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900A -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900A
KR20160005900A KR1020140084958A KR20140084958A KR20160005900A KR 20160005900 A KR20160005900 A KR 20160005900A KR 1020140084958 A KR1020140084958 A KR 1020140084958A KR 20140084958 A KR20140084958 A KR 20140084958A KR 20160005900 A KR20160005900 A KR 20160005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rganic
soil
raw material
p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719B1 (ko
Inventor
권순진
권용우
Original Assignee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filed Critical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Priority to KR102014008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7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은, 코코피트, 피트모스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을 혼합한 혼합원료 95-99%에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 1-5%를 혼합한 후 계량 및 포장하는 것으로 구성됨에 따라 수도용 묘목인 벼를 육묘함에 있어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적합한 수도용 상토를 제공함과 동시에 육묘된 벼가 키만 크고 연약하게 자라는 웃자람 현상의 도장(徒長; overgrowth)과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불량환경(저온/고온)에서도 육묘된 벼가 견디는 힘을 키워주어 누구나 손쉽게 육묘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The rice seedling bed soil and manufacturing ma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코피트, 피트모스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을 혼합한 혼합원료 95-99%에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 1-5%를 혼합한 후 계량 및 포장함으로써, 수도용 묘목인 벼를 육묘함에 있어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적합한 수도용 상토를 제공함과 동시에 육묘된 벼의 도장(徒長; overgrowth) 즉, 키만 크고 연약하게 자라는 웃자람 현상과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불량환경(저온/고온)에서도 육묘된 벼가 견디는 힘을 키워주어 누구나 손쉽게 육묘할 수 있도록 한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생산량과 비례하여 비료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경지생태계의 지속성 저하와 토양오염,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오염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의 개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비료의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토양 중 필요 이상으로 양분의 축적이 과다하게 되었고, 특히 시설 재배지에서는 토양의 염류의 과다 집적으로 인한 염해가 우려되는 수준으로 악화되었다.
이에 최근 웰빙(well-being)과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들의 친환경 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농산물에서는 더욱 높게 나타나 화학비료, 유기 합성농약, 가축 사료 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인 친환경 농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정부의 친환경 농업정책의 확대로 유기농 농산물의 재배 농가와 면적이 증가하고 무농약 농산물이나 저농약 농산물 재배 농가들도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재배를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유기농업은 환경친화형 농업 및 순환농업의 궁극적인 형태로, 인위적인 화학처리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물리적인 수집/분쇄 등의 처리와 생물학적인 부숙화/퇴비화 등의 처리만을 통하여 얻어진 자재를 사용하는 농업으로서, 기존의 상토를 사용하였을 경우, 상토 내에 포함된 비료 및 첨가제가 화학적인 공정을 거친 물질들로서 저농약과 무농약 농업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전환기 농업과 유기농업에는 적용 가능한 상토가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144081호에 게시된 조경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등 기존 상토의 비료성분을 변형시킨 다양한 상토들이 연구되었으나, 일반적이면서도 많이 알려진 성분이나 물질들만으로는 기존의 상토에 비하여 생육속도가 크게 떨어지고, 건묘 양성이 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으며,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사용하기 적합한 수도용 전용상토가 현재로서 미비할 뿐만 아니라, 상토의 밀도 및 무게에 따른 준중량 상토와 경량 상토로 구분하여 용도나 시기, 환경에 맞게 농가가 손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수도용 상토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과 아울러, 초기 생육이 저조함에 따라 모의 위축과 곰팡이 병원균에 의한 각종 병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육묘되는 벼에 대해 생육촉진 및 조기착근, 이식 후 원기회복에 적합함과 동시에 미네랄 공급 및 유효성분의 유출차단, 식물성장의 균형유지, 보수력과 보비력 향상에 따른 토양개량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토양 물리성 개량 효과와 함께 벼에 세균번식을 방지하면서 병해예방 및 생육촉진을 이룰 수 있으며, 벼의 육묘시 불량환경에 견디는 힘을 강화시킬 수 있는 등의 복합 기능성 수도용 상토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코코피트, 피트모스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을 혼합한 혼합원료에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혼합하여 수도용 상토를 제조함에 따라 수도용 묘목인 벼를 육묘함에 있어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적합한 수도용 상토를 제공함과 동시에 육묘된 벼의 도장(徒長; overgrowth) 즉, 키만 크고 연약하게 자라는 웃자람 현상과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수도용 상토 중 제오라이트, 규조토, 유카추출물을 통해 불량환경(저온/고온)에서도 육묘된 벼가 견디는 힘을 키워주어 누구나 손쉽게 육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수도용 상토를 구성함에 있어, 4종복합비료, 유카추출물, 퀼라야추출물, 해조추출물, 미코스브이 등의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함에 따른 무농약 쌀 생산농가의 벼 육묘시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친환경 농법에 의한 벼 육묘의 관리 및 유지작업에 있어서도 농업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벼의 생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수도용 상토를 구성함에 있어 유기물 및 무기물의 혼합원료에 천연추출물인 유기농업자재를 혼합한 것이기 