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291A -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291A
KR20160007291A KR1020140087784A KR20140087784A KR20160007291A KR 20160007291 A KR20160007291 A KR 20160007291A KR 1020140087784 A KR1020140087784 A KR 1020140087784A KR 20140087784 A KR20140087784 A KR 20140087784A KR 20160007291 A KR20160007291 A KR 2016000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racket
housing
wat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707B1 (ko
Inventor
윤장섭
Original Assignee
윤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섭 filed Critical 윤장섭
Priority to KR102014008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7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관라인; 상기 상수관라인에 구비된 유량계 및 수질측정기를 포함하는 자동측정기; 및 상기 자동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을 수신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측정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상수관 또는 하수관의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벽면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홀부가 형성되는 회전연결부를 구비하는 고정브래킷; 상기 회전홀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승강홀부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승강브래킷; 상기 승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승강브래킷에 내부 공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니언과 기어연결되며, 고정대 및 지지패널에 의해 지주에 설치되는 랙부;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브래킷 및 상기 승강브래킷이 상기 랙부를 따라 승강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승강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승강브래킷을 구속하여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하는 승강구속부;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여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승강브래킷 사이의 각도 조절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승강브래킷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INTELLIGENT EMBEDED REMOTE DETECTION CONTROL SYSTEM FOR WATER MANAGEMENT}
본 발명은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측정기를 개별 주택에 적용하여 상수관 라인의 수량 및 수질을 모니터링하여 개별 가정의 수도 사용량 측정은 물론 수질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심이 증대되는 먹는물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상수도 관리의 체계화를 달성하고, 점차 강화되는 소비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중앙관제처에서의 통합 관제 및 수질사고에 대한 예방을 가능케 하며, 설치작업,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하수관라인의 실시간 수질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특허등록 제10-1025337호(등록일자 2011년03월21일) [동적-물질수지분석모델 모듈기반의 연속유입식 하수처리장 실시간 방류수질 예측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등록특허는 신속한 연속유입식 공정의 모사를 위해 기본적으로 물질수지식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DO, 온도 등 동적환경(Dynamic condition)을 모델모사할 수 있어 ASM 모델과 같은 정밀한 모사결과를 얻을 수 있고, 혐기, 무산소 및 호기조건을 임의로 변경하여 모델모사가 가능하며 COD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모델모사를 가능케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0599173호(등록일자 2006년07월04일) [웹기반의 수질오염 총량 분석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상기한 등록특허는 단위 수처리 시스템에서 측정된 BOD, COD, TN/TP의 실시간 계측값과 계측값에 대한 추이값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웹상에서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한 원격지 어디서나 계측값 열람, 경향 감시, 리포트 출력, 경보 발생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한 원격지 어디서나 관리자가 해당 단위 수처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구체 구성은 단위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처리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을 계측하여 계측값의 레벨에 따라 이를 특정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계측값을 RS 232C 또는 RS 422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비오디 측정부와; 처리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계측하여 계측값의 레벨에 따라 이를 특정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계측값을 RS 232C 또는 RS 422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씨오디 측정부와, 처리수의 총질소(TN)와 총인(TP)을 계측하여 계측값의 레벨에 따라 이를 특정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계측값을 RS 232C 또는 RS 422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총질소/총인 측정부와, 비오디 측정부, 씨오디 측정부, 총질소/총인 측정부와 연결되는 시리얼 포트, 내부 시스템 점검시 사용하는 관리자가 접속하기 위한 콘솔 포트,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더넷 포트, 및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포트로 이루어지는 입력부와, 관리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키패드와, 관리자에 게 시스템 상황을 알리도록 표시하는 LCD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임베디드 리룩스 환경하에 동작되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계측값의 분석하여 선별 처리하여 중계하고,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 모듈, 중앙 처리 모듈로부터 경보 발생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해당 계측값이 전송되면 음향 또는 단문 메시지 또는 전자우편으로 관리자에 보고하는 경보 설정 모듈, 중앙 처리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오디 측정부, 씨오디 측정부 및 총질소/총인 측정부의 가동시간, 계측값이 입력되면, 이를 이용하여 시간별 평균값을 매시간 마다 보고서 일보로 저장하고, 일보를 취합하여 주보, 월보, 년보로 저장하여 가동 이력과 계측값의 주요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보고서 처리 모듈, 중앙 처리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계측값의 실시간 추이 현황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추이 감시 처리 모듈, 및 각 구성부에서 처리되는 해당 데이터를 웹으로 전송하는 웹 처리 모듈을 구비하는 중앙처리부와, 중앙처리부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확장이 가능한 플래쉬 디스크를 사용하고, 내부에 임베디드 리룩스에 적합한 DB 엔진이 탑재되는 저장부와, 단문 서비스(SMS) 또는 전자 