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091A -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 Google Patents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091A
KR20160009091A KR1020160002248A KR20160002248A KR20160009091A KR 20160009091 A KR20160009091 A KR 20160009091A KR 1020160002248 A KR1020160002248 A KR 1020160002248A KR 20160002248 A KR20160002248 A KR 20160002248A KR 20160009091 A KR20160009091 A KR 2016000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reactor
pores
air
separation membrane
p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률
이진원
장정화
강경보
김종표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091A/en
Publication of KR2016000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0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iffuser in which at least two pore groups including two to six pores are formed,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ore groups of the pore groups is 30-120 mm, the pore groups are linearly arranged, and distance between pores included in a single pore group is 1-20 mm, and to a membrane bio-reactor comprising the air diffuser.

Description

산기 장치 및 분리막 생물반응조{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iffuser and a membrane bioreactor,

본 발명은 산기 장치 및 분리막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공기량으로도 효과적으로 공기 또는 기포를 방출 및 분산시킬 수 있어서 분리막 생물반응조 등의 적용 분야에서 뛰어난 세정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공기량과 소요되는 전력을 낮추고,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산기 장치 및 상기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aerobic apparatus and a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biomass which are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and dispersing air or bubble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ir,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air and power consum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nd increas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nd a separator bioreacto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anaerobic reactor.

분리막 생물반응조(MBR, MEMBRANE BIO-REACTOR) 공정은 활성슬러지 막분리 공정 또는 막결합형 활성 슬러지 공정이라고 불리 우며, 고농도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하수 또는 폐수처리의 한 방법이다. Membrane bioreactor (MBR) process is called activated sludg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r membrane bound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is a method of sewage or wastewater treatment including high concentration organic or inorganic matter.

이러한 분리막 생물반응조는, 이전에 알려진 표준활성슬러지법 또는 표준활성슬러지법의 변법에서 사용되는 침전에 의한 고액분리를 분리막으로 대체함으로써 고농도의 미생물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을 배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장치나 전체 시스템 설치에 필요한 부지 면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처리 효율을 높이면서 안정적인 수질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Such a membrane bioreactor can be used to culture a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SS) by replacing solid-liquid separation by sedimentation, which is used in a previously known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or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site area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or the whole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le water quality while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하지만, 분리막 생물반응조는 흡입 작용을 이용하여 분리막에서 고액 분리를 진행하기 때문에, 분리막의 오염을 완화하거나 분리막에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반응조 하부에 공기 주입을 위한 산기 장치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However, since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utilizes the inhalation action to conduct the solid-liquid separation in the separation membrane, in order to mitigate the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or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separation membrane, an air diffuser for air injection is installed under the reaction vessel, .

이전에는 산기 장치들을 구동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압력 분배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나 산기 장치에서 보다 균일하게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있으나, 보다 적은 공기량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MBR의 분리막의 오염을 완화하거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상용화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Previously, there have been known methods for solving the problem of pressure distribution occurring in the operation of the air diffusers or methods for generating air bubbles more evenly in the air diffuser, but the use of a smaller amount of air, Or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has not been commercialized.

본 발명은 적은 공기량으로도 효과적으로 공기 또는 기포를 방출 및 분산시킬 수 있어서 분리막 생물반응조 등의 적용 분야에서 뛰어난 세정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공기량과 소요되는 전력을 낮추고,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산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lease air or bubbles even with a small air volume and can disperse the air or bubbles effectively, thereby achieving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in applications such as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s, reducing the amount of air to be used and power consumption, And to provide a diffuser which can increas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acidifier.

본 발명은, 2개 내지 6개의 기공을 포함하는 기공 그룹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며, 상기 기공 그룹들 중 이웃하는 기공 그룹들 간의 거리가 30㎜ 내지 120㎜이며, 상기 기공 그룹들이 직렬로 배열하며, 상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가 1 ㎜ 내지 20㎜인, 산기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neycomb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two pore groups including two to six pores, wherein a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ore groups of the pore groups is 30 mm to 120 mm and the pore groups are arranged in series And a distance between the pores included in the one pore group is 1 mm to 20 mm.

