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279A -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 Google Patents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279A
KR20160006279A KR1020140084936A KR20140084936A KR20160006279A KR 20160006279 A KR20160006279 A KR 20160006279A KR 1020140084936 A KR1020140084936 A KR 1020140084936A KR 20140084936 A KR20140084936 A KR 20140084936A KR 20160006279 A KR20160006279 A KR 2016000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electromyogram
socket
em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8706B1 (en
Inventor
박세훈
홍범기
이석민
문무성
윤상호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14008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706B1/en
Publication of KR2016000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7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72Bioelectric control, e.g. my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61F2002/7615Measuring means
    • A61F2002/769Displaying measured values

Abstract

Disclosed is a system for diagnosing a myoelectric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diagnosing a myoelectric hand comprises: a bridge module connected to a socket worn by a user for interconnecting a battery, a plurality of electromyographic sensors installed on the socket, and attached to the ski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gripping tool unit; a vision feedback unit connected to the bridge module for inspecting battery conditions, signal processing electromyographic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myographic sensors, and calculat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on the basis of the electromyographic signal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phic signals on a screen; and a gripping tool unit controll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signals.

Description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본 발명은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전 전동의수(Myoelectric hand)를 신속하고 높은 신뢰성으로 유지보수 하기 위한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gnostic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agnostic system for maintaining the number of myoelectric handles quickly and reliably.

상지 절단환자를 위한 근전 전동의수(Myoelectic hand)는 팔의 근육에서나오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인공손을 움직여 물건 등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장애인의 독립적인 사회활동과 일상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대표적 재활 보조 장치다. 근전 전동의수는 사람의 손과 형태가 유사하고 파지동작을 위해 부가적인 장치(몸동작, 버튼)없이 남아있는 잔존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근전 신호를 이용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myoelectic hand for the upper limb amputee use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arm's muscles to move the artificial hand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the hand, thereby ensuring independent social activities and daily living of the handicapped. It is a representative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is similar to that of human hand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utilizes the near-end signal generated by the remaining muscle movement without additional devices (gestures, buttons) for gripping .

근전 전동의수는 크게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3 finger 타입과 5개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5 finger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정밀한 파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파지력이 약하며 가격이 고가다. 따라서 단순 파지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파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유지보수가 저렴한 3 finger 타입의 근전 전동의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can be divided into three finger types, which are gripped by three fingers, and five finger types, which are gripped by five fingers.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precisely, but the holding force is weak and the price is high. Therefore, the number of 3-finger type electromyograms which have simple gripping function but relatively strong gripping force and low maintenance are generally used.

근전 전동의수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다른 몸동작이나 부가적인 장치 없이 절단부위의 잔존근육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사용자의 파지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근전 센서와, 자동락킹과 강한 파지력을 기반으로 하는 손목 및 파지 메커니즘과, 근전 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쉽고 편하게 매커니즘을 구동하여 환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어기가 그것이다.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 wrist and gripping mechanism based on automatic locking and strong gripping force, and a wrist and gripping mechanism based on an automatic locking and a strong gripping force. And the controller is used by the patient to drive the mechanism with ease and ease.

이러한 근전 전동의수는 대표적 재활 보조 장치인 만큼,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하다.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근전 전동의수가 오동작하거나 작동이 되지 않을 때에 있어서, 원인 진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유지보수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The number of these electromyograms is a representative rehabilitation aid device, so maintenance is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it greatly affects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in the past, when the number of the electrified electric motors is malfunctioning or does not operate, it takes a long time to diagnose the caus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quick and reliable maintenance can not be performed.

박세훈, 홍범기 외, 2 자유도 자동손목관절을 가진 근전 전동의수 개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7권 제8호, 2011.8, pp.824-832 Park, Se-hoon, Hong, Beom-kee, et al., Development of a number of electromyographic motor with two-degree-of-freedom automatic wrist joint, Journal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17 No.8, 2011.8, pp.824-83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근전 전동의수의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근전 전동의수가 오동작 또는 작동 불능시 그 원인을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for diagnosing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that can easily diagnose the cause of erroneous operation or inoperability when the number of electromyogram electromotive force is rapidly and reliably maintained for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사용자가 착용하는 소켓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터리와,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와, 하기 파지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상호 연결하는 브리지 모듈; 상기 브리지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근전도센서로부터 전송된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전송하며, 상기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산출하고 전송하는 시각피드백부;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파지기구부를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 bridge module connected to a socket to be worn by a user and interconnecting a battery, a plurality of electromyography sensors mounted on the socket and attached to the skin of the us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mechanism; A visual feedback unit connected to the bridge module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battery,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n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G sensor, and calcul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MG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on a screen; And a gripping mechanism part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이 때, 상기 브리지 모듈은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와, 상기 소켓 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근전도 센서 및 제어부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ridge module includes a socke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ocket, a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socket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the EMG sensor and the control portion, and a cover covering the circuit board can do.

또한, 상기 시각피드백부는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제1 모듈 및 무선 수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ime feedback unit may include a first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EMG signal and a second module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EMG signal.

이 때,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소켓 또는 브리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1 MCU 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파지지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modu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or the bridge module, and includes a first MCU module, an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module for converting the EM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transmission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unit based on the EMG signal.

