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354A -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354A
KR20160008354A KR1020140088424A KR20140088424A KR20160008354A KR 20160008354 A KR20160008354 A KR 20160008354A KR 1020140088424 A KR1020140088424 A KR 1020140088424A KR 20140088424 A KR20140088424 A KR 20140088424A KR 20160008354 A KR20160008354 A KR 2016000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preference
mobil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티스
Priority to KR102014008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354A/ko
Publication of KR2016000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시청률 집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선택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미러링(mirroring) 신호를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미러링(mirroring) 신호에 따라, 상기 미러링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상기 컨텐츠 선호도와 미러링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 집계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시청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 및 시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Acquiring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을 집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셋탑 박스(STB, Set Top Box)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컨텐츠의 접근 경로를 지원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으로 멀티미디어 기기의 제어 및 예약녹화 등은 물론, 미러링 서비스(mirroring service)를 통해 OtT(Over the Top) 컨텐츠가 다양한 경로로 접근 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기기(예컨대, 셋탑박스)를 통해 위성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이외에도 다양한 OtT 서비스들의 컨텐츠에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접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로의 접근방법이 다양해진 만큼, 다양화된 접근 방법에 따라 기존 시청률 조사 방법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텐츠 선호도(예컨대, 시청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에 있어서, 시청률 집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선택 정보를 획득하여, 컨텐츠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미러링(mirroring) 신호를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미러링(mirroring) 신호에 따라, 미러링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로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상기 컨텐츠 선호도와 미러링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 집계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시청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 및 시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의 화면 내에 컨텐츠의 데이터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선호도 분석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선호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표시부의 화면 내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화면 내에서 재생되는 재생 시간을 계산하여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컨텐츠 정보와,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 받은 시청률 정보 및 컨텐츠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및 재생 시점을 입력 인자(parameter)로 하여 선호도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활동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정보 수집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및 사용자의 사용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컨텐츠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미러링 신호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로 시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선호도 및 미러링 신호에 의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을 집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 미러링(mirroring)된 디지털 컨텐츠 선택 정보 및 컨텐츠 선호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컨텐츠 선호도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 선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청률 집계 방법은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선택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
취합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컨텐츠 선호도를 서버로 전송하고, 분석된 컨텐츠 선호도를 기반으로 컨텐츠별 시청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화면을 통해 현재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기록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결과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수집하고, 컨텐츠 데이터 수집 시 현재 시간 정보를 함께 획득하여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이전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와 현재 시점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중복된 컨텐츠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중복된 컨텐츠가 존재할 시 상기 중복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간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컨텐츠 별 재생 시간 값과 현재로부터 재생 시점과의 시간 차이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계산한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및 재생 시점을 입력 인자(parameter)로 하여 선호도를 계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의 선호도(예컨대, 시청률)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4)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의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텐츠 선호도(예컨대, 시청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으로 셋탑박스의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통해 접근된 컨텐츠까지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다양화된 컨텐츠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선호도(시청률)를 파악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방법이 스마트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키와 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인 제1 사용자 기기 (110), 제2 사용자 기기(103) 및 제3 사용자 기기(106), 멀티미디어 기기(120), TV(130) 및 서버(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시청률 집계 시스템(100)이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1 사용자 기기(100), 제2 사용자 기기(103) 및 제3 사용자 기기(106), 서버(140), 멀티미디어기기(120), 및 TV(130)는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 사용자 기기(100), 제2 사용자 기기(103) 및 제3 사용자 기기(106)는 각각 별개의 사용자 기기들이며, 각각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기기(100, 103, 106)는 사용자 개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하는 기기에 해당된다. 하지만, 사용자 기기(110, 103, 106)는 휴대용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기기(110, 103, 106)는 휴대폰, 미디어 플래너, 휴대용 컨텐츠 재생기기(MP3 플레이어, PMP 등), PDA, 모바일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기기에 관련하여 제1 사용자 기기(110)를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지칭하여, 제1 사용자 기기(1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시청률 정보 등의 수신을 위한 요청 및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서버(140) 또는 멀티미디어기기(1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서버(140) 및 멀티미디어기기(12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40) 또는 멀티미디어기기(120)로부터 시청률 정보 등을 수신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시청률 정보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수신한 시청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멀티미디어기기(120)는 서버(140) 등과 통신하는 외에, 기본 기능인 영상 신호의 수신, 변환 기능을 구비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STB, SetTopBox) 등이 포함된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멀티미디어기기를 셋탑박스(120)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셋탑박스(120)는 디지털 컨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 등급 정보, 시청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시청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및 서버(140)로 전송된다.
아울러, 셋탑박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을 획득한다. 획득한 시청률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및 서버(140)로 전송된다.
