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037A -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037A
KR20160006037A KR1020140085370A KR20140085370A KR20160006037A KR 20160006037 A KR20160006037 A KR 20160006037A KR 1020140085370 A KR1020140085370 A KR 1020140085370A KR 20140085370 A KR20140085370 A KR 20140085370A KR 20160006037 A KR20160006037 A KR 2016000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nection
wireless lan
uniqu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혜영
허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037A/ko
Publication of KR2016000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을 개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tagging)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고유정보 인식부;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연결정보 획득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LOCAL ARER NETWORK}
본 명세서는 무선 LAN 접속 장치 장치 및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이 무선 태그로부터 특정 지역과 연관된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무선 LAN에 접속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는 무선 랜(Wireless LAN)의 별칭으로, 케이블을 이용해 단말 장치들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종래의 유선랜(Local Access Network, LAN)과는 달리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단말 장치간 케이블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 랜 서비스에 의하면 스마트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PC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통신 단말 장치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무선접속장치인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대중화와 더불어, 개방형 무선 네트워크로서 잠재성을 지닌 무선 랜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와이파이는 학교, 공항, 호텔 등에서 도시 전체에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모듈 이외에 와이파이 모듈이 더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사용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와이파이 존에서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와이파이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특정 AP(access point)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전에 연결된 적 없는 AP(특히 패스워드가 존재하는 AP)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에 직접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명세서는 무선 LAN 접속 장치 장치 및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이 무선 태그로부터 특정 지역과 연관된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무선 LAN에 접속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 단말은,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tagging)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고유정보 인식부;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연결정보 획득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특정 상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 AP(access point)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는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접속 암호(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암호화(encryption)되어 수신되며,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는 상기 암호화에 대한 복호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무선 랜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의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특정 상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 AP(access point)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접속 암호(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암호화(encryption)된 접속정보 및 상기 암호화에 대한 복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무선 랜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랜 접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무선태그;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접속관리 서버;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tagging)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랜 접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이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의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무선 태그의 태깅을 통해 간편하게 특정 존(zone)의 무선 LAN(Wi-Fi)에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특정 존의 무선 인터넷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접속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무선 LAN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접속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접속 시스템은 무선 태그(10), 이동 단말(100), 무선 LAN 접속 포인트(200, Access Point), 접속관리 서버(300), 매장관리 서버(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태그(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또는 기타 방식의 태그(tag)이며,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출입문, 카운터, 테이블 등)에 설치되고, 상기 특정 상점과 관련된 고유정보(상점 식별자, 상점에 설치된 무선 LAN AP의 식별자 등)을 저장한다.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무선 태그(10)내에 미리 정의된 데이터 형식(format)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는 리더(reader) 장치에 의하여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태그(10)가 NFC 태그인 경우, 태그 내에 기록되는 정보는 NFC 표준에서 정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Text,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Type, Internet Media Type 등의 데이터 형식 중 하나로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는 NFC 리더 장치만이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무선 태그(10)를 태깅(tagging)하여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획득)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태그(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읽는다.
고유정보를 인식한 이동 단말(100)은 해당 고유정보를 접속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100)은 인식된 고유정보(상점 식별자, 상점에 설치된 무선 LAN AP의 일련번호 등)와 더불어 자신의 식별자(예: 안드로이드 기반의 단말의 UniqueDeviceId)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도용하여 무선 LAN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3자가 상점 식별자를 알아내고 접속관리서버로 무선 LAN 접속정보를 요청하더라도, AP의 일련번호 및/또는 허가된 단말의 식별자를 모른다면,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올바른 응답을 받지 못한다.
이동 단말(100)로부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 및 접속정보 요청을 수신한 접속관리서버(300)는, 고유정보와 연계되어 저장하고 있는 무선 LAN 접속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접속 암호(password)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정보에는 무선 LAN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속관리 서버(300)는 매장관리 서버(200)과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는 암호화(encryption)되어 이동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하게 된다.
이동 단말(100)은 2G/3G/4G 등의 알려진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관리 서버(300)와 고유정보/접속정보 등 각종 정보와 제어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100)은 접속관리 서버(300)에서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LAN에, 즉 무선 LAN AP(200)에 접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100)의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App.)으로 구현되어 이동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태깅에 기반한 무선 LAN 연결 작업을 수행할 때, 이동 단말의 무선 LAN 연결 모듈이 OFF 상태라면 자동으로 ON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태그로부터 특정 지역과 연관된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는 고유정보 인식부(101), 연결정보 획득부(102), 연결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유정보 인식부(101)는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tagging)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또는 기타 방식의 태그(tag)이며,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출입문, 카운터, 테이블 등)에 설치되고, 상기 특정 상점과 관련된 고유정보(상점 식별자, 상점에 설치된 무선 LAN AP의 식별자 등)을 저장한다.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무선 태그(10)내에 미리 정의된 데이터 형식(format)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는 리더(reader) 장치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102)는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102)는 인식된 고유정보(상점 식별자, 상점에 설치된 무선 LAN AP의 일련번호 등)와 더불어 자신의 식별자(예: 안드로이드 기반의 단말의 UniqueDeviceId)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접속 암호(password)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정보에는 무선 LAN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는 암호화(encryption)되어 이동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102)는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하게 된다.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102)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3)는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은, 무선 태그의 태깅을 통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특정 존(zone)의 무선 LAN(Wi-Fi)에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무선 LAN 접속 시마다 암호 등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무선 LAN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2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태그로부터 특정 지역과 연관된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S300)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또는 기타 방식의 태그(tag)이며,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출입문, 카운터, 테이블 등)에 설치되고, 상기 특정 상점과 관련된 고유정보(상점 식별자, 상점에 설치된 무선 LAN AP의 식별자 등)을 저장한다.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무선 태그(10)내에 미리 정의된 데이터 형식(format)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는 리더(reader) 장치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의 포맷을 확인하고(S310), 만약 지원하지 못하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해당 사항을 표시하며(S320), 지원가능한 데이터 포맷이면 해당 고유정보를 인식한다(S330).
상기 이동 단말(100)은 접속관리 서버(300)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접속관리 서버(300)는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접속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40). 이때 상기 이동 단말(100)은 인식된 고유정보(상점 식별자, 상점에 설치된 무선 LAN AP의 일련번호 등)와 더불어 자신의 식별자(예: 안드로이드 기반의 단말의 UniqueDeviceId)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접속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접속관리 서버(300)는 연결불가 정보를 보내고 이동 단말(100)은 이를 표시한다(S350).
접속정보가 존재하면, 이동 단말(100)은 상기 접속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접속 암호(password)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정보에는 무선 LAN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정보는 암호화(encryption)되어 이동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S360).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하게 된다(S370).
상기 이동 단말(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다(S380).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은, 무선 태그의 태깅을 통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특정 존(zone)의 무선 LAN(Wi-Fi)에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무선 LAN 접속 시마다 암호 등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100)은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동 단말
101 : 신호 수신부
102 : 신호 선택부
103 : 정보 표시부