때문에 유기물/무기물의 원료 혼합비율, 스크린망의 크기(5mm), 수분율(20-22%)과 함께 유기물원료와 천연추출물의 기능적 특성을 통해 기계 파종 작업이 우수하고 매트형성이 빨라 벼 육모장에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토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도용 상토는, 코코피트 10-35중량%, 피트모스 5-20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30-50중량%, 황토 20-4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와,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각각 혼합하여 밀도가 0.5-0.8Mg/㎥, EC가 1.0-2.0dS/m의 준중량 상토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도용 상토 제조방법은, 분쇄기에서 유기물인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 살균기를 이용해 살균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살균 처리된 코코피트 10-35중량%와 피트모스 5-20중량%를 원료혼합기로 이송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무기물인 질석 30-50중량%, 황토 20-4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혼합기 내의 교반스크류를 통해 공급된 유기물과 무기물 및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교반하여 혼합하되,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 밀도가 0.5-0.8Mg/㎥, EC가 1.0-2.0dS/m의 준중량 상토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준중량 상토를 배출하여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기로 이송된 준중량 상토를 계량 및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된 완제품을 적재 및 출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수도용 상토는, 코코피트 10-35중량%, 피트모스 5-20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30-5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와,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각각 혼합하여 밀도가 0.3-0.5Mg/㎥, EC가 1.0-2.0dS/m의 경량 상토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수도용 상토 제조방법은, 분쇄기에서 유기물인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 살균기를 이용해 살균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살균 처리된 코코피트 10-35중량%와 피트모스 5-20중량%를 원료혼합기로 이송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무기물인 질석 30-5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혼합기 내의 교반스크류를 통해 공급된 유기물과 무기물 및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교반하여 혼합하되,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 밀도가 0.3-0.5Mg/㎥, EC가 1.0-2.0dS/m의 경량 상토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경량 상토를 배출하여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기로 이송된 경량 상토를 계량 및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된 완제품을 적재 및 출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용 묘목인 벼를 육묘함에 있어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적합한 수도용 상토를 제공함과 동시에 육묘된 벼의 도장(徒長; overgrowth) 즉, 키만 크고 연약하게 자라는 웃자람 현상과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도용 상토 중 제오라이트, 규조토, 유카추출물을 통해 불량환경(저온/고온)에서도 육묘된 벼가 견디는 힘을 키워주어 누구나 손쉽게 육묘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도용 상토를 구성함에 있어, 4종복합비료, 유카추출물, 퀼라야추출물, 해조추출물, 미코스브이 등의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함에 따른 무농약 쌀 생산농가의 벼 육묘시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친환경 농법에 의한 벼 육묘의 관리 및 유지작업에 있어서도 농업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벼의 생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수도용 상토를 구성함에 있어 유기물 및 무기물의 혼합원료에 천연추출물인 유기농업자재를 혼합한 것이기 때문에 유기물/무기물의 원료 혼합비율, 스크린망의 크기(5mm), 수분율(20-22%)과 함께 유기물원료와 천연추출물의 기능적 특성을 통해 기계 파종 작업이 우수하고 매트형성이 빨라 벼 육모장에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 및 또 다른 실시예의 경량 상토와 대조상토를 이용한 벼의 생육상태를 나타낸 비교 사진.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 및 또 다른 실시예의 경량 상토와 대조상토를 이용한 벼의 생육상태를 나타낸 비교 사진이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는, 벼를 논에 아주심기(이앙)하기 전에 볍씨를 못자리를 만들어 거기서 길러내서 이앙을 하게 되는데 그 못자리를 하는 흙을 수도용 상토라 하며, 수도용 묘목인 벼를 육묘함에 있어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적합한 수도용 상토를 농가에 원활히 공급함은 물론, 육묘된 벼의 도장(徒長; overgrowth) 즉, 키만 크고 연약하게 자라는 웃자람 현상[네이버 지식백과,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04. 20)]과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불량환경(저온/고온)에서도 육묘된 벼가 견디는 힘을 키워주어 누구나 손쉽게 육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준중량 상토와 경량 상토로서 구분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도용 상토로서 준중량 상토의 경우 코코피트, 피트모스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와,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각각 혼합하여 수도용 준중량 상토를 제조하며, 이때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도용 준중량 상토는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상호 혼합된 상태로 상토가 제작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상기 유기물을 이루는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의 경우 각각 10-30중량%와 피트모스 5-10중량%가 첨가되는데, 이때 상기 코코피트(cocopeat)는 코코넛열매의 껍질 속 조직인 친환경 무공해 유기물 소재로서 친수성, 배수성이 좋고 분해가 안정적이며, 수목의 생육촉진 및 조기착근, 이식 후 원기회복에 적합한 기능적 특성과 함께 이의 입자크기로는 4-8mm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트모스(peat moss)는 여러 가지 식물이 죽어서 쌓인 영양분들이 들어간 좋은 흙의 일종인 친환경 무공해 유기물 소재로서 가벼우면서도 배수, 통기, 보비, 습윤팽창성 및 수분보유력이 매우 좋고 분해 역시 안정적이어서 작물재배에 적합하는 등 우수한 토양개량제로 널리 사용되는 등의 기능적 특성과 함께 이의 입자크기 역시 코코피트와 