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648A -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 Google Patents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648A
KR20160006648A KR1020150188489A KR20150188489A KR20160006648A KR 20160006648 A KR20160006648 A KR 20160006648A KR 1020150188489 A KR1020150188489 A KR 1020150188489A KR 20150188489 A KR20150188489 A KR 20150188489A KR 20160006648 A KR20160006648 A KR 2016000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film
waterproofing
composi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6295B1 (en
Inventor
송정환
Original Assignee
송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환 filed Critical 송정환
Priority to KR102015018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295B1/en
Publication of KR2016000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waterproofing method us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during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when forming a waterproof layer on a floor surface or a wall surface, by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due to contraction or expansion of concrete is prevented, and gas generated inside the waterproof layer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due to expansion of internal gas.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is composed of a waterproof base material in which butyl rubber materials are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and an auxiliary base material which is made of auxiliary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by the rubber material. A cover portion is formed to extend lengthwise in left or right portions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Description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시공되는 방수층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method us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proof method us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amage to a waterproof layer applied to an outer surface of a concrete structure.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방수에 관한 기술을 살펴보면, 시트방수, 도막방수가 있으며, 시트방수는 고무화아스팔트계 시트를 이용한 방수, 벤토나이트 시트를 이용한 방수가 있다.As for the waterproofing technique generally applied to concrete structures, there is sheet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 of the film. Waterproofing of the sheet is waterproofing using a rubberized asphalt-based sheet and waterproofing using a bentonite sheet.

여기서, 상기 고무화아스팔트계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 콘크리트가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되면, 그 외면에 시공된 방수층은 그 여파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수층이 어느 한 곳이라도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물이 침투하여 전체 방수층의 하부에 물이 번져 방수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using the rubberized asphalt-based sheet, if the concrete shrinks or expands, the waterproof layer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will be damaged due to its eff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penetrates through the damaged part and the water is spread on the lower part of the entire waterproof layer to fail to perform the waterproof function properly.

또한, 벤토나이트 시트는 벤토 알갱이가 물을 흡수하여 겔이 형성되는 것을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할 때에는 못 등으로 콘크리트에 타정하여 체결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방수층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bentonite sheet is formed by forming a gel in the form of a sheet by absorbing water from the bentoite. When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using the bentonite sheet, the bentonite sheet is formed by pressing and tightening the concrete with a nail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proof layer formed by the means is inferior in stability.

즉, 벤토나이트 시트를 콘크리트 못 등으로 타정하여 방수층을 형성한 후, 흙되메우기 등과 같은 추가공정을 진행할 때, 상기 벤토나이트 시트로 형성된 방수층은 흙이 메워지는 무게에 의하여 콘크리트 못으로 체결된 부분이 뜯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That is, when the bentonite sheet is formed by a concrete nail or the like to form a waterproof layer, and then further processing such as soil backing is performed, the waterproof layer formed of the bentonite sheet is formed by the weight of the soil buried, Often there are problems.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혹은 외벽면에 방수층을 시공한 부분이 태양열에너지 등을 받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분 등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가스는 방수층으로 인하여 외부로 탈기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팽창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proof layer is applied to the bottom or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water or the like is generated in the concrete when the solar energy is received. The gas can not be defatted to the outside due to the waterproof layer, .

상기 팽창하는 가스로 인하여 해당 위치의 방수층은 부풀어오르면서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층의 하부에 탈기반을 설치하기도 하나, 상기 탈기반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어렵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debris foundatio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terproof layer, but when the debris failure occurs,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0904호(2007. 9. 17.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60904 (Announced on September 17,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를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신축성과 내마모성 등을 크게 향상시켜, 방수층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사용하되, 통기필름, 에어몰드를 이용하여, 방수층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수층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 sheet used for constructing a waterproof layer on a concrete structure,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is used which greatly improves abrasion resistance and the like and prevents the waterproof layer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using a ventilation film or an air mold to smooth out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waterproof layer, And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due to expansion of gas generated in the waterproof layer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개시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방수기재; 상기 방수기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보조기재; 를 포함하여 적층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기재는, 부직포와 그 저면에 형성되는 고무재로 형성되되, 상기 부직포와 고무재 사이에는 비철금속호일도 합지가능하며, 상기 보조기재는, 보조 부직포, 이형지, 단열매트, 보조 비철금속호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proof substrat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auxiliary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substrate;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nd a rubber material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and a non-ferrous metal foi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rubber material, A heat insulating mat, and an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여기서, 상기 단열매트는, 일정 두께의 가교발포제로만 부착되거나 혹은 보조 비철금속호일의 저면에 일정 두께의 가교발포제가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eat insulating ma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rosslinking foaming agen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only, or a crosslinking foaming agent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또한, 상기 가교발포제의 저면에는 보완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보완부재는 보완 부직포 혹은 보완 비철금속호일로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supplementary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and the supplementary member is formed of a complementary nonwoven fabric or a complementary non-ferrous metal foil.

또한, 상기 가교발포제의 하부에는 엠보싱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통기부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보완부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entilation part formed concavely in an embossed form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and a complementary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part of the ventilation part.

또한, 상기 통기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대각선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ven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diagonally spaced apart spaces.

또한, 상기 방수기재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가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lid part is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또한, 상기 방수기재의 부직포와 보조기재는 고무재로 부착되되, 부틸고무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uxiliary substrate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are attached with a rubber material, and are attached with butyl rubber.