또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고, 제2 MCU 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 second MCU modul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a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EMG signal.

또한, 상기 근전도 신호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오프셋 전압 파형을 갖는 오프셋 전압 모드, 기준치 이하 전압의 Low 전압 모드, 중첩 파형을 갖는 중첩 모드 및 기준치 이상 전압의 정상 파형을 갖는 정상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The electromyogram signal includes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nd the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includes an offset voltage mode in which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have an offset voltage waveform, a Low voltage mode in which the sub- An overlapping mode having a waveform and a normal mode having a normal waveform of a voltag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시각피드백부는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이 상기 오프셋 전압 모드, Low 전압 모드 또는 중첩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근전도 센서의 게인(Gain)을 상향 또는 하향하는 센서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me feedback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ntrol module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a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when the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corresponds to the offset voltage mode, the low voltage mode, or the overlap mo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은 단계별로 근전전동의수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의 이상유무를 진단함으로써, 근전 전동의수의 오동작 또는 작동 불능의 원인이 배터리, 근전도 센서, 제어부, 소켓, 파지기구부 중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전 전동의수를 신속하고 높은 신뢰성으로 유지보수 할 수 있다.In the EMG number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number of the EMG motor by the step, so that the malfunction of the EMG number or malfunction of the EMG motor is caused by the battery, It can be easily grasped whether it is caused by the control section, the socket or the gripping mechanism s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reliably maintain the number of electromotive for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리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각피드백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에서 근전 전동의수를 진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기된 근전도 신호의 파형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umber-of-ovum-number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module shown in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of the visual feedback unit shown in FIG.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agnosing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in the number-of-electromyogram diagnosis system of FIG. 1; FIG.
5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waveform mode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100, 이하 진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umber-of-ovine-motorized-number diagnostic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근전 전동의수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사용자(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근전도 센서(30)와, 상기 근전도 센서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파지지구부(140)가 그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시스템(100)은 이러한 근전 전동의수의 기본 구성들과 통합됨으로써 근전 전동의수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number of electromotive force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alcul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lectromyogram sensor, and a gripping unit 140 (not shown)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btained from the control unit, ). The diagnostic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with the basic configurations of the number of EMGs to perform maintenance for the maintenance of the number of EMGs.

진단 시스템(100)은 배터리(20), 근전도 센서(30) 및 제어부(미도시)를 상호 연결하는 브리지 모듈(110)과, 브리지 모듈(110)에 연결되는 시각피드백부(120)와, 시각피드백부(120)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수신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시각피드백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제어되는 파지기구부(140)를 포함한다. The diagnostic system 100 includes a bridge module 110 for interconnecting the battery 20, the EMG sensor 3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a visual feedback unit 120 connected to the bridge module 110, A display unit 130 for receiving an EMG signal from the feedback unit 120 and displaying the electromyogram signal on the screen and a gripping unit 140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ime feedback unit 120.

근전도 센서(30)는 근전 전동의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지절단 환자(이하,환자)의 잔존근육으로부터 미세한 근육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전기적 신호(근전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근전도 센서(30)의 종류는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의 근전도 센서(30)는 특정 종류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근전도 센서(30)는 엔벨롭(envelop) 형태를 갖는 건식 근전센서일 수 있다.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electromyogram signal) by grasping the movement of the minute muscles from the remaining muscles of the upper limb ampute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ients) in order to operate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The types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are various, and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kind. For example,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may be a dry electromyographic sensor having an envelope shape.

근전도 센서(30)는 소켓(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켓(10)은 상지절단 환자의 절단부위에 근전 전동의수를 착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연결부품에 해당한다. 예컨대 소켓(10)에는 근전도 센서(3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환자가 소켓(10)을 착용하면, 근전도 센서(30)가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한편, 소켓(10)의 단부에는 파지기구부(140)가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근전 전동의수의 유지보수를 위한 진단을 주 목적으로 하므로 파지기구부(140)가 소켓(10)에 결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can be mounted on the socket 10. [ Here, the socket 10 corresponds to a connecting part provided for wearing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at the cut portion of the limb-cutting patient. For example, in the socket 10, when the patient wears the socket 10 by providing the space in which the EMG sensor 30 can be mounted, the EMG sensor 30 is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The gripping mechanism 14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ocket 10 because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maintenance of the electromotive force. It does not have to be.

근전도 센서(30)는 복수개 일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근전도 센서(30)가 각각 환자의 신근(extensor digitorum)과 굴근(flexor carpi ulnaris)이 있는 피부에 부착된 후, 근전도 센서(30)에서 검출되는 근전도 신호와 기 설정된 근전도 신호의 문턱치를 비교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근전도 센서(30)는 경우에 따라 세 개 이상 이용될 수도 있다.The electromyogram sensor 30 may be plural. For example, after the two electromyographic sensors 30 are attached to the skin having extensor digitorum and flexor carpi ulnaris, respectively, the threshold values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and the preset electromyogram signal A comparison method can be used. Of course, three or more EMG sensors 30 may be used in some cases.