셋탑박스(120)는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TV(130)로 전송한다. 또한, 셋탑박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또는 서버(140)로부터 기기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셋탑박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를 서버(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셋탑박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획득한 미러링 신호에 의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선호도(예컨대, 시청률)을 집계하고, 집계된 시청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V(130)는 수신된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TV(130)는 제공된 공용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서버(140)는 TV(130)에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컨텐츠를 셋탑박스(120)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또는 셋탑박스(120)로부터 기기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를 셋탑박스(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140)는 시청정보를 셋탑박스(120) 또는 TV(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20)에서 시청률 정보 및 컨텐츠 선택 정보를 취합하여, 컨텐츠 선호도(시청률)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20)에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및 재생 시점을 입력 인자(parameter)로 하여 선호도를 산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을 이용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10)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의 선호도(예컨대, 시청률)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110)와의 통신을 이용한 미러링 서비스(예를 들어, 셋탑박스(120)의 제어 및 예약녹화)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한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의 다양한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선호도(시청률)를 파악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접근의 다양한 경로를 파악하여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부(111), 입력 인터페이스부(112), 표시부(113), 제어부(114) 및 저장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 영상 및 동적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멀티미디어 기기(120)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청 정보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한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선택한 컨텐츠 정보까지 고려하여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로의 다양한 접근 경로를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 별 선호도를 획득한다.
통신부(111)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컨텐츠 서버 등)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지원한다. 통신부(111)는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화 등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과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통신부(111)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각 기능들의 설정을 위한 입력신호,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 등을 제어부(114)로 전달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키(예컨대, 숫자키, 문자키), 기능키, 소프트키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표시부(113)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기반의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시 표시부(113)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112)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는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 하드웨어(hardware)적인 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는 사용자가 표시부(113)의 화면 내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를 브라우징 할 때, 이에 대한 제어(예컨대, 스위핑(swiping) 또는 스크롤링(scrolling) 등) 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13)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스크린(home screen), 다양한 리스트 뷰 화면, 컨텐츠들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13)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지정되는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표시부(1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13)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1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외장 하드디스크,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5)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를 이용한 입력 및 표시부(113)에 의한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선호도 분석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15)는 사용자 활동정보 수집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프로그램, 사용자 활동정보 기반 선호도 분석 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15)는 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텐츠 정보(예컨대,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재생(표시) 시간 정보)를 기록하는 활동정보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17)와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선호도를 기록하는 선호도 DB(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활동정보 수집 프로그램은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활동정보 DB(17) 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정보 DB(17)에 기록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활동정보기반 선호도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며, 그 결과로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산출되어 선호도 DB(19)에 구축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선호도 분석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 중 표시부(113)의 화면 내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를 일정 주기에 따라 기록(또는 샘플링)하고,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화면 내 재생 시간을 계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는 표시부(113)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 중에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112)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113)의 화면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표현(예컨대, 브라우징) 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13)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와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체크 및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활동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4)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114)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상기의 기능 외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입력 인터페이스부(112)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14)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및 재생 시점을 입력 인자(parameter)로 하여 선호도를 산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4)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4)는 사용자의 활동정보 수집을 위한 활동정보 수집부(14),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16),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 분석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16)는 입력 인터페이스부(112)에서 전달된 사용자 스크롤 업/다운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컨텐츠데이터)를 표시부(113)의 화면에 표현한다. 그리고 스크롤 업/다운, 팝업 등의 화면 전환 애니메이션이 완료되면, 현재 화면 내에 표현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활동정보 수집부(14)에 현재 시간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
그러면, 활동정보 수집부(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16)로부터 컨텐츠 데이터가 전달되면, 컨텐츠 데이터가 전달되는 시점에 새로운 이벤트 자료 구조 및 고유 식별자(ID)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정보 수집부(14)는 현 시점에 수집된 컨텐츠 데이터와 시각을 상기 이벤트 자료 구조에 재구성 하여 저장부(115)의 활동정보 DB(17)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정보 수집부(14)는 최근에 생성된 이벤트 자료 구조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이전 컨텐츠 데이터)와 현 시점에 수집된 컨텐츠 데이터(현재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활동정보 수집부(14)는 이전 컨텐츠 데이터와 현재 컨텐츠 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중복된 컨텐츠가 존재한다면, 상기 이벤트 자료 구조 내에서 상기 중복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필드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모바일 웹 페이지를 활용하는 경우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웹 페이지를 활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16)는 웹 페이지의 브라우저가 현재 화면에 표시한 컨텐츠를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획득하여 활동정보 수집부(14)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각각의 시점에서 화면 내 표시된 각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대한 기록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록이 수행되면, 선호도 분석부(18)는 동기 혹은 비동기적으로 활동정보 DB(17)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자 선호도 분석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재생 시간 값과 현재로부터 재생 시점과의 시간 차이 값을 가중치 요소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각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 분석부(18)는 이동 평균(Moving Average), 신경망(Neural Network), 및 그 외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분석부(18)는 셋탑박스(120)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선택 정보, 시청률 정보 및 미러링 서비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 정보 등을 사용자의 디지털 선호도를 계산하는데 이용함으로써, 컨텐츠로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기기(120)는 통신부(121), 영상처리부(122), 출력부(123) 및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기기(120)는 서버(140)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기기(120)는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적절히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120)는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정보, 미러링 서비스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 정보 등을 모바일 디바이스(110) 및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로써, 시청률 정보와 미러링 서비스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 정보까지 시청률 집계 자료로서 이용 가능하다.
