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148A -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148A
KR20160008148A KR1020150190514A KR20150190514A KR20160008148A KR 20160008148 A KR20160008148 A KR 20160008148A KR 1020150190514 A KR1020150190514 A KR 1020150190514A KR 20150190514 A KR20150190514 A KR 20150190514A KR 20160008148 A KR20160008148 A KR 2016000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seller
payment mean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김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영 filed Critical 김세영
Priority to KR102015019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148A/ko
Publication of KR2016000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환경에서 지불 수단과 지불 비용이 설정되고, 이후, 판매자와 구매자가 오프라인 환경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할 때, 사전에 지정된 지불 수단과 지불 비용에 따라 결제가 처리되도록 한다. 또한, 선불 및 후불형 교통카드, 신용카드를 비롯 다양한 지불 수단이 오프라인 환경에서서 충분한 보안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결제 환경에서 이러한 보안성 향상을 제공하면서도 보안성 향상을 위한 별도의 전용 결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오프라인 결제 대비 차별되며, 판매자나 구매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로 충분한 보안성을 누릴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Off line Payment system}
본 발명은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제를 위해 판매자의 전용 단말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프라인 환경에서 판매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접속하여 결제를 처리하되, 구매자와 온라인 서버 사이에 사전에 약정된 결제 수단과 비용범위 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제 보안성이 향상되는 조건부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결제는 MS(Magnetic Stripe) 카드, IC(Intergrated Circuit) 카드, 또는 USIM 칩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지불 수단으로 하고, 이들 지불 수단으로 오프라인에서 비용 결제를 하고자 할 때는 결제 수단을 POS(point of sale) 단말기, 신용카드 리더기 또는 IC 카드 리더기에 접촉하여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결제는 퍼스널 컴퓨터(PC)나 휴대단말기가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와 공인인증서를 서버에 제공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며,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번호를 피드백 받아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오프라인 결제는 현장에서 즉각적인 결제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온라인 결제는 현장에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든 비용 결제가 온라인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신용카드의 경우, 휴대단말기의 온라인 간편 결제 대비 결제 비용의 한도가 높으나, 구매자가 신용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리더기가 구비된 환경에서만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고정된 매점이나 점포에서는 신용카드 리더기가 구비되어 있을 때는 이용하기 편리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548호는 무선 통신모듈을 휴대단말기에 착탈시켜 휴대단말기를 카드 리더기처럼 이용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휴대폰을 이용한 신용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으나,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54호는 휴대단말기에 착탈식 카드결제기를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실제로는 별도의 카드 결제기를 휴대단말기에 연결한 것과 다를 바 없고, 휴대단말기와 카드결제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3257호는 택시 단말기에서 카드정보를 인식한 후, 고객의 스마트폰을 통해 결제를 유도함으로써, 택시 단말기의 가격을 낮추고 비용 결제에 수반되는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3257은 오프라인 결제를 위해 별도의 택시 단말기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는 제2011-0035548호와 다를 바 없으며, 오프라인 결제를 위해 별도의 결제 단말기를 요구하는 점에서 동일한 불편함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별도의 결제 단말기 없이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온라인 접근 환경에서 사전에 정의된 결제 수단에 의해 결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고객의 온라인 주문 후, 오프라인 결제가 필요한 대리운전자가 현금 이외의 지불 방식, 예컨대, 신용카드, 선불제 교통카드, 후불제 교통카드를 통해 별도의 결제 단말기 없이도 고객의 대리운전 비용을 처리하되, 고객이 사전에 등록한 결제 수단과 비용 범위 내에서 현장 결제를 진행토록 함으로써, 고객과 대리운전자 사이에 상호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사전 확정 조건부의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선불형 또는 후불형 교통카드를 다양한 서비스 비용(또는 상품 비용) 지불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결제 단말기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 