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013A -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 Google Patents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013A
KR20160011013A KR1020140091891A KR20140091891A KR20160011013A KR 20160011013 A KR20160011013 A KR 20160011013A KR 1020140091891 A KR1020140091891 A KR 1020140091891A KR 20140091891 A KR20140091891 A KR 20140091891A KR 20160011013 A KR20160011013 A KR 2016001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icrophone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9194B1 (en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박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준 filed Critical 박태준
Priority to KR102014009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94B1/en
Publication of KR2016001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n accesso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ost in a method of a four-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having a first sound channel terminal, a second sound channel terminal, an earth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The accessory apparatus comprises: a signal processing portion connected between a first speaker, a second speaker, one or more microphones, and a four-pole audio plug connector, and processing a signal; and an active power supply portion which selectively receives a power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mode among the second sound channel terminal and the microphone terminal, and supplies the power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portion. Therefore, while maintaining existing compatibility by using the four-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method, the accessory apparatus can add various functions and increase an audio performance in a stereo earset by enabling the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host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signal processing portion inside the stereo earset is required.

Description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과 호스트 장치{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type accessory device, a power supply method, and a host device.

본 발명은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과 호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호스트의 4극 오디오 잭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과 같은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와 호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type accessory device, a power supply method and a ho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phone or earphone capable of connecting to a host's four-pole audio jack connector such as a mobile phone, An accessory device, a power supply method, and a host device.

휴대폰, MP3 플레이어, 태블릿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전기장치, 즉 호스트 장치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같은 액세서리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4극 오디오 잭 커넥터를 가진다. 액세서리 장치는 4극 오디오 잭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를 가진다.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는 L채널 오디오 단자, R채널 오디오 단자, 그라운드 단자, 마이크 단자를 가진다. 그러므로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 방식은 별도의 전원공급단자가 없다. 그러나 최근에 이러한 액세서리 장치에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전원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An electrical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MP3 player, tablet or notebook computer, i.e., a host device, has a four-pole audio jack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ccessory devices such as earphones or headphones. The accessory device has a 4-pole audio plug connec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4-pole audio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4-pole audio plug connector has an L-channel audio jack, an R-channel audio jack, a ground jack, and a microphone jack. Therefore, the 4-pole audio plug connector does not have a separate power supply terminal. Recently, however,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se accessory devices, and power supply is required.

최근에 고품질의 오디오를 즐기기 위하여 이어폰에 소음 제거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소음 제거 기술, 즉 ANC(Active Noise Cansellation) 솔루션은 휴대용 기기 주변 소음을 줄여서 음성 품질을 개선시킴으로써 수신 경로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수행한다. Recently, noise cancellation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in earphones to enjoy high quality audio. The noise cancellation technology, that is, the Active Noise Cansellation (ANC) solution, reduces noise around the portable device and improves the voice quality to perform a receive path ANC (Active Noise Cancellation) function.

이와 같은 소음 제거 기술은 자체 전원공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통되고 있는 보스 이어폰 Quiet Comfort 20 또는 소니 이어폰 MDR-NC13 등은 이어폰 자체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배터리 및 충전회로 등을 갖추고 있다. Such noise cancellation technology requires its own power supply. Therefore, the boss earphone Quiet Comfort 20 or the Sony earphone MDR-NC13 which are in circulation ar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charging circuit for power supply of the earphone itself.

이와 같은 배터리 전원공급형 이어폰은 값이 고가이고 제품의 소형 경량화를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Such a battery-powered earphone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expensive and hinders the size and weight of the product.

한편 휴대폰과 같은 호스트에서는 리모콘 신호, 식별 신호, 연결유무 신호 등을 위하여 액세서리 장치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즉, 이어마이크 또는 이어셋은 통화모드에서만 마이크를 사용하는 점에 착안하여 통상시에는 마이크 단자를 전원공급단자로 사용하고 통화시에는 마이크 단자로 복원되도록 호스트에서 동작모드에 따라 스위칭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host such as a mobile phone, a method of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an accessory device for a remote control signal, an identification signal, In other words, the ear microphone or earset is controlled by the hos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so that the microphone is used as the power supply terminal in normal operation and restor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mode.

이와 같은 방식은 호스트에서 액세서리 장치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이어폰에 배터리 및 충전회로를 제거할 수 있어서 소형 경량화 및 코스트 다운 등의 잇점은 있지만, 통화모드에서는 마이크 단자를 통한 액세서리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어셋에서의 기능, 예컨대 소음 제거 기능이 전원공급 중단으로 기능 정지되고, 이에 통화모드에서는 소음 제거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In such a case, power is supplied from the host to the accessory device, so that the battery and the charging circuit can be removed from the earphon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ize and weight reduction and cost reduction. . Therefore, the function in the earset, for example, the noise canceling function is suspended due to the power supply interruption, so that the noise canceling function can not be used in the call mode.

2013-0101152, 2013-0069732, 2012-00833926, 2010-0128885, US2012/00855102013-0101152, 2013-0069732, 2012-00833926, 2010-0128885, US2012 / 00855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모드에 관계없이 호스트로부터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ur-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type accessory device and a power supply method which can always receive a constant power from a host regardless of an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모드에 따른 전원공급통로 절환시 팝 노이즈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ur-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type accessory device and a power supply method that can prevent pop noise from occurring when a power supply path is switch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호한성을 유지할 수 있는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dru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type accessory device and a power supply method which can always receive a constant power and maintain the existing favor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이 필요한 액세서리 장치와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st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an accessory apparatus which requires power supply.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는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호스트와 연결된다. 액세서리 장치는 제1스피커, 제2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제2음성채널단자와 마이크단자 중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공급하는 액티브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st in a quadru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anner having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 The accessory device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connected between a first speaker, a second speaker, and at least one microphone and a quadrupole audio plug connector for processing a signal, and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nd an activ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supplied power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서 동작모드가 비통화모드이면 마이크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연결하고, 통화모드이면 제2음성채널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연결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non-call mode, the micro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call mode, the second voice channe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서 액티브 전원 공급부는 마이크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이 제1기준전압 보다 크면 마이크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이하이면 마이크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분리하는 제1스위칭부와, 제2음성채널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이 제2기준전압 보다 크면 제2음성채널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미만이면 제2음성채널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분리하는 제2스위칭부를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the active power supply unit connects the microphone terminal to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if the signal level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a second switching unit.

여기서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의 최대치이다.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2.8V 일 때 2,4V일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is the maximum value of the voice signal specified by the hos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may be 2.4V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from the host is 2.8V.

제1 및 제2스위칭부 각각은 오디오 플러그 단자 신호가 포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기준전압이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 비교기와, 일단에 오디오 플러그 단자 신호가 연결되고, 타단에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가 연결되고, 비교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has a comparator in which an audio plug terminal signal is connected to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reference voltage is connected to a negative input terminal, an audio plug terminal signal is connected to one end and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 And a switch that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액티브 전원 공급부는 제1스위칭부의 액티브 상태에서,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을 제3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신호처리부의 제2음성입력단자를 제1 및 제2음성채널단자들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스위칭 절환시 팝 노이즈 발생을 차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active power supply unit compares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with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n the active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o selectively connect the second audio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first and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s The third switching unit may prevent the occurrence of pop noise during switching.

