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592A -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592A
KR20160006592A KR1020150088352A KR20150088352A KR20160006592A KR 20160006592 A KR20160006592 A KR 20160006592A KR 1020150088352 A KR1020150088352 A KR 1020150088352A KR 20150088352 A KR20150088352 A KR 20150088352A KR 20160006592 A KR20160006592 A KR 2016000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information
article
rea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훈
전철우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592A/ko
Publication of KR2016000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와 통신하고,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을 각각 식별하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독출하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에서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RODUCTS TAGGED WITH RFID}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ID 태그를 식별하는 물품식별장치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태그정보의 중복여부를 판단하여 인식함으로써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고,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인식된 태그정보를 관리한다.
종전에는 대량의 물품을 빠르게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를 이용하여 물품을 식별하고 관리하였지만, 바코드의 경우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적고, 바코드리더기를 물품에 접촉하여 스캔함으로써 한번의 스캔 당 하나의 물품만 인식할 수 있어, 물류처리속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IC칩을 이용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보급되면서 해결되었다.
즉, RFID태그를 이용함으로써, 바코드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고, 리더기를 이용한 한번의 스캔으로 복수개의 물품을 인식할 수 있어 물류처리속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경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한번에 인식되기 때문에, RFID 리더기의 신호 범위 또는 물품이 놓여진 환경에 따라 기존에 인식되었던 RFID 태그가 반복적으로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 10-2009-0089720 호는 포터블 방식의 RFID 스캔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 USB를 이용한 호스트 디바이스와의 연결 설치가 되도록 하여 USB의 DC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RFID 태그를 식별하면서, 식별된 RFID 태그의 태그정보 중 중복되는 태그정보를 제외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조건에 해당하는 물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RFID 태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태그식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태그정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에서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물품식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와 동기화시켜 태그정보의 손실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와 통신하고,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을 각각 식별하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독출하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에서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와 통신하고,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식별장치 및 상기 정보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상기 물품식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설정관리부, 상기 물품식별장치와 상기 설정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물품식별장치에서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물품식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수신된 태그정보를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와, 독출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물품식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품식별장치는,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되, 상기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 미만인 경우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저장하며, 상기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에 도달하면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관리장치는, 상기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물품식별장치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물품식별장치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와 통신하고,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가 물품을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을 각각 식별하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독출하는 단계, 상기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RFID 태그를 독출하여, 독출된 RFID 태그의 태그정보 중 중복되는 태그정보를 제외하여 저장함으로써 동일한 물품의 중복저장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조건에 해당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RFID 태그를 선택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일실시예는 태그정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에서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물품식별장치를 제어하고,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와 동기화시켜 태그정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물품식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태그정보’는 물품에 부착된RFID 태그에 저장되어 정보로 물품을 식별할 수 있는 일련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태그정보에는 해당 물품이 분류되는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갖는 ‘항목번호’와 동일한 항목에 속하는 물품을 각각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인 ‘고유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동일한 항목에 속하는 동종의 물품은 각 물품에 부착된 태그정보에 포함된 항목번호는 일치하여도 고유번호가 상이하므로 물품을 각각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식별장치(20)가 RFID태그를 리딩하는데 따른 설정 조건을 ‘리딩조건’이라 하며, 이러한 리딩조건에는 RFID 태그에 송신하는 신호의 강도, 알림음의 크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체를 결정하는 제어모드, 특정 종류의 물품의 태그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필터링조건이 있으며, 이러한 리딩조건을 설정한 정보를 ‘설정정보’라고 한다.