및 구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구매자의 선불카드 또는 후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불 수단으로서 사전에 등록하고,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자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불 수단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것일 경우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의 결제 요청을 승인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 및 대리기사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지불 수단을 등록하는 지불 수단 등록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콜(Call)이 발생 시, 상기 대리기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고객과 대리기사를 매칭하는 서비스 매칭부, 상기 대리기사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이 요청되면, 결제 승인에 포함되는 상기 지불 수단과 상기 지불 수단 등록부에 등록된 지불 수단이 동일하고, 상기 결제 금액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사전에 지정한 비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을 허여하는 연동 결제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 및 구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PG 서버에 구축되며, 상기 구매자의 선불카드 또는 후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불 수단으로서 사전에 등록하고,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자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불 수단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것일 경우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의 결제 요청을 승인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주문 시, 사전에 비용을 미리 결제하지 않고도, 오프라인 환경에서 판매자와 구매자, 또는 고객과 대리운전자 사이에 보안성을 갖는 결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신용카드 이외에도, 선불형 또는 후불형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결제 단말기를 요구하지 않는 결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지불 수단별 결제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의 처리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출원인이 사업화를 위해 준비한 앱의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비롯, 터치스크린, 프로세서, 메모리 및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서비스"는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유형의 재화를 유통하는 것을 함께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리운전 서비스나 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해당하고, 상품을 제공하는 것은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유형 및 무형의 서비스는 통칭하여 "서비스"라 기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은 상품 거래, 서비스 제공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지불 수단별 결제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판매자 휴대단말기(10)가 자체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구매자의 카드(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구매자의 카드(50)를 통해 카드정보 또는 카드정보의 일부를 식별정보로서 획득하여 PG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의 카드(50)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사전 등록된 지불 수단으로 이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구매자의 카드(50)는,
1) 특정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이 허여되고,
2) 이용 금액의 범위가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과 사전에 협의된다.
이에 따라, 판매자 휴대단말기(10)에서 사전에 협의된 지불 수단과 지불 금액과 다르게 다량의 금액을 결제하거나 인출할 수 없다.
카드(50)는 신용카드, 체크 카드 및 교통 카드일 수 있으며, 교통 카드는 선불 카드 또는 후불 카드일 수 있다.
카드(50)가 후불 카드나 신용카드인 경우, 판매자 휴대단말기(10)가 카드(5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PG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 카드사 정보,
- 카드 번호 전부 또는 카드 번호의 일부(예컨대 카드번호의 앞자리 4개나 뒷자리 4개),
- CVC 전부 또는 CVC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구매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식별정보를 등록해두며, 이후,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제공한 카드가 판매자 단말기(10)와 현장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때, 판매자 단말기(10)는 구매자게 제공한 카드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판매자 단말기(10)는 획득한 식별정보를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판매자 단말기(10)에서 요청된 결제 승인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승인 여부의 판단 조건은,
- 판매자 단말기(10)에 결제 승인이 요청되었을 때, 구매자의 지불 수단이 사전에 구매자가 지정한 것인지의 여부,
- 판매자 단말기(10)에서 결제 승인이 요청되었을 때, 구매자의 지불 금액이 사전에 구매자가 지정한 비용 또는 변동비용 범위에 대응하는지의 여부.