여기서 제3스위칭부는 제2스위칭부가 액티브 상태로 되기 전에 미리 액티브 상태로 되어야 한다.Here, the third switching unit must be brought into an active state before the second switching unit becomes active.

본 발명에서 제3스위칭부는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가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3기준전압이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 비교기와, 비교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출력을 액티브 상태로 래치하고 제2스위칭부가 액티브 상태로 된 이후에 넌액티브 상태로 되는 래치회로와, 래치회로의 출력상태 또는 제2스위칭부의 액티브 상태에 응답하여 논리합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제1단자가 제1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제2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공통단이 신호처리부의 제2음성신호입력단에 연결되고, 게이트 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witching unit includes: a comparator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having a third reference voltage connect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a latch unit for latching the output in an active state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And a gate circuit for outputting a logical sum signal in response to an output state of the latch circuit or an active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witch having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common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section, and a switch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gate circuit.

여기서 제3기준전압은 제1기준전압 보다 크고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전압 보다는 작은 전압레벨을 가진다. Here, the third reference voltage has a voltage level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low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액세서리 장치는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호스트와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의 액세서리 장치는 제1스피커, 제2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마이크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와,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와, 제1 및 제2스위치를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제1기준전압 보다 크면 제1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고,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제2기준전압 보다 크면 제2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한다. The accessory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st in a quadru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anner having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The accessory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connected between a first speaker, a second speaker, and at least one microphone and a four-pole audio plug connector for processing a signal; and a first process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secon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be in the active state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be in the active state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여기서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의 최대치이다. 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is the maximum value of the voice signal specified by the host.

다른 실시예는 제1단자가 제1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제2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공통단이 신호처리부의 제2음성신호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3기준신호 이하로 떨어지면 제3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하고, 제2스위치가 액티브 상태로 된 이후에 제3스위치를 넌액티브 상태로 한다.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hird switch in which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signal input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can do. The controller turns the third switch into an active state when the voltage level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falls below the third reference signal, and puts the third switch into a non-active state after the second switch becomes active.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전압공급방법은 제2음성채널단자와 마이크단자 중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으로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voltage supplying method of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selectively to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microphone terminal.

본 발명의 방법은 동작모드 중 마이크를 사용하는 통화모드에서는 제2음성채널단자로부터 전원전압을 받아 신호처리부로 공급하고,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비통화모드에서는 마이크단자로부터 전원전압을 받아 신호처리부로 공급한다. In the non-speaking mode in which the microphone is not used, the method receives the power supply voltage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and supplies i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Supply.

본 발명의 방법은 비통화모드에서 통화모드로의 절환시에는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제2음성채널단자를 전원전압 입력전용으로 세팅하고 제1음성채널단자를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에 공통으로 연결하여 스테레오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 먼저 절환하고, 제2음성채널단자를 통해 전원전압이 공급된 후에 마이크 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분리시킨다.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witching from the non-call mode to the call mode, the second voice channel terminal is set for exclusive us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first voice channel terminal is common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fter the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본 발명의 방법은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커지면 마이크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이하이면 마이크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한다.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higher than the voice signal level specified by the host, the micro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microphone terminal is below the voice signal level specified by the host, Separate.

본 발명의 방법은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커지면 제2음성채널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이하이면 제2음성채널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한다.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audio signal level defined by the host,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below the audio signal level specified by the host, Disconnect the channel terminal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방법은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크고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 보다는 작으면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 레벨로 상승하기 전에 스테레오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 절환하고,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 레벨로 상승한 후에 마이크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한다.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higher than the audio signal level defined by the host and is low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lower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e microphone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fter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ise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방법은 모노모드에서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커지면 마이크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한 후에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제2음성채널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한다.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higher than the voice signal level defined by the host in the mono mode, the micro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Level,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호스트 장치는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액세서리 장치와 연결된다. 호스트 장치는 마이크단자와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와,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와, 제1 및 제2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마이크단자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액세서리 장치의 동작모드절환요구에 응답하여 제2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제2음성채널단자로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에 제1스위치를 넌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마이크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상태를 전원전압에서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으로 절환한다. The ho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accessory device in a quadru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anner with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The host apparatus includes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 secon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be in the active state to supply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accessory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terminal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the active sta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request of the accessory device, After the voltage is supplied, the first switch is controlled to the non-active state to switch the voltage state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microphone bias voltage.

또한 호스트 장치는 마이크단자와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에 직렬로 연결된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액세서리 장치의 동작모드절환요구에 응답하여 제3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마이크단자에 모드절환 예고신호를 인가한 후에 제2스위치를 액티브 사태로 제어한다. The host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switch connected in series to the resistor and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controller turns the third switch in an active sta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request of the accessory device, The second switch is controlled to be in an active state after the mode switching prediction signal is applied.

본 발명에서 호스트 장치의 모드절환 예고신호의 신호 레벨은 마이크단자에 인가되는 마이크 음성신호의 최대값 보다 크고 전원전압 보다는 작은 값으로 예컨대 2.5V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level of the mode switching prediction signal of the host device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microphone voice signal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for example, 2.5V.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동작모드 복원시에는 제1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마이크단자에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에 제2스위치를 넌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제2음성채널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상태를 전원전압에서 제2음성채널 바이어스 전압으로 절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switches the first switch to the active state to supply the power source voltage to the microphone terminal, then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the non-active state to restore the voltage state appli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to the power source voltage To the second audio channel bias voltag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이어셋 액세서리 장치는 4극 오디오 플러그 잭 커넥터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기존 호완성을 유지하면서도, 스테레오 이어셋 내부의 신호처리부에 전원 공급이 필요한 경우, 호스트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스테레오 이어셋 내에 다양한 기능추가와 오디오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는 마이크단자로부터 제2음성채널단자로 전원전압 공급단자가 변경될 때, 호스트가 액세서리 장치에게 마이크단자의 전압변화를 신호로 액세서리 장치가 제반 동작을 미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절환시 발생될 수 있는 팝 노이즈를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전기적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ereo earphon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power supply to the signal processor inside the stereo earphone is required ,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host,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added in the stereo earset and audio performance can be enhanced.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supply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the host changes the voltage of the microphone terminal to the accessory device so that the accessory device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by blocking the pop noise that may be generated in advanc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4극 플러그 커넥터(11)를 가진 스테레오 이어셋 액세서리 장치(10)와 4극 잭 커넥터(31)를 가진 호스트(30)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에서 마이크단자를 통한 전원전압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에서 마이크단자에서 제2음성채널단자로 전원공급통로가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에서 제2음성채널단자에서 마이크 단자로 전원공급통로가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 7은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8은 도 6의 호스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플로챠트.
1 shows a host 30 having a stereo earset accessory device 10 with a quadrupole plug connect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quadrupole jack connector 31.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ccessor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supply voltage supply state through a microphone terminal i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ower supply path is changed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ower supply path is changed from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to the microphone terminal i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ccess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6.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st apparatus in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are herein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the compon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4극 플러그 커넥터(11)를 가진 스테레오 이어셋 액세서리 장치(10)와 4극 잭 커넥터(31)를 가진 호스트(30)을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host 30 having a stereo earset accessory device 10 and a quadrupole jack connector 31 with a quadrupole plug connect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테레오 이어셋 액세서리 장치(10)는 L 채널 이어 스피커(12), R 채널 이어 스피커(13), 마이크(14) 및 리모콘(15) 등을 케이블(16)을 통해 4극 플러그 커넥터(11)와 연결한 것이다. 리모콘(15)은 통화 스위치, 볼륨 업/다운 스위치, 모드 선택 스위치 등의 제어 스위치들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15)에는 능동소음제거회로(ANC)와 같은 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stereo earphone accessory device 10 includes an L-channel ear speaker 12, an R-channel ear speaker 13, a microphone 14 and a remote controller 15 via a cable 16,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1. The remote controller 15 may include control switches such as a call switch, a volume up / down switch, and a mode selection switch. The remote controller 15 may also include a signal processing circuit such as an active noise canceling circuit ANC.