근전도 센서(30)가 작동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근전도 센서(30)는 환자의 잔존근육에서 나오는 10mV 이하의 미세신호를 근전 전동의수의 제어신호(0~5V)로 사용하기 위해 먼저 대역필터(0~1kHz)를 통과시켜 몸동작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노이즈와 그 외 고주파 노이즈가 제거된다. 그리고 1차 증폭 후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전자 제품의 상용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60hz 노치필터를 통과하면 순수 근전도 신호는 2단 증폭단에 의해 0~5V로 증폭되어 근전 전동의수의 제어신호로 사용된다. 근전도 센서(30)가 엔벨롭(envelop) 형태를 갖는 건식 근전센서인 경우에는 엔벨롭 형태의 근전도 신호를 얻기 위해 500hz 저역 통과필터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manner in which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operate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first passes a bandpass filter (0 to 1 kHz) to use a fine signal of 10 mV or less from the patient's residual muscle as a control signal (0 to 5 V) Noise and other high-frequency noise are removed. In order to remove the commercial noise of household appliances used in everyday life after the first amplification, the pure electromyogram signal is amplified to 0 ~ 5V by the 60Hz notch filter and used as the control signal of the number of the electromotive force do. If the EMG sensor 30 is a dry EMF sensor having an envelope shape, a 500 Hz low-pass filter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o obtain an envelope-shaped EMG signal.

브리지 모듈(110)은 환자가 착용하는 소켓(10)의 단부에 연결된다. 브리지 모듈(110)은 배터리(20), 소켓(10)에 장착되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30), 그리고 파지기구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브리지 모듈(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bridge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ocket 10 to be worn by the patient. The bridge module 110 includes a battery 20, a plurality of electromyography sensors 30 attached to the socket 10 to b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mechanism 140 Functio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ridge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시각피드백부(120)는 브리지 모듈(110)에 연결되어 배터리(20) 상태를 점검하고, 근전도 센서(30)로부터 전송된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디스플레이부(130)로 무선 전송한다. 또한 상기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파지기구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산출하고 파지기구부(140)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신호의 전송은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어신호의 전송이 유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bridge module 110 to check the state of the battery 20, processes the electromyogra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electromyogram signal to the display unit 130. And calcul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mechanism 140 based on the EMG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gripping mechanism 140.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is performed in a wired manner.

시각피드백부(120)는 제1 모듈(121)과 제2 모듈(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2 모듈(121,122)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2 모듈(121,122)을 이루는 세부 모듈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includes a first module 121 and a second module 122. The first and second modules 121 and 1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ul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etailed module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modules 121 and 12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제1 모듈(121)은 소켓(10) 또는 브리지 모듈(110)에 연결되고, 제2 모듈(122)은 디스플레이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모듈(121)과 제2 모듈(122)은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따라서 제1 모듈(121)로부터 제2 모듈(122)로 근전도 신호 데이터가 무선 송신되면, 제2 모듈(122)과 연결된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근전도 신호 파형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module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10 or the bridge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2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30. The first module 121 and the second module 122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ly, when the EMG signal data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dule 121 to the second module 122, the EMG signal waveform can be output to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connected to the second module 122.

구체적으로 소켓(10)에 장착된 근전도 센서(30)들로부터 생성되는 근전도 신호는 브리지 모듈(110)을 거쳐 제1 모듈(121)로 전송된다(도 1에 표기된 E 라인을 거침). 상기 근전도 신호는 제1 모듈(121)에서 신호처리되고 제2 모듈(122)로 무선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121)은 상기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브리지 모듈(110)을 거쳐 파지기구부(140)를 제어하는 데에 이용된다(도 1에 표기된 C 라인을 거침).Specifically, an EMG signal generated from the EMG sensors 30 mounted on the socket 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dule 121 via the bridge module 110 (via the E line shown in FIG. 1). The EMG signal may be signal processed in the first module 121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econd module 122. Also, the first module 121 may calculate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MG signal. The control signal is used to control the gripping mechanism 140 via the bridge module 110 (through the line C shown in FIG. 1).

제1 모듈(121)의 전원은 배터리(2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각피드백부(120)의 전원 공급 상태가 불량하면 배터리(20)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제2 모듈(122)의 전원은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The power of the first module 121 can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20. Therefore, if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is poor, it can be estimat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battery 20. [ The power of the second module 122 may be supplied from the display unit 130.

