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564A -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 Google Patents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564A
KR20160005564A KR1020140084666A KR20140084666A KR20160005564A KR 20160005564 A KR20160005564 A KR 20160005564A KR 1020140084666 A KR1020140084666 A KR 1020140084666A KR 20140084666 A KR20140084666 A KR 20140084666A KR 20160005564 A KR20160005564 A KR 2016000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ide wall
cover plate
storage box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6426B1 (en
Inventor
지희일
Original Assignee
(주)라이트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트컴 filed Critical (주)라이트컴
Priority to KR102014008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426B1/en
Publication of KR2016000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6Grip means made of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preventing slippage during removal by hand, e.g. band,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able component storage box.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part storing a component; and a cover covering the top of the storage part, wherein a combination protruding part, combining and separating an another adjacent storage part,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and therefore, the component storage box is easily moved by connecting the storage box with another adjacent storage part. Even if its side wall is not made thick, the adjacent storage part is able to be connected, and therefore, its weight is reduced and the combination and separation are easily performed. To achieve th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part including a storage space part, having an upper part opened by a side wall upwardly curved and extended from a front end part of the floor surface and storing a component; and a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the top of the storage part, wherein a connection part, curved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a lower direction, is integrated with an upper part of at least one among side walls of the storage part in order to connect and separate another adjacent component storage box by inserting an upper part of a side wall of the component storage box.

Description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storage box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nent storage box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mponents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weight of the side walls can be reduced, and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is relates to a possible parts storage box.

오늘날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은 점차 편리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편리성에 부응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부터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된 제품들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As the industry develops today, human beings are increasingly seeking convenience, and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producing products that respond to these conveniences, a growing number of products are made up of various components.

따라서, 편리성에 부응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상기 제품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을 미리 준비하여 보관할 필요성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고,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부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부품 보관함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a company that manufactures a product that meets convenienc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prepare and store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product in advance, and based on the necessity, a component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various kinds of components separately is continuously developed have.

종래의 일반적인 부품 보관함은 상방이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끼움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두 대향 내벽의 해당 끼움홈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끼움홈이 형성된 격벽과, 이 격벽의 해당 끼움홈과 본체부의 다른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로 이루어져 있다.A conventional general component storage box ha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inner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a main body portion fixed to a corresponding fitting groove of two opposing inner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partition which is detachably provided in a corresponding fitting groove of the partition and in another fitting groove of the body portion.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부품 보관함은 부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본체부의 사이즈에 의해 한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각 본체부의 사이즈 내에서 격벽과 칸막이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을 줄이거나 증대시킬 수밖에 없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general part storage box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parts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main body, the user has to reduce or increase the internal space by using the partition and the partition within the size of each main body There was no.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10684호에 조립식 물품 보관함이 개시된바 있다.In view of this point, the prefabricated storage box has been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6-0010684.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태의 대응 결합부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제1 주보관함과, 이 제1 주보관함의 소정 외벽을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그 주보관함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 중의 다른 하나가 구비되며, 적어도 일방이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 주보관함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article storage box has at least one opening and a receiving space of a certain depth, an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uter wall and a concav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At least on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uter wall of the main storage compartment so as to be detachable along a predetermined outer wall of the first main storing compartment, And a second main storage box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depth.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면에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벽의 두께가 일정 이상 즉, 상기한 결합부와 대응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는 두께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무게가 무거워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form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nventional assembled type article storage box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t is,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must be heavy.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물품 보관함은 인접한 다른 물품 보관함과 결합 또는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어느 하나의 물품 보관함을 들어 다른 하나의 물품 보관함에 형성된 대응 결합부에 결합부를 일치시킨 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켜야 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가 불편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conventional general assembled type article storage box is to be combined with or separated from other adjacent article storage boxes, a corresponding one of the plurality of article storage boxes is coupl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other storage boxes,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merge or separate them.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10684호, 출원일자; 2006년04월20일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6-0010684, filing date; April 20, 2006 고안의 명칭;조립식 물품 보관함Name of Design: Prefabricated Storage Box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components and a lid capable of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And the separating connection part are integrally formed,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adjacent storage part to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of the parts storage box, an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is not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to facilitate the joining and separat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as the description proceed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있어서,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nent storage box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mponent storage box includes a storage space having an upper opening portion formed by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ront end of a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side wall upper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storag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end portion of a side wall of another adjacent component storage box so as to be connect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 downward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한 저장부는, 판 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게 구비되는 제1,2,3,4측벽로 형성된 측벽판과, 상기 제1,2측벽의 상단에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각각 끼움시켜 고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2결합연결부로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판의 제3,4측벽 상단면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2결합연결부에 끼움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의 상단면과 연결되는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면이 동일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2단턱면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plate-shaped bottom surface, side walls formed by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walls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so as to be fitted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side walls of the adjacent parts storage boxes by being extend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of the receiving part of the adjacent parts storage box, And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urfaces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of the receiving part of the connected parts storage box can be connected to the same surface.