호스트(30)는 이동통신기기인 스마트 폰 단말기로 하우징(32)과 전면에 디스플레이(33)를 가진다. 하우징(32)의 에지에는 4극 잭 커넥터(31)가 장착된다. The host 30 is a smart phone terminal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s a housing 32 and a display 33 on the front side. A four-pole jack connector 31 is mounted on the edge of the housing 32.

액세서리 장치(10)와 호스트(30)는 4극 플러그 커넥터(11)와 4극 잭 커넥터(31)를 통해 잭-플러그 커넥터 방식으로 유선 연결된다. 액세서리 장치(10)는 스테레오 음악 청취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마이크(14)는 넌액티브 상태로 대기한다. 리모콘(15)의 통화 스위치 버튼을 누르면 호스트(30)는 통화모드로 동작하게 되고, 액세서리 장치도 통화모드로 되어 마이크(14)는 액티브 상태로 되어 음성신호를 픽업할 수 있게 된다. The accessory device 10 and the host 30 are wired in a jack-plug connector manner through the four-pole plug connector 11 and the four-pole jack connector 31. [ When the accessory device 10 operates in the stereo music listening mode, the microphone 14 is in a non-active state. When the call switch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15 is pressed, the host 30 operates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accessory device is also in the communication mode, so that the microphone 14 becomes active and can pick up the voice signa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Figure 2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ccessory device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액세서리 장치(10)는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11)의 오디오 플러그 단자들, 제1음성채널단자(L;11a), 제2음성채널단자(R;11b), 마이크단자(M;11c), 접지단자(G;11d)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ccessory device 10 includes audio plug terminals,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L) 11a,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11b, a microphone terminal M; 11c, and a ground terminal (G; 11d).

액세서리 장치(10)는 신호처리부(20), 액티브 전원공급부(22)를 포함한다.  The accessory device 10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section 20, an active power supply section 22,

신호처리부(20)는 제1스피커(12), 제2스피커(1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14)와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11)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소음제거회로(ANC)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0)는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전원단자(Vdd)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ncludes a noise elimination circuit ANC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peaker 12 and the second speaker 13 and between the at least one microphone 14 and the quadrupole audio plug connector 11 to process signals, . ≪ / RTI >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Vdd to which a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액티브 전원공급부(22)는 제2음성채널단자(R)와 마이크단자(M) 중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1스위칭부(22a), 제2스위칭부(22b), 제3스위칭부(22c)를 포함한다. The active power supply unit 2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by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nd the microphone terminal M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 first switching unit 22a, a second switching unit 22b, and a third switching unit 22c.

제1스위칭부(22a)는 비교기(CP1)와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비교기(CP1)는 오디오 플러그 단자들 중 하나인 마이크단자(M) 신호가 포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1기준전압(Vr1)이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다. 스위치(SW1)는 마이크단자(M)과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 사이에 연결된다. 스위치(SW1)는 비교기(CP1)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즉 비교기(CP1)의 출력상태가 하이상태이면 액티브 상태, 스위치 클로즈 상태로 되고, 로우상태로 되면 넌액티브 상태, 스위치 오픈 상태로 된다. The first switching unit 22a includes a comparator CP1 and a switch SW1. The comparator CP1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microphone terminal M, which is one of the audio plug terminals,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The switch SW1 is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 The switch SW1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comparator CP1. That is, when the output state of the comparator CP1 is high, it is in the active state and the switch is in the closed state. When the comparator CP1 is in the low state, it is in the non-active state and in the switch open state.

제2스위칭부(22b)는 비교기(CP2)와 스위치(SW2)를 포함한다. 비교기(CP2)는 오디오 플러그 단자들 중 하나인 제2음성채널단자(R) 신호가 포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기준전압(Vr2)이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다. 스위치(SW2)는 제2음성채널단자(R)과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 사이에 연결된다. 스위치(SW2)는 비교기(CP2)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즉 비교기(CP2)의 출력상태가 하이상태이면 액티브 상태, 스위치 클로즈 상태로 되고, 로우상태로 되면 넌액티브 상태, 스위치 오픈 상태로 된다. The second switching unit 22b includes a comparator CP2 and a switch SW2. The comparator CP2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which is one of the audio plug terminals,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2,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The switch SW2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 The switch SW2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comparator CP2. That is, when the output state of the comparator CP2 is high, it is in the active state and the switch is in the closed state. When the comparator CP2 is in the low state, it is in the non-active state and in the switch open state.

제3스위칭부(22c)는 비교기(CP3), 래치회로(LT), 게이트 회로(G1), 스위치(SW3)를 포함한다. 비교기(CP3)는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가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3기준전압(Vr3)이 포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다. 래치회로(LT)는 비교기(CP3)와 게이트회로(G1)의 일측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래치회로(LT)는 비교기(CP3)의 출력신호의 상승에지에서 출력상태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넌액티브 상태로 된다. 게이트회로(G1)는 논리합 게이트로 타측 입력단에는 비교기(CP2)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스위치(SW3)는 제1단자(a)가 제1음성채널단자(L)에 연결되고, 제2단자(b)가 제2음성채널단자(R)에 연결되고, 공통단(c)이 신호처리부(20)의 제2음성신호입력단(Rin)에 연결된다. 스위치(SW3)는 게이트회로(G1)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즉 게이트회로(G1)의 출력상태가 하이상태이면 액티브 상태, a-c 연결상태(모노모드)로 되고, 로우상태로 되면 넌액티브 상태, b-c 연결상태(스테레오모드)로 된다. The third switching unit 22c includes a comparator CP3, a latch circuit LT, a gate circuit G1, and a switch SW3. In the comparator CP3,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The latch circuit LT is connected between the comparator CP3 and one input terminal of the gate circuit G1. The latch circuit LT is put into the non-active state after the output stat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CP3 rises to the active state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gate circuit G1 is an OR gate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CP2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The switch SW3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 and the second terminal a and the second terminal b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signal input terminal Rin of the processing unit 20. The switch SW3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gate circuit G1. That is, when the output state of the gate circuit G1 is high, it is in the active state and the a-c connection state (mono mode). When the gate circuit G1 is in the low state, it is in the non-active state and b-c connection state (stereo mode).