이때 제어모드는 정보관리장치(10)에서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장치제어모드’와 물품식별장치(20)에서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식별장치제어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모드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받아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될 수 있는 태그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개수 미만인 경우 제어모드는 식별장치제어모드로 결정될 수 있고, 설정개수에 도달한 경우 관리장치제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종류의 물품의 태그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필터링조건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필터링정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필터링정보는 RFID 태그식별장치에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에 해당되는 특정 물품만이 선택적으로 인식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EPC Global 표준에 따른 EPC Manager 필드의 필드값이 특정 주체에 대응하는 값이거나 Object Class 필드값이 특정 Class에 대응하는 값이 되도록, 필터링정보는 태그정보의 특정 필드와 해당필드에서 대응여부를 확인할 필드값을 특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우선 물품식별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구성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N1, N2)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네트워크(N1, N2)에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Bluethooth) 등과 같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 등을 1:1 로 직접 연결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유/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관리장치(10)는 네트워크(N1, N2)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관리장치(10)는 후술할 물품식별장치(20)와 네트워크(N2)를 통해 연결되어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하거나 정보관리장치(1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 송신할 수 있고, 저장된 태그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저장된 태그정보를 후술할 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정보관리장치(10)에는 태그정보 및 후술할 물품식별장치(20)와 연결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정보관리장치(10)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서버(30)로부터 물품식별장치(20)와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인증을 위한 암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관리장치(10)는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제어하는 설정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설정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식별장치(20)는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할 수 있고,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RFID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고,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독출된 태그정보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식별장치(20)는 정보관리장치(10)의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정보관리장치(10)와 네트워크(N2)를 통한 통신연결을 형성하여 태그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정보관리장치(10)에서 리딩조건을 제어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식별장치(20)는 RFID 태그에서 태그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안테나를 통해 RFID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여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독출하면, 독출된 태그정보가 기존에 독출되어 저장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의 동일여부를 비교할 수 있고,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독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하여 태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물품식별장치(20)는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모드에 따라 독출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송신하고,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는 범용성이 있는 컴퓨터로 구성된 일반적인 서버이며, 네트워크(N1)를 통해 정보관리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는 네트워크(N1)를 통해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한 태그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정보관리장치(10)가 네트워크(N2)를 통해 통신연결을 요청한 물품식별장치(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식별장치(20)와 정보관리장치(10)간 네트워크(N2)를 통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보관리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정보관리장치(10)의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정보를 입력받고, 후술할 물품식별장치(20)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통신을 연결할 물품식별장치(20)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인 제어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모드의 전환을 위한 저장가능한 태그정보의 개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설정관리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관리장치(10) 및 물품식별장치(20)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물품식별장치(20)를 제어하는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설정관리부(120)는 사용자가 정보관리장치(10)에 직접 입력한 설정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물품식별장치(20)에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후술할 송수신부(140)에서 수신하면, 수신된 설정정보를 송수신부(14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보관리장치(10)와 물품식별장치(20) 사이에 통신이 단절되었다 재형성된 경우에 설정관리부(12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 전송함으로써 물품식별장치(20)를 빠르게 재설정할 수 있어, 물품식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물품식별장치(20)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설정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설정관리부(120)는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새로운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저장된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알림부(130)는 정보관리장치(10)와 물품식별장치(20) 사이의 통신연결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앞서 상태알림부(130)는 정보관리장치(10)와 물품식별장치(20) 사이에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물픔식별장치(20)와 통신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알림부(130)는 블루투스(N2)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물품식별장치(20)의 리스트를 송수신부(140)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물품식별장치(20)와 통신이 연결되면, 상태알림부(130)는 통신연결이 성공하였음을 팝업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블루투스의 신호감도 또는 통신속도 등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물품식별장치(20)와 통신연결이 실패하면, 사용자에게 통신연결을 다시 시도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알림부(130)는 통신이 연결된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태그정보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의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송수신부(140)는 네트워크(N2)를 통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물품식별장치(20)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물품식별장치(20)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태알림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40)는 블루투스(N2) 통신이 가능한 물품식별장치(20)를 검색할 수 있고, 블루투스(N2) 통신이 가능한 장치 중 장치의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블루투스(N2) 연결이 가능한 물품식별장치(20)만을 포함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송수신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물품식별장치(2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고, 연결된 물품식별장치(20)와 설정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부(140)와 연결된 물품식별장치(20) 사이의 통신이 단절된 경우, 상태알림부(130)는 사용자에게 통신이 단절된 물품식별장치(20)와의 통신을 재형성할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고, 물품식별장치(20)와 통신이 재형성되면, 상태알림부(130)는 물품식별장치(20)로 설정관리부(120)에 저장된 설정정보 및 후술할 정보저장부(150)에 저장된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저장부(150)는 송수신부(140)로부터 전달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저장부(150)는 수신된 태그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의 식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고, 각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동기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한 가장 최근의 시간과 통신연결 여부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40)가 물품식별장치(20)와 단절된 통신이 재형성된 경우, 정보저장부(150)는 송수신부(140)를 통해 물품식별장치(20)로 저장된 태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40)가 단절된 통신이 재형성되면, 상태알림부(130)는 사용자에게 물품식별장치(20)의 데이터를 복원할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복원을 선택하면, 정보저장부(150)는 물품식별장치(20)의 식별정보를 송수신부(14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된 물품식별장치(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수신되어 기 저장된 태그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물품식별장치(20)의 데이터 복원을 선택하지 않으면, 정보저장부(150)는 물품식별장치(20)에서 독출되어 기 저장된 태그정보를 삭제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송수신부(140)를 통해 물품식별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모드에 기초하여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에 도달한 경우, 송수신부(140)는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판단부(160)는 수신된 태그정보와 정보저장부(15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비교하여 새로 수신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새로운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체는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될 수 있는 태그정보의 개수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정보에 포함된 태그정보의 설정개수에 도달되어 제어모드가 관리장치제어모드인 경우, 판단부(160)는 물품식별장치(20)에서 독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60)가 수신된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한 경우, 판단부(160)는 송수신부(140)를 통해 물품식별장치(20)로 수신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품식별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물품식별장치(20)의 토글스위치(210)는 후술할 리딩부(220)에서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RFID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토글스위치(210)가 토글되면, 리딩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을 각각 식별하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독출할 수 있다.
