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27A - 손목 지지대 - Google Patents

손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927A
KR20160009927A KR1020140090470A KR20140090470A KR20160009927A KR 20160009927 A KR20160009927 A KR 20160009927A KR 1020140090470 A KR1020140090470 A KR 1020140090470A KR 20140090470 A KR20140090470 A KR 20140090470A KR 20160009927 A KR20160009927 A KR 2016000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support
upper plate
plate
lower plate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성
Original Assignee
김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성 filed Critical 김보성
Priority to KR102014009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927A/ko
Publication of KR2016000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47B2021/0385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combined with pointing device, e.g. m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판 및 상판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을 통해 상기 하판에 연결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목 지지대{Wrist Support}
본 발명은 손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하판은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상판은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목의 이동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상판이 하판으로부터 자유자재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판 및 하판의 내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배치시킴으로써 하판으로부터 이동된 상판이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손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들의 컴퓨터 사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우스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 특히 손목에 피로감이 누적됨에 따라 손목 터널 증후군과 같은 현대인의 사무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무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기존의 손목 지지대에 관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제10-0917251호는 마우스 사용자를 위한 손목 및 팔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손목과 앞 팔을 거치할 수 있으며, 컴퓨터나 게임 디스플레이 장치상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술한 기술은 손목 및 팔뚝 지지대의 하판이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고정되지 않아 마우스 이용시 지지대가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미끄러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종래의 손목 지지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판은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고정되고 상판은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목의 이동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상판이 하판으로부터 자유자재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판 및 하판의 내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배치시킴으로써 하판으로부터 이동된 상판이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손목 지지대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7251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손목을 이동시키는 경우 혹은 테이블 면의 기울기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하판이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손목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 가능한 상판을 제공하며 이때 상판은 사용자의 손목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판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손목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 및 하판의 내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배치시킴으로써 하판으로부터 이동된 상판이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손목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는 하판 및 상판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을 통해 상기 하판에 연결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판의 상측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성체는 서로 상이한 극으로 구성되어, 그로 인해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상판이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은 하측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회전 모듈은 상기 상판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암; 및 상기 회전암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하판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판은 하측에 상기 연결 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는 원 형태 및 사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결합된 연결 모듈이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측은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경우 오므라들 수 있도록 중심부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에는 중심부가 오목한 형태 혹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는 쿠션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의 하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손목을 이동시키는 경우 혹은 테이블 면의 기울기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하판이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는 테이블 면의 기울기에 구애 받지 않고도 손목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 가능한 상판을 제공하며 이때 상판은 내부에 구비된 연결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손목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판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 및 하판의 내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배치시킴으로써 하판으로부터 이동된 상판이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어,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고 난 후 이동된 상판을 제자리로 복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상판이 항상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판(120)의 하측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111) 및 연결 모듈(130)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의 상판(120)의 동작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판(120)의 하측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는 하판(110), 상판(120), 연결모듈(130), 회전모듈(140) 및 제1 및 제2 자성체(151, 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손목 지지대(100)라 함은 마우스(미도시)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될 수 있는 손목 보호용 거치대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하판(110)은 바닥면 또는 테이블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손목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상판(120) 및 연결모듈(130)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110)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연결모듈(1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용부(111) 및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는 후술되는 연결모듈(130)의 몸체부(131)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수용부(111)의 크기는 몸체부(13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몸체부(131)와 수용부(111)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이격 거리 혹은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수용부(111)는 원 형태, 사각형 형태, 직사각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31)는 수용부(111) 내에서 상술한 이격 거리 혹은 이격 공간의 크기만큼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판(120)은 하판(110)의 상측에서 상술한 이격 거리 혹은 이격 공간의 크기만큼 이동될 수 있다.
