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61A -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61A
KR20160010761A KR1020140090715A KR20140090715A KR20160010761A KR 20160010761 A KR20160010761 A KR 20160010761A KR 1020140090715 A KR1020140090715 A KR 1020140090715A KR 20140090715 A KR20140090715 A KR 20140090715A KR 20160010761 A KR20160010761 A KR 20160010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content server
external content
external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641B1 (ko
Inventor
조진영
Original Assignee
조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영 filed Critical 조진영
Priority to KR102014009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6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 콘텐츠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이 복수의 슬롯에 각각 장착되어 확장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성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이 내장된 외장 콘텐츠 서버와, 외장 콘텐츠 서버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저장 이벤트, 콘텐츠 관리 이벤트 및 콘텐츠 보기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포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외장 콘텐츠 서버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와 무선 통신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 시점에 액세스하여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SYSTEM OF CONTENTS MANEGEMENT FOR SMART DEVICE AND EXTERNAL CONTENTS SERVER}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전자장치에 기반한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콘텐츠를 유통하고 사용하는 패러다임이 변화되었다. 통신 속도가 증가하고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됨에 따라 모바일 콘텐츠 유통을 위한 생태계가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가 탄생하였다.
그런데 통신 속도의 비약적 향상과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개별 콘텐츠의 용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반면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저장용량은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73799호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의 데이터 동기화 및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스토리지를 논리적인 하나의 스토리지로 구성하고, 그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자에게 할당함으로써 대용량의 가상 스토리지를 이용하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문헌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통신사의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 사용량에 비례하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그러므로 고용량의 콘텐츠를 사용하기에는 그 비용이 부담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대한 해킹사고 발생시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다는 보안 상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 가능한 외장 콘텐츠 서버에 동시 접속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동시에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한정된 저장 용량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외장 콘텐츠 서버와 통신하여, 콘텐츠를 저장하고 꺼내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활용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저장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외장 콘텐츠 서버의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이 복수의 슬롯에 각각 장착되어 확장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성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이 내장된 외장 콘텐츠 서버;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저장 이벤트, 콘텐츠 관리 이벤트 및 콘텐츠 보기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포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와 무선 통신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액세스하여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와 호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의 상기 슬롯들은 이종의 플래시 메모리의 장착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의 상기 슬롯들은 SD, SDHC, SDXC, MicroSD, mSATA, 또는 M.2(NGFF)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규격에 대응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을 장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T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외장 콘텐츠서버에 제1 스마트 디바이스만 접근 가능한 디스크 또는 폴더를 지정하는 콘텐츠 관리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는,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규격에 대응하는 이종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을 장착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여 가용 저장 공간을 확장하는 메모리부;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 및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액세스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저장 이벤트, 콘텐츠 관리 이벤트 및 콘텐츠 보기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포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와 호환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근거리에 있는 휴대용 외장 콘텐츠 서버에 동시 접속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거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바이스가 동일한 콘텐츠를 상이한 시점에 재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상이한 콘텐츠를 동일한 시점에 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근거리에 있는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이 실질적으로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콘텐츠를 별도의 비용없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사의 데이터 과금에 제한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외장 콘텐츠 서버는 이종의 플래시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손쉽게 저장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외장 콘텐츠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호환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가 스마트 디바이스와 전력원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를 모듈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 및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를 통해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무선 접속하고, 콘텐츠를 관리, 저장,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300-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2)는 애플리케이션 서버(400)에 인터넷 등을 통해 접속한 후,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스마트 폰(300-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2)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태플릿 PC(300-3)은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스마트 폰(300-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2)가 각각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되어 외장 콘텐츠 서버(200)와 함께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서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외에도 외장 콘텐츠 서버(200)와 접속하여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 외장 콘텐츠 서버(200)와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디바이스의 OS에 설치된 무선 네트워크 접속 기능과 파일 탐색기 기능으로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외장 콘텐츠 서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외장 콘텐츠 서버(2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는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메모리부(210), 근거리 무선 모뎀(220), 제어부(230), 배터리(240), 및 배터리 충전부(25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관리, 저장,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콘텐츠 서버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다고 기술하는 것일 뿐, 외장 콘텐츠 서버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권리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부(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모리부(210)는 복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이 장착될 수 있는 복수의 슬롯(212)을 포함하며,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에 의해 가용 저장 공간이 확장된다.
메모리부(21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들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과 카메라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는 다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가 보유하는 메모리 카드들은 용량이 다를 수도 있고, 메모리 카드의 규격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모리부(210)의 슬롯(212)은 복수의 슬롯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의 메모리 슬롯과 같이 212-a 부터 212-d까지 4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모리부(210)의 슬롯(212)은 적어도 둘 이상의 규격에 대응하는 이종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면, 도2의 메모리 슬롯(212)과 같이 micro SD카드 슬롯(212-a 부터 212-c) 및 mSATA카드 슬롯(212-d)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규격은 예를 들면, SD, SDHC, SDXC, MicroSD, mSATA, 또는 M.2(NGFF)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부(210)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를 RAID (Redundant Aarray of Inexpensive Disks) 기술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고, JBOD (Just a Bunch Of Disk) 기술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다.
