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586A -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586A
KR20160006586A KR1020150065550A KR20150065550A KR20160006586A KR 20160006586 A KR20160006586 A KR 20160006586A KR 1020150065550 A KR1020150065550 A KR 1020150065550A KR 20150065550 A KR20150065550 A KR 20150065550A KR 20160006586 A KR20160006586 A KR 2016000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user
growth
even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제
조훈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to KR102015006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586A/ko
Publication of KR2016000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 그래픽 아이콘으로서의 아바타 생성을 위해,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설정 및 아바타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을 검색하고,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이벤트 발생시 마다 능력 지수에 의해 아바타가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ME, METHOD FOR PROVIDING AVATAR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학습 방법은 학교 또는 학원과 같은 특정한 교육 장소에서 일정한 교과과정에 따라 교수 또는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면,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수업과 관련된 교재 또는 자료를 복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학습방법은 학생들이 교육 장소로 이동을 하기 위한 별도의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고, 무엇보다도 다양한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들을 무시한 채 일방적인 평준화된 강의가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교육자인 학생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일정한 교육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가정에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방법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이미 제작된 소정의 강좌를 다운로드(download)받거나 실시간(realtime)으로 수강하고, 장기간 수집한 다량의 문항분석카드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한 문제은행을 통해 임의로 문제가 출제되면 학생들이 이를 풀고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온라인 학습방법은 오프라인식의 교육방법과 달리 특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특히 학습수준 또는 난이도별로 강좌를 개설하여 학생 스스로 알맞은 교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학습방법은 학생들의 학습 상태를 관리 및 감독할 관리자(예컨대, 선생님, 부모님 등)의 관여가 없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가 의지를 새롭게 하지 않는 이상 학습 의욕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의지력이 약한 학생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 사이트에 접속하고, 일정한 범위를 학습하는 일련의 과정이 그 편리성으로 인해 지루함을 느끼기 십상이며, 이로 인해 공부에 대한 흥미를 잃고 온라인 학습의 교육적 효과가 오히려 퇴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8-0029423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하는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제공하고 학습 성취도에 따라 아바타를 성장시킴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 그래픽 아이콘으로서의 아바타 생성을 위해,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설정 및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상기 이벤트 및 상기 능력 지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 마다 상기 능력 지수에 의해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를 상기 온라인 공간에서 성장시키는 성장기간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의 그래픽 아이콘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학업 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이벤트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상기 아바타의 성장 그래픽 아이콘을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는, 상기 능력 지수 설정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 그래픽 아이콘으로서의 아바타 생성을 위해,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설정 및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상기 이벤트 및 상기 능력 지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 마다 상기 능력 지수에 의해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아바타를 상기 온라인 공간에서 성장시키는 성장기간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아바타의 그래픽 아이콘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학업 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이벤트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상기 아바타의 성장 그래픽 아이콘을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지수 설정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하는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제공하고 학습 성취도에 따라 아바타를 성장시킴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 화면의 예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 결과 및 아바타 성장 단계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용자별 성장 파라미터 정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집단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의 화면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부(110), 생성부(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40)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가지며,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 생성하고, 이벤트 발생시 마다 아바타가 설정된 능력 지수에 의해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라 함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 그래픽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보통 온라인 공간에서는 문자로 된 ID를 정체성의 기반으로 삼지만 그래픽 아이콘인 아바타는 사이버 이용자의 정체성을 시각화한 것으로, 조작과 변형이 가능한 아바타를 통해 현실이 아닌 가상공간 속에서 사람들은 자유로운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아바타는 그래픽 위주의 가상사회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가상육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아바타가 이용되는 분야는 채팅이나 온라인게임 외에도 사이버 쇼핑몰, 가상교육, 가상오피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아바타 생성 조건이라 함은, 아바타를 온라인 공간에서 성장시키는 성장기간,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예를 들어 학업 성취도 평가, 아바타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지수, 예를 들어 학습 시간에 대응되는 학습 성실도 및 아바타의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라 함은, 성장기간 동안 이벤트 발생시 마다 아바타가 능력 지수에 의해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바타, 아바타 생성 조건 및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는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에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아바타 생성 조건으로서, 아바타 생성을 위한 성장기간 설정, 이벤트 설정, 능력 지수 설정 및/또는 그래픽 아이콘 설정을 수신한다. 