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934A - An umbrella stand - Google Patents

An umbrella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934A
KR20160010934A KR1020140091668A KR20140091668A KR20160010934A KR 20160010934 A KR20160010934 A KR 20160010934A KR 1020140091668 A KR1020140091668 A KR 1020140091668A KR 20140091668 A KR20140091668 A KR 20140091668A KR 20160010934 A KR20160010934 A KR 2016001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main body
rainwater
opened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4865B1 (en
Inventor
홍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to KR102014009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65B1/en
Publication of KR2016001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2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 A47F7/00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with one compartment or recess for each articl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stand. More specifically, the umbrella stand comprises: a rectangular main body in which an umbrella fixing part for fixing one end of an umbrella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pened in order to put umbrellas thereinto,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so that rainwater on the umbrella falls into an inner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collected, and a side surrounding an umbrella body part is sea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lurality of side connector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a main body so as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ntegrally formed; and a lower suppor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or more upper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an upper surface portion thereof is opened so that rainwater dropped from a rainwater blocking member of the umbrella is collected, and a rainwater receiving par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rainwater storage part of a certain siz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to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variable number of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to enable a user to easily check the state in which rainwater is filled in the rainwater receiving part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우산 꽂이대{An umbrella stand}An umbrella stand

본 발명은 우산 꽂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의 길이에 관계없이 우산을 꽂아 고정시킬 수 있는 본체 및 본체를 받쳐주는 하부받침대를 상호 끼움 고정식으로 구성하여 그 설치장소에 따라 우산꽂이대의 갯수를 다양하게 구성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부받침대의 내부에 투명재의 빗물받이부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빗물이 차 있는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우산 꽂이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stand,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umbrella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stand which comprises a main body capable of inserting and fixing an umbrella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umbrella and a lower pedestal supporting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stand capable of visually confirming a state in which rainwater is caught outside from the outside by constituting a rainwater receiver por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ide a lower pedestal.

일반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관공서, 은행, 식당 등 주로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건물의 출입구에는 비오는 날 비에 젖은 우산을 수납하기 위한 우산꽂이용 플라스틱 통이나 우산 꽂이대가 비치되어 출입하는 사람들이 들고 온 우산에서 낙하된 빗물이 실내 바닥에 떨어져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ordinary households, there are also plastic huts and umbrella stands for umbrella stands for storing umbrellas on rainy days in the entrance to buildings where many people, mainly schools, government offices, banks, restaurants, etc., Rainwater falling from an umbrella falls on the floor of the room to prevent the surrounding from becoming messy.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우산꽂이용 플라스틱 통은 그 내부에 다수개의 우산을 수용하기는 편하지만, 우산에서 낙하된 빗물이 통 내부 바닥에 모여 있게 되어 우산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우산을 통에서 빼낼 때 우산에 빗물이 그대로 묻어있어 우산 이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휴대시 다른 물품에 빗물이 젖어들어 우산 이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The conventional plastic umbrella can be used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umbrellas. However, when the umbrella is taken out of the barrel so that 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umbrella is collected on the bottom of the barrel, Umbrella rainwater is buried in the umbrella, so when the user wears the umbrella clothes or when carrying it, the rainwater gets wet on other items, which often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mbrella users.

특히, 하나의 통에 다수개의 우산이 마구잡이로 꽂아져 있는 경우, 각 우산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나중에 넣은 젖은 우산이 물기가 마른 우산을 젖게 하여 다른 우산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통에 보관된 우산의 크기(길이)가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많은 우산이 섞여 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우산을 찾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우산을 들고 나오는 경우 및 우산을 분실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In particular, when a large number of umbrellas are inserted in a single barrel, each umbrella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et umbrella that is inserted later wets the dried umbrella, which not only discomforts the other umbrella users, It is very uncomfortable to find your own umbrella with many umbrellas mixed because the sizes of the umbrell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umbrella is lifted by someone else and the umbrella is lost.