근거리 무선 모뎀(220)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한다. 근거리 무선 모뎀(220)은 WiFi 통신을 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WLAN (802.11a/b/g/n/ac 등)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랜 통신 모듈, 및 Bluetooth 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모뎀(220)은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이 동시에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의 OS가 서로 다르더라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와 연결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의 관리, 저장, 보기 이벤트를 수신한다.
제어부(230)는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동시 접속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액세스 하는 경우에도 각 스마트 디바이스가 해당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공통시점'은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는 시점이 동일한 시점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접속한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내지 제3 스마트 디바이스(300-1 내지 300-3)는 동시에 동일한 콘텐츠 A를 재생하는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한 제1 스마트 디바이스(300-1)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300-2)는 콘텐츠 A를 재상하는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고, 제3 스마트 디바이스(300-3)는 콘텐츠 B를 재생하는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콘텐츠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물리 디스크 관리자(PDM: Physical Disk Manager), 논리 디스크 관리자(LDM: Logical Disk Manager), 및 논리 볼륨 관리자(LVM: Logical Volume Manager)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어한다. 성능의 최적화를 위하여 LVM에서는 시스템 메모리(예를 들면, 2GB DDR3)를 캐시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ADMA(Advanced DMA register)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 카드 탈부착시 발생하는 데이터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24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교체 가능하다. 이때, 배터리(24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와 무선 접속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와 호환된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외장 콘텐츠 서버(200)의 배터리 슬롯에 장착하여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스마트 폰 등 스마트 기기를 새로운 모델로 교체하고 있으며, 스마트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여분의 배터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여분의 배터리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가 스마트 디바이스와 전력원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터리 충전부(25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외장 콘텐츠 서버(200)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300-1)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충전부(25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의 배터리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반대로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300-1)의 배터리로 외장 콘텐츠 서버(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배터리 충전부(25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의 전력을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공급하거나,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력을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공급한다. 전력을 공급하거나 공급 받는 도중에도 외장 콘텐츠 서버(200)는 콘텐츠를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외장 콘텐츠 서버(20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240) 및 배터리 충전부(25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력이 약한 경우 주변에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외장 콘텐츠 서버(200)의 배터리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배터리 충전부(25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한 후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외에서 제1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도중에 외장 콘텐츠 서버의 배터리가 가장 먼저 소진되는 경우가 있다. 즉, 외장 콘텐츠 서버의 배터리 잔여량이 10%,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량이 70%, 제2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량이 40%인 경우, 콘텐츠 이용 도중에 외장 콘텐츠 서버가 먼저 꺼지게 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이용이 중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장 콘텐츠 서버는 배터리 충전부를 통해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콘텐츠를 모두 이용할 때까지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부(250)는 USB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또는 배터리 충전부와 USB 모듈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USB 모듈은 USB 케이블을 통해 외장 콘텐츠 서버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한다. 이 경우 배터리 충전부(250)는 유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의 OS에 포함된 탐색기 기능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통해 콘텐츠를 저장, 관리,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장 콘텐츠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것이외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Power LED, I/O LED, WiFi & Bluetooth I/O LED, Battery LED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외장 콘텐츠 서버(200)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무선 접속한다.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T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복수 개가 동시에 외장 콘텐츠 서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저장 이벤트, 콘텐츠 관리 이벤트 및 콘텐츠 보기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고,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포함한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각각 권한 설정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디바이스만 관리자 권한을 갖는 경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콘텐츠 보기 이벤트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콘텐츠 보기 이벤트 및 콘텐츠 저장 이벤트만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외장 콘텐츠 서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애플리케이션(310)은 콘텐츠 관리 이벤트(312), 콘텐츠 저장 이벤트(314), 콘텐츠 보기 이벤트(316)를 실행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이벤트(312)를 실행하면 외장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권한을 차등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를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의 권한을 차등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스마트 디바이스만 접근할 수 있는 디스크 또는 지정 폴더를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이벤트(314)를 실행하면 외장 콘텐츠 서버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이벤트(314)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지정하는 콘텐츠를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저장하는 일반적인 저장 모드 및 백업 모드를 포함한다.