이하, 아바타 생성 조건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생성부(120)는 아바타 생성 조건 수신이 완료되면,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40)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을 검색한다. 생성부(120)는 검색한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를 생성한다. 상기 능력 지수가 유사하다는 것은 상기 임의의 사용자의 능력 지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능력 지수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생성부(120)가 생성하는 아바타는,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아바타의 그래픽 아이콘 형태 일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 생성 조건에 포함되는 아바타의 능력 지수의 개수와 생성부(120)에서 생성하는 아바타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가 3개의 아바타 능력 지수를 수신하는 경우 생성부(120)는 3개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아바타 생성 조건에 포함되는 성장 기간 동안 이벤트 발생시 마다 능력 지수에 의해 아바타가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한다.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사용자 개별적으로, 지능 지수, 감성 지수, 건강 지수, 도덕성 지수, 창의성 지수, 사회성 지수, 인간 관계 지수, 인성 지수, 적성 지수, 태도 지수, 흥미 지수, 가치관 지수, 네트워크 지수, 학습 시간, 학습 성실도 지수, 학업 성취도 평가 항목(이벤트) 및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점수 등을 나타내는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지능 지수(IQ: intelligence quotient)는 연령대별로 구분된 계산력, 기억력, 어휘력 등 일련의 문제들로 테스트한 지능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감성 지수(EQ: emotional quotient)는 지능 지수와는 질이 다른 지능으로, 감성 지수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과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방향으로 감정을 통제할 줄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건강 지수(HQ: health quotient)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어 현재의 건강 상태 또는 과거의 병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덕성 지수(MQ: morality quotient)는 양심에 어긋나지 않게 행동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창의력 지수(CQ: creative quotient)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능력. 창의성은 보통 창의적 사고 성향인 자발성, 독자성, 집착성, 정직성, 호기심 등을 살펴보고 진단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사회성 지수(SQ: social quotient)는 상대방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타인과 잘 어울리는 능력으로, 여러 사람 간의 협업이 늘어나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인성 지수(PQ: personality quotient)는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개인의 고유한 성질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적성 지수(AQ: aptitude quotient)는 일정한 훈련에 의해 숙달될 수 있는 개인의 능력, 즉 어떤 특정 활동이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이 어느 정도 있으며, 그러한 능력의 발현 가능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직무 지수(JQ: job quotient)는 직업상 담당자에게 맡겨진 임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태도 지수(MQ; manner quotient)는 어떤 사물이나 상황 따위를 대하는 자세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흥미 지수(IQ: interest quotient)는 어떤 대상·활동·경험 등에 대해 계속적으로 그것에 몰두하거나 아니면 그것을 그만두려고 하는 행동 경향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가치관 지수(SOVQ: sense of value quotient)는 사람이 자기를 포함한 세계나 그 속의 어떤 대상에 대하여 가지는 평가의 근본적 태도나 관점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네트워크 지수(NQ: network quotient)는 정보화 시대에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학습 시간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학습한 전체 시간 또는 평균 학습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성실도 지수는 학습 시간과 연계되며, 학습 시간이 많을수록 성실도 지수는 상승된다. 또한 학업 성취도 평가 항목(이벤트)은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 정도를 알기 위해 수행하는 테스트로서, 학업 성취도 평가 이외에, 예를 들어, 피아노 대회, 미술 대회 등과 같은 학외 성취도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업 성취도 점수는 학업 성취도 평가 수행 후 사용자가 취득한 점수를 나타내며, 어느 한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과목에 대한 점수, 또는 다수의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과목에 대한 평균 점수, 어느 한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전체 과목의 평균 점수 또는, 다수의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전제 과목의 평균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종사하는 분야와 관련된 직업 정보, 또는 진학 분야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진학 정보(출신 대학 및 출신 학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성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에 제시한 지수 및 정보들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학습 및 성장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장 파라미터 정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저장부(140)가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저장부(14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서 존재할 수 있고,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은, 유선 회로망을 통해 전기 신호가 소통되는 것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망을 통한 전기 신호의 소통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구별되고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NW)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본 실시 예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 내에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T1)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T1)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수신부(110), 생성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도 3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저장부(140)를 포함하는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저장부(140)가 일부(100B)로서 사용자 단말기(T1)와 네트워크(NW)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네트워크(NW)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기(T1)가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데이터베이스(200D)와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된 정보를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200D)의 내용은 도 1의 저장부(140)의 내용과 동일하다.