동일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는 각종 무기질 재료(질석, 펄라이트, 석회, 비료, 습윤제 등) 및 유기질 재료와 혼합이 잘 되어 각종 작물 생육에 적합한 다양한 용토를 만들 수 있음과 아울러, 채소종자 파종, 각종 화훼작물 파종 및 삽목 등 번식과 화분용토로 사용하기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상기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 유기물 즉,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에 대하여, 상기 코코피트가 10중량% 이하일 경우 상토 무게가 높아져 농작업 시 농업인구의 고령화임을 감안할 때 중량의 상토를 운반하거나 사용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35중량% 이상일 경우 수분보유능력이 많아 저온기(4월) 뿌리발육이 떨어짐과 아울러 비료관리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밀도의 기준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유기물의 또 다른 구성성분인 상기 피트모스를 5중량% 이하로 첨가할 경우 저온기(4월)/고온기(5-6월) 뿌리발육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20중량%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뿌리발육이 왕성해져 뜸묘 발생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어 혼합원료를 형성하는 무기물 즉,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의 경우 각각 질석 30-50중량%, 황토 20-4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가 첨가되는데, 이때 상기 질석의 경우 양분 흡착력이 높은 광물질 소재로서 분말형태로 사용됨과 동시에 수목의 생육촉진 및 조기착근, 이식 후 원기회복에 적합하고, 미네랄 공급 및 유효성분의 유출차단, 식물성장의 균형유지, 보수력/보비력과 보온/보냉성 및 통기성 향상에 따른 토양개량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갖고, 상기 황토의 경우 암석이 풍화작용을 받아 변질되어 형성된 풍화 퇴적물이며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두꺼운 황토층은 두께 1-5cm 황토 단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황색 및 적색의 세립질로서 pH 5-6으로 점질성이 높아 양분보유능력이 우수한 기능적 특성을 갖으며, 상기 가리장석의 경우 전남 구례지역에서 채굴되며, 규소 64%, 가리(칼륨) 10% 이상 함유하고 pH 9.36으로 산성 토양을 중화시키고, 천연미네랄 함유로 지력을 증진시킴과 함께 잔류독성 해소 및 중금속 중화, 병충해 예방과 생육촉진, 연작장해 방지 등의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규조토의 경우 경북 감포지역에서 채굴되며, 규조류로 불리는 부유성 조류(algae) 껍데기의 퇴적물의 집합체로서, 산성물질로 pH(4-5)가 낮고 다공질성의 물질이며 흡수력, 보비력, 보비력이 뛰어나고 유해가스 제거 및 살충효과가 있으나, 단 점토 성분이 많아 물빠짐이 불량한 단점이 있는 등의 기능적 특성을 갖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제오라이트(Zeolite)의 경우 대체로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카리 금속과 칼슘 등의 알카리 토금속을 함유하고 있으며 물분자를 결정수의 형태로 함유한 함수 규산염광물을 말하는데, 이러한 제오라이트는 2-10Å 크기의 공동(surface pore)으로 연결되어 있는 특이한 세공구조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미세한 세공 구조와 (Si, Al)O₄사면체 내에서 Si₄의 일부가 Al₃로 치환됨으로써 발생하는 전하 결손을 보상하기 위해서 양이온들이 구조 내로 들어오기 쉬워 보수 능력이 우수하고 200-400meq/100g 에 달하는 치환성 양이온능력(CEC)이 우수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상기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 무기물 즉,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및 제오라이트에 대하여, 상기 질석이 30중량% 이하일 경우 고온기(5-6월) 수분 보유능력이 떨어짐과 아울러 코코피트와 마찬가지로 비료관리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밀도의 기준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50중량% 이상일 경우 너무 가벼워져 비료관리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밀도의 기준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무기물의 또 다른 구성성분 중 상기 황토가 20중량% 이하일 경우 육묘 시 벼가 연약하게 자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40중량% 이상일 경우 무게가 높아져 상토를 이용한 육묘작업의 편리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상토를 운반하는데 힘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무기물의 또 다른 구성성분 중 상기 가리장석이 1중량% 이하일 경우 고온기(5-6월) 웃자람에 대한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5중량% 이상일 경우 강알칼리성이므로 육묘 시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무기물의 또 다른 구성성분 중 상기 규조토가 1중량% 이하일 경우 항균작용과 pH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5중량% 이상일 경우 통기성이 떨어져 육묘 시 생육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무기물의 마지막 구성성분인 제오라이트 1중량% 이하일 경우 상토의 밀도 및 무게가 낮아져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5중량% 이상일 경우 황토와 마찬가지로 무게가 높아져 상토를 가지고 작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토를 운반하는데 힘이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한 유기물 및 무기물과 혼합되어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형성하는 유기농업자재 비효 즉,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의 경우 각각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가 첨가되는데, 이때 상기 4종복합비료의 경우 대표적 주요성분이 N(질소), P(인), K(칼륨; 가리), MgO(산화마그네슘)로서, 각각 15-9-19-1의 복합비료 와 20-20-20-1의 복합비료가 주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15-9-19-1의 복합비료 와 20-20-20-1의 복합비료를 50:50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15-9-19-1의 복합비료는 N(질소) 15%, P2O3(인) 9%, K2O(칼륨; 가리) 19%, MgO(산화마그네슘) 1%와 함께 다른 성분들이 미소량으로 혼합(표 1 참조)되어 있어 작물의 비대, 당도 및 착색증진과 균형성장을 촉진시키고, 과실의 무게와 수확량을 증진시키며, 미량요소가 킬레이트 처리되어 흡수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종 생리장해 예방에 탁월한 기능적 특성을 갖고 있고, 20-20-20-1의 복합비료는 N(질소) 20%, P2O5(인) 20%, K2O(칼륨; 가리) 20%, MgO(산화마그네슘) 1%와 함께 다른 성분들이 미소량으로 혼합(표 2 참조)되어 있어 작물의 뿌리, 잎, 줄기의 균형성장을 촉진시키고, 불량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하며, 균형있는 양분조성으로 전생육기에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시킴은 물론, 건실한 초세확보와 꽃의 수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표 1. N, P, K, MgO 15-9-19-1 복합비료 성분함량표(단위: %).