또한, 상기 가교발포제는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polyethylene (PE).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에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한 다음, 상기 부착된 복합방수시트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imer is applied to a concrete bottom surface,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is attached to a portion to which the primer is applied, And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여기서, 상기 중도방수층의 상면에 보강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보강필름의 상측에는 보호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reinforcing film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waterproof layer, and the protective concrete is formed on the reinforcing film.

또한, 상기 보호콘크리트의 측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를 부착하여, 상기 바닥면에 인접한 수직벽면의 중도방수층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rotective cushioning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ncrete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of the vertical wall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도포된 프라이머의 상면에 에어몰드의 일측이 삽입연결된 통기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상기 통기필름을 제외한 프라이머의 상면에는 기초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상기 통기필름과 기초 도막방수제의 상면에는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한 다음, 상기 복합방수시트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primer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pplied prim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er except the air-permeable film while the air-permeable film having one side of the air mold inserted thereinto is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And attach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to form an intermediate waterproof lay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또한, 상기 통기필름과 복합방수시트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ir permeable film and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re installed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에어몰드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길이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서 하측이 개방되게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의 좌우양측에 끼움체결되는 통로부와,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이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mold is formed in a pipe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bottom portion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ortion. The air mold is bent upward to open the lower side, And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to elastically fi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ss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에어몰드 일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으로 인하여 통기필름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의 일측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air mold, and gas flowing through the vent film may be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air mold due to the plurality of vent holes.

또한, 상기 통로부의 측면에 통기공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돌부의 측면에도 내측 통기공을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vent hole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and an inner vent hole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에어몰드의 일측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통기필름의 측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연결되고, 상기 에어몰드의 타측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인접하는 수직벽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몰드의 타측 상부에는 후두를 설치하되, 에어몰드의 타측 상부가 후두의 내부에 내재되도록 하여, 가스의 탈기와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is vertically formed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a vertical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air And a larynx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l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is housed inside the larynx so as to prevent the degassing of the gas and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후두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캡 형태로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에어몰드의 타측 상부가 내재가능하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고정판의 외측면에 좌우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좌우너비에 상당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그 사이공간에 본체부가 수직으로 끼움체결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larynx includes a fixed plat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main body part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inside the cavity; A support piec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ody portion vertically fitted into the space therebetween;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지지편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본체부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부가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양 지지편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ieces, the engaging portion is horizontally protruded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s of both the support pieces.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technical and economic effects.

첫째, 방수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에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방수시트의 신축성을 높임으로써, 양생과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이 일어나는 콘크리트의 외형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by using a material with excellent elasticity on the waterproof sheet used for forming the waterproof layer, it is possible to easily adapt to the change of the contour of the concrete, which shrinks and expands due to the curing process or temperature change, by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waterproof shee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concrete.

둘째,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하부에 가교발포제를 형성하되, 상기 가교발포제의 하부에는 다수의 엠보싱 형태로 형성된 통기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에서 발생하여 팽창하는 가스가 용이하게 통기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a crosslinking foaming agen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are formed so that the expanding gas generated in the concrete can be easily ventil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waterproof laye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gas generated in the concrete.

셋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되, 콘크리트 상부와 복합방수시트의 하부 사이에는 통기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필름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기가능한 에어몰드를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복합방수시트의 통기부와 통기필름, 에어몰드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ird,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ventilation film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and the lower part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nd an air mold capable of ventilat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entilation film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ncret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portion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the vent film, and the air mold.

넷째, 일정 길이의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통기필름에 연결되고, 타측은 방수층의 외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에어몰드의 일측에는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기필름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탈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ly,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mold, which is formed in a passag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film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outside the waterproof layer. So that the gas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proof layer can be easily removed.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기본 예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의 단열매트 예시도,
도 8 내지 11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매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의 예시도,
도 12는 도 1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3은 도 8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완충재를 이용한 시공예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후두와 에어몰드의 결합구성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몰드의 상세도이다.
1 to 4 are a basic view of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heat insulating mat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using the heat insulating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Fig. 1,
Fig. 1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Fig. 8,
FIG. 14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using a protective cushion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larynx and an air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etailed view of an air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해결수단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First,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는,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방수기재(100)와, 상기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적층식으로 부착되는 보조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for providing a waterproof function and an auxiliary base material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여기서, 상기 보조기재는 방수기재(100)를 보조하고, 복합방수시트(A)의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성, 통기성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uxiliary substrate assists the waterproof substrate 100 to provide a function for further improving the waterproof effect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t insulating property, .

상기 방수기재(100)는 부직포(110)와 그 저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일정 두께로 적층되는 고무재(120)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이때, 상기 고무재(120)는 접착성이 있는 부틸고무로 형성하여, 방수기재(100)를 구성하는 부직포(110)와 그 하측에 형성되는 보조기재를 접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110 and a rubber material 120 uniformly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aterial 110 and lamin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nonwoven fabric 110 constituting the waterproof substrate 10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부직포(110)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로서, 1평방미터당 80 내지 120그램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틸고무는 1 내지 2mm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nonwoven fabric 110 is preferably a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80 to 120 grams per square meter, and the butyl rubber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 to 2 mm.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는 그 내부에 고무재(120)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재(120)의 소수성으로 인한 방수기능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고무재(120)의 신축성 및 탄성으로 인하여 복합방수시트(A)의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proof function due to the hydrophobicity of the rubber material 120 by forming the rubber material 120 inside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The elasticity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can be further improved due to elasticity and elasticity.

