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400A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400A
KR20160008400A KR1020140088548A KR20140088548A KR20160008400A KR 20160008400 A KR20160008400 A KR 20160008400A KR 1020140088548 A KR1020140088548 A KR 1020140088548A KR 20140088548 A KR20140088548 A KR 20140088548A KR 20160008400 A KR20160008400 A KR 2016000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treaming
streaming server
test
test result
refere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296B1 (ko
Inventor
배태면
나현식
윤홍서
양중근
Original Assignee
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296B1/ko
Priority to EP15822844.5A priority patent/EP3171601A4/en
Priority to JP2017519439A priority patent/JP6467503B2/ja
Priority to CN202110160960.4A priority patent/CN112929234B/zh
Priority to PCT/KR2015/007261 priority patent/WO2016010319A2/ko
Priority to CN201580047076.2A priority patent/CN106797487B/zh
Publication of KR2016000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400A/ko
Priority to US15/406,594 priority patent/US10397288B2/en
Priority to US16/505,144 priority patent/US109043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결과를 기준으로 테스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1대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만으로도 테스트가 가능하고, 기준 결과의 오류로 인해 테스트 결과에 오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METHOD FOR TESTING CLOUD STREAMING SERVER,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연결 오류 발생 여부를 테스트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정보통신 기기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 환경이다. 즉, 개인이 웹에 접속해서 포토샵, 오피스 같은 프로그램을 작업할 수 있고 그 작업에 대한 저장도 웹에서 하게 된다. 결국 가상공간에 한 서버(컴퓨터)만을 놓고 이러한 컴퓨터를 통해 여러 사람이 개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은행의 ATM이나 항공기, 열차의 실시간 좌석 예약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IT기술이 발전하고,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커지고, SNS 시장이 활성화될 수록 유저들의 콘텐츠 등 데이터 양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고 이제는 데이터가 과포화 상태가 되어 각각의 단말기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놓이게 되었다. 이런 상황을 클라우드 시스템은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클라우드 시스템은 초소형 디바이스 환경을 구축하는데 밑바탕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서비스나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서버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그 실행된 결과 화면만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고사양 또는 고기능이 요구되는 서비스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서 특정 서비스 혹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화면 가상화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다양한 서비스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라 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반의 컴퓨팅 환경에 있어서는, 서버에서 주요 서비스나 기능이 실행되기 때문에 서버의 장애 여부를 미리 감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1-0012740호, 2011년 04월 12일 공개 (명칭: 중복 콘텐츠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결과를 기준으로 테스트 결과를 비교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발생한 장애를 감지함에 있어, 한 대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만으로 효과적으로 장애 여부 테스트를 수행하고 기준 결과의 오류로 인한 테스트 오류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 기준 이미지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고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가 캡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일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장애가 없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결과 이미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동일 시점에 캡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기준 이미지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고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가 캡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일 수 있다.