개구부(112)는 상술한 수용부(111)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연결 모듈(130)의 돌출부(132)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뚫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12)의 크기는 몸체부(131)가 수용부(111) 내에서 이동되는 이동 거리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판(110)의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 하판(110)의 상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는 후술되는 상판(120)의 하측면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152)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는 일정한 크기의 자력을 가지며, 상판(120)의 하측면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152)를 끌어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후술되는 상판(120)의 중심부가 항상 하판(110)의 중심부와 일치하도록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상판(120)이 하판(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5cm 이동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와 제2 자성체(152)는 자력을 통해 서로를 끌어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었던 상판(120)은 다시 우측 방향으로 5cm 이동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판(120)의 중심부와 하판(110)의 중심부는 항상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를 파지하여 손목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판(120)이 하판(110)으로부터 자유자재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목을 상판(1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 및 제2 자성체(152)가 가지는 자력에 의해 상판(120)의 위치가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110)의 하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17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끄럼방지부재(170)가 가지는 마찰력에 의해 하판(110)은 바닥면 혹은 테이블 상측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판(120)은 상술한 하판(110)의 상측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는 지지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상판(120)의 하측면에는 후술되는 연결 모듈(130)의 돌출부(13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돌출부(132)가 삽입되어 강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21)의 일측 말단부에는 삽입된 돌출부(132)의 상측부가 결합홈(121) 내로부터 이탈 혹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2)는 결합홈(121)의 내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돌출부(132)의 상측부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판(120)의 하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 모듈(140) 및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15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되는 연결 모듈(130)을 설명한 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120)의 상측에는 중심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쿠션부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170)는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며,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 하측면을 받쳐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쿠션부재(170)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쿠션부재(170)가 사용자의 손목을 받쳐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쿠션부재(170)의 형태 및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연결 모듈(130)은 상술한 하판(110) 및 상판(12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하판(110) 및 상판(12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모듈(130)은 상술한 하판(110)의 수용부(111) 내에 수용되는 몸체부(131) 및 상판(120)의 결합홈(121)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31)는 수용부(111) 내에 수용되어 수용부(111) 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따라 자유롭게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수용부(111)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12)에 의하여 수용부(111)의 외측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2)는 상술한 몸체부(131)의 중심부에서 상측 방향을 향해 수직 돌출되는 지지축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돌출부(132)의 상측은 마치 버섯의 머리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2)의 상측은 상판(120)의 결합홈(121)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특히 결합홈(121)에 형성된 걸림부(122)에 걸려 결합홈(121)으로부터 이탈 혹은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32)의 상측면에는 중심부가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돌출부(132)의 상측이 결합홈(121) 내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부(132)의 상측이 내측 방향으로 오므라들면서 직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고 결합홈(121) 내에서는 돌출부(132)의 상측 직경이 다시 늘어날 수 있도록 하여 돌출부(132)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연결 모듈(130)은 하판(110) 및 상판(120)의 사이에서 하판(110) 및 상판(120)과 각각 결합되어 하판(110) 및 상판(1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 모듈(140)은 상술한 상판(120)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술한 연결 모듈(130)을 통해 하판(110)의 상측면에 위치된 상판(120)이 하판(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모듈(140)은 상판(120)의 일측, 특히 양 모서리에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암(141), 베어링(142) 및 회전암(141)의 일측에 형성되는 롤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암(141)은 상판(120)의 하측면과 축(미도시)을 통해 결합되어 상판(120)의 하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암(141)은 원형의 판(plate)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술한 축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암(141)은 축과 결합하여 상판(120)의 하측면과 수평한 상태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142)은 상술한 축과 회전암(141) 사이에 제공되며 회전암(141)이 보다 적은 마찰력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롤러(142)는 회전암(141)의 일측에 형성되며 하판(110)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롤러(142)는 회전암(141)과 서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암(141)이 상판(120)의 하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면, 롤러(142)는 상판(120)의 하측면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며 하판(110)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암(141) 및 롤러(142)의 회전에 의하여 상판(120)은 하판(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최소한의 마찰력을 가지고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모듈(130)의 몸체부(131) 및 하판(110)의 수용부(111)는 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판(120)은 하판(110)의 상측면으로부터 360도로 회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 모듈(130)의 몸체부(131) 및 하판(110)의 수용부(111)는 원 형태가 아닌 다각형 형태, 특히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111) 및 연결 모듈(130)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수용부(111') 및 연결 모듈(130')은 도 1에 도시된 수용부(111) 및 연결 모듈(130)과는 상이하게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11')와 연결 모듈(130')의 몸체부(131') 간에 이격 거리 혹은 이격 공간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부(131')는 수용부(111') 내에서 