사용자 단말기(T1)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1)는 사용자 단말기(T1)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하여 아바타 생성 조건을 입력하고, 아바타 생성 조건에 해당하는 아바타 생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T1)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하여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수신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사용자 단말기(T1)의 요청에 의해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00D)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가지며,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 생성하고, 이벤트 발생시 마다 아바타가 설정된 능력 지수에 의해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에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 화면을 제공하고(S610), 사용자 단말기(T1)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62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 화면의 예시도 이다. 전술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에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T1)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아바타 생성 화면은 아바타 성장 기간 설정 영역(710), 이벤트 설정 영역(720), 아바타 능력 지수 설정 영역(730),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설정 영역(740) 및/또는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설정 영역(750)을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성장 기간 설정 영역(710)에서, 사용자는 아바타의 성장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성장 기간은 년/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간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 기간은 2014년 5월 17일부터 2015년 5월 17일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벤트 설정 영역(720)에서, 사용자는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라 함은, 예를 들어 아바타 성장 기간 내에 수행되는 예를 들어, 모의 고사, 일제 고사 등과 같은 학업 성취도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학업 성취도 평가에 국한되지 않으며, 피아노 대회, 미술 대회 등과 같은 학외 성취도 평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설정 영역(72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벤트는 제1 내지 제N 학업 성취도 평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이벤트(사용자 이벤트 설정)를 설정할 수 있다.
아바타 능력 지수 설정 영역(730)에서, 사용자는 아바타가 설정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능력 지수라 함은 학습 시간과 관련된 학습 성실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의 능력 지수를 제1 학습 성실도로 설정한 경우 해당 아바타는 하루에 1-2시간 학습을 수행함을 나타낼 수 있다. 아바타의 능력 지수를 제3 학습 성실도로 설정한 경우 해당 아바타는 하루에 3-4시간 학습을 수행함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학습 시간은 상기와 같이 시간이 정해진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아바타의 능력 지수 변경이 가능하다. 아바타 능력 지수 설정 영역(73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능력 지수는 제1 내지 제N 학습 성실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의 능력 지수 설정 개수와 아바타 생성 개수는 동일 할 수 있다.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설정 영역(740)에서, 사용자는 다양하게 제공되는 그래픽 아이콘 중 원하는 그래픽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다. 아바타 능력 지수 설정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영역(750)에서, 사용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자신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영역(750)은 사용자 이미지 선택 영역(751), 얼굴 선택 영역(752), 머리 모양 선택 영역(753), 몸체 선택 영역(754) 및/또는 조합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영역(75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이미지 선택 영역(751)에서, 사용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 들 중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으로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얼굴 선택 영역(752)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이미지와 동일한 얼굴 또는 선택된 이미지와 유사한 얼굴을 선택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얼굴 선택 영역(752)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 및 사용자 얼굴과 유사한 얼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얼굴과 유사한 얼굴 제공 시에, 사용자 얼굴로부터 특징점(눈, 코, 입 등)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특징과 유사한 얼굴을 저장부(140)로부터 검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머리 모양 선택 영역(753)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이미지 동일한 머리 모양 또는 임의의 머리 모양을 선택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머리 모양 선택 영역(753)에 다양한 머리 모양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 선택 영역(754)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몸체를 선택할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몸체 선택 영역(754)에 다양한 몸체 모양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조합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영역(755)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얼굴, 머리 모양 및 몸체를 조합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그래픽 아아콘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 결과 및 아바타 성장 단계 화면 예시도 이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아바타 생성 결과 및 아바타 성장 단계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T1)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는 아바타 생성 결과를 보이는 도면이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 입력에 따라 생성된 아이콘, 성장 기간(2014년 5월 17일부터 2015년 5월 17일), 이벤트(전체 학업 성취도) 및 아바타 능력 지수(제7 학습 성실도)를 설정한 결과를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아바타 생성 결과는, 도 7의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설정 영역(740)에서 선택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의 사용자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영역(750)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일 수 있다.