또한, 본 발명은,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조 내에 설치된 1이상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reactor comprising: a bioreactor; At least one separation membrane module installed in the bioreactor; And a diffusion devic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산기 장치 및 분리막 생물반응조에 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naerobic devic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2개 내지 6개의 기공을 포함하는 기공 그룹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며, 상기 기공 그룹들 중 이웃하는 기공 그룹들 간의 거리가 30㎜ 내지 120㎜이며, 상기 기공 그룹들이 직렬로 배열하며, 상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가 1 ㎜ 내지 20㎜인, 산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e group includes at least two pore groups including two to six pores,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ore groups of the pore groups is 30 mm to 120 mm, Are arranged in seri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included in the one pore group is 1 mm to 20 mm.

이전에 알려진 산기 장치에서는 공기가 배출되는 기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거나 불규치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통상적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산기 장치에서는 기공에서 배출되는 공기나 이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의 형태나 유동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되는 공기나 이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의 유동으로 인하여 적용되는 장치, 예를 들어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분리막 등 에서의 압력 분배가 용이하지 않았다. Previously known air diffusers have typically had air pockets distributed at regular intervals or unevenly distributed. However, in such an air diffuser,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shape and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ores or the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air bubbles, and the apparatus applied due to the flow of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discharged air It was not easy to distribute the pressure in the separation membrane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산기 장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2이상의 기공들로 이루어지는 기공 그룹을 복수로 산기 장치 상에 형성하면, 적은 공기량으로도 효과적으로 공기 또는 기포를 방출 및 분산시킬 수 있으며, 분리막 생물반응조 등의 적용 분야에서 뛰어난 세정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공기량과 소요되는 전력을 낮추고,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researches on an acidifier, and if a plurality of pore groups composed of two or more pores are formed on the acid generator, air or bubbles can be effectively released and dispers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ir, Et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air to be used and power consumption, and to increa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membrane bioreactor.

상기 '기공 그룹'은 상기 산기 장치 상에 형성된 2이상의 기공들로 이루어지는 집단을 의미하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가 다른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까지의 거리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상기 산기 장치 상에서 하나의 집단으로 구분 될 수 있다. The 'pore group' means a group consisting of two or more pores formed on the acidifier, an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included in one pore group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to the pores included in the other pore group, And can be divided into one group on the above-described diffuser.

또한, 2이상의 기공들이 모여서 하나의 기공 그룹을 형성하고, 이러한 기공 그룹이 2이상 상기 산기 장치에 존재함에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에서는 상기 기공을 통하여 방출된 공기 거품(air bubble)이 뭉칠 수 있으며(coalescence), 이와 같이 뭉쳐진 공기 거품이 거대 공기 거품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거대 공기 거품이 상기 산기 장치가 설치된 장치(예를 들어, 분리막 생물반응조 등) 내에서 상승하거나 유동하게 된다(slug flow). 상기 산기 장치는 상기 거대 거품을 균일한 크기로 균등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s more than two pores are gathered to form one pore group, and as more than two of these pore groups are present in the above-described acidifier, the air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pores are bundled And such coalesced air bubbles form giant air bubbles and these giant air bubbles rise or flow in the apparatus (eg, membrane bioreactor) where the air diffuser is installed (slug flow). The air diffuser allows the giant foam to be uniformly formed in a uniform size.

상기 기공 그룹은 2개 이상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개 내지 6개의 기공, 또는 3개 내지 5개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e group may include two or more pores, specifically, two to six pores, or three to five pores.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들의 개략적인 형태는 도6에 나타난 바와 같다. 다만, 도6은 상기 구현예의 산기 장치들의 일 예를 낸 것일 뿐이며,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schematic view of an anomal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However, FIG. 6 is merely an example of the anomaly devices of the embodiment,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anomaly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9에는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들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다만, 도9는 상기 구현예의 산기 장치의 평면도 및 상기 산기 장치에 포함되는 기공에 관한 내용에 관한 예를 제시한 것이며,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 9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the diffus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IG. 9 shows an example of a plan view of the aeration apparatus of the above embodiment and content of the pores included in the aerosolization apparatus, and the details of the aeration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전에 알려진 산기 장치들, 예를 들어 단순히 산기 장치 상에 1개의 기공 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1열 또는 2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기포 합체(bubble coalescence)나 거대 공기 거품의 유동(slug flow)을 구현해내기 어려워서 상술한 효과를 달성하기 용이하지 않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case where one of the previously known diffusers, for example, one pore on the diffuser, is formed in one column or two columns at regular intervals, the bubble coalescence,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slug flow of the air bubbles, so that it is not easy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effect.