Figure pat00001
표 2. N, P, K, MgO 20-20-20-1 복합비료 성분함량표(단위: %).
Figure pat00002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된 4종복합비료의 경우 다량의 함량으로 첨가 혼합된 성분 "N, P, K, MgO" 를 기준으로 포장지 상에 "20-20-20-1" 로 표기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유황의 경우 화산지역에서 얻어지는 천연광물로 작물에 필수요소로 역할을 하며 광범위한 살균능력 및 산도조정을 하는 기능적 특성을 갖으며, 상기 유카추출물의 경우 북미 남서부 사막에만 사는 용설란과 사막 식물의 순수한 천연추출물 즉, 주성분이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의 비당(非糖) 부분이 여러 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사포닌(saponin)으로 이루어진 천연물질로서 식물의 활성성분인 스테로이드 사포닌의 활성과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저온 저압에서 추출됨과 아울러,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균능력이 우수함은 물론 식재 작업 시 수목의 뿌리발근촉진 및 불량환경에 견디는 힘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 특성과 함께, 사포닌 성분에 의한 항균 및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부가적인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상기 미코스브이(mykosV)의 경우 농촌진흥청에 병해충관리용으로 공시 등록된 친환경유기농자재로서, 독일의 첨단 Homeopathy 제조공법으로 만들어진 식물강화제로 식물추출물과 광물(미네랄)추출물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어 작물과 나무에 발생되는 유해균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곰팡이균에 대한 예방 및 저항성 강화에 도움을 줌과 아울러 농약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등 친환경유기농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미코스브이는 기능적 특성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식물추출물과 광물(미네랄)추출물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어 작물과 나무에 발생되는 유해균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곰팡이균에 대한 예방 및 저항성 강화에 도움을 준다 하였는데, 이때 상기 식물추출물과 광물추출물이 각각 4:1의 비율 즉, 상기 식물추출물 80%와 광물추출물 20%가 혼합된 액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식물추출물은 석창포, 나래치치, 겨우살이, 백리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물추출물은 엡소마이트, 아카사이트, 칼칸사이트, 규조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상기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 유기농업자재 비효 즉,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에 대하여, 상기 4종복합비료가 1중량% 이하일 경우 육묘 시 25일간 영양분을 균형 있게 공급되지 않아 생육이 떨어짐과 아울러 수도용 상토의 생육조건 중 pH 4.5-5.8로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2중량% 이상일 경우 전기전도도인 EC가 2.0 보다 높아져 비해 즉, 비료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유기농업자재 비효의 또 다른 구성성분 중 유황이 1중량% 이하일 경우 4종복합비료의 1중량% 이하일 때의 문제점과 동일한 육묘 시 25일간 영양분을 균형 있게 공급되지 않아 생육이 떨어짐과 아울러 수도용 상토의 생육조건 중 pH 4.5-5.8로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2중량% 이상일 경우 역시 4종복합비료의 2중량% 이상일 때의 문제점과 동일하게 전기전도도인 EC가 2.0 보다 높아져 비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유기농업자재 비효의 또 다른 구성성분 중 상기 유카추출물이 1중량% 이하일 경우 항균작용과 뿌리발달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2중량% 이상일 경우 매트형성이 빨리되어 뿌리가 호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유기농업자재 비효의 마지막 구성성분인 미코스브이가 1중량% 이하일 경우 곰팡이 억제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3중량% 이상일 경우 유익한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에 대한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코코피트, 피트모스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상호 혼합된 상태로 상토가 제작되는 것으로, 여기서 수도용(벼) 육모에 사용하기 위한 혼합원료 즉, 유기농업자재 비효 1-5%와 혼합되는 95-99%의 혼합원료 자체를 100%로 가정할 때, 상기 혼합원료에 적용되는 유기물은 20-30%가 사용되고, 무기물은 70-80%가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유기물이 20% 이하일 때에는 매트형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30% 이상일 때에는 매트형성이 빨리되어 뿌리가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무기물이 70% 이하일 때에는 비료관리법의 밀도를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80% 이상일 때에는 무게가 높아져 작업 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는, 비료관리법에서 관리하는 준중량 상토의 밀도 기준인 0.5-0.8Mg/㎥을 충족함과 아울러, 비효처방에 의한 전기전도도 역시도 EC 2.0dS/m 이하 즉, 1.0-2.0dS/m로 관리하는데, 이때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비료관리법에서 규정한 준중량 상토의 밀도 기준이 0.5-0.8Mg/㎥의 범위를 갖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중량 상토 보다 약간 가볍게 제작하여 벼의 육묘 시 중량 상토 보다 사용하기 편리하고 장기 육묘 시(30일)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상기한 준중량 상토의 밀도 기준이 0.5 이하일 때에는 장기 육묘 시 뿌리발육이 많아져 뜸묘 발생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대로 0.8 이상일 때에는 상토의 무게가 무겁고 고밀도화되어 농업인구의 고령화임을 감안할 때 농작업 시 고밀도의 상토를 운반하거나 사용하기가 매우 