만일, 구매자가 판매자와의 거래 대상에 대해 설정한 지불 수단이 맞지 않는 경우,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결제 승인을 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리운전 서비스에 대해 구매자가 제1신용카드를 지정하였고, 판매자가 대리운전자이며, 구매자가 제2신용카드를 판매자에게 제공하였다면, 판매자 휴대단말기(10)는 제2신용카드의 카드정보와 결제 비용을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통보하면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대리운전 서비스에 대해 구매자 설정된 지불 수단이 제1신용카드이고, 판매자 휴대단말기(10)가 승인 요청한 식별 정보가 제2신용카드로 상이하므로 판매자 휴대단말기(10)로 승인 요청에 대해 거절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판매자가 퀵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매자가 퀵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도 퀵 서비스에 대해 사용이 설정된 지불 수단과 판매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지불 수단의 식별 정보가 차별되면,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판매자 단말기(10)의 승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구매자가 전화로 판매자 휴대단말기(또는 판매자의 유선 전화기나 인터넷)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문하고,
판매자는 배달원이나, 배송 업체에 상품의 배송을 의뢰하는 경우, 이는 판매자가 배달원이나 배송 업체에 업무를 위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구매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불 수단과 지불 금액(또는 지불 금액 범위)를 설정해 둘 수 있다. 이는 구매자와 판매자가 사전에 지불 수단과 지불 금액을 약정해 두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판매자에게 업무를 위임받은 배달원이나 배송 업체에 그대로 승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달원이나 배송 업체가 구매자와 오프라인 환경에서 비용을 결제할 때, 배달원(또는 배송 업체)은 구매자가 사전에 지정해둔 지불 수단을 받아 자신의 휴대단말기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에 지불 비용 정보를 부가하여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송부하며,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가 사전에 지정한 지불 수단이 맞고 지불 비용이 구매자가 지정한 비용(또는 변동비용 범위)에 해당할 때, 비용 결제를 승인하게 된다.
이처럼,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지불 수단이 서비스 또는 서비스 군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지불 수단이 승인 요청된 식별 정보와 매칭될 때만 결제를 승인함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거래 형태가 오프라인 결제임에도 상당한 보안성을 가지는 비용 결제 방식이 될 수 있다.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가 특정 서비스(예컨대 대리운전 서비스)의 이용에 대해 사전에 비용(또는 변동비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비용 범위 내에서의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대리운전 서비스나 퀵 서비스의 경우, 구매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면서 어느 정도의 비용 범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서울 강남에서 안산까지 대리운전을 요청한다면, 구매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대리운전 서비스 업체에 연락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을 이용하여 대리운전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대리기사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의 위치와 도착지에 따라 대리운전 기사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업체를 통해 예상 서비스 비용을 통보받을 수 있다.
만일, 구매자가 통보받은 금액이 35,000 일 경우, 구매자는 통보된 35,000원 또는 이 금액에서 +20% ~ -20% 범위 내에서 비용 결제를 진행함이 합리적이다.
이때, 최초 비용인 35,000원을 중심으로 +20% ~ -20% 범위를 본 발명에서는 "변동비용 범위"라고 정의한다.
변동비용 범위가 35,000원을 기준으로 +20% ~ -20%를 초과한다면, 대리운전자가 판매자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실수로 두 번 결제 처리하였거나, 과도한 비용을 청구하는 것에 해당하며,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대리운전자의 승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변동비용 범위가 +20% ~ -20%를 초과하더라도,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이 승인을 허여할 수 있는데, 이는 구매자가 최초 제시한 조건과 다른 조건 또는 추가 조건을 제시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컨대, 구매자는 최초 A 지점에서 B 지점(목적지)으로 이동하기 위해 A 카드를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지불 수단으로 등록하고, 대리운전자와의 협의를 통해 35,000으로 협의 후,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등록하였다.