멀티미디어기기(120)는, 셋탑 박스,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이동 단말, PDA, PDP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인터넷 기능, 즉 양방향 통신 기능 및 영상처리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120)가 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140)에 멀티미디어기기(120)의 사용자 정보와, 시청 정보를 전송한다.
영상 처리부(122)는 서버(14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2)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 처리는, 디코딩(decoding), 스케일링(scaling), 이미지 인핸스먼트(image enhancement) 및 영상의 밝기, 콘트라스트 등의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부(123)는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추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추천정보는, PIP(picture in picture), 윈도우, 텍스트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방식에 대응하여, 출력부(123)는 디스플레이부(도시 안됨) 및 음성 출력부(도시 안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출력부(123)의 디스플레이부는 영상 처리부(122)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4)는 서비스 제공 서버(140)에 멀티미디어기기(120)의 사용자 정보와, 시청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14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시청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24)는 통신부(121), 영상 처리부(122) 및 출력부(123)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는 멀티미디어기기(120)의 사용자가 서버(140)에 사용자 등록을 하는 때, 사용자 정보 또는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정보가 서버(14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는 방송 시청 중에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방송이 방영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시청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4)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컨텐츠 선호도 정보를 획득하고, 미러링 서비스에 의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멀티미디어 기기(120)의 제어부(124) 컨텐츠 선호도 정보 및 미러링 서비스에 의한 컨텐츠 선택 정보 모두를 고려하여 컨텐츠의 시청률을 집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40)는 데이터 송수신부(141), 프로세서(143) 및 저장부(145)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의해 분석된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멀티미디어 기기(120)로부터 시청률을 포함하는 시청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 및 시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서버(140)의 데이터 송수신부(14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선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서(143)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사용자 기기 별 미디어 컨텐츠의 선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5)는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43)는 데이터 송수신부(14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컨텐츠 선택 정보로서 저장부(145)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로의 다양한 접근 경로를 파악하여 시청률을 집계하기 위해, 먼저 S610 단계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120)에서 컨텐츠 선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컨텐츠 선택 정보에는 미러링 서비스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정보도 포함된다.
S620 단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멀티미디어 기기(1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선택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취합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S630 단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선호도 분석부(18)에서, 취합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선호도를 계산함으로써, 컨텐츠의 선호도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S640 단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획득한 컨텐츠 선호도를 멀티 미디어기기(120)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S650 단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서버(140)로 컨텐츠 선호도를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S660 단계에서는 멀티미디어기기(120)에서 수신된 컨텐츠 선호도 및 미러링 서비스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 별 시청률을 집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S670 단계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120)에서 서버(140)로 집계된 시청률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S680 단계에서는 서버(140)에서 수신된 컨텐츠 선호도 및 시청률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부(114)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S601).