우편(E-Mail)의 지원을 위한 시리얼 포트,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이더넷 포트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통합 관리 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고유 아이피를 할당받고, 통합 관리 서버에 가상 아이피를 제공하는 아이피 공유기와, 통합 관리 서버에서 웹상으로 계측값을 전송하도록 아이피 공유기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를 인터넷망과 연결시켜주는 모뎀을 포함한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964219호(등록일자 2010년06월09일)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한 등록특허는 종래 강이나 하천, 공장 방류수 등으로 부터 측정에 필요한 측정수를 측정수라인을 통해 수거하여 순환형 저장수조에 저장한 후, 수조에서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을 측정하고 저장된 측정수를 샘플링하여 수질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에 측정수를 공급하는 장치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측정수 저장수조 및 측정수라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수에 의해 순환형 저장수조가 샘플링 측정수 성분에 의한 부유 물질이 쌓이게 되어 측정에 필요한 실시간 공급되는 샘플링 측정수를 보관하는 순환형 저장수조에 오염으로 인한 신뢰성 있는 수질측정을 할 수 없고, 또한 측정장치의 순환형 저장수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번거로움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측정수가 유입되는 제1,제2측정수라인과 유입된 측정수가 저장되는 측정수 저장수조를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깨끗한 세정수로 세정하고, 또한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별도의 세정수수조를 구비하여 동일한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0901779호(등록일자 2009년06월02일) [인터넷 기반의 수질 계측용 감시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등록특허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관리자가 현장에서 직접 데이터의 확인 및 제어할 수 있고, 웹 카메라 및 출입 감시부를 통해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 및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기반의 수질 계측용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 구성은 수질오염 총량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처리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인 씨오디(COD), 총질소(TN)/총인(TP), 수소이온농도(PH)/부유물 농도(SS) 및 유량이 계측된 계측값을 전송받아 각각의 계측값을 DB로 관리하고, 웹상으로 계측값을 직접 전송하는 수질분석장치와, 인터넷을 통해 수질분석장치에 로그인한 후 수질분석장치로부터 계측값을 전송받는 관리자 PC와, 수질분석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계측값을 DB로 통합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특허등록 제10-1025337호(등록일자 2011년03월21일) [동적-물질수지분석모델 모듈기반의 연속유입식 하수처리장 실시간 방류수질 예측시스템]과, 특허등록 제10-0599173호(등록일자 2006년07월04일) [웹기반의 수질오염 총량 분석시스템]과, 특허등록 제10-0964219호(등록일자 2010년06월09일)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와, 특허등록 제10-0901779호(등록일자 2009년06월02일) [인터넷 기반의 수질 계측용 감시 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수질 자동측정 기술들은, 설치비용이 과대하여 실제 주택별로 적용하기에는 제약이 크며, 특히 주택별 현장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관제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수질 자동측정 기술들은, 자동측정기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자동측정기의 설치작업 및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측정기를 개별 주택에 적용하여 상수관 라인의 수량 및 수질을 모니터링하여 개별 가정의 수도 사용량 측정은 물론 수질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심이 증대되는 먹는물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상수도 관리의 체계화를 달성하고, 점차 강화되는 소비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중앙관제처에서의 통합 관제 및 수질사고에 대한 예방을 가능케 하며, 설치작업,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수관라인; 상기 상수관라인에 구비된 유량계 및 수질측정기를 포함하는 자동측정기; 및 상기 자동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을 수신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측정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상수관 또는 하수관의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벽면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홀부가 형성되는 회전연결부를 구비하는 고정브래킷; 상기 회전홀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승강홀부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승강브래킷; 상기 승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승강브래킷에 내부 공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니언과 기어연결되며, 고정대 및 지지패널에 의해 지주에 설치되는 랙부;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브래킷 및 상기 승강브래킷이 상기 랙부를 따라 승강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승강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승강브래킷을 구속하여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하는 승강구속부;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여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승강브래킷 사이의 각도 조절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승강브래킷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속부는, 상기 승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니언이 고정되며, 단부에 제1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홈부의 입구에 제1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슬라이딩홈부로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제1걸림턱부에 걸리는 제1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브래킷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굴곡부가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제1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제1출몰축; 및 상기 제1걸림턱부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의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구속부는, 상기 연결홀부와 상기 회전홀부에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단부에 제2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홈부의 입구에 제2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슬라이딩홈부로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제2걸림턱부에 걸리는 