그런데, 구매자와 대리운전자가 오프라인 공간에서 만났을 때, 구매자가 동석한 1인(人)의 귀가를 위해 중간 경유지를 추가하였으며, 중간 경유지를 거친 후, 목적지로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0% 이상 증가하였다. 이 경우에, 대리운전자는 추가적인 비용을 요구하는게 맞으며, 구매자와 비용을 재 협의할 수 있다. 만일, 대리운전자가 30% 추가되는 시간에 대해 30%의 추가 비용을 요청하고, 구매자가 이에 동의하는 경우, 대리운전자의 판매자 단말기(10)에서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비용 변경(20% ~ -20%를 초과하는 범위)을 요청하고,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비용 변경 사항을 구매자의 휴대단말기로 전달하여 확인을 요청하며, 구매자의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사항을 확인 및 승인하면, 변동비용 범위가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사전 등록된 범위를 넘는 경우에도 비용 결제가 승인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지불 수단과 변동비용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비용 결제를 처리하며, 판매자의 실수나 고의에 의한 바가지 요금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지불 수단이 사전에 지정되고,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는 판매자 단말기가 한정되고, 또한, 비용 지불자가 한정되므로 보안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구매자가 기 설정해둔 지불 수단과 판매자 휴대단말기(10)에서 승인 요청된 지불 수단이 동일하고, 서비스 비용이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에서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통보된 변동비용 범위에 해당하면,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바람직하게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앱 제공부(110), 결제수단 등록부(120), 연동 결제부(130), 서비스 매칭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대리운전 서비스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앱 제공부(110)는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별 앱을 판매자 휴대단말기(10) 및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휴대단말기(10)와 구매자 휴대단말기에 대리운전 서비스와 관련된 앱(이하, 대리운전 앱이라 한다)이 요구된다면, 판매자 휴대단말기(10)와 구매자 휴대단말기에 대리운전 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는 대리운전 앱은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을 통해 콜(Call)을 받는 용도로 이용되고, 구매자 휴대단말기에서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을 통해 대리운전자를 검색하거나, 대리운전 비용정보를 수신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판매자 휴대단말기(10)와 구매자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은 판매자 휴대단말기(10)와 구매자 휴대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서 대리운전자와 구매자를 매칭하는데 이용되며, 대리운전자와 구매자가 매칭된 이후에는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대리운전 비용을 통보하고, 대리운전자가 휴대하는 판매자 휴대단말기(10)로는 구매자의 위치정보, 결제 금액, 및 연락처 정보 등을 통보할 수 있다.
지불 수단 등록부(120)는 구매자가 구매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별로 지불 수단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지불 수단 등록부(120)는 신용 카드, 현금, 교통 카드를 지불 수단으로서 등록할 수 있으며, 교통 카드는 선불 카드 또는 후불 카드일 수 있다. 이때, 지불 수단 등록부(120)는 구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지정된 지불 수단과 서비스(또는 서비스 군)를 매칭시킬 수 있다.
지불 수단과 서비스(또는 서비스 군)가 매칭되면, 이후, 구매자는 지불 수단을 이용하여 판매자 휴대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NFC 통신)을 수행할 때,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사전 등록된 지불 수단을 통해서만 결제가 가능해지며, 판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자가 올바른 지불 수단을 제시하지 않는 한,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비용 승인을 받을 수 없다.
서비스 매칭부(140)는 구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이 발생 시, 구매자 휴대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와 구매자의 목적지 정보를 토대로 가용한 대리운전자를 조회 및 가용한 대리운전자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추천하고, 구매자 휴대단말기에서, 가용한 대리운전자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확정하면, 서비스 매칭부(140)는 조회된 대리운전자 정보, 비용정보 및 구매자의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조회된 대리운전자가 한 명일 경우, 서비스 매칭부(140)는 한 명의 대리운전자와 한 명의 구매자를 1:1 매칭할 수 있다. 그러나, 조회된 대리운전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대리운전자 리스트를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제공하고, 구매자는 구매자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대리운전 앱을 통해 복수의 대리운전자 중 한 명을 지정하여 서비스 매칭부(140)로 통보할 수 있다.