백업 모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지정된 폴더를 자동으로 백업하는 폴더 백업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크 자체를 백업하는 디스크 백업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백업하고자 하는 백업 폴더를 설정하면,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백업 폴더를 외장 콘텐츠 서버로 백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장 콘텐츠 서버에는 특정 스마트 디바이스만 접근 가능한 지정 폴더를 설정할 수 있는데, 폴더 백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업 폴더를 외장 콘텐츠 서버의 지정 폴더로 백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콘텐츠 보기 이벤트(316)를 실행하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외장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보기 이벤트에서 '보기'라 함은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서 콘텐츠를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눈으로 보거나 읽는 것뿐만 아니라, 사운드 및/또는 동영상을 재생함을 포함한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각각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실행하여 외장 콘텐츠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를 모듈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 콘텐츠 서버는 Micro SD 카드를 네 개 장착할 수 있는 제1 슬롯 및 mSATA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제1 슬롯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콘텐츠 관리 시스템
200 - 외장 콘텐츠 서버
210 - 메모리부
220 - 근거리 무선 모뎀
230 - 제어부
240 - 배터리
250 - 배터리 충전부
300 -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
400 -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9)

  1.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이 복수의 슬롯에 각각 장착되어 확장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성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이 내장된 외장 콘텐츠 서버;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저장 이벤트, 콘텐츠 관리 이벤트 및 콘텐츠 보기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포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와 무선 통신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액세스하여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와 호환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의 상기 슬롯들은 이종의 플래시 메모리의 장착을 보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의 상기 슬롯들은 SD, SDHC, SDXC, MicroSD, mSATA, 또는 M.2(NGFF)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규격에 대응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을 장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TV 중 어느 하나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외장 콘텐츠서버에 제1 스마트 디바이스만 접근 가능한 디스크 또는 폴더를 지정하는 콘텐츠 관리 이벤트를 실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8.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규격에 대응하는 이종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을 장착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여 가용 저장 공간을 확장하는 메모리부;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 및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가 동일한 콘텐츠를 공통시점에 액세스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뎀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저장 이벤트, 콘텐츠 관리 이벤트 및 콘텐츠 보기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 보기 이벤트를 포함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콘텐츠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콘텐츠 서버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와 호환 되는 것인, 외장 콘텐츠 서버.
KR1020140090715A 2014-07-18 2014-07-18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KR101689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715A KR101689641B1 (ko) 2014-07-18 2014-07-18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715A KR101689641B1 (ko) 2014-07-18 2014-07-18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61A true KR20160010761A (ko) 2016-01-28
KR101689641B1 KR101689641B1 (ko) 2016-12-26

Family

ID=5530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715A KR101689641B1 (ko) 2014-07-18 2014-07-18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6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909A (ko) * 2005-09-12 2007-03-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휴대용 메모리 장치 및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의 동작방법
KR20070090475A (ko) * 2006-03-03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데이터통신 장치
KR100761066B1 (ko) * 2006-02-16 2007-09-28 주식회사 엠트론 다수 개의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하드디스크
KR101374776B1 (ko) * 2007-08-21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공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909A (ko) * 2005-09-12 2007-03-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휴대용 메모리 장치 및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의 동작방법
KR100761066B1 (ko) * 2006-02-16 2007-09-28 주식회사 엠트론 다수 개의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하드디스크
KR20070090475A (ko) * 2006-03-03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데이터통신 장치
KR101374776B1 (ko) * 2007-08-21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공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641B1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718B2 (en) Channel optimized storage modules
US20140095853A1 (en) Alternative boot path support for utiliz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10372629B2 (en) Control for authenticated accesses to a memory device
CN106575273A (zh) 用于扩展片上系统的存储器的系统和方法
US20150145641A1 (en) Selectively disabling sensors and associated functions
US20160142910A1 (en) Storage device with srwc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ag and method for accessing storage device
CN102325179B (zh) 移动存储设备及其共享云端内容的方法
CA2929999C (en) Camera supporting removable storage divided into multiple partitions
KR101689641B1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외장콘텐츠 서버
CN111666224B (zh) 电子装置和用于利用电子装置的存储器空间的方法
US9800658B2 (en) Server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erver
KR20150116627A (ko) 컨트롤러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TWI326831B (ko)
US20150160863A1 (en) Unified memory type aware storage module
KR102546474B1 (ko)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모바일 장치
US1076881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ipulate customer data without using the host interface
US20150160873A1 (en) Filesystem tuned firmware for storage modules
US9271108B2 (en) Secure tap to transfer objects
KR20120094587A (ko) 무선 멀티카드 리더기 단말 개발 방법
US10922242B2 (en) Adaptable logical to physical tables for multiple sector pattern support
CN109491600B (zh) 基于云存储的便携式存储设备控制方法
US8954637B1 (en) Communications cable for a storage device
CN203167277U (zh) 一种可携式手机自助服务终端
KR20120066231A (ko) 스마트폰과 외부 저장장치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428602A (zh) 個人雲和資料交換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