제2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브래킷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걸림블록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제2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브래킷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각도유지돌기 사이에 상기 걸림블록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제2출몰축; 및 상기 제2걸림턱부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량계 및 수질측정기를 포함하는 자동측정기를 구비한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상기 수질측정기는 pH, EC, ORP, 온도, COD, TN, TP, 염소농도, 암모니아성 질소(NH4-N) 농도 및 질산성 질소(NO3-N) 농도의 일부 또는 모두를 측정할 수 있는 있으며, 나아가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을 설치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과 같은 개별주택에 자동측정기를 적용할 수 [0040] 있도록 하는 수처리공정 제어 기술을 제공하여 지능형 BT-NT-IT 융합 플랫폼 기반 주택별 수질 관리 체계 구축의 현실성을 부여하며 수처리 특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질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수집하여 가정의 수질 오염상황을 실시간 예측대응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예산으로 측정소의 수를 10배 이상 확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손잡이부를 조작하여 자동측정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2손잡이부를 조작하여 자동측정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해체작업 및 체결작업이 생략되어 자동측정기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자동측정기 설치작업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에서 자동측정기 중 수질측정기를 중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을 설치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관련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을 설치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관련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고정블래킷 및 승강브래킷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회전구속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승강구속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하우징 서비스도어를 위한 개폐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하우징 서비스도어를 위한 개폐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에서 자동측정기 중 수질측정기를 중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을 설치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관련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을 설치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관련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고정블래킷 및 승강브래킷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회전구속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승강구속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하우징 서비스도어를 위한 개폐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의 자동측정기의 하우징 서비스도어를 위한 개폐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은, 상수관라인(미도시됨)에 설치되며, 이 주택별 상수관라인 중 상하수관 관리에 적합한 다수의 개소에 구비된 유량계 및 수질측정기를 포함하는 자동측정기(100)를 필수구성요소로 하고,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자동측정기(100)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을 수신하는 중앙관제서버(300)를 포함하고,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200)을 통하여 자동측정기(100)들과 중앙관제서버(300)가 교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측정기(100)는 특히 기존 가정용 전자식 유량계나 자동유량검침기와 통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장소 역시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되기에 적합한 곳이 바람직하고, 사용량 검침 방식을 인력을 동원한 방문 검침이 아니라 PDA 단말기 등을 이용한 원격 검침이나 중앙관제센터에서의 통합 검침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중앙관제서버(300)와 교신하는 복수의 관리자가 원격지 또는 중간 관리지에서 PC를 통하여 정보를 열람하고, 통제를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기존 핸드폰을 통하여 역시 상하수관 수질 및 유량의 열람, 관리, 경보를 통한 비상 대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자동측정기(100)는 주택 내 또는 주택 외에 구비된 디스플레이(D)에 측정된 수질값을 표시하여 주부 등의 가구 내 구성원이 실시간으로 가정에 공급되는 먹는물의 수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갈수록 증대되는 먹는물 안전도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뢰도록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본 발명의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는 도시 주변 산책로나 공원 등에 구비된 약수터에도 설치하여 국민의 먹는물 만족도를 높여 삶의 질 개선에 일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라는 표현에서 '주택'은 대표적,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보다 포괄적으로는 약수터, 지하수 등의 모든 먹는 물과 관련된 수질 모니터링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질측정기(100)는 pH, EC(전도도), ORP(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온도, COD, TN, TP, 염소농도(수질개선 또는 악취 저감을 위하여 투하(살포)된 약품의 농도 측정 등의 용도) 및 질소농도(암모니아성 질소(NH4-N) 농도 및 질산성 질소(NO3-N) 농도) 측정을 위한 센서(S1,S2,S3,S4,S5,S6,S7,S8)의 일부 또는 모두로 구성된 센서부(S) 구비하여(그 외 추가적인 수질 측정 센서 도입 가능) 다양한 수질인자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NH4-N) 농도 및 질산성 질소(NO3-N) 농도 측정을 위한 질소 농도 센서(S8)는 하수관망의 수질측정에 적합하나, 필요에 따라 상수관망용 자동측정기에도 도입하여 상하수관 공용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개별 주택 상수관라인, 특히 유량계 또는 검침기 설치 장소에 설치되는 자동측정기(M)는 다양한 제어를 위한 개별 컨트롤러(M1)(이를 통하여 개개의 상수관라인 설치 개소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약품 투입수단 등을 도입하는 경우, 수질 상태에 따라 긴급하게 투입수단을 가능하기 위한 용도와 같이 능동 대처 용도로까지 시스템 구축 가능)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관제서버(300)나 기타 관리자의 PC 또는 휴대폰(스마트폰 포함)과의 교신을 위한 외부전송장치(M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위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및 이 기술에 기반한 자동측정기는 통상의 공지기술을 응용한다.
21세기 들어 분석장치의 초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한 움직임들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초소형 분석장치는 복잡한 임상진단실험을 단순, 소형화하여, 분석시간의 현저한 단축을 실현하여 궁극적으로는 벌키(bulky)한 실험실 분석기법을 완전 대체할 수 있다.