또한, 이용자들의 부주의에 의해 우산을 넣거나 빼낼 때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통이 한쪽으로 쏠려 넘어지기라도 할 경우, 통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바닥으로 쏟아져 실내를 어지럽히는 등 또 다른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umbrella is loaded or unload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may be tilted to one side, and there is another inconvenience such a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pours to the floor and clogs the room.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우산 보관통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우산을 하나씩 꽂을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칸이 다수 구비된 박스형의 우산 꽂이대가 제공되고 있기도 하지만, 이 또한 그 높이가 일정하게 구성되어 우산의 크기에 따라 그 이용에 불편함이 많고, 우산을 빼낼 때 손잡이부보다 넓게 펴진 우산 몸통부의 선단부가 우산 꽂이대 상부에 걸려 우산 빼내기가 불편하고,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넘쳐 흐르는 등 그 이용시 발생되는 불편함 점은 여전히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umbrella storage box, there has been provided a box-shaped umbrella stand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umbrella can be inserted one by one. However, The umbrella is made of umbrella, and the umbrella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umbrella. The umbrella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mbrella. There was still an inconvenience to the use.

이러한 종래의 우산 꽂이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우산 꽂이대가 다수 안출되면서 종래의 우산 꽂이대가 갖는 일부 단점을 보완하여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그 실용성에 있어서 역시 불편함 점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umbrella stand, a number of umbrella stands of various types have been proposed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nd the 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umbrella stands has been improved by supplementing some of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umbrella stands. There were also inconveniences in its practicality.

즉, 우산의 크기에 따라 우산 꽂이대의 사용에 불편함이 여전하고, 우산에서 흘러 내린 빗물이 어느 정도 차 있는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형화된 크기로 구성되어 우산 꽂이대가 설치되는 공간에 알맞게 배치가 어렵고,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그 실용성에 있어서 발생되는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That 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mbrella, it is still inconvenient to use the umbrella stand, and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extent of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umbrella from the outside, and it is formed in a standardized size, There are still inconveniences in its practicality such as difficulty in disposing it properly, complicated structure and structure, and low productivity.

-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46420호(등록일: 2011.06.28, 발명의 명칭: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6420 (Registered on June 26, 2011, entitled: Collective Facility Umbrella Stand)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5202호(등록일: 2000.06.27, 발명의 명칭: 우산꽂이)-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5202 (Registered: June 26, 2000, title of invention: umbrella stand)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8664호(등록일: 2000.02.03, 발명의 명칭: 다단식 우산꽂이)-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78664 (Registered: Feb. 2, 2000, title of invention: Multistage umbrella stan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우산 꽂이대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산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한 높이에 우산을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면서 외부에서 집수된 빗물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여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우산 꽂이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umbrella sta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mbrella stand which can store an umbrella at the same heigh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umbrella,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stand which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naked eye and is capable of draining.

특히, 본 발명은 우산 꽂이대가 설치되는 장소 및 공간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우산 꽂이대를 구성하여 그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우산 꽂이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mbrella st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practicality of the umbrella stan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place and space where the umbrella stand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우산 꽂이대에 보관된 우산을 빼낼 때, 우산 꽂이대에 의해 우산 몸통부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보관된 우산의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산 꽂이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mbrella stand for easy removal of the umbrella stored by the umbrella stand so that the umbrella body is not caught by the umbrella stand when the umbrella stored in the umbrella stand is removed. There is another purpose for th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꽂이대는 내측으로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에 우산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우산고정부가 구비되고, 우산에 젖어 있는 빗물이 내측 하부로 낙하되어 집수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면서 우산 몸통부를 감싸는 측면이 일정 높이로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도록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 연결구; 상기 본체가 한 개 이상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우산의 빗물차단부재에서 낙하된 빗물이 집수되도록 상면부가 개구되고 그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의 빗물저장부가 형성된 투명재의 빗물받이부가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mbrella fixing portion for fixing one end of an umbrella to an upper portion opened to allow an umbrella to be inserted inward, And a side surface of the umbrella body is cl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umbrella body is opened. A plurality of side connector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a plurality of the main bodies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The rainwater collecting par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hav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opened and the rainwater stor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ize formed inside is opened so as to collect 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rainwater blocking member of the umbrella, And a lower pedestal (not shown).

상기 본체의 저면과 하부받침대의 상면 사이에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암수형의 하단연결구 및 상면연결구가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네 개의 외측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외측면에는 암형 또는 숫형 구조를 갖는 측면연결구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본체 사이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Wherein a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and a top surface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so as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and the main bod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t least one outer side surface is provided with a side connector having a female or male structure to be connectable between the different bodies.

