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998A -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998A
KR20160010998A KR1020140091857A KR20140091857A KR20160010998A KR 20160010998 A KR20160010998 A KR 20160010998A KR 1020140091857 A KR1020140091857 A KR 1020140091857A KR 20140091857 A KR20140091857 A KR 20140091857A KR 20160010998 A KR20160010998 A KR 2016001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ata
pole
crystal
pre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우
최상훈
박정욱
정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to KR102014009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998A/ko
Publication of KR2016001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일 이상의 극점 중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영어 필기체의 문자인식을 위해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처리를 위한 바탕선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PRETREATED ONLINE HANDWRITTEN DATA}
본 발명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체 문자인식을 위해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필기체를 정규화할 수 있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필기체 문자인식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이란 태블릿 (tablet) 이나 터치 스크린 (touch screen) 과 같은 터치 입력 패널에 디지타이저 (digitizer) 나 손가락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글자를 쓴 후 입력된 글자의 순차적인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영문 필기체는 인쇄체와는 달리 글자간 하나의 연속된 획으로 쓰여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영문 필기체는 일정한 기울기로 쓰여지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필기 습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영문 필기체에 따라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기울기가 일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기울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체적인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영문 필기체의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필기체 문자인식을 위해 문자인식이 가능한 정형화된 형식의 온라인 필기 데이터로 보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단순하고 일률적인 기울기 및 크기의 보정방법만으로 입력된 온라인 필기 데이터 문자 전체의 기울기와 크기를 정형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문 필기체에 의한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정확한 문자인식을 위해 곡선으로 기울어진 단어나 문장에서 바탕선 (baseline) 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교정하고 글자 크기를 정규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어 필기체의 문자인식을 위해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처리를 통해 영문 필기체 문자를 기준선에 맞게 보정할 수 있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온라인 필기 데이터로 입력되는 단어 또는 문장을 바탕선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교정하고 크기를 정규화할 수 있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일 이상의 극점 중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문자가 아닌 기호 또는 중복되는 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표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준선은 어깨선을 더 포함하고, 결정선은 머리선 및 바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탕선은 결정선 사이에 위치하고 어깨선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 이상의 극점은 좌표데이터 중 최좌점, 최우점, 꼭지점, 극소점 및 극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교정하는 단계는 일 이상의 극점을 기준선과 결정선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으로 할당하여,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을 각각 기준선과 결정선으로 이동시켜 정규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디스플레이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고,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처리모듈, 및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고, 일 이상의 극점 중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교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신모듈은 문자가 아닌 기호 또는 중복되는 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신모듈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표데이터를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준선은 어깨선을 더 포함하고, 결정선은 머리선 및 바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탕선은 결정선 사이에 위치하고 어깨선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 이상의 극점은 좌표데이터 중 최좌점, 최우점, 꼭지점, 극소점 및 극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교정모듈은 일 이상의 극점을 기준선과 결정선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으로 할당하여,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을 각각 기준선과 결정선으로 이동시켜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고,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고,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고, 일 이상의 극점 중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영어 필기체의 문자인식을 위해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처리를 통해 영문 필기체 문자를 기준선에 맞게 보정할 수 있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필기 데이터로 입력되는 단어 또는 문장을 바탕선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교정하고 크기를 정규화할 수 있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서의 최소경계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의해 분할된 최소경계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추출된 온라인 필기 데이터 좌표데이터의 극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극점을 바탕선에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극점을 각각 머리선, 어깨선, 바닥선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교정되고 정규화된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란,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데이터 그 자체로서, 일정한 모듈에 의해 수정되기 전의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온라인 필기 데이터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일정한 모듈에 의해 처리된 좌표데이터로서,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형태 그대로 표시될 수 있으며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문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된 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이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로 표현된 문자를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문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교정 및 정규화할 수 있는 모듈이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은 문자인식 시스템 안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문자인식 시스템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최소경계영역이란,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소한의 직사각형 영역을 의미한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직교좌표계 상에 위치된다고 가정할 때, 최소경계영역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중 최고점, 최저점, 최좌점, 최우점을 지나는 선분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을 상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이란,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필기체로 사용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상정할 수 있다.