MEMS 기술로 구현된 구조물은 작고 가벼운 구조로 인해 놓은 주파수 특성을 가져 이에 따른 제어와 조작성이 개선되며, 다수성을 가져 부품생산성이 높아지고, 원가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능이 부여된, 다시 말해 모터, 센서, 논리회로 등이 하나의 기판위에 융합된 closed loop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MEMS 기술은 1960년대 초 실리콘 가공기술에서 시작되었다. 최초의 연구는 실리콘 기판상에서 미세 기계요소 즉, 벨브, 모터 펌프, 기어 등의 부품을 2차원 평면으로 제작한 것을 시초로 하여, 마이크로 센서의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리콘 기판위에 압력센서, 가속도 센서등과 신호처리용 집적회로, 그리고 센서에 의해서 제어가 가능한 마이크로 엑추에이터를 집적화하여 인텔리전트 시스템을 구현하려는 의도로부터 출발하였다.
이후, 1970년대에는 이방성 에칭을 이용한 여러 가지 device가 연구되었고, 이를 이용한 3차원 구조를 가진 광학 디바이스, 잉크젯, 홀로그래피 등이 연구되었다. 이처럼 반도체 기판자체를 에칭하여 3차원 구조를 제작하는 것을 마이크로 머시닝이라 하고 bulk-machining이라고 부른다.
1980년대 이후 surface micro-machining기술로 기판을 손대지 않고, 기판위에 증착된 희생박막을 에칭해서 박막으로된 3차원 구조물을 만들게 되었다. 현재 LIGA기술 (X-ray lithography(x-ray LIthographie)공정, 도금(Galvanoformung)공정, 주형(Abformtechnik) 공정을 사용하는 전체 공정을 지칭하며, 각 공정의 독일어 약어를 조합하여 "LIGA" 라는 용어를 사용) 등 여러 가지 응용기술이 개발되어 센서, 논리회로 및 엑추에이터가 집적화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시된 반도체 공정, 특히 집적회로 기술을 응용한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하여 ㎛ 단위의 초소형 센서나 액추에이터 및 전기 기계적 구조물을 제작 실험하는데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에 의하여 제작된 미세 기계는 ㎜이하의 크기 및 ㎛이하의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의 장점은 초정밀 미세 가공을 통하여 소형화, 고성능화, 다기능화, 집적화가 가능하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MEMS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만드는 제조기술은 실리콘기판 자체를 습식 식각기술등을 이용하여 pin, hole등의 미세 구조물을 만드는 기판 미세가공기술 (bulk micromachining), 실리콘 기판 상에 박막층을 증착한 다음 선택적인 식각기술로 구조물을 만드는 표면 미세 가공기술(surface micromaching) 및 초단파장의 X-ray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LIGA기술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요구되는 센서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제조 공정을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를 위하여,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을 설치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본 발명을 위한 하우징 및 이의 상수관라인 장착수단을 설명한다.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측에 장착부(111)가 구비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배열되는 내장체(120)와, 하우징(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131)과, 프레임(131)과 연결되고, 비(非)돌출형 패널부재(133)를 포함하는 서비스도어(130)와, 하우징(110)과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에 형성된 잠금수단(140)과, 잠금수단(140)과 설치장소(TW)에 서비스도어(130)의 개방 시, 서비스도어(1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장체(120), 서비스도어(130), 잠금수단(140) 및 고정수단(150)이 장착되고, 설치장소(TW)에 고정된다.
하우징(110)은 장방형 형태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면부는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제외한 각 면은 패널부재에 의하여 막혀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장착부(111)가 구비되어 내장체(120)가 장착되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부(113)가 형성되어 완충수단(160)의 대응삽입부(165)가 형성된다.
내장체(120)는 자동측정기를 위한 칩 및 전원부, 컨트롤러 및 외부전송장치 등을 위한 PCB 등을 의미한다.