상기 기공 그룹이 2개 내지 6개, 또는 3개 내지 5개의 기공을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기공들을 통하여 방출된 공기 거품(air bubble)은 용이하게 하나로 합쳐질 수 있으며 거대 공기 거품의 유동(슬러그 플로우, slug flow)를 안정적이고 균형 있게 형성할 수 있다. As the pore groups include two to six or three to five pores, the air bubbles emitted through the pores can easily be combined into one, and the flow of large air bubbles (slug flow, slug flow) can be stably and balancedly formed.

상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는 1 ㎜ 내지 20㎜, 또는 4 ㎜ 내지 12㎜, 또는 5 ㎜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는 각각의 기공의 중심점과 이와 이웃하는 기공의 중심점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중심점은 상기 기공의 전면이 다 포함되는 원의 중심점일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included in the one pore group may be 1 mm to 20 mm, or 4 mm to 12 mm, or 5 mm to 10 mm. The distance between pores included in the one pore group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a center point of each pore and a center point of the adjacent pore. The center point of the pores may be a center point of the circle includ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pores.

상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가 상기 범위로 특정됨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공들을 통하여 방출된 공기 거품(air bubble)은 용이하게 하나로 합쳐질 수 있으며 거대 공기 거품을 안정적이고 균형 있게 형성할 수 있다.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included in the one pore group is specified in the above range, the air bubbles emitted through the pores can be easily combined into one, and the large air bubbles can be stably and balanced .

한편, 상기 산기 장치에서 서로 이웃하는 기공 그룹들 간의 거리는 25㎜ 내지 150㎜, 또는 30㎜ 내지 120㎜, 또는 40 ㎜ 내지 100㎜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ore groups in the air diffuser may be 25 mm to 150 mm, or 30 mm to 120 mm, or 40 mm to 100 mm.

상기 서로 이웃하는 기공 그룹들 간의 거리가 너무 작으면, 상기 기공 들이 실질적으로 그룹을 이루지 못하여 상술한 기포 합체(bubble coalescence)나 거대 공기 거품의 유동(slug flow)을 구현해내기 어려워서 상술한 효과를 달성하기 용이하지 않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pore groups is too small, the pores do not substantially form a group,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above-described bubble coalescence or slug flow of macro air bubbles, It is not easy to do.

또한, 상기 서로 이웃하는 기공 그룹들 간의 거리가 너무 크면, 분리막 전체에 골고루 거대 공기 거품의 유동(slug flow)을 형성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분리막 표면에 투과되는 투과수와 수직한 방향으로 십자흐름(cross flow) 또는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향류(up flow velocity)의 형성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부적 분리막 오염이 발생하게 되고 산기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pore groups is too large, a slug flow can not be uniformly formed on the entire membrane, and the cross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ermeated water on the membrane surface cross flow) or an upflow velocity formed upwardly from below may not be smoothly performed, thereby leading to localized separation membrane contamin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acid catalyst may be reduced.

상기 기공의 최대 직경은 0.5 ㎜ 내지 10㎜, 또는 1 ㎜ 내지 5㎜일 수 있다. The maximum diameter of the pores may be 0.5 mm to 10 mm, or 1 mm to 5 mm.

상기 기공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기공을 통해 발생하는 공기에 걸리는 압력이 상승하여 에너지 손실이 크게 되며, 상기 기공에서 방출되는 공기 거품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거대 공기 거품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형성된 거대 거품이 상술한 유동(slug flow)을 하지 못할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pores is too smal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ir generated through the pores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energy loss, and the size of the air bubbles released from the pores becomes too small to form large air bubbles, The bubbles may not be able to make the above-mentioned slug flow.

또한, 상기 기공의 크기가 너무 크면, 산기공기가 주입구에 가까운 기공에서부터 급격히 발생하므로 산기관 전체의 압력분배에 문제점이 발생하여 불균일한 산기가 되기 쉽다. 또한 상기 기공 크기가 너무 클 경우 상기 기공 그룹의 형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가 반감될 수 있으며, 상술한 기포 합체(bubble coalescence)나 거대 공기 거품의 유동(slug flow)을 구현해내기 어려워서 상술한 효과를 달성하기 용이하지 않다. In addition, if the pore size is too large, the air at the air diffuses suddenly from the pores close to the injection port,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air diffuser as a whole, and is likely to become un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if the pore size is too large, the action and effect of forming the pore group can be reduced,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bubble coalescence or the slug flow of the large air bubble. It is not easy to achieve.