Claims (16)

  1.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tagging)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고유정보 인식부;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연결정보 획득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특정 상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 AP(access point)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는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접속 암호(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암호화(encryption)되어 수신되며,
    상기 연결정보 획득부는 상기 암호화에 대한 복호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무선 랜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8. 이동 단말이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의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특정 상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 AP(access point)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인증 타입(authentication type) 및 접속 암호(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암호화(encryption)된 접속정보 및 상기 암호화에 대한 복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복호화(decryp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무선 랜에 연결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시간은 상기 특정 상점에서의 구매 금액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무선태그;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접속관리 서버;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 태깅(tagging)되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접속 시스템.
  15. 무선 랜 접속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이 특정 상점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와의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특정 상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관리 서버로 상기 인식한 고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상점에 설치된 무선 랜(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랜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85370A 2014-07-08 2014-07-08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KR20160006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70A KR20160006037A (ko) 2014-07-08 2014-07-08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70A KR20160006037A (ko) 2014-07-08 2014-07-08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37A true KR20160006037A (ko) 2016-01-18

Family

ID=5530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370A KR20160006037A (ko) 2014-07-08 2014-07-08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02B1 (ko) * 2019-09-06 2020-08-18 이상기 와이파이 공유 제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02B1 (ko) * 2019-09-06 2020-08-18 이상기 와이파이 공유 제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862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US9876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login,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72095B1 (ko) 신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502385B1 (ko) 원격 디스플레이
US20160294812A1 (en) Account login method and device
US9398401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hybrid form
JP2016538623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認証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US20150020180A1 (en) Wire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udit system with close proximity between mass storage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EP3155552B1 (en) Mechanisms for controlling tag personalization
US20150254632A1 (en) Mobile payment service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470816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6664504B (zh) 设备活动的控制
KR20160056749A (ko)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244513A1 (en) Data protection in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transactions
US2023018000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ranging-based service
KR20140096580A (ko) Nfc 통신 모듈이 없는 전자 기기의 nfc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7657199B (zh) 行动装置、验证装置及其验证方法
KR20130128924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품을 결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32007B1 (ko) 컴퓨팅 장치의 위치 기반 파일 접근 제어 방법
KR20140103579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US94975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ased on Bluetooth,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CN113836958A (zh) 基于qr图像的装置管理
KR20160006037A (ko) 무선 lan 접속 장치 및 방법
US20150193627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tecting f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