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845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845A
KR20160008845A KR1020140089136A KR20140089136A KR20160008845A KR 20160008845 A KR20160008845 A KR 20160008845A KR 1020140089136 A KR1020140089136 A KR 1020140089136A KR 20140089136 A KR20140089136 A KR 20140089136A KR 20160008845 A KR20160008845 A KR 2016000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ild
health
information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옥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845A/en
Publication of KR2016000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8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information on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information on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which can be utilized by guardians who are responsible for raising a child, a health care provider and a daycare center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having a screening function of the development of a child before attending school, a health record and health problems which should be found early in their childhood, and whose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in the permitted rang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uardian terminal, a protected person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0002]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동의 발달 상황을 입력하고, 또한 타인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아동 발달 상황의 선택적인 입력 및 열람이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development status of a child by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and also for selectively inputting and browsing a child development situation through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phone of another person, Inputting and viewing apparatuses and methods.

취학 전 아동기는 성인의 절대적인 보호 하에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Pre-school childhood is an important time to lay the foundations for healthy adult development through harmonious development of mind and body under the absolute protection of adults.

이 기간 중에는 성장발달이 빠르게 일어나고 두뇌발달과 각종 감각 기능의 발달의 결정적 시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성장발달의 문제나 잠재적 위험성을 조기 발견하여 중재하면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uring this perio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development of various sensory functions, including rapid development of the period includes the development of problems and potential risks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can be the most effective.

아동의 건강과 발달적 성과는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의 능력의 범위에 좌우되지만 불행하게도 많은 가정들이 양육기술에 대한 지식부족과 부적절한 지지체계 또는 자녀양육에 대한 전문가의 지지 부족을 경험한다. Children's health and developmental outcomes depend on the extent of the family's ability to care for the child, but unfortunately many families experience lack of knowledge about parenting skills, inadequate support systems, or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for child care.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저출산ㆍ고령화라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 빈부격차와 지역 간 격차의 심화를 겪고 있다. In recent years, Korea is experiencing rapi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such as low fertility and aging in the world, and rapid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idening gap between rich and poor.

이러한 사회변화 과정에서 가정의 아동 보호와 양육기능이 더욱 약화되어 아동이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적절하게 누리지 못하고 있다. In this process of social change, the child protection and nurturing functions of the family are getting weaker and the children are not enjoying the rights they deserve.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까지 감소하였고, 결혼연령의 연장에 따른 출산의 고령화 및 조산아 출산의 증가 및 맞벌이 부부의 보편화로 인해 아동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The fertility rate has been reduced to the lowest level in the world, and the importance of child health care is further emphasized due to the aging of the baby due to the extension of the marriage age, the increase in the delivery of premature babies 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couple.

선진국은 건강투자라는 인식하에 일찍부터 모성과 취학 전 아동의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건강의 질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목표한 성과를 거두었다.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health by providing maternity and preschool children's health services early on with the awareness that they are health investments, and have achieved their desired results.

우리나라의 0-5세 취학 전 아동 수는 2010년 11월 기준 2,644,000명으로 전체 인구대비 5.51%를 차지한다(Statistics Korea, 2011).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0-5세 아동 수는 2013년 12월 기준 1,477,151명(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으로 절반 이상의 취학 전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어 가정과 어린이집의 아동 양육과 건강에 대한 정보의 연계성도 요구된다.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ged 0-5 in Korea is 2,644,000 as of November 2010, accounting for 5.51% of the total population (Statistics Korea, 2011). The number of children aged 0-5 who are using childcare centers is 1,477,151 as of December 20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and more than half of the preschoolers use childcare centers, so childcare and health information Is also required.