다음으로, 제어부(114)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603).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를 이용하여 콘텐츠 내 콘텐츠 데이터의 스크롤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14)는 상기 스크롤 제어에 따른 입력신호를 입력 인터페이스부(112)로부터 스크롤 제어에 따른 입력신호를 전달받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4)는 멀티미디어 기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텐츠 정보도 감지 한다. 멀티미디어 기기(120)에서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에는 미러링 서비스에 의한 컨텐츠 선택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4)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화면 전환 발생을 인지하고(S605), 표시부(113)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화면 내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607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크롤 제어에 따라 업 또는 다운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표시부(113)의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스크롤 제어에 따른 화면 전환 발생을 인지하고, 상기 스크롤 제어가 멈추는 시점 즉, 화면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표시부(113)의 현재 화면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4)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획득 시 현재 시간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되는 콘텐츠 데이터 및 그에 대한 시간 정보는 상기 제어부(500)의 활동정보 수집부(14)에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4)는 획득된 콘텐츠 데이터 및 그에 대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자료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S609).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에 새로운 이벤트 자료 구조 및 고유 식별자(ID)를 생성하고, 현 시점에 수집된 콘텐츠 데이터와 시각을 상기 이벤트 자료 구조에 재구성하여 상기 활동정보 DB(17)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이벤트 자료 구조에서 이전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와 현재 시점에 획득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이전 콘텐츠 데이터와 현재 콘텐츠 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중복된 콘텐츠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만약 중복된 콘텐츠가 존재하면, 이벤트 자료 구조 내에서 상기 중복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 시간 필드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자료 구조 생성은 활동정보 수집부(17)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4)는 이벤트 자료 구조의 생성을 완료하면 즉,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수행하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에 대한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611). 이러한 분석 작업은 제어부(114)의 선호도 분석부(18)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4)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결과를 선호도 DB(430)에 기록할 수 있다(S613).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콘텐츠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선호도 DB(19)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4)는 사용자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615).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앞서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 전환을 위한 스크롤 제어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고, 만약 사용자 입력이 발생될 시 전술한 과정을 재수행하여 전환된 화면 내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집계 시스템의 예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830_1,840_n)는 도 1 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110,103,106)에 대응되고, 서버(830)는 도 1의 서버(14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830_1,840_n)는 TV 또는 셋탑 박스(820)로부터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뿐 아니라,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TV 또는 셋탑 박스(1602)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830)는 모바일 디바이스(810)로부터 수집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관리하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840_1, 840_n)와 수집한 선택 정보를 공유하거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840_1, 840_n))로부터 수집된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810)와 공유할 수 있다.
전술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텐츠 선호도(예컨대, 시청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으로 셋탑박스의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접근한 컨텐츠까지 파악한다. 이로써, 보다 다양화된 컨텐츠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을 집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시청률 집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선택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미러링(mirroring) 신호를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미러링(mirroring) 신호에 따라, 상기 미러링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상기 컨텐츠 선호도와 미러링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 집계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시청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디지털 컨텐츠 선호도 및 시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시청률 집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내에 컨텐츠의 데이터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선호도 분석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선호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내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화면 내에서 재생되는 재생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컨텐츠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 받은 시청률 정보 및 컨텐츠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시청률 집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및 재생 시점을 입력 인자(parameter)로 하여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
    인 시청률 집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활동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정보 수집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미러링 신호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로 시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선호도 및 미러링 신호에 의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고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을 집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
    인 시청률 집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 미러링(mirroring)된 디지털 컨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선호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컨텐츠 선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
    인 시청률 집계 시스템.
  7.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청률 집계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선택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
    상기 취합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컨텐츠 선호도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된 컨텐츠 선호도를 기반으로 컨텐츠별 시청률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청률 집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화면을 통해 현재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시청률 집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 수집 시 현재 시간 정보를 함께 획득하여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집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이전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와 현재 시점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중복된 컨텐츠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된 컨텐츠가 존재할 시 상기 중복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간을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청률 집계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컨텐츠 별 재생 시간 값과 현재로부터 재생 시점과의 시간 차이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계산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집계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및 재생 시점을 입력 인자(parameter)로 하여 선호도를 계산하는 것
    인 시청률 집계 방법.








KR1020140088424A 2014-07-14 2014-07-14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8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424A KR20160008354A (ko) 2014-07-14 2014-07-14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424A KR20160008354A (ko) 2014-07-14 2014-07-14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354A true KR20160008354A (ko) 2016-01-22

Family

ID=5530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424A KR20160008354A (ko) 2014-07-14 2014-07-14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2133A1 (en) * 2020-03-31 2021-10-07 Ballis Kosmas George System and method for curating internet multimedia content for television broadca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2133A1 (en) * 2020-03-31 2021-10-07 Ballis Kosmas George System and method for curating internet multimedia content for television broadca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3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
EP28131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114098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74193B2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200801483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KR20100066932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60823A (ja) 同時間帯の放送番組情報をカイドするデジタル放送受信用端末機及びその方法
US10097895B2 (en) Content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WO2014194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CN102692245A (zh) 显示装置、能量显示方法以及计算机程序
CN104580019A (zh) 网络服务提供方法及装置
US201101638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ntrol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7147957A (zh) 视频播放方法和装置
EP3076678A1 (en) Display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47544A (ja) 携帯端末装置
KR20110009587A (ko) 이기종 단말 간의 동영상 컨텐츠 이어보기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34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US20160127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JP2006135957A (ja) 携帯端末
CN104038825A (zh) 虚拟频道管理方法和网络多媒体重现系统
KR20160008354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EP324993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WI571119B (zh) 顯示控制方法及系統、廣告破口判斷裝置、影音處理裝置
US1145187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ookmarked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110582011A (zh) 产生相关联于广告的客制化视频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