상기 산기 장치 표면 상에서 상기 기공의 단면은 원, 타원 또는 3개 내지 30개의 내각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pores on the surface of the diffuser may be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with 3 to 30 internal angles.

한편, 상기 산기 장치의 구체적인 형태나 크기는 실제 적용되는 장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산기 장치는 10㎜ 내지 100㎜의 외경 또는 1㎜ 내지 90㎜의 내경을 갖는 배관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pecific shape and size of the air diffuser may vary depending on the apparatus to be actually used, but the diffuser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0 mm to 100 mm or an inner diameter of 1 mm to 90 mm.

또한, 상기 산기 장치의 구체적인 재질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PVC 등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상기 산기 장치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The specific material of the air diffuser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For example, thermoplastic plastic such as PVC or metal may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air diffuser.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MBR, MEMBRANE BIO-REACTOR)에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eration apparatus of one embodiment can be used in a membrane bioreactor (MBR).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조 내에 설치된 1이상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reactor; At least one separation membrane module installed in the bioreactor; And a diffusion devic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를 사용하면, 적은 공기량으로도 효과적으로 공기 또는 기포를 방출 및 분산시킬 수 있으며, 분리막 생물반응조 등의 적용 분야에서 뛰어난 세정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공기량과 소요되는 전력을 낮추고,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air diffuser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and disperse air or bubble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ir,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in application fields such as a membrane bioreac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air and power consumption, and to increa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membrane bioreactor.

특히, 상기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산기 장치의 기공을 통하여 방출된 공기 거품(air bubble)이 뭉칠 수 있으며(coalescence), 이와 같이 뭉쳐진 공기 거품이 거대 공기 거품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거대 공기 거품이 상기 구현예의 분리막 생물반응조 내에서 상승하거나 유동하게 된다(slug flow). 상기 산기 장치는 상기 거대 거품을 균일한 크기로 균등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Particularly, by using the air diffuser of the embodiment, the air bubbles emitted through the pores of the diffuser can coalesce, and the air bubbles thus formed form a large air bubble, Such large air bubbles rise or flow in the membrane bioreactor of this embodiment (slug flow). The air diffuser allows the giant foam to be uniformly formed in a uniform size.

그리고, 이러한 거대 공기 거품의 주기적인 유동에 따라서, 보다 적은 공기양으로도 상기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분리막에 생성될 수 있는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분리막에 오염 물질이 쌓이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yclic flow of the macro air bubbles, contaminants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can be easily removed even with a smaller amount of air, and the accumulation of contaminants in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minimized .

상기 산기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air diffusing apparatus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contents in the above embodiment.

상기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개략적인 형태는 도7에 나타난 바와 같다. 다만, 도7은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낸 것일 뿐이며, 상기 발명의 구현예의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구체적인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schematic view of a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However, FIG. 7 schematically shows only one example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nd the details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logical rea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생물반응조는 하수 또는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인 정화를 하는 부분이며 분리막이 침지되는 부분은 생물반응조 중에서도 폭기조 또는 포기조 혹은 호기조라고 하며 유기물의분해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장방형, 정방형 또는 원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생물반응조의 크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폭기조의 1기당 평균적으로 100㎥ 내지 20,000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bioreactor is a part that performs biological purification using microorganisms in the treatment of sewage or wastewater. The part where the separation membrane is immersed is called an aeration tank, aeration tank or aerobic tank, and serves as a decomposition part of organic matter. Or circular shape. The size of such a bioreactor is not limited, but may be on the order of 100 m 3 to 20,000 m 3 per unit of an aeration tank, for example.

상기 생물반응조 내에 설치된 1이상의 분리막 모듈은 표준활성슬러지법 또는 표준활성슬러지법 변법 등으로 대표되는 생물반응조에서 폭기조 내 혹은 분리막조 또는 조 외부에서 air lift형태로 설치되며, 활성슬러지와 정화된 물을 분리하는 이른바 고액분리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분리막의 설치 위치와 운전 방법 등에 따라 침지형 또는 가압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막 모듈은 평막 형태로써 분리막, 엘레먼트(panel 또는 spacer 등을 포함한다), 모듈 및 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유니트의 구성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The one or more separation membrane modules installed in the biological reactor are installed in an aeration tank or in an aeration tank in the aeration tank or outside the tank in a biological reactor represented by a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or a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variation process and the activated sludge and purified water Liquid separation, and may be in the form of an immersion type or a pressure typ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like. In addition, such a membrane module consists of a constituent part of a unit comprising a membrane, an element (including a panel or a spacer), a module and a module in the form of a flat membrane.