디스플레이부(130)는 시각피드백부(120)로부터 전송 받은 근전도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근전도 신호의 파형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화면을 갖는 모든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30)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LCD/LED/O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하는 근전도 신호의 파형 종류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waveform of the EMG signal on the screen on the basis of the EMG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time feedback unit 120. The display unit 130 may be any type of terminal having a scree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desktop PC, a notebook, a mobile device (smart phone, tablet PC, etc.),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 LED / The types of waveforms of the electromyogram signal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파지기구부(140)는 전동의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듈(121)에서 산출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파지기구부(140)는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3 finger 타입, 5개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5 finger 타입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도 1 에서는 파지기구부(140)가 3 finger 타입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파지기구부(140)는 물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매커니즘(모터 및 기어 등으로 구성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기구부(140)의 구성 등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박세훈, 홍범기 외, 2 자유도 자동손목관절을 가진 근전 전동의수 개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7권 제8호, 2011.8, pp.824-832)등과 같은 여러 공지된 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며, 파지기구부(140)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는 거리가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electric motions an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alculated by the first module 121 based on the EMG signal.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may be of a three finger type gripping with three fingers, a five finger type gripping with five fingers, and the like. In FIG. 1,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is of the three finger type.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may include a frame for gripping an object,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mposed of a motor and a gea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rame. The configuration of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is described in Non-patent Document 1 (Park, Se-Hoon, Hong Bum, et al., Development of a Number of Electromyographical Motor with Two-Degree-of-Freedom Wrist Joints, Control Robot System Society, Vol. 17, No. 8, 2011.8, pp. 824-832),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gripping mechanism 140 is different from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브리지 모듈(1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ridge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리지 모듈(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리지 모듈(110)은 소켓(10)에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111)와, 소켓 연결부(111)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12)과, 회로기판(112)을 덮는 커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module 110 shown in FIG. 2, the bridge module 110 includes a socket connecting portion 111 connected to the socket 10, a circuit board 112 mounted on the socket connecting portion 111, a cover (not shown) covering the circuit board 112 113).

소켓 연결부(111)는 소켓(10)의 단부에 결합한다. 소켓 연결부(111)의 상부에는 회로기판(112)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미표기)이 마련될 수 있고, 중앙에는 소켓(10)과 파지기구부(140)의 연결을 위한 홀(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ocket connecting portion 111 is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socket 10. A socket for connecting the socket 10 and the gripping mechanism 14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ing portion 111, Can be formed.

회로기판(112)은 배터리(10, 도 1 참고), 근전도 센서(30, 도 1 참고) 및 제어부(미도시)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를 구비한다. 회로기판(112)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12)은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면을 따라 두 개의 근전도 센서(30)가 접속하기 위한 센서 단자(112a), 배터리(20)가 접속하기 위한 배터리 단자(112b), 제어부가 접속하기 위한 제어부 단자(112c)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112 has terminals for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10 (see FIG. 1),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see FIG. 1),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circuit board 112 may be a general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ircuit board 112 may be formed in a donut shape. A sensor terminal 112a for connecting the two electromyographic sensors 30 along the upper surface, a battery terminal 112b for connecting the battery 20 and a control terminal 112c for connecting the control section are provided, respectively .

커버(113)는 회로기판(112)을 덮는 기능을 하며, 회로기판(112)이 소켓 연결부(111)의 상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용되면 회로기판(112)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하단이 소켓연결부(111)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113)에는 소켓 연결부(111)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홀(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으며(도넛 형태), 회로기판(112)에 형성된 단자들을 수용하는 단자홀(113a)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113 functions to cover the circuit board 112. When the circuit board 112 is received in the spac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ion part 111, the cover 113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circuit board 112, (Not shown). A terminal hole 113a for receiving terminal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12 is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13 so as to form a hole .

이하, 시각피드백부(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ime feedback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각피드백부(120)의 블록도이다. 시각피드백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듈(121)과 제2 모듈(122)을 포함하며, 제1,2 모듈(121,122)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세부 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 is a block diagram of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includes a first module 121 and a second module 122,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dules 121 and 122 is omitted. Explain.

제1 모듈(121)은 소켓(10) 또는 브리지 모듈(110)에 연결된다. 제1 모듈(121)은 제1 MCU 모듈(121a), ADC 모듈(121b), 송신모듈(121c), 제어부(121d)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dule 121 is connected to the socket 10 or the bridge module 110. The first module 121 may include a first MCU module 121a, an ADC module 121b, a transmitting module 121c and a controller 121d. The first module 121 may include a signal processing module (not shown) And the like.

제1 MCU 모듈(121a)은 제1 모듈(121)에 포함되는 각종 모듈을 제어하며, MCU(Micro Controller Unit)는 통상적인 모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CU module 121a controls various modules included in the first module 121, and the MCU (Micro Controller Unit) is a general modul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모듈(121b)은 근전도 센서(30)로부터 전송된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근전도 센서(3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근전도 센서(30)에 대응하여 ADC 모듈(121b)이 마찬가지로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The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module 121b converts the electromyogra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nto a digital signal. When the two electromyogram sensors 30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wo ADC modules 121b may be similarly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electromyographic sensors 30. [