*도 9의 (b)는 아바타 성장 단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로 아바타 성장 단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 성장 단계 정보라 함은, 아바타가 능력 지수에 의해 이벤트를 처리한 결과, 즉, 학업 성취도 평가 수행 결과로 획득한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의 (b)에서 아바타 성장 단계는 제1 성장 단계 내지 제6 성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장 단계는 학업 성취도 점수가 0-50점으로 절실한 노력이 요망되는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성장 단계는 학업 성취도 점수가 51-60점으로 노력이 요망되는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성장 단계는 학업 성취도 점수가 61-70점으로 보통인 제3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성장 단계는 학업 성취도 점수가 71-80점으로 양호한 제4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제5 성장 단계는 학업 성취도 점수가 81-90점으로 우수한 제5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제6 성장 단계는 학업 성취도 점수가 91-100점으로 최고인 제6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아바타 성장 단계를 제1 성장 단계 내지 제6 성장 단계로 한정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업 성취도 점수의 분류에 따라 더 많은 성장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아바타 성장 단계는, 도 7의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설정 영역(740)에서 선택된 아바타를 이용한 성장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다른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의 사용자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한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영역(750)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를 이용하여 성장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다른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성장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다른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성장 단계에 대응하는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시에, 저장부(140)에 저장된 출생 후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들 중 어느 한 이미지를 도 8과 연동하여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성장 단계에 대응하는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시에, 저장부(140)에 저장된 유치원 입학 후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들 중 어느 한 이미지를 도 8과 연동하여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성장 단계에 대응하는 제3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생성 시에, 저장부(140)에 저장된 초등학교 입학 후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들 중 어느 한 이미지를 도 8과 연동하여 제3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성장 단계에 대응하는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성장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함으로, 사용자의 성장과정 정보도 함께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성장 단계에 대응하는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사용자의 성장 과정을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임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성장 단계에 대응하는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와서, 아바타 생성 조건 정보를 수신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40)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 검색한다(S6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용자별 성장 파라미터 정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저장부(140)에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지능 지수, 감성 지수, 건강 지수, 도덕성 지수, 창의성 지수, 사회성 지수, 인간 관계 지수, 인성 지수, 적성 지수, 태도 지수, 흥미 지수, 가치관 지수, 네트워크 지수, 학습 시간, 학습 성실도 지수, 학업 성취도 평가 항목(이벤트) 및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점수 등을 나타내는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성장 파라미터 정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부(140)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 검색하는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집단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a)는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b)는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로부터 사용자와 사용자 집단에 포함된 사용자(AA, BB, CC, DD)들은 학습 시간, 학습 성실도, 학업 성취도 점수를 제외한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와서,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 검색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한 임의의 사용자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를 생성한다(S640).