상기 분리막 모듈은 중공사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평막과 중공사막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으나, 대표적으로 소수성 재질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표면 처리, 친수화, 첨가제 등을 이용하여 친수성으로 개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VDF 이외에 폴리술폰(polysulfone, PSf) 혹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등의 방향족 고분자 소재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또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TA) 등의 선형 고분자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평막과 중공사막에는 5㎛ 내지 0.0005㎛의 크기를 갖는 기공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or module may include a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material of the membrane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ypically,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which is a hydrophobic material, is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hydrophilization, And a hydrophilic modifica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PVDF, it is also possible to use aromatic polymer materials such as polysulfone (PSf) or polyethersulfone (PES), polyacrylonitrile (PAN), cellulose acetate (CA) or cellulose triacetate , CTA) can be used. The flat membrane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have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size of 5 mu m to 0.0005 mu m.

상기 분리막 모듈은 상기 산기 장치에 포함되는 기공 그룹들 간의 사이의 상단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막 모듈은 산기장치의 산기 방향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공기 주입 방향과 매니폴드의 설계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or module may be installed in an upper space between the pore groups included in the diffuser. Specifically,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may be form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designing method of the manifold and the air inj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ly or horizontally to the direction of the diffuser of the diffuser.

한편, 상기 분리막 모듈과 상기 산기 장치 간의 거리는 5㎜ 내지 400㎜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 모듈과 산기 산기 장치 간의 거리가 너무 작으면, 상기 산기 장치의 기공을 통하여 방출된 공기 거품이 뭉치기 어렵거나 또는 기포합체에 의한 기포 성장이 분리막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만한 공간을 제공할 수 없어 산기장치의 설치 개소가 늘어나 에너지 소비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분리막 모듈과 산기 산기 장치 간의 거리가 너무 크면, 산기 장치의 기공을 통하여 방출된 공기 거품이 뭉침으로서 형성되는 거대 공기 거품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거대 공기 거품이 상기 분리막 모듈 내부로 침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물의 비율을 조절해서 형성하는 크고 강한 기포합체의 효과를 반감시켜 원활한 슬러그 플로우(slug flow)의 형성을 저해하게 된다. Meanwhile, a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diffusion device may be 5 mm to 400 mm.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or module and the acid generator is too small, the air bubbles released through the pores of the air diffuser may be difficult to accumulate, or the bubble growth due to the foam coalescence may provide a space over the entire separa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installation places of the device for dissipating heat and to lower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acid generator is too large, the stability of the large air bubbles formed by the aggregation of the air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pores of the air diffuser may be reduced, or the large air bubbles may flow into the separator module It may not be easy to penetrate. As a result, the effect of large and strong bubble aggregates form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air / water is halved, which hinders the formation of smooth slug flow.

한편, 상기 구현예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는 오수를 상기 생물반응조 내부로 주입하는 주입부; 외부 공기를 생물반응조로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 산기장치의 세정을 위해 도입하는 세정공기 혹은 세정액의 주입부; 또는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반송을 담당하는 반송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the embodiment includes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wastewater into the bioreactor;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bioreactor; An injecting portion of washing air or washing liquid to be introduced for washing the air diffuser;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reated water treated in the bioreactor;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in the bioreactor;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공기량으로도 효과적으로 공기 또는 기포를 방출 및 분산시킬 수 있어서 분리막 생물반응조 등의 적용 분야에서 뛰어난 세정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공기량과 소요되는 전력을 낮추고,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산기 장치 및 상기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and disperse air or bubble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ir, thereby realizing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in applications such as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s, etc., And a separator bioreactor including the acid generator can be provided.