즉, 리딩부(220)는 RFID 태그를 독출할 수 있는 RFID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송신된 신호에 응답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딩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설정에 기초하여 RFID 태그로 송신할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면, 신호의 세기에 따라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가 달라지므로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내의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되는 태그정보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앞서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관리장치(10) 및 물품식별장치(20)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물품식별장치(20)를 제어하는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식별장치(20)에 직접 입력되는 설정정보에 기초하거나 또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RFID 태그에 송신할 신호의 강도, 알림소리의 크기, 제어모드 또는 필터링조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설정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어부(23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230)는 입력된 설정정보를 후술할 통신부(250)를 통해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가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설정하였으나 사용자가 물품식별장치(20)를 통해 신호의 강도를 변경하면, 제어부(230)는 변경된 설정정보를 후술할 통신부(250)를 통해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30)는 리딩부(220)로부터 RFID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독출된 태그정보가 기존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드가 식별장치제어모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리딩부(220)로부터 전달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에 포함된 태그정보의 설정개수가 22,000개이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10,000인 경우, 제어부(230)는 독출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하지 않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동일여부를 비교할 수 있으며, 독출된 태그정보와 동일한 태그정보가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후술할 알림부(260)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되었음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드가 관리장치제어모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독출된 태그정보를 후술할 통신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에 포함된 태그정보의 설정개수가 22,000개이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22,000인 경우, 제어부(230)는 리딩부(220)에서 전달된 태그정보를 후술할 통신부(250)를 통해 정보관리장치(10)로 송신할 수 있고, 정보관리장치(10)에서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30)는 후술할 알림부(260)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되었음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종류의 물품의 태그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정보인 필터링정보에 기초하여, 독출된 태그정보가 필터링정보에 대응하는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한미약품’에 해당되는 약품만을 선별하기 위해 설정한 필터링정보에 기초하여, 독출된 태그정보가 한미약품에서 제조한 약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항목번호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태그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230)는 필터링정보에 해당되는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부(240)는 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태그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저장부(240)에 기저장된 태그정보가 아닌 필터링정보에 대응하는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설정정보와 함께 필터링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필터링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리딩부(220)에서 독출한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한 경우,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40)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정보에 포함된 설정개수 미만인 경우, 저장부(240)는 제어부(230)에서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50)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N2)를 통해 통신연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된 통신 방법에 따라 정보관리장치(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관리장치(10)에서 블루투스(N2)를 이용하여 물품식별장치(20)와 연결하기 위해 블루투스(N2) 연결이 가능한 물품식별장치(20)만이 나열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물품식별장치(20)를 선택하면, 선택된 물품식별장치(20)의 통신부(250)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블루투스(N2) 연결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정보관리장치(10)와 블루투스(N2)를 이용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N2)의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250)는 형성된 통신연결을 통해 정보관리장치(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저장부(240)에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저장되면, 통신부(250)는 저장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송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장부(240)와 정보관리장치(1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한편, 정보관리장치(10)와 물품식별장치(20)사이에 형성된 통신채널이 단절되었다 재형성된 경우, 통신부(250)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정보관리장치(1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저장부(240)가 제어부(230)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전달받으면, 저장부(240)는 전달받은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태그정보를 통신부(250)로 전달하여 정보관리장치(1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50)와 정보관리장치(10) 사이에 네트워크(N2)를 통한 통신연결이 단절되면, 저장부(240)는 저장된 태그정보를 모두 삭제할 수 있고, 단절된 통신연결이 재형성되어 정보관리장치(1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통신부(250)로부터 전달받으면, 저장부(240)는 전달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가 독출된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하거나 또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알림부(26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형태 및 청각적인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새로 독출된 태그가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260)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빛을 발광하는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될 때마다 램프를 통해 빛을 발광하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함으로써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방법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정보관리장치(10) 및 물품식별장치(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정보관리장치(10) 및 물품식별장치(2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물품식별장치(20)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통신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S400).