그러므로 취학 전 아동의 건강과 발달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기능을 통해 가정과 사회적 양육자(어린이집 등)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home and social caregiver (child care home) through the function of record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health and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이를 위해 가정과 사회가 협력하여 아동의 최적의 발달을 지원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가정과 전문가, 기관에서 허락된 정보를 공유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이 요구된다. To this end, solutions are needed to share information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families, professionals, and institutions so that families and societies can cooperate to support the optim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grow into healthy adults.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고 제공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방문간호사 등의 의료인 또는 영유아 공단검진기관의 검진의사를 통해 검진이 수행되지만, 이러한 검진 결과는 현장에서 직접 아동들과 생활하는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교사들과는 공유되지 않아서 아동의 건강과 발달 상황에 적절한 대처가 어렵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sharing and providing such information, the examination is carried out by a medical person such as a visiting nurse or a medical examination institution of an infant & child industrial complex. However, the result of such examin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a nursing home or kindergarten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health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hild because it is not shared.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마이닥터'의 경우에는 GPS 기반으로 전국병원찾기, 의학백과, 30여종의 자가진단 기능이 있지만,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아동의 발달상황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아동의 건강과 발달상황을 알고자 하는 의료인 또는 어린이집(유치원) 등의 교사들과는 정보 공유가 불가능하여 이 또한 아동의 건강과 발달상황에 적절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y Doctor', which is one of the applications of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GPS based on national hospital search, medical encyclopedia, and 30 kinds of self-diagnosis functions. However, these applications can not directly input the development status of a chil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ropriately cope with the health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hil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 teachers such as the medical person or the nursery school (kindergarten) who want to know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예를 들면, 아동이 어린이집(유치원)에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교사가 보호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여 아동의 건강상태(시력이상, 사이, 청력, 알레르기, 척추상태, 가슴통, 언어장에 등)를 확인하여야 하지만, 급박한 상황에서 보호자와 연락이 취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아동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응급처치를 행함으로써 적절한 조치가 행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a child has a health problem at a day care center (a kindergarten), the teacher may contact the caregiver directly to find out the child's health status (such as vision abnormality, hearing loss, allergy, spinal condition, chest pain, However, if contact with the guardian is not made in an urgent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roper measures can not be taken by performing emergency treatment without accurately grasping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hild.

또한, 아동의 발달 상황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자폐 증 등 다양한 발달 상황에 대해서도 교사가 정확한 아동의 발달 상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지만,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서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행해질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developmental situation of the child, for exampl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utistic disorder, etc., the teacher should grasp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orrect child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but the information is not shar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proper measures can not be taken.

그리고, 공개특허 10-2004-0083148에서는 인터넷과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유아의 생년월일을 기초로 하여 예방접종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공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푸시방식으로 가입자의 휴대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서 유아의 건강 상태 및 발달 상황을 공유하지 못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a technology for periodically updating and providing vacc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ate of birth of a child to a subscriber using the Internet and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0-2004-0083148, The present invention still has the above problems because it can not share the health condition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infant a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취학 전 아동의 발달과 건강기록 및 아동기에 조기 발견되어야 할 건강문제의 스크리닝 기능을 갖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아동양육 책임자인 보호자, 의료인 및 어린이집 모두가 활용할 수 있고 허락된 범위 내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using a mobile application having th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child and the health record and the screening function of the health problem to be detected early in childhood, And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viewing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that allows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in a permitted rang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inputting and viewing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받아 저장하고, 원격의 관리서버로 이를 전송하며, 저장된 아동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열람 권한을 부여하는 보호자 단말기; A guardian terminal for inputting and storing the health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a child by an application, transmitting the same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and inputting and viewing the information on stored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부여된 입력 및 열람 권한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을 입력 또는 열람하며, 입력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보호자 단말기;A protected person terminal for inputting or viewing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a child through an application by input and browsing rights given from the paren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putted information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or parent terminal;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 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된다.
And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transmitt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and the protected terminal, and providing the terminal with the authorized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입력 및 열람 방법은, Further, the method for inputting and browsing the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us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호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을 입력하는 제1과정;A first step of inputting a child's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guardian terminal;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보호자 단말기에 저장된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입력 또는 열람 요구가 발생하면, 보호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의 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제2과정;A second step of selectively granting authority of the protected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when a request for input or browsing of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stored in the guardian terminal is generated by the installed application;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피보호자 단말기로 부여된 권한에 따라 열람 정보를 제공하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에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과정;으로 구성된다.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brow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ights granted to the protected terminal in the guardian terminal and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guardian terminal in the guardian terminal.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의 취학전 아동의 성장과 발달의 이상 유무와 진행과정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고, 발달 이상 의심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하여 건강 및 발달 문제를 조기발견함으로써 조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quire the abnormality and progres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child in the home through the application, to easily check the developmental suspicion, and to detect the health and development problem early, And to take action.