힘들고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준중량 상토의 전기전도도 역시도 EC가 1.0 이하일 때에는 육묘상에서 영양분 공급이 적어 키가 작아져 기계 이앙 작업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2.0 이상일 때에는 뿌리가 비해를 받아 갈변되면서 썩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도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제조방법인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기에서 유기물인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S100)와; 상기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 살균기를 이용해 살균 처리하는 단계(S110)와; 상기 살균 처리된 코코피트 10-35중량%와 피트모스 5-20중량%를 원료혼합기로 이송 공급하는 단계(S120)와;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무기물인 질석 30-50중량%, 황토 20-4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130)와;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140)와; 상기 원료혼합기 내의 교반스크류를 통해 공급된 유기물과 무기물 및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교반하여 혼합하되,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 밀도가 0.5-0.8Mg/㎥, EC가 1.0-2.0dS/m의 준중량 상토를 제조하는 단계(S150)와; 상기 원료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준중량 상토를 배출하여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포장기로 이송된 준중량 상토를 계량 및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S170)와; 상기 포장된 완제품을 적재 및 출고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기를 이용해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에 붙어 있는 유해한 세균이나 이물질들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살균수단의 경우 스팀이나 또는 스팀과 오존을 같이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살균 온도로서 95-105도에서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살균작용을 위한 스팀 온도가 95도 이하일 경우 살균작용이 약해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에 붙어 있는 유해한 세균이나 이물질들이 대부분 살은 상태로 상토에 옮겨지게 되고, 이러한 불량 상토를 사용하여 수도용인 벼를 육모 할 경우 상토 속의 유해한 세균이나 이물질들에 의해 육모된 벼의 성장에 방해가 되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스팀 살균 온도가 105도 이상일 경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에 붙어 있는 유해한 세균이나 이물질들에 대한 살균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반면에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 역시 스팀에 의해 익혀지면서 녹거나 강도가 저하되어 해당 성분에 대한 기능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거나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경우 함수율이 20-22% 인데, 이는 육묘 시 기계파종이 작업이 용이한 함수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한 함수율 범위 중 20% 이하일 경우 상토 담는 작업 시 바람에 날리는 문제점과 관수 시 수분이 잘 흡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대로 22% 이상일 경우에는 상토 담는 작업 시 뭉치고 흐름성이 나빠져 작업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복토 작업 시 상토가 고르게 작업이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혼합기 내에는 분쇄된 유기물과 무기물을 설정크기에 맞게 걸러내어 수도용 상토의 최종 입자크기를 준중량 상토의 입자크기에 맞게 조절하도록 스크린망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스크린망의 크기는 준중량 상토의 입자크기에 맞게 5mm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크린망의 크기가 5mm 이하 일 경우에는 기계파종 작업 시에 바람에 날리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5mm 이상 일 경우에는 기계파종 작업 시에 상토 담기와 복토 과정에서 작업 소요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제조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분쇄기에서 분쇄한 후 살균기로부터 방출된 스팀을 이용해 살균 처리된 유기물인 코코피트 20g, 피트모스 10g과 무기물인 질석 30g, 황토 25g, 가리장석 4g, 규조토 3g, 제오라이트 3g을 원료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혼합원료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g, 유황 1g, 유카추출물 1g, 미코스브이 2g을 첨가 혼합하여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경우 앞서 기술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와 마찬가지로 코코피트 10-35중량%, 피트모스 5-20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30-5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와,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각각 혼합하여 수도용 경량 상토를 제조하며, 이때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도용 경량 상토는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상호 혼합된 상태로 상토가 제작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를 구성하는 성분들 즉,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의 경우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 중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의 기능적 특성과 상호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각 구성성분들에 대한 기능적 