도1은 실시예1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 과정을 관찰한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2는 실시예2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 과정을 관찰한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3은 실시예3 내지 6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 과정을 관찰한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4은 실시예7 내지 10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 과정을 관찰한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5은 비교예1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 과정을 관찰한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6은 발명의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발명의 일 구현예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8은 실험예2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발명의 일 구현예의 산기 장치들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10은 종래의 산기 장치들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operation of a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ccording to Example 1. FIG.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Example 2. FIG.
FIG. 3 is a photograph of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Examples 3 to 6. FIG.
FIG. 4 is a photograph of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Examples 7 to 10 observed. FIG.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Comparative Example 1 observed. FIG.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diffuser devices of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2.
Figure 9 schematically shows a top view of the diffuser of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10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diffuser.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Example 1내지1 to 10 및  10 and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 산기 장치 및 분리막 : Air diffuser and separator 생물반응조의Bioreactor 운전> Driving>

200L 부피의 생물반응조 내에 150mm X 300mm(가로X세로) 크기의 분리막을 8mm 간격으로 양면으로 4장 총 8면을 설치하고,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산기 장치를 설치하였다. In a bioreactor having a volume of 200 liters, four separation membranes each having a size of 150 mm x 300 mm (width x length)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8 mm on both sides, and a total of 8 surfaces were provided, and a diffuser wa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paration membrane.

이때, 분리막으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한외 여과막(기공의 크기 약 0.07㎛)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산기 장치에 형성된 각각의 기공의 최장 직경,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수, 기공 그룹 내에서 기공 간의 거리, 기공 그룹 간의 거리 및 분리막 모듈과 산기 장치 간의 거리는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As the separation membrane, a polyacrylonitrile (PAN) ultrafiltration membrane (pore size of about 0.07 m) was used, and the maximum diameter of each pore formed in the acidifier, the number of pores contained in the pore group,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 group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embrane module and the diffusion device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이와 같은 분리막 생물반응조에 수돗물을 채우고 10L/min에서부터 30L/min 까지 10L/min(단위)의 양으로 공기를 주입하면서 운전을 진행하였고, slug flow의 형성여부와 분리막 전체에 분산되는 기포의 거동을 초고속 카메라로 관찰하였다.The operation was carried out by filling the tap water with 10 L / min (10 L / min) and 10 L / min (unit), and the formation of slug flow and the behavior of bubbles dispersed throughout the membrane And observed with a high-speed camera.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산기 장치 상의 기공의 형성 양태Formation of pores on the air diffuser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기공의
최장 직경
Pore
Longest diameter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수Number of pores contained in the pore group 기공 그룹 내에서 기공 간의 간격Spacing between pores within the pore group 기공 그룹 간의 거리Distance between groups 분리막 모듈과 산기 장치 간의 거리Distance between membrane module and diffuser
실시예1Example 1 약 2 ㎜About 2 mm 33 7 ㎜7 mm 37.5㎜37.5 mm 40 ㎜40 mm 실시예2Example 2 약 2 ㎜About 2 mm 44 7 ㎜7 mm 37.5㎜37.5 mm 40 ㎜40 mm 실시예 3Example 3 약 2 ㎜About 2 mm 33 8 ㎜8 mm 37.5㎜37.5 mm 40mm40mm 실시예4Example 4 약 2 ㎜About 2 mm 33 7 ㎜7 mm 37.5㎜37.5 mm 실시예 5Example 5 약 2 ㎜About 2 mm 44 8 ㎜8 mm 37.5㎜37.5 mm 실시예 6Example 6 약 2 ㎜About 2 mm 44 7 ㎜7 mm 37.5㎜37.5 mm 실시예 7Example 7 약 4 ㎜About 4 mm 33 10 ㎜10 mm 83.3㎜83.3 mm 160 ㎜160 mm 실시예 8Example 8 약 4 ㎜About 4 mm 33 9 ㎜9 mm 83.3㎜83.3 mm 실시예 9Example 9 약 4 ㎜About 4 mm 44 10 ㎜10 mm 83.3㎜83.3 mm 실시예 10Example 10 약 4 ㎜About 4 mm 44 9 ㎜9 mm 83.3㎜83.3 m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약 2 ㎜About 2 mm 44 그룹 간격 없음[기공들이7 ㎜ 간격으로 직렬 배열]No group spacing [pores arranged in series at intervals of 7 mm] 그룹 간격 없음No group spacing 120mm120mm

<<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 : 실시예Example 1내지1 to 10 및  10 and 비교예1의Comparative Example 1 분리막  Membrane 생물반응조의Bioreactor 운전 관찰> Driving observation>

(1) 도1 및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2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을 진행함에 따라서, 산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공기 거품(air bubble)이 합체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coalescence), 이와 같이 공기 거품이 뭉쳐서 형성된 거대 공기 거품이 분리막 모듈로 이동하는 유동(slug flow)이 일어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As shown in FIG. 1 and FIG. 2, as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Example 1 and Example 2 is operated, the phenomenon of coalescence of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air diffuser can be observed (Coalescence) of the air bubbles, and thus, a slug flow occurs in which the large air bubbles formed by the air bubbles are transferred to the membrane module.