이에 앞서, 정보관리장치(10)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정보관리장치(10)는 네트워크(N2)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물품식별장치(20)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관리장치(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정보관리장치(10)는 블루투스(N2)를 설정하기 위한 인증암호를 관리서버(30) 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정보관리장치(10)는 블루투스(N2) 연결이 가능한 물품식별장치(20)만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물품식별장치(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물품식별장치(20)로 정보관리장치(10)의 식별정보와 블루투스(N2)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암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식별장치(20)가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정보관리장치(10)의 식별정보와 암호를 수신하면, 물품식별장치(20)는 수신된 암호를 기초로 블루투스(N2)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정보관리장치(1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식별장치(20)는 정보관리장치(10)와 통신연결이 되었음을 램프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정보관리장치(10)와 물품식별장치(20)간 연결된 통신이 단절되면, 물품식별장치(20)는 저장된 태그정보를 모두 삭제할 수 있고, 설정정보에 기초한 리딩조건 역시 초기화시킬 수 있으며, 정보관리장치(10) 및 물품식별장치(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통신연결의 단절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는 정보관리장치(10)와 통신연결이 단절되었음을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간격을 갖는 알림음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관리장치(10)는 사용자에게 물품식별장치(20)와 통신 연결상태를 복원할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S401).
이에 사용자가 연결상태 복원을 선택하면, 정보관리장치(10)는 물품식별장치(20)에 대한 설정정보 또는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태그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S402), 물품식별장치(20)는 전송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리딩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전송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물품식별장치(20)는 물품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통신이 끊겨도 처음부터 물품을 다시 스캔하지 않고, 최근 위치에서 물품을 스캔을 수행할 수 있어 물품식별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S4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연결상태 복원을 선택하지 않으면, 정보관리장치(10)는 물품식별장치(20)로 기 저장된 설정정보 또는 태그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설정할 새로운 설정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S403).
그리고 정보관리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정보를 물품식별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S404).
이후, 물품식별장치(20)는 S402 단계 또는 S404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S405).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는 전파의 강도, 알림음의 크기 또는 제어모드 등을 포함하는 설정정보에 따라 리딩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다른 실시예로서, 물품식별장치(20)는 물품식별장치(20)의 표시창(미도시)을 통해 물품식별장치(20)의 리딩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설정받을 수 있고, 설정된 설정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하여, 물품식별장치(20)에 대한 설정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이후, 물품식별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토글스위치가 동작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S406), 토글스위치가 동작되면, 물품식별장치(20)는 RFID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신하고(S407),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물품을 각각 식별할 수 있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할 수 있다(S408).
즉, 물품식별장치(20)가 정보관리장치(10)와 네트워크(N2)를 통해 통신이 연결되면, 물품식별장치(20)는 RFID 태그를 식별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RFID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송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가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물품이 배치된 선반을 향하여 송신하면,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태그정보에는 물품이 속하는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번호와 물품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고유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 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식별장치(20)가 물품을 식별하는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물품식별장치(20)는 정보관리장치(10)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선반(50)에 배치된 물품(51)을 스캔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안테나(52)에서 물품(51)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403 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 종류의 물품만을 인식하도록 필터링정보를 설정한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필터링정보에 포함된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번호를 포함하는 태그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정보관리장치(10)에서 필터링정보를 설정하면, 물품식별장치(20)는 정보관리장치(10)로부터 필터링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S408단계에서 독출된 태그정보에 수신된 필터링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물품식별장치(20)에서 필터링정보를 설정하면, 물품식별장치(20)는 S408단계에서 독출된 태그정보에 수신된 필터링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미제약에서 생산한 약품만을 식별하도록 필터링정보를 설정한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한미제약에 대응하는 항목번호인 ‘093854’ 를 포함하는 태그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물품식별장치(20)는 동일한 태그정보의 중복저장을 방지하기 위해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때 물품식별장치(20)는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모드가 관리장치제어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9).
제어모드가 관리장치제어모드인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S408 단계에서 독출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고(S410), 정보관리장치(10)는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1).