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은 최소경계영역의 결정선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정선이란,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선분으로, 직사각형의 각 선분 중 평행한 두 선분으로 상정할 수 있다. 결정선은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에 평행하고, 최소경계영역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상부 결정선, 최소경계영역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하부 결정선으로 상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탕선이란,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기준선 중 하나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은 바탕선을 기준으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기울기를 교정할 수 있다. 바탕선은 영어 필기체의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에서 가장 많은 극점을 포함할 수 있다. 바탕선은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기준선 중 최소경계영역의 하부 결정선에 가까운 선으로 상정할 수 있다. 최소경계영역의 좌상부의 꼭지점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계에서, 바탕선은 상부 결정선으로부터 최소경계영역의 높이의 2/3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좌표데이터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복수의 좌표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좌표데이터는 일 이상의 극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극점이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교정하고 정규화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점을 상정한 것으로, 좌표데이터의 기울기의 부호가 바뀌는 점, 기울기가 0이 아닌 실수에서 0으로 변화거나 0에서 0이 아닌 실수로 변경되는 점, 꼭지점, 좌표데이터의 시작점 또는 종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탕선 극점이란, 바탕선 주변에 존재하는 극점들로, 최소경계영역의 높이의 중간과 하부 결정선 사이에 존재하는 극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바탕선 극점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교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좌표데이터로, 바탕선 극점을 바탕선에 포함되도록 이동시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극점 연결선이란, 바탕선 극점을 연결한 선분을 의미한다. 극점 연결선은 바탕선 극점을 바탕선에 위치되도록 이동되며, 이에 따라, 극점 연결선의 기울기가 바탕선과 평행하게 되고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기울기가 교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노이즈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중 중복되는 점에 해당하는 좌표데이터를 의미한다. 노이즈는 실질적으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교정과 정규화에 이용될 수 없고,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노이즈 제거를 통해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교정이 더욱 정확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은 수신모듈 (110), 처리모듈 (120), 및 교정모듈 (13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은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에 사용자가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하면 불규칙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형태를 문자인식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기울기 및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은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를 조정한다.
수신모듈 (110) 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을 통해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모듈 (11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좌표데이터의 형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모듈 (11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처리모듈 (120) 로 전송한다.
처리모듈 (12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한다. 처리모듈 (120) 은 수신모듈 (110) 로부터 수신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최소한의 영역을 결정한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이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처리모듈 (120) 은 최소경계영역을 2 이상의 기준선으로 분할할 수 있다. 처리모듈 (120) 은 최소경계영역을 일정한 기준에 기초하여 기준선을 설정한다. 2 이상의 기준선 중 하나는 바탕선이고, 나머지 하나는 어깨선일 수 있다. 어깨선은 바탕선보다 상부 결정선에 더 가까운 선으로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준선을 설정할 수 있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이 기준선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교정모듈 (13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교정하기 위해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한다. 좌표데이터는 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필기체에서 복수의 극점을 포함한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이 극점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교정모듈 (130) 은 추출된 일 이상의 극점 중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의 극점을 바탕선 극점으로 상정하고, 바탕선 극점을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을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이 바탕선 극점을 바탕선에 포함되도록 이동시키는 방법은 도 6a를 통해 설명한다.
교정모듈 (130) 은 추출된 극점의 위치를 계산하여 최소경계영역의 기준선 및 결정선과 비교하여 극점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교정할 수 있다. 극점의 위치와 최소경계영역에서의 적절한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링 (modeling) 이 적용될 수 있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이 모델링을 통한 극점의 위치이동 및 교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6b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은 수신모듈 (110) 이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된다 (S110).
수신모듈 (110) 은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필기체 문자를 처리되지 않은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형식으로 수신한다. 수신모듈 (110) 은 필기체 문자인식 시스템이 동작하는 다양한 단말기의 입력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의 입력부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디지타이저나 손가락과 같은 입력수단에 의해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체 문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수신모듈 (110) 은 수신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좌표데이터 단위로 처리한다. 수신모듈 (110) 은 좌표데이터 중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에 의해 처리될 필요가 없는 좌표데이터를 노이즈로 판단한다. 노이즈는 중복되는 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모듈 (110) 은 노이즈로 판단되는 좌표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처리모듈 (120) 로 전송하지 않는다.