또한, 고무재(120)의 접착성으로 인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상기 부직포(110)와 보조기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Also, due to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rubber material 120,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nonwoven fabric 11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without using an adhesive.

즉,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에서, 상기 고무재(120)는 방수기능도 제공하면서 신축기능, 접착기능도 함께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material (120) is also provided with a waterproof function and a stretch function and an adhesive function.

또한, 상기 복합방수시트(A)의 방수기재(100)에는 비철금속호일(130)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비철금속호일(130)은 부직포(110)와 부틸고무로 형성되는 고무재(120) 사이에 형성하여, 외부의 열 및 빛에너지가 콘크리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반사시켜 줌으로써, 외부의 복사열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되는 방수층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non-ferrous metal foil 130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110 and a rubber material 120 formed of butyl rubber. The non-woven fabric foil 130 may be formed of a non- So that external heat and light energy are reflected so as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concrete,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concrete due to external radiant heat, thereby forming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damage of the waterproof layer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비철금속호일(130)은, 알루미늄호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ferrous metal foil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luminum foil.

한편, 상기와 같은 방수기재(100)의 저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기재가 적층식으로 부착되는데, 상기 보조기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복합방수시트(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부직포(210), 이형지(220), 단열매트(23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보조 비철금속호일(231)만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ubstrate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substrate 100 in a laminated manner. The auxiliary substrate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ereby forming various types of composite waterproof sheets (A)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form one of the auxiliary nonwoven fabric 210, the release paper 220 and the heat insulating mat 230, or it may be formed of only the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1.

이때, 상기 보조 부직포(210)는 1평방미터당 30 내지 50그램의 것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nonwoven fabric 210 is formed to be 30 to 50 grams per square meter.

여기서, 상기 단열매트(230)는 보조 비철금속호일(231)과 가교발포제(232)로 형성하되, 보완부재(233)로서 보완 부직포(234)와 보완 비철금속호일(235)을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열매트(230)는 일정 두께의 가교발포제(232)의 상면에는 보조 비철금속호일(231)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보조 비철금속호일(231)의 상면이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형성하며, 이때에도 방수기재(100)를 구성하는 부직포(110)의 저면은 상기 보조 비철금속호일(231)의 상면과 접착성있는 고무재(120)로써 접착됨은 물론이다.The heat insulating mat 230 is formed of the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1 and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232 and further comprises a complementary nonwoven fabric 234 and a complementary nonferrous metal foil 235 as a complementary member 233 The insulating mat 23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n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linked foaming agent 23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forming the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1,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10 constituting the waterproofing substrate 100 may be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substrate 100 by a rubber material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1 120).

아울러, 상기 보조 비철금속호일(231)과 가교발포제(232)는 복수개의 압축롤러 사이에 열을 가하면서 압축하는 열융착법으로써 일체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1 and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232 are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by a heat fusion method in which heat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ompression rollers while compressing hea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기재의 가교발포제(232) 저면에는 보완부재(233)로써 보완 비철금속호일(235)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도 상기 보조기재인 단열매트(230)는 열융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ementary non-ferrous metal foil 235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a supplementary member 233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232 of the auxiliary substrat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o further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At this time, The heat insulating mat 230 is preferably formed by a heat welding metho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기재인 단열매트(230)를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적층식으로 일체형성하여 복합방수시트(A)를 형성하고, 이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시공하게 되면, 상기 단열매트(230)는 외부의 열 및 빛에너지가 콘크리트로 가해지는 것을 반사시켜주게 되며, 온도변화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eat insulating mat 230 as an auxiliary substrat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substrate 100 in a laminated manner to form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nd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heat insulating mat (230) reflects the external heat and light energy applied to the concrete, and can prevent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concret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또한, 상기와 같은 단열매트(230)를 구성하는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는 오목한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하면서 전체 면적에 걸쳐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특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팽창하여 해당 부분의 방수층을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해당 부분의 방수층이 찢어지는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concave embossed vent portion 236 is formed below the crosslinked foaming agent 232 constituting the heat insulating mat 23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received and flowed over the entire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s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portion from expanding to form the waterproof layer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convexly and to prevent the waterproof layer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from being torn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가교발포제(232)는 폴리에틸렌을 발포형성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는 1mm 이상의 깊이로써 대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bossed vent 236 formed concave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linked foaming agent 232 may be formed in a diagonal shape with a depth of 1 mm or more. The crosslinked foaming agent 232 may be formed by foaming polyethylene, .

이때, 상기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엠보싱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통기부(236)의 하부에는 보완 부직포(234)를 부착함으로써, 엠보싱 형태로 인한 오목한 내부 공간은 유지되도록 하면서, 프라이머(20)와 기초 도막방수제(70)가 도포되는 콘크리트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는 1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nonwoven fabric 234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part 236 which is recessed in the embossing form at the lower part of the crosslinking foaming agent 232, so that the concave inner space due to the embossing shape is maintained, And the base coat water repellent agent 70 may be firm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to be applied. Preferably, the base coat water repellent agent 70 is applied to a thickness of 1 mm.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외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방수층을 형성하고자하는 곳은, 일정 면적의 바닥면(10)과 그 외둘레에 수직벽면(11)이 형성된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waterproof lay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lace where the waterproof layer is to be formed is a floor surface (10) And a vertical wall surface 11 is formed in the concrete wall.