여기서 제1 및 제2기준전압(Vr1, Vr2)들 각각은 호스트(30)에서 규정한 음성신호의 최대치, 예컨대 2.4V이다. 음성신호는 0V~2.4V 사이의 진폭을 가진다. 호스트(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Vcc)은 예컨대 2.8V이다. 제3기준전압(Vr3)은 전원전압(Vdd) 2,8V 보다는 작고 제1기준전압(Vr1) 2.4V 보다는 큰 전압, 예컨대 2,5V이다. 이와 같은 기준전압들의 전압레벨은 기존의 0V~2.4V 진폭을 가진 음성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의 액세서리의 전압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Vr1 and Vr2 is a maximum value of the audio signal specified by the host 30, for example, 2.4 V. The audio signal has an amplitude between 0V and 2.4V.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supplied from the host 30 is 2.8 V, for example.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is a voltage small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of 2,8 V and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of 2.4 V, The voltage level of such reference voltages can control the voltage supply of the accessor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ffecting the voice signal having the conventional amplitude of 0V to 2.4V.

호스트(30)는 4극 오디오 잭 커넥터(31)의 오디오 잭 단자들, 제1음성채널단자(L;31a), 제2음성채널단자(R;31b), 마이크단자(M;31c), 접지단자(G;31d)를 포함한다. The host 30 has audio jack terminals,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L) 31a,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31b, a microphone terminal (M) 31c, Terminal (G) 31d.

호스트(30)는 음성처리부(41), 제어부(42), 제1스위치(43), 제2스위치(44), 제3스위치(45)를 포함한다.  The host 30 includes a voice processing section 41, a control section 42, a first switch 43, a second switch 44 and a third switch 45. [

제1음성채널단자(L;31a)는 음성처리부(41)의 Lout 단자가 연결된다. 제2음성채널단자(R;31b)은 음성처리부(41)의 Rout 단자가 연결되고, 동시에 제3스위치(45)를 통해 전원전압(Vcc)가 연결된다. 마이크단자(M;31c)는 음성처리부(41)의 Min 단자가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1)을 통해 바이어스 전압(Vm)이 연결된다. 또한 마이크단자(M;31c)는 제1스위치(43)를 통해 전원전압(Vcc)이 연결되고, 제2스위치(44) 및 저항(R2)를 통해 전원전압(Vcc)가 연결된다. 따라서 마이크단자(M;31c)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Vm), 2,8V 전원전압, 저항(R2)에 의해 전압 강하된 2.5V 제어전압을 발생한다. The Lout terminal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L; 31a).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31b is connected to the Rout terminal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41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connected through the third switch 45 at the same time. The microphone terminal (M) 31c is connected to the Min terminal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41 and at the same time the bias voltage Vm is connected through the resistor R1.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31c through the first switch 43 and the power voltage Vcc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31c through the second switch 44 and the resistor R2. Therefore, the microphone terminal (M) 31c generates a 2.5V control voltage that is lowered by the microphone bias voltage Vm, the 2,8V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resistor R2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제어부(42)는 동작모드에 따라 스위치 제어신호(S1, S2, S3)를 발생한다. 제1스위치(43)는 스위치 제어신호(S1)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되고 , 제2스위치(44)는 스위치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되고 , 제3스위치(45)는 스위치 제어신호(S3)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된다. The control unit 42 generates the switch control signals S1, S2, and S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The first switch 43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switch control signal S1 and the second switch 44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switch control signal S2, (S3).

제어부(42)는 비통화모드에서는 스위치 제어신호(S1)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제1스위치(43)를 클로즈 상태로 하여 2.8V 전원전압이 마이크단자(M;31c)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42 sets the switch control signal S1 to the active state and sets the first switch 43 to the closed state in the non-communication mode so that the 2.8V power supply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microphone terminal 31c.

제어부(42)는 통화모드 요청이 접수되면 스위치 제어신호(S2)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제2스위치(44)를 클로즈 상태로 하여 2.5V 전원전압이 마이크단자(M;31c)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42 sets the switch control signal S2 to the active state and sets the second switch 44 to the closed state so that the 2.5V power supply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microphone terminal 31c .

제어부(42)는 통화모드에서 스위치 제어신호(S1, S2)를 넌액티브 상태로 하여 제1 및 제2스위치(43, 44)를 오픈 상태로 하여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인 Vm이 마이크단자(M;31c)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동시에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3)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제3스위치(45)를 클로즈 상태로 하여 2.8V 전원전압이 제2음성채널단자(R;31b)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42 sets the switch control signals S1 and S2 to the non-active state and sets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43 and 44 to the open state to set the microphone bias voltage Vm to the microphone terminal 31c ).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42 sets the switch control signal S3 to an active state and puts the third switch 45 into a close state so that a 2.8V power supply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31b.

도 3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에서 마이크단자를 통한 전원전압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supply voltage supply state through a microphone terminal i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액세서리 장치(10)가 호스트(30)에 연결되면 호스트(30)는 플러그 커넥터 연결여부를 체크하고, 액세서리 식별신호를 검출하여 액세서리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된 액세서리 종류에 대응하여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의 스위칭 제어를 설정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accessory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host 30, the host 30 checks whether or not the plug connector is connected, and detects the accessory identification signal to determine the accessory type. Set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4-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ccessory type.

본 발명의 액세서리(10)의 연결이 확인되면 호스트(30)는 시간 t1에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을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2.4V)에서 2.8V의 전원전압으로 제공한다. 이때 제2음성채널단자전압(VR)은 ~2.4V 바이어스 전압레벨을 그대로 유지한다. 액티브 전압공급부(22)의 비교기(CP1)는 마이크 단자전압(VM)이 2.8V의 전원전압으로 상승하면 출력이 0V에서 2.8V로 변환된다. 이에 스위치(SW1)는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되므로 마이크단자(M)와 전원단자(Vdd)가 연결된다. 그러므로 신호처리부(20)는 전원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이 때 스위치(SW2, SW3)는 오픈상태를 유지하므로 신호처리부(20)는 스테레오 수신모드를 유지한다. When the connection of the accessor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rmed, the host 30 provides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at a microphone bias voltage (~ 2.4 V) at a power supply voltage of 2.8 V at time t1. At this time,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voltage VR maintains the ~ 2.4V bias voltage level. The comparator CP1 of the active voltage supply unit 22 converts the output from 0V to 2.8V when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rises to a power supply voltage of 2.8V. Accordingly, the switch SW1 is closed from the open state, so that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power terminal Vdd are connected. Therefo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receives the power supply voltage. At this time, since the switches SW2 and SW3 remain in the open stat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maintains the stereo reception mode.