수신모듈 (110) 은 노이즈를 제거하기 전후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를 샘플링할 수 있다. 샘플링은 좌표데이터를 일정한 간격마다 선택하여 처리모듈 (120) 과 교정모듈 (130) 에서 좌표데이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수신모듈 (110) 은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을 함으로써, 좌표데이터를 행렬로 저장한 처리모듈 (120) 과 교정모듈 (130) 이 극점의 이동 및 교정을 할 수 있다.
처리모듈 (120) 은 디스플레이에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한다 (S120).
수신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복수의 좌표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처리모듈 (120) 은 좌표데이터의 위치를 계산하여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좌표데이터 중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높은 점, 가장 낮은 점, 가장 왼쪽 점, 및 가장 오른쪽 점을 기준으로 최소경계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선을 구할 수 있다. 최소경계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을 포함하는 결정선은 상부 결정선, 가장 낮은 점을 포함하는 결정선은 하부 결정선으로 상정한다. 최소경계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선을 결정선이라 하고, 최소경계영역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상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결정선과 하부 결정선은 서로 평행하다.
처리모듈 (120) 은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한다 (S130).
직사각형의 영역으로 설정되는 최소경계영역은 상부 결정선과 하부 결정선에 평행한 2 이상의 기준선에 의해 분할된다. 최소경계영역이 2 개의 기준선에 의해 분할되는 경우, 상부 결정선과 가까운 기준선을 어깨선, 하부 결정선과 가까운 기준선을 바탕선으로 상정할 수 있다. 상부 결정선은 머리선, 하부 결정선은 바닥선으로 상정할 수 있다. 즉, 최소경계영역은 머리선과 바닥선으로 결정되고, 어깨선과 바탕선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의 필기체는 바탕선을 기준으로 쓰여지고 일부 알파벳은 바탕선 아래로 쓰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y', 'p' 같은 알파벳은 바닥선에 닿도록 쓰여질 수 있다. 또한, 'l'은 머리선에 닿도록 쓰여질 수 있다.
교정모듈 (13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한다 (S140).
극점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교정모듈 (130) 은 극점을 머리선, 어깨선, 바탕선, 바닥선 중 적절한 위치에 다시 배치하기 위해 극점을 추출한다. 극점을 추출하여 교정모듈 (130) 이 계산해야 하는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교정모듈 (130) 은 일 이상의 극점 중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한다 (S150).
교정모듈 (130) 에 의해 추출된 일 이상의 극점은 머리선, 어깨선, 바탕선, 바닥선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위치한다. 바탕선에 가깝게 위치한 일 이상의 극점들을 바탕선 극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은 교정모듈 (130) 에 의해 바탕선으로 이동되어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교정할 수 있다. 즉, 영어 필기체의 기준이 되는 바탕선을 평행하도록 교정하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최소경계영역의 상부 및 하부 결정선을 기준으로 바탕선도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은 최소경계영역에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체적인 기울기의 수정없이 한번에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을 위한 최소경계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처리모듈 (12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최소경계영역 (200) 으로 처리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 (20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좌점 (232) 과 최우점 (242), 최고점 (212) 과 최저점 (222) 을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처리모듈 (12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좌점 (232), 최우점 (242), 최고점 (212), 및 최저점 (222) 을 각각 포함하는 직사각형을 최소경계영역 (200) 으로 설정할 수 있다. 최소경계영역 (200) 은 상부 결정선 (210), 하부 결정선 (220), 좌측 결정선 (230), 및 우측 결정선 (240) 으로 구분되는 내부 영역으로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최고점 (212) 과 최저점 (222)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 중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에 표시되는 점을 상정할 수 있다. 특히, 최고점 (212) 과 최저점 (222) 을 포함하는 최소경계영역의 결정선 (210, 220) 은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이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에서 우측부를 향하는 경우, 최좌점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가장 좌측 좌표데이터, 최우점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가장 우측 좌표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최고점 (212) 은 상부 결정선 (210) 상의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최저점 (222) 은 하부 결정선 (220) 상의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최좌점 (232) 은 좌측 결정선 (230) 상의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최우점 (242) 은 우측 결정선 (240) 상의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최소경계영역 (200) 에서 좌측 결정선 (230) 과 하부 결정선 (220) 이 만나는 교점을 직교좌표계에서의 원점으로 상정하면, 하부결정선 (220) 을 x축, 좌측 결정선 (230) 을 y축으로 상정하여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의 위치를 직교좌표계에 표현할 수 있다. 직교좌표계의 x축은 디스플레이의 가로 선분과 평행하고, 직교좌표계의 y축은 디스플레이의 세로 선분과 평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문 필기체의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쓰여지므로,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은 일반적으로 x축 방향으로 상정할 수 있다. 원점을 기준으로 하부 결정선 (220) 을 따라 우측 결정선 (240) 으로 갈수록 x값은 커지고, 좌측 결정선 (230) 을 따라 상부 결정선 (210) 으로 갈수록 y값은 커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의해 분할된 최소경계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소경계영역 (200) 은 머리선 (211) 과 바닥선 (217) 과 평행한 2개의 기준선 (213, 215) 으로 분할된다. 2개의 기준선 (213, 215) 은 각각 어깨선 (213) 과 바탕선 (215) 으로 구분된다. 어깨선 (213) 은 상부 결정선인 머리선 (211) 과 더 가깝고, 바탕선 (215) 은 하부 결정선인 바닥선 (217) 과 더 가깝다. 일반적으로 영어 필기체는 바탕선 (215) 을 기준으로 쓰여지지만, 사용자마다 필기 습관이 다르므로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바탕선 (215) 에서 어긋나게 입력될 수 있다.
