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037A -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 Google Patents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037A
KR20160010037A KR1020140090798A KR20140090798A KR20160010037A KR 20160010037 A KR20160010037 A KR 20160010037A KR 1020140090798 A KR1020140090798 A KR 1020140090798A KR 20140090798 A KR20140090798 A KR 20140090798A KR 20160010037 A KR20160010037 A KR 20160010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er
main body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김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섭 filed Critical 김용섭
Priority to KR102014009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037A/ko
Publication of KR2016001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1/00Auxiliary pretreatment of gases or vapours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흡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분진 배출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타공부(121)가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전면 타공판(120);과,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상기 타측 방향에 상기 타공부(121)를 통과한 기체가 충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타공판(12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다수 개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측판(13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포집된 분진이 낙하되도록 작동하는 분진 포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타공판과 분리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전 포집이 가능하여, 분진에 의한 여과포의 파손 방지 또는 불티에 의한 화재 방지가 가능한 것은 물론, 처리 유속을 증대시켜 효율이 높고,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Pre-duster}
본 발명은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흡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분진 배출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타공부(121)가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전면 타공판(120);과,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상기 타측 방향에 상기 타공부(121)를 통과한 기체가 충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타공판(12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다수 개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측판(13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포집된 분진이 낙하되도록 작동하는 분진 포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 더스터(pre-duster)는, 집진기에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인입되기 이전에 분진에 의한 여과포의 파손 방지 또는 불티에 의한 화재 방지를 위하여 여과 집진기의 전처리 설비로 사용된다.
이러한 프리 더스터는 다양한 구조로 실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일 실시예로는 하기 특허문헌 1의 "분체도장시스템의 프리 더스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61941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의 프리 더스터가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프리 더스터의 일 실시예로는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 및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순 격벽식 프리 더스터가 있다. 이러한 단순 격벽식 프리 더스터는 격벽을 배치하여 격벽에 분진이 충돌하여 포집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기존의 프리 더스터의 개선된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포집부를 구비하는 프리 더스터가 있다. 이러한 포집부를 구비하는 프리 더스터의 경우, 단순 격벽식 프리 더스터에 비하여 분진 포집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발명의 경우, 공기 흐름부 횡단면 유속 및 종단면 유속 3~5m/sec 설계하나 유속을 낮춰도 효율 상승은 거의 없으며, 100μm 크기 이하의 분진을 분리하는 효율이 상당히 낮아지고, 처리해야 하는 가스량이 많을 때 설비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고 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61941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공판과 분리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전 포집이 가능한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는, 일 측에 흡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분진 배출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타공부(121)가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전면 타공판(120);과,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상기 타측 방향에 상기 타공부(121)를 통과한 기체가 충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타공판(12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다수 개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측판(13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포집된 분진이 낙하되도록 작동하는 분진 포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하측에는 하측 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분진 낙하 유도판(14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상기 분진 배출구(116)를 향하여 수렴되도록 형성되는 낙하분진 포집부(11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131)의 상기 일측 방향 말단부에는 포집된 분진의 재분산을 방지하도록 전면 만곡부(13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부(111)에 더 형성되는 흡기 확산부(112);와, 상기 배기부(113)에 더 형성되는 배기 수렴부(11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타공판과 분리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전 포집이 가능하여, 분진에 의한 여과포의 파손 방지 또는 불티에 의한 화재 방지가 가능한 것은 물론, 처리 유속을 증대시켜 효율이 높고,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기존 실시예에 의한 프리 더스터의 상면도.
도 2: 기존 실시예에 의한 프리 더스터의 측면 단면도.
도 3: 또 다른 기존 실시예에 의한 프리 더스터의 상면도.
도 4: 또 다른 기존 실시예에 의한 프리 더스터의 측면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의 상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의 측면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의 포집부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본체(110), 전면 타공판(120), 분진 포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서 좌측으로 표현된 방향을 '일측', 우측으로 표현된 방향을 '타측'이라 표현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 측에 흡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분진 배출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포집된 분진의 효율적인 낙하와 배출을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상기 분진 배출구(116)를 향하여 수렴되도록 형성되는 낙하분진 포집부(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통하여 작동 유체의 유속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흡기부(111)에 더 형성되는 흡기 확산부(112)와, 상기 배기부(113)에 더 형성되는 배기 수렴부(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면 타공판(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면 타공판(12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타공부(121)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 타공판(12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측을 차단하여 나누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공부(121)가 형성되는 행과 열의 갯수 및 상기 타공부(121)의 직경은 사용되는 환경(예를 들어 유속, 포집하고자 하는 분진의 질량 및 크기 등)에 다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전면 타공판(120)은 1차적으로 크기가 크거나 무거운 입자들이 충돌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하측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측 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분진 낙하 유도판(140)이 더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 타공판(120)에 충돌하여 포집된 분진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낙하하여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진 포집부(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진 포집부(13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상기 타측 방향에 상기 타공부(121)를 통과한 기체가 충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타공판(12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다수 개 설치된다. 상기 분진 포집부(130)의 양 측면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판(131)이 형성되어 분진의 포집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포집된 분진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작동한다. 이 경우, 상기 측판(131)의 상기 일측 방향 말단부에는 포집된 분진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재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면 만곡부(13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공기 흐름부 횡단면 유속 및 종단면 유속이 5~6m/sec 가 되도록 설계하여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분진에 의한 여과포의 파손 방지 또는 불티에 의한 화재 방지를 위하여 여과 집진기의 전처리 설비로 사용시 효율이 높고,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자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110: 본체
111: 흡기부 112: 흡기 확산부
113: 배기부 114: 배기 수렴부
115: 낙하 분진 포집부 116: 분진 배출부
120: 전면 타공판 121: 타공부
130: 분진 포집부 131: 측판
132: 전면 만곡부
140: 분진 낙하 유도판