연동 결제부(130)는 대리운전자의 판매자 단말기(10)가 구매자의 지불 수단, (예를 들어, 신용 카드나 교통 카드)과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하여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에 결제 금액 정보를 첨부하여 송부하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구매자의 지불 수단과 변동비용 범위에 부합하는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구매자가 사전에 지정한 지불 수단과 변동비용 범위에 부합하는 경우, 연동 결제부(130)는 구매자 단말기(10)로부터의 승인 요청을 허여하고, 반대의 경우, 승인을 거절할 수 있다. 승인을 허여하는 경우, 연동 결제부(130)는 대리운전자가 판매자 단말기(10)를 통해 사전에 등록한 계좌로 결제 금액을 입금 처리하여 대리운전자와 구매자 사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연동 결제부(130)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승인 요청된 결제 금액에 대해 변동비용 범위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구매자가 출발지 - 목적지의 통상적인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매칭부(140)에서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통보된 비용과 승인 요청된 결제 금액이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사전 요청 없이, 또는 차량 출발 전이나, 차량이 막 이동하는 시점에, 구매자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경유지 방문을 요청하는 경우, 출발지 - 목적지에 따라 결정된 금액이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구매자가 지인과 함께 차량에 탑승하고, 구매자와 지인의 목적지가 다른 경우, 구매자는 지인을 중간에 내려주고 목적지로 향하고자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경유지 통과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고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정 범위 내에서 비용 상승이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연동 결제부(130)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비용 변경을 통보받아, 변경된 비용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판매자 단말기(10)에서 임의로 과도한 서비스 비용을 청구하지 않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으므로, 연동 결제부(130)는 "변동비용 범위"라는 개념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10)에서 변경할 수 있는 "변동 비용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경유지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변동비용 범위는 결제 금액 대비 +10% ~ -10% 범위일 수 있고,
경유지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서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변동비용 범위는 그 레인지가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유지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이동 거리나 이동 시간이 50% 정도 증가한다면, 변동비용 범위는 최초 구매자가 통보받은 결제 금액 대비 +50%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동 결제부(130)는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변동비용 범위에 따라 변동된 결제 금액을 사전에 통보하며, 구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변동된 결제 금액에 동의한다는 응답이 있는 경우에 이를 판매자 휴대단말기(10)로 통보하고, 이후, 판매자 휴대단말기(10)가 결제 승인을 요청 시, 승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에게 결제 보안성을 제공함은 물론, 판매자도 손실을 보지 않도록 배려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의 처리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대한 설명은 대리운전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구매자는 구매자 휴대단말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지불 수단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가 요청한 지불 수단과 서비스(또는 서비스 군)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매자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며,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서비스를 배정할 수 있다.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이 대리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경우,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구매자 휴대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와 대리운전자의 판매자 휴대단말기(10)의 GPS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대리운전자 리스트를 추출하여 구매자와 대리운전자를 매칭하고, 이를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제공하며, 구매자로부터 대리운전자가 선택되면, 서비스가 배정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단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서비스가 배정되면,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대리운전 서비스에 따른 결제 비용을 사전에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통지할 수 있다.
구매자가 출발지 - 목적지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구매자는 대리운전 서비스에 대해 사전에 설정해둔 지불 수단으로 비용 결제를 진행하며, 이때,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전에 통지받은 결제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경유지가 발생하는 경우, 추가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추가금이 발생하는 경우, 판매자 단말기(10)는 이를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통보하고, 이에 더하여, 판매자 단말기(10)에서 1000원 단위로 수정된 금액을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통지할 수 있다.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판매자 단말기(10)에서 수정하여 통지한 결제 금액을 구매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구매자 휴대단말기가 해당 결제 금액에 동의하면, 최종적으로 판매자 휴대단말기(10)의 변경된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허여할 수 있다.
다만, 판매자 휴대단말기(10)가 통보한 목적지나 경유지 위치정보가 실제와 크게 차별되는 경우, 과도한 결제 금액을 청구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는 결제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승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반대로 결제 조건을 충족하였다면,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은 거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판매자가 사전에 지정해둔 계좌로 결제 금액을 송부할 수 있다. 송부되는 결제 금액은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서 일정 부분 수수료를 제하고 지불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출원인이 사업화를 위해 준비한 앱의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4는 구매자 휴대단말기에서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에 차량을 등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구매자 휴대단말기를 통해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할 자신의 차량을 등록해둘 수 있다. 5인승 이하의 차량인지, 변속기가 수동방식인지, 자동 방식인지를 등록할 수 있는데, 이는 변속기가 수동인 경우, 대리운전이 곤란한 대리운전자가 구매자와 매칭되지 않도록 배려하는데 따른다.