도3 및 도4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은 실시예 3 내지 10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하는 과정에서도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above phenomenon was also confirmed in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s of Examples 3 to 10.

(2) 이에 반하여, 비교예1 (도5)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를 운전하는 경우, 산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공기 거품(air bubble)들이 뭉치는 현상을 거의 관찰하기 어려웠으며, 각각의 공기 거품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분리막 모듈 사이를 지나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2)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5) was operated, it was hard to observe the accumulation of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air diffuser, And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passage between the membrane modules.

<< 실시예11Example 11  And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

200L 부피의 생물반응조 내에 150mm X 300mm(가로X세로) 크기의 분리막을 8mm 간격으로 양면으로 4장 총 8면을 설치하고,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산기 장치를 설치하였다. In a bioreactor having a volume of 200 liters, four separation membranes each having a size of 150 mm x 300 mm (width x length) were arranged at intervals of 8 mm on both sides, and a total of 8 surfaces were provided, and a diffuser wa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paration membrane.

이때, 분리막으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한외 여과막(기공의 크기 약 0.07㎛)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산기 장치에 형성된 각각의 기공의 최장 직경,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수, 기공 그룹 내에서 기공 간의 거리, 기공 그룹 간의 거리 및 분리막 모듈과 산기 장치 간의 거리는 하기 표2에 나타낸 바와 같다. As the separation membrane, a polyacrylonitrile (PAN) ultrafiltration membrane (pore size of about 0.07 m) was used, and the maximum diameter of each pore formed in the acidifier, the number of pores contained in the pore group,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 group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embrane module and the diffusion device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이와 같은 분리막 생물반응조에 불용성 유기물, 당, 지질 등의 인공 유기오염물을 포함한 인공 폐수를 채우고 30L/min의 양으로 공기를 주입하면서 운전을 진행하였고, 분리막에 사용되는 진공펌프에 걸리는 압력(막간 차압, Trans membrane pressure, TMP)을 측정하였다. Artificial wastewater containing artificial organic contaminants such as insoluble organic matter, sugar, and lipids was fill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and air was injected at a rate of 30 L / m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vacuum pump us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 And trans membrane pressure (TMP).

[운전 조건][Operation condition]

(1) Flux: 15.4 LMH (L/m2/h)(1) Flux: 15.4 LMH (L / m 2 / h)

(2) 운전 모드: 9분 가동 1분 휴지(2) Operation mode: 9 min.

(3) 유기물 농도 (wt%): 0.035(3)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wt%): 0.035

실시예11 및 비교예2의 산기 장치 상의 기공의 형성 양태 [산기 장치의 길이: 150 ㎜]Formation of pores on the acidifier of Example 11 and Comparative Example 2 [Length of the acidifier: 150 mm] 기공의
최장 직경
Pore
Longest diameter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수Number of pores contained in the pore group 기공 그룹 내에서 기공 간의 간격Spacing between pores within the pore group 기공 그룹 간의 거리Distance between groups 분리막 모듈과 산기 장치 간의 거리Distance between membrane module and diffuser
실시예11Example 11 약 2 ㎜About 2 mm 3
[총 4개의 그룹]
3
[Total 4 groups]
7 ㎜7 mm 37.5㎜37.5 mm 40 ㎜40 mm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약 2 ㎜About 2 mm -- 그룹 간격 없음[23개의 기공들이 직렬 배열]No group spacing [23 pores arranged in series] -- 120 ㎜120 mm

<<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 : 실시예Example 11 및  11 and 비교예2의Comparative Example 2 분리막  Membrane 생물반응조의Bioreactor 운전 관찰> Driving observation>

하기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2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는 100,000sec 동안 진행된 실험에서 계속적으로 막간 차압 (Trans membrane pressure, TMP)이 상승하여 0.2이상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membrane bioreactor of Comparative Example 2 continuously increases the trans membrane pressure (TMP) by more than 0.2 in the experiment conducted for 100,000 sec.