기준선 (213, 215) 은 최소경계영역 (200) 을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소경계영역 (200) 의 머리선 (211), 어깨선 (213), 바탕선 (215) 및 바닥선 (217)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어깨선 (213) 과 바탕선 (215) 의 중간과 머리선 (211) 과 바닥선 (217) 의 중간은 서로 일치하며, 최소경계영역 (200) 을 반으로 분할하는 중간선은 머리선 (211), 바닥선 (217) 에 평행하다. 최소경계영역 (200) 의 높이는 바닥선 (217) 부터 머리선 (211) 까지의 거리로 상정한다. 바탕선 (215) 은 바닥선 (217) 으로부터 최소경계영역 (200) 의 높이의 1/3 되는 지점을 분할하는 기준선이고, 어깨선 (213) 은 바닥선 (217) 으로부터 최소경계영역 (200) 의 높이의 2/3 되는 지점을 분할하는 기준선이다.
영문 필기체는 바탕선 (215) 을 기준으로 쓰여지므로, 극점이 바탕선 (215) 에 가장 많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모듈 (120) 은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기준선으로 바탕선 (215) 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추출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의 극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 중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교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일 이상의 극점 (301, 303, 304, 305, 306, 307, 311, 313) 이 표시된다. 극점은 필기체에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접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하는 지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직교좌표계를 기초로, 점 304에서 점 305를 향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접선의 기울기는 양이 되고, 점 305에서 점 306으로 향하는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접선의 기울기는 대체로 음이 된다. 즉, 점 305를 기준으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접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하므로 점 305를 극점으로 상정할 수 있다. 또한, 극점은 꼭지점 (307) 이나 최좌점(301), 최우점 (303) 등을 포함한다. 304, 305, 306, 307, 311, 313은 일 이상의 극점 중 일부를 표시한 도면부호이다. 일 이상의 극점 (304, 305, 306, 307, 311, 313) 은 x로 표시될 수 있다. 교정모듈 (130) 은 도 5와 같이 일 이상의 극점 (304, 305, 306, 307, 311, 313) 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이상의 극점 중 일부 (304, 306) 는 바탕선 (215) 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교정모듈 (130) 은 바탕선 (215) 에 근접한 일 이상의 극점을 바탕선 극점 (304, 306) 으로 상정할 수 있다. 교정모듈 (130) 은 최소경계영역 (200) 의 중간선과 최소경계영역 (200) 의 1/4 높이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 사이의 영역을 바탕선 (215) 에 근접한 영역으로 상정할 수 있다.