t2에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이 2.8V에서 ~2.4V로 떨어지면 비교기(CP1)의 출력이 2.8V에서 0V로 변환되고 이에 스위치(SW1)는 오프되어 마이크단자(M)와 전원단자(Vdd)가 분리된다. 그러므로 신호처리부(20)는 전원전압공급이 차단된다.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1 is changed from 2.8V to 0V and the switch SW1 is turned off so that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power terminal Vdd are turned off. . Therefo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도 4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에서 마이크단자에서 제2음성채널단자로 전원공급통로가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4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ower supply path is changed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호스트(30)는 마이크 단자전압(VM)을 2.8V로 유지한 상태에서 액세서리(10)의 리모콘의 통화 스위치가 눌러진 것이 체크되면 통화모드로 절환하기 전에 통화모드 절환 예고신호를 액세서리(10)에 내보낸다. The host 30 checks the call switch of the remote control of the accessory 10 is pressed when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is maintained at 2.8 V, Lt; / RTI >

즉 t1 시간에 호스트(30)는 스위치(43)는 오프시키고 스위치(44)를 온시켜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을 2.8V에서 2.5V로 다운시킨다. 이때 마이크 단자전압(VM)이 2.5V로 되므로 비교기(CP1)의 출력은 하이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스위치(SW1)는 클로즈 상태를 유지한다. That is, at time t1, the host 30 turns off the switch 43 and turns on the switch 44 to lower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from 2.8V to 2.5V. At this time, since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becomes 2.5V,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1 is maintained in the high state and the switch SW1 is kept in the closed state.

t1시간에서 비교기(CP3)의 출력은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환된다. 래치회로(LT)는 비교기(CP3)의 출력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출력이 하이상태로 변환된다. 래치회로(LT)의 출력 하이상태는 논리합 게이트회로(G1)를 거쳐서 스위치(SW3)의 제어신호로 제공되므로 스위치(SW3)가 넌액티브 상태, 즉 오픈상태(b-c 연결상태)에서 액티브 상태, 즉 클로즈 상태(a-c 연결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20)의 L채널 입력단자(Lin)와 R채널 입력단자(Rin)는 모두 제1음성채널단자(L)에 연결되므로 모노수신모드가 된다. At the time t1,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3 is changed from a low state to a high state. The latch circuit LT is switched to the high state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CP3. The output high state of the latch circuit LT is provided as a control signal of the switch SW3 via the OR gate circuit G1 so that the switch SW3 is in the non-active state, that is, in the open state (bc connected state) And is switched to the close state (ac connection state). Therefore, both the L channel input terminal (Lin) and the R channel input terminal (Rin)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L).

t2 시간에 호스트(30)는 스위치(44)는 오프시키고 스위치(43)를 온시켜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이 2.5V에서 2.8V로 업시킨다. 이에 비교기(CP3)의 출력이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환된다. 하지만 래치회로(LT)의 출력은 하이상태로 유지되므로 스위치(SW3)는 액티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At time t2, the host 30 turns off the switch 44 and turns on the switch 43 to increase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from 2.5V to 2.8V. Thus,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3 is changed from the high state to the low state. However, since the output of the latch circuit LT remains high, the switch SW3 remains in the active state.

즉 t1~t2 구간은 호스트(30)에서 액세서리(10)에 통화모드 절환 예고신호를 발생하는 구간이다. That is, the interval t1 to t2 is a period in which the host 30 generates a talk mode switch notice signal to the accessory 10.

t3 시간에 호스트(30)는 통화모드로 절환을 위하여 스위치(45)를 온시켜서 제2음성채널단자전압(VR)을 ~2.4V에서 2.8V로 업시킨다. t3시간에서 비교기(CP2)의 출력은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환되고 이에 스위치(SW2)가 오픈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된다. At time t3, the host 30 turns on the switch 45 for switching to the talk mode and raises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voltage VR from ~ 2.4V to 2.8V. At the time t3,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2 is changed from the low state to the high state, and the switch SW2 is closed from the open state.

래치회로(LT)는 스위치(SW2)가 액티브 상태로 된 이후인 t4 시간에 출력신호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환된다. 그러나 게이트회로(GT)는 비교기(CP2)의 하이상태 출력에 의해 그 출력신호가 하이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므로 스위치(SW3)는 액티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The latch circuit LT is switched from the high state to the low state at the time t4 after the switch SW2 becomes active. However, the gate circuit GT maintains its output signal high state by the high state output of the comparator CP2. Therefore, the switch SW3 remains in the active state.

t5 시간에 호스트(30)는 통화모드로 절환을 위하여 스위치(43)를 오프시켜서 마이크단자(M)를 0~2.4V의 마이크 바이어스 상태로 하여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의 픽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통화모드가 시작된다. 이때 비교기(CP1)의 출력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되므로 스위치(SW1)는 오픈상태로 된다. 그러나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에는 2.8V의 전압신호가 제2음성채널단자(R)을 통하여 단속없이 연속해서 공급됨을 알 수 있다. At time t5, the host 30 turns off the switch 43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microphone terminal M so as to be in a microphone bias state of 0 to 2.4 V, so that the voice signal can b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That is, the call mode starts.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1 is changed from the high state to the low state, the switch SW1 is in the open stat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a voltage signal of 2.8 V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through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without interruption.

즉 본 발명에서는 통화모드로 절환시 제2음성채널단자(R)에 2.8V의 높은 전압이 가해지기 전에 스피커와 제2음성채널단자(R) 사이를 스위치(SW3)를 통해 분리함으로써 모드절환시 발생되는 팝 노이즈가 스피커에 전달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igh voltage of 2.8 V is appli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when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the speaker and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re separated through the switch SW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ed pop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peaker in advance.

또한 스위치(SW2)가 t3 시간에서 클로즈 된 다음에 스위치(SW1)가 t5시간에서 오픈 되므로 전원전압의 공급중단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witch SW1 is opened at time t5 after the switch SW2 is closed at the time t3, the supply interruption state of the supply voltage can be prevented.

도 5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에서 제2음성채널단자에서 마이크 단자로 전원공급통로가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5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ower supply path is changed from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to the microphone terminal in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0 시간에서 호스트(30)는 통화모드를 종료하고 비통화모드로 복원하기 위하여 스위치(43)를 먼저 온시켜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을 ~2.4V에서 2.8V로 업 시킨다. 이에 비교기(CP1)를 통해 스위치(SW1)가 오픈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된다. At time t0, the host 30 first turns the switch 43 on to restore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from ~ 2.4V to 2.8V in order to end the talk mode and restore the talk mode. Thus, the switch SW1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via the comparator CP1.

t1시간에 호스트(30)는 스위치(45)를 오픈시켜서 제2음성채널단자(R)의 단자전압(VR)을 2.8V에서 ~2.4V로 변환시킨다. 이에 비교기(CP2)를 통해 스위치(SW2)가 클로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된다. 이어서 게이트회로(G1)의 출력도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스위치(SW3)도 a-c 연결상태(모노수신상태)에서 b-c 연결상태(스테레오 수신상태)로 복원된다. At time t1, the host 30 opens the switch 45 to convert the terminal voltage VR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from 2.8V to 2.4V. The switch SW2 is opened from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comparator CP2. Subsequently, the output of the gate circuit G1 is also changed from a high state to a low state. Therefore, the switch SW3 is also restored from the a-c connection state (mono reception state) to the b-c connection state (stereo reception state).