송신모듈(121c)은 ADC 모듈(121b)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근전도 신호 데이터를 제2 모듈(122)로 무선 전송 한다. 송신모듈(121c)은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transmitting module 121c wirelessly transmits the electromyogram signal data converted into digital form by the ADC module 121b to the second module 122. [ The transmission module 121c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n NFC chi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t this time, the Wi-Fi chip, the Bluetooth chip, and the NFC chip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and the NFC method. Among these, the NFC chip refers to a chip operating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ing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and 2.45 GHz. When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is used,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irst,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제어부(121d)는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파지기구부(140, 도 1 참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산출한다. 제어부(121d)는 근전 전동의수의 구동과 관련된 통상의 구성에 해당하며, 예컨대 디지털로 변환된 근전도 신호가 신호처리를 거쳐 파지기구부(140)의 구동정보로 인식되고 기 설정된 제어알고리즘으로부터 파지기구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하는 PWM(펄스폭 변조) 레벨이 결정된다. 상기 PWM 레벨은 제1 모듈(121) 내의 신호처리모듈(미도시)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d)는 상기 모터의 구동과정에서 검출되는 위치와 전류정보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상태를 지속 감시하여 환자가 원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21d calcul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mechanism 140 (see FIG. 1) based on the EMG signal. The control unit 121d corresponds to a normal configur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For example, the electromyogram signal converted to digital is subjected to signal processing and is recognized as driving information of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Pulse width modulation) level for driving the motor for controlling the motor 140 is determined. The PWM level may be determined from a signal processing module (not shown) in the first module 121. Also, the controller 121d continuously monitors the state of the finger using the position and current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riving process of the motor, and controls the patient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제어부(121d)에서 산출되는 제어신호는 브리지 모듈(110, 도 1 참고)을 거쳐(도 1에 표기된 C 라인을 거침), 파지기구부(140)로 전송된다(도 1에 표기된 C 라인을 거침). The control signal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21d is transmitted to the holding mechanism unit 140 via the bridge module 110 (see FIG. 1) (through the C line indicated in FIG. 1) (through the C line indicated in FIG. 1) .

제2 모듈(122)은 디스플레이부(130)에 연결된다. 제2 모듈(122)은 제2 MCU 모듈(122a), 수신모듈(12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odule 122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30. The second module 122 may include a second MCU module 122a and a receiving module 122b.

제2 MCU 모듈(122a)은 제2 모듈(122)에 포함되는 각종 모듈을 제어하며, MCU(Micro Controller Unit)는 통상적인 모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MCU module 122a controls various modules included in the second module 122, and the MCU (Micro Controller Unit) is a typical modul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수신모듈(122b)은 제1 모듈(121)의 송신모듈(121c)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근전도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모듈(122b)은 송신모듈(121c)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The receiving module 122b receives the EMG signal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121c of the first module 121. [ Like the transmitting module 121c, the receiving module 122b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chip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 진단 시스템(100)에서 근전 전동의수를 진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iagnosing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in the diagnostic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1의 진단 시스템(100)에서 근전 전동의수를 진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4에 표기된 근전도 신호의 파형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agnosing the number of electromyograms in the diagnostic system 100 of FIG. 1.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aveform mode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근전 전동의수 진단을 위해 환자는 소켓(10, 도 1 참고)을 착용한다. 소켓(10)의 단부에는 브리지 모듈(110, 도 1 참고)이 결합되고, 소켓(10) 또는 브리지 모듈(110)에는 제1 모듈(121, 도 1 참고)이 연결 설치되고, 제2 모듈(122, 도 1 참고)이 디스플레이부(130, 도 1 참고)에 연결 설치됨으로써 시각피드백부(120)가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atient wears a socket 10 (see FIG. 1) in order to diagnose the number of myopathies. 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ocket 10 and the first module 121 (see FIG. 1) is connected to the socket 10 or the bridge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2, see FIG. 1)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30 (see FIG. 1), thereby providing a visual feedback unit 120.

근전 전동의수 진단시, 우선 시각피드백부(120)의 전원 상태를 확인한다. 시각피드백부(120)는 브리지 모듈(110)에 연결된 배터리(20, 도 1 참고)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이다. 시각피드백부(120)의 전원 상태가 양호하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전원 상태가 불량이면 배터리(20)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배터리(20)를 교환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이상 S10 단계).At the time of diagnosing the number of electrified electromotive force, the power state of the time feedback unit 120 is first checked.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20 (see FIG. 1) connected to the bridge module 110. If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is good, there is no problem. However, if the power supply state is ba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battery 20 has a problem. Therefore, in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take measures to replace the battery 20 (step S10).

다음으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근전도 센서(30)가 근전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시각피드백부(120)가 동작된다. 시각피드백부(120)의 제1 모듈(121)은 상기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 등을 하여 제2 모듈(122)로 무선 송신한다. 제2 모듈(122)은 상기 근전도 신호 데이터를 수신 받고 제2 모듈(122)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에는 상기 근전도 신호 파형이 출력된다(이상 S20 단계).Next,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is operated by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generating the electromyogram signal by the motion of the patient. The first module 121 of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converts the electromyogram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performs signal processing, etc.,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econd module 122. The second module 122 receives the EMG signal data and outputs the EMG signal waveform to the display unit 130 connected to the second module 122 (step S20).

근전도 신호 파형은 크게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M1 내지 M4). 이러한 근전도 신호 파형은 도 5의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M1, M2, M3, M4의 신호 파형으로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근전도 센서로부터 생성된 두 개의 근전도 신호 파형이 함께 화면에 표시된다. 즉 근전도 신호는 제1 신호(1) 및 제2 신호(2)를 포함한다. 제1 신호(1) 및 제2 신호(2)의 파형 형태에 따라 근전도 신호 파형은 네 가지 모드를 갖는다. EMG signal waveform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types (M1 to M4). These electromyogram signal waveforms are shown by signal waveforms of M1, M2, M3, and M4 in order from the left side of FIG. Referring to FIG. 5, two electromyogram signal waveforms generated from the two electromyogram sensors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That is, the EMG signal includes the first signal 1 and the second signal 2. The electromyogram signal waveform has four modes according to the waveform types of the first signal (1) and the second signal (2).