또한, 취학전 아동의 건강문제 조기발견으로 인한 아동과 가족의 고통 경감 및 최적의 발달 기회 제공은 물론 막대한 의료비 절감 효과,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성 제고 및 건강한 가정을 지원해줄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provide children and families with pain relief and optimal development opportunities due to the early detection of preschool children 's health problems, as well as enormous medical cost savings, increased responsibility for parental care, and support for healthy families.

그리고, 현재 방문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자체에서도 효율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솔루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unicipalities that currently provide visiting nursing services can be used as a solution for efficient business execution.

추후 의료인 - 어린이집(유치원) 및 기관 - 보호자를 연결하여 소통을 증진시키고 서비스를 다양화할 수 있다.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connect medical staff - day care centers (kindergartens) and institution - carer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diversify services.

본 발명을 통해 축적되는 취학 전 아동건강관련 데이터베이스는 통해 아동건강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The preschool child health database accumula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a child health policy.

도1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를 보인 도.
도2는 보호자 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의 구조를 보인 도.
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inputting and viewing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se where the protector terminal is a smartphon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입력 및 열람 장치를 보인 도로서, 보호자 단말기(100), 통신망(200), 피보호자 단말기(300), 관리서버(400)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input and browsing apparatus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roadway, a guardian terminal 100, a communication network 200, a protected terminal 300, and a management server 400.

보호자 단말기(100)는 아동의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The guardian terminal 100 can be a mobile device (e.g., a smart phone) possessed by a guardian of a child, and an application is install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망(200)은 인터넷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피보호자 단말기(300)는 모바일 기기 또는 데스크 탑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가 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be implemented by the Internet, and the protected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by a mobile device or a desktop computer, but is preferably a mobile device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이러한 피보호자 단말기(300)는 의료인, 어린이집(유치원) 교사 등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Such a protected terminal 300 may be a smart phone possessed by a medical person, a nursery school (kindergarten) teacher, or the like.

관리서버(40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100)와 피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아동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management server 400 store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inputted from the parent terminal 100 and the parent terminal 300.

보호자 단말기(100)에는 도2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10)에 의해 우리나라 아동의 표준 성장 곡선 데이터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아동의 생년월일 및 신체 측정치(키, 몸무게, 두위 등)에 의해 또래 집단과의 비교한 백분율 및 도4에서와 같이 그래프로 표출함으로써 현재 자신의 아이의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2, the guardian's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110. The guardian terminal 100 displays standard growth curve data of Korean children by the installed application 110 and the date of birth and body measurements of the chil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Height, weight, etc.) of the child and the percentage of the comparison with the peer group and the graph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growth state of the current child can be confirmed.

여기서 (a)는 자신의 아이의 체중과 신장 변화를 표준치와 대비하여 그래프로 표출한 예이고, (b)는 두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Here, (a)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and height change of a child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value, and (b)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the head position.

따라서, 보호자는 자신의 보호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아이의 성장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피보호자 단말기(300)와 관리서버(400)로 통신망(200)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the guardian can visually confirm the growth state of the child through his / her parent terminal 100 and provide the protected terminal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as needed.

이로인해, 아이의 연령(월령)에 따른 성장의 상태를 표준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성장과정을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볼 수 있으므로 아이의 성장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judge the growth state according to the age (age) of the child by comparing with the standard, and the growth state of the child can be grasped at a glance because it can be viewed as a graph according to time.

그러므로, 성장부진아(하위 3%, 하위 10%)의 경우 성장 부진의 원인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고 정밀 진단 후 치료가능한 문제들을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평생건강을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underdeveloped infants (lower 3%, lower 10%), it helps to find out the cause of growth failure and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lifelong health by inducing early treatment of possible treatable problems after precise diagnosis .