서비스도어(130)는 하우징(110)의 양측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우징(110)에 내장된 내장체(120)의 교체나, 수리 유지관리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비스도어(130)는 하우징(110)과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131)과, 프레임(131)에 장착되는 메쉬 형태의 패널부재(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프레임(110)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상이 'ㄴ' 형태로 구성된다.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 후방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 외측면은 복수의 경첩(H)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힌지 결합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비스도어의 개폐를 위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패널부재(133)는 프레임(131)의 내측면에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맞대어지고, 상기 패널부재(133)와 프레임(131)의 맞대어진 부분에 보강스트립(135)를 덧댄 후, 프레임(131), 패널부재(133) 및 보강스트립(135)를 결합핀(137)이나 리벳팅을 하여 프레임(131)에 패널부재(133)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과, 하우징(110)에 형성된 테두리부(113)에는 완충수단(160)이 더 구비되는데, 완충수단(160)은 서비스도어(130)를 닫는 경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과 하우징(110)의 테두리(113)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나 손상, 소음 등의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완충수단(160)은 프레임(131)에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탄성부재(161)와, 탄성부재(161)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이들 모두의 둘레면에 형성된 삽입부(163)와, 상기 하우징(110)의 테두리부(113)에 형성되고, 삽입부(163)에 상응하는 대응삽입부(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탄성부재(161)는 고무, 엘라스토머 또는 이와 유사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삽입부(163)는 탄성부재(161)의 내외측 둘레면에 삽입홈(163a)으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163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수용돌출부(163b)가 배열되고, 대응삽입부(165)는 테두리부(113)에 'ㄴ' 형태로 절곡된 삽입돌기(165a)와, 삽입돌기(165a)의 후면부와 테두리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홈(165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서비스도어(130)를 닫는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수용돌출부(163b)가 상기 삽입돌기(165a)를 타고 넘게 되면, 삽입홈(163a)에는 삽입돌기(165a)가 안치됨과 동시에, 수용돌출부(163b)는 수용홈(165b)에 안치됨으로써 완충수단은 충격 흡수 뿐만 아니라, 서비스도어가 닫히는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잠금수단(140)은 하우징(110)과 서비스도어(130)를 잠그거나, 또는 잠금을 해제하여 서비스도어(13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잠금수단(140)은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 전방부에 연결되고, 선회 가능한 지지체(141)와, 지지체(141)에 힌지 결합된 제1 걸쇠(143)와,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제1 걸쇠(143)에 대응하는 제2 걸쇠(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잠금수단(140)은 서비스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 지지체(141)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제1 걸쇠(143)와 제2 걸쇠(145)를 상호 맞물리게 하여 지지체(14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걸쇠(143)가 제2 걸쇠(145)를 당기게 되고, 이때 지지체(141)가 완전히 접혀지면서 서비스도어(130)가 잠기게 된다.
반대로 서비스도어(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완전히 접혀진 지지체(141)를 다시 반대쪽으로 접히게 되면 제1 걸쇠(143)와 제2 걸쇠(145)가 분리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 된다.
따라서 서비스도어(130)는 잠금수단(140)에 의하여 원터치로 쉽고 간편하게 열리면서도, 또한 잠금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탄성부재(161)와 테두리부(113)의 밀착성을 배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고정수단(150)은 자동측정기의 유지 및 관리 등을 위한 작업을 위하여 서비스도어(130)가 개방된 경우 서비스도어(130)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수단(150)은 설치장소의 벽면(TW)에 연결되고, 잠금수단(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유동방지부재(151)와, 유동방지부재(151)의 단부에 연결된 걸고리(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걸고리(153)는 잠금수단(140)에서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에 구비된 제1 걸쇠(143)의 후크 부분에 걸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첨부된 도면에는 걸고리(153)가 제1 걸쇠(143)에 걸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잠금수단의 지지체나, 또는 제1 걸쇠에 일정한 탄성을 갖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또는 유동방지부재가 일정한 탄성을 갖는 부재를 도입하여 서비스도어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서비스도어가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과, 유격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수단(150)은 서비스도어(1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자동측정기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걸고리(153)를 제1 걸쇠(143)에 걸어 상기 서비스도어(1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보수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10)과 상기 설치장소의 벽면(TW)에는 하우징(110)을 설치장소(TW)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170)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70)는 하우징(110)의 위치를 설치장소(TW)의 형상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PM)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결합부재(170)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홀부(414a)가 형성되는 회전연결부(414)를 구비하는 고정브래킷(410)과, 회전홀부(414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434)가 형성되고, 승강홀부(432)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승강브래킷(430)과, 승강홀부(4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436)과, 승강브래킷(430)에 내부 공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피니언(436)과 기어연결되며, 고정대(438a) 및 지지패널(438b)에 의해 지주에 설치되는 랙부(438)와, 피니언(436)을 회전시켜 고정브래킷(410) 및 승강브래킷(430)이 랙부(438)를 따라 승강되게 하고, 하우징의 승강작업이 종료되면 승강브래킷(430)을 구속하여 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하는 승강구속부(450)와, 고정브래킷(410)의 회전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여 하우징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410)과 승강브래킷(430) 사이의 각도 조절작업이 종료되면 고정브래킷(410)과 승강브래킷(430)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회전구속부(470)를 포함한다.
지주를 관통하도록 한 쌍의 고정대(438a)가 설치되고, 고정대(438a)의 일단에는 랙부(438)가 연결되고, 고정대(438a)의 타단에는 지부에 밀착되는 지지패널(438b)이 설치된다.