본 발명의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닥면(10)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부위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복합방수시트(A)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도방수층(30)의 상면에 보강필름(40)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40)의 상측에 보호콘크리트(50)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콘크리트(50)의 측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60)를 부착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의 중도방수층(3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 The waterproof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a primer 20 to a concrete bottom surface 10, attach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to a site to which the primer 20 is applied, A step of forming a waterproof layer 3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lm 40 and attaching a reinforcing film 4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layer 30, And a protective cushion material 6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ncrete 50 to prevent damage of the waterproof layer 30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a composite waterproofing sheet to make it possible;

상기 복합방수시트(A)는 부직포(110)의 저면에 부틸고무인 고무재(120)가 적층된 방수기재(100)와, 상기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상기 고무재(120)로 부착된 보조 부직포(210)로 이루어진 보조기재로 구성되고, 상기 방수기재(100)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111)가 연장형성되며,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ncludes a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having a rubber material 120 lamin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10 and a rubber material 120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by the rubber material 120 And an auxiliary substrate made of an auxiliary nonwoven fabric (210), and a lid part (111) is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proof substrate (100)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는 프라이머(20)의 상면에 에어몰드(90)의 일측이 삽입연결된 통기필름(80)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상기 통기필름(80)을 제외한 프라이머(20)의 상면에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하고, 상기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며, 상기 통기필름(80)과 복합방수시트(A)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공하게 된다.The step of attach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may include attaching the air permeable film 8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mold 9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er 20 at regular intervals and removing the air permeable film 80 The composite film waterproofing agent 70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water repellent agent 70 and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water repellent agent 70, The sheet A is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는 프라이머(20)를 도포하고, 이어서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한 후, 상기 도포된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는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과 수직벽면(11)이 만나는 코너부에는 코너실링(21)을 미리 형성한 후에, 상기 프라이머(20)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mer 20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n the base coat water repellent agent 7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water repellent agent 70. Then, The corner seals 21 are previously formed on the corners where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meets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nd then the primer 20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waterproof layer.

여기서, 상기 방수층은 일정 두께, 면적, 형태로 형성된 복합방수시트(A)의 각 측면이 서로 맞닿게 나란히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맞닿는 측면 사이의 갭(gap)을 커버하여 완벽한 방수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복합방수시트(A)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직포(110)를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한 덮개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111)가 각 복합방수시트(A)의 측면 사이의 갭(gap)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by attaching side surfaces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formed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a, and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aterproof layer covers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s, The lid part 111 is formed by extending a length of the nonwoven fabric 11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each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상기 덮개부(11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를 형성할 때에, 방수기재(100)를 구성하는 부직포(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970mm의 너비로 형성하고, 상기 방수기재(100)의 부직포(110)는 1000mm의 너비로 형성하여,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에 30mm가 돌출형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nonwoven fabric 110 constituting the waterproof substrate 100 are formed to have a width of 970 mm when form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onwoven fabric 110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100 is formed to have a width of 1000 mm so that 30 mm is formed to protrude leftward or righ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각 복합방수시트(A) 측면 사이의 틈을 덮개부(111)로써 덮은 후, 상기 덮개부(111)는 보강 테이프와 보강 씰로써, 그 커버링(covering)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s A with the lid part 111, the lid part 111 is reinforced with a reinforcing tape and a reinforcing seal to make the covering more robust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상기와 같은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에는,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중도방수층(30)은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우레탄수지와 규사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그 상면에 탑코트(Top-coat)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waterproof layer 30 is formed. The waterproof layer 30 may be formed by coating a waterproofing agent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or a mixture of urethane resin and silica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op coat on the top surface thereof.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향상되고 단열성이 우수하며, 내부 가스의 통기도 용이한 복합방수시트(A)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시공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방수층의 손상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having improved elasticity, excellent heat insulation and easy gas permeability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damage of the waterproof layer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concrete is significantly .

이어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는 탈기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Next, a deaeration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와 같이 복합방수시트(A)를 구성하는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오목한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를 형성하더라도 외부의 강한 열 및 빛에너지에 의한 복사열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과다하게 팽창을 하게 되면, 결국 방수층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서 들뜨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상기와 같은 복합방수시트(A)를 시공한 방수층에 통기필름(80)과 에어몰드(90)를 추가로 형성하여 해소가능하다.Even if the ventilation part 236 having a concave embossed shap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rosslinked foaming agent 232 constitut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s described above,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by the radiant heat due to strong external heat and light energy The water permeable layer is fl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is severely damaged. This phenomenon occurs when the air permeable film 80 is attached to the waterproof layer formed with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s described above, And an air mold 90 are further form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기 관련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한 방수층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는 수직벽면(11)이 인접하는 구성으로 형성된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The waterproof layer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vertical wall surface (11)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먼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바닥면(10)의 방수층에 통기필름(80)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통기필름(80)은 일정 길이와 너비로 형성된 필름 형태로서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필름에는 다수의 통기를 위한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구성과 관련하여, 상기 통기필름(80)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어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First, a ventilation film 80 is installed on the waterproof layer of the bottom surface 10 to be installed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ventilation film 8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film is formed of polyethylene (PE) in the form of a film, and the film has a plurality of holes for ventilation. With respect to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the ventilation film 80 is generally known, It is omitted.