다음으로 도 5는 대리운전 앱의 메인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최상단에 "귀가만족"이라는 타이틀이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 설정을 위한 메뉴가 마련되어, 구매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출발지를 따로 설정하지 않는다면, 구매자가 사전에 설정해둔 위치(예컨대, 집이나 회사)로 설정될 수 있다.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는 메뉴의 하단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며, 대리운전기사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아이콘(11)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자는 호출 아이콘에 표시된 거리정보(도 5에서는 23.1 km가 예시됨)를 참조하여 대략적인 대리운전 비용을 가늠한 상태에서 대리운전기사를 호출할 수 있다.
호출 아이콘(11)의 우측에는 결제방식 선택 아이콘(12)가 표시될 수 있으며, 구매자가 결제방식 선택 아이콘(12)을 터치한 후, 위로, 또는 아래로 드래그 함으로써, 현금이나 신용카드 중 하나를 결제 방식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메인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하단에는 거래온도지수와 고객의 평점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여기서, 거래온도지수는 현재시간의 대리운전 서비스 거래량(또는 거래 증감률)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구매자 휴대단말기에서 지불 수단을 선택하는 메뉴를 도시한다. 지불 수단은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 사전에 등록해둘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대리운전 서비스를 신청하면서 지불 수단을 지정할 수도 있다. 요체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 구매자는 자신의 지불 수단을 사전에 지정할 수 있다는데 있다. 도 6에서, 지불 수단은 신용카드, 간편결제 및 교통카드와 같은 지불 수단이 사용자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7은 구매자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로귀가, 예약귀가, 혼자귀가 및 경유귀가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마련되고, 이에 더하여,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100)에서 구매자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른 예상 결제 금액(운행요금 15,000원)을 통지하고 앱이 이를 구매자 휴대단말기에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구매자는 자신이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어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는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200)은 PG 처리부(260), 앱 제공부(210), 지불 수단 등록부(220), 연동 결제부(230), 서비스 매칭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앱 처리부(210), 지불 수단 등록부(220), 연동 결제부(230), 서비스 매칭부(240)는 각각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앱 처리부(110), 지불 수단 등록부(120), 연동 결제부(130), 서비스 매칭부(140)와 그 기능이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PG 서버가 중심이 되어 오프라인 연동결제를 처리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것과 차별된다. PG 서버(200)는 오프라인 결제 수단(예컨대, POS(point of sale) 단말기, 신용카드 리더기 또는 IC 카드 리더기)에서 비용 결제가 요청되면, 금융기관(신용카드사, 은행) 별로 분류하여 각 금융기관 서버(300)로 비용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전달된 비용 결제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오프라인 결제 수단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PG 서버(200)의 PG 처리부(260)는 오프라인 결제 수단에서 비용 결제가 요청될 때, 비용 결제가 요청되는 대상, 즉 어느 금융기관인지를 판단하여 분류하여 해당 금융기관 서버(예컨대 300)로 송부하고, 각 금융기관별로 비용 결제 처리 내역을 기록하는 기본 기능 이외에, 판매자 휴대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에 대한 비용 승인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PG 처리부(260)에서 처리되며, PG 처리부(260)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판매자 휴대단말기(10)에서 비용 결제가 요청될 때, 통신사 서버를 통해 판매자의 신분을 인증하고, 판매자 단말기(10)를 하나의 오프라인 신용카드 리더기와 같은 결제 수단으로 인식한다. 이때, 판매자 단말기(10)는 사전에 PG 처리부(260)에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판매자 단말기(10)에서 비용 결제가 요청되면,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고객의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정보와 비용 정보를 획득한다.