특성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경우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의 구성성분 중 질석, 황토,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 중에서 상기 황토를 제거함에 따라 비료관리법에서 관리하는 경량 상토의 밀도 기준인 0.3-0.5Mg/㎥을 충족함과 아울러, 비효처방에 의한 전기전도도인 EC 역시도 2.0dS/m 이하 즉, 1.0-2.0dS/m로 관리하는데, 이때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비료관리법에서 규정한 경량 상토의 밀도 기준이 0.3-0.5Mg/㎥의 범위를 갖는 이유는 준중량 상토에 비해서 가벼워 작업의 편리성과 벼 육묘장에서 매트형성이 빠르게 진행되어 육묘기간을 기존 20∼30일에서 10∼15일로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상기한 경량 상토의 밀도 기준이 0.3 이하일 때에는 매트형성이 빠르고 도장될 문제점이 발생되고, 반대로 0.5 이상일 때에는 매트형성이 지연되고 기계파종 작업 시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경량 상토의 전기전도도 역시 앞서 준중량 상토의 전기전도도와 동일한 범위를 갖는데, 여기서 EC가 1.0 이하일 때에는 육묘상에서 영양분 공급이 적어 키가 작아져 기계 이앙 작업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1.2 이상일 때에는 뿌리가 비해를 받아 갈변되면서 썩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코코피트, 피트모스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가리장석, 규조토,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4종복합비료, 유황,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상호 혼합된 상태의 상토로 제작된 것으로, 여기서 육묘에 사용하기 위한 혼합원료 즉, 유기농업자재 비효 1-5%와 혼합되는 95-99%의 혼합원료 자체를 100%로 가정할 때, 상기 혼합원료에 적용되는 유기물은 50-60%가 사용되고, 무기물은 40-50%가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유기물이 50% 이하일 때에는 매트형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60% 이상일 때에는 매트형성이 빨라져 뜸묘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기물이 40% 이하일 때에는 비료관리법의 밀도를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50% 이상일 때에는 무게가 높아져 기계파종으로 작업하는데 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면,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제조방법인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기에서 유기물인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200)와; 상기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 살균기를 이용해 살균 처리하는 단계(S210)와; 상기 살균 처리된 코코피트 10-35중량%와 피트모스 5-20중량%를 원료혼합기로 이송 공급하는 단계(S220)와;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무기물인 질석 30-5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230)와;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240)와; 상기 원료혼합기 내의 교반스크류를 통해 공급된 유기물과 무기물 및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교반하여 혼합하되,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 밀도가 0.3-0.5Mg/㎥, EC가 1.0-2.0dS/m의 경량 상토를 제조하는 단계(S250)와; 상기 원료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경량 상토를 배출하여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S260)와; 상기 포장기로 이송된 경량 상토를 계량 및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S270)와; 상기 포장된 완제품을 적재 및 출고하는 단계(S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기를 이용해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에 붙어 있는 유해한 세균이나 이물질들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살균수단 및 살균온도의 경우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와 마찬가지로 스팀이나 또는 스팀과 오존을 같이 병행하여 사용함과 아울러 95-105도에서 살균작용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살균온도에 대한 범위를 갖는 이유 역시도 준중량 상토와 동일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경우 역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와 마찬가지로 함수율이 20-22% 이며, 상기와 같은 함수율에 대한 범위를 갖는 이유 역시도 준중량 상토와 동일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분쇄된 유기물과 무기물을 설정크기에 맞게 걸러내어 수도용 상토의 최종 입자크기를 준중량 상토의 입자크기에 맞게 조절하도록 상기 원료혼합기 내에 설치된 스크린망의 경우 역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에서 밝힌 바와 같이 경량 상토의 입자크기에 맞게 5mm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파종이 용이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의 제조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2]
분쇄기에서 분쇄한 후 살균기로부터 방출된 스팀을 이용해 살균 처리된 유기물인 코코피트 30g, 피트모스 15g과 무기물인 질석 40g, 가리장석 4g, 규조토 3g, 제오라이트 3g을 원료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혼합원료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g, 유황 1g, 유카추출물 1g, 미코스브이 2g을 첨가 혼합하여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를 제조하였다.
[실험]
본 발명에 대한 수도용 상토의 일실시예인 준중량 상토와 또 다른 실시예인 경량 상토를 이용한 벼 육묘의 생육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1. 실시기관 : 공주대학교 두과녹비자원연구센터(충남 예산)
2. 의뢰자 :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표 3. 시험재료 및 처리방법
Figure pat00003
* 종자는 건 종자 기준임.