한 쌍의 고정대(438a)를 설치할 때에는 승강브래킷(430)의 내부 공간에 랙부(438)를 삽입한 후에 랙부(438)를 고정하여 한 쌍의 고정대(438a) 사이의 간격에서 승강브래킷(430)이 슬라이딩되면서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승강브래킷(430)에 연결된 고정브래킷(410)에 하우징을 설치할 수 있고, 회전구속부(470)를 조작하여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승강구속부(450)를 이루는 제1손잡이부(457)를 조작하여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제1손잡이부(457)를 놓으면 하우징의 높이가 더 이상 조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전구속부(470)를 이루는 제2손잡이부(477)를 조작하여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 제2손잡이부(477)를 놓으면 하우징의 각도가 더 이상 조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별도의 체결부재의 해체작업 또는 조립작업을 행하지 않고 하우징의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승강구속부(450)는, 승강홀부(4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피니언(436)이 고정되며, 단부에 제1슬라이딩홈부(452a)가 형성되고, 제1슬라이딩홈부(452a)의 입구에 제1걸림턱부(452b)가 형성되는 제1회전축(452)과, 제1슬라이딩홈부(452a)로 삽입되는 단부에 제1걸림턱부(452b)에 걸리는 제1스토퍼(454a)가 형성되고, 승강브래킷(430)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굴곡부(454b)가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제1손잡이부(457)가 형성되고, 제1걸림턱부(452b)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기어치(457a)가 형성되는 제1출몰축(454)과, 제1걸림턱부(452b)와 제1스토퍼(454a) 사이의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458)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제1손잡이부(457)를 승강브래킷(430)의 측 방향으로 당기면 제1탄성부재(458)가 압축되면서 출몰축이 승강브래킷(430)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때, 굴곡부(454b)가 승강홀부(432)의 주면에 형성되는 구속홈부(459)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피니언(436)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고, 작업자가 제1손잡이부(457)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피니언(436)을 랙부(438)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면 승강브래킷(430)이 랙부(438)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어 작업자가 제1손잡이부(457)를 놓으면 제1탄성부재(458)의 복원력에 의해 제1출몰축(454)이 제1슬라이딩홈부(452a) 내측으로 삽입되고, 굴곡부(454b)가 다수 개의 구속홈부(459) 중 어느 하나의 구속홈부(459)에 삽입되면서 제1출몰축(454)의 회전이 구속된다.
구속홈부(459)는 승강홀부(432)의 테두리로부터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배치되고, 승강홀부(432)로부터 승강브래킷(430)의 외벽에 오목하게 홈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출몰축(45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굴곡부(454b)가 다수 개의 구속홈부(459) 중 어느 하나의 구속홈부(459)에 삽입되면서 제1출몰축(454)의 회전운동이 구속된다.
제1출몰축(454)은 제1회전축(452)의 제1슬라이딩홈부(452a)에 삽입되어 연결되는데, 제1출몰축(454)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기어치(457a)가 제1걸림턱부(452b)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스플라인 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므로 제1출몰축(454)의 회전이 구속되면 제1회전축(452)의 회전도 구속된다.
따라서 제1회전축(452)에 고정되는 피니언(436)의 회전이 구속되어 피니언(436)이 랙부(438)의 일부분에 기어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승강브래킷(430), 고정브래킷(410) 및 하우징의 높이가 결정된다.
회전구속부(470)는, 연결홀부(434)와 회전홀부(414a)에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단부에 제2슬라이딩홈부(472a)가 형성되고, 제2슬라이딩홈부(472a)의 입구에 제2걸림턱부(472b)가 형성되는 제2회전축(472)과, 제2슬라이딩홈부(472a)로 삽입되는 단부에 제2걸림턱부(472b)에 걸리는 제2스토퍼(474a)가 형성되고, 승강브래킷(430)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걸림블록(474b)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제2손잡이부(477)가 형성되고, 승강브래킷(43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각도유지돌기(477a) 사이에 걸림블록(474b)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제2출몰축(474)과, 제2걸림턱부(472b)와 제2스토퍼(474a)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478)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할 때에는 제2손잡이부(477)를 승강브래킷(430) 외측으로 당기면 제2탄성부재(478)가 압축되면서 제2출몰축(47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걸림블록(474b)이 각도유지돌기(477a)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되므로 제2회전축(47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하우징을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브래킷(410)이 제2회전축(47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의 각도를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제2손잡이부(477)를 놓으면 제2탄성부재(478)의 복원력에 의해 제2출몰축(474)이 제2슬라이딩홈부(472a)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때, 제2출몰축(47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걸림블록(474b)이 다수 개의 각도유지돌기(477a) 중 어느 2개의 사이 간격으로 삽입되면서 제2출몰축(474)의 회전이 구속된다.
제2출몰축(474)의 둘레면에는 제2걸림턱부(472b)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스플라인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제2출몰축(474)의 회전이 구속되면 제2회전축(472)의 회전도 구속되고, 제2회전축(472)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410)의 회전도 구속되므로 하우징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제2출몰축(474)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제2걸림턱부(472b)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스플라인 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연결구조는, 제1출몰축(454)과 제1걸림턱부(452b) 사이의 연결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110)과 상기 설치장소의 하면부(TB)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수단(190)이 구비된다.