그러나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는 여전히 2.8V 전원전압이 공급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원동작시 전원공급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t0 시간에서 마이크단자(M)와 전원단자(Vdd)를 먼저 연결한 상태에서 t1 시간에 제2음성채널단자(R)과 전원단자(Vdd)를 나중에 분리한다. However,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s still maintained supplied with the 2.8 V power supply voltage. That is, in order to prevent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in the restoration operation,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are first connected at time t0 and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ccess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액세서리 장치(10)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액티브 전원공급부(24)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부(24a)와 스위치들(SW1~SW4)로 구성한 점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ccessory device 10 of another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active power supply unit 24 is constituted by a control unit 24a such as a microprocessor and switches SW1 to SW4,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의 액티브 전원공급부(24)는 제어부(24a)에서 동작모드에 따라 전원전압발생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스위치 제어신호(S1, S2, S3, S4)를 발생한다. The active power supply unit 24 of another embodiment generates the switch control signals S1, S2, S3, and S4 by execu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generating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in the control unit 24a.

제어부(24a)는 마이크단자(M)와 제2음성채널단자(R)의 신호레벨을 내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값을 감시하여 대응하는 스위치 제어신호(S1, S2, S3, S4)를 발생한다. The control unit 24a converts the signal levels of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into digital data by an internal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monitors the converted digital value to generate corresponding switch control signals S1, S2 , S3, S4).

스위치(SW4)는 제어부(24a)의 동작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 제어신호(S4)에 응답하여 초기에는 마이크단자(M)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받고, 정상적인 전압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신호처리(20)의 전원단자(Vdd)에 인가되는 전압을 공급받도록 스위칭 제어된다. In response to the switch control signal S4, the switch SW4 is supplied with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M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normal voltage is supplied, the switch SW4 supplies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control section 24a.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process (20).

다른 실시예의 동작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나타낸다. FIG. 7 show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4a)는 마이크 단자전압(VM)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2.4V) 보다 큰 값인지를 체크한다(S100). S100단계에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이 제1기준전압(2.4V) 보다 크면 스위치(SW3)가 온 상태인지를 체크한다(S102). S102단계에서 스위치(SW3)가 오프 상태이면 스위치(SW1)을 온시켜서(S104) 마이크단자(M)와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를 연결시킨다.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ler 24a checks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2.4V) (S100). If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2.4 V) in step S100, it is checked whether the switch SW3 is ON (S102). The switch SW1 is turned on in step S104 and the microphone terminal M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n step S102.

마이크단자(M)를 통해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모드요청에 의해 호스트(30)에서는 통화모드로 절환을 알리기 위하여 마이크단자(M)의 전압레벨을 2.8V에서 2.5V로 다운 시킨다. In response to a call mode request in a state that the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microphone terminal M, the host 30 causes the voltage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M to fall from 2.8V to 2.5V in order to inform the switch to the talk mode.

이에 제어부(24a)는 이 전압강화상태를 체크한다(S106) S106단계에서 전압강하상태가 체크되면 제어부(24a)는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 하여(S108) 음성채널을 스테레오 수신모드에서 모노수신모드로 절환한다. 이는 마이크단자(M)를 통한 전원전압 공급을 중단하고 제2음성채널단자(R)를 통한 전원전압 공급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다. If the voltage drop state is checked in step S106, the control unit 24a turns on the switch SW3 (step S108). In step S108, the control unit 24a determines whether the audio channel is monaural in the stereo receiving mode To the reception mode. This is for stopping the supply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hrough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starting the supply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ia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

제어부(24a)는 제2음성채널단자(R)의 제2음성채널 단자전압(VR)의 크기가 제2기준전압(2.4V) 보다 큰 값인지를 체크한다(S110). S110단계에서 제2음성채널 단자전압(VR)이 제2준전압(2.4V) 보다 크면 스위치(SW2)를 온시켜서(S112) 제2음성채널단자(R)와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를 연결시킨다. 이때에는 마이크단자(M)과 제2음성채널단자(R)가 동시에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절환시 전원전압의 단속없이 연속적인 전원전압 공급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24a checks whether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voltage VR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2.4V at step S110. I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voltage VR is greater than the second sub voltage 2.4V in step S110, the switch SW2 is turned on in step S112 so that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At this time,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re kep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continuous power supply voltage without interrupting the supply voltage when switching.

제어부(24a)는 마이크 단자전압(VM)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2.4V) 이하 값인지를 체크한다(S114). S114단계에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이 제1기준전압(2.4V) 이하로 떨어지면 스위치(SW1)을 오프시켜서(S116) 마이크단자(M)와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를 분리시킨다. The control unit 24a checks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2.4 V) (S114). If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falls below the first reference voltage (2.4 V) in step S114, the switch SW1 is turned off (S116), the microphone terminal M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terminal Vdd of the signal processing section 20 .

S100단계에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이 제1기준전압(2.4V) 보다 크고 스위치(SW3)가 온 상태이면 스위치(SW1)을 온시켜서(S118) 마이크단자(M)와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를 연결시킨다. If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2.4 V) and the switch SW3 is turned on in step S100, the switch SW1 is turned on (S118), and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Connect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이어서 제어부(24a)는 제2음성채널단자(R)의 제2음성채널 단자전압(VR)의 크기가 제2기준전압(2.4V)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체크한다(S120). S120단계에서 제2음성채널 단자전압(VR)이 제2준전압(2.4V) 이하로 떨어지면 스위치(SW2, SW3)를 오프시켜서(S112) 제2음성채널단자(R)와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를 분리시킨다(S122). 그리고 스위치(SW3)의 오프상태에 의해 모노수신모드가 스테레오 수신모드로 복원된다(S124).Next, the controller 24a checks whether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voltage VR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falls below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2.4V (S120). When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voltage VR falls below the second quasi-voltage (2.4 V) in step S120, the switches SW2 and SW3 are turned off (S112) and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are turned off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is disconnected (S122). The mono reception mode is restored to the stereo reception mode by the OFF state of the switch SW3 (S124).

S100단계에서 마이크 단자전압(VM)이 제1기준전압(2.4V) 이하로 다운되면 제어부(24a)는 스위치(SW1)를 오프 시켜서(S116) 마이크단자(M)와 신호처리부(20)의 전원단자(Vdd)를 분리시킨다. If the microphone terminal voltage VM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2.4 V) in step S100, the control unit 24a turns off the switch SW1 (S116), and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power sourc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Disconnect the terminal (Vdd).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아날로그 제어방식과는 달리 전원공급 제어프로그램에 의한 디지털 제어방식을 제시한다.  Therefore, another embodiment provides a digital control method by a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unlike the analog control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은 도 6의 호스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나타낸다.Fig. 8 show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st apparatus in Fig. 6; Fig.