상기 덮개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저장부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저면 선단부에는 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되,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에 걸림됨 없이 저장부의 상부를 덮힘시킬 수 있도록 단턱부에 의해 단턱지게 형성된 제1,2,3,4삽입돌출편과, 상기 덮개판의 상면 중앙부에 일방향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을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d part includes a cover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storage part, and a cover plate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art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at the bottom end of the cover plat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upling parts formed by the step portions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without being caught b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4 insertion protruding piece and a projection for hold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so as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and to grasp the cover pla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따르면, 부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이의 저장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시켜 부품 보관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그리고 한 번에 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연결부에 의해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 서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저장부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nent storage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parts and a cover capable of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And the connecting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adjacent storage parts so that the parts storage box can be easily transported at one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facilitate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other adjacent storage uni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s storage box connectabl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arts storage boxes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arts storage boxes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component storage box connectable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100)은,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30)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110)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ponent storage box 100,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portion 110a opened upward by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of at least one of the sidewalls of the storage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a connection part 115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downward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fitt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parts storage box.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mponent storage box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의 저장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즉,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게 구비되는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로 형성된 측벽판(113)과, 상기 제1,2측벽(112,113)의 상단에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에 의해 "ㄱ"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각각 끼움시켜 고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2결합연결부(1151,1152)로 형성된 연결부(115)로 구성된다.1 to 3, the storage unit 110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111 and a bottom surface 111. The storage unit 11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1,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walls 1131, 1132, 1133, and 1134 that are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11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112 and 113 are ben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have a " And a connection part 115 formed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1151 and 1152 so as to be fitted and fixedly connected.

여기서, 상기한 측벽판(113)의 제3,4측벽(1133,1134) 상단면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2결합연결부에 끼움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의 상단면과 연결되는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면이 동일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2단턱면(1133a,1134a)이 각각 더 형성된다.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walls 1133 and 1134 of the side wall plate 113 are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urfaces 1133a and 1134a are further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of the parts storage box connected to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can be connected to the same surface.

그리고, 상기한 측벽판(113)의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 외측면 상단 양측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간 서로 연결시 측벽들이 바닥면측으로 갈수록 이격되도록 하여 바닥면(111)이 안착대(미도시함)의 바닥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측벽간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2,3,4돌출부(116,117,118,119)가 각각 더 형성된다.The side wall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walls 1131, 1132, 1133, and 1134 of the side wall plate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surfac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116, 117, 118, and 119 protruded downward so as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111 from lifting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pad (not shown) Lt; / RTI >

상기한 덮개부(13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lid unit 13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10 having the upper part as shown in FIGS. 1 to 3 attached hereto.

즉, 상기한 덮개부(130)는,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131)과, 상기 덮개판(131)의 저면 선단부에는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판(13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되,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에 걸림됨 없이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힘시킬 수 있도록 단턱부(132a,133a,134a,135a)에 의해 단턱지게 형성된 제1,2,3,4삽입돌출편(132,133,134,135)과, 상기 덮개판(131)의 상면 중앙부에 일방향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131)을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용돌기(136)로 구성된다.That is, the lid unit 130 includes a cover plate 131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storage unit 110, The first and second parts storage bo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ver plate 131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part 110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110,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sertion protruding pieces 132, 133, 134, 135 formed by the step portions 132a, 133a, 134a, 135a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110 And a gripping protrusion 136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31 and formed to be capable of gripping the cover plate 131.