이 때,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장애가 없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결과 이미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동일 시점에 캡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시스템은, 장애 여부 테스트를 위하여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술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데 있어서, 실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적어도 일부 기능이 동일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을 구비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기설정된 테스트 결과를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한 후,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결과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한 결과 이미지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정상 동작할 때 생성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를 보다 손쉽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데이터 전송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장애를 미리 검출함으로써, 안정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를 이용하여 장애 여부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한 대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만으로 테스트 수행이 가능하며, 비교의 기준이 되는 결과의 오류로 인한 테스트 오류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시스템에서의 테스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은, 통신망(110)을 통해서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 101, 102)와 다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이러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와 통신망(110)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클라이언트(100, 101, 102)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을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120)를 더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 및 세 개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을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120)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수 및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 및 설계에 따라서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클라이언트(100, 101, 102)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측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 101, 102)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00, 101, 102)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100, 101, 102)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이러한 클라이언트(100, 101, 102)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에 접속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특정 서비스 또는 기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 또는 기능의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는 통신망(110)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100, 101, 102)들로 특정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는 클라이언트(100, 101, 102)의 OS 종류, CPU 성능, 메모리 용량, 기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사양에 관계없이, 소정의 서비스나 기능, 예를 들어, 고성능의 이미지 처리를 요하는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100, 101, 10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서비스 혹은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100, 101, 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는 화면 가상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는 정상 동작 여부(즉, 장애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테스트 결과 화면)를 테스트 장치(120)의 각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들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1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테스트 장치(1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테스트 장치(120)는 클라이언트(100, 101, 102)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가지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을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이러한 테스트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결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로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데이터 처리하여 화면으로 출력할 때, 출력되는 결과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결과 이미지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비교해서,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더 구체적으로, 테스트 장치(120)는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가 정상 동작할 때 수신한 결과에 대하여 디코딩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으로 출력시킬 때, 소정의 캡처 시점에 출력되는 기준 이미지와 클라이언트 모듈이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결과에 대하여 디코딩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으로 출력시킬 때, 소정의 캡처 시점에 출력되는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에 장애가 있어 정상 동작하지 않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 판단하고, 서로 일치하면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 캡처 시점은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테스트 결과가 전송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테스트 장치(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기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고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가 캡처된 것일 수 있다. 기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를 미리 실행하여 생성한 실행 결과 비디오를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에서 받아 캡처해서 생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에서 실행 결과 비디오를 캡처한 결과를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로 보내줄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 이외의 다른 서버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여 애니메이션 등에 의한 테스트 결과의 오류가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할 수 있는 테스트 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테스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데, 하나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 결과 이미지를 각각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실제 클라이언트(100, 101,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 이미지를 기준으로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테스트 장치(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 각각 테스트 결과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 신호에 따라서 각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는 테스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할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와 적어도 하나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은 일대일 혹은 다대일로 매핑될 수 있다. 이에, 테스트 장치(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 테스트 결과의 전송을 요청할 때, 이를 수신할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둘 이상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매핑될 때, 둘 이상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각각에게 기준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정상 동작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테스트 결과를 순차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의 테스트 결과 전송의 요청 시점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1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테스트 장치(120)는 테스트 제어부(200), 저장부(210), 비교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수를 1개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수는 시스템 운용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테스트 제어부(20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들의 장애 여부를 판단에 필요한 모든 제어를 수행하고, 장애 여부 판단 요구 시 비교부(220)를 통해 이루어진 비교 결과, 즉 테스트 결과에 의하여 출력된 화면을 캡처한 결과 이미지와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의 일치 여부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장애 여부 판단 요구 시점은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로 테스트 결과 수신이 감지되고 수신이 완료된 시점으로 할 수도 있고, 입력부(230)를 통해 장애 여부 판단 요구 입력이 있는 시점으로 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른 시점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장애 여부 판단 요구는 설정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이 때, 테스트 제어부(200)는 비교 결과 비교되는 기준 이미지와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면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장애가 없다고 판단하고, 기준 이미지와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테스트 장치(12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결과에 대한 결과 비디오를 기준 이미지와 동일한 시점에 캡처하기 위해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기 위한 캡처 시점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테스트 결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특정 시점의 기준 이미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1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비교부(220)는 테스트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에서 수신되어 화면으로 출력된 테스트 결과 비디오의 전달을 요구할 수 있고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테스트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비교부(220)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비교부(220)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기준 이미지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 이미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동일 시점에 캡처된 것일 수 있다.
입력부(2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관리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테스트 장치(12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출력부(240)은 상기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로부터 처리되어 출력되는 결과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결과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출력하거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100, 101, 102)를 가상화한 구성으로서, 실제 클라이언트(100, 101, 102)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는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에 접속하여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각각의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테스트 결과에 대하여 클라이언트(100, 101, 102)와 동일한 처리(예를 들어, 디코딩 등)를 수행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부(24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비교부(220)의 결과 이미지 요구에 따라서, 특정 시점에 화면으로 출력되는 결과 이미지를 캡처하여 비교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캡처 시점은 비교부(22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결과 이미지의 캡처는 예를 들어,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비교부(2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제공 받아서 이를 디코딩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한다. 이 때, 테스트 결과는 인코딩된 스트리밍 비디오로 볼 수 있고, 테스트 결과 비디오는 디코딩된 스트리밍 비디오로 볼 수 있다.