상기 우산고정부는 본체의 내측으로 우산을 집어넣거나 빼낼 때 우산 몸통부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본체의 상면에 일측에서 슬라이딩 또는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대향측에 설치되어 스톱퍼와 함께 우산을 고정 지지하면서 우산 손잡이가 본체 내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umbrella fixing portion includes a stopper having a structure which is slidable or openabl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the umbrella body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fixing part for holding the umbrella handle so that the umbrella handle does not fall down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fixedly supported.

또한, 상기 스톱퍼가 구비된 본체의 상단 내측에는 우산 몸통부의 선단을 우산 중앙부쪽으로 모아주는 우산몸통 협착구가 구비되어 우산의 입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umbrella body narrowing aperture for collecting the tip of the umbrella body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umbrella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inside of the main body provided with the stopper, so that the umbrella can be easily moved in and out.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의 외측 각 모서리부에는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상태에서 본체의 길이방향 전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경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끼움홈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절단되어 끼움홈의 내외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서로 다른 본체의 끼움홈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서로 다른 본체끼리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고정대가 설치되되, 상기 연결고정대는 그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부측에서 끼움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양쪽 걸림돌기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본체의 끼움홈에 결합된 양단 걸림돌기에 고정된 서로 다른 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편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outer corners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width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ng rod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are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different bodies so that the different bodies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tt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t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the other main body.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꽂이대는 우산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고정 지지되는 하부받침대간에 상호 분리 결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우산 꽂이대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공간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so that the umbrella stand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between a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umbrella and a lower pedestal for fixing the main body to be assembl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umbrella stand is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또한, 우산의 길이가 길고 짧은 것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동일한 높이에 우산 손잡이 부분을 고정시켜 사용자들이 우산을 꽂거나 뺄 때 그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umbrella is not limited to a long one, and the umbrella handle is fixed at the same height at all times,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umbrella when inserting or removing the umbrella.

또한, 하부받침대에 구비된 빗물받이부가 투명재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육안으로 그 빗물저장부에 채워지는 빗물의 양을 수시로 확인 가능하여 빗물이 넘쳐 주변으로 흘러 내리는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ainwater receiver provided in the lower pedestal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the rainwater filled in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from the outside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inconvenience that the rainwater overflows to the surroundings is not gen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조립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분리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복수개가 결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본체 상단부에 구비되는 우산고정부의 발췌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에 우산이 꽂아진 상태의 일부 절단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조립 및 분리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 본체의 일부 수직절단단면도이다.
1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mbrella stand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mbrella fix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main body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sectional view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umbrella is inserted,
FIG. 6 and FIG. 7 are assembly and separation views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cut-away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umbrella stand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우산 꽂이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 to 4 show a first embodiment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조립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n assembled state of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the separated state of FIG. 1, respectively.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우산이 내측으로 꽂아지도록 상부가 개방되도롤 구성되되, 개방된 상부로 꽂아진 우산의 일단을 고정 지지하도록 개방된 상단부에는 우산고정부(20)가 구비되어 일정 길이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장방형의 본체(10)와,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0)에 삽입된 우산으로부터 낙하된 빗물을 집수하는 하부받침대(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mbrella stan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mbrell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rolled up so that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 rectangular main body 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umbrella fixing part 20 at an upper end opened to fixedly support one end of the umbrella, And a lower pedestal 40 for collecting rainwater.

이를 좀더 상술하면, 상기 직육면체의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본체(10)는 복수개가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하나의 하부받침대(40)의 상면에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면에는 하나의 하부받침대(40)에 4개의 본체(10)가 결합되는 형태의 기본구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ctangular main body 10 having a hollow tub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10 are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lower pedestal 40, There is shown an embodiment of a basic structure in which four main bodies 10 are coupled to a pedestal 40. Fig.