이에 반하여 실시예11의 분리막 생물반응조는 동일한 30L/min의 유량을 유입시켜 실험을 동시에 진행하더라도 차압 상승의 속도가 완만하여 제한 차압(평균적으로는 약 0.5 이상일 경우)에 도달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면,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을 세정하는 주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인 분리막 생물반응조 운전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On the contrary, in the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f Example 11, even when the same flow rate of 30 L / min was introduced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 rate of ris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was gentle and the time to reach the limit differential pressure (on the average, about 0.5 or m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eriod of cleaning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greatly improved, and an economical separation membrane bioreactor operation condition can be formed.

Claims (11)

2개 내지 6개의 기공을 포함하는 기공 그룹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며,
상기 기공 그룹들 중 이웃하는 기공 그룹들 간의 거리가 30㎜ 내지 120㎜이며,
상기 기공 그룹들이 직렬로 배열하며,
상기 하나의 기공 그룹에 포함되는 기공들 간의 거리가 1 ㎜ 내지 20㎜인, 산기 장치.
At least two pore groups containing 2 to 6 pores,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ore groups of the pore groups is 30 mm to 120 mm,
The pore groups are arranged in seri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included in the one pore group is 1 mm to 2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최대 직경이 0.5 ㎜ 내지 10㎜인, 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pores is 0.5 mm to 1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단면이 원, 타원 또는 3개 내지 30개의 내각을 갖는 다각형인, 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pores is a polygon having a circle, an ellipse or an inner angle of 3 to 30 angles.
제1항에 있어서,
10㎜ 내지 100㎜의 외경을 갖는 배관 형태인, 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0 mm to 100 mm.
제1항에 있어서,
1㎜ 내지 90㎜의 내경을 갖는 배관 형태인, 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1 mm to 90 mm.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thermoplastic or metal.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조 내에 설치된 1이상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항의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Bioreactor;
At least one separation membrane module installed in the bioreactor; And
The separator biorea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or modul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은 상기 산기 장치에 포함되는 기공 그룹들 간의 사이의 상단 공간에 설치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is installed in an upper space between pore groups included in the anaerobic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은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comprises a hollow fiber membra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과 상기 산기 장치 간의 거리는 5㎜ 내지 400㎜인, 분리막 생물반응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anaerobic device is 5 mm to 400 mm.
제7항에 있어서,
오수를 상기 생물반응조 내부로 주입하는 주입부;
외부 공기를 생물반응조로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 또는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8. The method of claim 7,
An injector injecting wastewater into the bioreactor;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bioreactor; or
And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reated in the bioreactor.
KR1020160002248A 2016-01-07 2016-01-07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KR201600090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48A KR20160009091A (en) 2016-01-07 2016-01-07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48A KR20160009091A (en) 2016-01-07 2016-01-07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319A Division KR20150017983A (en) 2013-08-08 2013-08-08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091A true KR20160009091A (en) 2016-01-25

Family

ID=5530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48A KR20160009091A (en) 2016-01-07 2016-01-07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0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3413B2 (en) Aerated anoxic membrane bioreactor
US7481933B2 (en) Proc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embrane filter activated sludge system
US7510655B2 (en) Proc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embrane filter activated sludge system
KR101363015B1 (en)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CN1890016A (en) Membrane modules and integrated membrane cassettes
CN101065177A (en) Submerged cross-flow filtration
KR100645952B1 (en) Hollow-fibre membrane filtration device for purifying waste water, filtration module and a method for traeting water or waste water using thereof
KR101798551B1 (en) Filtration Memebrane Module and Filt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5823489B2 (en) Membrane separator
US20110180467A1 (en) Submerged biofiltration purifying apparatus
ES2397304T3 (en) Water treatment related improvements
KR20190022388A (en) Equipment for Circulating of media and Preventing of media sweep in Moving Bed Biofilm Reactor
KR201500961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with membrane distillation
KR20160009091A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AU2007313255B2 (en) Membrane bioreactor for phosphorus removal
KR20160017558A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KR20150017983A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KR20160084360A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KR20150116691A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EP3031781A1 (en) Air diffuser and membrane bio-reactor
KR20160077949A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System for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The Same
CN216073467U (en) Comprehensive biochemical treatment system
KR200209319Y1 (en) BTR ; Bio Tube Reactor
KR101263561B1 (en) 2-phase flow inducing type MBR system having submerged membrane module
US20170128889A1 (en) Filtration apparatus, and immersion-type filtration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