5) 획득된 비용 정보와 식별정보를 구매자의 지불 수단에 해당하는 금융사 서버(예컨대 300)로 송부하고,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10 : 판매자 휴대단말기 100 :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110 : 앱 제공부 120 : 지불 수단 등록부
130 : 연동 결제부 140 : 서비스 매칭부
1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판매자 단말기 및 구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구매자의 선불카드 또는 후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불 수단으로서 사전에 등록하고,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자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불 수단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것일 경우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의 결제 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을 승인 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해둔 계좌로 서비스 비용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후불 카드에 대한 식별정보일 경우, PG(Payment Gateway) 서버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수단은,
    교통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지불 수단의 카드사 정보, 카드번호 일부, CVC(Card Validation Code) 번호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6. 구매자 단말기 및 대리기사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지불 수단을 등록하는 지불 수단 등록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콜(Call)이 발생 시, 상기 대리기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고객과 대리기사를 매칭하는 서비스 매칭부;
    상기 대리기사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이 요청되면, 결제 승인에 포함되는 상기 지불 수단과 상기 지불 수단 등록부에 등록된 지불 수단이 동일하고, 상기 결제 금액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사전에 지정한 변동비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을 허여하는 연동 결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결제부는,
    상기 결제 승인을 마친 결제 금액을 상기 대리운전자 단말기에서 지정한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수단은,
    선불 카드 및 교통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9. 판매자 단말기 및 구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PG 서버에 구축되며,
    상기 구매자의 선불카드 또는 후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불 수단으로서 사전에 등록하고,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자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불 수단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것일 경우 상기 판매자 휴대단말기의 결제 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KR1020150190514A 2015-12-30 2015-12-30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KR20160008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14A KR20160008148A (ko) 2015-12-30 2015-12-30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14A KR20160008148A (ko) 2015-12-30 2015-12-30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148A true KR20160008148A (ko) 2016-01-21

Family

ID=5530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514A KR20160008148A (ko) 2015-12-30 2015-12-30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1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69A (ko) 2017-01-24 2018-08-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총기격발 제어시스템
CN109308613A (zh) * 2018-09-11 2019-02-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支付请求处理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69A (ko) 2017-01-24 2018-08-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총기격발 제어시스템
CN109308613A (zh) * 2018-09-11 2019-02-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支付请求处理方法及装置
CN109308613B (zh) * 2018-09-11 2021-10-2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支付请求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915B1 (ko) 국내전용카드와 연계된 해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US10825016B2 (en) Electronic bearer bond online transaction and card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174116B2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US11599863B1 (en) Selection of a financial account associated with a proxy object
US20140052607A1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US10546287B2 (en) Closed system processing connection
US201100294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ayment transactions
US20160086179A1 (en) Shared Electronic Wallet With Permissions
US20040006536A1 (en) Electronic money system
US200900552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authorizing Venue-Based Credit Accounts
US20140279537A1 (en)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utilizing a mobile device
AU200932062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purchaser to direct payment approval, settlement, and membership subscrip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2015370144B2 (en) Flexible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process
US20100243730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 currency card
KR101327292B1 (ko) 다양한 결제수단을 이용한 ars 인증 기반의 상품/서비스 대금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210056436A (ko) 고객 개시 지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5260A (ko) 개인 선불결제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887669B1 (ko) 공동분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37750A (ko) 휴대전화기에 탑재되는 스마트카드 칩을 매체로 하는쿠폰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6155430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並びに、ネットワーク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募金システム、商品販売システム、広告物、自動販売機、電子ロッカーシステム、電子キーシステム、テレビ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料金精算システム、電子マネー授受システム
KR20130014043A (ko) 계좌번호가 연동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주문 결제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8148A (ko) 오프라인 연동결제 시스템
KR101864408B1 (ko) 입금자 구별 맵핑 시스템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2680206A2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KR101473593B1 (ko) 전자적지불결제수단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