상기와 같은 통기필름(80)을 프라이머(20)가 도포된 콘크리트 바닥면(10)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할 때에 길이방향의 전후 양측은 상기 바닥면(10)에 인접하는 수직벽면(11)까지 이르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films 80 are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10 coated with the primer 20 at regular intervals,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clined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it so that it reaches.

한편,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의 전후 양측이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에 이르기까지 시공되는 통기필름(80)의 일측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된 파이프 형태의 에어몰드(90)를 연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ipe-shaped air mold 9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air permeable film 80, which is applied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

상기 에어몰드(90)의 연결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후 시공되는 방수층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의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air mold 9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permeable film 80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mold 90 is installed outside the waterproof laye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

이때, 상기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삽입되어 통기필름(80)에 흐르는 가스가 상기 에어몰드(9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air mold 9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air-permeable film 8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gas flowing in the air-permeable film 80 can easily flow into the air mold 90 .

상기와 같이 통기필름(80)과 에어몰드(90)를 설치한 후, 상기 바닥면(10)에 도포된 프라이머(20)의 상면에는 기초 도막방수제(70)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게 되는데,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는 통기필름(80)에는 도포하지 아니한다. After the vent film 80 and the air mold 90 ar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primer coating agent 70 is applied to the top surface of the primer 20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base coat water repellent agent 70 is not applied to the air permeable film 80.

즉, 통기필름(80)이 부착된 부분은 제외하고, 프라이머(20)의 상면에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할 때에는 상기 통기필름(80)의 둘레부로부터 20mm 이격시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base coating film water repellent agent 70 to the top surface of the primer 20 to a certain thickness,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vent film 80 is attached. When applying the base coating film water repellent agent 70,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ermeable film 80 is applied at a distance of 20 mm from the periphery of the air permeable film 80.

상기와 같이 부착되고, 도포되는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는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복합방수시트(A) 또한 통기필름(80)과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 상면에 부착할 때에는 통기필름(80)이 부착된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ermeable film 80 and the base coat water repellent agent 70 which are attached and appli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ermeable film 80 and the base coat water repellent agent 70, the air permeable film 8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Direction.

상기와 같이 복합방수시트(A)를 통기필름(8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할 때에는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나란하게 부착하되, 각 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갭(gap)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방수시트(A)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부(111)로 덮음으로써 방수처리가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덮개부(111)는 보강 테이프와 보강 씰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그 커버링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s A are attach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ir permeable film 80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urfaces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s A are adhered in parallel so that the side surface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vering part 11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more completely waterproofed and the cover part 111 is attached by using the reinforcing tape and the reinforcing seal so that the covering is more Make sure it is done solidly.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되, 그 사이에는 통기필름(80)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필름(80)의 일측에는 외부와 통기가능한 에어몰드(90)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통기필름(80)과 에어몰드(90)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탈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air permeable film 80 is formed therebetween and an air mold 9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gas is generated in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air can be easily degassed through the air permeable film 80 and the air mold 90.

이때,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구성하는 가교발포제(232)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한 엠보싱 형태의 통기부(236) 또한 가스를 수용하고 원활하게 흐르게 하므로, 상기 통기부(236)와 함께 통기필름(80), 에어몰드(90)를 통한 방수층 내부의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탈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cave embossed vent 236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linked foaming agent 232 constitut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lso receives the gas and smoothly flows, so that the ventilation film 236, together with the ventilation film 236,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degas the gas inside the waterproof layer through the air inlet 80 and the air mold 90. [

이어서, 상기 통기필름(80)의 일측단에 연결설치되는 에어몰드(9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Next, the construction of the air mold 9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entilation film 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의한 에어몰드(9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길이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91)와, 상기 바닥부(91)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서 하측이 개방되게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바닥부(91)의 좌우양측에 끼움체결되는 통로부(92)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 혹은 통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mold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air mold 90 has a bottom 91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ssage portion 92 which is formed by bending upward to open the lower side and is fitt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ortion 91, is preferably formed in a pipe shape or a passage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이때, 상기와 같은 에어몰드(90)는 비철금속이나 플라스틱, 보다 구체적으로는 PVC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바닥부(91), 통로부(92)의 두께는 1 내지 2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부(91)의 너비는 23mm, 절곡된 통로부(92)의 높이는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91 and the passage portion 92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 m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 mm.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91 is 23 mm and the height of the bent passage portion 92 is 5 mm.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에 일정 길이로 삽입연결되어, 통기필름(80)에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9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탈기되는 것인데, 상기 에어몰드(90)의 일측은 통기필름(80)의 일측단의 측면에서 200mm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of the air mold 90 formed in this manner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film 8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gas flowing in the ventilation film 80 flows into one side of the air mold 90 and is degassed to the other side , One side of the air mold 90 is inserted at a depth of 200 mm from the side of one end of the ventilation film 80.