또한, 보호자 단말기(100)에는 어플리케이션(110)으로 아동의 체질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는데, 일 예로서, 표1에서와 같이 입력 및 확인창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ardian terminal 100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nd confirming the constitutional information of the child by the application 110. For example, an input and a confirmation window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1.

양호Good 이상More than 소견opinion Eye 사시Strabismus 좌측 내사시Left esotropia 눈병Eye disease 시력Vision Left 좌측 저시력의심Left low vision doubt Right ear 청력hearing ability 귓병Ear nose 구강Mouth 피부상태Skin condition 영양상태Nutritional status 척추상태Spinal condition 가슴통Chest 호흡상태Breathing state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정신장애Mental disorder 알레르기성 질환Allergic disease 계란egg

따라서, 보호자는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120)을 구동시킨 다음 표1과 같이 구현된 입력창을 통해 자신의 아이에 대한 체질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guardian can operate the application 120 using his / her terminal 100, and then input the constitution information for his / her child through the input window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1, and store the information.

이에 따라, 이러한 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300) 또는 관리서버(400)와 공유하는 경우에는 의료인, 영유아 공단검진 검진의사 등을 통해 검진이 수행될 수 있으며, 건강문제 조기발견으로 인한 건강문제의 교정, 문제의 최소화를 유도하고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is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protected terminal 3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examin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medical person, an infant and child industrial complex examination docto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minimize the problem and expect the effect of medical cost reduction.

보호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20)의 또 다른 기능으로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에 대하여 평정하는 척도에 의해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일 예로서, 표2에서와 같이 입력 및 확인창이 구현될 수 있다.
Another function of the application 120 installed in the caregiver terminal 100 is to immediately check the degre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rding to a measure to be rated.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2, .

지난 1주일 동안 관찰하신 아동의 행동에 대해 해당란에 ∨표 해주십시오. Please tick the box for the behavior of the child you observed during the past week .

문 항question
전혀Not at all
그렇지right
않다not
(매우(Extremely
드물다)rare)
약간slightly
혹은or
가끔Sometimes
그렇다Yes
상당히Pretty
혹은or
자주often
그렇다Yes
매우Extremely
자주often
그렇다Yes
1.One. 주의집중을 하지 않고 부주의해서 실수를 많이 한다.I make mistakes carelessly without paying attention. 00 1One 22 33 2.2. 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하고 손발을 계속 움직이거나 몸을 꿈틀거린다.I can not sit still and keep moving my hands and feet or wriggling my body. 00 1One 22 33 3.3. 과제나 놀이를 할 때 지속적으로 주의집중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There are difficulties in constant attention when assigning tasks or playing. 00 1One 22 33 4.4.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닌다.I wake up from my seat while I sit still. 00 1One 22 33 5.5.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귀 기울여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It seems like you are not listening to someone else's story. 00 1One 22 33 6.6. 상황에 맞지 않게 과도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오른다.It jumps or jumps excessively in an inappropriate situation. 00 1One 22 33 7.7. 지시에 따라서 학업이나 집안일이나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끝마치지 못한다.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you can not finish your work, your housework, or what you need to do. 00 1One 22 33 8.8. 조용히 하는 놀이나 오락 활동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quiet play or recreational activities. 00 1One 22 33 9.9. 과제나 활동을 체계적으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There are difficulties in systematizing tasks and activities. 00 1One 22 33 10.10. 항상 끊임없이 움직이거나 마치 모터가 달려서 움직이는 것처럼 행동한다.Always act constantly or as if the motor is running. 00 1One 22 33 11.11. 공부나 숙제 등 지속적으로 정신적 노력이 필요한 일이나 활동을 피하거나 싫어하고 하기를 꺼려한다.Students are reluctant to avoid or hate work or activities that require constant mental effort, such as studying or homework. 00 1One 22 33 12.12. 또래와 비교할 때 말을 너무 많이 한다.Compared to peers, I say too much. 00 1One 22 33 13.13. 과제나 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것들 (장난감, 숙제, 연필 등)을 잃어버린다.I lose the things I need to do tasks and activities (toys, homework, pencils, etc.). 00 1One 22 33 14.14. 질문을 끝까지 듣지 않고 대답한다.Answer the question without hearing it. 00 1One 22 33 15.15.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진다.It is easily distracted by external stimuli. 00 1One 22 33 16.16. 자기 순서를 기다리지 못한다.I can not wait for my order. 00 1One 22 33 17.17. 일상적인 활동을 잊어버린다. (예: 숙제를 잊어버리거나 도시락을 두고 학교에 간다.)I forget my daily activities. (Eg, forget homework or go to school with lunch). 00 1One 22 33 18.18. 다른 사람을 방해하고 간섭한다.Interference with others. 00 1One 22 33 총점 Total score 홀수문항의 합Sum of odd items 짝수문항의 합Sum of even numbers