여기서, 상기한 파지용돌기(136)는 상면이 덮개판(131)의 상단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부품 보관함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덮개판(131)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137)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er protrusion 136 is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31 so that the grip protrusion 136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37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131, Respectively.

또한, 상기한 파지용돌기(136)의 외주면은 거친면을 갖도록 하여 손가락으로 파지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세돌기(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er projection 136 has a rough surface, and fine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to prevent slippage when gripping with a finger.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30)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는 수용부(110)의 수용공간부(110a)에 부품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mponen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onents to be stored in the housing space 110a of the housing 110,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130, Can be used.

한편, 상기한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을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용부(110)의 제4측벽(1134) 상단부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제2결합연결부를 일치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2결합연결부를 누름시킨다.In the meantime,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boxes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irst of all, the upper end of the fourth side wall 1134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he second coupling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adjacent component storage box is aligned, and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press the second coupling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2결합연결부를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측벽(1134)의 상부가 제2결합연결부측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되게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side wall 1134 is inserted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connection portion by pressing the second coupling connection portion.

이때, 상기 제2결합연결부의 상단면은 제2단턱면(1134a)에 의해 제4측벽(1134)의 상단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connection portion is made flush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ourth side wall 1134 by the second end surface 1134a.

또한, 상기 제4측벽(1134)의 상부가 제2결합연결부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측벽(1134)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4돌출부(119)와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제2측벽 외측면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돌출부가 접촉하므로 인해 고정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제4측벽(1134)과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제2측벽이 서로 밀림되므로 인해 안착대의 바닥에 수용부(110)의 바닥면(111)이 밀착되게 된다.3,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sidewall 113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connection portion, and the fourth protrusion 119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ourth sidewall 1134, Since the second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wall of the other component storage box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walls of the component storage box adjacent to the fourth sidewall 1134 are pushed against each other,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되면, 덮개부(130)로 수용부(110)의 상부를 덮으므로 인해 부품 보관함을 서로 연결시켜 부품을 종류별로 보관시켜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10 is covered with the lid part 130, the parts storage box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ore the parts according to the type.

또한,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Also, since the parts storage bo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y can be easily transpor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110 ; 저장부
111 ; 바닥면 113 ; 측벽판
115 ; 연결부 130 ; 덮개부
131 ; 덮개판 136 ; 파지용돌기
100; A component storage 110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torage unit
111; Bottom surface 113; Side wall plate
115; A connection 130; The lid portion
131; A cover plate 136; Projection for holding