도 11을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자 BB의 성장 파라미터를 모델로 하는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아바타 생성 조건 설정 시에 사용자 BB와 동일한 이벤트를 설정하고, 아바타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능력지수를 사용자 BB의 능력 지수인 제7 성실도 즉, 학습시간을 8시간 30분/일로 설정하였음에 기인한 것이다. 도 11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능력지수는 제4 성실도 즉, 학습시간을 4시간 20분/일 이며, 아바타 모델(사용자 BB)의 능력지수는 사용자 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아바타 생성 조건에 포함되는 성장 기간 동안 이벤트 발생시 마다 능력 지수에 의해 아바타가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한다(S650).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생성한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는 사용자 단말기(T1)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T1)의 일 영역에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출력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는 반드시 학습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지 않고, 항상 사용자 단말기(T1)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요청할 때만 사용자 단말기(T1)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가 사용자 단말기(T1)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를 보고,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T1)에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로부터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사용자 BB의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른 제5 성장 단계(도 4)에 해당하는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T1)는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것이다. 예를 들어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와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사용자 BB는 동일한 이벤트 즉, 동일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수행하여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점수를 획득한다.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72점을 획득했고,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사용자 BB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84점을 획득하였다고 가정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T1)에는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로서 84점에 해당하는 도 4의 제5 성장 단계에 해당하는 그래픽 아이콘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획득한 학업 성취도 점수 보다 더 높은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사용자 BB에 해당)을 보고,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T1)에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른 제3 단계(도 4)에 해당하는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과,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로부터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사용자 BB의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른 제5 성장 단계(도 4)에 해당하는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가 아바타 생성 조건 입력 시에 자신에 해당하는 제1 아바타의 능력 지수(예를 들어 제3 학습 성실도) 및 경쟁자로써의 제2 아바타의 능력 지수(예를 제7 학습 성실도)를 설정하고,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아바타 및 경쟁자에 대응하는 제2 아바타의 성장 단계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설정한 데 기인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와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사용자 BB는 동일한 이벤트 즉, 동일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수행하여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점수를 획득한다.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63점을 획득했고,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사용자 BB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84점을 획득하였다고 가정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T1)에는 제1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로서 63점에 해당하는 도 4의 제3 성장 단계에 해당하는 그래픽 아이콘과, 제2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로서 84점에 해당하는 도 4의 제5 성장 단계에 해당하는 그래픽 아이콘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및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보고 자신이 경쟁자 보다 학업 성취도 점수가 더 낮음을 인식하고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T1)에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른 제3 단계(도 4)에 해당하는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과,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로부터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제1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른 제2 성장 단계(도 4)에 해당하는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과, 사용자 집단 검색 결과로부터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제2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 점수에 따른 제4 성장 단계(도 4)에 해당하는 제3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가 아바타 생성 조건 입력 시에 자신에 해당하는 제1 아바타의 능력 지수(예를 들어 제3 학습 성실도), 제1 경쟁자로써의 제2 아바타의 능력 지수(예를 제2 학습 성실도) 및 제2 경쟁자로써의 제3 아바타의 능력 지수(예를 제4 학습 성실도)를 설정하고,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아바타의 성장 단계, 제1 경쟁자에 대응하는 제2 아바타의 성장 단계 및 제2 경쟁자에 대응하는 제3 아바타의 성장 단계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설정한 데 기인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와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제1 및 제2 사용자는 동일한 이벤트 즉, 동일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수행하여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점수를 획득한다.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63점을 획득했고,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제1 사용자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56점을 획득하였고, 아바타 모델로 설정된 제2 사용자는 학업 성취도 점수로 예를 들어, 75점을 획득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아바타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T1)에는 제1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로서 63점에 해당하는 도 4의 제3 성장 단계에 해당하는 그래픽 아이콘과, 제2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로서 56점에 해당하는 도 4의 제2 성장 단계에 해당하는 그래픽 아이콘과, 제3 아바타 성장 결과 지표로서 75점에 해당하는 도 4의 제4 성장 단계에 해당하는 그래픽 아이콘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제1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제2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 및 제3 아바타 그래픽 아이콘을 보고 자신이 제1 경쟁자 보다 학업 성취도가 높고, 제2 경쟁자 보다 학업 성취도 점수가 더 낮음을 인식하고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수신부
120: 생성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Claims (13)