따라서, 보호자는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120)을 구동시킨 다음 표2와 같이 구현된 입력창을 통해 자신의 아이에 대한 행동 상황을 점수로 입력하게 되면, 그 점수에 대하여 현재 아이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에 대해 평가 데이터를 보호자에게 표출함으로써 조기 스크리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guardian operates the application 120 using his / her terminal 100 and then inputs the action status of his or her child as a score through the input window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2, Early screening is possible by expressing evaluation data on the child'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o the caregiver.

이에 따라 기질적인 원인에 의한 경우 약물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심리적인 원인인 경우 심리치료를 시행하여 원인 제거가 가능하므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drug treatment can be given preferentially to the underlying cause, and in the case of a psychological cause, psychotherapy can be performed to remove the cause, so a cure can be expected.

보호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20)의 또 다른 기능으로는 자폐 조기 스크리닝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하여 표3에서와 같이 입력 및 확인창이 구현될 수 있다.
Another function of the application 120 installed in the guardian terminal 100 is to have an autonomic early screening function. For example, an input and a confirmation window may be implemented by the application 120 as shown in Table 3.

질 문Question Yes 아니오no 1. 자녀가 무릎 위에 앉아서 통통 튀어 오르거나 흔들고 노는 것을 즐깁니까?1. Does your child sit on his lap and enjoy bulging, shaking and playing? 2. 자녀가 다른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까?2. Is your child interested in other friends? 3. 자녀가 계단 오르기 같이 올라가는 것을 좋아합니까?3. Does your child like to climb like a stair climb? 4. 자녀가 까꿍 놀이나 숨바꼭질 놀이를 좋아합니까?4. Does your child like to play peek-a-boo or play hide and seek? 5. 자녀가 장난감 컵과 주전자를 사용하여 커피를 타거나 다른 놀이 등을 흉내 낼 수 있습니까?5. Can my child use toys cups and teas to simulate coffee or other play? 6. 자녀가 손가락으로 어떤 것을 요구하거나 가리킨 적이 있습니까?6. Has your child asked or pointed to something with your finger? 7. 자녀가 손가락으로 가리켜서 흥미(관심)를 나타낸 적이 있습니까?7. Has your child pointed out interest with your finger? 8. 자녀가 장난감 (예: 자동차 혹은 블록)을 가지고 입에 넣거나 손장난을 하거나 반복적으로 떨어뜨리는 동작을 하지 않고 제대로 놀 수 있습니까?8. Can my child play with a toy (such as a car or a block) without putting it in his mouth, fingering or repeatedly falling down? 9. 자녀가 어떤 것을 보여주려고 물건을 가져온 적이 있습니까?9. Has your child brought something to show you?

그러므로, 보호자는 표3와 같이 구현된 입력창을 통해 자신의 아이에 대한 행동 상황을 입력하게 되면, 그 입력되는 결과에 의해 현재 아이의 자폐 의심 여부에 대해 평가 데이터를 보호자에게 표출함으로써 조기 스크리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guardian inputs the behavior status of his or her child through the input window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3, the evaluation data is expressed to the guardian about whether or not the current child is suspected of autism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It becomes possible.