바탕선 극점 (304, 306) 과 유사한 방식으로 어깨선 (213) 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일 이상의 극점은 어깨선 극점 (307) 으로 상정할 수 있고, 머리선 (211) 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일 이상의 극점은 머리선 극점 (311), 바닥선 (217) 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일 이상의 극점은 바닥선 극점 (313) 으로 상정할 수 있다. 교정모듈 (130) 은 일 이상의 극점 (304, 305, 306, 307, 311, 313) 을 각각 바탕선 극점 (304, 306), 어깨선 극점 (305, 307), 머리선 극점 (311), 및 바닥선 극점 (313) 으로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극점을 바탕선에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극점을 각각 머리선, 어깨선, 바닥선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에 따라 교정되고 정규화된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교정모듈 (130) 은 추출된 바탕선 극점을 바탕선 (215) 으로 이동시켜 교정한다. 극점 연결선 (400) 은 온라인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향인 x축 방향으로 바탕선 극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이다. 교정모듈 (130) 은 바탕선 극점을 바탕선 (215) 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극점 연결선 (400) 이 바탕선 (215) 과 일치된다.
극점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상태인 유한 상태 기계 (Finite State Machine) 는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H[1, n]은 극점이 제1선 머리선(l1)에 할당된 경우이고, H[2, n]은 극점이 제2선 어깨선(l2)에 할당된 경우이고, H[3, n]은 극점이 제3선 바탕선(l3)에 할당된 경우이고, H[4, n]은 극점이 제4선 바닥선(l4)에 할당된 경우이다. j는 1부터 4의 값을 갖고, 각각 상부 결정선, 어깨선, 바탕선, 하부 결정선에 각각 대응하는 값이다. n은 극점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1
NL은 기준선의 개수를 의미하며, Next은 극대점과 극소점을 포함하는 극점 집합의 원소 개수를 의미한다.
교정모듈 (130) 은 기준선과 결정선을 기초로 극점의 위치를 행렬로 표현할 수 있고, 극점들은 전이 비용의 계산을 통해 기준선에 주로 할당되도록 계산할 수 있다. 극점들을 기준선에 할당하기 위한 위치 계산 및 경로는 동적 프로그래밍 (dynamic programming) 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동적 프로그래밍은 예를 들어 비터비 (Viterbi)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극점의 위치 계산 및 교정을 위해 행렬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행렬은 벡터로 이루어진 집합이다. 각각 행렬 H는 상태 행렬, 행렬 C는 누적 상태 전이 비용 행렬, 행렬 F는 상태 전이 이력 행렬로 상정한다. H[i, n-1]에서 H[j, n]로의 누적 상태 전이 비용 C[j, n]과 이 값을 최소로 하는 기준선 할당 F[j, n]과 이 때의 상태 H[j, n]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C[j, n]은 Pext[n]의 j번째 상태 H[j, n]까지의 누적 상태 전이 비용이고, Pext[n]는 극점 집합 속에 포함되는 일 극점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cwj는 (1-CWj) 인 가중치이며, CW1+CW2+CW3+CW4=1인 특정 상수이고, cost[i, j, n]은 H[i,n-1]에서 H[j, n]으로의 최소 상태 전이 비용이다.
Figure pat00004
F[j, n]은 H[i,n-1]에서 H[j, n]으로의 누적 상태 전이 비용 C[j, n]을 최소가 되게 하는 n-1번째의 기준선 번호 i를 가지고 있으며, 상태 전이 이력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H[j, n]은 Pext[n]의 j번째 상태에서의 각 기준선 (l1, l2, l3, l4)의 높이 h1, h2, h3, h4를 가지고 있는 벡터이다. 에 대하여 From[j] = H[F[j, n], n-1]이다. 또한 TH1, TH2, TH3, TH4는 특정 임계치 (양의 상수) 를 의미한다.