특히,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들(130, 140, 150)로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을 전송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들(130, 140, 150)로부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들을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일 수 있다.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을 생성하는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을 사용함으로써 테스트 결과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내부 구성은 도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제어부(300), 통신부(302), 저장부(30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예를 들어,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셋탑박스 중 하나의 단말을 가상화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어떤 종류의 단말 장치이냐에 따라서 그 구성 또한 상이하게 구성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테스트 결과의 수신 및 수신된 테스트 결과의 디코딩, 테스트 결과 비디오 생성 및 화면 출력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비교부(22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특정 시점에 화면으로 출력되는 결과 이미지를 추출하여 비교부(22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통신부(302)를 통해서 특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 테스트 결과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전송 요청 신호의 전 송시, 이를 수신할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스케쥴에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별 테스트 결과 전송 요청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통신망(110)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결과를 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302)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302)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302)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4)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테스트 결과에 대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화면으로 출력된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에 따라 결과 이미지의 캡처 시점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304)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테스트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를 생성한다(S402).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가 정상 동작할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기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의 캡처 시점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정상 동작 결과가 전송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테스트 장치(120)에 미리 저장 되어 있을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는 테스트 결과를 테스트 장치(120)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로 전송한다(S412). 또한, 하나의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다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시간 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테스트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의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여 테스트 결과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일 수 있다.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디코딩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여 이를 비교부(220)로 제공한다(S422). 이 때, 테스트 결과 비디오의 제공은 테스트 제어부(200)로부터의 테스트 요구에 상응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때, 비교부(220)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결과 전달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은 수신한 테스트 결과를 실제 클라이언트(100, 101, 102)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한 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 때, 상기 비교부(220)에서 요구한 시점, 또는 기설정된 특정 시점에 화면으로 출력되는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비교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비교부(22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테스트 제어부(200)는 외부 입력이나 내부의 실행 조건 만족 등에 기반하여 비교부(220)로 기준 이미지와 테스트 결과 이미지의 비교 요청을 한다(S432).
기준 이미지와 테스트 결과 이미지의 비교 요청을 수신한 비교부(220)는 수신한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한 테스트 결과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테스트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434, S436).
그러면, 테스트 제어부(200)는 비교 결과 및 연결 오류 발생 여부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 때 비교결과 수신한 테스트 결과에서 캡처한 결과 이미지와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고, 서로 일치하면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없다고 판단한다(S43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120)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30, 140, 1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를 생성한다(S510).
이 때, 기준 이미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고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가 캡처되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한다(S5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생성하고,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한다(S530).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와 동일 시점에 캡처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에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25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비교부(22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단계(S530)의 비교 결과, 테스트 결과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540).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없다고 판단한다(S550).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해당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한다(S560).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전송 오류 혹은 장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테스트 결과에 오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안정화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도모하여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0, 101, 102: 클라이언트
110: 통신망 120: 테스트 장치
130, 140, 15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00: 테스트 제어부 210: 저장부
220: 비교부 230: 입력부
240: 출력부
250: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
300: 제어부 302: 통신부
304: 저장부

Claims (12)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는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고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가 캡처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장애가 없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동일 시점에 캡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장치.
  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클라이언트 모듈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고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상 동작 결과 비디오가 캡처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배제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장애가 없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과 이미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동일 시점에 캡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장애 여부 테스트를 위하여 기설정된 테스트 스크립트 키 입력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정상 동작에 상응하는 기준 이미지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응하는 테스트 결과 비디오를 캡처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테스트 시스템.