이러한 아이의 건강 및 발달 상황에 대한 정보는 보호자 단말기(100)에 저장됨과 아울러 통신망(200)을 통해 피보호자 단말기(300) 또는 관리서버(400)로 선택적으로 전송되어진다.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is stored in the guardian terminal 100 and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protected terminal 3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피보호자 단말기(300)에도 보호자 단말기(100)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데, 다만 아이의 건강 및 발달 상황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하여 열람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에는 보호자 단말기(100)로 입력 및 열람 권한을 요청하여 이의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Protector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the same application as that of parent terminal 300. However,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a child from parent terminal 100, And shall be entitled to request permission to read.

이를 위해서, 피보호자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에는 보호자 단말기(100)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창이 표출되는데, 입력창에는 보호자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아동의 정보 입력, 아동의 정보 열람 요구 기능이 포함된다.To this end, the application of the protected terminal 300 displays an input window for selecting the guardian terminal 100. In the input window, the phone number of the guardian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do.

표4는 이러한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요구를 위한 입력창의 예를 보인 것이다.
Table 4 shows an example of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nd viewing the information.

보호자 전화번호Guardian phone number 아동의 건강 상태 입력 요구Require a child's health status input 아동의 건강 상태 열람 요구Requesting the health status of the child 아동의 발달 상황 입력 요구Requirement to input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아동의 발달 상황 열람 요구Requirement to view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피보호자는 자신의 단말기(300)에 표출된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 또는 열람을 요구할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이러한 선택 정보는 보호자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진다.When the protected person selects an item to be input or browsed through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his terminal 300, the sel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100.

따라서, 보호자 단말기(100)가 피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이러한 요구가 발생되면, 피보호자 단말기(300)는 표5에서와 같은 권한 부여창을 표출하게 되고,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다음 아동의 정보 입력 또는 열람 요구에 대해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rotector terminal 100 generates the request from the protected terminal 300, the protected terminal 300 displays the authorization window as shown in Table 5. The protector confirms the phone number of the protected person, And authorizes the information input or the reading request.

권한부여Authorization 피보호자 전화번호Protected phone number 아동의 건강 상태 입력 요구Require a child's health status input 아동의 건강 상태 열람 요구Requesting the health status of the child 아동의 발달 상황 입력 요구Requirement to input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아동의 발달 상황 열람 요구Requirement to view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표5에서는 보호가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다음 아동의 건강 및 발달 상황에 대한 입력 및 열람 권한을 부여한 예를 보인 것이다.Table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otection receives the phone number of the protected terminal 300 by using the terminal 100 and gives the input and browsing rights to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이렇게, 이러한 아동의 건강 및 발달 상황에 대한 정보가 의료인 또는 어린이집(유치원) 교사 등과 같은 피보호자와 공유됨으로써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 및 조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is shared with the protected person such as a medical person or a nursery school (kindergarten) teac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health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hild efficiently.

아울러, 보호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아동에 대한 정보는 통신망(200)을 통해 관리서버(400)로 전송되어 저장됨으로써 향후 아동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child stored in the guardian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stored therei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information for future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conditions.

물론, 이러한 관리서버(400)로의 정보 제공도 표5에서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100)로부터 아동의 건강 및 발달 상황에 대한 열람 권한을 부여받은 다음 저장이 가능한 것이다.
Of course,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stored after being given the right to view the child's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from the guardian terminal 100 as shown in Table 5. [

100 : 보호자 단말기
200 : 통신망
300 : 피보호자 단말기
400 : 관리서버
100: Protector terminal
200: Network
300: Protected terminal
400: management server