도 8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30)의 제어부(42)는 액세서리 장치(10)의 연결 유무를 체크한다(S200). 제어부(42)는 액세서리 장치의 연결이 확인되면 액세서리 종류를 식별한다(S202). 식별된 액세서리 종류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알고리즘을 세팅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unit 42 of the host device 30 checks whether or not the accessory device 10 is connected (S200). When the connection of the accessory device is confirmed, the controller 42 identifies the accessory type (S202). And sets a switching control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ccessory type.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가 식별되면 아래의 동작을 수행하여 액세서리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Once the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fied,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performed to supply the necessary power to the accessory:

먼저 제어부(42)는 동작모드 즉, 통화모드인가를 체크한다(S204). 초기에는 비통화모드이므로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1)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제1스위치(43)를 온시켜서 마이크단자(M)에 전원전압(VCC)를 공급한다. 나머지 스위치 제어신호(S2, S3)는 넌액티브 상태를 유지한다. First, the control unit 42 checks whether the operation mode is the communication mode (S204). The control unit 42 activates the switch control signal S1 to turn on the first switch 43 to supply the power source voltage VCC to the microphone terminal M. [ The remaining switch control signals S2 and S3 remain in the non-active state.

제어부(42)는 통화모드로의 동작모드 절환 요청이 있는지를 체크한다(S208). S208단계에서 통화모드로의 절환요청이 체크되면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2)를 일정 시간 하이 상태로 유지하여 스위치(44)를 온/오프제어한다. 스위치(44)가 온되어 있는 기간동안 2.8V의 전원전압 대신에 2.5V의 모드절환 요청신호를 마이크단자(M)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에 제공한다(S210).The control unit 42 checks whether there is an operation mode switching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mode (S208). In step S208, if the switching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mode is checked, the controller 42 maintains the switch control signal S2 in the high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control the switch 44 to be turned on / off. A mode switching request signal of 2.5 V is supplied to the accessory device via the microphone terminal M (S210) instead of the power supply voltage of 2.8 V during the period that the switch 44 is ON.

이어서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3)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스위치(45)를 온시켜서 제2음성채널단자(R)에 전원전압(VCC)를 인가한다(S212). 이어서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1)의 하이상태를 로우상태로 변환하여 스위치(43)를 오프상태로 한다. 그러므로 마이크단자(M)는 전원전압 VCC에서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 ~2.4V로 되어 음성신호를 픽업할 수 있게 된다(S214). Next, the control unit 42 turns the switch 45 to the active state to apply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S212). Subsequently, the control section 42 converts the high state of the switch control signal S1 to the low state to turn the switch 43 off. Therefore, the microphone terminal M becomes the microphone bias voltage ~ 2.4V at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so that the voice signal can be picked up (S214).

제어부(42)는 통화모드에서 동작모드 복귀상태를 체크한다(S216). S216단계에서 동작모드 복귀상태가 아니면 S212단계를 수행하여 통화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S216단계에서 동작모드 복귀상태이면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1)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제1스위치(43)를 온시켜서 마이크단자(M)에 전원전압(VCC)를 공급한다(S218). 이어서 제어부(42)는 스위치 제어신호(S3)의 하이상태를 로우상태로 변환하여 스위치(45)를 오프상태로 한다. 그러므로 제2음성채널단자(R)는 전원전압 VCC에서 음성채널 바이어스 전압 ~2.4V로 되어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S220). The control unit 42 checks the operating mode return state in the communication mode (S216). If it is not the operation mode returning state in step S216, step S212 is performed to maintain the call mode state. The control unit 42 activates the switch control signal S1 to turn on the first switch 43 to supply the power source voltage VCC to the microphone terminal M in step S218 . Subsequently, the controller 42 converts the high state of the switch control signal S3 to the low state to turn the switch 45 off. Therefore,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 becomes the audio channel bias voltage ~ 2.4V at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can output the audio signal (S220).