즉, 본체(10)의 4개가 하나의 하부받침대(40) 상면에 결합되어 한 셋트의 우산 꽂이대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바람직하게는 4개의 외측면 중 최소한 2개 이상의 외측면에는 다른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측면연결구(14,1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four of the main body 10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lower pedestal 40 so as to constitute one set of umbrella stand bands, and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wo or more outer side surfaces are provided with side connecting portions 14 and 15 which can be coupled with other bodies.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일 측면에 암 형태의 연결구(14)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는 숫 형태의 연결구(1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본체(10)끼리 각 외측면에 형성된 암 또는 숫 형태의 연결구(14,15)가 상호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female-type connecting port 14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emale-type connecting port 1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male or female connectors 14 and 15 are fit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본체(10)의 저면과 하부받침대(40)의 상면 사이에는 본체(10)를 하부받침대(40)에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암수 형태의 하단연결구(16)와 상면 연결구(42)가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40 is formed a male lower coupling 16 and a top coupling 16 for assembling and detachably fixing the main body 10 to the lower pedestal 40 42 are oppos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과 저면 및 하부받침대(40)의 상면에 암수형태의 측면연결구(14,15)와 하단 연결구(16) 및 상면 연결구(42)가 형성되어 본체와 본체 및 본체와 하부받침대 간에 끼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male and female side connectors 14 and 15, a lower end connector 16 and an upper connector 42 are formed on the out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40, And to facilitate fitt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edestal.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대(40)는 4개의 본체(10)가 상면에 안착되어 조립될 수 있는 형태를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하부받침대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은 본체가 하부받침대에 결합되어 우산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하부받침대끼리 상호 연결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우산 꽂이대를 더 늘릴 수 있도록 하부받침대의 외측면에는 측면연결구(43,44)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wer pedestal 40 has a basic configuration in which four bodies 10 can be seated and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more bodies are coupled to the lower pedestal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ower pedestal,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wer legs are mutually connectable and detachable so that the lateral legs 43 and 44 are addition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leg so that the umbrella stand can be further extended.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대(40)의 일측에는 하부받침대(40)의 상면에서 낙하된 빗물이 집수되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52)가 구비된 빗물받이부(50)가 외부로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빗물받이부(50)가 하부받침대(4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빗물저장부(52)에 채워진 빗물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제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 rainwater collecting part 50 having a rainwater storing part 52 for collecting and storing rainwater dropp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4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pedestal 40,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rainwater collecting part 52 is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the rainwater filled in the rainwater storing part 52 can be grasped visually from the outside even in a state where the rainwater catching part 50 is coupled to the lower pedestal 40 .

상기 빗물받이부(50)가 하부받침대(40)의 일측면에서 구비되어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그 전면에는 손잡이(54)가 구비되고, 서로 다른 하부받침대가 상호 결합되어질 때, 상기 빗물받이부(50)의 인출에 지장이 없도록 하부받침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측면연결구(43,44)는 상기 빗물받이부(50)가 개폐되는 면을 제외한 삼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inwater receiver 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bracket 40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54 on its front surface so that the rainwater receiver 50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e side connectors 43 and 44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edestal may be formed on three surfaces except for the surface on which the rainwater receiver 50 is opened and closed.

이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대(40)의 복수개가 전후 및 좌우로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 복수개의 본체(10)가 결합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40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he lower pedestals 40 are assembled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꽂이대(100)는 우산을 꽂을 수 있는 본체(10)의 수량에 맞게 하부받침대(40)를 구비하고, 구비된 하부받침대(40)의 상면에 본체(10)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우산 꽂이대의 설치장소나 설치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우산 꽂이대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umbrella st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lower pedestal 4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umbrella can be inserted, and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40 So that the umbrella stand can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or installation space of the umbrella stand.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의 본체 상단부에 구비되는 우산고정부(20)를 발췌 도시하고 있다.4 shows an umbrella fixing part 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main body of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우산고정부(20)는 개구된 본체의 상단부의 일부를 밀폐하고 있는 고정부(23)와, 상기 고정부(23)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본체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젖혀질 수 있는 형태의 스톱퍼(22)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umbrella fixing part 20 shown in FIG. 4 has a fixing part 23 which hermetically seals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opened main body and a fixing part 23 which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art 23, And a stopper 22 of a shape that can be used.

상기 스톱퍼(22)는 본체(10)의 상단 개구부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우산몸통부가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우산손잡이 부분이 본체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우산의 중앙프레임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topper 2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10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umbrella body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and the umbrella handle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resses and fixes the frame.