KR1020140088548A 2014-07-14 2014-07-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9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48A KR102199296B1 (ko) 2014-07-14 2014-07-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P15822844.5A EP3171601A4 (en) 2014-07-14 2015-07-13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data compressing method for preventing memory bottlenecking, and device for same
JP2017519439A JP6467503B2 (ja) 2014-07-14 2015-07-13 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メモリボトルネックを防止するためのデータ圧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202110160960.4A CN112929234B (zh) 2014-07-14 2015-07-13 云流服务器
PCT/KR2015/007261 WO2016010319A2 (ko) 2014-07-14 2015-07-13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메모리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201580047076.2A CN106797487B (zh) 2014-07-14 2015-07-13 云流服务器
US15/406,594 US10397288B2 (en) 2014-07-14 2017-01-13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data compressing method for preventing memory bottlenecking, and device for same
US16/505,144 US10904304B2 (en) 2014-07-14 2019-07-08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data compressing method for preventing memory bottlenecking, and device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48A KR102199296B1 (ko) 2014-07-14 2014-07-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00A true KR20160008400A (ko) 2016-01-22
KR102199296B1 KR102199296B1 (ko) 2021-01-06

Family

ID=5530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548A KR102199296B1 (ko) 2014-07-14 2014-07-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29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681A (ko) * 2004-12-18 2006-06-22 주식회사 컴텍코리아 방송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5556A (ko) * 2005-03-31 2006-10-1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비교 장치 및 방법, 화상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823522B1 (ko) * 2007-06-18 2008-04-21 주식회사 셀런 실시간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스토리지와 서버 사이의병목을 줄이기 위한 캐싱 방법
KR20110012740A (ko)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중복 콘텐츠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US20110276946A1 (en) * 2010-05-07 2011-11-10 Salesforce.Com, Inc. Visual user interface validator
KR101111956B1 (ko) * 2011-10-24 2012-02-15 (주)지란지교소프트 컴퓨팅 장치의 모니터링 내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4389A1 (en) * 2010-12-15 2012-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rdware Accelerated Graphics for Network Enabled Applications
KR101403321B1 (ko) * 2013-02-12 2014-06-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84413A (ko) * 2014-01-14 2015-07-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에러 검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681A (ko) * 2004-12-18 2006-06-22 주식회사 컴텍코리아 방송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5556A (ko) * 2005-03-31 2006-10-1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비교 장치 및 방법, 화상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823522B1 (ko) * 2007-06-18 2008-04-21 주식회사 셀런 실시간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스토리지와 서버 사이의병목을 줄이기 위한 캐싱 방법
KR20110012740A (ko)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중복 콘텐츠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US20110276946A1 (en) * 2010-05-07 2011-11-10 Salesforce.Com, Inc. Visual user interface validator
US20120154389A1 (en) * 2010-12-15 2012-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rdware Accelerated Graphics for Network Enabled Applications
KR101111956B1 (ko) * 2011-10-24 2012-02-15 (주)지란지교소프트 컴퓨팅 장치의 모니터링 내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03321B1 (ko) * 2013-02-12 2014-06-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84413A (ko) * 2014-01-14 2015-07-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에러 검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296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246B2 (en) Application error detection method for cloud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10298721B2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a work distribution model for an application deployed on a cloud
US10313207B2 (en) Method for testing cloud streaming server,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9167020B2 (en) Web-browser based desktop and application remoting solution
KR101471366B1 (ko) 단말기에 따른 적응적 화면 가상화 방법 및 시스템
WO20150279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cess for recording media content
KR10223290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최적 gpu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09799B2 (en)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delay prevention system
KR101942270B1 (ko) 재생 지연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210173691A1 (en) Collaborative Hosted Virtual Systems And Methods
KR10144553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99764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준 서버 변경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40332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543295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에러 검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50012746A1 (en) Detecting user presence on secure in-band channels
KR2014010162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230006850A1 (en) Automatic repair of web conference session recording
KR10219929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44553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의 테스트 방법 및 장치
KR10199754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58365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5937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1924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55705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230343360A1 (en) Web conference audio quality ve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