계산된 극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선형 보간을 이용하여 극점의 위치를 조정한다. 선형 보간에 의해 극점이 이동하면, 바탕선 주위의 바탕선 극점들을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 (400) 이 바탕선 (215) 에 일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바탕선 극점이 바탕선 (215) 으로 이동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머리선 극점, 어깨선 극점, 바닥선 극점도 각각 머리선 (211), 어깨선 (213), 바닥선 (217) 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온라인 필기 데이터는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다. 일 이상의 극점이 이동함에 따라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는 극점사이를 연결하도록 자동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교정모듈 (130) 이 바탕선 극점, 머리선 극점, 어깨선 극점, 바닥선 극점들을 각각 기준선 (211, 213, 215, 217) 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입력된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글자가 정규화될 수 있다. 영어 필기체의 글자가 일정한 간격의 기준선 (211, 213, 215, 217) 에 쓰여진 것으로 균일하게 표시되어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00) 은 일 이상의 극점을 기준선 (213, 215) 과 결정선 (211, 217) 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으로 할당하여,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을 각각 기준선 (213, 215) 과 결정선 (211, 217) 으로 이동시킨다. 바탕선 극점이 바탕선 (215) 으로 이동되어 기울기가 교정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다른 극점들도 어깨선 (213) 과 결정선 (211, 217) 에 가까운 극점들은 어깨선 극점, 결정선 극점으로 상정되어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극점들이 가까운 기준선 (213, 215) 과 결정선 (211, 217) 으로 이동되어 전체적인 글자체의 형태가 정규화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모듈
110 수신모듈
120 처리모듈
130 교정모듈
200 최소경계영역
210 상부 결정선
211 머리선
212 최고점
213 어깨선
215 바탕선
217 바닥선
220 하부 결정선
222 최저점
230 좌측 결정선
232 최좌점
240 우측 결정선
242 최우점
301 최좌점
303 최우점
304, 306 바탕선 극점
305, 307 어깨선 극점
311 머리선 극점
313 바닥선 극점
400 극점 연결선

Claims (15)

  1.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상기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일 이상의 극점 중 상기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상기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문자가 아닌 기호 또는 중복되는 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표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어깨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선은 머리선 및 바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선은 상기 결정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깨선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이상의 극점은 상기 좌표데이터 중 최좌점, 최우점, 꼭지점, 극소점 및 극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 이상의 극점을 상기 기준선과 상기 결정선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으로 할당하여, 상기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상기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을 각각 상기 기준선과 상기 결정선으로 이동시켜 정규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8.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상기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고, 상기 일 이상의 극점 중 상기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상기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교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문자가 아닌 기호 또는 중복되는 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표데이터를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어깨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선은 머리선 및 바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선은 상기 결정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깨선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이상의 극점은 상기 좌표데이터 중 최좌점, 최우점, 꼭지점, 극소점 및 극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모듈은 상기 일 이상의 극점을 상기 기준선과 상기 결정선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으로 할당하여, 상기 일 이상의 기준선 극점과 상기 일 이상의 결정선 극점을 각각 상기 기준선과 상기 결정선으로 이동시켜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장치.
  15.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최소경계영역을 결정하는 결정선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바탕선을 포함하는 2 이상의 기준선으로 상기 최소경계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의 좌표데이터로부터 일 이상의 극점을 추출하고,
    상기 일 이상의 극점 중 상기 바탕선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일 이상의 바탕선 극점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극점 연결선이 상기 바탕선과 일치하도록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40091857A 2014-07-21 2014-07-21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KR20160010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57A KR20160010998A (ko) 2014-07-21 2014-07-21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57A KR20160010998A (ko) 2014-07-21 2014-07-21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998A true KR20160010998A (ko) 2016-01-29

Family

ID=5531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857A KR20160010998A (ko) 2014-07-21 2014-07-21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9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3072A1 (en) * 2017-05-24 2019-11-21 Lg Chem, Lt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3072A1 (en) * 2017-05-24 2019-11-21 Lg Chem, Lt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69830B (zh) 多语言文本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12819B1 (ko) 텍스트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353501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书本点读方法及系统
CN113486828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3273388A1 (e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977976B2 (en) Path score calculating method for intelligent character recognition
US20180082456A1 (en) Image viewpoint trans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515175B2 (en) Storage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s in a document image using document recognition
KR20140089915A (ko) 필기 문자 조정 방법 및 장치
US8494277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based on frequency variations in characters
US8559718B1 (en) Defining a layout of text lines of CJK and non-CJK characters
US20150035778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8256523A (zh) 基于移动终端的识别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49649B (zh) 一种文本图像的识别方法、装置及计算设备
US9418281B2 (en) Segmentation of overwritten online handwriting input
US201202819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xt segmentation
KR20160010998A (ko) 전처리 온라인 필기 데이터 교정 방법 및 장치
KR10223550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US113930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displaying consecutive characters in alignment
KR20160053544A (ko) 후보 문자의 추출 방법
US8989492B2 (en) Multi-resolution spatial feature extraction for automatic handwriting recognition
CN115359502A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016419A (zh) 一种智能手写汉字平测算法
KR101683189B1 (ko) 깊이 영상에서 가장자리 쌍 기반의 객체 검출 방법
KR20160008407A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