  1. 온라인 공간에서 제1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 그래픽 아이콘으로서의 아바타 생성을 위해,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설정 및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상기 각 사용자들이 실제 수행한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 또는 유사하고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를 모델로 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 마다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한 실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실제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채택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를 상기 온라인 공간에서 성장시키는 성장기간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의 그래픽 아이콘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학업 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이벤트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상기 아바타의 성장 그래픽 아이콘을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능력 지수 설정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공간에서 제1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 그래픽 아이콘으로서의 아바타 생성을 위해,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설정 및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상기 각 사용자들이 실제 수행한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성장 파라미터를 구비한 사용자 집단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이벤트 및 능력 지수가 동일 또는 유사하고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학습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파라미터 정보를 모델로 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 마다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한 실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실제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여 성장한 결과로서 채택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를 상기 온라인 공간에서 성장시키는 성장기간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의 그래픽 아이콘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학업 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이벤트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상기 아바타의 성장 그래픽 아이콘을 상기 아바타의 성장 결과 지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학습 성실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능력 지수 설정을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지수 설정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65550A 2015-05-11 2015-05-11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06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50A KR20160006586A (ko) 2015-05-11 2015-05-11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50A KR20160006586A (ko) 2015-05-11 2015-05-11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265 Division 2014-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586A true KR20160006586A (ko) 2016-01-19

Family

ID=5530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550A KR20160006586A (ko) 2015-05-11 2015-05-11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5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7152B2 (en) 2017-03-28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20210094750A (ko) * 2020-01-22 2021-07-3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온라인 또는 모바일을 통한 취업 준비 지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23A (ko) 2006-09-29 2008-04-03 강호석 온라인 학습서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23A (ko) 2006-09-29 2008-04-03 강호석 온라인 학습서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7152B2 (en) 2017-03-28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20210094750A (ko) * 2020-01-22 2021-07-3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온라인 또는 모바일을 통한 취업 준비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Developing a STEM identity among young women: A social identity perspective
Vallade et 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vestigating students’ intentions toward adoption of immersive 360 videos for public speaking rehearsals
Scott et al. Designing a culturally responsive computing curriculum for girls
Manouchehri Implementing mathematical modelling: The challenge of teacher educating
Wang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documentation expertise and its development in collectives: two contrasting cases in China and France
De Coninck et al.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simulations to develop student teachers’ parent-teacher communication competence
Xue et al.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eachers’ classroom technology integration: A multi-case study of teachers’ uses of mobile social media at universities in China
KR20160006586A (ko) 아바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83002B1 (ko) 사용자의 문제 풀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in et al. Learning information ethical decision making with a simulation game
Simmons et al. Teaching ICT
JP2019053270A (ja) 学習力評価システム、学習力評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Nagata et al. Trial for e-learning system on information security incorporate with learning style and consciousness factors
JP6313515B1 (ja) 学習力評価システム、学習者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swell Teaching toward equity in mathematics
Abdallah Impact of combined explicit reflective nature of science and inquiry-based instruction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Höhns The social construction of vocational education-possibilities for change towards status improvement
Toropova Teachers meeting the challenges of the Swedish school system. Agents within boundaries
Mitchell et al. Mobile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uture building academic work in higher education
Sinlapaninman et al. Promoting Virtual Learning Management Competencies in the Metaverse with Mobile Technology to Support Competency-Based Learning for Computer Major Preservice Teachers.
Clayton The Influence of Metropolitan Brisbane Middle-school ICT Experience on Girls' ICT Study and Career Choices
Ibáñez Espiga et al. Creating test questions for 3D collaborative virtual worlds: The WorldOfQuestions authoring environment
SCHULZ Convergence of career development theory into a comprehensive theory and process
US20220068150A1 (en) Organization system, organization process, learning system, memorization process, concept incorporation system, concept incorporation process, and methods of use for understanding general knowledge of important and difficult information
Oglesby-Phelps The Effects of Do the Math Intervention on Tier II Elementary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