Claims (6)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에 있어서,
부품을 보관가능하도록 바닥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절곡 연장된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30)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부(110)의 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끼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부(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In a parts storage box connectable to each other,
A storage part 110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part 110a opened upward by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store the part;
And a lid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10,
At least one side wall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portion 1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15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downward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said at least one of said fir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10)는, 판 형상의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부(110a)가 형성되게 구비되는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로 형성된 측벽판(113)과, 상기 제1,2측벽(112,113)의 상단에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 상단부를 각각 끼움시켜 고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1,2결합연결부(1151,1152)로 형성된 연결부(115)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판(113)의 제3,4측벽(1133,1134) 상단면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제1,2결합연결부에 끼움됨에 따른 제1,2결합연결부의 상단면과 연결되는 부품 보관함의 수용부 제1,2측벽의 상단면이 동일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2단턱면(1133a,1134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110 includes a plate-shaped bottom surface 111 and a plurality of openings 110a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1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predetermined depth, The side wall plate 113 formed by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walls 1131, 1132, 1133 and 1134 and the upper and the second side walls 112 and 113 are ben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a connecting portion 115 formed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connecting portions 1151 and 115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wall of the parts storage box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ly connected. , 1134), the top surfac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op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joints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of the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urfaces 1133a and 1134a are formed so that the top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can be connected to the same surface Which can be connected to one an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113)의 제1,2,3,4측벽(1131,1132,1133,1134) 외측면 상단 양측에는,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의 측벽간 서로 연결시 측벽들이 바닥면측으로 갈수록 이격되도록 하여 바닥면(111)이 안착대의 바닥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측벽간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2,3,4돌출부(116,117,118,119)가 각각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wall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walls 1131, 1132, 1133, and 1134 of the side wall plate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surfac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116, 117, 118, and 119 protruded downward so as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111 from lifting from the bottom of the seat and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side walls. Connectable parts st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저장부(11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131)과, 상기 덮개판(131)의 저면 선단부에는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저장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판(13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되, 인접한 다른 부품 보관함이 서로 연결됨에 따른 제1,2결합돌출부에 걸림됨 없이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힘시킬 수 있도록 단턱부(132a,133a,134a,135a)에 의해 단턱지게 형성된 제1,2,3,4삽입돌출편(132,133,134,135)과, 상기 덮개판(131)의 상면 중앙부에 일방향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131)을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용돌기(1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unit 130 includes a cover plate 131 formed to open and close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1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storage unit 110 at the bottom end of the cover plate 131. [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ver plate 131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torage part 110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110. [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sertion protruding pieces 132, 133, 134, 135 formed by the step portions 132a, 133a, 134a, 135a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110 without being hooked, And a gripping protrusion (136) protruded in one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31) and configured to grip the cover plate (13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돌기(136)는, 상면이 덮개판(131)의 상단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부품 보관함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덮개판(131)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137)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ing protrusion 136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37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13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ing protrusion 136 is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31, ≪ / RTI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돌기(136)의 외주면은, 거친면을 갖도록 하여 손가락으로 파지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세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er projection (136) is formed with fine protrusions so as to have a rough surface and prevent slippage when gripping with a finger.
KR1020140084666A 2014-07-07 2014-07-07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KR101596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66A KR101596426B1 (en) 2014-07-07 2014-07-07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66A KR101596426B1 (en) 2014-07-07 2014-07-07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64A true KR20160005564A (en) 2016-01-15
KR101596426B1 KR101596426B1 (en) 2016-02-22

Family

ID=5517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66A KR101596426B1 (en) 2014-07-07 2014-07-07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4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905A (en) 2016-08-04 2018-02-14 허남득 storage of par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68U (en) * 1991-09-11 1993-03-23 株式会社ユーコム Portable breathing apparatus
KR200420297Y1 (en) 2006-04-20 2006-06-29 김원휘 Prefab Locker
JP2009220828A (en) * 2008-03-13 2009-10-01 Sekisui Plastics Co Ltd Connectable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68U (en) * 1991-09-11 1993-03-23 株式会社ユーコム Portable breathing apparatus
KR200420297Y1 (en) 2006-04-20 2006-06-29 김원휘 Prefab Locker
JP2009220828A (en) * 2008-03-13 2009-10-01 Sekisui Plastics Co Ltd Connectable contain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안의 명칭;조립식 물품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905A (en) 2016-08-04 2018-02-14 허남득 storage of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426B1 (en)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3684B2 (en) Toolbox
US10308409B2 (en) Customizable caddy
CN105600088B (en) Storage box
CA138333S (en) Container
KR101875279B1 (en) Multipurpose storage box
KR101596426B1 (en)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US9045257B2 (en) Grab bar and a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USD862249S1 (en) Container insert
KR101392898B1 (en) Collection box of multi-stage
KR101490849B1 (en) Folding container
KR101319158B1 (en) Coupling device for box using corrugated cardboard and box using corrugated cardboard comprising the same
US6840436B2 (en) Folding collapsible box
ITTO20100120A1 (en) DRAWER FOR REFRIGERATION EQUIPMENT
KR101688959B1 (en) Fortable folding type box
KR200485510Y1 (en) A cap with a handle
JP3183850U (en) container
KR200484858Y1 (en) Multi-connectable container
KR102475037B1 (en)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KR20140143512A (en) Apparatus of storage box with open and close type door
KR102244462B1 (en) Packing Box For Food
KR200480217Y1 (en) A box
KR200453433Y1 (en) Box unit for instruments
JP5410153B2 (en) Folding container
CN107954058B (en) Inner box combined structure with storage partition plate
TWM513856U (en) Organization box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