* 대조상토 : K-media
(못자리용, 코코피트:질석:제오라이트:규조토=30:40:15:15% 비율)
3. 시험구 크기 및 배치법 : 육묘상자, 3반복, 완전임의배치법
4. 준비 및 파종 : 종자 선종, 소독-스포탁, 침종, 최아, 파종(육묘상자 당 건 종자 기준으로 130g씩 파조하여 상자 쌓기)
5. 파종 후 관리 : 상자 쌓기 3일 후 치상
6. 조사항목 : 벼 생육 특성 조사 - 엽수, 초장, SPAD(엽색)
7. 시험결과
육묘 시 파종 2일 후의 출아율은 99%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고, 파종 후 20일후의 엽수는 3.34-3.46장으로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파종 후 20일의 초장은 경량상토>준중량상토>대조상토(대조구) 순서로 컸는데, 파종 후 10일에 조사한 초장 역시도 동일한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엽색은 준중량상토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준중량, 경량상토가 대조상토(대조구) 보다 매트형성이 양호하고 과번무와 연약한 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벼에 대한 준중량, 경량상토의 육묘시험을 실시한 결과 육묘시험 전 기간에 거쳐 상토로 인한 벼의 피해는 발생되지 않았으며, 생육은 대조상토(대조구) 보다 우세한 생육결과(표 4 내지 표 6, 도 3 참조)를 보였고, 생육의 변화도 대조상토(대조구) 보다 처리구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4.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대조구에 대한 벼의 생육시험(파종 후 10일) 결과.
Figure pat00004
표 5.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대조구에 대한 벼의 생육시험(파종 후 20일) 결과.
Figure pat00005
표 6. 매트 형성 비교(달관조사, 파종 후 10일 차)
Figure pat00006
*달관조사 : 1-매트형성 우수, 3-매트형성 보통, 5-매트형성 불량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를 제조할 경우 수도용 묘목인 벼를 육묘함에 있어 저온기(4월) 및 고온기(5-6월)에 적합한 수도용 전용상토를 사용자에게 원활히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리장석, 유카추출물, 미코스브이를 통해 육묘된 벼가 키만 크고 연약하게 자라는 웃자람 현상인 도장(徒長; overgrowth) 및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제오라이트, 규조토, 유카추출물을 통해 불량환경(저온/고온)에서도 육묘된 벼가 견디는 힘을 키워주어 누구나 손쉽게 육묘할 수 있으며, 더욱이 유카추출물, 퀼라야추출물, 해조추출물과 특히 식물추출물과 광물추출물이 혼합된 미코스브이와 같은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함에 따른 무농약 쌀 생산농가의 벼 육묘시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친환경 농법에 의한 벼 육묘의 관리 및 유지작업에 있어서도 농업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벼의 생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수도용 상토를 구성함에 있어 유기물 및 무기물의 혼합원료에 천연추출물인 유기농업자재를 혼합한 것이기 때문에 유기물/무기물의 원료 혼합비율, 스크린망의 크기(5mm), 수분율(20-22%)과 함께 유기물원료와 천연추출물의 기능적 특성을 통해 기계 파종 작업이 우수하고 매트형성이 빨라 벼 육모장에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S100, S200. 유기물 분쇄단계
S110, S210. 유기물 살균처리단계
S120, S220. 유기물 원료혼합기 공급단계
S130, S230. 원료혼합기 내에 무기물 공급단계
S140, S240. 원료혼합기 내에 유기농업자재 비효 공급단계
S150, S250. 혼합 및 준중량/경량 상토 제조단계
S160, S260. 상토 포장기 이송단계
S170, S270. 상토 계량 및 완제품 포장단계
S180, S280. 완제품 적재 및 출고단계

Claims (9)

  1. 코코피트 10-35중량%, 피트모스 5-20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30-50중량%, 황토 20-4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와,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각각 혼합하여 밀도가 0.5-0.8Mg/㎥, EC가 1.0-2.0dS/m의 준중량 상토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2. 코코피트 10-35중량%, 피트모스 5-20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질석 30-5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로 이루어진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와,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로 이루어진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각각 혼합하여 밀도가 0.3-0.5Mg/㎥, EC가 1.0-2.0dS/m의 경량 상토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중량 상토에 사용되는 혼합원료 중 유기물은 20-30%, 무기물은 70-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상토에 사용되는 혼합원료 중 유기물은 50-60%, 무기물은 40-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준중량 상토 또는 경량 상토는 함수율이 각각 20-2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6. 분쇄기에서 유기물인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S100)와;
    상기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 살균기를 이용해 살균 처리하는 단계(S110)와;
    상기 살균 처리된 코코피트 10-35중량%와 피트모스 5-20중량%를 원료혼합기로 이송 공급하는 단계(S120)와;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무기물인 질석 30-50중량%, 황토 20-4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130)와;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140)와;
    상기 원료혼합기 내의 교반스크류를 통해 공급된 유기물과 무기물 및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교반하여 혼합하되,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 밀도가 0.5-0.8Mg/㎥, EC가 1.0-2.0dS/m의 준중량 상토를 제조하는 단계(S150)와;
    상기 원료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준중량 상토를 배출하여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포장기로 이송된 준중량 상토를 계량 및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S170)와;
    상기 포장된 완제품을 적재 및 출고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제조방법.