즉, 상기 스톱퍼(22)를 일측으로 젖혀 본체(10)의 상부측 일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10)의 내측으로 우산을 집어넣되, 우산손잡이 부분이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스톱퍼를 그냥 놔두면 스톱퍼(22)가 고정부(23)측으로 자동 이동하여 우산의 중앙프레임(7)을 가압하여 우산을 고정시키게 된다.That is,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with the stopper 22 turned to one side and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opened. In a state where the umbrella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stopper 22 automatically moves toward the fixing portion 23 to press the central frame 7 of the umbrella to fix the umbrella.

이와 같이, 본체(10)의 상단부에서 우산의 일단을 가압 고정하는 상기 스톱퍼(22)는 그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주름구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시 접혀지고 닫힘시 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22 for pressing and fixing one end of the umbrella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is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so as to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nd has a corrugated structure, It is made up of a stretched structure.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스톱퍼(22)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스톱퍼(22)의 양 측단에는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스톱퍼(22) 개방시 상기 스프링이 신장되었다가 스톱퍼(2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22)가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 spring 24 i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stopper 22 so that the stopper 22 opened by the user's operation is automatically closed so that the spring is extended when the stopper 22 is opened, The stopper 22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self-elastic force.

상기 스프링(24)이 결합되는 스톱퍼(22)의 좌우 양단에는 스톱퍼(22)의 슬라이딩 이동과 스프링의 연결을 위한 가이드돌기(25)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5)는 본체(10)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7)에 끼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27)의 외측에는 가이드홈(27)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24)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이드커버(28)가 분해가능하게 조립된다. Guide protrusions 25 for sliding movement of the stopper 22 and connection of the springs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topper 22 to which the springs 24 are coupled, And a guide cover 27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uide groove 27 to facilitat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spring 24 provided inside the guide groove 27 28 are detachably assemb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100)의 본체(10)에 우산(5)이 꽂아진 상태의 수직절단 단면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a vertically sectioned state of the umbrella stand 100 in which the umbrella 5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그 높이가 골프우산과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우산 몸통부(9)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어, 2단 또는 3단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우산 몸통부(9)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우산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몸통부(9)가 본체(10)의 내측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스톱퍼(22)에 의해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ight such that a relatively long umbrella body 9 such as a golf umbrella can be inserted and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 two or three stages to form an umbrella body 9 5, the umbrella body 9 is attached to the stopper 2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umbrella body 9 does not touch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fixedly supported.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100)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6은 그 조립상태도이고 도 7은 일부 분리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6 and 7 illustrate an umbrella stand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ed state thereof and FIG. 7 is a partially separated stat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100)는 복수개의 본체 사이에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구의 형상 및 구조에 그 차이점이 있다.6 and 7, the umbrella stand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ort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는 본체(10)의 각 모서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끼움홈(32)이 형성되고, 각 끼움홈(32)은 그 외측방향에 소정의 개구부(3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구부(32)의 개구폭은 그 내측의 끼움홈(32)의 내경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fitting groove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10, and each fitting groove 32 has a predetermined opening The opening 32 is formed to have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groove 32 on the inner side.

또한, 서로 다른 본체(10)가 인접된 상태에서 양쪽 본체(1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끼움홈(32)에 양단이 동시에 끼움 고정되는 연결고정대(34)가 결합되어 서로 다른 본체(10) 상호간을 하나의 연결고정대(34)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the state where the different main bodies 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grooves 34, into which the both ends are simultaneously fitted and fixed,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32 formed at the respective corner portions of the both main bodies 10,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ngle connecting rod (34).