Claims (5)

  1. 일 측에 흡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분진 배출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타공부(121)가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전면 타공판(120);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상기 타측 방향에 상기 타공부(121)를 통과한 기체가 충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타공판(12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다수 개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측판(13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포집된 분진이 낙하되도록 작동하는 분진 포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타공판(120)의 하측에는 하측 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분진 낙하 유도판(14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상기 분진 배출구(116)를 향하여 수렴되도록 형성되는 낙하분진 포집부(11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31)의 상기 일측 방향 말단부에는 포집된 분진의 재분산을 방지하도록 전면 만곡부(13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111)에 더 형성되는 흡기 확산부(112);
    상기 배기부(113)에 더 형성되는 배기 수렴부(11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100).









KR1020140090798A 2014-07-18 2014-07-18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KR20160010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798A KR20160010037A (ko) 2014-07-18 2014-07-18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798A KR20160010037A (ko) 2014-07-18 2014-07-18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37A true KR20160010037A (ko) 2016-01-27

Family

ID=5530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798A KR20160010037A (ko) 2014-07-18 2014-07-18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755B1 (ko) * 2022-05-16 2022-12-05 백화현 관성 충돌형 집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383A (ko) 1998-12-30 2000-07-15 김영환 위상반전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383A (ko) 1998-12-30 2000-07-15 김영환 위상반전 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755B1 (ko) * 2022-05-16 2022-12-05 백화현 관성 충돌형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136B2 (en) Dust collector with spark arrester
US8379384B2 (en) Cool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US20120131891A1 (en) Moisture separator
MX2008009343A (es) Disposicion para reducir y dirigir nuevamente el flujo de aire para un sistema de filtro de manga industrial.
WO2015174580A1 (ko) 축류형 집진기 및 축류형 집진기용 전처리집진장치
US6099622A (en) Method for agglomerating and precipitating particles
JP2006518274A (ja) 分離トレイ
CN106268049B (zh) 一种scr脱硝预除尘装置及方法
CN109260858A (zh) 模块化进风导流装置及模块化除尘器系统
CN209221785U (zh) 一种重力沉降室
KR101690550B1 (ko) 분진부하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KR20160010037A (ko) 분진 포집기용 프리 더스터
US4430100A (en) Side stream separation system for mechanical collecto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CN203235341U (zh) 一种集重力收尘的高效旋风收尘器
US9895644B2 (en) Method and wet scrubber for removing particles from gases
CN107842985A (zh) 一种新风净化系统过滤装置
TWI666047B (zh) 集塵器及自動除塵的電子系統
US3538688A (en) Lower filter assembly
CN103263815B (zh) 一种集重力、旋风收尘于一体的卧式电收尘器
CN208406346U (zh) 一种全工况适应性变烟气流速除雾器
CN208066012U (zh) 一种用于大流量气体的气液分离装置
CN102600997B (zh) 高效收尘旋风分离器组
CN204411893U (zh) 粉尘预处理装置
JP2016195966A (ja) 電気集塵装置
RU2308317C1 (ru) Инерционный пылеосад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