이때, 상기 통기필름(80)의 측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연결되는 에어몰드 일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9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94)으로 인하여 통기필름(80)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90)의 일측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수층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는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탈기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94 ar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one side of the air mold, which is inserted into the ventilation film 80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ventilation film 80 Can be more easily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air mold 90, whereby the gas formed inside the waterproof layer is mor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다수의 통기공(94)은 에어몰드(90)의 일측에 형성하되, 상기 에어몰드(90)를 구성하는 통로부(92)의 측면에 형성하여 통기필름(80)을 흐르는 가스가 상기 에어몰드(9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vent holes 94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mold 90 so that the gas flowing through the vent film 8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92 constituting the air mold 90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air to flow into the air mold 90 more easily.

한편, 상기와 같이 바닥부(91)와 통로부(92)를 체결하여 에어몰드(90)를 형성할 때에, 상기 바닥부(91)에는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 체결돌부(93)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통로부(92)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이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통로부(92)의 측면에 통기공(94)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돌부(93)에도 내측 통기공(95)을 형성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에어몰드(90) 일측의 내부에 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ir mold 90 is formed by fastening the bottom portion 91 and the passage portion 92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protrusion 93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91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nt hole 94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92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93 is also f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passageway 92. [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es 95 are form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gas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air mold 90 more smoothly.

아울러,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에어몰드(90)를 직각으로 절곡형성하여, 일측은 통기필름(80)에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형성하고, 에어몰드(90)의 타측은 방수층의 외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은 바닥면(10)에 인접하는 수직벽면(11)의 일정 높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waterproof layer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air mold 9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perpendicular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그런데,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경우, 가스의 탈기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에는 하부에 개구부(90a-2)가 형성된 캡 형태의 후두(90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두(90a)를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가스가 탈기되는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단을 덮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vertically formed, the degassing of the gas smoothly occurs. However,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penetrate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ap-like larynx 90a having an opening 90a-2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old 90. The larynx 90a is installed at the other upper side of the air mold 90 Bu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gas mold at such a height as not to cover the other upper end of the air mold 90 from which gas is deaerated.

상기와 같이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에 후두(90a)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에어몰드(90)의 타측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90a)의 개방된 하부의 개구부(90a-2)를 통하여 에어몰드(90)의 타측에서 탈기되는 가스가 배출가능하도록 하게 된다.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by providing the larynx 90a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as described above, The gas that is deaera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90a-2 of the air mold 90. [

이하에서는 상기 후두(90a)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arynx 90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후두(90a)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90a-1)과; 하부에 개구부(90a-2)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캡 형태로서 상기 고정판(90a-1)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가 내재가능하도록 하는 본체부(90a-3)와; 상기 고정판(90a-1)의 외측면에 좌우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본체부(90a-3)의 좌우너비에 상당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그 사이공간에는 본체부(90a-3)가 수직으로 끼움체결되는 지지편(90a-4); 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First, the larynx 90a includes a fixed plate 90a-1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90a-3)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plate (90a-1) and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Wow; The main body portion 90a-1 is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90a-1 and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in body portion 90a-3. A supporting piece 90a-4 to be fitted together;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후두(90a)를 구성하는 고정판(90a-1), 본체부(90a-3), 지지편(90a-4)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판(90a-1)은 가로 및 세로가 각 100mm, 두께 1.5 내지 2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 지지편(90a-4)은 볼트 혹은 용접으로 고정판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late 90a-1, the main body 90a-3 and the supporting piece 90a-4 constituting the larynx 90a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or plastic.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support pieces 90a-4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a width of 100 mm and a thickness of 1.5 to 2 mm, and the support pieces 90a-4 are supported by a fixing plate by bolts or welding.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후두(90a)의 고정판(90a-1)을 에어몰드(90) 타측의 상부가 위치하는 수직벽면(11)에 설치하되, 고정판(90a-1)의 외측면에 형성된 양 지지편(90a-4)의 사이공간에 에어몰드(90) 타측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가 내재된 양 지지편(90a-4)의 사이공간에 본체부(90a-3)를 하향 삽입하되, 상기 본체부(90a-3)의 내부에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가 내재되도록 삽입한다.The fixing plate 90a-1 of the larynx 9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located,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ieces 90a-4 and the upp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support pieces 90a-4 The lower end of the air mold 9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90a-3 while inserting the main body 90a-3 downward.

이때, 상기 본체부(90a-3)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부(90a-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양 지지편(90a-4)의 사이공간에 하향 삽입되는 본체부(90a-3)가 양 지지편(90a-4)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다.At this time, by forming the latching portions 90a-5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90a-3, the main body portion 90a-3 inserted down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holding pieces 90a-4 So as to extend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90a-4.

또한, 상기 에어몰드(90)의 타측 상부는 본체부(90a-3)의 내부 길이의 60%에 상당하는 높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몰드(90)의 타측에서 탈기되는 가스가 막히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탈기되어 하부의 개방된 개구부(90a-2)를 통하여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본체부(90a-3)의 상부는 막혀있어 외부의 이물질이 에어몰드(90)의 타측 내부에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inser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60% of the internal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90a-3 so that the gas which is deaer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s not clogge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90a-3 is closed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other side of the air mold 90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방수층을 시공하면서 그 내측에 통기필름(80)도 설치하고, 상기 통기필림(80)의 일측에는 방수층의 외측과 연결되는 에어몰드(9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수층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수층의 외측에 위치하는 에어몰드(90) 타측 상부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후두(90a)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에어몰드(90)의 내부, 나아가 방수층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스의 탈기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ntilation film 80 is also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film 80. On one side of the ventilation film 80,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proof layer can be easily discharged by providing the air mold 9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proof layer, By providing the larynx 90a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degassing of the gas while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air mold 90 and further into the waterproof layer.