1. 오프셋 전압 모드(M1 모드) 1. Offset voltage mode (M1 mode)

오프셋 전압 모드(M1)는 입력 회로의 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출력 회로의 신호가 발생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오프셋 전압 모드가 발생하는 원인은 두 가지 중 하나다. 하나는 소켓(10)의 착용상태가 불량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근전도 센서(30) 자체가 불량한 경우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오프셋 전압 모드(M1)가 나타나면 우선 소켓(10)의 착용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소켓(10)의 착용 상태가 불량인 경우에는 소켓을 교환하는 조치를 취한다(이상 S31 단계). 반면 소켓(10)의 착용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근전도 센서(30)의 게인(gain)을 하향 제어한다.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이 높게 설정된 경우에도 오프셋 전압 모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하향 제어했을 때 오프셋 전압 모드(M1)가 사라지면 센서 문제는 없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반면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하향 제어해도 계속 오프셋 전압 모드(M1)가 나타나면 센서 자체의 문제로 센서를 교환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이상 S32 단계).The offset voltage mode (M1) means a form in which the signal of the output circuit is generated even though there is no signal of the input circuit. Offset voltage mode is one of two causes. One is that the socket 10 is worn poorly, and the other is the case where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tself is poor. Therefore, when the offset voltage mode M1 appears on the display unit 130, the wear state of the socket 10 is first checked. When the state of the socket 10 is poor, the socket is replaced (step S31).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cket 10 is in a good wearing state,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controlled downward. This is because the offset voltage mode can be displayed even when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set high. If the offset voltage mode M1 disappears when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controlled downwar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is no sensor problem.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controlled downward, if the offset voltage mode M1 continues, the sensor can be replaced due to the problem of the sensor itself (step S32).

2. Low 전압 모드(M2 모드) 2. Low voltage mode (M2 mode)

Low 전압 모드(M2)는 근전도 신호 파형의 진폭(Amplitude)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Low 전압 모드가 발생하는 원인은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이 낮게 설정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Low 전압 모드(M2)가 나타나면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상향 제어한다.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상향 제어했을 때 Low 전압 모드(M2)가 사라지면 센서 문제는 없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반면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상향 제어해도 계속 Low 전압 모드(M2)가 나타나면 센서 자체의 문제로 센서를 교환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이상 S41 단계).The low voltage mode M2 means a case where the amplitude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waveform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ause of occurrence of the low voltage mode may appear when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set low. Therefore, when the low voltage mode M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controlled upwar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is no sensor problem if the low voltage mode M2 disappears when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controlled upwar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controlled upward, if the low voltage mode M2 continues, the sensor can be replaced by a problem of the sensor itself (step S41).

3. 중첩 모드(M3 모드) 3. Overlapping mode (M3 mode)

중첩 모드(M3)는 두 개의 근전도 신호 파형이 서로 중첩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중첩 모드가 발생하는 원인은 두 가지 중 하나다. 하나는 소켓(10)이 불량하여 근전도 센서(30)의 배치가 잘못된 경우고,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이 서로 잘못 설정된 경우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중첩 모드(M3)가 나타나면 우선 근전도 센서(30)들의 게인을 상향 제어하거나 하향 제어한다. 근전도 센서(30)들의 게인을 제어함으로써 중첩 모드(M3)가 사라지면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반면 근전도 센서(30)들의 게인을 제어했음에도 계속 중첩 모드(M3)가 나타나면 소켓(10)이 불량한 경우로 소켓(10)을 교환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이상 S51 단계).The overlapping mode M3 represents a case where two electromyogram signal waveforms overlap each other. Nested mode is one of two causes. One is a case where the socket 10 is defective and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s wrong, and the other is a case where the gains of the plurality of electromyogram sensors 30 are set incorrectly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overlap mode M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s 30 is controlled upward or downwar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roblem is solved if the overlap mode M3 disappears by controlling the gains of the electromyogram sensors 30. [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s 30 is controlled and the superposition mode M3 is continuously displayed, it is possible to take measures to replace the socket 10 when the socket 10 is defective (step S51).

4. 정상 모드(M4 모드) 4. Normal mode (M4 mode)

정상 모드(M4)는 두 개의 근전도 신호 파형이 이상 형태를 보이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소켓(10)의 불량 문제나 근전도 센서(30)의 불량 문제가 없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In the normal mode (M4), the waveforms of two electromyogram signals do not exhibit abnormal shapes. In this cas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is no problem of the socket 10 or a problem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being defective.

한편,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이 정상 모드(M4)가 아닌 경우에는 근전도 센서(30)의 확인 점검을 위해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제어하는 과정이 존재한다. 이 때 해당 근전도 신호의 파형에 맞추어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하는 센서제어모듈(미도시)이 시각피드백부(12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제1 모듈(12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MCU(121a)를 통해 근전도 센서(30)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veform of the EMG signal is not in the normal mode M4, there is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in order to check the EMG sensor 30. At this time, a sensor control module (not shown) for up-controlling or down-controlling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visual feedback unit 120 according to the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The sensor control modul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module 121 and may adjust the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30 through the first MCU 121a.