이격 공간만큼 좌우측 방향 혹은 상하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수용부(111') 및 몸체부(131')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부(131')는 수용부(111') 내에서 360도로 회전은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판(120)의 상측에 손목을 거치하고 상판(120)을 360도로 회전시키려 하더라도 상판(120)은 360도로 회전되지 않고 좌우측 방향 혹은 상하측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상판(120)의 회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판(120)의 하측면에는 상술한 하판(110)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1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152)는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15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도 5를 통해 상판(120)이 하판(110)으로부터 움직이는 동작 메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의 상판(120)의 동작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하판(110)은 테이블(미도시)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손목(미도시)을 좌우측 방향 혹은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그에 따른 상판(120)이 사용자의 손목이동에 따른 힘을 받게 되어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 모듈(130)이 좌우측 방향 혹은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 후 사용자가 손목을 상판(1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경우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자성체(151, 152)가 가지는 자력에 의하여 상판(120)의 중심부는 하판(110)의 중심부와 일치될 수 있도록 상판(120)의 위치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지지대(100)는 하판(110)과 상판(12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모듈(130)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목 이동 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상판(120)을 하판(110)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판(120)의 하측에는 회전 모듈(140)이 제공되어 상판(120)이 하판(1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자성체(151, 152)가 제공됨으로써, 하판(120)의 상측면으로부터 좌우측 방향 혹은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판(120)이 사용자의 손목이 상판(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위치가 복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손목 지지대
110 : 하판
111 : 수용부 112 : 개구부
120 : 상판 121 : 결합홈
122 : 걸림부
130 : 연결 모듈 131 : 몸체부
132 : 돌출부
140 : 회전 모듈 141 : 회전암
142 : 베어링 143 : 롤러
151 : 제1 자성체 152 : 제2 자성체
160 : 쿠션부재 170 :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11)

  1. 하판 및 상판을 포함하는 손목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판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을 통해 상기 하판에 연결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자성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판의 상측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성체는,
    서로 상이한 극으로 구성되어, 그로 인해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자성체가 가지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상판이 제자리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측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회전 모듈은 상기 상판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암; 및 상기 회전암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하판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모듈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판은,
    하측에 상기 연결 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원 형태 및 사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결합된 연결 모듈이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측은,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경우 오므라들 수 있도록 중심부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중심부가 오목한 형태 혹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완충력을 가지는 쿠션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하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지지대는,
    마우스 조작 보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지지대.
KR1020140090470A 2014-07-17 2014-07-17 손목 지지대 KR20160009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470A KR20160009927A (ko) 2014-07-17 2014-07-17 손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470A KR20160009927A (ko) 2014-07-17 2014-07-17 손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927A true KR20160009927A (ko) 2016-01-27

Family

ID=5530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470A KR20160009927A (ko) 2014-07-17 2014-07-17 손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3583A (zh) * 2018-02-01 2020-07-17 樱花精机株式会社 手腕支架和手腕支架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51B1 (ko) 2007-06-06 2009-09-16 김병한 마우스 사용자를 위한 손목 및 팔뚝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51B1 (ko) 2007-06-06 2009-09-16 김병한 마우스 사용자를 위한 손목 및 팔뚝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3583A (zh) * 2018-02-01 2020-07-17 樱花精机株式会社 手腕支架和手腕支架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518B2 (en) Holder mechanism
US10716228B2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US20150196140A1 (en) Adjustable device holder
US9281856B2 (en) Support base for electronic device
US201102053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e
EP2407861A1 (en) Bendable touch device
US20130270850A1 (en) Holder and support apparatus
US9784406B1 (en) Pivotal device for a support of an electric device
US20140328019A1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system therewith
US20110317345A1 (en) Handl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handle module
US9876521B2 (en) Sliding stand assembly
JP6534004B2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支持物
US20050135049A1 (en) Portable computer standing support structure
TW201304663A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JP5806720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US8925878B2 (en)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9192219B2 (en) Wrist rest apparatus
US9797546B1 (en) Pivotal device for a support of an electric device
KR20160009927A (ko) 손목 지지대
CN103838306A (zh) 电子装置
KR101847828B1 (ko) 터치펜
US20140334082A1 (en) Display device
US11554478B1 (en) Mobile toolbox apparatus
US20140021323A1 (en) Book Sized Holder/Cradle and Associated Clamping and Positioning Mechanisms Combined into a Single Articl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Ergonomically Centric Human Interface With a Handheld/Pocket-sized Device While Allowing Access to the Handheld/Pocket-sized Device's Touch Screen and Selected IO Ports and Interface Buttons
US8382049B2 (en)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