 is controlled by the key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Accordingly, when the key is depressed, one of the resistance components R1 to R4 is connected to the path, and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ias resistor R0 of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voltage V-in of the earpiece 200 is changed, and the processor 110 recognizes the input voltage V-in to perform the necessary control operation.

상기 마이크(230)는 기본적으로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셋(200)을 통해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크(230)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30 basically converts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 signal during a call, and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to the device 100 through the earset 200. The microphone 230 receives power from the bias voltage application unit 130 and can be driven through the bias voltage application unit 130.

상기 대전류 유도부(240)는 상기 이어셋(200)의 구동 소자(250)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부(220)에서 키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 소자(25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driving element 250 of the earset 200 and the key input is detected by the switching circuit 220,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240 detects the input, Lt; / RTI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이어셋의 키누름시 대전류 유도부의 회로도이다.8 is a circuit diagram of a large-current induction unit when a key is pressed on an earset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대전류 유도부(240)는 제어부(241), 칩 제어 스위치(242), 저항 연결 제어 스위치(243), 대전류 저항(244), 전압 비교기(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8, the high current induction unit 240 includes a control unit 241, a chip control switch 242, a resistance connection control switch 243, a high current resistance 244, and a voltage comparator 245.

상기 제어부(241)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논리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4) 중 어느 하나라도 턴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칩 제어 스위치(242)를 통해 상기 구동 소자(25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The controller 241 may include a microcontroller unit (MCU) or a logic circuit. When the controller 241 turns on any one of the switching elements SW1 to SW4,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element 250 is stopped.

또한, 상기 제어부(241)는 상기 저항 연결 제어 스위치(243)를 턴온시켜서 상기 대전류 저항(244)을 통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대전류 저항(244)은 충분히 작은 저항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상기 전류는 상기 구동 소자(250)에서 사용하는 최대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Also, the controller 241 turns on the resistance connection control switch 243 to allow the current through the high current resistor 244 to flow. Here, the high current resistance 244 is set to have a sufficiently small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flows in a larger current than the maximum current used in the driving element 250.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10)에서는 키가 눌려서 상기 대전류 유도부(240)가 대전류를 생성한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술한 것처럼 상기 프로세서(110)는 전원을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로 전환하여 눌려진 키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가 눌려지는 동작이 완료되어, 상기 키눌림 회로부(223)의 모든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4)가 개방되어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10)는 다시 상기 구동 전원부(140)를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 소자(250)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or 110 of the device 100, a key is pressed to recognize that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240 has generated a large current, whereby the processor 110,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proceeds to a step of switching to the application unit 130 and reading the pressed key. When the operation of depressing the key is completed and all the switching elements SW1 to SW4 of the key pressing circuit unit 223 are opened to interrupt the current, the processor 110 of the device 100 again starts the driving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250 so that power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device 250.

상기 전압 비교기(245)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현재 전원이 상기 구동 전원부(14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241)가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대전류 유도부(240)가 동작할 필요없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130)와 바이어스 저항(R0)에 의해 눌려진 키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The voltage comparator 245 compares the input voltage V-in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allows the controller 241 to operate only when the current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source 140. It is possible to read the key pressed by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bias resistor R0 without operating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240 when the bias voltage applying unit 130 is connected to be.

상기 구동 소자(250)는 상기 이어셋(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소자(250)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음파를 분석하여 노이즈와 반대되는 음파를 발생하여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노이즈 캔슬링 칩(Noise Cancling Chip)과 같은 능동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The driving device 250 is provided inside the earset 200 and can receive a voltage from the device 100 to improve an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As the type of the driving device 250, an active device such as a noise canceling chip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nalyzing a sound wave and generating a sound wave opposite to the noise to block the noise may be us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및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전원공급 스위치부 130; 바이어스 전압 인가부
140; 구동 전원부 150; 대전류 검출부
200; 이어셋 210; 플러그
220; 스위칭 회로부 230; 마이크
240; 대전류 유도부 250; 구동소자
100; Device 110; Processor
120; A power supply switch unit 130; The bias-
140; A driving power supply unit 150; The high-
200; Earset 210; plug
220; A switching circuit 230; MIC
240; A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250; Driving element