근전 전동의수의 유지 보수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근전도 신호의 파형을 확인한 후, 각 파형 모드에 따른 조치를 취함으로써 신속하게 용이하게 근전 전동의수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특히 근전 전동의수가 오동작하거나 작동 불능인 경우에 그 원인이 배터리, 근전도 센서, 소켓 중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다. The maintenance operator of the number of the electrified electromotive force can easily and quickly maintain the number of electrified electromotive force by taking measures according to each waveform mode after confirming the waveform of the electromotive force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0. [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electrified electric motors is malfunctioning or inoper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where the cause is caused by the battery, the electromyogram sensor or the socket.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근전도 신호의 파형이 정상 모드(M4)인 경우에는 배터리, 근전도 센서, 소켓 모두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으므로, 이어서 파지기구부(140)와 파지지구부(140)의 제어부를 진단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When the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0 is in the normal mode M4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both the battery, the EMG sensor, and the socke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phage region unit 140 may be diagnosed.

예컨대 파지기구부(140)를 제1 모듈(121)의 제어부(121d)와 연결한 후에, 파지기구부(140)로 제어신호를 주었을 때 파지기구부(140)가 반응하지 않거나 제어신호에 맞게 반응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매커니즘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그리고 파지기구부(140)가 제어신호에 맞게 반응은 하되 동작 수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예컨대 불안정한 동작, 파지력이 약함, 폄동작 불능 등)에는 파지기구부(140)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제어알고리즘 등을 확인 점검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파지기구부(140)를 구성하는 모터, 변속기, 배터리, 브레이크, 감속기, 링크 등을 확인 점검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After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1d of the first module 121 and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does not react or does not 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when a control signal is given to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ontrol mechanism. If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but does not smoothly perform the operation (for example, unstable operation, weak gripping force, or unstable operation), it may be estimated that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itself has a problem have. In the latter case, measures can be taken to check and check the motor, transmission, battery, brake, speed reducer, link, etc. constituting the gripping mechanism section 140 .

파지기구부(140)와 파지기구부(140)의 제어부를 진단하는 과정은 파지기구부(140)를 연결한 후에 소모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기구부(140)를 연결한 후에 소모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소모전류가 불량인 경우(즉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어부의 문제로 추정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를 교체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측정된 소모전류가 양호한 경우에는 파지기구부(140) 자체만을 추가 진단하는 단꼐로 넘어갈 수 있다(이상 S60 단계).The process of diagnosing the control unit of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and the gripping unit 140 may be performed by measuring the consumed current after the gripping unit 140 is conn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nsumed current is measured after connecting the holding mechanism 140. When the measured consumed current is defective (that is, when the consumed curren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f the measured consumed current is good, only the gripping mechanism unit 140 itself can be further diagnosed (step S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은 단계별로 근전전동의수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의 이상유무를 진단함으로써, 근전 전동의수의 오동작 또는 작동 불능의 원인이 배터리, 근전도 센서, 제어부, 소켓, 파지기구부 중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전 전동의수를 신속하고 높은 신뢰성으로 유지보수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G number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number of EMG electric power in each step, , The electromyogram sensor, the control unit, the socket, and the gripping mechanism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reliably maintain the number of electromotive forc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의 형태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소켓 20: 배터리
30: 근전도 센서 100: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110: 브리지 모듈 111: 소켓연결부
112: 회로기판 113: 커버
120: 시각피드백부 121: 제1 모듈
121a: 제1 MCU 121b: ADC 모듈
121c: 송신모듈 121d: 제어부
122: 제2 모듈 122a: 제2 MCU
122b: 수신모듈 130: 디스플레이부
140: 파지기구부
10: Socket 20: Battery
30: Electromyography sensor 100: Number of electromyogram
110: Bridge module 111: Socket connection
112: circuit board 113: cover
120: time feedback unit 121: first module
121a: first MCU 121b: ADC module
121c: transmission module 121d:
122: second module 122a: second MCU
122b: Receiving module 130:
140:

Claims (7)

사용자가 착용하는 소켓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터리와,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와, 하기 파지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상호 연결하는 브리지 모듈;
상기 브리지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근전도센서로부터 전송된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전송하며, 상기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산출하고 전송하는 시각피드백부;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파지기구부를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A bridge module connected to a socket to be worn by a user and interconnecting a battery, a plurality of electromyography sensors mounted on the socket and attached to the skin of the us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mechanism;
A visual feedback unit connected to the bridge module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battery,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n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G sensor, and calcul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MG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on a screen; And
And a gripping mechanism section that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모듈은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와, 상기 소켓 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근전도 센서 및 제어부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dge module comprises: a socke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ocket; a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socket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the electromyogram sensor and the control portion; and a cover covering the circuit board, Diagnostic Syste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각피드백부는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제1 모듈 및 무선 수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isual feedback unit includes a first module that wirelessly transmits the EMG signal and a second module that wirelessly receives the EMG sig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소켓 또는 브리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1 MCU 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파지지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odu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or bridge module and includes a first MCU module, an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module for converting the EM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transmiss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EM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unit based on the EMG sig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고, 제2 MCU 모듈과,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modul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includes a second MCU module and a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EMG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신호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오프셋 전압 파형을 갖는 오프셋 전압 모드, 기준치 이하 전압의 Low 전압 모드, 중첩 파형을 갖는 중첩 모드 및 기준치 이상 전압의 정상 파형을 갖는 정상 모드로 구분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myogram signal includes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Wherein the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is one of an offset voltage mode in which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have an offset voltage waveform, a Low voltage mode in a subthreshold voltage, a superposition mode in which the superposition waveform has a normal waveform, Diagnostic system of number of electrified electric motor.
6에 있어서,
상기 시각피드백부는 상기 근전도 신호의 파형이 상기 오프셋 전압 모드, Low 전압 모드 또는 중첩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근전도 센서의 게인(Gain)을 상향 또는 하향하는 센서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근전 전동의수 진단 시스템.
6,
Wherein the time feedback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control module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a gai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when the waveform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corresponds to the offset voltage mode, the low voltage mode, or the overlap mode, system.
KR1020140084936A 2014-07-08 2014-07-08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KR101618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936A KR101618706B1 (en) 2014-07-08 2014-07-08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936A KR101618706B1 (en) 2014-07-08 2014-07-08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279A true KR20160006279A (en) 2016-01-19
KR101618706B1 KR101618706B1 (en) 2016-05-10