즉, 상기 연결고정대(34)는 상기 끼움홈(32)의 상하방향으로 양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한 직경을 갖는 라운드형의 걸림돌기(35)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쪽 걸림돌기(35)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박편(薄片)의 연결편(36)이 형성되어 양쪽 본체(10)의 끼움홈(32)에 동시에 결합된 걸림돌기(35)에 의해 서로 다른 본체가 일체로 구속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fixture 34 is formed at both ends with a round-shaped locking protrusion 35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so as not to be detach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itting groove 32 are inserted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fitting groove 32, A connecting piece 36 of a thin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between the both locking projections 35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s 35 which ar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s 32 of the both main bodies 10, Are integrally constrained.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꽂이대(100) 역시 본체(10)의 저면에 하단 연결부(16)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하나의 하부받침대(40)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연결구(42)에 결합되어 우산의 빗물차단부재에서 낙하된 빗물이 하부받침대(40)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그 하단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부(50)에 의해 집수되도록 구성된다.Of course, the umbrella stand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on portion 16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includes one lower pedestal 40 And the rainwater dropped from the rainwater blocking member of the umbrella is dropp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pedestal 40 and collected by the rainwater catcher 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reof .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좌우로 개폐 가능한 스톱퍼(22)가 구비되어 있어서 본체의 내측으로 우산 몸통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우산 손잡이부나 우산의 중앙프레임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다.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topper 22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laterally so that the umbrella handle and the central frame of the umbrella can be fixedly supported while the umbrella body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Which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본체(10)의 상단 내측에 우산의 몸통부를 가압하여 모아주는 우산몸통 협착구(17)가 형성된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mbrella body constriction 17 for pressing and gathering the body portion of the umbrella is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몸통 협착구(17)는 스톱퍼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가 가장 좁은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다소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10)의 내측에 거꾸로 꽂아지는 우산의 빗물차단부재 말단부가 중앙으로 모아져 본체에서 우산을 인출할 때 빗물차단부재 및 살대 부분이 스톱퍼나 고정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우산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umbrella body narrowing aperture 17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has the narrowest inner diameter, and the diameter increases slightly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rainwater blocking member and the raising member ar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stopper or the fixing member when the umbrella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by coll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rainwater blocking member of the umbrella which is inverted to the inside of the umbrella.

5 : 우산 6 : 우산손잡이
7 : 중앙프레임 8 : 우산몸통부
8a : 살대 8b : 빗물차단부재
10 : 본체 14,15 : 측면연결구
16 : 하단 연결구 17 : 우산몸통 협착구
20 : 우산고정부 22 : 스톱퍼
23 : 고정부 24 : 스프링
30 : 끼움홈 32 : 개구부
34 : 연결고정대 35 : 걸림돌기
36 : 연결편 40 : 하부받침대
42 : 상면 연결구 43,44: 측면 연결구
50 : 빗물받이부 52 : 빗물저장부
54 : 손잡이 100 : 우산 꽂이대
5: umbrella 6: umbrella handle
7: central frame 8: umbrella body
8a: Lane 8b: Rainwater blocking member
10: main body 14, 15: side connector
16: Lower end connection 17: umbrella body constriction
20: umbrella fixing part 22: stopper
23: Fixing portion 24: Spring
30: fitting groove 32: opening
34: connecting fixture 35:
36: Connecting piece 40: Lower pedestal
42: upper surface connector 43, 44:
50: Rainwater catcher 52: Rainwater catcher
54: Handle 100: umbrella stand

Claims (6)

내측으로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에 우산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우산고정부가 구비되고, 우산에 젖어 있는 빗물이 내측 하부로 낙하되어 집수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면서 우산 몸통부를 감싸는 측면이 일정 높이로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도록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 연결구;
상기 본체가 한 개 이상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우산의 빗물차단부재에서 낙하된 빗물이 집수되도록 상면부가 개구되고 그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의 빗물저장부가 형성된 투명재의 빗물받이부가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대.
The lower portion of the umbrella is opened to allow the rainwater wetted by the umbrella to fall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mbrella so as to collect the umbrella body. A main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side connector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a plurality of the main bodies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The rainwater collecting par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hav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opened and the rainwater stor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ize formed inside is opened so as to collect 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rainwater blocking member of the umbrella, And an umbrella stand for supporting the umbrell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과 하부받침대의 상면 사이에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암수형의 하단연결구 및 상면연결구가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male connector and a lower male connector are formed so as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네 개의 외측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외측면에는 암형 또는 숫형 구조를 갖는 측면연결구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본체 사이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t least two outer side surfaces of the four outer side surfaces are provided with side connecting members having a female or male-type structure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고정부는 본체의 내측으로 우산을 집어넣거나 빼낼 때 우산 몸통부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본체의 상면에 일측에서 슬라이딩 또는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대향측에 설치되어 스톱퍼와 함께 우산을 고정 지지하면서 우산 손잡이가 본체 내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mbrella fixing portion includes a stopper having a structure which is slidable or openabl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the umbrella body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fixing part for holding the umbrella handle so that the umbrella handle does not fall down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fixedly suppo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구비된 본체의 상단 내측에는 우산의 살대 또는 빗물차단부재를 중앙으로 모아주기 위한 우산몸통 협착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umbrella stanchion opening for collecting an umbrella rib or a rainwater shielding member in the center is provided on an upper inner side of a main body provided with the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 각 모서리부에는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상태에서 본체의 길이방향 전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경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끼움홈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절단되어 끼움홈의 내외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서로 다른 본체의 끼움홈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서로 다른 본체끼리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고정대가 설치되되,
상기 연결고정대는 그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부측에서 끼움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양쪽 걸림돌기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본체의 끼움홈에 결합된 양단 걸림돌기에 고정된 서로 다른 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꽂이대.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outer corn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sid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s cut in a vertic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groove An opening is formed in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tting groove are opened,
And a connecting fixtur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grooves of the different bodies so that the different bodies can b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fixtur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fixtur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t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groove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both locking protrusions, And a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different bodies fixed to the both end stoppers.
KR1020140091668A 2014-07-21 2014-07-21 An umbrella stand KR101594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668A KR101594865B1 (en) 2014-07-21 2014-07-21 An umbrella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668A KR101594865B1 (en) 2014-07-21 2014-07-21 An umbrella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934A true KR20160010934A (en) 2016-01-29
KR101594865B1 KR101594865B1 (en) 2016-02-17