Claims (5)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받아 저장하고, 원격의 관리서버로 이를 전송하며, 저장된 아동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열람 권한을 부여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부여된 입력 및 열람 권한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을 입력 또는 열람하며, 입력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보호자 단말기;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 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
A guardian terminal for inputting and storing the health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a child by an application, transmitting the same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and inputting and viewing the information on stored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A protected person terminal for inputting or viewing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a child through an application by input and browsing rights given from the paren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putted information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or parent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a child transferred from the parent terminal and the protected terminal and providing the terminal with the authority terminal. Input and viewing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 정보는 피보호자 단말기로 통신망을 이용하여 직접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child stored in the parent terminal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rotected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protected terminal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a guardian terminal.
보호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을 입력하는 제1과정;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보호자 단말기에 저장된 아동의 건강 및 발달상황에 대한 입력 또는 열람 요구가 발생하면, 보호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의 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제2과정;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서 피보호자 단말기로 부여된 권한에 따라 열람 정보를 제공하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에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방법.
A first step of inputting a child's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guardian terminal;
A second step of selectively granting authority of the protected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when a request for input or browsing of the health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stored in the guardian terminal is generated by the installed application;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brows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ights granted to the protected terminal in the parent terminal and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parent terminal in the parental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How to enter and view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동 건강 및 발달 상황 정보의 입력 및 열람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guardian terminal or the protected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stored.
KR1020140089136A 2014-07-15 201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KR201600088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136A KR20160008845A (en) 2014-07-15 201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136A KR20160008845A (en) 2014-07-15 201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45A true KR20160008845A (en) 2016-01-25

Family

ID=5530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136A KR20160008845A (en) 2014-07-15 201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84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493A (en) * 2017-03-24 2018-10-18 聡子 水流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program
KR101932379B1 (en) 2018-03-21 2019-03-20 이찬기 Disease risk detection system for infant and child facilities and disease risk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34136A (en)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한샘 Integrated solution serving system teacher terminal for healthcare of ward
KR20200072356A (en) 2018-12-12 2020-06-22 이찬기 Disease risk detection system for infant and child facilities and disease risk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141301A (en) * 2020-05-14 2021-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493A (en) * 2017-03-24 2018-10-18 聡子 水流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program
KR20190034136A (en)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한샘 Integrated solution serving system teacher terminal for healthcare of ward
KR20190034134A (en)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한샘 Integrated solution serving system compensation management module for healthcare of ward
KR20190034135A (en)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한샘 Integrated solution serv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healthcare of ward
KR101938136B1 (en) 2017-09-22 2019-04-11 주식회사 한샘 Integrated solution serving system for healthcare of ward
KR101932379B1 (en) 2018-03-21 2019-03-20 이찬기 Disease risk detection system for infant and child facilities and disease risk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72356A (en) 2018-12-12 2020-06-22 이찬기 Disease risk detection system for infant and child facilities and disease risk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141301A (en) * 2020-05-14 2021-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ris et al. Principles and practice of grief counseling
Bozzola et al. Media devices in pre-school children: the recommendations of the Italian pediatric society
Critz et al. Sensory processing challenges in children
Van Rosmalen et al. Ainsworth's strange situation procedure: The origin of an instrument
KR201600088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reading chil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Hansen et al. A qualitative study: Barriers and support for particip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Evans-Roberts et al. Remembering relationships: preserved emotion-based learning in Alzheimer's disease
Reolid-Martínez et al.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 by Spanish teenagers. A cross-sectional study
Committee on Early Childhood, Adoption and Dependent Care Developmental issues for young children in foster care
Colverd et al.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primary school
Block et al. Disability, sexuality and intimacy
Lynch-Sauer When a family member has Alzheimer's disease: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caregiving
Patel et al. Manual of psychiatric nursing skills
Jang et al. A family-engaged educational program for atopic dermatitis: a seven-year, multicenter experience in Daegu-Gyeongbuk, South Korea
Suiter et al. Issues of care are issues of justice: Reframing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mental illness
Eugenin et al. Screening for autism in Santiago Chile: Community perspectives
Fraser Strangers in their own land: friendship issues when children have cancer
O'Dea The Ayes have it!
Hewitt-Taylor Parents’ views of their children who have complex health needs
Gorrindo et al. Understanding technology use throughout development: What Erik Erikson would say about toddler tweets and Facebook friends
Zeanah et al. Ethical dilemmas in infant mental health: Examples from child protection, home visiting, and medical contexts
Lonergan From Glass Child to Glass Adult: Seeing Inside Instead of Through Them
Farnfield et al. Attachment and assessment: An introduction
Sharp et al. Spiritual teamwork within end of life care
Henig Four Father’s Experiences of Parental Alie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