한편,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수층의 상면에는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중도방수층(30)은 통상적으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거나, 추가로 상기 보강필름(40)과 보호콘크리트(50)를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강필름(40)은 LLDPE 방수필름(저밀도 폴리에틸렌 방수필름)을 사용하여 방수층의 탄성과 인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LLDPE 방수필름은 적어도 0.5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mediate waterproof layer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formed by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The middle waterproof layer 30 is usually coated with a waterproofing agent for the coating film, The reinforcing film 40 can further improve the elasticity and tensile force of the waterproof layer by using the LLDPE waterproof film (low density polyethylene waterproof film), and the LLDPE waterproof film The film is preferably at least 0.5 mm thick.

여기서, 상기 중도방수층(30) 중에서, 도막방수제는 바닥면(10)에 형성된 방수층의 상면은 물론이고, 상기 바닥면(10)과 인접하는 수직벽면(11)에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도막방수제를 도포한 다음에는, 추가로 보강필름(40)과 보호콘크리트(50)를 차례대로 시공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보강필름(40)과 보호콘크리트(50)는 수직벽면(11)에는 시공하지 아니하고 바닥면(10)의 상측 방향으로만 적층식으로 시공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water repellent agent is applied not only to the top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 but also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The reinforcing film 40 and the protective concrete 50 may be successively applied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The reinforcing film 40 and the protective concrete 50 are applied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But is applied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0 without being applied.

이때, 상기 보호콘크리트(50)의 측면과 수직벽면(11)에 형성된 도막방수제의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6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콘크리트(50)가 양생과정이나,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때에 상기 보호완충재(60)로 인하여 수직벽면(11)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도막방수제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a protective cushion material 6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ncrete 50 and the coating film water repellent agent formed on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so that the protective concrete 50 can be cu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proofing layer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the coating film water repellent agent formed on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being damaged by the protective cushioning material 60 when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are repeated.

이때, 상기 보호완충재(60)는 쿠션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교발포제나 스티로폼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적어도 20 내지 3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cushioning material 60 provides a cushioning function, and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crosslinking foaming agent or styrofoam, and the thickness is preferably at least 20 to 30 m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 : 복합방수시트
10 : 바닥면 11 : 수직벽면
20 : 프라이머 21 : 코너실링
30 : 중도방수층 40 : 보강필름
50 : 보호콘크리트 60 : 보호완충재
70 : 기초 도막방수제 80 : 통기필름
90 : 에어몰드
91 : 바닥부 92 : 통로부
93 : 체결돌부 94 : 통기공
95 : 내측 통기공
90a : 후두
90a-1 : 고정판 90a-2 : 개구부
90a-3 : 본체부 90a-4 : 지지편
90a-5 : 걸림부
100 : 방수기재
110 : 부직포 111 : 덮개부
120 : 고무재 130 : 비철금속호일
210 : 보조 부직포 220 : 이형지
230 : 단열매트 231 : 보조 비철금속호일
232 : 가교발포제 233 : 보완부재
234 : 보완 부직포 235 : 보완 비철금속호일
236 : 통기부
A: Combined waterproof sheet
10: bottom surface 11: vertical wall surface
20: Primer 21: Corner seal
30: Medium waterproof layer 40: Reinforced film
50: Protective concrete 60: Protective cushioning material
70: Base coating film waterproofing agent 80: Aeration film
90: Air mold
91: bottom part 92: passage part
93: fastening protrusion 94:
95: Inner air vent
90a: larynx
90a-1: Fixing plate 90a-2:
90a-3: main body 90a-4:
90a-5:
100: Waterproof equipment
110: nonwoven fabric 111: lid portion
120: Rubber material 130: Nonferrous metal foil
210: auxiliary nonwoven fabric 220: release paper
230: Insulation mat 231: Auxiliary nonferrous metal foil
232: crosslinking foaming agent 233: complementary member
234: Complementary nonwoven fabric 235: Complementary nonferrous metal foil
236:

Claims (3)