즉 지지수단(190)은 하우징(110)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제1 지지부재(191)와, 설치장소의 하면부(TB)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재(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 지지부재(191)는 너트로 구성되고, 제2 지지부재(193)는 볼트로 구성되어 너트에 볼트를 일정 부분 체결한 상태에서 볼트의 헤드부를 설치장소의 하면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볼트의 헤드부의 면적을 넓혀 설치장소의 하면부에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110)의 서비스도어(130)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각 설치장소에 설치되는 자동측정기를 내장한 하우징(10)에는 서비스도어(20)가 구비되고, 상기 서비스도어(20)의 주변에는 테두리부(30)가 형성되되, 서비스도어(20)와 테두리부(40)에는 서비스도어(20)를 여닫기 위한 개폐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서비스도어(20)에는 손잡이(21)가 구비되어 하우징(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있고, 또한 테두리부(30) 내측부를 따라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에는 밀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서비스도어(20)가 닫히는 경우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개폐수단(40)은 서비스도어(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단부에 걸림편(41b)이 형성된 선회부재(74)와, 선회부재(41)가 삽입되는 관통공(43a)(하기 이탈방지편(44)에 연장되어 형성됨.)이 형성되고, 양측부에 파지부(43b)가 구비된 가압부재(43)와, 선회부재(41)를 감싸고, 걸림편(41b)과 가압부재(43) 사이에 배열된 탄성부재(45)와, 테두리부(30)에 연결되고, 선회부재(41)가 삽입되는 안내홈(47a)을 갖는 지지부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선회부재(41)는 개폐수단(40)이 잠긴 상태를 기준으로 선회부재(41)의 우측단부에는 힌지결합부(71a)가 구비되어 서비스도어(20)의 일측에 연결되고, 선회부재(41)의 좌측단부에는 걸림편(41b)이 연결되며, 지지부재(47)는 테두리부(3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선회부재(41)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즉 개폐수단(40)은 작업자가 가압부재(43)의 파지부(43b)를 잡아당기면서 선회부재(41)를 좌측방향(도 5의 'L'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선회부재(41)가 안내홈(47a)을 삽입한 후, 가압부재(43)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재(43)가 우측방향으로 밀려 이동하여 지지부재(47)를 가압하여 상기 서비스도어(20)가 잠기게 된다.
반대로 비스도어(20)가 잠긴상태에서 서비스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선 작업자가 상기 가압부재(43)의 파지부(43b)를 잡아당기면서 선회부재(41)를 우측방향(R)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선회부재(41)가 안내홈(47a)으로부터 배출되어 잠금이 해제되어 서비스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하우징(10)에 구비된 자동측정기 등의 가동 또는 운전 중에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어 서비스도어(20)가 개폐수단(40)에 의하여 잠긴 상태에서 가압부재(43)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선회부재(41)가 안내홈(47a)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7)와, 가압부재(43)에 상호 대응하도록 이탈방지공(48)과, 이탈방지편(44)을 도입하기로 한다.
이탈방지공(48)은 지지부재(47)에서 형성되고, 안내홈(47a)과 어이져 공간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이탈방지편(44)은 가압부재(43)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서비스도어(20)를 잠그기 위해 선회부재(41)를 좌측방향(L)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43)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가압부재(43)가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우측방향(R)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이탈방지편(44)이 상기 이탈방지공(48)에 삽입된다.