Family

ID=5530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936A KR101618706B1 (en) 2014-07-08 2014-07-08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70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957A (en) * 2018-06-22 2018-11-06 上海交通大学 A kind of artificial limb control method of multi-sensor fusion
CN111031970A (en) * 2017-08-25 2020-04-17 奥托·博克保健产品有限公司 Prosthetic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function of a prosthetic system
KR20200137546A (en) * 2019-05-30 2020-12-0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earable Socket
CN114681172A (en) * 2022-03-11 2022-07-01 哈尔滨工业大学 Modular closed-loop artificial limb control system for upper limb amputation patient
KR20230007783A (en) * 2021-07-06 2023-01-13 근로복지공단 Electric tool using electromyogram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364B1 (en) 2019-03-28 2021-05-12 근로복지공단 Control system for hand motion of myoelectric h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26552B1 (en) 2019-11-05 2021-11-16 근로복지공단 Control system for hand motion of myoelectric h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06677B1 (en) 2020-08-10 2021-09-30 근로복지공단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and motions of myoelectric hand with 2 myo-electric sensors
KR102380485B1 (en) 2020-08-10 2022-04-01 근로복지공단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and motions of myoelectric hand with 2 myo-electric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015A (en) 2008-12-15 2010-06-24 Nishizawa Denki Keiki Seisakusho:Kk Muscle activity monitor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세훈, 홍범기 외, 2 자유도 자동손목관절을 가진 근전 전동의수 개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7권 제8호, 2011.8, pp.824-832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1970A (en) * 2017-08-25 2020-04-17 奥托·博克保健产品有限公司 Prosthetic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function of a prosthetic system
CN111031970B (en) * 2017-08-25 2023-02-28 奥托·博克保健产品有限公司 Prosthetic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function of a prosthetic system
US11839557B2 (en) * 2017-08-25 2023-12-12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functionality of a prosthesis system
CN108742957A (en) * 2018-06-22 2018-11-06 上海交通大学 A kind of artificial limb control method of multi-sensor fusion
KR20200137546A (en) * 2019-05-30 2020-12-0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earable Socket
KR20230007783A (en) * 2021-07-06 2023-01-13 근로복지공단 Electric tool using electromyogram signal
CN114681172A (en) * 2022-03-11 2022-07-01 哈尔滨工业大学 Modular closed-loop artificial limb control system for upper limb amputation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706B1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706B1 (en) Diagnostic system for the myoelectic hand
Kwak et al. A lower limb exoskeleton control system based on steady state visual evoked potentials
Beyrouthy et al. EEG mind controlled smart prosthetic arm
US20060155386A1 (en) Electromyographic sensor
US10405764B2 (en) Brain-controlled body movement assistance devices and methods
Fall et al. A multimodal adaptive wireless control interface for people with upper-body disabilities
Lund et al. Inductive tongue control of powered wheelchairs
EP1188412A3 (en) Portable ECG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o remotely monitor patients and method of use
Nafea et al. Brainwave-controlled system for smart home applications
US11723581B2 (en) Electromyography sensor
WO2016134170A1 (en) Electrocardiogram sensor ring
Gaetani et al. A prosthetic limb managed by sensors-based electronic system: Experimental results on amputees
KR20120110979A (en) Intellectual medical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type
WO2019078330A1 (en)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progra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hampaty et al. Development of wireless EMG control system for rehabilitation devices
JP6933124B2 (en) Monitoring system
Fang et al. Toward a Wireless Wearable System for Bidirectional Human-Machine Interface With Gesture Recognition and Vibration Feedback
ur Rahman et al. A smart sensor node with smartphone based IoMT
Prasanth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cloud based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230363692A1 (en) Integr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processing electromyographic signals
WO2021124979A1 (en) Portabl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measurement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portabl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measurement device, and program
JP7206802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ttaullah et al. Wireless Robotic car control through human interface using eye movement
KR102512306B1 (en) Mouse using electromyogram signal
Potenza et al. A smart demonstration unit for upper-limb myoelectric prosthe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