Family

ID=5531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668A KR101594865B1 (en) 2014-07-21 2014-07-21 An umbrella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519A (en) * 2019-04-10 2019-06-21 西安石油大学 A kind of Novel umbrella cabine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13A (en) * 1995-09-29 1997-04-08 Nippon Plast Co Ltd Article storage device
JPH09195425A (en) * 1996-01-18 1997-07-29 Okamura Corp Connecting device of panel material in flexible partition
KR200178664Y1 (en) 1999-08-26 2000-04-15 이현숙 Multistage tube inserted umbrella combined use portable and post
KR200195202Y1 (en) 2000-02-24 2000-09-01 박용희 Umbrella insertion
KR200431513Y1 (en) * 2006-08-18 2006-11-23 규 언 김 Umbrella holder
KR101046420B1 (en) 2010-10-01 2011-07-05 주식회사 건승 An umbrella stan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13A (en) * 1995-09-29 1997-04-08 Nippon Plast Co Ltd Article storage device
JPH09195425A (en) * 1996-01-18 1997-07-29 Okamura Corp Connecting device of panel material in flexible partition
KR200178664Y1 (en) 1999-08-26 2000-04-15 이현숙 Multistage tube inserted umbrella combined use portable and post
KR200195202Y1 (en) 2000-02-24 2000-09-01 박용희 Umbrella insertion
KR200431513Y1 (en) * 2006-08-18 2006-11-23 규 언 김 Umbrella holder
KR101046420B1 (en) 2010-10-01 2011-07-05 주식회사 건승 An umbrella st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519A (en) * 2019-04-10 2019-06-21 西安石油大学 A kind of Novel umbrella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65B1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9814A1 (en) Pet tent support structure
US10064495B2 (en) Multifunctional folding bench
KR101594865B1 (en) An umbrella stand
KR101745417B1 (en) partition
US9561903B2 (en) Receptacle having a housing and inner vessel assembly for liner engagement
CN204433255U (en) Novel storage box
KR200477844Y1 (en) Bouquet holder
KR101319158B1 (en) Coupling device for box using corrugated cardboard and box using corrugated cardboard comprising the same
KR101682706B1 (en) Folding umbrella holder
KR102276904B1 (en) electric stand
KR101080822B1 (en) umbrella stand
CN210008802U (en) Convenient-to-use and damp-proof picture frame
CN210493018U (en) Multi-functional cosmetics receiver
KR101372529B1 (en) A supporter for charge vessel
RU108334U1 (en) TOOLBOX
CN210646508U (en) Test-tube rack for chemical examination department
KR200482684Y1 (en) Tissue case
KR200393189Y1 (en) holder box for umbrella
KR100877722B1 (en) structure of elasticity chopsticks
CN211582773U (en) Modular folding waterlogging caused by excessive rainfall basket
CN203204232U (en) Portable microscope device for fishing
KR101229082B1 (en) Inverted umbrella
CN210842067U (en) Stable tea table
CN210382966U (en) Combined box and combined cosmetic box
CN212817949U (en) Table tennis bal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