  7. 분쇄기에서 유기물인 코코피트 및 피트모스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200)와;
    상기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 살균기를 이용해 살균 처리하는 단계(S210)와;
    상기 살균 처리된 코코피트 10-35중량%와 피트모스 5-20중량%를 원료혼합기로 이송 공급하는 단계(S220)와;
    상기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무기물인 질석 30-50중량%, 가리장석 1-5중량%, 규조토 1-5중량%, 제오라이트 1-5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230)와;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공급된 원료혼합기에 유기농업자재 비효인 4종복합비료 1-2중량%, 유황 1-2중량%, 유카추출물 1-2중량%, 미코스브이 1-3중량%를 이송 공급하는 단계(S240)와;
    상기 원료혼합기 내의 교반스크류를 통해 공급된 유기물과 무기물 및 유기농업자재 비효를 교반하여 혼합하되, 상기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혼합원료 95-99%와 유기농업자재 비효 1-5%가 혼합되어 밀도가 0.3-0.5Mg/㎥, EC가 1.0-2.0dS/m의 경량 상토를 제조하는 단계(S250)와;
    상기 원료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경량 상토를 배출하여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S260)와;
    상기 포장기로 이송된 경량 상토를 계량 및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S270)와;
    상기 포장된 완제품을 적재 및 출고하는 단계(S2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준중량 상토 또는 경량 상토는 함수율이 각각 20-2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제조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기 내에는 분쇄된 유기물과 무기물을 걸러 내어 수도용 상토의 최종 입자크기를 준중량 상토 또는 경량 상토의 입자크기에 맞게 조절하도록 스크린망이 설치되며, 상기 준중량 상토와 경량 상토 모두 5mm 크기의 스크린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상토 제조방법.
KR1020140084958A 2014-07-08 2014-07-08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66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958A KR101669719B1 (ko) 2014-07-08 2014-07-08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958A KR101669719B1 (ko) 2014-07-08 2014-07-08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00A true KR20160005900A (ko) 2016-01-18
KR101669719B1 KR101669719B1 (ko) 2016-10-26

Family

ID=5530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958A KR101669719B1 (ko) 2014-07-08 2014-07-08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083A1 (ko) * 2016-03-16 2017-09-21 (주)참그로 목섬유를 포함하는 육묘장 전용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800B1 (ko) * 2022-08-29 2023-01-25 (주)케이티에스테크 팽창 펄라이트에 규조토 및 점증제 첨가로 산도 및 비중을 조절한 바이오 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120B1 (ko) * 2006-04-25 2006-09-22 주식회사 동부한농 친환경 유기농 전용 벼 육묘 못자리용 상토
KR100741818B1 (ko) * 2006-08-09 2007-07-23 윤환헌 항진균성 유기농 상토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923207B1 (ko) * 2007-10-31 2009-10-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친환경 유기농 원예용 상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120B1 (ko) * 2006-04-25 2006-09-22 주식회사 동부한농 친환경 유기농 전용 벼 육묘 못자리용 상토
KR100741818B1 (ko) * 2006-08-09 2007-07-23 윤환헌 항진균성 유기농 상토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923207B1 (ko) * 2007-10-31 2009-10-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친환경 유기농 원예용 상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083A1 (ko) * 2016-03-16 2017-09-21 (주)참그로 목섬유를 포함하는 육묘장 전용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800B1 (ko) * 2022-08-29 2023-01-25 (주)케이티에스테크 팽창 펄라이트에 규조토 및 점증제 첨가로 산도 및 비중을 조절한 바이오 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719B1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818B1 (ko) 항진균성 유기농 상토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228276B1 (ko) 바이오차를 활용한 유기 탄소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5993874B (zh) 一种富硒黑番茄的水培方法
KR101657964B1 (ko) 목섬유를 포함하는 육묘장 전용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09360A (zh) 有机蔬菜种植用育苗盘基质
CN106358671A (zh) 非洲菊的种植方法
KR101277855B1 (ko) 기능성 상토 제조방법
CN105272720A (zh) 可修复土壤、降低作物镉吸收的复合肥及其应用
CN101683064B (zh) 无土栽培基质及其应用
CN104909870A (zh) 一种盐碱和板结土壤改良修复剂
CN105294277A (zh) 一种油茶育苗专用轻基质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20180079227A (ko)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KR20140011757A (ko) 완효성 비료를 처방한 장기육묘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398300B1 (ko) 인삼재배용 토양개량 또는 생장촉진용 조성물
CN107787751A (zh) 高产量和高品质的黄皮果树种植方法
KR101372905B1 (ko) 도시농업용 용토
KR101214897B1 (ko) 퇴비, 토양개량 및 비료 효과가 동시에 있는 종합 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03015B1 (ko) 토양개량제
KR101669719B1 (ko) 수도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970B1 (ko)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4927B1 (ko) 규산환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4653B1 (ko) 셀레늄이 함유된 고칼슘 미나리의 재배방법
KR101679909B1 (ko)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원예용 상토
JP2006306683A (ja) 植物育成用ミネラル材及びそれを配合した土壌改良材
KR102056285B1 (ko) 탄닌 저감 방식의 코코피트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코피트를 포함하는 식물처리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