예를 들어, 정보관리장치(10)는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따라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를 인식할 수 있고,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정보에 포함된 설정개수에 도달한 경우, 정보관리장치(10)는 정보관리장치(10)와 물품식별장치(20)는 설정개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같은 수의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설정개수 이후부터 물품식별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되면, 정보관리장치(10)는 수신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S412), 물품식별장치(20)로 독출된 태그정보에 대한 판단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아닌 경우, 정보관리장치(10)는 수신된 태그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물품식별장치(20)로 수신된 태그정보의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S409 단계에서 제어모드가 관리장치제어모드가 아닌 식별장치제어모드인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3).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 중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동일한 태그정보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물품식별장치(20)는 통신연결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 없이 빠른 속도로 수신된 태그정보의 중복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관리장치(10) 또는 물품식별장치(20)에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는 태그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새로운 태그정보만을 저장함으로써 동일한 물품의 중복저장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물품식별장치(20)에서 판단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아닌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S408 단계로 되돌아가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할 수 있고, S409 단계에서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에 도달되어 식별장치제어모드에서 관리장치제어모드로 제어모드가 전환된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독출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물품식별장치(20)가 독출된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 것으로 판단하면, 물품식별장치(20)는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414).
이때, 물품식별장치(20)는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정보관리장치(10)로 전송하여 정보관리장치(10)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S411 단계 내지 S414 단계에서 물품식별장치(20)이 독출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되어 정보관리장치(10) 또는 물품식별장치(20)에 저장되면, 물품식별장치(20)는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415).
예를 들어, 물품식별장치(20)가 독출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 경우, 물품식별장치(20)는 알림음인 “삐” 소리를 통해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알림음이 울리지 않을 때까지 물품을 스캔함으로써 모든 물건이 식별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물품식별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물품식별시스템
10: 정보관리장치
20: 물품식별장치
110: 입력부 140: 송수신부
120: 설정관리부 150: 정보저장부
130: 상태알림부 160: 판단부
210: 토글스위치 240: 저장부
220: 리딩부 250: 통신부
230: 제어부 260: 알림부

Claims (8)

  1.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와 통신하고,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을 각각 식별하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독출하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에서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물품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비교하여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관리장치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판단받는, 물품식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식별장치 및 상기 정보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상기 물품식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식별장치의 리딩조건을 설정하는, 물품식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식별장치는,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정보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형태 및 청각적인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태그정보의 독출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물품식별장치.
  5.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정보관리장치와 통신하고,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독출하는 물품식별장치가 물품을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을 각각 식별하는 태그정보를 하나 이상 독출하는 단계;
    상기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 중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식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물품식별장치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비교하여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의 개수가 설정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정보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관리장치로부터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식별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식별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식별장치 및 상기 정보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된 상기 물품식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식별장치의 리딩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식별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가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식별장치 또는 상기 정보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독출된 태그정보를 새로 독출된 태그정보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형태 및 청각적인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태그정보의 독출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식별방법.

KR1020150088352A 2015-06-22 2015-06-22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KR2016000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52A KR20160006592A (ko) 2015-06-22 2015-06-22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52A KR20160006592A (ko) 2015-06-22 2015-06-22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265A Division KR101673209B1 (ko) 2014-07-09 2014-07-09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592A true KR20160006592A (ko) 2016-01-19

Family

ID=5530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352A KR20160006592A (ko) 2015-06-22 2015-06-22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5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9238B2 (en) Encoded information reading terminal with item locate functionality
US79288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oss or theft using wireless PAN or LAN
US8258953B2 (en) Display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 range of an RFID reader based on feedback from fixed RFID beacon tags
JP5818973B2 (ja) 電子棚札のための方法及び構成
US20220051310A1 (en) Methods Using Electronic Shelf Labels To Improve Item Gathering In Store And Warehouse Systems
JP2017045440A (ja) 物品を発見し位置特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56969A1 (en) Tracking rfid object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link
US20120092134A1 (en) Determining item location within a space based on feedback fro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s and tags
US10726214B2 (en) Integrated stationary RFID reader
WO2016034057A1 (zh) 天线功能扩展装置、设备和对天线进行功能扩展的方法
EP3640848B1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article processing using rfid and lpwan technology
KR101673209B1 (ko)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KR101930406B1 (ko) 상품 유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50014559A (ko) 전자 선반 라벨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06592A (ko)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식별방법 및 장치
US20180165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object using rfid tag
KR101800000B1 (ko) 물품 분실 방지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0984A1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WO2021140983A1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US10403109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assets stored in communication tags
US9749777B2 (en) Message notification method and messag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message access method
KR100804478B1 (ko) 기상 정보 및 일정에 따라 물품을 준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KR102166282B1 (ko) 산업용 통합 코드 스캐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26714A1 (en) Managing channel map update information in local wireless networks
WO2024045118A1 (en) MANAGING SCHEDULING OF AUXILIARY CONNECTION REQUEST MESSAGES (ACRQ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