상술한 바아 같이 본 발명의 호스트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와 연동하여 전원전압을 안정되게 공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hos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algorithm for stably su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in conjunction with the accessor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4극 오디오 커넥터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작모드의 절환시에도 전원전압의 공급을 단속없이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액세서리의 신호처리 전원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장치에서 배터리 및 충전회로가 없는 상태에서 호스트로부터 안정된 전원공급으로 보다 다양한 응용을 가능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ly of the power supply voltage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out interruption even 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while maintaining the compatibility of the conventional four-pole audio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thereby stabilizing the signal processing power of the accessory. This allows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from a host to a stable power supply in the absence of a battery and a charging circuit in an accessory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7)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호스트와 연결되는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제1스피커, 제2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마이크단자 중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공급하는 액티브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액세서리 장치.
An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a host in a quadru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anner having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 signal process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peaker, the second speaker and at least one microphone and the quadrupole audio plug connector to process the signal; And
And an active power supply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micro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supplying the power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가 비통화모드이면 상기 마이크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연결하고, 통화모드이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연결하는 액세서리 장치. The access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non-call mode,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voice channel terminal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call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전원 공급부는
상기 마이크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이 제1기준전압 보다 크면 상기 마이크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이하이면 상기 마이크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분리하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이 제2기준전압 보다 크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미만이면 상기제2음성채널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분리하는 제2스위칭부를 구비한 액세서리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ctive power supply
A first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microphone terminal to a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is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oltage and for separating the microphone terminal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signal level is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f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a second switching unit for separating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의 최대치인 액세서리 장치. 4. The accessory device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is a maximum of a voice signal defined by the hos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2.8V 일 때 2,4V인 액세서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An accessory device with 2.4V when the supply voltage from the host is 2.8V.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부 각각은
오디오 플러그 단자 신호가 포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기준전압이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일단에 상기 오디오 플러그 단자 신호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구비한 액세서리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A comparator in which an audio plug terminal signal is connected to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reference voltage is connected to a negative input terminal; And
And a switch which is switch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comparator, the audio plug terminal signal being connected at one end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being connected at the other e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의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을 제3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제2음성입력단자를 상기 제1 및 제2음성채널단자들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active power suppl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compare a signal level appli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with a third reference voltage to select a second audio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 the active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a third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칭부는
상기 제2스위칭부가 액티브 상태로 되기 전에 미리 액티브 상태로 되는 액세서리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brought into an active state before being put into an active st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칭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가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기준전압이 네가티브 입력단에 연결된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출력을 액티브 상태로 래치하고 상기 제2스위칭부가 액티브 상태로 된 이후에 넌액티브 상태로 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출력상태 또는 상기 제2스위칭부의 액티브 상태에 응답하여 논리합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회로; 및
제1단자가 상기 제1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공통단이 상기 신호처리부의 제2음성신호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액세서리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switching unit
A comparator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connect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A latch circuit that latches an output in an active state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comparator and enters a non-active state after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brought into an active state;
A gate circuit for outputting an OR signal in response to an output state of the latch circuit or an active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the comm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switch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accessor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준전압은 상기 제1기준전압 보다 크고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전압 보다는 작은 액세서리 장치. 8. The accessory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less than a supply voltage suppli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호스트와 연결되는 액세서리 장치에 있어서,
제1스피커, 제2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4극 오디오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를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제1기준전압 보다 크면 상기 제1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제2기준전압 보다 크면 상기 제2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액세서리 장치.
An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a host in a quadru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anner having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 signal process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peaker, the second speaker and at least one microphone and the quadrupole audio plug connector to process the signal;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secon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be in the active state if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be in the active state if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ccessor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가 비통화모드이면 상기 마이크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연결하고, 통화모드이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연결하는 액세서리 장치. The accessory device of claim 11, wherein the micro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non-call mode,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voice channel terminal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call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의 최대치인 액세서리 장치. 12. The accessory device of claim 1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is a maximum of a voice signal defined by a hos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전압들 각각은
호스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2.8V 일 때 2,4V인 액세서리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An accessory device with 2.4V when the supply voltage from the host is 2.8V.
제11항에 있어서, 제1단자가 상기 제1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에 연결되고, 공통단이 상기 신호처리부의 제2음성신호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3기준신호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3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액티브 상태로 된 이후에 제3스위치를 넌액티브 상태로 하는 액세서리 장치.
12. The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3 switch,
The control unit
The third switch is made active when the voltage level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falls below the third reference signal and the accessory which puts the third switch into the non-active state after the second switch becomes active,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준전압은
상기 제3기준전압은 상기 제1기준전압 보다 크고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전압 보다는 작은 액세서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Wherei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less than a supply voltage supplied to a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호스트와 연결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마이크단자 중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으로 공급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전압공급방법.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n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a host through a four-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ethod having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Wherein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accessory device is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microphone terminal and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중 마이크를 사용하는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로부터 전원전압을 받아 상기 신호처리부로 공급하고,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비통화모드에서는 상기 마이크 단자로부터 전원전압을 받아 상기 신호처리부로 공급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7, wherein in a call mode using a microphone during the operation mode, a power supply volt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su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 a non-talk mode in which a microphone is not used,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통화모드에서 통화모드로의 절환시에는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제2음성채널단자를 전원전압 입력전용으로 세팅하고 상기 제1음성채널단자를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에 공통으로 연결하여 스테레오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 먼저 절환하고, 제2음성채널단자를 통해 전원전압이 공급된 후에 상기 마이크 단자를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분리시키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8, wherein, when switching from the non-speaking mode to the speaking mode, the second voice channel terminal is set for exclusive use of the power voltage input before switching to the call mode, A speaker connected in common to switch from the stereo mode to the mono mode first and to disconnect the microphone terminal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fter the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커지면 상기 마이크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이하이면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microph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higher than the voice signal level defined by the host, How to power the accessory device to separat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커지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하고,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이하이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larger than the audio signal level defined by the host,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크고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 보다는 작으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 레벨로 상승하기 전에 스테레오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 절환하고,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전압 레벨로 상승한 후에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larger than the audio signal level specified by the host and smaller than the power source voltag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mono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disconnected after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rise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보다 커지면 상기 마이크단자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와 연결한 후에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의 신호레벨이 호스트에서 규정한 음성신호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원단자를 분리하는 액세서리 장치의 전원공급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If the signal level of the microphone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voice signal level defined by the host in the mono mode, the signal level of the second voice channel terminal is lower than the voice level of the voice signal specified by the host after connecting the microphone terminal with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Level,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제1음성채널단자, 제2음성채널단자, 접지단자 및 마이크단자를 가진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으로 액세서리 장치와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단자와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와 상기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동작모드절환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2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2음성채널단자로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에 상기 제1스위치를 넌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마이크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상태를 전원전압에서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으로 절환하는 호스트 장치.
A host device connected to an accessory device by a four-pole audio plug-and-jack connector method having a first audio channel terminal, a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 secon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be in an active state to supply a power supply voltage to the accessory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terminal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to be in an active state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of the accessory device, Wherein the first switch is in a non-active state to supply a power supply voltage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and switches the voltage state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microphone bias voltag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단자와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에 직렬로 연결된 제3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동작모드절환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3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상기 마이크단자에 모드절환예고신호를 인가한 후에 상기 제2스위치를 액티브 사태로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4, further comprising: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a third switch connected in series to the resistor,
Wherein the controller turns the third switch into an active state in response to a request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accessory device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 in an active state after applying a mode switching notice signal to the microphone termina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 예고신호의 신호 레벨은 상기 마이크단자에 인가되는 마이크 음성신호의 최대값 보다 크고 상기 전원전압 보다는 작은 값인 호스트 장치. The hos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the signal level of the mode switching notice signal is larger than a maximum value of a microphone voice signal appli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모드복원시에는 상기 제1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마이크단자에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에 상기 제2스위치를 넌액티브 상태로 제어하여 제2음성채널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상태를 전원전압에서 제2음성채널 바이어스 전압으로 절환하는 호스트 장치.
26. The apparatus of claim 25,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first switch is set to the active state to supply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n the second switch is controlled to the non-active state so that the voltage state applied to the second audio channel terminal is set to the second A host device for switching to a voice channel bias voltage.
KR1020140091891A 2014-07-21 2014-07-21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KR101609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91A KR101609194B1 (en) 2014-07-21 2014-07-21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91A KR101609194B1 (en) 2014-07-21 2014-07-21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13A true KR20160011013A (en) 2016-01-29
KR101609194B1 KR101609194B1 (en) 2016-04-05

Family

ID=5531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891A KR101609194B1 (en) 2014-07-21 2014-07-21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574B1 (en) 2016-08-12 202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152A (en) 2011-08-10 2013-09-12 고어텍 인크 Communication headset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device, and noise reduction communication heads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316Y1 (en) 2001-10-18 2002-01-10 주식회사 드림앤컴퍼니 Support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vehicles
KR200347105Y1 (en) 2003-12-30 2004-04-08 정철희 Auto-talk Circuit By Earphone Jack Of Cellular-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152A (en) 2011-08-10 2013-09-12 고어텍 인크 Communication headset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device, and noise reduction communication hea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194B1 (en)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324B2 (en) Wireless headset carrying case with digital audio output port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US80190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configurable audio path circuitry
US9099967B2 (en) Increasing ground noise rejection in audio systems
US82291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ed battery charging and loading in a stereo headset
SE1750005A1 (en) A storage and charging capsule for wireless earbuds
US9832560B1 (en) Headset providing private and detachable loudspeaker audio and external device charging
US8750535B2 (en) Communications headset power provision
KR101473173B1 (en) Earphone for mobile phone with Active Noise Cancellation function
JP2007110427A (en) Acoustic system
CN105933823B (en) Backward compatibl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and signals to headphones with active noise cancellation using a 4P audio plug
US8750534B2 (en) Communications headset power provision
EP313383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ctive noise cancelling earphone
JP5158593B2 (en) Portable terminal, audio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udio device identificat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WO2018076628A1 (en) Usb interface circuit, terminal, headset circuit and headset, and storage medium
EP2716063B1 (en) Communications headset power provision
US10645477B2 (en) Audio systems
KR101609194B1 (en)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and Host Apparatus
CN208863048U (en) A kind of wireless playing equipment and wear-type wireless headphone system
KR20160033490A (en) Accessory Apparatus of four Pole Audio Plug-Jack Connector Typ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ereof
KR101584345B1 (en) Ear Set and Acoust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GB2487088A (en) Peripheral devices for use with cellular telephones
US20230139601A1 (en) System for power consumption balancing in wireless earbuds
EP4185070A1 (en) System for power consumption balancing in wireless earbu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