Claims (16)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셋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에서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고,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2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 An earset connected to a device for performing an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driving element form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Wherein power is supplied from a first power source inside the device when the microphone is operated and power is supplied from a second power source inside the device when the driving device oper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인가된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 1 전원인지 또는 상기 제 2 전원인지를 구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 또는 구동 소자를 연결하는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circuit portion for comparing the input voltage applied from the device with a reference voltage to distinguish whether the first power source or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and thereby connect the microphone or the driv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전원,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어셋.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ing circuit determines that power is appli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when the inpu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from the second power source when the input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이 인가되는 경로에 형성된 복수의 저항과 상기 저항의 연결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키 누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누름키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ush-key circuit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connection of the resistors and a switching element whose on-off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 key depression of a us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 소자가 전력을 인가받고 있는 상태에서,상기 누름키 회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대전류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셋.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large current induction porti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element when at least one switching element of the pushing key circuit portion is turned on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element is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our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유도부는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 중단 이후, 대전류 저항을 연결하여 대전류가 생성되도록 하는 이어셋.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connects a large current resistance afte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element is stopped to generate a large curr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저항은 생성된 대전류가 상기 구동 소자에서 소모되는 최대 전류보다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igh current resistance has a resistance value set so that the generated large current has a value larger than a maximum current consumed in the driving elem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유도부는 상기 제 2 전원의 연결시에만 동작하는 이어셋.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is operated only when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유도부는 상기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 비교기를 포함하는 이어셋.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arge current induction unit includes a voltage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input voltage with a reference voltag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이어셋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에서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마이크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1 전원을 통해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구동 소자의 동작시 상기 디바이스 내부의 제 2 전원을 통해 전력을 인가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 A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device for performing an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and an earset connected to the device,
The earset includ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driving element form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Wherein the device applies power through a first power source in the device during operation of the microphone and applies power through a second power source within the device during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어셋의 키 눌림시 전압 분배에 의해 눌려진 키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원과 이어셋의 사이에 바이어스 저항을 구비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vice comprises a bias resistor between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earpiece to read a key pressed by a voltage distribution upon key press of the ears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원과 이어셋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current detector for sensing a current flowing between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earpie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감지된 전류가 상기 구동 소자에서 사용하는 최대 전류보다 큰 값인 경우, 상기 제 1 전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vice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when the current sensed through the current detector is greater than a maximum current used by the driv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 2 전원이 다시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evice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second power source is reconnected when the current is cut off while the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이 상기 이어셋에 연결된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들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switch unit provided in a path where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re connected to the earpiece to perform switching of the power source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키누름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evice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through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when a key press signal is applied from the earset while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KR1020140092031A 2014-07-21 2014-07-21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KR201600110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31A KR20160011051A (en) 2014-07-21 2014-07-21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31A KR20160011051A (en) 2014-07-21 2014-07-21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51A true KR20160011051A (en) 2016-01-29

Family

ID=5531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031A KR20160011051A (en) 2014-07-21 2014-07-21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0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874B2 (en) Audio I 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US76436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ccessory controls
US9237401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bias impedances and adjustable bias voltages for accessories
US8396509B2 (en) Signal transmission path selection circuit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circuit
TWI496477B (en) Electronic device accessory
KR101259477B1 (en) Headset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CN106060690B (en) Audio headset with adaptable equipment
US20200309865A1 (en) Socket monitoring
US20150092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to an Electronic Device
WO2018161496A1 (en) Earphone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JP2010278691A (en) Audio dev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portable computer
KR101855225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ctive noise reduction headset
CN105430564B (en) Mobile device
CN109688502B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95848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from partial insertion of an audio jack
KR101627739B1 (en) Ear Set and Acoust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4053083A (en) Earphone with volume prompting function and volume prompting method thereof
US202300732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of true wireless stereo earphone using bluetooth
KR20160011051A (en) Earset and audio signal oper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CN111510803B (en) Sound box and sound box system
KR20160026020A (en) earset and audio signal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KR101584345B1 (en) Ear Set and Acoust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1416909A (en) Volume self-adaptive adjusting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CN204069294U (en) A kind of earphone with identity authentication function
CN217216877U (en) POP sound eliminating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