콘크리트 바닥면(10)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부위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복합방수시트(A)의 외표면에 중도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도방수층(30)의 상면에 보강필름(40)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40)의 상측에 보호콘크리트(50)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콘크리트(50)의 측면에는 일정 두께의 보호완충재(60)를 부착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인접한 수직벽면(11)의 중도방수층(3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
상기 복합방수시트(A)는 부직포(110)의 저면에 부틸고무인 고무재(120)가 적층된 방수기재(100)와, 상기 방수기재(100)의 저면에 상기 고무재(120)로 부착된 보조 부직포(210)로 이루어진 보조기재로 구성되고, 상기 방수기재(100)의 길이방향의 좌 혹은 우측부에는 덮개부(111)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는 단계는 프라이머(20)의 상면에 에어몰드(90)의 일측이 삽입연결된 통기필름(80)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면서 상기 통기필름(80)을 제외한 프라이머(20)의 상면에 기초 도막방수제(70)를 도포하고, 상기 통기필름(80)과 기초 도막방수제(70)의 상면에 복합방수시트(A)를 부착하며, 상기 통기필름(80)과 복합방수시트(A)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waterproofing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 primer (20) to a concrete floor (10); attaching a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to a portion to which the primer (20) A step of forming a middle waterproof layer 30, a step of attaching a reinforcement film 40 to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30, and a step of forming a protective concrete 50 on the reinforcement film 40 A protective waterproofing material 6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ncrete 50 to prevent damage to the waterproofing layer 30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11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0, By waterproofing method;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ncludes a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having a rubber material 120 lamin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10 and a rubber material 120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base material 100 by the rubber material 120 And an auxiliary substrate made of an auxiliary nonwoven fabric (210), and a lid part (111) is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proof substrate (100)
The step of attach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may include attaching the air permeable film 8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mold 9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er 20 at regular intervals and removing the air permeable film 80 The composite film waterproofing agent 70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water repellent agent 70 and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water repellent agent 70, And the sheet (A) is appli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aterproof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몰드(90)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길이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91)와, 상기 바닥부(91)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서 하측이 개방되게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바닥부(91)의 좌우양측에 끼움체결되는 통로부(92)와, 상기 바닥부(91)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로부(92)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이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는 체결돌부(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mold 90 has a bottom 91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lange 9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ttom 91,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side walls 9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91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91, And a fastening protrusion (93) for elastically fitting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rotrusion (9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몰드(90) 일측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9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93)으로 인하여 통기필름(80)을 흐르는 가스가 에어몰드(90)의 일측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vent holes 94 ar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one side of the air mold 90 so that the gas flowing through the vent film 80 due to the plurality of vent holes 93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mold 90 The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site waterproof sheet.
KR1020150188489A 2015-12-29 2015-12-29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KR101616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89A KR101616295B1 (en) 2015-12-29 2015-12-29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89A KR101616295B1 (en) 2015-12-29 2015-12-29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115A Division KR20150101613A (en) 2014-02-27 2014-02-27 A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648A true KR20160006648A (en) 2016-01-19
KR101616295B1 KR101616295B1 (en) 2016-04-28

Family

ID=5530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489A KR101616295B1 (en) 2015-12-29 2015-12-29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29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776B1 (en) 2016-02-16 2016-06-07 강판수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complex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53366B1 (en) 2016-03-30 2016-09-01 (주)지에프시알엔디 Concrete structure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deposite-coating on site
KR20170104172A (en) * 2016-03-07 2017-09-15 정은숙 Complex waterproof construction of bridge slab and waterproof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83B1 (en) 2021-09-30 2022-07-19 차재훈 Waterproofing modul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complex waterproof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11Y1 (en) * 2004-06-26 2004-11-17 삼창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 system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KR100760904B1 (en) 2007-06-01 2007-09-21 홍사광 A method of construction for reinforcement of building and fabric thereof
KR20100012186U (en) * 2009-06-03 2010-12-13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Air vent
KR101168688B1 (en) * 2011-11-17 2012-07-30 주식회사 아키벤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 sheet or panel type waterproofing materials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KR20150101613A (en) * 2014-02-27 2015-09-04 송정환 A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a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11Y1 (en) * 2004-06-26 2004-11-17 삼창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 system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KR100760904B1 (en) 2007-06-01 2007-09-21 홍사광 A method of construction for reinforcement of building and fabric thereof
KR20100012186U (en) * 2009-06-03 2010-12-13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Air vent
KR101168688B1 (en) * 2011-11-17 2012-07-30 주식회사 아키벤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 sheet or panel type waterproofing materials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KR20150101613A (en) * 2014-02-27 2015-09-04 송정환 A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776B1 (en) 2016-02-16 2016-06-07 강판수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complex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70104172A (en) * 2016-03-07 2017-09-15 정은숙 Complex waterproof construction of bridge slab and waterproofing method thereof
KR101653366B1 (en) 2016-03-30 2016-09-01 (주)지에프시알엔디 Concrete structure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deposite-coating on 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295B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295B1 (en)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US11486192B2 (en) Window sill flashing
US8635828B2 (en) Composite insulating building panel and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building panels
CN103069086B (en) Multilayer acoustic panel
US20080034690A1 (en) Underlayment with improved drainage
CA2852270A1 (en) Continuous wall assemblies and methods
KR20150101613A (en) A compounding waterproofing sheet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at
US11865905B2 (en) Multi-panel removable roof
JP6004519B2 (en) Concrete curi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member
US10309106B2 (en) Insulation ti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A2530334A1 (en) Rainscreen apparatus and method
JP5189326B2 (en) Composite panel for outer heat insulation and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362797Y1 (en) PVC waterproofing sheet with foaming layer
WO1994001625A1 (en) Drive-in type concrete form for underground wall
KR101173410B1 (en) Complex waterproof method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39151B1 (en) Complex waterproof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eakage with deaeration-tube and method thereof
JP2000034808A (en) Heat insulating and waterproof board and heat insulating and waterproof structure of roof using the same
KR20050120222A (en) Pvc waterproofing sheet with foaming layer and insulation-type joint structure of waterproofing sheet
US20100021686A1 (en) Sandwich panel
JP5652754B2 (en) Waterproof surfac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GB2151981A (en) Preformed barrier
GB2571619A (en)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200087498A (en) Corner finishing member of coner for building structures
KR20140028296A (en) Composite asphalt waterproof sheet integral lightweight prefabricated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64981B1 (en) Mesh urethane waterproofing sheet for apartment rooftop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ited with urethan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