이때 이탈방지공(48)의 내경(ID)과, 이탈방지편(44)의 외경(OD)은 각각 안내홈(47a)의 폭(W)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편(44)이 이탈방지공(48)에 삽입된 후에는 가압부재(43)를 좌측방향(L)으로 당겨 이탈방지편(44)을 이탈방지공(48)에서 배출시키기 않는 한, 선회부재(41)가 하우징(10)에 내장된 자동측정기 등의 가동이나 운전 중에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하여 스스로 안내홈(47a)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이탈방지편(44)이 높이를 일정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회부재(41)가 안내홈(47a)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자동측정기
110 : 하우징 111 : 장착부
113 : 테두리부
120 : 내장체
130 : 서비스도어 131 : 프레임
133 : 패널부재 135 : 보강스트립
137 : 결합핀
140 : 잠금수단 141 : 지지체
143 : 제1 걸쇠 145 : 제2 걸쇠
150 : 고정수단 151 : 유동방지부재
153 : 걸고리
160 : 완충수단 161 : 탄성부재
163 : 삽입부 163a : 삽입홈
163b : 수용돌출부 165 : 대응삽입부
165a : 삽입돌기 165b : 수용홈
170 : 결합부재
190 : 지지수단 191 : 제1 지지부재
193 : 제2 지지부재
TW : 설치장소의 벽면 TB : 설치장소의 하면부
ID : 이탈방지공의 내경 OD : 이탈방지편의 외경
W : 안내홈의 폭

Claims (3)

  1. 상수관라인;
    상기 상수관라인에 구비된 유량계 및 수질측정기를 포함하는 자동측정기; 및
    상기 자동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을 수신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측정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상수관 또는 하수관의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벽면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홀부가 형성되는 회전연결부를 구비하는 고정브래킷;
    상기 회전홀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승강홀부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승강브래킷;
    상기 승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승강브래킷에 내부 공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니언과 기어연결되며, 고정대 및 지지패널에 의해 지주에 설치되는 랙부;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브래킷 및 상기 승강브래킷이 상기 랙부를 따라 승강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승강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승강브래킷을 구속하여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하는 승강구속부;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여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승강브래킷 사이의 각도 조절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승강브래킷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속부는,
    상기 승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니언이 고정되며, 단부에 제1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홈부의 입구에 제1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슬라이딩홈부로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제1걸림턱부에 걸리는 제1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브래킷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굴곡부가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제1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제1출몰축; 및
    상기 제1걸림턱부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의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부는,
    상기 연결홀부와 상기 회전홀부에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단부에 제2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홈부의 입구에 제2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슬라이딩홈부로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제2걸림턱부에 걸리는 제2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브래킷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걸림블록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제2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브래킷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각도유지돌기 사이에 상기 걸림블록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제2출몰축; 및
    상기 제2걸림턱부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의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KR1020140087784A 2014-07-11 2014-07-11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KR101630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84A KR101630707B1 (ko) 2014-07-11 2014-07-11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84A KR101630707B1 (ko) 2014-07-11 2014-07-11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91A true KR20160007291A (ko) 2016-01-20
KR101630707B1 KR101630707B1 (ko) 2016-06-15

Family

ID=5530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784A KR101630707B1 (ko) 2014-07-11 2014-07-11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7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0456A (zh) * 2018-09-11 2019-03-01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智能电力自助服务系统
WO2020135588A1 (zh) * 2018-12-29 2020-07-02 清华大学 输水管网的水压和水流检测系统及方法
KR102331744B1 (ko) * 2021-02-25 2021-12-01 주식회사 엠에스텍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이를 구비한 공동 주택용 스마트 수돗물 수질 진단 및 위험요소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6334A (ko) 2022-02-23 2023-08-30 강연주 가정에서 사용하는 ai 생활환경 개선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006A (ko) * 1996-03-21 1997-10-13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앙각 및 방위각 조절장치
KR101028146B1 (ko) * 2009-12-29 2011-04-08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20120108077A (ko) * 2011-03-23 2012-10-05 박시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1270254B1 (ko) * 2011-11-02 2013-06-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006A (ko) * 1996-03-21 1997-10-13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앙각 및 방위각 조절장치
KR101028146B1 (ko) * 2009-12-29 2011-04-08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20120108077A (ko) * 2011-03-23 2012-10-05 박시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1270254B1 (ko) * 2011-11-02 2013-06-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0456A (zh) * 2018-09-11 2019-03-01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智能电力自助服务系统
WO2020135588A1 (zh) * 2018-12-29 2020-07-02 清华大学 输水管网的水压和水流检测系统及方法
KR102331744B1 (ko) * 2021-02-25 2021-12-01 주식회사 엠에스텍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이를 구비한 공동 주택용 스마트 수돗물 수질 진단 및 위험요소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6334A (ko) 2022-02-23 2023-08-30 강연주 가정에서 사용하는 ai 생활환경 개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707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707B1 (ko)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KR101270254B1 (ko)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주택 수질 모니터링 장치
US11187223B2 (en) Home flood prevention appliance system
CN108431475B (zh) 水阀关闭系统
US11028630B2 (en) Door monitoring system
US20240126308A1 (en) Connected Sanitaryware Systems and Methods
CN103459730B (zh) 自动水龙头
KR102553099B1 (ko) 화장실 관리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US10865123B1 (en) Valve control apparatus
JP7261552B2 (ja) トイレ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US11807550B1 (en) Water control system
KR101261553B1 (ko) Loc를 이용한 상하수관망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US20240003774A1 (en) Periodic water leak detection
US20210102861A1 (en) Humidity monitoring
US20220026305A1 (en) Dynamic water leak detection
JP7433138B2 (ja) クレセント及び開口部建材
KR20220069465A (ko) 맨홀 내부 정보 수집 구조물 및 장치
WO2023241766A1 (en) A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a facility, a method and use therefore and a facility
DE202011051693U1 (de) Hausassistenz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